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72332B1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332B1
KR101272332B1 KR1020060070182A KR20060070182A KR101272332B1 KR 101272332 B1 KR101272332 B1 KR 101272332B1 KR 1020060070182 A KR1020060070182 A KR 1020060070182A KR 20060070182 A KR20060070182 A KR 20060070182A KR 101272332 B1 KR101272332 B1 KR 101272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conductive
connector
film
conductive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0122A (ko
Inventor
성시덕
고병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0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332B1/ko
Priority to US11/761,905 priority patent/US7884540B2/en
Publication of KR20080010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33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6Electr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어 있는 주변 영역을 갖는 표시 패널, 표시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는 발광층,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박막 트랜지스터에 게이트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표시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표시 영역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구동 전압 패드,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표시 영역에 공통 전압을 인가하는 공통 전압 패드, 외부 전압원과 연결되어 있는 메인 커넥터, 그리고 구동 전압 패드와 공통 전압 패드 중의 적어도 하나와 메인 커넥터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막을 포함하는 가요성 필름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간결한 구조를 가져 모듈화가 용이하며, 기준 전압 강하 현상이 개선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가요성 필름, 도전막, 전압 입력부, 메인 커넥터, 커넥터 도전막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등가 회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요부 평면도이고,
도 4는 도3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Ⅳ-Ⅳ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Ⅶ-Ⅶ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발광층 20: 공통전극
100: 표시패널 110: 게이트 구동부
120: 메인 구동부 122: 데이터 구동부
124: 연성 부재 126: 회로 기판
140: 구동 전압 패드 150: 공통 전압 패드
160, 161, 162: 가요성 필름 163, 164: 도전막
165, 166: 절연막 170: 이방성 도전 필름
200: 봉지 기판 300: 패널 커버
310: 전압 입력부 320, 321, 322: 메인 커넥터
323, 324: 바텀부 326, 327: 커넥터 도전막
330, 331: 바디부 333, 334: 회동 커버
336: 회동축 337: 결합홈
340, 341, 342: 케이블 커넥터 350, 351: 케이블
352: 금속 배선 354: 절연 피복
400: 회로 기판 커버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 중 저전압 구동, 경량 박형, 광시야각 그리고 고속응답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최근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display)가 주목 받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화상을 형성하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의 절연 기판에는 하나의 화소를 형성하기 위하여 게이트선과 데이터선의 교차점에 형성되어 있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와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구동 전압선에 연결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연 기판의 가장 자리에는 공통 전극에 인가되는 기준 전압에 해당하는 공통 전압과 구동 전압선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 공급 패드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대형화 되고 고해상도를 위하여 화소의 수가 증가할수록 공통 전압 및 구동 전압 역시 충분한 양이 공급되어야 한다. 현재, 안정적인 전원 공급과 기판 전체의 균일성의 향상을 위하여 공통 전압 또는 구동 전압을 구동부와 별도로 마련된 PCB(Printed Circuit Board) 및 FPC(Flexible Printed Circuit)를 사용하여 표시 패널의 가장 자리에서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복수의 PCB를 사용할 경우 PCB 설치에 따른 제조 비용의 증가 및 복잡한 PCB 구조로 인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모듈화 작업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PCB를 사용하는 경우 저항 증가로 인하여 전압 강하 현상이 증가하기 때문에 구동 전압선 또는 공통 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증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간결한 구조를 가져 모듈화 가 용이하며, 전압 강하 현상이 개선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어 있는 주변 영역을 갖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는 발광층,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게이트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표시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 영역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구동 전압 패드,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 영역에 공통 전압을 인가하는 공통 전압 패드, 외부 전압원과 연결되어 있는 메인 커넥터, 그리고 상기 구동 전압 패드와 상기 공통 전압 패드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메인 커넥터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막을 포함하는 가요성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도전막은, 상기 구동 전압 패드와 상기 메인 커넥터 사이를 연결하는 제1 도전막, 그리고 상기 공통 전압 패드와 상기 메인 커넥터 사이를 연결하는 제2 도전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을 보호 및 지지하는 패널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커넥터는 상기 표시 패널 커버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가요성 필름은 상기 도전막의 양면을 덮고 있는 절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필름은 양 단에서 상기 도전막이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도전막은 양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의 일단 및 다른 어느 하나의 면의 타단이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도전막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도전막은 도전성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금속은 알루미늄, 은 및 구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커넥터는 상기 가요성 필름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메인 커넥터는, 상기 도전막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 도전막이 형성되어 있는 바텀부, 상기 바텀부 위에 형성되어 있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회동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도전막은 