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83986B1 - 잉곳성장장치의 멜트 레벨 측정용 기준점 제공장치 - Google Patents

잉곳성장장치의 멜트 레벨 측정용 기준점 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986B1
KR101283986B1 KR1020090116395A KR20090116395A KR101283986B1 KR 101283986 B1 KR101283986 B1 KR 101283986B1 KR 1020090116395 A KR1020090116395 A KR 1020090116395A KR 20090116395 A KR20090116395 A KR 20090116395A KR 101283986 B1 KR101283986 B1 KR 101283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
chamber
crucible
ingot
lev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9942A (ko
Inventor
박진섭
Original Assignee
(주)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090116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986B1/ko
Publication of KR20110059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98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15/00Single-crystal growth by pulling from a melt, e.g. Czochralski method
    • C30B15/20Controlling or regulating
    • C30B15/22Stabilisation or shape controlling of the molten zone near the pulled crystal; Controlling the section of the crystal
    • C30B15/26Stabilisation or shape controlling of the molten zone near the pulled crystal; Controlling the section of the crystal using television detectors; using photo or X-ray det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15/00Single-crystal growth by pulling from a melt, e.g. Czochralski method
    • C30B15/10Crucibles or containers for supporting the melt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15/00Single-crystal growth by pulling from a melt, e.g. Czochralski method
    • C30B15/14Heating of the melt or the crystallise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15/00Single-crystal growth by pulling from a melt, e.g. Czochralski method
    • C30B15/20Controlling or regulating
    • C30B15/206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hermal history of growing the ingot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35/00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pecially adapted for the growth, production or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CD 카메라를 이용한 잉곳성장장치의 멜트 레벨 측정용 기준점 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CCD 카메라 촬상영역(A)에 기준부재(14)를 설치하여 CCD 카메라(15)를 이용하여 멜트 레벨(Melt Level)을 측정할 때 기준점(기준포인터)으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멜트(5) 표면(3a)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어서 도가니 구동수단(18)의 제어 및 멜트(5)의 레벨 제어가 안정화되며, 멜트(5) 온도 또한 안정화되어 잉곳(13)의 품질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기준부재(14)는 소형으로 설치되어 잉곳(13)의 성장이나 다른 공정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아니할 뿐 아니라, 수냉실(또는 수냉관)의 하단부 또는 수냉실이 구비된 제2 챔버(6)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냉각되므로 열변형이 방지되고 사용 수명이 향상된다.
잉곳성장장치, 멜트 레벨, 측정, CCD 카메라, 기준점, 기준부재, 석영, 잉곳

