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71831B1 - 폴리아미드 성형 재료 및 투명한 증기-멸균 가능한 성형물과 압출재의 생산을 위한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폴리아미드 성형 재료 및 투명한 증기-멸균 가능한 성형물과 압출재의 생산을 위한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831B1
KR101271831B1 KR1020087020347A KR20087020347A KR101271831B1 KR 101271831 B1 KR101271831 B1 KR 101271831B1 KR 1020087020347 A KR1020087020347 A KR 1020087020347A KR 20087020347 A KR20087020347 A KR 20087020347A KR 101271831 B1 KR101271831 B1 KR 101271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compound
copolyamide
hot
copolyamide molding
transpar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0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1925A (ko
Inventor
프레드리히 세베린 뷸러
랄프 하라
Original Assignee
이엠에스-케미에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649890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7183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엠에스-케미에 아게 filed Critical 이엠에스-케미에 아게
Publication of KR20080101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83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36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 acids,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5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from at least two different diamines or at least two different di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olyamid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성형 재료 또는 코폴리아미드 성형 재료 및 증기-멸균 가능한 투명한 성형품 및 압출재 생산을 위한 상기 폴리아미드 성형 재료 또는 코폴리아미드 성형 재료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아미드 성형 재료는 비스(4-아미노-메틸시클로헥실)메탄(MACM) 35 내지 42 몰%, 이소프탈산(IPS) 35 내지 42몰% 및 라우린 락탐 (LC 12) 16 내지 30 몰%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ACM은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PACM)에 의해 50%까지 대체될 수 있고 그리고 IPA는 테레프탈산(TPA)에 의해 50%까지 대체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 성형 재료는 또한 폴리아미드 12와 코폴리아미드들의 블렌드 또는 코폴리아미드들의 블렌드 일 수 있다. 폴리아미드 성형 재료 또는 코폴리아미드 성형 재료의 상대 점도(RV)는 어떤 경우에도 1.45보다 큰 값으로 조정된다. 상기 폴리아미드 성형 재료 또는 코폴리아미드 성형 재료로 부터 생산되고, 조성이 투명한 성형품 및 압출재에 상응하는 고온 멸균 가능하고 투명한 표준 표본은 140번 이상 및 특히 바람직하게 350번 이상의 증기 멸균 사이클을 거친 후에 신장한계를 넘는 파단 인장 변형률을 가진다.
폴리아미드, 코폴리아미드, 고온-증기-멸균 가능한,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Description