판형의 도전성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금속은 알루미늄, 은 및 구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막은, 상기 구동 전압 패드와 상기 메인 커넥터 사이를 연결하는 제1 도전막, 그리고 상기 공통 전압 패드와 상기 메인 커넥터 사이를 연결하는 제2 도전막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도전막은, 상기 제1 도전막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커넥터 도전막 및 상기 제2 도전막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커넥터 도전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케이블 커넥터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전압 패드와 상기 가요성 필름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이방성 도전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패널 커버 사이에 상기 표시 영역을 덮도록 마련되는 봉지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빛은 상기 패널 커버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으로 출사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 고,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등가 회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요부 평면도이고, 도 4는 도3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Ⅳ-Ⅳ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평면도, 및 도 7은 도 6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Ⅶ-Ⅶ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A)을 덮는 봉지 기판(200), 및 표시 패널(100)을 보호 및 지지하는 패널 커버(300)를 포함한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회로 기판(126)이 패널 커버(300) 상부에 위치할 때, 회로 기판(126)을 보호하기 위한 회로 기판 커버(400)를 더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A)과 표시 영역(A) 외곽의 주변 영역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A)에는 복수의 신호선(121, 171, 172)과 이들에 연결되어 있으며 대략 행렬(matrix)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pixel)가 형성되어 있다.
신호선은 게이트 신호(또는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게이트선(gate line)(121),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data line)(171) 및 구동 전압을 전달하는 복수의 구동 전압선(driving voltage line)(172)을 포함한다. 게이트선(121)은 대략 행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고 데이터선(171) 과 구동 전압선(172)은 대략 열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각 화소(PX)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itching transistor)(Qs), 구동 트랜지스터(driving transistor)(Qd), 유지 축전기(storage capacitor)(Cst)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LD)를 포함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s)는 제어 단자(control terminal), 입력 단자(input terminal) 및 출력 단자(output terminal)를 가지는데, 제어 단자는 게이트선(121)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데이터선(171)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구동 트랜지스터(Qd)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s)는 게이트선(121)에 인가되는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선(171)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구동 트랜지스터(Qd)에 전달한다.
구동 트랜지스터(Qd) 또한 제어 단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지는데, 제어 단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s)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구동 전압선(172)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LD)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Qd)는 제어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는 출력 전류(ILD)를 흘린다.
축전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제어 단자와 입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이 축전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제어 단자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충전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Qs)가 턴 오프(turn-off)된 뒤에도 이를 유지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LD)는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 는 애노드(anode)와 공통 전압(Vss)에 연결되어 있는 캐소드(cathode)를 가진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LD)는 구동 트랜지스터(Qd)의 출력 전류(ILD)에 따라 세기를 달리하여 발광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Qs) 및 구동 트랜지스터(Qd)는 n-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이다. 그러나 스위칭 트랜지스터(Qs)와 구동 트랜지스터(Qd) 중 적어도 하나는 p-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Qs, Qd), 축전기(Cst)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LD)의 연결 관계가 바뀔 수 있다.
한편, 주변 영역에는 구동 전압선(172)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태의 구동 전압 패드(140)가 형성되어 있으며, 공통 전극(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의 공통 전압 패드(150)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 전압 패드(140)는 표시 영역(A)을 사이에 두고 데이터 구동부(122)의 맞은 편의 주변 영역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구동 전압 패드(140)는 일측에 부착된 가요성 필름(160)의 제1 도전막(163)을 통해 인가되는 소정 레벨의 기준 전압의 하나인 구동 전압을 구동 전압선(172)에 인가한다.
공통 전압 패드(150)는 표시 영역(A)을 사이에 두고 게이트 구동부(110)의 맞은 편의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공통 전압 패드(150)는 일측에 부착된 가요성 필름(160)의 제2 도전막(164)을 통해 인가되는 소정 레벨의 기준 전압의 하나인 공통 전압을 공통 전극(20)에 인가한다. 도 1 및 도 3에는 마치 공통 전극(20)과 공통 전압 패드(150)가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공통 전극(20)과 공통 전압 패드(150)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브릿지 전극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양 전압 패드(140, 150)는 게이트 금속 물질과 같은 배선 형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배선 형성 물질뿐만 아니라 전도성이 있는 어떠한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ITO 또는 IZO(Indium Zinc Oxide)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압 패드(140, 150)의 위치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주변 영역 내에서 그 위치의 변형이 가능하다.
