[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85524B1 -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524B1
KR101285524B1 KR1020127018158A KR20127018158A KR101285524B1 KR 101285524 B1 KR101285524 B1 KR 101285524B1 KR 1020127018158 A KR1020127018158 A KR 1020127018158A KR 20127018158 A KR20127018158 A KR 20127018158A KR 101285524 B1 KR101285524 B1 KR 101285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ayer
lambda
display panel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8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4509A (ko
Inventor
요시후미 마스모토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4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52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과제
외부로부터의 광의 내부 반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게다가, 표시광을 원 편광으로 하여, 편광 기능을 갖는 선글라스를 장착한 사용자가 보았을 때에, 표시광이 어두워지거나 착색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정전 용량식 입력 패널 (40) 은, 투광성의 전극층을 갖는 후기판 (41) 과 전기판 (42) 이 모두 λ/4 위상차 필름으로 구성되고, 절연층 (43) 이 편광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광 (1) 은, 입력 패널 (40) 을 투과하여 원 편광 (2) 이 된다. 이 원 편광 (2) 이, 표시 패널 (30) 의 전면 (30a) 등에서 반사되어도, 그 반사광이 입력 패널 (40) 에 의해 차단된다. 한편, 표시 패널 (30) 로부터의 표시광 (4) 은, 입력 패널 (40) 을 투과함으로써 원 편광 (6) 이 된다. 따라서, 편광 기능을 갖는 선글라스 등을 장착한 사용자가 어느 방향에서 보아도, 표시광이 어두워지는 과제를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력 장치{INPUT DEVICE}
본 발명은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패널이나 액정 표시 패널 등의 표시 패널의 전방에 배치되어, 정전 용량 검지식 등의 입력 패널로 조작 입력을 행할 수 있는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기기 등의 각종 전자 기기의 조작부는, 표시 패널의 표면에 투광성의 입력 패널을 갖는 입력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입력 패널은, 예를 들어 정전 용량 검지식으로서, 서로 교차하는 투광성의 전극을 구비하고, 손가락이 패널 표면에 접촉했을 때에 전극과 손가락 사이에 형성되는 정전 용량을 검지하여, 손가락의 접촉 위치를 특정하는 것이다.
상기 조작부에서는, 외부의 광이 각 층의 경계부에서 반사되어, 표시 패널의 표시 화상에 반사광이 겹쳐 보이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하의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터치 패널은, 액정 표시 소자의 표면에 정전 용량 검지식 터치 패널이 설치되고, 터치 패널의 표면측에 1/4 파장의 위상차판과 편광판이 형성되고, 터치 패널의 표시 패널을 향하는 이면측에 1/4 파장의 위상차판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광은, 표면측의 편광판에 의해 직선 편광으로 변환되고, 표면측의 위상차판을 통과하여 원 편광이 된다. 원 편광이 터치 패널의 내부나 표시 패널의 각 면에서 반사되면, 그 반사광의 위상이 π/2 만큼 시프트한다. 이 반사광이 표면측의 위상차판을 통과하여 되돌아가면, 그 편광 방향이 편광판의 투과축과 직교하는 직선 편광이 되어, 반사광이 외부로 나가지 않게 차단된다.
또, 액정 표시 소자로부터 발해지는 직선 편광의 표시광은, 이면측의 위상차판과 표면측의 위상차판의 쌍방을 투과함으로써, 편광 방향이 편광판의 투과축의 방향과 일치하는 동일 위상의 직선 편광이 되기 때문에, 이 편광판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표시광의 로스가 저감되고 있다.
이하의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투명 터치 스위치는, 터치 스위치의 표면측에 직선 편광판과 λ/4 위상차판이 형성되고, 터치 스위치의 이면측에 λ/4 위상차판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발명은, 특허문헌 1 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의 반사를 차단할 수 있으며, 또한 액정 표시 장치로부터 발해지는 표시광이 직선 편광이 되어 송출된다.