Description

잉곳성장장치의 멜트 레벨 측정용 기준점 제공장치{CONTROL POINT PROFFER DEVICE FOR MELT LEVEL MEASURING OF INGOT GROWING APPARATUS}
본 발명은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멜트 레벨(Melt Level)을 측정할 때, 기준부재에 의해 기준점(기준 포인터)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멜트 레벨 제어의 불안정성과 잉곳(Ingot)의 품질불량이 해소되는 잉곳성장장치의 멜트 레벨 측정용 기준점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결정 잉곳(Ingot)은 초크랄스키(Czochralski) 결정 성장법(CZ 법)으로 제조되며, 핫죤 영역에 설치되는 도가니에 폴리 실리콘 등의 고체 원료를 충전하고 전열히터로 가열 및 용융시켜 융액(Melt)을 만든 다음, 단결정 시드(seed)를 시드 커넥터에 매달아 융액에 접촉시킨 후 서서히 회전 및 인상시키면, 네크부(neck part), 직경이 증가하는 숄더부(shoulder part), 직경이 일정한 원기둥 형태의 바디부(body part)의 순서로 인상되고, 마지막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테일부(tail part)를 끝으로 단결정 잉곳이 얻어진다.
상기 잉곳성장장치(또는 잉곳생산장치)는 냉각수단이 구비된 베이스챔버(메인챔버)와, 베이스챔버 내부에 설치되고 폴리 실리콘(Hot Melt)을 용융시키는 석영도가니와, 석영도가니를 지지하는 흑연도가니와, 석영도가니와 흑연도가니를 지지하는 페데스탈과, 상기 도가니를 가열하는 전열히터와, 상기 전열히터로 대전력(大電力)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도가니 및 페데스탈을 지지ㆍ회전ㆍ상승ㆍ하강시키는 구동축 및 구동수단과, 메인챔버(Main Chamber) 상부에 설치되는 돔챔버(Dome Chamber)와, 상기 돔챔버에 설치되는 게이트밸브 및 뷰포트와, 돔챔버 상부에 설치되는 풀챔버(Pull Chamber)와, 상기 풀챔버에 설치되는 잉곳(Ingot) 인상케이블 및 인상수단(Seed Mechanism)과, 진공수단, 냉각수단, 감지수단, 제어수단 및 계측수단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잉곳(Ingot)이 성장함에 따라 도가니의 멜트(Melt)가 점차적으로 소모되면서 멜트 레벨(액위)이 낮아질 뿐 아니라, 잉곳 성장 속도에 맞쳐 케이블을 인상시키는 방법으로 시드(Seed)를 상승시키고 있으며, 시드의 상승 속도에 비례하여 도가니를 상승시키게되나, 비례 상승속도가 80% 수준으로 오차가 심할 뿐 아니라, 시간과 온도에 따라 도가니가 변형되면서 멜트 레벨(Melt Level) 또한 달라지게 되므로 측정수단을 이용하여 멜트 레벨의 변동 추이를 측정하면서 도가니 구동수단으로 도가니를 상승시켜 멜트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
멜트 레벨 측정방법 중에는 멜트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챔버 상부에 위치하는 뷰포트(View Port) 외부에 CCD 카메라를 설치하여 챔버 내부의 멜트(Melt)를 촬상한 후 화상 처리과정을 거쳐 멜트 레벨의 변동 여부를 비교 판단한 다음 멜트 레벨에 변동이 있는 경우 도가니 구동수단으로 도가니를 상승시켜 멜트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있으나, CCD 카메라로 멜트(Melt)를 촬영할 때 기준점없이 멜트 표면만 촬영하는 방법으로 측정하고 있어서 그 오차가 심한 편이다.
따라서 멜트 레벨의 정밀 측정 및 도가니 구동수단을 이용한 멜트의 레벨 제어가 어려워 멜트 온도 안정화에 크게 기여하지 못할 뿐 아니라, 성장 잉곳(Ingot)의 품질이 저하되고 불량율도 높아 생산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촬상영역에 기준(基準)부재를 설치하여 기준점(基準点)으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CCD 카메라로 멜트 레벨(Melt Level)을 측정할 때 멜트의 레벨 변위를 비교 측정할 수 있어서 잉곳(Ingot)의 품질불량과 멜트 레벨 제어의 불안정성이 해소되는 멜트 레벨 측정용 기준점 제공장치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잉곳성장장치의 멜트(Melt) 상부에 위치하는 챔버(수냉실이 구비 된 챔버) 하단부에 기준부재를 설치하여 CCD 카메라로 멜트 레벨(Melt Level)을 측정할 때 측정 기준점으로 제공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멜트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잉곳의 품질불량과 레벨 제어의 불안정이 해소된다.
상기 기준부재는 소정길이로 하향 돌출되는 석영이 바람직하며, CCD 카메라의 촬상영역에 설치되어 망점형의 기준포인터 또는 소정길이의 기준포인터가 제공되어 멜트의 레벨 변위를 비교 측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기준부재는 잉곳의 성장을 방해하거나 간섭하지 않는 공간에 별도로 설치하거나, 또는 수냉실이 구비된 제2 챔버 하단부에 돌출되게 설치하여 CCD 카메라로 촬상할 수 있는 위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멜트 레벨(Melt Level)을 측정할 때 CCD 카메라(15) 촬상영역에 설치되는 기준부재(14)에 의해 촬상 기준포인터가 제공되므로 잉곳성장장치의 멜트 표면(3a)의 변위를 비교 측정할 수 있어서 도가니 구동수단(18)의 제어가 안정화되고 