공통 전압 패드(150)가 형성되어 있는 주변 영역의 맞은 편 주변 영역에는 게이트 구동부(11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구동 전압 패드(140)가 형성되어 있는 주변 영역의 맞은편 주변 영역에는 게이트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메인 구동부(120)가 장착되어 있다.
게이트 구동부(110)는 메인 구동부(120)의 회로 기판(126)으로부터 수신된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선(121)에 전달한다. 게이트 구동부(110)는 COG(chip on glass) 방식으로 표시 패널(100)에 실장 되어 있다. 게이트 구동부(110)가 칩의 형태로 표시 패널(100)에 실장되는 경우, 회로 기판(126)으로부터 출력된 게이트 온/오프 전압은 데이터 구동부(122) 및 표시 패널(100) 상에 형성되어 있는 배선 패턴(미도시)을 통해 게이트 구동부(110)에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게이트 구동부(110)에 연결되어 있는 별도의 회로 기판을 포함하지 않는다.
한편 이와 달리 게이트 구동부(110)는 칩이 아닌 각 게이트선(121)의 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시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시프트 레지스터는 표시 패널(10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신호 배선 형성시 표시 패널(100)에 직접 형성한다. 게이트 구동부(110)가 시프트 레지스터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게이트선(121)에 인가되는 게이트 온/오프 전압 및 각종 표시 신호는 전기 배선을 통해 시프트 레지스터에 직접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별도의 회로 기판이 요구되지 않는다.
반면 위와 달리 게이트 구동부(110)는 인근에 마련된 별도의 회로 기판을 통해 게이트 온/오프 전압 및 각종 표시 신호를 전달받을 수 도 있다.
메인 구동부(120)는 데이터 구동부(122), 연성 부재(124) 및 회로 기판(126)을포함한다.
데이터 구동부(122)는 연성 부재(124)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회로 기판(126)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선(171)에 인가한다.
연성 부재(124)는 회로 기판(126)과 표시 패널(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연성 부재(124)는 표시 패널(100), 회로 기판(126)에 각각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연성 부재(124)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 쉽게 변형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연성 부재(124)에는 데이터 구동부(122)를 표시 패널(100)과 회로 기판(126)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회로 기판(126)은 연성 부재(124)를 통해 데이터 구동부(122)에 연결되어 있으며 게이트 전압, 데이터 전압 등 표시 영역(A)에 제공될 각종 전압을 생성하는 전압 생성부 및 게이트 구동부(110)와 데이터 구동부(122)에 제공되는 각종 표시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회로 기판(126)은 계조 전압을 생성하는 부분과 표시 신호를 받는 부분으로 분리되어 복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데이터 구동부(122)에 연결되어 있는 회로 기판(126)은 복수 개로 마련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회로 기판(126)의 소정 영역에는 외부의 전압원 및 영상 신호를 공급받기 위한 외부 전압 입력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 전압원 및 영상 신호는 외부 전압 입력부(131)에 연결된 신호 케이블(미도시)에 의하여 회로 기판(126)에 입력된다.
회로 기판(126)은 표시 패널(100)이 완성된 후, 빛이 출사되어 영상이 표시되는 면의 반대면으로 접혀 있다. 즉, 데이터 구동부(122)에 연결된 회로 기판(126)은 배면으로 발광하는 표시 패널(100)의 상부면으로 절곡되어 패널 커버(300)의 상부에 위치한다(도6 참조).
표시영역(A) 내의 게이트선(121) 및 데이터선(171)은 주변 영역으로 연장되어 게이트 구동부(110) 및 데이터 구동부(122)와 연결된다. 연결 부분에는 연장된 게이트선(121)의 배선 간격이 점점 좁아지는 게이트 팬아웃부(113)와 데이트선(171)의 배선 간격이 점점 좁아지는 데이터 팬아웃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양 전압 패드(140, 150)가 서로 이웃하는 각 단부에는 가요성 필름(160)의 일단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한편 가요성 필름(160)의 타단은 전압 입력부(310)의 메인 커넥터(3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도 6 참조).