폴리아미드 성형 재료 및 투명한 증기-멸균 가능한 성형물과 압출재의 생산을 위한 이의 용도{POLYAMIDE MOLDING MATERIAL AND ITS USE FOR PRODUCING TRANSPARENT, STEAM-STERILIZABLE MOLDINGS AND EXTRUDATES}
본 발명은 독립항 1의 전반부에 따른, 투명한 고온-증기-멸균 가능한 성형 부재 및 압출재 생산을 위한 폴리아미드 성형 재료뿐만 아니라 독립항 9의 전반부에 따른, 이러한 투명한 고온-증기-멸균 가능한 성형 부재 및 압출재 생산을 위한 폴리아미드 성형 재료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독립항 3의 전반부에 따른 투명한 고온-증기-멸균 가능한 성형 부재뿐만 아니라 독립항 11의 전반부에 따른 투명한 고온-증기-멸균 가능한 성형 부재 및 압출재 생산을 위한 코폴리아미드 성형 부재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물체는 끓는 물(즉, 대략 100℃)에서 또는 포화 수증기(증기 멸균)나 건성가스 대기(열풍 멸균)의 상승된 온도에서 멸균될 수 있다. 고온-증기-멸균은 병원과 실생활에서 가장 안전한 방법이다. 이는 다른 모든 멸균법보다 바람직하다. 121℃의 멸균 온도에서, 15분 이상, 134℃에서, 3분 이상의 활성시간이 유지되어야 한다. 이로부터의 편차는 사전 검증(validation)을 요구한다. 검증요건은 Austrian Norm EN 554에 명시되었다. 고온 증기 멸균과 관련하여, 열풍 멸균은 많은 불안전 한 특성들을 감춘다: 건열로 상대적으로 천천히 멸균 제품에 열전이가 일어나고 멸균 성공은 냉섬(cold islands)의 형성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열풍 멸균에 대한 방법 검증은 가능하지 않다(예. www.infektionsnetz.at).
고온 증기를 사용하여 멸균할 수 있는 투명한 플라스틱은 적어도 180℃의 유리 전이 온도(Tg 값)를 가지는 것이므로, 이는 134℃의 바람직한 고온-증기 멸균 동안 어떠한 기계적 또는 가시적 품질 손실 또는 형태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3분의 멸균시간 대신에, 본 발명과 관련하여, 134℃에서 고온 증기 멸균의 지속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안정화 요소를 얻기 위해 7분으로 증가된다. 게다가, 제품은 치수의 가시적 변화 또는 편차를 겪지 않고, 적어도 100번의 고온 증기 멸균 사이클, 바람직하게 130번 이상의 고온 증기 멸균 사이클을 견뎌내는 것이다.
Degussa의 TROGAMID® CX (PA PACM12)와 TROGAMID® T5000 (PA 6-3-T)와 같은 알려진 투명 제품은 이들이 각각 140℃ 및 153℃의 Tg 값을 갖기 때문에 내부 테스트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다. PACM은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을 나타낸다. 유럽 특허 EP 0 725 101 B2에 게재된 투명, 무색, 및 무정형의 호모폴리아미드는 대략 157℃의 Tg 값을 가지고, GRILAMID® TR 90 (PA MACM12)으로 알려져 있다. MACM는 비스-(4-아미노-3-메틸-시클로헥실)메탄을 나타낸다. 디아민으로서 비스-(4-아미노-3,5-디에틸-시클로헥실)메탄을 가지는 투명한 코폴리아미드 및 140 내지 170℃의 바람직한 Tg 값에서 끓는 물에서 우수한 투명성과 가수분해 저항성을 가지는 성형체를 생산하기 위한 이의 용도는 독일 특허 명세서 DE 36 00 015 C2에 개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모든 재료는 134℃에서 100번의 고온 증기 멸균 사이클 및 손상없이 7분 동안 견디는 고온-증기-멸균 가능한 성형 부재 및 압출재에 적절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이들이 위의 조건 하에서 변형되고/되거나 균열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소프탈산(IPS 또는 I) 또는 50 중량% 이하의 테레프탈산(TPS 또는 T)을 갖는 그의 혼합물과 같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이, 예를 들어 MACM과 함께 240℃ 보다 더 높은 Tg 값을 가지는 무정형의 높은 투명 폴리아미드를 형성한다. 이 재료로 만들어진 제품은 전형적인 중합 반응 용기(kettle)에서 생산될 수 없고 가공에 적합하지 않다.
MACM12(비교예 4 참조), MACM36, PACM12(비교예 5 참조), 및/또는 PACM36, 또는 그의 혼합물과 같은 4 내지 36 C 원자를 가지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가지는 지방족 및 지환족 폴리아미드는 이러한 시험 멸균 조건(134℃/7 분)을 견디지 못한다; 이들은 변형되거나 또는 탁해 진다. 또한 PA 6I, PA12I, 및/또는 PA 6I/6T과 같은, 4 내지 36 C 원자를 가지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지방족 디아민으로 만들어진 폴리아미드 또는 그의 혼합물 또한 위와 같은 경우에 해당한다.
멸균 코폴리아미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EP 0 055 335 B1은 감지될 수 있는 성형 부재의 변형 또는 탁해짐 없이 122℃에서 24시간 동안 멸균될 수 있는, 끓는 물에 저항성이 있는, 투명한 폴리아미드를 개시하고 있다. 문헌 EP 0 050 742 B1 또한 끓는 물과 멸균에 저항성이 있는 투명한 폴리아미드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폴리아미드는 각각 166℃(45/55 몰-%의 PACMI/PACM12)와 175℃(50/50 몰-%의 PACMI/PACM12)의 Tg 값을 갖지만, 단지 180℃보다 낮은 Tg 값 때문에 100 번(134℃/7분)이 넘는 고온 증기 멸균에는 적절하지 않다. 또한 140 내지 170℃의 Tg 값을 가지는 DE 26 42 244 A1에 기재된 글래스-클리어 투명 폴리아미드에 적용되고, 이의 안정성은 단지 끓는 물에서만 시험되었다.
GRILAMID® TR 70의 상표로 현재 출원인에 의해 생산되고 배포된 EP 0 725 100 B1에 기재된 폴리아미드(MACMI/12)는 200℃의 Tg 값을 가지지만, 오직 134℃/7 분에서 5번의 시험 멸균 사이클에서만 손상없이 (비교예 9 참조) 견뎌내었다. 게다가, 이처럼 높은 Tg 값을 가지는 폴리아미드는 생산과 가공이 어렵다.
폴리술폰(BASF의 ULTRASON® S와 같은 PSU), 폴리페닐술폰(PPSU), 폴리에테르술폰(BASF의 ULTRASON® E와 같은 PESU), 및 폴리에테르이미드(General Electric의 ULTEM® 1010과 같은 PEI)로 제조된 고온 증기를 사용하여 여러 번 멸균할 수 있는 의료 및 식품 가공용 부재가 사용되지만, 매우 노르스름하고 매우 값이 비싼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까지 언급된 모든 조성물들은, 가시적 손상과 기계적 손상 없이 이들의 너무 낮거나 너무 높은 Tg 값 때문에 경제적 이유 또는 방법 기술적 이유로 인하여 적어도 100번의 고온-증기 멸균 사이클(134℃/7분), 바람직하게 130번 이상의 고온 증기 멸균 사이클을 견딜 수 있는 투명하고 고온-증기-멸균 가능한 성형 부재 및 압출재 생산을 위한 성형 화합물로서, 적합하지 않거나 또는 오직 제한된 방법에서 만 적합하다. 알려진 이전의 방법은 여러 번 멸균되는 이들의 능력에 대한 제품의 적합성에 대한 자료는 기재되어 있지 않고, 이는 안정성과 시간적 이유로 134℃에서 현재 널리 실시되고 있다. EP 0 055 335 B1 및 EP 0 050 742 B1에서 응용되었던 것처럼 122℃의 멸균 온도는 상당히 덜 가혹한 상태를 나타내고, 예를 들면, 변형 없이 제품의 더 낮은 Tg 값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한 고온-증기-멸균 가능한 성형 부재 및 압축재를 생산할 수 있는 대체 성형 화합물뿐만 아니라 상응하는 조성물을 가지는 투명한, 고온-증기-멸균 가능한 표준 시험체(ISO 시험체)를 제시하는 것으로, 표준 시험체는 가시적인 손상 또는 변형없이, 그리고 항복점 미만의 인열 하강에서 신장 없이, 적어도 100번의 고온 증기 멸균 사이클(134℃/7분),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30번의 고온 증기 멸균 사이클에 견딜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투명한 고온-증기-멸균 가능한 성형 부재 및 압출재 생산을 위한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이 제안되는, 독립항 1의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1면에 따라 이루어진다.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은;