멜트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멜트(5) 온도가 안정화되고 잉곳(13)의 품질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준부재(14)는 수냉실 또는 수냉관이 구비된 제2 챔버(6) 하단부 등에 설치되어 냉각되므로 열변형등이 방지되어 사용 수명이 크게 향상되며, 소형으로 설치되어 잉곳(13) 성장이나 다른 공정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등 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잉곳성장장치의 멜트 레벨 측정용 기준점 제공장치(1)의 구성도로, CCD 카메라(15)를 이용하여 멜트 레벨(Melt Level)을 측정할 때 기준점(기준포인터)으로 제공되는 기준부재(14)가 고정 설치되어 잉곳성장장치의 멜트(5)의 레벨 변위를 비교 측정할 수 있게 구성되며, 이에 따라 도가니 구동수단(18)의 제어 및 멜트 레벨의 제어가 안정화되며, 멜트(5) 온도가 안정화되고 잉곳(13)의 품질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초크랄스키(Czochralski) 결정 성장법(CZ 법)에 의한 잉곳성장장치의 구조를 살펴보면, 수냉실(도시안됨)이 구비되는 제1 챔버(메인챔버)(2) 내부에 고온의 멜트(5) 용용액이 수용되는 도가니(3)가 설치되고, 도가니(3) 하부에 페데스탈(16)과 구동축(17) 및 도가니 구동수단(18)이 차례로 설치되고, 도가니(3) 바깥에는 전열히터(4)가 빙둘러 설치되고, 핫죤(HZ) 상부에는 멜 트(5)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게 차열부재(8)가 위치하며, 상기 차열부재(8)는 지지부재(9)에 고정된다.
도가니(3) 상부에는 수냉실이 구비된 제2 챔버(6)가 설치되며, 제2 챔버(6)의 공간부(12)에는 성장중인 잉곳(13)을 적정 속도로 인상시킬 수 있는 시드(11)와 시드척 및 인상케이블(10)이 설치되며, 제1 챔버(2)의 상부에는 제1 챔버(2)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하나 이상 복수의 뷰포트(View Port)(7)가 설치되며,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뷰포터(7)를 통하여 도가니(3) 내부의 멜트(5)를 촬영하는 방법으로 멜트의 표면(3a)을 촬영하여 측정하는 CCD 카메라(15)가 뷰포터(7) 외부에 근접 설치된다.
즉, 상기 기준부재(14)는 잉곳(13)의 성장을 방해하거나 간섭하지 않는 공간, 또는 잉곳성장장치의 멜트(Melt)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챔버(수냉실이 구비된 챔버)(6)의 하단부, 이를테면 촬상영역(A) 또는 촬상 시작영역에 하향 돌출형으로 설치되어 CCD 카메라(15)로 멜트 레벨(Melt Level)을 측정할 때 측정 기준점으로 제공된다.
상기 기준부재(14)는 CCD 카메라(15)로 멜트(5)를 촬영할 때 망점형의 기준포인터 또는 소정길이의 기준포인터가 제공되어 멜트(5)의 레벨 변위 정도를 비교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CCD 카메라(15)가 뷰포트(7)를 통하여 도가니(3) 내부의 멜트(5) 표면(3a)을 촬영할 때 기준점인 기준부재(14)가 망점 형태로 함께 촬영되며, 화상 처리시 기준점으로 제공되어 멜트 레벨의 변위(변동) 여부가 비교 판단되며, 멜트 레벨에 변동이 있는 경우 CCD 카메라(15)에 접속되는 제어기에 의해 도가니 구동수단(18)이 동작하여 도가니(3)를 상승시켜 멜트(5)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멜트(5)의 레벨 제어가 안정화되며, 멜트(5) 온도 또한 안정화되어 잉곳(13)의 품질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 기준부재(14)는 소형으로 설치되어 잉곳 성장이나 다른 공정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아니할 뿐 아니라, 수냉실(또는 수냉관)하단부 또는 수냉실이 구비된 제2 챔버(6) 하단부에 돌출형으로 설치되더라도 냉각에 의해 열변형이 방지되므로 사용 수명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서 기준부재(14)는 석영(Quartz)일 수 있으며, 상기 석영(Quartz)은 주위의 환경, 이를테면 핫죤(Hot Zone)의 고온 환경하에서도 화학조성과 형태가 유지되는 고온형(β)석영(육방정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2 챔버(6)의 하단부와 차열부재(8) 및/또는 지지부재(9)에 의해 뷰포트(7)로 내부를 관망할 수 있는 영역이 제한되며, 따라서 CCD 카메라(15)로 촬영할 수 있는 영역은 (B1)와 (B2) 사이가 되며, 상기 (B1)(B2)는 CCD 카메라(15)로 촬영할 수 있는 멜트 표면을 표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본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도 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기준부재 설치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잉곳성장장치의 멜트 레벨 측정용 기준점 제공장치
(2)--제1 챔버 (3)--도가니
(3a)--멜트 표면 (4)--전열히터
(5)--멜트(Melt) (6)--제2 챔버
(7)--뷰포트 (8)--차열부재
(9)--지지부재 (10)--인상케이블
(11)--시드 (12)--공간부
(13)--잉곳 (14)--기준부재
(15)--CCD 카메라 (16)--페데스탈
(17)--구동축 (18)--도가니 구동수단
(A)--촬상영역 (HZ)--핫죤

