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435B1 - Filter Housing Having Guide Portion - Google Patents
Filter Housing Having Guide Por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76435B1 KR101276435B1 KR1020110057946A KR20110057946A KR101276435B1 KR 101276435 B1 KR101276435 B1 KR 101276435B1 KR 1020110057946 A KR1020110057946 A KR 1020110057946A KR 20110057946 A KR20110057946 A KR 20110057946A KR 101276435 B1 KR101276435 B1 KR 1012764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main body
- guide
- cover
- filter hou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와, 상기 필터를 수용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본체를 개폐시키는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가 다수 개의 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상호 이격되는 가이드부의 다수 개의 링부 사이의 넓은 공간을 통하여 이물질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구성되므로, 평상시(필터링시)에도 가이드부에 이물질이 잘 끼지 않으며, 가이드부의 청소시에도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a main body having a guide part for accommodating the filter, and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body, wherein the guide part includes a guide part for easily discharging foreign matters, wherein the guide part comprises a plurality of ring parts. It relates to a filter housing, which is configured so that foreign matter is easily discharged through a large space between a plurality of ring portions of the guide por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even during normal (filtering) foreign matter does not get stuck in the guide portion, and even when cleaning the guide portion It is easy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Description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는 달리 평상시(필터링시)에도 가이드부에 이물질이 잘 끼지 않으며, 가이드부의 청소시에도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housing having a guide part which facilitates the removal of foreign matters so that foreign matters are not easily caught in the guide part even in the case of normal (filtering), unlike the prior art.
일반적으로 필터 하우징은 물에 포함된 각종 입자상의 이물질이나 세균, 냄새 등을 깨끗하게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물에 포함된 녹이나 흙, 먼지 등의 입자상 오염물을 깨끗하게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용 필터나, 경수를 연수로 바꾸어 주는 연수기용 이온교환수지필터 등을 구비하고 있다.
In general, the filter housing is to purify various particulate matters, bacteria, odors, etc. contained in the water cleanly. For this purpose, the filter for water purifier to clean the particulate contaminants such as rust, soil, and dust contained in the water cleanly And an ion exchange resin filter for a softener for converting hard water into soft water.
도 1은 종래 필터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필터 하우징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ilter housing,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guide portion of a conventional filter housin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필터 하우징은 내부에 필터(300)가 수용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부(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100)에는 유체가 입수되는 입수구(110)와,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20)와,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부(130)와, 입수구(110)에서 커버부(130)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관(115)과, 필터(300)를 가이드하도록 커버부(130)에서 본체(100) 내부 하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140)를 구비한다. 그리고 커버부(13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100) 내부 상측을 커버하며, 커버부(130)에서 필터(300) 및 연장관(115)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각각 제 1 관통홀(132) 및 제 2 관통홀(134)이 천공되어 있다.1 and 2, the conventional filter housing includes a
그리고 필터(300)는 오염된 물 등을 깨끗하게 필터링 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내측홈(3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입수구(110) 및 연장관(115)을 통하여 본체(100)의 커버부(130) 상부로 입수된 유체는 그 수압에 의해서 필터(300)의 내측홈(310)으로 모인 후, 필터(300) 외측으로 필터링되어 본체(100)의 배출구(120)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때, 필터(300)를 수용하는 가이드부(140)에는 필터(300)에서 필터링된 유체가 본체(100) 하방으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그 외면에 다수 개의 관통공(142)이 천공되어 있다. The
그러나, 종래 가이드부(140)에 형성된 관통공(142)은 그 작은 크기로 인하여, 필터(300)에서 필터링된 유체를 본체(100) 하방으로 이동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청소시, 작은 이물질 등이 관통공(142)에 끼거나, 세척액 등이 작은 가이드부(140)의 관통공(142)에서 느리게 배출되어, 청소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과는 달리 평상시(필터링시)에도 가이드부에 이물질이 잘 끼지 않으며, 가이드부의 청소시에도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unlike the prior art, the foreign matter is not caught well in the guide part even during normal (filtering), foreign matter discharge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the foreign matter even when cleaning the guide part It is to provide a filter housing provided with this easy guide par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개방된 내측홈이 형성되는 필터; 상방으로 개방된 빈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로 유체를 유입시키는 유입구와, 상기 공간부로 유입된 유체를 배출시키는 배출구와, 상기 공간부에 위치되어 상기 필터를 수용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공간부의 개방된 상방을 커버하되 상기 필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필터가 삽입되도록 삽입공이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본체; 일측은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커버부의 상방으로 관통 위치되는 연결관;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개폐가능하도록 위치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필터의 형태에 따라 원형 링 또는 다각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호 수평하게 이격되는 다수 개의 링부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길이방향 측부는 상기 다수 개의 링부의 둘레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고, 길이방향 단부는 상기 커버부와 연결되는 다수 개의 연결부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다수 개의 링부 중 최하단에 위치된 링부를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lter that is formed with an inner groove opened upwar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empty space portion opened upward, an inlet for introducing fluid into the space portion, an outlet for discharging fluid introduced into the space portion, a guide portion positioned in the space portion to accommodate the filter, and an opening of the space portion A main body including a cover part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part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to insert the filt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lter;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inlet,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through pipe portion; And a cover positioned to be opened and cl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guide part is formed in a circular ring or polygonal ring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ilter, and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 plurality of ring parts spaced horizontally from each other. The lengthwise side portion is vertically connect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lurality of ring portions, and the lengthwise end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connected to the cover portion, and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ring portions. And a filter housing having a guide portion for easily discharging foreign mat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support portion traversing the ring portion.