a)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PACM)에 의해 50%까지 대체될 수 있는 35 내지 42 몰-% 비스-(4-아미노-3-메틸-시클로헥실)메탄(MACM);
b) 테레프탈산(TPS)에 의해 50%까지 대체될 수 있는 35 내지 42 몰-% 이소프탈산(IPS);
c) 16 내지 30 몰-% 라우린 락탐 (LC 12):
로 제조되는 코폴리아미드를 적어도 함유하고, 상기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의 상대 점도(RV)는 1.45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은 투명한 고온-증기-멸균 가능한 성형 부재 및 압출재 생산을 위한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이 제안된, 독립항 3의 특성에 따른 제2면에 의해 달성된다. 제2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은:
a)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PACM)에 의해 50%까지 대체될 수 있는 35 내지 42 몰-% 비스-(4-아미노-3-메틸-시클로헥실)메탄(MACM);
b) 테레프탈산(TPS)에 의해 50%까지 대체될 수 있는 35 내지 42 몰-% 이소프탈산(IPS);
c) 16 내지 30 몰-% 라우린 락탐 (LC 12):
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의 상대 점도(RV)는 1.45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투명한, 고온-증기-멸균 가능한 성형 부재 및 압출재에 상응하는 조성을 갖는,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 및/또는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과 같은 것에서 생산된 표준 시험체는 적어도 140번의 고온 증기 멸균 사이클을 거친 후 이들 표준 시험체의 항복점보다 더 큰 인열 값(tear value)에서 신장을 가진다. 놀랍게도, 이로 인하여 적합한 모노머 조합물 및 특이점도 값이 발견되었고, 이러한 표준 시험체는 투명함의 손실, 강한 변색 또는 뒤틀림 없이 140번 이상의 사이클 시험 멸균 조건(134℃/7분)을 기계적으로 견딘다.
이러한 목적은 투명한 고온-증기-멸균 가능한 성형 부재 및 압출재 생산을 위한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의 용도가 제시된 독립항 9의 특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3면에 따라 달성된다. 상기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은:
a)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PACM)에 의하여 50%까지 대체될 수 있는 35 내지 42 몰-% 비스-(4-아미노-3-메틸-시클로헥실)메탄(MACM);
b) 테레프탈산(TPS)에 의해 50%까지 대체될 수 있는 35 내지 42 몰-% 이소프탈산(IPS);
c) 16 내지 30 몰-% 라우린 락탐 (LC 12):
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의 상대 점도(RV)는 1.45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은 투명한 고온-증기-멸균 가능한 성형 부재 및 압출재 생산을 위한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의 용도가 제시된 독립항 11의 특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4면에 따라 달성된다. 상기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은:
a)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PACM)에 의하여 50%까지 대체될 수 있는 35 내지 42 몰-% 비스-(4-아미노-3-메틸-시클로헥실)메탄(MACM);
b) 테레프탈산(TPS)에 의해 50%까지 대체될 수 있는 35 내지 42 몰-% 이소프탈산(IPS);
c) 16 내지 30 몰-% 라우린 락탐 (LC 12):
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의 상대 점도(RV)는 1.45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투명한 고온-증기-멸균 가능한 성형 부재 및 압출재에 상응하는 조성물을 가진, 이러한 용도에 따라 만들어진 표준 시험체(ISO 인장시험 바)는 적어도 140번의 고온 증기 멸균 사이클을 거친 후 항복점 보다 더 큰 인열 값에서 신장을 갖는다.
추가적인 구체예에 따르면, 이들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 및/또는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에서 생산된 표준 시험체는 적어도 250번, 바람직하게 적어도 300번, 및 특히 더 바람직하게 350번 이상의 고온 증기 멸균 사이클을 거친 후, 항복점 보다 더 큰 인열 값에서 신장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체예와 추가적인 특성은 종속항에서 나온다.
고온-증기-멸균 가능한 성형 부재 및 압출재를 얻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 및/또는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 한다.
Tg 값: > 180 ℃
HDT/B 조건부: > 140 ℃
상대 점도: > 1.45
압출재는 예를 들어 프로파일, 튜브, 호스, 필름, 플레이트 또는 중공체로 이해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의 생산은, 만약 예를 들면 시스템 MACMI/MACMT/12(바람직하게 1:1의 범위가 될 IPS에서 TPS의 비)에서, 락탐 12의 비는 적어도 16 몰-% 이상, 30몰-% 이하이고, 상대 점도(20℃에서 0.5% m-크레졸 용액에서 측정)는 1.45 초과, 바람직하게 1.50 초과, 특히 더 바람직하게 1.525를 초과한다면 성공이다. PACM의 비율은 기술한 것처럼 MACM의 비율과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1 몰-% 이상의 가장 최소 PACM 비율조차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 및/또는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의 유리 전이 온도(Tg 값)는 적어도 180℃, 바람직하게 적어도 185℃, 특히 바람직하게 195℃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아미드는 수용 용기(receiving vessel) 및 반응 용기(reaction vessel)를 가지는 공지의 교반 가능한 압력 멸균기에서 공지의 방법 그 자체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 및/또는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을 위해 생산된다:
탈이온수(deionized water)를 수용 용기에 넣고 모노머와 첨가제를 첨가한다. 그리고 나서, 혼합물을 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여러번 불활성으로 만든다. 교반하면서, 혼합물을 주어지는 압력하에서 180 내지 230℃로 가열하여 균질한 용액을 얻는다. 이 용액을 스크린을 통해 반응 용기로 펌프하고 그 안에서 최대 압력 30 bar에서 270 내지 310℃의 원하는 반응 온도로 가열한다. 배치를 2 내지 4 시간 동안 압력 단계로 반응 온도에서 유지한다. 이어지는 압력 완화 단계에서, 압력을 1 내지 2 시간 내에 대기압으로 감소시키고, 이로 인하여 상기 온도는 쉽게 내려갈 수 있다.
다음의 탈기(degassing)단계에서, 배치는 270 내지 340℃의 온도에서 0.5 내지 1 시간 동안 대기압으로 유지한다.
