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83016B1 - 거치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거치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016B1
KR101283016B1 KR1020130055836A KR20130055836A KR101283016B1 KR 101283016 B1 KR101283016 B1 KR 101283016B1 KR 1020130055836 A KR1020130055836 A KR 1020130055836A KR 20130055836 A KR20130055836 A KR 20130055836A KR 101283016 B1 KR101283016 B1 KR 101283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ending
point
cross
s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5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일
Original Assignee
홍정일
주식회사 씨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정일, 주식회사 씨에스텍 filed Critical 홍정일
Priority to KR1020130055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0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01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6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in press brakes or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Pliers with form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10Bending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specific articles, e.g.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5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specially adapted for multi-stag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치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판 형상의 금속재를 조관하여 단면이 원형이면서 직선방향으로 형성된 조관파이프를 제작하는 파이프제작단계와, 1차밴딩단계와, 2차밴딩단계와, 3차밴딩단계와, 상기 3차밴딩단계 이후, 상기 조관파이프에 형성된 1, 2, 3밴딩지점과 1, 2, 3, 4직선지점을 프레스에 위치시킨 후, 상기 프레스를 작동시켜 1, 2, 3밴딩지점과 1, 2, 3, 4직선지점의 단면을 각 지점마다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하는 지점별단면변형단계와, 상기 단면변형단계 이후, 조관파이프의 표면을 연삭, 도장, 도금의 표면가공을 수행하는 표면공정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다양한 방향으로 밴딩하면서 각각의 임의의 지점의 단면을 타원형이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거치대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지점의 단면을 개별적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형상의 거치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조관파이프에 형성된 각각의 밴딩지점의 단면을 변형하면서 동시에 밴딩하여도, 조관파이프의 밴딩되는 부분이 찌그러지지 않고 일정한 두께를 가지게 되어 거치대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며, 단면이 변형되면서 발생되는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거치대의 제조방법{A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stands}
본 발명은 거치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임의의 지점마다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거치대를 제작할 때, 단면이 원형인 조관파이프를 먼저 제작한 후, 밴딩하고자 하는 부분대로 한 지점씩 순서대로 밴딩장치를 통해 밴딩하면서 프레스장치를 이용하여 한 지점씩 또는 한번에 단면을 다양한 형상으로 용이하게 제작함으로써, 하나의 조관파이프에 일부분마다 단면이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거치대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거치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방향으로 밴딩되어 사용되고 있는 거치대는 특허공개번호 제10-2001-0105699호와 같이 단면이 원형인 조관파이프를 제작한 후, 상기 조관파이프를 다양한 방향으로 밴딩하여 단면이 원형이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밴딩된 거치대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한편, 사용자에게 다양한 선택권을 제공하기 위해 거치대의 단면을 원형이 아닌 타원형이나 다각형으로 제작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조관파이프의 단면을 타원형이나 다각형의 형상을 이루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조관파이프를 밴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관파이프의 단면 형상의 변형과 밴딩으로 인하여 조관파이프가 