또한, 상기 필터의 상기 내측홈의 개방된 상부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filter housing having a guide portion for easily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portion is formed in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inner groove of the filter.
또한, 상기 본체가 지면에서 이격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외측에서 하방으로 다수 개의 다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filter housing having a guide portion that is easy to discharge the foreign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legs are form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main body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또한, 상기 배출구는 상기 본체의 하단에 위치되며, 상기 배출구에서 상기 본체 외측 하방으로 드레인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and has a filter housing having a guide portion that is easy to discharge foreign matt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 pipe is formed from the discharge port to the lower side outside the main body.
또한, 상기 드레인관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개폐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filter housing having a guide portion that is easy to discharge the foreign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is further provided to open or close the drain pipe.
또한,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의 결합을 위한 클램프(Clamp)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을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filter housing having a guide for easily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characterized in that a clamp for coupling the main body and the cover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은 평상시(필터링시)에도 가이드부에 이물질이 잘 끼지 않으며, 가이드부의 청소시에도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The filter housing including the guide part which is easy to discharge the foreign ma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asily stick to the guide part even during normal (filtering), it is easy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even when cleaning the guide part.
도 1은 종래 필터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필터 하우징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의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에서 필터가 제거된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의 필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에서 유체가 필터링 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ilter housing.
2 is a view showing a guide portion of a conventional filter housing.
3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a filter housing including a guide part which is easy to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ior in which a filter is removed from a filter housing including a guide part which is easy to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filter of a filter housing having a guide part which is easy to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guide part of a filter housing including a guide part for easily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luid is filtered in a filter housing including a guide part which is easy to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 filter housing having a guide portion that is easy to discharge foreign mat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의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에서 필터가 제거된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의 필터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a filter housing including a guide part for easily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guide part for easily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ior in which a filter is removed from a filter housing including a filter housing, and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filter of a filter housing including a guide part for easily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은 필터(50), 본체(10) 및 덮개(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to 5, the filter housing including the guide unit for easily discharging the foreign matt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필터(50)는 오염된 물이나 세정액 등을 깨끗하게 필터링 하는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길이방향 내부를 따라 상방으로 개방된 내측홈(52)이 형성된다. 그리고 필터(50)의 길이방향 상측 테두리에는 후술하는 커버부(30)의 결합 안내부(35)에 고정되도록 필터 결합부(53)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필터 결합부(53)의 외측 상방으로 손잡이부(54)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부(54)를 잡고 필터(50)를 본체(10)의 가이드부(20)로 용이하게 삽입 또는 탈거시키도록 구성된다.The
본체(10)는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필터(50)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상방으로 개방된 공간부(11)가 형성되며, 유입구(12), 배출구(14), 가이드부(20), 커버부(30), 연결관(37), 다리부(40) 및 드레인관(45)을 구비한다.The
유입구(12)는 본체(10)의 측방에 관통 형성되어, 외부의 유체를 공간부(11)로 유입시킨다. 그리고 배출구(14)는 본체(10)의 하방에 관통 형성되어, 공간부(11)로 유입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킨다.The
가이드부(20)는 본체(10)의 공간부(11)에 구비되어, 필터(50)가 본체(10) 내부에 위치되도록 가이드 하는 것으로, 필터(50) 카트리지의 필터(50)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필터(50)의 개수에 따라 한 개 또는 다수 개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20)는 필터(50)에서 필터링된 유체 또는 청소시 사용되는 세척액 또는 청소시 발생되는 이물질 등이 가이드부(20)의 외측으로 용이하게 방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는 하기 도 6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커버부(30)는 공간부(11)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도록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부(30)에서 필터(50)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삽입공(32)이 형성되어, 필터(50)가 삽입공(32)을 통하여 가이드부(20)에 수용된다. 이때, 커버부(30)의 삽입공(32)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으로 가이드부(20)에 수용된 필터(50)가 고정되도록 결합 안내부(35)가 형성되며, 필터(50)의 상측 테두리에는 상기 결합 안내부(35)에 끼움 결합되는 필터 결합부(5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20)는 결합 안내부(35)에 용접 결합된다.The
연결관(37)은 본체(10)의 공간부(11)에 위치되어, 일측은 유입구(12)와 연결되고, 타측은 커버부(30)의 상방으로 관통 위치된다. 이를 위하여 커버부(30)에서 연결관(37)의 타측과 마주보는 위치에는 유입공(34)이 천공된다.The
다리부(40)는 본체(10)가 지면에서 이격 위치되도록 다수 개가 상기 본체(10)의 외측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그 길이방향 하측 단부가 지면에 지지되면서 본체(10)를 상방으로 이격시킨다.