폴리머 용융물은 표준 형태로 방출되고, 15 내지 80℃에서 수조 중 냉각되고, 과립화된다. 과립화된 재료를 질소 대기하에서 80 내지 120℃에서 12시간 동안 건조시켜 수분 함량이 0.06 중량% 미만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아미드의 상대 점도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화학적 및/또는 방법 기술 수단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다음의 조건을 가지고, 화학적 수단으로 사슬 조절제의 사용이 가능하다: 만약 사슬 조절제의 양이 증가한다면, 상대 점도는 감소한다. 적합한 사슬 조절제는 벤조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과 같은 모노카르복실산 또는 스테아릴 아민과 같은 모노아민이다. HALS, 또는 트리아세톤 디아민이나 이소프탈산 디-트리아세톤 디아민 유도체와 같은 삼차 부틸 페놀 형태의 안정기를 포함한,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아민 또는 아민 또는 카르복실산기를 갖는 사슬조절제가 알려져있다. 안정기를 가지는 사슬 조절제는 코폴리아미드의 증진된 빛/UV 및/또는 열적 안정성을 초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아미드를 위한 바람직한 사슬 조절제는 벤조산, 아세트산 또는 트리아세톤 디아민이다. 이들은 최종 제품 톤당 20 내지 100몰의 농도, 바람직하게 최종 제품의 톤당 30 내지 80 몰, 더 바람직하게 최종 제품의 톤당 40 내지 50 몰의 농도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방법-기술 수단은 압력단계의 지속, 탈기 단계의 지속, 정지 토크(torque) 또는 온도 프로파일의 변화를 포함한다.
중축합 반응 촉진을 위한 적합한 촉매는 H3PO2, H3PO3, H3PO4와 같은 인을 함유한 산, 이들의 염 또는 유기 유도체이며, 이들은 동시에 가공 동안 탈색의 감소를 초래한다. 상기 촉매는 0.01 내지 0.5 중량%, 바람직하게 0.03 내지 0.1 중량%의 범위로 첨가된다.
탈기 동안 기포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적합한 소포제는 실리콘 또는 실리콘 유도체가 함유된 10% 수성 에멀젼이고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 0.1 내지 0.1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무정형의 폴리아미드 외에, "투명한 폴리아미드"는 또한 더 이상 완전한 무정형이 아니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미세정질 구조 때문에 눈에 보이지 않는 투명한 폴리아미드를 포함한다. 무정형 또는 미세정질 폴리아미드는 지환족 디아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또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주로 포함한다. 지환족 디아민은 예를 들어, MACM(예를 들어, BASF의 LAROMIN®), PACM(예를 들어, BASF의 Dicykan), 및 시클로헥실 디아민이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은 예를 들어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및 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투명한 폴리아미드"라는 용어는 폴리아미드가 2 mm의 두께를 가지는 둥근 플레이트와 같은 플레이트의 형태로 제공될 때 광 투과성이 적어도 70%인 (코)폴리아미드 및/또는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을 뜻한다. 70 x 2 mm의 둥근 플레이트는 실린더 온도가 240 내지 340℃ 사이이고, 연마된 성형틀의 성형온도가 20 내지 140℃ 사이인 Arburg 사출 성형기로 생산된다. 광 투과성은 보통 치수 70 x 2mm의 둥근 플레이트에서 200~800 nm 범위에서 Perkin-Elmer사의 UV/VIS 스펙트로 미터로 측정된다. 투과 값은 560 nm의 파장으로 각 경우에 특성화된다.
황색 지수는 투명한, 무색 부재에 중요한 품질 지표이다.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의 모든 황변화는 이것의 추가 가공 동안 또는 전에 청색소 첨가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폴리아미드"라는 용어는 다음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호모폴리아미드;
·코폴리아미드;
그리고 "폴리아미드 블렌드"라는 용어는 다음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호모폴리아미드 및 코폴리아미드로 구성된 혼합물(블렌즈);
·호모폴리아미드로 구성된 혼합물; 및
·코폴리아미드로 구성된 혼합물;
그리고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이라는 용어는 폴리아미드 및/또는 폴리아미드 블렌즈를 함유하는 성형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이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시험 멸균 방법(137℃/7분)이 다음과 같이 실시되었다:
1. 고온 증기 멸균을 위한 장비
26ℓ의 챔버 용량을 지닌 Tuttnauer의 2549 E 압력 멸균기가 사용된다. 4 레벨에서 샘플을 받기 위해 천공시트(perforated sheets)를 가지는 선반들(shelves)은 수평적으로 만들어진 압력 챔버의 둥근 내부에 위치한다.
2. 표준 시험체와 전처리
ISO 시험체(표준: ISO/CD 3167. A1 타입, 170 x 20/10 x 4mm)가 서로 접촉없이, 전처리 없이 사출 성형으로 선반들에 놓여진다. 그 다음 멸균기가 닫히고 강하게 죄여진다. 시험체의 요구되는 양은 계획된 제거 시간에 따라 정해진다.
3. 고온 증기 멸균 수행하기
멸균기는 134℃까지 가열되고, 이전에 배분된 물(대략 350 ml)이 멸균기에서 증발된다. 이 과정은 2 bar까지 올라가는 증기압에서 20 내지 30 분 지속한다. (일련의 5번 측정된 사이클에 상응하는) 5 x 7 분 후에, 멸균기가 실온으로 냉각된다. 그 다음 다섯 번의 다음 블럭이 시작된다. 세 개의 시험체가 계획된 제거 횟수에 따라 매번 제거된다.
4. 처리된 시험체에서 인장시험
ISO 527에 따른 인장시험이 추가의 처리 없이 실온으로 냉각된 세 개의 시험체에 수행된다. 5 mm/분의 견인 속도(traction speed)가 2% 스트레칭(stretching) 까지 사용되고 50 mm/분의 견인 속도가 2% 스트레칭 이상에서 사용된다. 기계적 값은 세 개의 개별 값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5. 다수의 사이클로서 고온 증기 멸균 가능성의 분석
X번의 고온 증기 멸균 사이클 후 남아있는 인열에서의 신장이 항복점에서의 신장을 초과하기만 하면 역학과 관련하여 시험체는 고온-증기-멸균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투명성은 두번째 기준으로 세워진다. 만약 맨눈으로 관찰시 인식될 수 있는 균열과 변색이 없고,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라)적어도 70% 이상의 광 투과성이 제공된다면, 고온-증기-멸균 가능성은 투명성과 관련하여 고온-증기 멸균가능성이 제공된다.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사용된 코폴리머는 반응 용기가 300 ℓ의 용량을 가지는 압력 멸균기에서 생산된다.
-10℃ 내지 +5℃의 범위, 바람직하게 -7℃ 내지 -1℃ 범위의 녹는 점을 가지는 모노머는 비스-(4-아미노3-메틸-시클로헥실)메탄(MACM)으로 사용될 수 있다.
25℃ 내지 45℃의 범위, 바람직하게 33.5℃ 내지 44℃ 범위의 녹는점을 가지는 모노머는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PACM)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든 배치에서, 맑고 균질한 용액, 거품 제거를 위한 거품제거제, 중축합을 가속하기 위한 촉매를 위하여, 25 내지 30 중량-%의 탈이온수 및 디아민 손실을 균일하게 하기 위한 과량의 디아민과 같은 본 방법에 의해 요구되는 첨가제가 첨가된다.
실시예에서 사용된 모노머와 비교 예가 표 1에 특성화되었다.
모노머 시판 상품 녹는점[℃] 승화온도[℃] 생산자
MACM 라로민 C260 -7 내지 -1 - BASF AG
PACM 디시칸 33.5 내지 44 - BASF AG

