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80912B1 - 홑날 드릴비트의 찌꺼기 배출홈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홑날 드릴비트의 찌꺼기 배출홈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912B1
KR101280912B1 KR1020100059389A KR20100059389A KR101280912B1 KR 101280912 B1 KR101280912 B1 KR 101280912B1 KR 1020100059389 A KR1020100059389 A KR 1020100059389A KR 20100059389 A KR20100059389 A KR 20100059389A KR 101280912 B1 KR101280912 B1 KR 101280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discharge groove
drill
drill bit
residue dischar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9359A (ko
Inventor
후앙-쳉 쳉
Original Assignee
카바이드 인터네셔널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바이드 인터네셔널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카바이드 인터네셔널 코., 엘티디.
Priority to KR1020100059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912B1/ko
Publication of KR20110139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9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24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2Twist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24B19/02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for grinding grooves, e.g. on shafts, in casings, in tubes, homokinetic joint elements
    • B24B19/04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for grinding grooves, e.g. on shafts, in casings, in tubes, homokinetic joint elements for fluting drill sh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24Overall form of dril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40Flutes, i.e. chip conveying gro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홑날 드릴비트의 찌꺼기 배출홈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드릴비트에는 드릴 칼날부가 설치되고, 상기 드릴 칼날부의 한 끝에는 칼날자루부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칼날자루부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드릴 칼날부의 끝단 정점 부분에서 기울어진 방향으로 절삭칼날이 뻗어나와 설치되고, 상기 절삭칼날의 한 측은 2차 연마방식으로 상기 드릴 칼날부 표면에 찌꺼기 배출홈을 연마해 내고, 상기 찌꺼기 배출홈은 절삭칼날의 한측으로부터 칼날자루부 쪽을 향해 회전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드릴 칼날부가 찌꺼기 배출홈을 연마할 때, 무리한 힘이 가해져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연마 시 온도가 상승되어 드릴비트에 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홑날 드릴비트의 찌꺼기 배출홈 성형방법{METHOD FOR FOAMING DISCHARGE HOLE OF SINGLE BLADE DRILL BIT WASTES}
본 발명은 홑날 드릴비트의 찌꺼기 배출홈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2차 연마방식을 이용하여 드릴비트의 드릴 칼날부 표면에 찌꺼기 배출홈을 연마해 내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드릴비트는 일반적인 드릴 공정에서 비교적 자주 사용되는 공구이며, 시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드릴비트는 보통 홑날 드릴비트, 양날 드릴비트이며 심지어 세날이나 네날 드릴비트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분은 드릴비트의 드릴 칼날부의 첨단에 형성되는 절삭칼날 수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이 중 홑날 드릴비트는 절삭칼날으로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삭칼날의 길이를 쉽게 통제할 수 있다.
즉 다시 말하자면 드릴비트로 구멍을 뚫을 때의 구멍 길이를 서로 비교해보면, 양날 드릴비트 혹은 네날 드릴비트는 그 절삭칼날 수량이 비교적 많기 때문에 각 절삭칼날로 동일한 길이의 구멍을 형성하기 어렵고 드릴비트로 구멍을 뚫을 때 넓은 구멍이 형성된다.
그러나 드릴비트의 드릴 칼날부로 구멍을 뚫을 때, 그 절삭칼날이 기재 표면을 절삭하게 되며, 절삭 작업으로 인해 기재에서 생성되는 찌꺼기는 절삭칼날의 한 측에 설치된 찌꺼기 배출홈을 따라 드릴 칼날부와 연결되어 있는 칼날자루부 쪽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구조는 드릴비트 각 절삭칼날의 한 측에 모두 찌꺼기 배출홈이 설치되며, 즉 양날 드릴비트 혹은 네날 드릴비트 상에 2개 혹은 4개의 찌꺼기 배출홈이 형성된다.