이하의 특허문헌 3 에 기재된 터치 패널은, 투광성의 전극층을 갖는 정전 용량식으로서, 표시 패널에 대향하는 측에 λ/4 위상차판이 형성되고, 표시광이 출사되는 측에 편광판이 형성되어 있다. 또, 표시 패널의 전방에 공기층을 개재하여 터치 패널이 배치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외광이 상기 공기층과 표면 패널의 경계면에서 반사되면, 그 반사광이 λ/4 위상차판과 편광판에 의해 차단된다. 한편, 표시 패널로부터 발해지는 표시광은, λ/4 위상차판과 편광판을 투과하여 직선 편광이 되어 송출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8-262326호 WO2006/126604호 재공표 특허공보 WO2006/028131호 재공표 특허공보
상기 각 특허문헌에 기재된 것은 모두 표시 패널에 대향하는 측에 λ/4 위상차판이 형성되고, 그것보다 전방에 편광판이 형성됨으로써, 패널 내에서 반사된 반사광이나 표시 패널의 표면에서 반사된 반사광이 차단된다. 한편, 표시 패널로부터 발해진 표시광은, 최종적으로 편광판을 투과하기 때문에, 직선 편광의 표시광으로 변환되어 전방으로 송출되게 된다.
그 때문에, 편광 기능을 갖는 선글라스 등을 장착한 사람이 보면, 터치 패널에 형성된 편광판의 투과축과, 선글라스 등의 투과축의 상대 각도가 교차했을 때에, 표시광이 극단적으로 어두워지거나 화면이 착색되어 보이는 경우가 있다.
특히, 표시 패널과 터치 패널이 탑재된 휴대 기기가 옥외에서 사용될 때에, 휴대 기기의 방향을 바꾸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진다. 이 경우에, 사용자가 편광 기능을 갖는 선글라스를 장착하고 있으면, 휴대 기기의 자세에 따라서는 표시 패널의 표시 정보가 매우 보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외광이 내부에서 반사되었을 때에 그 반사광을 차단할 수 있으며, 게다가, 표시광이 직선 편광이 되지 않게 하여, 편광 기능을 갖는 선글라스 등을 장착한 사용자가, 표시 내용을 보기 쉽게 한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 패널을 구성하는 층에 λ/4 위상차 기능과 편광 기능을 겸용시킴으로써, 층의 수를 줄여 박형화하기 쉬운 구조의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투광성의 입력 패널을 포함하고 표시 패널에 대향하는 후면과 표시광이 출사되는 전면을 갖는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면이, 상기 표시 패널의 전방에 공기층을 개재하여 설치되고, 상기 후면과 상기 전면 사이에, 2 개의 λ/4 위상차층 및 2 개의 상기 λ/4 위상차층 사이에 위치하는 편광층을 구비한 광변환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입력 장치는, 입력 패널과 표시 패널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고 점착제층이 개재되어 있지 않은 구조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입력 패널과 표시 패널을 접착시키는 점착제층에 기포가 들어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게다가, 공기층보다 전방에 광변환층을 배치함으로써, 공기층과 표시 패널의 경계면에서 반사된 광을 차단할 수 있어, 경계면으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상태가 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광변환층은, 표시광의 송출측이 λ/4 위상차층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광이 직선 편광이 아니라 원 편광으로 변환되어 출사된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편광 기능을 갖는 선글라스 등을 장착하고 있는 경우에, 입력 장치의 방향을 어떻게 바꾸어도, 표시광이 어두워지거나 착색이 생기는 것과 같은 문제가 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입력 패널은, 그 자체가 상기 광변환층으로서, 투광성의 전극층을 갖는 2 장의 기재 시트와, 상기 양 기재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투광성의 절연층을 갖고 있으며, 2 장의 상기 기재 시트가 상기 λ/4 위상차층이고, 상기 절연층이 편광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투광성의 입력 패널을 구성하는 3 개의 층을, λ/4 위상차층과 편광층으로서 겸용함으로써, 입력 장치의 층수를 줄일 수 있어, 박형화를 실현시키기 쉬워진다.
본 발명은, 상기 입력 패널은 공기층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정전 용량 검지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표시 패널은, 직선 편광 및 원 편광이 아닌 인공광의 표시광을 발하는 것이다.
혹은, 본 발명은, 상기 표시 패널은, 직선 편광의 표시광을 발하는 것으로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광변환층 사이에, 추가로 λ/4 위상차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입력 장치는, 표시 패널과의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해도, 공기층과 표시 패널의 경계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을, 광변환층에서 차단할 수 있어, 반사광에 의한 표시 품질의 저하를 방지하기 쉬워진다.