드레인관(45)은 일측은 배출구(14)와 연결되고, 타측은 다리부(40)에 의하여 지면에서 이격된 본체(10) 외측 하방에 위치되어, 배출구(14)에서 배출되는 유체가 신속하게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다리부(40)에 의하여 본체(10)가 지면에서 이격 위치되므로, 드레인관(45)이 본체(10) 외측 하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10) 내부의 유체가 중력에 의하여 본체(10) 하측에 형성된 배출구(14)로 용이하게 모이게 되며, 이렇게 배출구(14)로 모인 유체는 드레인관(45)를 통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한편, 드레인관(45)에는 이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밸브(47)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덮개(60)는 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부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본체(10)와 덮개(60)를 결합시키는 별도의 결합수단, 예를 들면 덮개(60)가 본체(10)와 긴밀하고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본체(10)의 개방된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클램프(Clamp)(65) 등의 결합수단이 구비되고, 덮개(60)에서 클램프(65)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걸림부(62)가 형성되어, 클램프(65)가 상기 걸림부(62)에 용이하게 걸림 결합될 수 있다.
The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이드부(20)는 필터(50)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데,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가이드부(20)는 필터(50)의 형태에 따라 원형 링 또는 다각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호 수평하게 이격되는 다수 개의 링부(22)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길이방향 측부는 다수 개의 링부(22)의 둘레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고, 길이방향 단부는 상기 커버부(30)의 결합 안내부(35)에 용접결합 등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연결부(24)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다수 개의 링부(22) 중 최하단에 위치된 링부(22)를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받침부(26)를 포함한다. 그리고 다수 개의 링부(22), 연결부(24) 및 받침부(26)에 의하여 가이드부(20)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필터(50)가 수용된다. 그리고 필터(50)에서 필터링된 유체 또는 청소시 발생되는 이물질 또는 청소에 사용되는 세척액 등은 링부(22)와 링부(22) 사이의 넓은 공간으로 용이하게 빠져나오게 된다.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guide part of a filter housing including a guide part for easily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이처럼 본 발명은 가이드부(20)의 링부(22)와 링부(22) 사이의 넓은 공간을 통하여 이물질이 그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므로, 필터(50)에서 필터링된 유체가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되며, 청소시 발생되는 이물질이 가이드부(20) 외측으로 용이하게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as it is through the wide space between the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에서 유체가 필터링 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luid is filtered in a filter housing including a guide part which is easy to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은 유입구(12) 및 연결관(37)을 통하여 본체(10)의 커버부(30) 상부로 유체가 유입되며, 이렇게 유입된 유체는 그 수압에 의하여 필터(50)의 내측홈(52)으로 모인 후, 필터(50) 외측으로 필터링되며, 이렇게 필터링 된 유체는 가이드부(20)의 링부(22) 사이의 넓은 공간을 통하여 본체(10)의 하방으로 이동된 후, 배출구(14) 및 드레인관(45)을 통하여 본체(10)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ilter housing having a guide portion that facilitates the discharge of foreign matter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luid to the
이처럼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는 달리 평상시(필터링시)에도 가이드부(20)에 이물질이 잘 끼지 않으며, 가이드부(20)의 청소시에도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foreign matter is not easily caught in the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본체 11: 공간부
12: 유입구 14: 배출구
20: 가이드부 22: 링부
24: 연결부 26: 받침부
30: 커버부 32: 삽입공
34: 유입공 35: 결합 안내부
37: 연결관 40: 다리부
45: 드레인관 47: 드레인밸브
50: 필터 52: 내측홈
53: 필터 결합부 54: 손잡이부
60: 덮개 62: 걸림부
65: 클램프10: main body 11: space
12: inlet 14: outlet
20: guide portion 22: ring portion
24: connecting portion 26: supporting portion
30: cover 32: insertion hole
34: inlet hole 35: coupling guide
37: connector 40: leg portion
45: drain pipe 47: drain valve
50: filter 52: inner groove
53: filter coupling portion 54: handle portion
60: cover 62: engaging portion
65: clamp
Claims (6)
상방으로 개방된 빈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로 유체를 유입시키는 유입구와, 상기 공간부로 유입된 유체를 배출시키는 배출구와, 상기 공간부에 위치되어 상기 필터를 수용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공간부의 개방된 상방을 커버하되 상기 필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필터가 삽입되도록 삽입공이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본체;
일측은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커버부의 상방으로 관통 위치되는 연결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개폐가능하도록 위치되는 덮개; 및
상기 본체가 지면에서 이격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외측에서 하방으로 다수 개의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필터의 형태에 따라 원형 링 또는 다각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호 수평하게 이격되는 다수 개의 링부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길이방향 측부는 상기 다수 개의 링부의 둘레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고, 길이방향 단부는 상기 커버부와 연결되는 다수 개의 연결부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다수 개의 링부 중 최하단에 위치된 링부를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본체의 하단에 위치되며,
상기 배출구에서 상기 본체 외측 하방으로 드레인관이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관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개폐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
