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81201B1 - 엘리베이터의 콤펜체인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콤펜체인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201B1
KR101281201B1 KR1020120129616A KR20120129616A KR101281201B1 KR 101281201 B1 KR101281201 B1 KR 101281201B1 KR 1020120129616 A KR1020120129616 A KR 1020120129616A KR 20120129616 A KR20120129616 A KR 20120129616A KR 101281201 B1 KR101281201 B1 KR 101281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hain
elevator
compass
p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범
Original Assignee
케이이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이앤씨(주) filed Critical 케이이앤씨(주)
Priority to KR1020120129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20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6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8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including passive 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카 주행에 따른 롤링(흔들림) 무게를 보정하여 안정적인 주행을 제공하는 콤펜체인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카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콤펜체인 가이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콤펜체인을 수용하는 간격을 갖고 설치되는 한 쌍의 안내롤러와, 상기 안내롤러를 축 지지하는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가이드브라켓을 건물의 바닥면에 시공된 상태로 일정의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콤펜체인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 안내롤러(110,120)는 2조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브라켓(130)은 상기 2조의 한 쌍의 안내롤러를 축 지지하는 길이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브라켓(130)은 상기 지지프레임(140)과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조립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콤펜체인 가이드장치{GUIDE APPARATUS FOR COMPEN CHAIN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레베이터의 콤펜체인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카 주행에 따른 롤링(흔들림)과 무게를 보상하여 최하층이나 최상층에서도 카와 카운터의 메인와이어로 인한 무게를 보상하여 안정적인 주행을 제공하는 콤펜체인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구동방식은 가장 일반적으로 트랙션식 구동방식이 사용되며, 이 방식은 권상기(전동기 츨력축과 감속기 입력축을 커플링으로 연결한 구조 )의 출력축에 시브가 연결되고 또한 간격 유지를 위해 적당한 위치에 도르래를 연결한 후 와이어 로프를 시브와 도르래에 걸어 한쪽에는 카를 매달고 반대쪽에는 균형추를 매달아 전동기의 회전에 의해 감속기축에 있는 시브를 정·역회전시켜 카를 승·하강 운행하는 구동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엘레베이터의 구조에 대하여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승객, 화물 등이 탑승하는 엘리베이터 몸체인 카(CAR)(E/V)는 상부의 권상기(25)의 출력축에 조립된 시브(SHEAVE)(30)와 간격유지를 위한 도르래(20)에 와이어로프(40)이 권회되어 일측은 상기 카(E/V)의 상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균형추(50)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균형추(COUNTER WEIGHT : CWT)(50)는 상기 카(E/V)의 상대편에 위치하여 상기 시브(30)와 연결된 전동기의 부하를 줄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카(E/V)의 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주는 주행케이블(60)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20층 이상의 고층건물에는 일반적으로 고속(120~300m/min)의 엘리베이터가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속의 엘리베이터는 상기 카(E/V)의 무게를 보상해 주기위해 상기 균형추(50)는 하부에 콤펜체인(70)의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카(E/V)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다시 말하여, 상기 카(E/V)의 무게보정균형체인인 콤펜체인(Compensation Chain, Compen.Rope)(70)은 고속, 고층(20층 이상)의 카(E/V)와 균형추(50) 및 와이어로프(40) 상호간 위치변화에 따른 무게를 보정하기 위한 체인으로 메인로프의 90~100%에 해당하는 중량을 정밀한 착상이 요구되는 엘리베이터 등에서 사용하여 승차감, 착상오차 및 트렉션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콤펜체인(70)은 원만하게 절곡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건물의 바닥면에 시공된 가이드장치(1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움직임이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 쌍의 안내롤러(11,11)와 상기 안내롤러(11,11)를 축 지지하는 가이드브라켓(12)과, 상기 가이드브라켓(12)을 건물의 바닥면(P)에 시공된 상태로 일정의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3)으로 이루어졌다.