IPS
정제
이소프탈산
(PIA)

345 내지 348

0.07 mm Hg에서
100

BP Amoco Chemicals
TPS 아모코 TA-33 427 402 BP Amoco Chemicals
락탐 12 라우린 락탐 153 - EMS-CHEMIE AG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은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번호
성분 단위 1 2 3
MACM 몰-% 19 38 38
PACM 몰-% 22 - -
IPS 몰-% 41 38 19
TPS 몰-% - - 19
DDS 몰-% - - -
락탐 12 몰-% 18 24 24
시험 단위 1 2 3
투과성 % 91.5 93.5 92.5
황색지수 - 5 1 1
Tg, 건조 200 188 190
RV - 1.51 1.49 1.49
HDT B, 건조 185 175 175
HDT B, 조건부 175 155 155
기계적으로 회복된
멸균 사이클
200 150 435
가시적으로 회복된
멸균 사이클
200 150 350
다음에서, 실시예 3에서 사용된 조성물을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의 생산을 설명한다:
·42mg 탈이온수가 300 ℓ 압력 멸균기의 운반 용기에 제공되고 17.0 kg IPS와 17.0 kg TPS로 만들어진 혼합물이 안에서 교반된다. 교반기를 끄고 48.2 kg MACM, 28.8 kg 락탐 12, 및 0.54 kg 벤조산을 첨가한다.
·10번 불활성으로 만든 후, 혼합물을 230℃까지 가열하고, 180℃에 도달한 후 다시 교반기를 킨다. 균질한 용액은 230℃에서 반응 용기로 스크린을 통해 펌프된다.
·교반하면서, 배치를 295℃로 가열하고 20 bar에 4시간 동안 압력 단계(press phase)로 고정한다. 1.5 시간 내에, 대기압으로 안정화시키고, 그 후 40 분 동안 탈기한다.
·폴리머 융용물을 방출하고, 수조(65℃)에서 냉각되고, 과립화된다. 과립된 재료를 수분 함량이 0.06 중량-% 미만이 되도록 질소 대기하의 10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한다.
표준 조성물 또는 비교 목적을 위해 생산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얻어진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번호
성분 단위 4 5 6 7 8 9 10 11
MACM 몰-% 50 - 23 21 20 40.5 38 38
PACM 몰-% - 50 27 24 23 - - -
IPS 몰-% - - 34 45 43 40.5 38 19
TPS 몰-% - - - - - - - 19
DDS 몰-% 50 50 16 - - - - -
락탐 12 몰-% - - - 10 14 19.0 24 24
시험 단위 4 5 6 7 8 9 10 11
투과성 % 93.0 92.5 92.0 91.5 91.5 92.5 92.0 93.0
황색지수 - 0.5 0.5 5 10 5 1 1 1
Tg, 건조 155 140 212 225 213 200 185 183
RV - 1.73 1.85 1.52 1.48 1.48 1.40 1.38 1.39
HDT B, 건조 135 122 190 210 198 185 165 170
HDT B, 조건부 - - 185 200 188 155 145 150
기계적으로
회복된
멸균 사이클
0 0 80 60 70 5 5 5
가시적으로
회복된
멸균 사이클
0 0 80 50 60 5 5 5
표에서 사용된 약자들은:
DA 디아민
DDS 도데칸 디애시드(dodecane diacid)
HDT 열 변형 온도(heat distortion temperature)
IPS 이소프탈산 (I)
락탐 12 라우린 락탐 (L)
MACM 비스-(4-아미노-3-메틸-시클로헥실)메탄
PACM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Tg 유리 전이 온도
TPS 테레프탈산 (T)
RV 상대 점도 (relative viscosity)
투과성은 Perkin-Elmer의 UV/VIS 스펙트로 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황색 지수는 70 x 2 mm의 치수를 가지는 둥근 플레이트에서 ASTM D1925에 따라 측정되었다. 이들 둥근 플레이트는 실린더 온도가 240 내지 340℃ 그리고 성형 온도가 20 내지 140℃인 연마 성형틀 내 Arburg 사출 성형기에서 생산되었다.
유리 전이 온도는 ISO 표준 11357-1/-2에 따라 10℃/분의 가열속도로 시차 주사 열량계(DSC)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상대 점도(RV)는 ISO 표준 307에 따라 20℃에서 0.5% m-크레졸 용액에서 측정되었다.
HDT B 값은 ISO 표준 75-1/-2(0.45 MPa로 적재)에 의해 측정되었다.
비교예 4 및 5는 GRILAMID®TR 90 (MACM12) 및 TROGAMID® CX 7323 (PACM12)이라 불리는 표준 재료와 관련하여 투명한 폴리아미드로 만들어진 표준 시험체가 134℃/7분의 조건에서 멸균될 수 없음을 나타내었다. 표준 시험체는 이미 심하게 변형되었고 5번의 멸균 사이클 후에는 사용할 수 없었다.
높은 유리 전이 온도 (Tg 값)및 높은 상대 점도(RV)에도 불구하고, 비교예 6의 재료로 만들어진 표준 시험체는 항복점 아래로 떨어지는 인열에서의 신장없이 단지 80번만 고온-증기 멸균될 수 있다.
높은 유리 전이 온도 (Tg 값) 및 높은 상대 점도(RV)에도 불구하고, 비교예 7 및 8의 재료로 만들어진 표준 시험체는 항복점 아래로 떨어지는 인열에서의 신장 없이, 각각 60번 및 70 번만 고온-증기-멸균될 수 있다.
비교예와 대조적으로, 비교예 7 및 8보다 더 높은 락탐 12 함량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재료로 만들어진 표준 시험체는 규정된 요건을 충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와 비교예 10에서 다른 상대 점도를 갖지만 동일한 조성물의 재료는 표준 시험체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및 비교예 11의 재료에도 상응하여 적용된다. 비교예의 재료는 각각 더 낮은 점도를 가지고, 단지 5번의 고온 증기 멸균 사이클을 견뎌낸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재료의 상대 점도는 적어도 1.45, 바람직하게 적어도 1.50이어야 한다. 1.525보다 큰 상대 점도가 특히 바람직하다.
번호 3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만들어진 표준 시험체에 관해 고온 증기 멸균의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번호 3
단위
멸균 사이클의 횟수
0 50 100 140 165 200 350 435
인열에서의
신장
% 34 15 14 14 11 10 9 8
항복점 % 8 7 7 7 7 6 7 7
표 4에서 명백히 나타낸 것과 같이, 435번 이하의 고온 증기 멸균 사이클 후 인열에서의 신장에 대한 값은 항복점에 대한 값보다 크다. 그러므로 상응하는 표준 시험체는 확실히 기계적 안정성을 위하여 규정된 요건을 명확하게 충족하고, 이들은 적어도 140번 이상의 고온 증기 멸균 사이클 잔존 후 항복점보다 더 높은 인열에서의 신장 값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상대 점도가 높은 경우, 상당히 더 높은 고온 증기 멸균 사이클의 횟수 후에도 여전히 상기 요건을 충족할 것이라는 것이 예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표 5를 기초로 하여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논의될 것이다:

개시 내용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성분(몰%)
락탐 12 (L)
지환족 디아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IPS (I) TPS (T)


본 발명


16 - 30
MACM
최대. 35 - 42
최소.17.5 - 21
PACM
최소. 0
최대. 17.5 - 21


최대. 35 - 42
최소. 17.5 - 21


최소. 0
최대. 17.5 - 21
EP 0 553 581 B1 0≤ L < 82 오직 1 DA
9 - 50 가능
최대. 9 - 50
최소. 0
최소. 0
최대. 9 - 50
EP 0 725 100 B1 0 - 20 적어도
1 DA 40 - 50
최대. 40 - 50
최소. 20 - 25
최소. 0
최대. 20 - 25