가요성 필름(160)은 상호 이격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 긴 직사 각형 형상의 박막인 제1 도전막(163)과 제2 도전막(164) 그리고 이들(163, 164)의 양면을 덮고 있는 절연막(165)을 포함한다.
도전막(163, 164)은 전기 전도도가 우수하여 저항이 낮은 도전성 금속이며, 알루미늄, 은 및 구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종래의 절연막(165)에 덮혀 있는 도전체를 미세 배선 대신 직사각형 형상의 박막인 도전막(163, 164)으로 구성하면 단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전기 저항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전압 강하 현상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절연막(165)은 플렉시블(flexible)한 절연 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절연막(165)은 제1 도전막(163)과 제2 도전막(164)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고, 도전막(163, 164)의 간격을 일정하게 고정하고 있다.
도전막(163, 164)은 양면 중 한 면의 일단 및 다른 한 면의 타단에서 절연막(165)이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도 4 참조). 따라서 제1 도전막(163)의 양 면 중 한 면의 일단은 구동 전압 패드(140)의 일단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2 도전막(164)의 양 면 중 한 면의 일단은 공통 전압 패드(150)의 일단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도전막(163, 164)의 다른 한 면의 각 타단은 메인 커넥터(320)의 각 커텍터 도전막(326, 327)에 대응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가요성 필름(160)과 전압 패드(140, 150) 사이의 구체적인 결합은 제2 도전막(164)과 공통 전압 패드(150)를 일 예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제2 도전막(164)의 한 면의 일단과 접촉하 는 공통 전압 패드(150) 위에는 이방성 도전 필름(170)이 형성되어 있다. 이방성 도전 필름(170)은 공통 전압 패드(150)와 제2 도전막(164) 간의 전기적 접촉 효율을 향상시키고, 물리적인 충격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공통 전압 패드(150)와 가요성 필름(160)의 제2 도전막(164)의 연결 과정은 공통 전압 패드(150) 상에 이방성 도전 필름(170) 및 제2 도전막(164)의 노출된 일단을 배열하고, 제2 도전막(164)의 일단의 위에서 압력을 가하는 프레스 과정을 통해 수행된다.
표시 패널(100)의 상부 면에는 봉지 기판(200)이 접합되어 있다.
봉지 기판(200)은 표시 패널(100)의 상부의 표시 영역(A)에 대응되도록 정렬된 후, 표시 패널(100)에 접합된다. 봉지 기판(200)은 발광층(10)에 수분 및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발광층(10)의 열화를 방지한다. 표시 패널(100)의 가장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20)과 봉지 기판(200) 사이에는 유기물질 및/또는 무기물질로 이루어진 차단층 및/또는 보호층이 형성될 수 있다. 차단층 및/또는 보호층은 열 또는 빛에 의하여 경화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는 표시 패널(100)과 봉지 기판(200)이 용이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한다.
봉지 기판(200) 위에는 패널 커버(300)가 형성되어 있다.
패널 커버(300)는 표시 패널(100)에 봉지 기판(200)이 접합되고, 회로 기판(126) 및 가요성 필름(160)이 연결된 후에 봉지 기판(200)의 위에 형성된다. 패널 커버(300)는 표시 패널(100)을 포장하여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표시 패널(100)을 지지하여 표시 패널(10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패널 커버(300)는 표시 패널(100) 위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신호 배선 및 전압 패드(140, 150)와 전기적으 로 통하지 않도록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다. 패널 커버(300)는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좋은 절연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 커버(300)는 회로 기판(126)이 위치하는 부분에 소정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보다 얇게 형성하기 위하여 회로 기판(126)이 놓이게 될 부분에는 패널 커버(300)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이로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보다 가벼워지고 제조 원가 또한 감소한다.
패널 커버(300)에는 전압 입력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전압 입력부(310)는 케이블(350, 351)을 통해 외부 전압원(미도시)에 의해 생성된 기준 전압인 소정 레벨의 공통 전압과 구동 전압을 가요성 필름(160)을 통해 각각 구동 전압 패드(140) 및 공통 전압 패드(150)에 입력한다. 전압 입력부(310)는 메인 커넥터(320) 및 메인 커넥터(3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케이블 커넥터(340)를 포함한다.
메인 커넥터(320)에는 표시 패널(100)의 상부 면으로 절곡된 가요성 필름(160)의 타단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메인 커넥터(320)는 바텀부(323), 바디부(330), 회동 커버(333)를 포함한다.