상기 콤펜체인(70)은 상기 한 쌍의 안내롤러(11,11) 간에 형성된 공간(C)을 통하여 권회된 상태로 안내된다.
이러한 콤펜체인(70)은 다양하게 개시되고 있으나,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내부에 강체의 고리로 연결된 체인의 표면에 합성수지 튜브(고무)를 피복하여 제조된 튜브피복형(Coating Type)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콤펜체인(70)은 중량물로 튜브(고무) 피복작업시에 피복되는 고무의 두께가 일정하지 못하고 특히, 연결고리 간에 접촉된 부분은 코팅이 안되거나 미약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일측에 고정된 상기 가이드장치(10)의 안내롤러(11,11)를 경유하는 라운드가 일정하지 못하고, 사용과정에서 콤펜체인(70)의 고무피복이 찢어지면서 상기 한 쌍의 안내롤러(11)의 모서리와 가이드브라켓(12) 사이의 틈(A)에 낀 상태로 이동하면서 치고 올라가 상기 가이드장치(10)와 고착되어 카(E/V)가 멈추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요인의 핵심은 상기 콤펜체인(70)의 이동이 바닥면(P) 일측에 시공되는 상기 가이드장치(10)의 안내롤러(11,11)에 의해 안내됨으로서 상기 콤펜체인(70)의 굴곡 중심(O)에서 벗어나 편중 지지됨으로서 안정적이고 원활한 안내 지지가 제공되지 못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콤펜체인을 안정적이고 라운드(절곡부분) 시작점의 양측에 균일한 지지가 이루어져 카의 원활한 승강동작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콤펜체인의 손상을 최대한 방지하여 수명을 보장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콤펜체인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콤펜체인 가이드장치는,
콤펜체인을 수용하는 간격을 갖고 설치되는 한 쌍의 안내롤러와, 상기 안내롤러를 축 지지하는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가이드브라켓을 건물의 바닥면에 시공된 상태로 일정의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콤펜체인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 안내롤러는 2조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브라켓은 상기 2조의 한 쌍의 안내롤러를 축 지지하는 길이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브라켓은 상기 지지프레임과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조립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각각의 상기 안내롤러의 축을 지지하는 축공을 장공으로 형성하여 각각의 상기 안내롤러 간의 간격을 가변하여 세팅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브라켓에 가공된 축공은 일측이 적어도 3개로 구성되어 상기 콤펜체인의 곡률에 맞추어 타측에 조립되는 다른 한쌍의 상기 안내롤러와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히어 가변한 상태로 축 조립으로 조립하여 세팅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가이드브라켓을 세팅하는 조립공을 장공으로 형성하여 축점의 가변에 의해 상기 가이드브라켓을 경사지게 세팅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층 건물에 적용하여 정속주행 및 안전주행을 위해 적용되는 콤펜체인의 원활한 이동 안내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승차감을 높일 수 있을뿐 아니라 특히 사용 중에 콤펜체인의 좌우전후로 흔들림으로 인한 승차감 저하와 고정브라켓의 모서리 등에 걸려서 찢어지거나 끊어지는 등 안전운행을 차단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적용하는 콤펜체인의 규격에 따라 가변 세팅에 의해 조정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호환성 보장으로 범용성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발췌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평면 및 정면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콤펜체인이 권회된 상태의 설치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고층건물에 적용되는 엘리베이터의 정속주행 및 롤링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되는 콤펜체인을 안전하고 원활하게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도면에 제시된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권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단순화나 생략 또는 과장하여 도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 사시도이다.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 및 정면상태를 동시에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콤펜체인 가이드장치(100)는,