밴딩되는 부분의 복원력이 낮아지게 되어 조관파이프의 단면이 찌그러지게 되면서 거치대의 형상이 제대로 유지되지 못함은 물론, 밴딩되는 조관파이프 부분의 내측과 외측의 두께가 달라지게 되어, 거치대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거치대의 제조방법은 판 형상의 금속재를 조관하여 단면이 원형이면서 직선방향으로 형성된 조관파이프를 제작하는 파이프제작단계와, 상기 조관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된 임의의 1밴딩지점을 지정하고, 상기 1밴딩지점을 밴딩장치를 통해 수평방향의 1경사각으로 밴딩하는 1차밴딩단계와, 상기 조관파이프의 1밴딩지점과 인접한 임의의 지점을 2밴딩지점으로 지정하고, 상기 2밴딩지점을 밴딩장치를 통해 3차원 방향의 대각선의 2경사각으로 밴딩하는 2차밴딩단계와, 상기 조관파이프의 2밴딩지점과 인접한 임의의 지점을 3밴딩지점으로 저정하고, 상기 3밴딩지점을 밴딩장치를 통해 수직방향의 3경사각으로 밴딩하는 3차밴딩단계와, 상기 3차밴딩단계 이후, 상기 조관파이프에 형성된 1, 2, 3밴딩지점과 1, 2, 3, 4직선지점을 프레스에 위치시킨 후, 상기 프레스를 작동시켜 1, 2, 3밴딩지점과 1, 2, 3, 4직선지점의 단면을 각 지점마다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변형하는 지점별단면변형단계와, 상기 단면변형단계 이후, 조관파이프의 표면을 연삭, 도장, 도금의 표면가공을 수행하는 표면공정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다양한 방향으로 밴딩하면서 각각의 임의의 지점의 단면을 타원형이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거치대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지점의 단면을 개별적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형상의 거치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조관파이프에 형성된 각각의 밴딩지점의 단면을 변형하면서 동시에 밴딩하여도, 조관파이프의 밴딩되는 부분이 찌그러지지 않고 일정한 두께를 가지게 되어 거치대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며, 단면이 변형되면서 발생되는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조관파이프의 직선지점과 밴딩지점의 단면을 순차적으로나 동시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어,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제조단가를 줄여 경제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거치대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거치대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거치대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의 a와 b와 c와 d는 도 4의 A-A, B-B, C-C, D-D 단면을 도시한 단면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인 거치대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거치대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금속재(도면에 미도시)를 이용하여 단면이 원형 형상의 조관파이프(도면에 미도시)를 제작하도록 한다.(S10)
상기와 같이 판 형상의 금속재를 통해 조관파이프를 제작하게 되면, 단면이 원형이면서 직선방향으로 뻗은 조관파이프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관파이프는 금속재의 판을 조금씩 구부리면서 제작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런 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관파이프의 임의의 지점을 1밴딩지점으로 지정하고 상기 1밴딩지점을 밴딩장치(도면에 미도시)에 위치시켜, 상기 밴딩장치를 작동하면서 상기 조관파이프에 형성된 1밴딩지점을 수평방향으로 1경사각(a)으로 밴딩한 후, 상기 밴딩장치에서 조관파이프를 분리한다.(S20)
여기서, 상기 조관파이프를 밴딩하기 위해 사용되는 밴딩장치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조관파이프를 용이하게 다양한 방향(3차원)으로 밴딩할 수 있는 3차원 CNC파이프 밴딩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조관파이프에 형성된 1밴딩지점을 1경사각(a)으로 형성할 때, 1경사각(a)의 각도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관파이프에 1밴딩지점 외에 2밴딩지점을 밴딩하기 위해 상기 조관파이프의 1밴딩지점과 인접한 임의의 지점을 2밴딩지점으로 지정하고, 상기 2밴딩지점을 밴딩장치에 위치시켜, 3차원 방향(도면의 x,y,z면 중 z면을 말함)의 대각선의 2경사각(b)으로 밴딩한 후, 상기 밴딩장치에서 조관파이프를 분리한다.(S30)
여기서, 상기 조관파이프에 형성된 2밴딩지점을 2경사각(b)으로 형성할 때, 2경사각(b)의 각도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관파이프에 1밴딩지점, 2밴딩지점 외에 3밴딩지점을 밴딩하기 위해 상기 조관파이프의 2밴딩지점과 인접한 임의의 지점을 3밴딩지점으로 저정하고, 상기 3밴딩지점을 밴딩장치에 위치시켜, 수직방향의 3경사각(c)으로 밴딩하고 상기 밴딩장치에서 조관파이프를 분리한다.(S40)
여기서, 상기 조관파이프에 형성된 3밴딩지점을 3경사각(c)으로 형성할 때, 3경사각(c)의 각도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조관파이프에 1, 2, 3밴딩지점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1, 2, 3밴딩지점의 인접한 지점에 각각 1, 2, 3, 4직선지점이 형성되게 된다.