바텀부(323)에는 전기 저항을 줄이기 위해 미세 배선 패턴 대신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호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커넥터 도전막(326, 327)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커넥터 도전막(326)은 제1 도전막(163)에 연결되어 구동 전압을 구동 전압 패드(140)에 전달한다. 제2 커넥터 도전막(327)은 제2 도전막(164)에 연결되어 공통 전압을 공통 전압 패드(150)에 전달한다.
커넥터 도전막(326, 327)도 도전막(163, 164)과 마찬가지로 전기 전도도가 우수하여 저항이 낮은 도전성 금속이며, 알루미늄, 은 및 구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부(330)는 바텀부(323)의 일변을 제외한 나머지 세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바텀부(323) 위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바디부(330)의 내측에는 회동축(336)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회동 커버(333)가 형성되어 있다.
회동 커버(333)가 개방된 상태에서 가요성 필름(160)의 도전막(163, 164)의 타단은 대응되는 커넥터 도전막(326, 327)에 각각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후 회동 커버(333)가 회동하여 잠금 상태가 되면 회동 커버(333)가 가요성 필름(160)을 가압함으로써 가요성 필름(160)의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도전막(163, 164)과 커넥터 도전막(326, 327)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지속적으로 보장한다.
메인 커넥터(320)의 후방에는 커넥터 도전막(326, 327)의 일부가 돌출되어 있는 결합홈(337)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홈(337)을 통해 케이블 커넥터(340)가 메인 커넥터(3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케이블 커넥터(340)의 후방에는 구동 전압 케이블(350) 및 공통 전압 케이블(351)의 일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각 케이블(350, 351)은 금속 배선(352)과 금속 배선(352)을 덮고 있는 절연 피복(354)을 포함한다. 각 케이블(350, 351)의 금속 배선(352)은 각각 커넥터 도전막(326, 327)에 대응되게 결합되어 있다.
각 케이블(350, 351)의 타단은 외부 전압원(미도시)에 연결되어 있어 외부 전압원으로부터 생성된 기준 전압이 순차적으로 금속 배선(352), 커넥터 도전막(326, 327), 도전막(163, 164) 및 전압 패드(140, 150)에 각각 인가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경우 발광층(10)으로부터의 빛은 패널 커버(300)가 마련되어 있지 않는 표시 패널(100)의 배면으로 출사된다. 따라서, 가요성 필름(160)에 연결된 전압 입력부(310)와 절곡된 회로 기판(126)은 패널 커버(3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전압 입력부(310)는 구동 전압 패드(140)와 공통 전압 패드(150) 모두에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압 입력부(310)가 전압 패드(140, 150)에 인접하게 위치하면 전압 입력부(310) 및 전압 패드(140, 150)에 연결되는 가요성 필름(160)의 길이가 짧아져 저항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전기적 신호의 전달 역시 신속해지며 전압 강하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회로 기판 커버(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커버(3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회로 기판(126)을 보호한다. 회로 기판 커버(400)는 통상적으로 절연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얇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나사 또는 소정의 결합부(미도시)에 의하여 패널 커버(300)에 고정된다. 전압 입력부(310)의 위에도 회로 기판 커버(400)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별도 커버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공통 전압 및 구동 전압을 입력하는 전압 입력부(310)는 회로 기판(126)에 실장되어 있었다. 회로 기판(126)을 통해 입력된 공통 전압과 구동 전압은 복수의 가요성 필름 및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통하여 각 전압 패드(140, 150)에 전달되었다. 이처럼 복수의 매개체를 통하여 전압이 전달될 경우 저항에 의하여 전압 강하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복수의 PCB에 의하여 표시 패널(100)의 측면이 구조적으로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를 경우 공통 전압 및 구동 전압을 입력하는 간단한 구조의 별도의 전압 입력부(310)를 전압 패드(140, 150)와 인접한 영역의 패널 커버(300)에 배치함으로써 전원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00)의 측면이 구조적으로 간단히 정리되어 표시 패널(100)의 포장이 쉬어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모듈화 작업이 용이해지며, 저항이 감소되어 전압 강하 현상이 개선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해 도 8 및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처럼 하나의 절연막(165)이 제1 도전막(163)과 제2 도전막(164)을 모두 덮고 있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절연막(166)이 제1 도전막(163) 과 제2 도전막(164)을 따로 덮고 있다. 즉 가요성 필름(161, 162)이 하나가 아니라 2개로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메인 커넥터(321, 322) 및 케이블 커넥터(341, 342)도 2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 메인 커넥터(321, 322)의 각 바텀부(324), 바디부(331), 회동커버(334)의 크기가 가요성 필름(161, 162)에 맞추어 변경되었으며, 케이블 커넥터(341, 342)의 크기도 이에 따라 변경되어 있다.