콤펜체인(70)을 안내하는 1조로 된 두 쌍 안내롤러(110,110)(120,120)와, 상기 각 안내롤러(110,120)을 축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브라켓(130,130)과, 상기 가이드브라켓(130)을 일정높이에 지지 조립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14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브라켓(130,130)은 상기 각각의 안내롤러(110,120)가 축 결합하는 축공(131)이 동일 축심방향으로 가공되되, 상기 안내롤러(110,120)의 각 중심축(111,121)이 이동하여 상호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장공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축공(131)은 일측이 적어도 3개로 구성되어 상기 콤펜체인(70)의 곡률(굽힘 반경)에 맞추어 상기 1조의 한 쌍 안내롤러(110,120)간의 간격및 상기 콤펜체인(70)을 수용하는 1조의 안내롤러(110,110 또는 120,120) 간의 간격을 가변하여 세팅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안내롤러(110,120)는 상기 콤펜체인(70)의 이동 원활성을 위해 회전가능케 상기 중심축(111,121)의 양측에 지지 조립된 베어링(B/R)에 의해 회전가능케 조립되고 너트(N)에 의해 상기 가이드브라켓(130)에서 이탈방지로 조립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140,140)은 상기 가이드브라켓(130,130)을 세팅하는 조립공(141)을 장공으로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브라켓(130,130)을 축결합하는 볼트 및 너트의 축볼트(B/T)의 축점 가변에 의해 상기 가이드브라켓(130,130)을 경사지게 세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브라켓(130)은 L자형 프레임으로 적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40)은 ㄷ자형 프레임이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140)은 상기 가이드프레임(130)이 안착될 수 있는 상단부에 양측에 절곡된 수직부를 절단 가공된 상태에서 상호 간이 밀착된 상태로 상기 축볼트(B/T)에 의해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가이드브라켓(130,130)은 상기 지지프레임(140,140)의 조립공(141)을 기준으로 경사진 상태로 체결된다.
이렇게 상기 한 쌍의 가이드브라켓(130,130)을 경사지게 세팅하는 것은 양측에 조립된 한 쌍의 안내롤러(110,110)(120,120) 간에 형성된 공간을 경유하여 안내되는 콤펜체인(70)의 양측 굴곡부분의 시작점과 끝점을 벗어난 부분을 지지하여 상기 콤펜체인(70)의 이동에 따른 마찰을 최소화한 상태로 안내하여 항상 원활한 이동을 지지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40,140)은 하단부가 지지판(150)에 가공된 세팅공(151)에 의해 세팅된 상태에서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지지판(150)은 건물의 바닥에 앵커볼트(A/B)에 의해 시공된다.
상기 콤펜체인(70)은 종래 기술에 설명한 바와 같이, 카(E/V)와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균형추(50)와 연결되어 굴곡진 라운드 부분의 양측을 균형 지지함으로서 카(E/V)의 승차감, 착상오차 및 트렉션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하고 도면에 도시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에서 설명한 지지프레임(140)은 높이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분할 구성하고, 상호간을 높이조절한 상태에서 체결 또는 용접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는 안되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고층건물에 적용되는 고속의 엘리베이터에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콤펜체인의 안내를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카의 원활한 주행으로 신뢰성이 제공되고, 안전사고의 방지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70 : 콤펜체인
110,120 : 안내롤러
111,121 : 중심축
130 : 가이드 브라켓
131 : 축공
140 : 지지프레임

Claims (4)

  1. 콤펜체인을 수용하는 간격을 갖고 가이드브라켓 양측에 각각 축조립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안내롤러와, 상기 가이드브라켓을 건물의 바닥면에 시공된 상태로 일정의 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콤펜체인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브라켓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조립 구성됨과 동시에 각각의 상기 안내롤러의 축을 지지하는 축공은 장공으로 형성하여 각각의 상기 안내롤러 간의 간격을 가변하여 세팅할 수 있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콤펜체인 가이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브라켓에 가공된 축공은 일측이 적어도 3개로 구성되어 상기 콤펜체인의 곡률에 맞추어 타측에 조립되는 다른 한쌍의 상기 안내롤러와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히어 가변한 상태로 축 조립으로 조립하여 세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콤펜체인 가이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가이드브라켓을 세팅하는 조립공을 장공으로 형성하여 축점의 가변에 의해 상기 가이드브라켓을 경사지게 세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콤펜체인 가이드장치.