EP 0 313 436 A1


32.5 - 74


13 - 33.75
최소. 0

최대.
0<IPS<6.5
또는
0<I<16.875
최대. 13 - 33.75

최소.
6.5 < TPS < 13
또는
16.875 < T < 33.75
DE 26 42 244 45 - 56 오직 1 DA
22 - 27.5 가능
최대. 22 - 27.5
최소. 11 - 13.75
최소. 0
최대. 11 - 13.75
표 5에서 조성물의 성분은 몰-%로 특성화되고, 락탐 12, 지환족 디아민 및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성분들의 합이 100 몰-%이다. 중량-%를 몰-%로 바꾸기 위해 조성물 MACMI/MACMT/12가 기준으로 사용된다.
EP 0 553 581 B1에서, 두 개의 코폴리아미드로 만들어진 블렌즈가 청구되었다. 성분 b)가 높은 락탐 함량 때문에 본 발명과 교차하지 않기 때문에 첫번째 청구항의 성분 a)만이 표에 재현되었다. TPS 및 IPS는 매개변수 y1 및 y2에 의해 상기 공보에 간접적으로 반영된다. 상기한 두 개의 비는 특정되지 않아서 성분의 오직 하나 또는 그의 임의의 혼합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이소프탈산 성분 보다 주된 성분인 테레프탈산 성분은 (바람직하게) EP 0 553 581 B1에서 요구된다. 비록 문헌 EP 0 553 581 B1의 지나치게 넓은 청구항 용어가 우연히 부분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지만, 보호권리에 대해 출원인은, 이 청구항 1의 일부의 매우 좁게 선택된 범위에 상응하는 조성을 갖는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 및/또는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이 적어도 140번 이상의 고온-증기 멸균 사이클에 견디는 투명한 고온-증기-멸균 가능한 성형 부재 및 압출재에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 및/또는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이 투명한 고온-증기-멸균 가능한 성형 부재 및 압출재를 생산하기에 적절하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했다.
EP 0 725 100 B1에 기재된 코폴리아미드는 개시된 범위의 경계에 있는 제형에 관해 본 발명의 코폴리아미드와 약간 중첩됨을 보여주지만, 그러나 134℃/7분 조건하에서 여러 번 고온 증기를 사용하여 멸균될 수 있는 투명한 성형 부재 및 압출재가 개시된 코폴리아미드의 선택된 작은 부분과 개시되지 않은 코폴리아미드로부터 생산될 수 있다는 기재가 상기 공보의 어디에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EP 0 725 100 B1에서 전혀 인지되지 않았다.
y1("TPS")대 y2("IPS")의 비는 EP 0 313 436 A1의 공식 y1/(y1 + y2) > 0.5에 의해 고정되는데, 즉 y1은 y2보다 항상 크다. 게다가, y2는 제로일 수 있고, 이는 y1에서는 불가능하다. 상세한 설명 제2면, 24 내지 25 줄에는 TPS 및 IPS의 혼합물의 경우, TPS 성분은 IPS 성분보다 무거워질 것이라는 것이 특정되어 있다. EP 0 313 436 A1에 기재된 코폴리아미드는 락탐 및 디아민 함량에 관한 본 발명의 코폴리아미드와 약간 중첩된 것만을 개시한다.
EP 0 313 436 A1에서 IPS 대 TPS의 비에서 TPS가 우세해야하는 반면, IPS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에서 우세해야 한다. 또한, TPS 성분은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아미드에서 제로 일 수 있는 반면, TPS는 EP 0 313 436 A1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게다가, EP 0 313 436 A1에서는 필수적으로 더 높은 락탐 12 성분이 두드러진다.
DE 26 42 244에 게재된 코폴리아미드는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아미드의 조성물과 상당히 다르고, 특히 상당히 더 높은 락탐 12가 주목된다.
본 발명의 따른 대안적 구체예에서,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코폴리아미드로 만들어진 블렌드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 대안적 구체예에서,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은 라우린 락탐의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의 전체 함량이 16 내지 30 몰-%인 폴리아미드 12와 코폴리아미드 중 하나 이상으로 만들어진 블렌드 일 수 있다.
이러한 대안적 구체예는 단일-축(single shaft) 또는 이중 축(dual shaft) 압출재 또는 스크류믹서(screw mixer)와 같은 전형적인 합성기에서 공지의 방법 그 자체로 실린더 온도 260℃ 내지 340℃에서 성분들의 과립화된 혼합물을 합성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대안적 구체예를 만들기 위한 추가적 가능성은 실린더 온도 260℃ 내지 340℃로 설정하여 원하는 성형 부재와 압출재를 형성하기 위해 스크류 사출 성형기 또는 압출기와 같은 가공 기계에서 추가로 가공되는 균질한 건조 블렌드에 성분의 과립을 혼합하는 것이다.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은 또한 적어도 두 개의 코폴리아미드로 구성된 블렌드 또는 하나 이상의 코폴리아미드 및 폴리아미드 12로 만들어진 블렌드로 구성된 블렌드 일 수 있다. 모든 블렌드에서, 상대 점도(RV)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블랜드를 위해 사용되는 성분들조차 1.45보다 더 큰 RV 값, 바람직하게 1.50보다 더 큰, 특히 더 바람직하게 1.525보다 큰 RV 값을 가진다.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 및/또는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이 안정제(다양한 형태의 열 안정제 및 UV 안정제), 난연제, 가공조제, 대전방지제, 착색제, 충진제 및 보강제, 특히 100 nm 이하의 미립자 크기를 가지는 미네랄 또는 개질되지 않거나 개질된 필로실리케이트와 같은 나노스케일 충진제 및 보강제 및 추가의 첨가제와 같은 전형적인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주목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IRGANOX® 1098 또는 IRGANOX® 1010은 열 안정제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TINUVIN® 312 또는 770 및/또는 NYLOSTAB® SEED는 UV 안정제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UV400 방어는 TINUVIN® 326 또는 327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안정제는 직접적으로 또는 담채 재료로 폴리아미드를 갖는 마스터 배치로서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INOPAL® DMSX 또는 UNIVEX® OB는 형광증백제(optical brightening agent)로 사용될 수 있다. VERSAPOL® 은 윤활제 또는 포함 감소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공지의 방법 그 자체로, 예를 들어 중축합 또는 그 후에 압출에서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에 첨가된다.
예를 들어, 사출 성형, 사출 압축, 사출 블로우 성형 또는 사출 스트레치 블로우 성형은 성형체를 생산하기에 적절하고, 압출 블로우성형, 프로파일 압출 및 원통형 압출과 같은 어떠한 압출 형태도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 및/또는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에 대한 가공 방법으로 압출재를 생성하는데 적합하다.
성형체 또는 압출재는 예를 들면 밀링, 드릴링, 그라인딩(예를 들면, 교정 또는 비-교정 렌즈), 레이저 마킹, 레이저 용접, 및 레이저 절삭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 및/또는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은 공지의 방법 그 자체로 착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성형체는 이멀젼 배스에서 착색되거나 또는 이멀젼 래커(딱딱한 코팅)를 사용하여 코팅될 수도 있다. 만약 필요하다면,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성형체는 또한 반사방지 코팅 및/또는 블룸이 제공될 수 있다.
단일-층 또는 다층 필름의 형태의 평평한, 팽창된, 또는 주조 필름을 생산하기 위하여 알려진 공지의 모든 방법 그 자체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 및/또는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을 위한 가공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필름은 또한, 예를 들어 라미네이팅, 스트레칭, 드로잉, 프린팅 또는 염색에 의하여 추가로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한 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 및/또는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의 바람직한 활용은 예를 들면 의료 도구, 카테터, 기기, 장비 하우징(apparatus housing), 커넥터, 벨브, 흡입기, 튜브, 용기, 마우스피스, 지지 레일 및 공기 및/또는 체액을 흡입하기 위한 의료 기기에서 유연하거나 단단한 선과 같은 의료분야용 고온-증기-멸균 가능한 성형 부재 및 압출재의 생산과 관련된다.
고온 증기와 접촉하는 수많은 장비 성분들을 커피 기계에서 수증기용 스프레이 노즐, 가정용 기기, 증기 밥솥, 및 증기 청소기; 부엌 식기류 및 덮개, 특히 전자렌지 장비에서 사용을 위한 것, 팬 뚜껑, 고데기, 빗, 건조 후드, 또는 예를 들어 특히 자동판매기에서 맥주 선과 같은 음료 운반기용 파이프, 피팅, 장치 및 선과 같은 기술 분야에서 생각해 낼 수 있다.
포장 분야에서, 본 발명에 따라 생산된 성형 부재 및 압출재가 예를 들어 용기, 튜브, 병, 비커, 측량 비커, 상자 및 필름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한 가장 중요한 산업 계열은 음식, 음료, 클리너, 및 염색 산업이다. 성형 부재 및 압출재는 또한 고온 필링에 적합하다.
성형 부재 또는 압출재의 높은 화학적 내성과 높은 인성이 공격적인 매질, 특히, 예를 들어 클로져, 특히 드라이-크리닝되는 직물 클로져에서의 액체와 기체와 관련하여 이들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가스 마스크, 필터 컵, 유량계, 의학장비, 필터 하우징, 글레이징, 램프 하우징, 휴대전화 디스플레이, 게임콘솔, GPS 장비, 또는 다른 전자 장비에서 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디스플레이 스크린 필름 또는 포장과 같은 성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용도는 예를 들어 광섬유를 위한 보호 상자, 케이블 케이스, 광섬유 및 셀프서비스 식당의 트레이 및 식기류를 포함한다.