또, 표시 패널의 표시광은, λ/4 위상차층을 통과하여 원 편광이 되어 송출되기 때문에, 편광 기능을 갖는 선글라스 등을 장착한 사용자가, 휴대 기기 등을 방향을 바꾸어 사용해도, 표시광이 어두워지거나 착색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입력 패널을 구성하는 층을 λ/4 위상차층 및 편광층으로 함으로써, 입력 장치를 구성하는 층의 수를 줄일 수 있어, 박형화하기 쉬워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입력 장치가 탑재된 휴대 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입력 장치 및 표시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입력 장치 및 표시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입력 패널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휴대 기기 (10) 는, 휴대 전화, 휴대용 정보 처리 장치, 휴대용 기억 장치, 휴대용 게임 장치 등으로서 사용된다.
휴대 기기 (10) 는 합성 수지제 케이스 (2) 를 갖고 있다. 케이스 (2) 는 상방이 개방된 오목부 (3) 를 갖고 있으며, 오목부 (3) 의 내부에 전자 회로를 실장한 회로 기판 및 표시 패널 (30) 이 수납되어 있다. 오목부 (3) 의 개구부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입력 장치 (20) 에 의해 가려져 있다. 입력 장치 (20) 는, 표시 패널 (30) 로부터의 표시광이 투과하는 표시 영역 (20a) 과, 표시 영역 (20a) 을 둘러싸는 광이 투과할 수 없는 비표시 영역 (20b) 을 갖고 있다.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표시 패널 (30) 은,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패널 등의 자기 발광형 패널이다. 표시 패널 (30) 로부터 발해지는 표시광은, 직선 편광이나 원 편광 혹은 타원 편광이 아니라 자연광에 가까운 상태의 인공광이다.
표시 패널 (30) 은 표시광이 사출되는 전면 (30a) 을 갖고 있다. 전면 (30a) 에 스페이서 (31) 가 고정되고, 이 스페이서 (31) 의 전방에 입력 장치 (20) 가 고정되어 있다. 입력 장치 (20) 는, 표시 패널 (30) 을 향하는 면이 후면 (20c) 이고, 표시광이 송출되는 면이 전면 (20d) 이다. 스페이서 (31) 는, 입력 장치 (20) 의 표시 영역 (20a) 을 둘러싸는 프레임 형상으로서, 표시 영역 (20a) 에서는, 표시 패널 (30) 의 전면 (30a) 과 입력 장치 (20) 의 후면 (20c) 사이에 얇은 공기층 (32)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 (31) 는, 양면 접착 테이프나 접착제층 혹은 점착제층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 장치 (20) 는 투광성의 입력 패널 (40) 을 갖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투광성이란, 투명 또는 반투명 등 광을 투과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있으며, 전광선 투과율이 50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 패널 (40) 은, 투광성의 후기판 (41) 과 전기판 (42) 및 후기판 (41) 과 전기판 (42) 사이에 끼인 절연층 (43) 을 갖고 있다. 후기판 (41) 의 전면 (41a) 에 제 1 전극층 (44) 이 형성되고, 전기판 (42) 의 전면 (42a) 에 제 2 전극층 (45)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층 (44) 과 제 2 전극층 (45) 은, 각각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의 도전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전극층 (44) 과 제 2 전극층 (45) 은, 절연층 (43) 및 전기판 (42) 을 사이에 두고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기판 (41) 과 전기판 (42) 은 모두 λ/4 위상차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층 (44) 과 제 2 전극층 (45) 은, ITO 등의 투광성의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후기판 (41) 의 전면 (41a) 의 전체면에 ITO 막이 미리 적층되어 있으며, 이 ITO 막을 에칭함으로써 제 1 전극층 (44) 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전기판 (42) 의 전면 (42a) 의 전체면에 ITO 막이 미리 적층되어 있으며, 이 ITO 막을 에칭함으로써 제 2 전극층 (45) 이 형성된다.
또한, 제 1 전극층 (44) 이 후기판 (41) 의 후면 (41b) 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제 2 전극층 (45) 이 전기판 (42) 의 후면 (42b) 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절연층 (43) 은, 편광층인 편광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다. 절연층 (43) 은, 후기판 (41) 과 전기판 (42) 사이에 껴 있으며, 후기판 (41) 과 절연층 (43) 이 아크릴계 등의 투광성의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첩합 (貼合) 되고, 전기판 (42) 과 절연층 (43) 이 아크릴계 등의 투광성의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첩합되어 있다.