가요성 필름(161, 162)이 상호 완전히 분리되면 구동 전압 패드(140) 및 공통 전압 패드(150)의 이웃하는 단부가 아닌 다른 위치에 각 가요성 필름(161, 162)을 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간결한 구조를 가져 모듈화가 용이해며, 전기저항이 감소하여 기준 전압 강하 현상이 개선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18)

  1.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어 있는 주변 영역을 갖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는 발광층,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게이트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표시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 영역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구동 전압 패드,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 영역에 공통 전압을 인가하는 공통 전압 패드,
    외부 전압원과 연결되어 있는 메인 커넥터,
    상기 구동 전압 패드와 상기 공통 전압 패드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메인 커넥터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막을 포함하는 가요성 필름,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을 보호 및 지지하는 패널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커넥터는 상기 패널 커버에 부착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도전막은,
    상기 구동 전압 패드와 상기 메인 커넥터 사이를 연결하는 제1 도전막, 그리고 상기 공통 전압 패드와 상기 메인 커넥터 사이를 연결하는 제2 도전막을 포함하 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가요성 필름은 상기 도전막의 양면을 덮고 있는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가요성 필름은 양 단에서 상기 도전막이 노출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도전막은 양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의 일단 및 다른 어느 하나의 면의 타단이 노출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도전막은 직사각형 형상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도전막은 도전성 금속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도전성 금속은 알루미늄, 은 및 구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메인 커넥터는 상기 가요성 필름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메인 커넥터는,
    상기 도전막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 도전막이 형성되어 있는 바텀부,
    상기 바텀부 위에 형성되어 있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회동 커버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커넥터 도전막은 판형의 도전성 금속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도전성 금속은 알루미늄, 은 및 구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4. 제11항에서,
    상기 도전막은,
    상기 구동 전압 패드와 상기 메인 커넥터 사이를 연결하는 제1 도전막, 그리고 상기 공통 전압 패드와 상기 메인 커넥터 사이를 연결하는 제2 도전막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도전막은,
    상기 제1 도전막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커넥터 도전막 및
    상기 제2 도전막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커넥터 도전막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제1항에서,
    상기 메인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케이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6. 제1항에서,
    상기 전압 패드와 상기 가요성 필름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이방성 도전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7. 제1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패널 커버 사이에 상기 표시 영역을 덮도록 마련되는 봉지 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8. 제1항에서,
    상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빛은 상기 패널 커버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으로 출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060070182A 2006-07-26 2006-07-26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ctive KR101272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182A KR101272332B1 (ko) 2006-07-26 2006-07-26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761,905 US7884540B2 (en) 2006-07-26 2007-06-12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with flexible conductive fil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182A KR101272332B1 (ko) 2006-07-26 2006-07-26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122A KR20080010122A (ko) 2008-01-30
KR101272332B1 true KR101272332B1 (ko) 2013-06-07

Family

ID=38985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182A Active KR101272332B1 (ko) 2006-07-26 2006-07-26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84540B2 (ko)
KR (1) KR1012723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6271A (ko) * 2006-08-18 200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441630B1 (ko) * 2008-02-12 2014-09-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엑스레이 검출기 및 이의 제조방법
US8372726B2 (en) * 2008-10-07 2013-02-12 Mc10, Inc. Methods and applications of non-planar imaging arrays
US8389862B2 (en) 2008-10-07 2013-03-05 Mc10, Inc. Extremely stretchable electronics
US8886334B2 (en) 2008-10-07 2014-11-11 Mc10,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ing stretchable or flexible electronics for medical applications
US9123614B2 (en) 2008-10-07 2015-09-01 Mc10, Inc. Methods and applications of non-planar imaging arrays
WO2010042653A1 (en) * 2008-10-07 2010-04-15 Mc10, Inc. Catheter balloon having stretchable integrated circuitry and sensor array
US8097926B2 (en) 2008-10-07 2012-01-17 Mc10,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having stretchable integrated circuitry for sensing and delivering therapy