Claims (22)

  1. 삭제
  2. 삭제
  3. a) 38 몰-% 비스-(4-아미노-3-메틸-시클로헥실)메탄(MACM);
    b) 테레프탈산(TPS)으로 50%로 대체되는 38 몰-% 이소프탈산(IPS); 및
    c) 24 몰-% 라우린 락탐 (LC 12):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증기-멸균 가능한, 투명한 성형 부재 및 압출재를 제조하기 위한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로,
    상기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의 상대 점도(RV)가 1.45를 초과하고, 상기 상대 점도는 ISO 표준 307에 따라 20℃에서 0.5% m-크레졸 용액에서 측정된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투명한 성형 부재 및 압출재에 상응하는 상기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로부터 생산된 고온 증기 멸균 가능하고 투명한 표준 시험체가 140번 이상의 고온-증기 멸균 사이클을 거친 후 항복점보다 더 큰 인열에서의 신장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로부터 생산된 표준 시험체는 250번 이상의 고온-증기 멸균 사이클을 거친 후 항복점보다 더 높은 인열에서의 신장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
  9. 제3항에 있어서, 1.50 이상의 상대 점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로부터 생산된 표준 시험체는 300번 이상의 고온-증기 멸균 사이클을 거친 후 항복점보다 더 높은 인열에서의 신장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로부터 생산된 표준 시험체는 350번 이상의 고온-증기 멸균 사이클을 거친 후 항복점보다 더 높은 인열에서의 신장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로부터 생산된 투명한 고온-증기 멸균 가능한 성형 부재 및 압출재가 의료용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
  2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로부터 생산된 투명한, 고온-증기-멸균 가능한 성형 부재 및 압출재가 가정용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
  2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로부터 생산된 투명한, 고온-증기-멸균 가능한 성형 부재 및 압출재가 고온 증기에 접촉하는 장비 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
  22. 제3항에 있어서, 투명도가 요구되는 값 아래로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양으로, 투명한, 고온-증기-멸균 가능한 성형 부재 및 압출재 생산을 위해 상기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에 첨가제를 혼합하고, 상기 첨가제는 안정화제, 형광증백제, 착색제, 윤활제, 나노스케일 충전제 및 보강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폴리아미드 성형 화합물.
KR1020087020347A 2006-01-31 2006-01-31 폴리아미드 성형 재료 및 투명한 증기-멸균 가능한 성형물과 압출재의 생산을 위한 이의 용도 Expired - Fee Related KR1012718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06/050556 WO2007087896A1 (de) 2006-01-31 2006-01-31 Polyamidformmasse und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transparenten,heissdampfsterilisierbaren formteilen und extruda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925A KR20080101925A (ko) 2008-11-21
KR101271831B1 true KR101271831B1 (ko) 2013-06-10