입력 패널 (40) 은, 정전 용량 검지식이다. 복수의 제 1 전극층 (44) 에 차례대로 전압이 인가되고, 그것과는 상이한 타이밍에 복수의 제 2 전극층 (45) 에 차례대로 전압이 인가된다. 거의 접지 전위의 도전체인 사람의 손가락이 어느 전극층에 접근하면, 그 전극층과 손가락 사이에 정전 용량이 형성된다. 이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지함으로써, 손가락이 접근한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입력 패널 (40) 은, 후기판 (41) 과 전기판 (42) 이 모두 λ/4 위상차 필름으로 형성되고, 후기판 (41) 을 구성하는 λ/4 위상차 필름의 광학축과, 전기판 (42) 을 구성하는 λ/4 위상차 필름의 광학축이, 거의 90 도의 각도로 교차하고 있다. 절연층 (43) 은 편광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편광 필름의 투과축과, 각각의 상기 λ/4 위상차 필름의 광학축이 거의 45 도의 각도로 교차하고 있다. 따라서, 입력 패널 (40) 은 그 자체가 광변환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 패널 (40) 의 전방에, 아크릴계 등의 투광성의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투광성의 커버층 (21) 이 전체면 접착되어 있다. 커버층 (21) 은, 유리나 PMMA (메타크릴산메틸 수지), PC (폴리카보네이트), COP (고리형 올레핀 코폴리머) 등의 투광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층 (21) 의 후면 또는 전면에 가식 (加飾) 층이 형성되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표시 영역 (20b) 에서 광이 투과하지 않게 착색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 패널 (40) 의 후면에, 반사 방지막 (22)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반사 방지막 (22) 의 표면이, 입력 장치 (20) 의 후면 (20c) 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휴대 기기 (10) 는, 표시 패널 (30) 에서 표시되는 표시광이, 입력 장치 (20) 의 표시 영역 (20a) 을 투과하여 전방으로 송출되는, 사용자가, 표시 영역 (20a) 에 비추어지는 표시 화상을 보면서, 입력 장치 (20) 의 전면 (20d) 에 손가락을 대면, 입력 패널 (40) 에 의해 손가락의 접촉 위치가 검지된다. 제어부에서는, 표시 화상의 내용과, 손가락의 접촉 위치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조작 내용을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2 의 우측에는, 외부로부터 입력 장치 (20) 의 표시 영역 (20a) 으로 들어오는 외광 (1) 의 투과 경로를 (A) 로 나타내고, 표시 패널 (30) 로부터 발해지는 표시광 (4) 의 투과 경로를 (B) 로 나타내고 있다.
도 2 에 있어서 (A) 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커버층 (21) 을 투과한 자연광인 외광 (1) 은 광변환층인 입력 패널 (40) 을 투과한다. 외광 (1) 이 입력 패널 (40) 의 절연층 (43) 을 투과하면, 편광층인 절연층 (43) 에 의해 직선 편광으로 변환되고, 또한 λ/4 위상차 필름으로 형성된 후기판 (41) 을 투과함으로써 원 편광 (2) 이 된다. 원 편광 (2) 이, 공기층 (32) 과 표시 패널 (30) 의 전면 (30a) 의 경계면에서 반사되면, 반대 방향의 원 편광 (3) 이 되어 되돌아간다. 이 원 편광 (3) 이 λ/4 위상차 필름으로 형성된 후기판 (41) 을 다시 투과함으로써 직선 편광이 되지만, 이 직선 편광의 광축은, 절연층 (43) 을 구성하고 있는 편광 필름의 투과축과 90 도 상이하기 때문에, 반사광이 절연층 (43) 에서 흡수되어 외부로 되돌아가지 않고 차단된다.
상기 외광 (1) 으로부터 입력 패널 (40) 을 투과하여 변환된 원 편광 (2) 의 일부는, 표시 패널 (30) 의 내부에 들어가, 표시 패널 (30) 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층에서 반사되지만, 이 반사광도 반대 방향의 원 편광 (3) 이 되어 되돌아가기 때문에, 광변환층인 입력 패널 (40) 의 절연층 (43) 에 의해 차단된다.