이에 더해, 상기 조관파이프에 1, 2, 3밴딩지점과 1, 2, 3, 4직선지점 외에 추가로 다른 밴딩지점과 직선지점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관파이프에 1, 2, 3밴딩지점과 1, 2, 3, 4직선지점만 형성할 수도 있지만, 조관파이프를 원활하게 바닥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1, 2, 3밴딩지점과 1, 2, 3, 4직선지점이 대칭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조관파이프에 1, 2, 3밴딩지점과 1, 2, 3, 4직선지점을 대칭되게 형성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조관파이프의 일측에 1, 2, 3밴딩지점과 1, 2, 3, 4직선지점을 형성하고, 상기 조관파이프의 타측(4직선지점과 만나는 부분)을 기준으로 1, 2, 3밴딩지점을 형성하는 역순으로 조관파이프의 타측을 1, 2, 3밴딩지점과 1, 2, 3, 4직선지점을 대칭되게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관파이프에 1, 2, 3밴딩지점과 1, 2, 3, 4직선지점이 형성된 후, 각각 지점의 단면을 타원, 삼각, 사각, 육각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기 위해 조관파이프를 프레스장치 등에 위치시키고 상기 프레스장치 등을 작동하여 1, 2, 3밴딩지점과 1, 2, 3, 4직선지점의 단면을 각각의 지점마다 변형하면 되는 것이다.(S50)
여기서, 상기 조관파이프에 형성된 1, 2, 3밴딩지점과 1, 2, 3, 4직선지점의 단면을 변형할 때, 각각 지점의 단면의 형상을 개별적으로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관파이프의 1직선지점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하고, 2직선지점의 단면은 육각형으로 형성하며, 3직선지점의 단면은 타원형으로 형성하고, 4직선지점의 단면은 사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각 지점의 단면을 상술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예 외에 사용자가 각 지점의 단면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밴딩된 조관파이프의 단면을 변형할 때, 프레스에는 상기 조관파이프의 전체 형상이 위치될 수 있도록 조관파이프의 전체 형상과 동일한 금형(도면에 미도시)이 제작되거나, 상기 조관파이프에 형성된 1, 2, 3밴딩지점과 1, 2, 3, 4직선지점이 각각 위치될 수 있도록 각각의 지점의 형상과 동일한 지그(도면에 미도시)를 개별적으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스에 형성되는 금형이나 지그의 형상은 조관파이프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관파이프에 형성된 1, 2, 3, 4직선지점을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와 같이 조관파이프에 형성된 1, 2, 3밴딩지점의 단면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조관파이프에 형성된 1, 2, 3밴딩지점의 단면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스에 각각의 1, 2, 3밴딩지점을 위치시킨 후, 단면을 변형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관파이프에 형성된 1, 2, 3밴딩지점과 1, 2, 3, 4직선지점의 단면을 개별적인 형상으로 형성할 때, 순차적으로 하나의 지점씩 단면을 변형할 수도 있으며, 한번에 동시에 각 지점의 단면을 변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관파이프를 다양한 방향으로 밴딩하면서 단면을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할 때, 각각의 지점이 서로 인접한 부분은 각 밴딩지점에 의해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뒤틀어져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더해, 상기 조관파이프의 1, 2, 3밴딩지점의 단면을 변형할 때, 각각의 밴딩지점의 단면이 사용자가 지정한 형상에 맞게 변형되면서, 밴딩지점이 찌그러지지 않고 원활하게 일정한 반경으로 곡률지게 형성되어 밴딩되는 내측과 외측의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되어 불량률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관파이프를 다양한 방향으로 밴딩하고, 상기 조관파이프의 1, 2, 3밴딩지점과 1, 2, 3, 4직선지점의 단면을 각 지점마다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한 후, 조관파이프의 표면을 연삭, 도장, 도금의 표면가공을 수행하며, 상기 조관파이프에 TV, 또는 컴퓨터의 모니터 등을 장착하기 위한 고정부재(도면에 미도시) 등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형성하여 거치대(10)를 제작하면 되는 것이다.(S60)
이처럼, 거치대(10)에 형성된 각 지점마다 단면을 개별적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어, 사용자가 다양한 형상의 거치대(1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 거치대

Claims (5)

  1. 판 형상의 금속재를 조관하여 단면이 원형이면서 직선방향으로 형성된 조관파이프를 제작하는 파이프제작단계(S10);
    상기 조관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된 임의의 1밴딩지점을 지정하고, 상기 1밴딩지점을 밴딩장치를 통해 수평방향의 1경사각(a)으로 밴딩하는 1차밴딩단계(S20);
    상기 조관파이프의 1밴딩지점과 인접한 임의의 지점을 2밴딩지점으로 지정하고, 상기 2밴딩지점을 밴딩장치를 통해 3차원 방향의 대각선의 2경사각(b)으로 밴딩하는 2차밴딩단계(S30);
    상기 조관파이프의 2밴딩지점과 인접한 임의의 지점을 3밴딩지점으로 저정하고, 상기 3밴딩지점을 밴딩장치를 통해 수직방향의 3경사각(c)으로 밴딩하는 3차밴딩단계(S40);
    상기 3차밴딩단계(S40) 이후, 조관파이프를 대칭형상으로 형성할 경우, 조관파이프의 일측은 상기와 같이 1차, 2차, 3차밴딩단계(S20, S30, S40)를 순차적으로 시행하고, 조관파이프의 타측은 1, 2, 3차밴딩단계(S20, S30, S40)의 역순으로 시행한 후, 상기 조관파이프에 형성된 1, 2, 3밴딩지점과 1, 2, 3, 4직선지점을 프레스에 위치시킨 후, 상기 프레스를 작동시켜 1, 2, 3밴딩지점과 1, 2, 3, 4직선지점의 단면을 각 지점마다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변형하는 지점별단면변형단계(S50);
    상기 단면변형단계(S50) 이후, 조관파이프의 표면을 연삭, 도장, 도금의 표면가공을 수행하는 표면공정단계(S6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거치대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관파이프의 밴딩지점과 직선지점의 단면을 지점마다 개별적 형상으로 변형할 경우, 각 지점을 동시에 변형하거나 순차적으로 단면변형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거치대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변형단계(S50)에서 1직선지점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2직선지점의 단면은 육각형으로 형성되고, 3직선지점의 단면은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4직선지점의 단면은 사각형으로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거치대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공정단계(S60)에서 조관파이프의 표면을 가공하면서 고정부재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거치대의 제조방법.