WO2011041727A1 (en) 2009-10-01 2011-04-07 Mc10, Inc. Protective cases with integrated electronics
US20110218756A1 (en) * 2009-10-01 2011-09-08 Mc10,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formal sensing of force and/or acceleration at a person's head
EP2712491B1 (en) 2011-05-27 2019-12-04 Mc10, Inc. Flexible electronic structure
CN102244088B (zh) * 2011-06-29 2013-07-31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oled屏体封装方法
US9171794B2 (en) 2012-10-09 2015-10-27 Mc10, Inc. Embedding thin chips in polymer
JP2014192149A (ja) 2013-03-28 2014-10-06 Japan Display Inc Oled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76687B1 (ko) 2013-10-24 2014-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JP6586706B2 (ja) * 2015-09-17 2019-10-09 子達 朱 画像解析装置、画像解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384040B (zh) * 2018-12-27 2022-03-01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一种Mini LED显示模组及其LED封装结构
KR102783959B1 (ko) 2019-03-22 2025-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3267A (ja) 1999-01-29 2000-08-11 Sony Corp 平面表示素子及びその配線方法
KR20030026861A (ko) * 2001-09-28 2003-04-03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8620A (en) * 1978-03-24 1979-02-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ulti-panel electroluminescent light assembly
US5461202A (en) * 1992-10-05 1995-10-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lexible wiring board and its fabrication method
US6688528B2 (en) * 1997-07-15 2004-02-10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Compact display assembly
US6897855B1 (en) * 1998-02-17 2005-05-24 Sarnoff Corporation Tiled electronic display structure
JP3267274B2 (ja) 1999-08-13 2002-03-18 日本電気株式会社 多層プリント基板
JP4027614B2 (ja) * 2001-03-28 2007-12-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
KR100763407B1 (ko) 2001-08-14 2007-10-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JP2003114413A (ja) 2001-10-02 2003-04-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
US6951465B2 (en) * 2002-01-15 2005-10-04 Tribotek, Inc. Multiple-contact woven power connectors
KR100906961B1 (ko) * 2002-12-30 2009-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디스플레이장치
JPWO2004068445A1 (ja) * 2003-01-30 2006-05-25 東芝松下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3835442B2 (ja) * 2003-09-24 2006-10-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671640B1 (ko) * 2004-06-24 2007-01-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와그의 제조방법
US7679591B2 (en) * 2004-07-09 2010-03-16 Au Optronics Corporatio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JP4306623B2 (ja) * 2005-02-25 2009-08-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移動体の表示モジュール
JP4859401B2 (ja) * 2005-06-29 2012-01-25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
KR101189154B1 (ko) * 2006-06-08 2012-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08021629A (ja) * 2006-07-11 2008-01-31 Samsung Sdi Co Ltd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KR20080016271A (ko) * 2006-08-18 200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3267A (ja) 1999-01-29 2000-08-11 Sony Corp 平面表示素子及びその配線方法
KR20030026861A (ko) * 2001-09-28 2003-04-03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24056A1 (en) 2008-01-31
US7884540B2 (en) 2011-02-08
KR20080010122A (ko) 200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33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08001627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3590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080048948A1 (en) Display device, flexible member, and method thereof
KR100765261B1 (ko) 표시장치
JP4620534B2 (ja) 有機電気発光表示装置
KR960015019A (ko) 표시영역외주의 프레임면적의 축소화에 적합한 액정표시장치
US7939998B2 (en) Display apparatus
US7999466B2 (en) Display device with power generator on panel cov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230100980A1 (en) Adhesive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321568B2 (en) Flexible circuit film having wires of different widths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720143B1 (ko) 디스플레이장치
CN111009755A (zh) 连接器组件和具有该连接器组件的显示设备
US12130510B2 (en)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67965B1 (ko) 연성인쇄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KR20180038618A (ko) 표시 장치
KR102513388B1 (ko) 협 베젤 구조를 갖는 평판 표시 장치
KR102751340B1 (ko) 표시장치
KR100690578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40078245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US11227540B2 (en) Display device
KR100766895B1 (ko) 표시 장치
KR102427764B1 (ko) 표시장치용 구동부 및 그 제조방법
JP4254081B2 (ja) 有機elパネルの駆動装置
KR100733979B1 (ko)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7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7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09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5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