그러나 홑날 드릴비트에는 단지 1개의 찌꺼기 배출홈만 설치되기 때문에 동일한 구멍 지름의 구멍을 뚫을 때 홑날 드릴비트에서 생성되는 찌꺼기가 찌꺼기 배출홈을 통해 완전히 배출 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찌꺼기가 구멍 내에 걸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하지만 홑날 드릴비트는 구멍 뚫기 작업에서 매우 정교하고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그로 인해 고정밀도의 드릴 작업을 필요로 하는 작업에서는(예를 들면 복수층 프린트 전자 회로 기판에 각 전기회로층을 연결할 때 사용되는 미세 도전 구멍과 같은) 홑날 드릴비트를 제일 우선적으로 선택 사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홑날 드릴비트의 찌꺼기 배출 능력을 향상시켜 찌꺼기가 걸리지 않게 하는 방법이 현재 업계에서 가장 절실하게 개선되어야할 문제점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차 연마방식을 이용해 드릴 칼날부에 찌꺼기 배출홈을 형성하여 드릴 칼날부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연마시 온도가 상승되어 드릴비트에 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는 드릴 칼날부가 설치되고, 상기 드릴 칼날부의 한 끝에는 칼날자루부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칼날자루부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드릴 칼날부의 끝단 정점 부분에서 기울어진 방향으로 절삭칼날이 뻗어나와 설치되고, 상기 절삭칼날의 한 측은 2차 연마방식으로 상기 드릴 칼날부 표면에 찌꺼기 배출홈을 연마해 내고, 상기 찌꺼기 배출홈은 절삭칼날의 한측으로부터 칼날자루부 쪽을 향해 회전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술된 내용을 종합해보면 본 발명인 홑날 드릴비트의 찌꺼기 배출홈 성형방법은 드릴 칼날부에 지나친 응력이 가해져 기울어지거나 혹은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되어 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드릴비트 제조 시 필요한 연마 회전숫돌 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측시도이다.
도2는 도1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국부 측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해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와 도면을 함께 사용하여 본 발명의 구조 및 그 기술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과 도2의 내용을 참조해보면, 도면에서 잘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인 홑날 드릴비트에는 드릴 칼날부(1)가 설치되고, 상기 드릴 칼날부(1)의 한 끝에는 칼날자루부(2)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칼날자루부(2)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드릴 칼날부(1)의 끝단 정점(11) 부분에서 기울어진 방향으로 절삭칼날(12)이 뻗어나와 설치되고, 상기 절삭칼날(12)의 한 측은 2차 연마방식으로 상기 드릴 칼날부(1) 표면에 찌꺼기 배출홈(13)을 연마해 내고, 상기 찌꺼기 배출홈(13)은 절삭칼날(12)의 한측으로부터 칼날자루부(2)쪽을 향해 회전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찌꺼기 배출홈(13)은 우선 상기 절삭칼날(12)의 정점(11) 부분에서 상기 칼날자루부(2)를 향해 회전하면서 제1 찌꺼기 배출홈(131)을 연마해 내고, 이어서 제1 찌꺼기 배출홈(131)에서 멀리 떨어진 정점(11) 부분에서 상기 칼날자루부(2)를 향해 회전하면서 제2 찌꺼기 배출홈(132)을 연마해 낸다.
또한 제1 찌꺼기 배출홈(131)과 제2 찌꺼기 배출홈(132)은 병렬로 배열되어 서로 통해 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그로 인해 찌꺼기 배출홈(13)의 절단면적이 더욱 효과적으로 커지게 되며, 드릴 칼날부(1)가 드릴 작업을 할 때 상기 절삭칼날(12)이 절삭해 낸 찌꺼기들이 상기 찌꺼기 배출홈(13)을 통해 순조롭게 배출된다.
상술된 드릴 칼날부(1)의 찌꺼기 배출홈(13)은 2차 연마 방식으로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방식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추고 있다.
1. 찌꺼기 배출홈(13)이 제1 찌꺼기 배출홈(131)과 제2 찌꺼기 배출홈(132)으로 나뉘어져 형성되기 때문에, 단일 연마 시 발생되는 응력과 온도가 1차 연마 방식으로 형성되는 찌꺼기 배출홈(13)에 비해 대폭 감소되기 때문에, 드릴 칼날부(1)에 지나치게 큰 응력이 가해져 기울어지거나 혹은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되어 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형 드릴비트(드릴 구멍 직경이 0.5mm 이하) 제작 시 그 효과가 더욱 두드러진다.
2. 복수 날 드릴비트는 찌꺼기 배출홈(13) 연마 가공 작업 시, 그 연마량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기존의 연마 복수 날 드릴비트 찌꺼기 배출홈(13)의 연마 회전 숫돌을 이용하여 홑날 드릴비트의 찌꺼기 배출홈(13)의 2차 연마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 종류의 드릴비트를 제조할 때 필요한 연마 회전 숫돌의 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생산하기에 편리하다.