Claims (2)

  1. 수냉실이 구비되는 제1 챔버(2) 내부에 고온의 멜트(5) 용용액이 수용되는 도가니(3)가 설치되고, 상기 도가니(3) 하부에 페데스탈(16)과 구동축(17) 및 도가니 구동수단(18)이 차례로 설치되고, 상기 도가니(3) 바깥에 전열히터(4)가 빙둘러 설치되고, 핫죤(HZ) 상부에 멜트(5)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게 차열부재(8)가 위치하고, 상기 도가니(3) 상부에 수냉실이 구비된 제2 챔버(6)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챔버(6)의 공간부(12)에 성장중인 잉곳(13)을 인상시킬 수 있는 시드(11)와 시드척 및 인상케이블(10)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챔버(2)의 상부에 제1 챔버(2)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뷰포트(7)가 설치되고, 차열부재(8) 하단에 멜트 레벨 측정용 기준부재가 설치된 잉곳성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열부재(8) 대신 수냉실이 구비된 제2 챔버(6)의 하단부에 하향 돌출형의 고온형 석영 기준부재(14)를 설치하여 망점 형태의 기준포인터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CCD 카메라(15)가 뷰포터(7)를 통하여 도가니(3) 내부의 멜트(5) 표면(3a)을 촬영할 때 상기 기준부재(14)가 망점 형태로 함께 촬영되어 멜트(5)의 레벨 변위를 비교 측정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잉곳성장장치의 멜트 레벨 측정용 기준점 제공장치.
  2. 삭제
KR1020090116395A 2009-11-30 2009-11-30 잉곳성장장치의 멜트 레벨 측정용 기준점 제공장치 Active KR101283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395A KR101283986B1 (ko) 2009-11-30 2009-11-30 잉곳성장장치의 멜트 레벨 측정용 기준점 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395A KR101283986B1 (ko) 2009-11-30 2009-11-30 잉곳성장장치의 멜트 레벨 측정용 기준점 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942A KR20110059942A (ko) 2011-06-08
KR101283986B1 true KR101283986B1 (ko) 2013-07-09

Family

ID=44394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395A Active KR101283986B1 (ko) 2009-11-30 2009-11-30 잉곳성장장치의 멜트 레벨 측정용 기준점 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9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850B1 (ko) 2018-11-28 2020-03-30 (주)에스테크 실리콘 단결정 성장시스템의 멜트갭 자동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775B1 (ko) * 2013-01-30 2019-06-25 에스케이실트론 주식회사 단결정 잉곳 성장 장치
KR101456607B1 (ko) * 2013-02-26 2014-11-03 (주)에스테크 잉곳 원료 연속공급장치 및 그 연속공급방법
KR101528060B1 (ko) * 2013-12-03 2015-06-10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안티 디포지션 뷰 포트 및 이를 포함하는 잉곳성장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0906A (ja) * 2006-04-25 2007-11-08 Shin Etsu Handotai Co Ltd 基準反射体と融液面との距離の測定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融液面位置の制御方法、並びにシリコン単結晶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0906A (ja) * 2006-04-25 2007-11-08 Shin Etsu Handotai Co Ltd 基準反射体と融液面との距離の測定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融液面位置の制御方法、並びにシリコン単結晶の製造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850B1 (ko) 2018-11-28 2020-03-30 (주)에스테크 실리콘 단결정 성장시스템의 멜트갭 자동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942A (ko)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96144B (zh) 单晶硅的制造方法及装置
JP4929817B2 (ja) 基準反射体と融液面との距離の測定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融液面位置の制御方法、並びにシリコン単結晶の製造装置
KR101283986B1 (ko) 잉곳성장장치의 멜트 레벨 측정용 기준점 제공장치
JP4930487B2 (ja) 融液面と炉内構造物の下端部との距離の測定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融液面位置の制御方法、並びに単結晶の製造方法及び単結晶製造装置
TW202302929A (zh) 一種用於拉晶爐的熱場控制裝置及拉晶爐
JP3704710B2 (ja) 種結晶着液温度の設定方法及びシリコン単結晶の製造装置
CN112813492A (zh) 一种用于晶体生长的液面检测装置及晶体生长装置
CN216304033U (zh) 监控单晶炉中硅熔液的液面的状态及坩埚的状态的系统
JP5404264B2 (ja) 単結晶シリコンの製造方法及び単結晶シリコンの製造装置
JP4035924B2 (ja) 単結晶直径の制御方法及び結晶成長装置
JP4360163B2 (ja) 単結晶の製造装置及び単結晶の製造方法
JP2019214486A (ja) 融液面と種結晶の間隔測定方法、種結晶の予熱方法、及び単結晶の製造方法
KR101155413B1 (ko) 잉곳성장장치의 잉곳 무게 측정장치
CN114761626B (zh) 单晶制造系统及单晶制造方法
KR101137936B1 (ko) 잉곳성장장치의 멜트 온도 측정방법 및 그 측정장치
KR20240041348A (ko) 단결정의 제조 방법 및 단결정 제조 장치
JP2011032136A (ja) 液面高さレベル把握方法
KR102783938B1 (ko) 실리콘 단결정의 제조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실리콘 웨이퍼의 제조 방법
JP2003055084A (ja) 単結晶引き上げ装置および単結晶引き上げ方法
KR100415172B1 (ko) 실리콘 단결정 잉곳 성장 장치
KR20200097059A (ko) 단결정 잉곳 성장장치
TWI875086B (zh) 晶體製備裝置及晶體製備方法
CN214361839U (zh) 一种石英销及单晶硅生长装置
JP2017193469A (ja) アフターヒータ及びサファイア単結晶製造装置
JPH10167880A (ja) 単結晶成長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9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3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10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9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4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10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302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10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9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4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10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