Family

ID=36498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0347A Expired - Fee Related KR101271831B1 (ko) 2006-01-31 2006-01-31 폴리아미드 성형 재료 및 투명한 증기-멸균 가능한 성형물과 압출재의 생산을 위한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044171B2 (ko)
EP (1) EP1979396B1 (ko)
JP (1) JP5114431B2 (ko)
KR (1) KR101271831B1 (ko)
CN (1) CN101405323B (ko)
AT (1) ATE533805T1 (ko)
BR (1) BRPI0621292B1 (ko)
CA (1) CA2640692C (ko)
TW (1) TWI445733B (ko)
WO (1) WO20070878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8956B2 (en) * 2006-12-08 2012-09-18 Ems-Chemie Ag Transparent mold made of a polyamide molding material
DE102006057957B4 (de) * 2006-12-08 2017-03-23 Ems-Chemie Ag Transparenter Formkörper aus einer Polyamidformmasse sowie dessen Verwendung
DE502007006049D1 (de) * 2007-10-30 2011-02-03 Ems Patent Ag Polyamid-Formmassen, insbesondere zur Herstellung von Formteilen im Trinkwasserbereich
EP2060607B2 (de) * 2007-11-16 2019-11-27 Ems-Patent Ag Gefüllte Polyamidformmassen
DE102007062063A1 (de) 2007-12-21 2009-06-25 Ems-Patent Ag Transparente Polyamidformmasse
DE102008016436A1 (de) 2008-03-31 2009-10-01 Ems-Patent Ag Polyamidformmasse für lackfreie, zähe Gehäuse mit Hochglanz-Oberfläche
ATE543675T1 (de) * 2008-06-04 2012-02-15 Ems Patent Ag Dichtungsleisten für fahrzeugfenster
EP2226657B1 (de) * 2009-03-04 2012-11-21 Ems-Patent Ag Optischer Filter mit Polyamid-Schutzschicht
EP2290004B1 (de) 2009-07-31 2016-08-31 Ems-Patent Ag Polyamid-Blend-Formmasse
PL2365033T3 (pl) 2010-03-12 2013-12-31 Ems Patent Ag Poliamidowa masa do formowania o modyfikowanej udarności oraz wytworzony z niej zbiornik
ES2550805T3 (es) * 2010-06-30 2015-11-12 Ems-Patent Ag Conducción para el amplificador de la fuerza de frenado
EP2412757B1 (de) 2010-07-30 2013-11-13 Ems-Patent Ag Polyamidformmasse zur Herstellung von Formkörpern mit einer Weichgriffoberfläche sowie entsprechende Formkörper
US9878101B2 (en) * 2010-11-12 2018-01-30 Sio2 Medical Products, Inc. Cyclic olefin polymer vessels and vessel coating methods
EP2535365B1 (de) 2011-06-17 2013-09-25 Ems-Patent Ag Teilaromatische Formmassen und deren Verwendungen
EP2666803B1 (de) * 2012-05-23 2018-09-05 Ems-Patent Ag Kratzfeste, transparente und zähe Copolyamidformmassen, hieraus hergestellte Formkörper und deren Verwendung
US9200125B2 (en) 2012-08-26 2015-12-01 Hexcel Corporation Composite material with polyamide particles
FR2994975B1 (fr) * 2012-09-04 2015-10-23 Arkema France Copolyamide, composition comprenant un tel copolyamide et leurs utilisations
EP2716716B1 (de) 2012-10-02 2018-04-18 Ems-Patent Ag Polyamid-Formmassen und deren Verwendung bei der Herstellung von Formkörpern
EP2746339B1 (de) 2012-12-18 2014-11-12 Ems-Patent Ag Polyamid-Formmasse und hieraus hergestellte Formkörper
EP2746341B2 (de) * 2012-12-21 2018-11-14 Ems-Patent Ag Schmutzabweisende Artikel und ihre Verwendung
EP2949704B1 (de) * 2012-12-21 2019-04-24 Ems-Patent Ag Anfärberesistente artikel und ihre verwendung
EP2778190B1 (de) 2013-03-15 2015-07-15 Ems-Patent Ag Polyamidformmasse sowie hieraus hergestellter Formkörper
JP2015024828A (ja) * 2013-07-24 2015-02-05 東罐興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ボトル
EP2927273B1 (de) * 2014-04-02 2017-06-07 Ems-Patent Ag Polyamidformmasse, hieraus hergestellte Formkörper sowie Verwendung der Polyamidformmassen
EP2952319B1 (de) 2014-06-06 2017-04-19 Ems-Patent Ag Verfahren zum spannungsarmen Spritzgießen von amorphen oder mikrokristallinen Polyamiden
EP2957598A1 (de) * 2014-06-20 2015-12-23 Ems-Patent Ag Komposit enthaltend ein matrixmaterial aus einem amorphen polyamid und dessen verwendung
US11229095B2 (en) 2014-12-17 2022-01-18 Campbell Soup Company Electromagnetic wave food processing system and methods
CA2987189A1 (en) 2016-12-16 2018-06-16 Ems-Patent Ag Transparent polyamide moulding compositions with high tensile strain at break
CN108948344A (zh) * 2017-05-19 2018-12-07 江苏永通新材料科技有限公司 聚己内酰胺助剂及其制备方法、聚己内酰胺
JP2021143211A (ja) * 2018-05-23 2021-09-24 宇部興産株式会社 ポリアミド樹脂及びその製造方法
FR3086946B1 (fr) * 2018-10-03 2021-06-25 Arkema France Procede ameliore pour la fabrication de polyamides transparents
EP4008743B1 (de) 2020-12-04 2024-09-04 Ems-Chemie Ag Wasserdampf-resistente transparente polyamide
WO2024115176A1 (en) 2022-11-28 2024-06-06 Solvay Specialty Polymers Usa, Llc Bio based transparent polyamid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8377A1 (en) * 1997-06-17 2002-09-12 Torre Hans Dalla Impact resistant transparent polyamide alloy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24970A5 (en) 1975-09-22 1981-08-31 Inventa Ag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glass-transparent polyamide
US4232145A (en) * 1978-12-18 1980-11-04 Inventa Ag Fur Forschung Und Patentverwertung, Zurich Injection moldable glass clear transparent polyamide
DE3040155A1 (de) 1980-10-24 1982-06-03 Dynamit Nobel Ag, 5210 Troisdorf Transparente kochwasser- und sterilisationsbestaendige polyamide
ATE11053T1 (de) 1980-12-12 1985-01-15 Dynamit Nobel Aktiengesellschaft Transparentes, kochwasserbestaendiges und sterilisationsfestes polyamid.
CH667462A5 (de) * 1985-01-07 1988-10-14 Inventa Ag Transparente copolyamid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formkoerpern.
FR2622197B1 (fr) * 1987-10-21 1990-03-09 Atochem Polyamides transparents, leur procede de fabrication
CH684747A5 (de) * 1991-10-31 1994-12-15 Inventa Ag Mehrschicht-Verbund.
FR2685702B1 (fr) 1991-12-31 1994-04-01 Atochem Nouvelles compositions polyamides amorphes transparentes a tenue aux agents chimiques elevee.
CA2162429A1 (en) * 1995-02-01 1996-08-02 Hans Dalla Torre Colorless, transparent copolyamides, their preparation, and molded articles made from these copolyamides, their blends or alloys
CH688624A5 (de) 1995-02-01 1997-12-15 Inventa Ag Amorphe Polyamid-Formmassen und -Formteile.
CH689422A5 (de) 1995-02-01 1999-04-15 Inventa Ag Transparente Copolyamide, ihre Herstellung sowie Formkoerper aus den transparenten Copolyamiden.
DE19725617A1 (de) 1997-06-17 1998-12-24 Inventa Ag Schlagzähe transparente Polyamidlegierung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8377A1 (en) * 1997-06-17 2002-09-12 Torre Hans Dalla Impact resistant transparent polyamide allo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44171B2 (en) 2011-10-25
KR20080101925A (ko) 2008-11-21
HK1127363A1 (en) 2009-09-25
CA2640692A1 (en) 2007-08-09
ATE533805T1 (de) 2011-12-15
EP1979396B1 (de) 2011-11-16
BRPI0621292A2 (pt) 2011-12-06
JP5114431B2 (ja) 2013-01-09
JP2009525362A (ja) 2009-07-09
CN101405323A (zh) 2009-04-08
EP1979396A1 (de) 2008-10-15
CN101405323B (zh) 2012-05-23
CA2640692C (en) 2013-05-14
WO2007087896A1 (de) 2007-08-09
TWI445733B (zh) 2014-07-21
US20100022742A1 (en) 2010-01-28
TW200734374A (en) 2007-09-16
BRPI0621292B1 (pt) 2017-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831B1 (ko) 폴리아미드 성형 재료 및 투명한 증기-멸균 가능한 성형물과 압출재의 생산을 위한 이의 용도
US5684120A (en) Colorless, transparent copolyamides, their preparation, and molded articles made from these copolyamides, their blends or alloys
JP4015370B2 (ja) 耐応力き裂性を改善した無色の高透明性ポリアミドブレンド
TWI829632B (zh) 含二聚脂肪酸作為單體之共聚醯胺
US8420221B2 (en) Semiaromatic moulding compositions and uses of these
KR101223779B1 (ko) P-비스(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과 테레프탈산을 함유하는 무정형 코폴리아미드
JP7166064B2 (ja) マイクロ波耐性成形品の製造のためのコポリアミド系成形材料の使用
US5696202A (en) Transparent, colorless, amorphous polyamides and molded articles
KR101777268B1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JP4452626B2 (ja) ポリアミド成形材料、それから製造可能な成形品およびその用途
KR20020074446A (ko) 테트라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및 헥사메틸렌테레프탈아미드에 기초한 코폴리아미드
KR20180019553A (ko) 폴리아미드 수지 및 성형품
TW201739788A (zh) 聚醯胺樹脂、成形品及聚醯胺樹脂之製造方法
CN106661223A (zh) 无定形高性能聚酰胺
JP2003183388A (ja) ポリアミド成形コンパウンドの製造方法
HK1127363B (en) Polyamide molding material and its use for producing transparent, steam-sterilizable moldings and extrudates
CN114605632A (zh) 耐蒸汽透明聚酰胺
TWI711652B (zh) 非晶性聚醯胺樹脂之製造方法
KR20230107669A (ko) 알코올 저항성 및 피로 강도가 우수한 투명 조성물
WO2024115176A1 (en) Bio based transparent polyamides
CN117916320A (zh) 树脂组合物及成型品
CN118359923A (zh) 透明聚酰胺模制组合物
EP4428178A1 (en) 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use thereof in engineering plastics
JP2005113032A (ja) ポリアミド組成物及びポリアミドフィルム
NO903576L (no) Kopolyeteramider med blokkstruktu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1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5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