KR1020130055836A 2013-05-16 2013-05-16 거치대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283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836A KR101283016B1 (ko) 2013-05-16 2013-05-16 거치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836A KR101283016B1 (ko) 2013-05-16 2013-05-16 거치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3016B1 true KR101283016B1 (ko) 2013-07-05

Family

ID=48996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836A Expired - Fee Related KR101283016B1 (ko) 2013-05-16 2013-05-16 거치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0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70059A (zh) * 2016-11-08 2017-01-04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金属复杂构件3d自由弯曲成形工艺优化方法
CN107008787A (zh) * 2017-04-14 2017-08-04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螺旋式三维复杂弯曲件的自由弯曲成形方法
KR102255046B1 (ko) * 2020-07-29 2021-05-24 (주) 청우 자동차용 머플러 파이프의 3단 벤딩 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5699A (ko) * 2000-05-17 2001-11-29 박종섭 모니터의 스탠드 구조
JP2006095539A (ja) 2004-09-28 2006-04-13 Nisshin Steel Co Ltd 自動車構造部材用異形管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100663913B1 (ko) * 2006-03-28 2007-01-04 김인숙 유리창 설치용 프레임과 그 프레임 제조장치
KR20090067266A (ko) * 2007-12-21 2009-06-25 (주)지아노니 두발 열교환기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5699A (ko) * 2000-05-17 2001-11-29 박종섭 모니터의 스탠드 구조
JP2006095539A (ja) 2004-09-28 2006-04-13 Nisshin Steel Co Ltd 自動車構造部材用異形管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100663913B1 (ko) * 2006-03-28 2007-01-04 김인숙 유리창 설치용 프레임과 그 프레임 제조장치
KR20090067266A (ko) * 2007-12-21 2009-06-25 (주)지아노니 두발 열교환기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70059A (zh) * 2016-11-08 2017-01-04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金属复杂构件3d自由弯曲成形工艺优化方法
CN107008787A (zh) * 2017-04-14 2017-08-04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螺旋式三维复杂弯曲件的自由弯曲成形方法
CN107008787B (zh) * 2017-04-14 2018-10-30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螺旋式三维复杂弯曲件的自由弯曲成形方法
KR102255046B1 (ko) * 2020-07-29 2021-05-24 (주) 청우 자동차용 머플러 파이프의 3단 벤딩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3016B1 (ko) 거치대의 제조방법
KR102298933B1 (ko) 3차원 조형 방법
CN104084733A (zh) 工装胎架
US10050425B2 (en) Cable tray and a method of producing such a cable tray
US20160367880A1 (en) Swage and flare joints
KR101283020B1 (ko) 거치대의 제조방법
JP6366144B2 (ja) 八角パイプのスエージ加工方法、及び八角パイプ
CN114406624A (zh) 一种厚钢板钢结构柱方变圆节点成型工艺
JP2017177225A (ja) 多角形断面線材用ダイス
EP3246103B1 (en) Pipe, di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ipe
JP2014090623A (ja) バスバー材料及びその曲げ加工用治具
CN105149884A (zh) 一种大弯曲半径圆柱面管屏的加工方法
CN105290301B (zh) 一种多向异形轴颈锻造方法
CN104070092A (zh) L字形折弯治具组
CN110280920A (zh) 异形金属风管的制作方法
RU2661693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шарообразного защитно-декоративного наконечника
CN106424424B (zh) 一种冷弯金属龙骨及其成型工艺方法
CN210594744U (zh) 一种橡胶软管增强用钢丝的导放线装置
JP2013146745A (ja) エキスパンドメタ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エキスパンドメタルを用いた有孔壁
JP5414809B2 (ja) チューブフレームをデザインするための方法
KR101952101B1 (ko) 연결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9501493B (zh) 变形三角板
CN204819144U (zh) 工件砂光的放置架
CN204480885U (zh) 磁芯加工用下料滑槽
CN108067578A (zh) 一种用于棒料镦粗的钳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