또한 드릴비트의 강성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드릴 칼날부(1)의 찌꺼기 배출홈(13) 중앙에 형성된 드릴심은 정점(11) 부분에서 칼날자루부(2)를 향해 점점 확대되어가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결과 드릴비트가 휘어지는 현상이 쉽게 발생하기 않게 되고, 구멍 위치의 정밀도가 더욱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찌꺼기 배출홈(13)이 칼날자루부(2)에 다가갈수록 그 깊이가 점점 얕아지기 때문에 절단면적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찌꺼기 배출홈(13)의 찌꺼기 배출 능력이 감소된다.
도2에서 도4까지의 내용을 참조해보면, 도면에서 잘 알 수 있듯이 상기 찌꺼기 배출홈(13)은 우선 절삭칼날(12)의 한 측이 정점(11) 부분에 인접해 있고, 칼날자루부(2)를 향해 회전하면서 제1 찌꺼기 배출홈(131)을 연마해 내고, 이어서 제1 찌꺼기 배출홈(131)의 정점(11)에 인접한 부분에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며 제2 찌꺼기 배출홈(132)을 연마해 낸다.
도4에서와 같이, 제1 찌꺼기 배출홈(131)은 정점(11) 부분에서 각도θ1로 칼날자루부(2)를 향해 회전하면서 연마되고, 제2 찌꺼기 배출홈(132)은 정점(11) 부분에서 각도θ2로 칼날자루부(2)를 향해 회전하면서 연마된다. 이 때 각도θ2는 각도θ1보다 크기 때문에 제1 찌꺼기 배출홈(131)과 제2 찌꺼기 배출홈(132)이 드릴 칼날부(1)의 정점(11) 부분에서 부분적으로 겹쳐지게 되고, 또한 제1 찌꺼기 배출홈(131)과 제2 찌꺼기 배출홈(132)은 칼날자루부(2) 향해 회전하며 점점 확대되는 형상이 되어, 서로 겹쳐지는 부분이 감소된다. (도4의 사선 면적)
이에 의해 도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찌꺼기 배출홈(131)과 제2 찌꺼기 배출홈(132)이 형성된 찌꺼기 배출홈(13)은 칼날자루부(2)와 인접한 부분의 넓이H2가 칼날자루부(2)에서 떨어진 부분의 넓이H1보다 넓게 되며, 즉 찌꺼기 배출홈(13)이 드릴 칼날부(1) 끝단에서 칼날자루부(2)를 향해 점점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찌꺼기 배출홈(13)이 칼날자루부(2)에 인접할수록 그 깊이가 점점 얕아지며 찌꺼기 배출홈(13) 절단 면적이 상대적으로 감소되는 문제를 해결하여 드릴 칼날부(1)가 드릴 작업을 할 때, 그 절삭칼날(12)에서 생성되는 찌꺼기가 찌꺼기 배출홈(13)을 통해 순조롭게 배출될 수 있으며, 또한 드릴 칼날부(1)에 지나치게 큰 응력이 가해져 기울어지거나 혹은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되어 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드릴비트 제조 시 필요한 연마 회전숫돌 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상술된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 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으로 본 특허 신청의 범위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특허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기타 변형 등의 과정을 통한 경우에도 본 특허 신청 범위에 모두 포함된다.