도 2 에 있어서 (B)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패널 등의 자기 발광형 표시 패널 (30) 로부터 발해진 표시광 (4) 은, 자연광에 가까운 인공광이다. 표시광 (4) 은, 반사 방지층 (22) 에 의해 반사가 방지되고, 그 대부분이 입력 패널 (40) 에 부여된다. 표시광 (4) 이, 입력 패널 (40) 의 절연층 (43) 인 편광 필름을 투과함으로써 직선 편광 (5) 이 되고, λ/4 위상차 필름으로 형성된 전기판 (42) 을 투과함으로써 원 편광 (6) 이 된다. 즉, 표시 패널 (30) 로부터의 표시광은, 원 편광 (6) 이 되어 커버층 (21) 을 투과하여 전방으로 나온다.
따라서, 사용자가 편광 기능을 갖는 선글라스 등을 장착하고 있어도, 원 편광의 표시광이기 때문에, 휴대 기기 (10) 를 어떠한 방향에서 사용해도, 선글라스를 투과하는 표시광이 어두워지거나 착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기판 (41) 과 전기판 (42) 및 절연층 (43) 이 적층된 입력 패널 (40) 에 의해, 2 개의 λ/4 위상차층과 1 개의 편광층을 조합한 광변환층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 패널과 광변환층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 입력 장치 (20) 의 층수를 줄여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각 층이 적층되어 형성된 입력 장치 (20) 를 표시 패널 (30) 의 앞부분에 설치할 때에, 전체면 접착이 아니라 스페이서 (31) 를 형성하여 공기층 (32) 을 개재시키고 있다. 그리고, 공기층 (32) 과 표시 패널 (30) 의 경계면인 전면 (30a) 에서의 반사광을 광변환층인 입력 패널 (40) 에 의해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기층 (32) 이 개재하여 발생하는 과제를 해소하고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 (30) 과 입력 장치 (20) 를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전체면 접착할 필요가 없어져, 점착제층에 기포가 개재하여 불량품이 많아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휴대 기기 (110) 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휴대 기기 (110) 에 사용되고 있는 표시 패널 (130) 은,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있다. 이 표시 패널 (130) 의 전측에 스페이서 (31) 를 개재하여, 도 2 와 동일 구조의 입력 장치 (20) 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 영역 (20a) 에서는, 표시 패널 (130) 과 입력 장치 (20) 사이에 공기층 (32) 이 형성되어 있다.
표시 패널 (130) 은, LED 나 램프로부터의 광을 액정 표시 패널의 배후로부터 부여하는 백라이트부를 갖고 있다.
액정 표시 패널은, 액정 재료층을 사이에 두고 투명 전극이 대향하고 있음과 함께, 액정 재료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배향층과 편광층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백라이트부로부터 부여되어 액정 표시 패널을 투과한 표시광은 직선 편광이다. 그 때문에, 표시 패널 (130) 의 표시광의 송출측인 전면에 제 3 λ/4 위상차 필름 (131) 이 형성되어 있다. 입력 패널 (40) 의 후기판 (41) 을 구성하고 있는 λ/4 위상차 필름과 제 3 λ/4 위상차 필름 (131) 은, 광학축이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액정 표시 패널의 표시광을 송출하는 측에 형성된 편광층과, 입력 패널 (40) 의 절연층 (43) 을 구성하고 있는 편광 필름은, 광의 투과축의 방향이 서로 일치하고 있다.
도 3 에 있어서, (A) 는 외광 (1) 이 입사되었을 때의 광의 경로를 나타내고, (B) 는 표시 패널 (130) 로부터 송출되는 표시광 (7) 의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의 (A)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광 (1) 이 입사되었을 때에, 제 3 λ/4 위상차 필름 (131) 의 전면 (131a) 으로부터의 반사광이나, 액정 표시 패널의 전극층으로부터의 반사광이, 입력 패널 (40) 로 구성되는 광변환층에서 차단된다. 이것은, 도 2 의 실시형태와 완전히 동일하다.