A filter having an inner groove open upward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empty space portion opened upward, an inlet for introducing fluid into the space portion, an outlet for discharging fluid introduced into the space portion, a guide portion positioned in the space portion to accommodate the filter, and an opening of the space portion A main body including a cover part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part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to insert the filt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lter;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inlet,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through pipe portion;
A cover positioned to be opened and cl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legs downwar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main body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he guide unit,
A plurality of ring parts are formed in a circular ring or polygonal ring shape and are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side parts are vertically connect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lurality of ring parts. The longitudinal end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connected to the cover portion, and one or more supporting portion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ross the ring portion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ring portions,
The outlet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body,
A drain pipe is formed below the main body outside the discharge port,
Filter housing having a guide easy to discharge the foreign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is further provided to open or close the drain pipe.
상기 필터의 상기 내측홈의 개방된 상부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
The method of claim 1,
A filter housing having a guide part for easily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wherein a handle part is formed at an open upper portion of the inner groove of the filter.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의 결합을 위한 클램프(Clamp)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배출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필터 하우징.The method of claim 1,
A filter housing having a guide for easily discharging foreign matters, characterized in that a clamp is provided for coupling the body and the cov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7946A KR101276435B1 (en) | 2011-06-15 | 2011-06-15 | Filter Housing Having Guide Por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7946A KR101276435B1 (en) | 2011-06-15 | 2011-06-15 | Filter Housing Having Guide Por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8463A KR20120138463A (en) | 2012-12-26 |
KR101276435B1 true KR101276435B1 (en) | 2013-06-19 |
Family
ID=47905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7946A Active KR101276435B1 (en) | 2011-06-15 | 2011-06-15 | Filter Housing Having Guide Por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76435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4645Y1 (en) * | 2006-07-27 | 2006-12-26 | 미래환경기술(주) | Pouch filter |
KR20110026702A (en) * | 2009-09-08 | 2011-03-16 | 웅진에너지 주식회사 | Filtering apparatus and ingot manufacturing equipment comprising the same |
-
2011
- 2011-06-15 KR KR1020110057946A patent/KR10127643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4645Y1 (en) * | 2006-07-27 | 2006-12-26 | 미래환경기술(주) | Pouch filter |
KR20110026702A (en) * | 2009-09-08 | 2011-03-16 | 웅진에너지 주식회사 | Filtering apparatus and ingot manufacturing equipment compri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8463A (en) | 2012-1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083458B1 (en) | Wastewater treatment system outlet filter cleaner | |
CN113784773A (en) | Water filtration method and system | |
KR20120138464A (en) | O-ring, filter cartridge having the same and filter housing having the same | |
KR101276435B1 (en) | Filter Housing Having Guide Portion | |
KR100675915B1 (en) | Water purification device | |
KR101010365B1 (en) | Valley Water Filter | |
KR101755113B1 (en) | Grease Trap | |
KR102075304B1 (en) | Portable filter for taking measured water | |
JP4890341B2 (en) | Flowing rainwater filtration device | |
KR101212948B1 (en) | Grease Trap | |
KR20100047777A (en) | Debris Removal Device in Live Fish Tank | |
KR101616225B1 (en) | Sludge removal device with cleaning filter | |
KR101339990B1 (en) | Cleaning apparatus for water conditioner filter | |
KR20140052597A (en) | Apparatus for rainwater treatment with float and screen | |
CN206345688U (en) | Pottery art sewage-treatment plant | |
KR200431109Y1 (en) | Rain shower with foreign matter filtering function | |
KR20080088175A (en) | washer | |
KR20190105887A (en) | Dish washer | |
KR20120112914A (en) | Filter housing having fluid pathway in cover | |
KR20100050279A (en) | Initial rain filtering device | |
KR100899071B1 (en) | Turbidity Eliminator | |
KR200409958Y1 (en) | Water purification device | |
KR102458595B1 (en) | Apparatus for washing of vessel | |
KR102309961B1 (en) | A drain trap for washhand stand | |
KR102632302B1 (en) | Simple filtra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6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