1 : 드릴 칼날부
11 : 정점
12 : 절삭칼날
13 : 찌꺼기 배출홈
131 : 제1 찌꺼기 배출홈
132 : 제2 찌꺼기 배출홈
2 : 칼날자루부

Claims (4)

  1. 홑날 드릴비트의 찌꺼기 배출홈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드릴비트에는 드릴 칼날부를 설치하고, 상기 드릴 칼날부의 한 끝에는 칼날자루부를 연결 설치하고, 상기 칼날자루부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드릴 칼날부의 끝단 정점 부분에서 기울어진 방향으로 절삭칼날이 뻗어나와 설치되고, 상기 절삭칼날의 한 측은 2차 연마방식으로 상기 드릴 칼날부 표면에 찌꺼기 배출홈을 연마해 내고, 상기 찌꺼기 배출홈은 절삭칼날의 한측으로부터 칼날자루부 쪽을 향해 회전하는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2차 연마방식은,
    상기 절삭칼날의 정점 부분에서 상기 칼날자루를 향해 회전하면서 제1 찌꺼기 배출홈을 연마해 내는 단계; 및
    이어서 제1 찌꺼기 배출홈에서 멀리 떨어진 정점 부분에서 상기 칼날자루를 향해 회전하면서 제2 찌꺼기 배출홈을 연마해 내고, 제1 찌꺼기 배출홈과 제2 찌꺼기 배출홈은 병렬로 배열되어 서로 통해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찌꺼기 배출홈과 제2 찌꺼기 배출홈은 드릴 칼날부의 정점에서 부분적으로 겹쳐지는 형상이 되며, 또한 겹치는 부분이 칼날자루를 향해 감소됨으로써 상기 제1 찌꺼기 배출홈과 제2 찌꺼기 배출홈은 칼날자루를 향해 회전하면서 점점 확대되는 형상이 되어, 찌꺼기 배출홈이 드릴 칼날부 끝단에서 칼날자루를 향해 넓이가 점점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찌꺼기 배출홈의 깊이가 드릴 칼날부의 정점에서 칼날자루를 향해 점점 얕아지기 때문에, 드릴 칼날부의 찌꺼기 배출홈 중앙에 형성된 드릴심은 정점 부분에서 칼날자루부를 향해 점점 확대되어가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홑날 드릴비트의 찌꺼기 배출홈 성형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찌꺼기 배출홈의 회전 연마 각도는 상기 제1 찌꺼기 배출홈의 회전 연마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홑날 드릴비트의 찌꺼기 배출홈 성형방법.
KR1020100059389A 2010-06-23 2010-06-23 홑날 드릴비트의 찌꺼기 배출홈 성형방법 Active KR101280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389A KR101280912B1 (ko) 2010-06-23 2010-06-23 홑날 드릴비트의 찌꺼기 배출홈 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389A KR101280912B1 (ko) 2010-06-23 2010-06-23 홑날 드릴비트의 찌꺼기 배출홈 성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359A KR20110139359A (ko) 2011-12-29
KR101280912B1 true KR101280912B1 (ko) 2013-07-05

Family

ID=45504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389A Active KR101280912B1 (ko) 2010-06-23 2010-06-23 홑날 드릴비트의 찌꺼기 배출홈 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9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4897B (zh) * 2019-08-27 2024-06-07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后扩底钻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1522A (ja) * 2002-04-26 2003-11-05 Sumitomo Electric Ind Ltd 1枚刃ドリル
KR20040020853A (ko) * 2002-09-03 2004-03-09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드릴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1522A (ja) * 2002-04-26 2003-11-05 Sumitomo Electric Ind Ltd 1枚刃ドリル
KR20040020853A (ko) * 2002-09-03 2004-03-09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드릴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359A (ko) 201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0374B2 (ja) 両面使用可能な切削インサート及びこれを装着したミーリングカッタ
JP5276486B2 (ja) ドリル
US9718137B2 (en) Disposable chamfering blade
CN107073588B (zh) 磨削切断/开槽刀片的方法和切断/开槽刀片
KR101280912B1 (ko) 홑날 드릴비트의 찌꺼기 배출홈 성형방법
KR200467736Y1 (ko) 홑날 드릴비트 구조
JP6364717B2 (ja) フライス用インサートおよび刃先交換式フライス
KR101220899B1 (ko) 다수의 커팅날을 갖는 드릴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드릴
CN103008733B (zh) 一种阶梯钻尖铲钻刀片
CN102240825B (zh) 单刃钻头的退屑槽成形方法
JP4608933B2 (ja) ドリル、スローアウェイ式ドリル及び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3162901U (ja) 片刃ドリルビット構造
CN106891063A (zh) 一种去毛刺倒角一体刀具
CN210937312U (zh) 一种珩磨刀具
KR101424876B1 (ko) 후가공날이 구비된 원형톱
CN216263520U (zh) 沉头倒角刀
CN211192212U (zh) 一种带有直线排屑沟的单刃燕尾刀
JP2002200511A (ja) バニッシングドリル
CN110548906A (zh) 一种单刃螺旋深孔钻
CN222492331U (zh) 钻铣刀具
CN216325583U (zh) 一种改制铰刀
CN202411445U (zh) 嵌入式焊接聚晶金刚石车刀片
CN210105755U (zh) 一种十字合金钻
CN211680200U (zh) 一款加工hrc400预硬不锈钢手用铣刀
JP2012000732A (ja) 片刃ドリルビット切り屑排出溝の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23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5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6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106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6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