KR1020120129616A 2012-11-15 2012-11-15 엘리베이터의 콤펜체인 가이드장치 Active KR101281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616A KR101281201B1 (ko) 2012-11-15 2012-11-15 엘리베이터의 콤펜체인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616A KR101281201B1 (ko) 2012-11-15 2012-11-15 엘리베이터의 콤펜체인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1201B1 true KR101281201B1 (ko) 2013-07-02

Family

ID=48996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616A Active KR101281201B1 (ko) 2012-11-15 2012-11-15 엘리베이터의 콤펜체인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20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10266A (zh) * 2014-04-29 2014-07-09 苏州中远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导向装置
CN105731215A (zh) * 2016-04-29 2016-07-06 西继迅达(许昌)电梯有限公司 电梯补偿链导向装置
CN106629320A (zh) * 2015-10-30 2017-05-10 天津优安达电梯制造有限公司 一种电梯一体化补偿链导向滚轮
CN107250023A (zh) * 2015-02-24 2017-10-13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
KR101921454B1 (ko) 2018-07-02 2018-11-22 김남수 엘리베이터의 보상체인 가이드장치
KR101921453B1 (ko) 2018-07-02 2018-11-22 김남수 엘리베이터의 보상체인 가이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2968A (en) 1973-06-01 1975-05-13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JPH09278317A (ja) * 1996-04-10 1997-10-28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
US20060254865A1 (en) * 2005-05-13 2006-11-16 Draka Elevator Products Elevator compensating cable having a selected loop radius and associated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2968A (en) 1973-06-01 1975-05-13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JPH09278317A (ja) * 1996-04-10 1997-10-28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
US20060254865A1 (en) * 2005-05-13 2006-11-16 Draka Elevator Products Elevator compensating cable having a selected loop radius and associated system and method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10266A (zh) * 2014-04-29 2014-07-09 苏州中远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导向装置
CN107250023A (zh) * 2015-02-24 2017-10-13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
CN107250023B (zh) * 2015-02-24 2019-04-09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
CN106629320A (zh) * 2015-10-30 2017-05-10 天津优安达电梯制造有限公司 一种电梯一体化补偿链导向滚轮
CN105731215A (zh) * 2016-04-29 2016-07-06 西继迅达(许昌)电梯有限公司 电梯补偿链导向装置
KR101921454B1 (ko) 2018-07-02 2018-11-22 김남수 엘리베이터의 보상체인 가이드장치
KR101921453B1 (ko) 2018-07-02 2018-11-22 김남수 엘리베이터의 보상체인 가이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201B1 (ko) 엘리베이터의 콤펜체인 가이드장치
JP4468823B2 (ja) エレベータおよびエレベータの製造
US10399819B2 (en) Elevator arrangement
JP2007331871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EP1357075A1 (en) Cage device for double deck elevators
JP6296474B2 (ja) エレベータ
HK1225365A1 (zh) 配置件和電梯
CN104909244B (zh) 电梯以及电梯所使用的补偿轮
US7493989B2 (en) Elevator suspension arrangement
JP4847336B2 (ja) エレベータ
WO2019123583A1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JP5800916B2 (ja) 4:1ローピングを有するエレベータ装置
JP4549616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20130056304A1 (en) Elevator Without Counterweight With a Cogged Belt and Pulley
JP6432926B1 (ja) エレベータ装置
US10850945B2 (en) Traction geared machine for elevator
FI119240B (fi) Hissijärjestelmä ja laitteisto kaksoiskorihissin korivälin säätämiseksi
KR100597941B1 (ko) 엘리베이터용 권양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JPH11139718A (ja)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振れ止め装置
JP6684473B2 (ja) 複数の釣合い錘を備えるエレベータ
JP2024179817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ケーブル支持装置
JP2000118911A (ja) エレベータ
KR20160134991A (ko)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
RU108424U1 (ru) Пассажирский подъемник для малоэтажного строительства
CN116081430A (zh) 电梯系统、导轨组件以及安装电梯系统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