도 3 의 (B) 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 (130) 내의 백라이트부로부터 발해진 광은 액정 표시 패널을 투과하지만, 액정 표시 패널의 광의 출사부에 편광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직선 편광의 표시광 (7) 으로서 송출된다. 직선 편광의 표시광 (7) 은 제 3 λ/4 위상차 필름 (131) 을 통과함으로써 원 편광 (8) 이 된다. 또한, 입력 패널 (40) 의 후기판 (41) 을 구성하고 있는 λ/4 위상차 필름을 통과하여 직선 편광 (9) 으로 되돌아간다. 액정 표시 패널의 송출측의 편광층과 입력 패널 (40) 의 절연층 (43) 을 구성하고 있는 편광 필름은, 투과축의 방향이 동일하기 때문에, 직선 편광 (9) 이 절연층 (43) 에 의해 차단되는 일이 없이, 입력 패널 (40) 의 전기판 (42) 을 구성하고 있는 λ/4 위상차 필름을 투과한다. 그리고, 전기판 (42) 을 투과함으로써 원 편광 (10) 이 되어, 커버층 (21) 을 투과한다.
이상과 같이, 도 3 에 나타내는 휴대 기기 (110) 도, 표시광이 원 편광으로서 송출되기 때문에, 편광 기능을 갖는 선글라스를 장착한 사용자가, 휴대 기기 (110) 의 방향을 빈번하게 바꾸어 사용해도, 표시광이 어두워지거나 착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 : 케이스
10 : 휴대 기기
20 : 입력 장치
21 : 커버층
22 : 반사 방지층
30 : 표시 패널
31 : 스페이서
32 : 공기층
40 : 입력 패널 (광변환층)
41 : 후기판 (λ/4 위상차 필름)
42 : 전기판 (λ/4 위상차 필름)
43 : 절연층 (편광 필름)
44 : 제 1 전극층
45 : 제 2 전극층
110 : 휴대 기기
130 : 표시 패널
131 : 제 3 λ/4 위상차 필름

Claims (17)

  1. 투광성의 입력 패널을 포함하고 표시 패널에 대향하는 후면과 표시광이 출사되는 전면을 갖는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면이, 상기 표시 패널의 전방에 공기층을 개재하여 설치되고, 상기 후면과 상기 전면 사이에, 2 개의 λ/4 위상차층 및 2 개의 상기 λ/4 위상차층 사이에 위치하는 편광층을 구비한 광변환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2 개의 상기 λ/4 위상차층의 광학축이 서로 90 도의 각도를 이루고, 상기 편광층의 투과축과, 각각의 상기 λ/4 위상차층의 광학축이 45 도의 각도를 이루는 입력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패널은, 그 자체가 상기 광변환층으로서, 투광성의 전극층을 갖는 2 장의 기재 시트와, 상기 양 기재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투광성의 절연층을 갖고 있으며, 2 장의 상기 기재 시트가 상기 λ/4 위상차층이고, 상기 절연층이 편광층인 입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패널은 공기층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정전 용량 검지식인 입력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패널의 후면에 반사 방지층이 형성되어 있는 입력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직선 편광 및 원 편광이 아닌 인공광의 표시광을 발하는 것인 입력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직선 편광 및 원 편광이 아닌 인공광의 표시광을 발하는 것인 입력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패널인 입력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패널인 입력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직선 편광의 표시광을 발하는 것으로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광변환층 사이에, 추가로 제 3 λ/4 위상차층이 형성되어 있는 입력 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직선 편광의 표시광을 발하는 것으로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광변환층 사이에, 추가로 제 3 λ/4 위상차층이 형성되어 있는 입력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 표시 패널인 입력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 표시 패널인 입력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2 개의 상기 λ/4 위상차층 중 후방에 형성된 상기 λ/4 위상차층과, 상기 제 3 λ/4 위상차층의 광학축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인 입력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2 개의 상기 λ/4 위상차층 중 후방에 형성된 상기 λ/4 위상차층과, 상기 제 3 λ/4 위상차층의 광학축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인 입력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2 개의 상기 λ/4 위상차층 중 후방에 형성된 상기 λ/4 위상차층과, 상기 제 3 λ/4 위상차층의 광학축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인 입력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2 개의 상기 λ/4 위상차층 중 후방에 형성된 상기 λ/4 위상차층과, 상기 제 3 λ/4 위상차층의 광학축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인 입력 장치.
KR1020127018158A 2010-07-07 2011-07-06 입력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285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54501 2010-07-07
JPJP-P-2010-154501 2010-07-07
PCT/JP2011/065510 WO2012005306A1 (ja) 2010-07-07 2011-07-06 入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509A KR20120094509A (ko) 2012-08-24
KR101285524B1 true KR101285524B1 (ko) 2013-07-17

Family

ID=45441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8158A Expired - Fee Related KR101285524B1 (ko) 2010-07-07 2011-07-06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63523B2 (ko)
KR (1) KR101285524B1 (ko)
CN (2) CN102834796B (ko)
WO (1) WO20120053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806B1 (ko) * 2012-01-30 2014-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6127251B2 (ja) * 2012-09-24 2017-05-17 グンゼ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JP2014073642A (ja) * 2012-10-05 2014-04-24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透明導電性ガラス基板、及びタッチパネル
JP6192293B2 (ja) * 2012-12-28 2017-09-06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カバーガラス一体型タッチセンサ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積層用シート
US20160062509A1 (en) * 2013-04-10 2016-03-03 Zeon Corporation Display device with capacitive touch panel
JP6354751B2 (ja) * 2013-04-10 2018-07-11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2016177405A (ja) * 2015-03-19 2016-10-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JP6453746B2 (ja) * 2015-12-02 2019-01-16 日東電工株式会社 長尺状の光学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6502462B (zh) * 2016-10-26 2019-03-08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触控显示装置
CN106933419A (zh) * 2017-03-14 2017-07-07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屏以及触控模组
KR102395098B1 (ko) * 2017-06-30 2022-05-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7390435A (zh) * 2017-08-24 2017-11-24 江苏金坛长荡湖新能源科技有限公司 车载触控显示屏
KR20220039951A (ko) * 2020-09-22 2022-03-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6143A (ja) 2001-07-25 2003-02-07 Sumitomo Chem Co Ltd インナータッチパネル
JP2007086959A (ja) 2005-09-21 2007-04-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4392B2 (ja) * 1996-11-11 2006-12-06 同和鉱業株式会社 光学的フィルター
JP4486715B2 (ja) * 1999-03-01 2010-06-23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低反射タッチパネル付き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1117720A (ja) * 1999-10-21 2001-04-27 Daicel Chem Ind Ltd 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3937945B2 (ja) * 2002-07-04 2007-06-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6350873A (ja) * 2005-06-17 2006-12-28 Sony Corp 表示装置
JP2008204321A (ja) * 2007-02-22 2008-09-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入力装置
CN101285958A (zh) * 2007-04-11 2008-10-15 日东电工株式会社 层压光学膜及其生产方法
JP5027086B2 (ja) * 2008-09-25 2012-09-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入力装置および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6143A (ja) 2001-07-25 2003-02-07 Sumitomo Chem Co Ltd インナータッチパネル
JP2007086959A (ja) 2005-09-21 2007-04-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66157B (zh) 2018-05-01
CN102834796A (zh) 2012-12-19
CN104866157A (zh) 2015-08-26
CN102834796B (zh) 2016-04-27
WO2012005306A1 (ja) 2012-01-12
KR20120094509A (ko) 2012-08-24
JPWO2012005306A1 (ja) 2013-09-05
JP4963523B2 (ja)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524B1 (ko) 입력 장치
KR101352117B1 (ko) 터치 패널을 갖는 표시 장치 및 이의 터치 감지 방법
US8659561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optical sensing frame and method of sensing touch
US8228306B2 (en) Integration design for capacitive touch panels and liquid crystal displays
US10409337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prism sheet between a window member and a proximity sensor
US9429988B2 (en) Touch screen panel
US20080266273A1 (en) Interactive display system
JP5335901B2 (ja) 表示装置
US20120268914A1 (en) Input device
US8350829B2 (en) Input pen for touch-panel and touch-panel input system
EP3232257B1 (en) Multi-sided display device
US11335740B2 (en) Display assembly,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display assembly
US7268311B2 (en) Touch panel
WO2011105221A1 (ja) 操作装置
AU2011221666B2 (en) Touch screen module structure
CN102662527A (zh) 触控感测显示装置
KR20010096633A (ko) 도광판 일체형 터치 패널 및 그 적층방법
TW201222070A (en) Touch screen display apparatus and cover lens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US20150220190A1 (en) Display apparatus
WO2011158692A1 (ja) 入力装置
KR20110044439A (ko)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119985A (ko)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7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7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