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63976B1 - 경제성 및 기계적 물성이 뛰어난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시트 - Google Patents

경제성 및 기계적 물성이 뛰어난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976B1
KR101263976B1 KR1020090039751A KR20090039751A KR101263976B1 KR 101263976 B1 KR101263976 B1 KR 101263976B1 KR 1020090039751 A KR1020090039751 A KR 1020090039751A KR 20090039751 A KR20090039751 A KR 20090039751A KR 101263976 B1 KR101263976 B1 KR 101263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sheet
reinforcing material
polymer powder
polymer
produc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0888A (ko
Inventor
박명철
김희준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90039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976B1/ko
Publication of KR20100120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97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artial melting of at least on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8Impreg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제성 및 기계적 물성이 뛰어난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 이형필름 상부에 제1 고분자 분말을 도포하는 단계; b) 도포된 제1 고분자 분말 위에 강화재료를 적층시키는 단계; c) 적층된 강화재료 위에 제2 고분자 분말을 도포하는 단계; d) 도포된 제1 및 제2 고분자 분말을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단계; 및 e) 용융된 고분자 분말과 상기 강화재료를 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고비용의 고분자 필름이나 압출기를 사용하지 않아 경제적이고, 고분자 분말의 사용으로 함침성을 향상시켜 강도 및 강성 등과 같은 기계적 물성이 뛰어난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90039751
복합시트, 이형필름, 고분자, 분말, 도포, 적층, 함침성, 강도

Description

경제성 및 기계적 물성이 뛰어난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시트{Method For Preparing Composite Sheet Having Excellent Ecomomical Efficiency And Physical Property, Apparatus Thereof And Composite Sheet Prepared Therefrom}
본 발명은 경제성 및 기계적 물성이 뛰어난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고비용의 고분자 필름이나 압출기를 사용하지 않아 경제적이고, 고분자 분말의 사용으로 함침성을 향상시켜 강도 및 강성 등과 같은 기계적 물성이 뛰어난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강화용 섬유를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플라스틱과 결합시킨 고강도 플라스틱 복합재료는 고강도, 고강성, 저비중, 고내피로성 등의 뛰어난 기계적 물성을 가지고 있어, 산업상 폭넓은 용도로의 사용이 기대되고, 또한 중요한 재료로 주목받고 있다.
상기 열경화성 플라스틱은 미경화 상태에서 유동성이 뛰어나 함침되는 강화용 섬유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는 있으나, 이후의 경화반응에 장시간의 고온가압 조건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고강도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료의 대표적인 예로 유리섬유매트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Glass Mat Thermoplastic, 이하 'GMT'라 함), 장섬유가 보강된 팰릿을 이용한 사출형식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 (Granule-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이하 'G-LFT'라 함), 디렉 컴파운딩(Direct Compounding)을 이용한 열가소성 플라스틱 복합재(Long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Direct Compounding, 이하 'LFT-D'라 함)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GMT는 더블벨트프레스 공법을 이용하여 유리섬유에 고분자의 함침을 유도하나 함침성이 충분하지 않아 기계적 물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 G-LFT 및 LFT-D는 유리섬유가 절단된 상태로 고분자 매트릭스 상에 분포되어 있어 흐름성은 양호하나, 충격강도가 미흡하고 특정방향으로의 보강이 어려운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생산원가가 낮고, 함침성이 좋아 기계적 물성이 크게 향상된 복합재료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기존 고비용의 고분자 필름이나 압출기를 사용하지 않아 경제적이고, 고분자 분말의 사용으로 함침성을 향상시켜 강도 및 강성 등과 같은 기계적 물성이 뛰어난 복합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합시트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이형필름 상부에 제1 고분자 분말을 도포하는 단계; b) 도포된 제1 고분자 분말 위에 강화재료를 적층시키는 단계; c) 적층된 강화재료 위에 제2 고분자 분말을 도포하는 단계; d) 도포된 제1 및 제2 고분자 분말을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단계; 및 e) 용융된 고분자 분말과 상기 강화재료를 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등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고비용의 고분자 필름이나 압출기를 사용하지 않아 경제적이고, 고분자 분말의 사용으로 함침성을 향상시켜 강도 및 강성 등과 같은 기계적 물성이 뛰어난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은 a) 이형필름 상부에 제1 고분자 분말을 도포하는 단계; b) 도포된 제1 고분자 분말 위에 강화재료를 적층시키는 단계; c) 적층된 강화재료 위에 제2 고분자 분말을 도포하는 단계; d) 도포된 제1 및 제2 고분자 분말을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단계; 및 e) 용융된 고분자 분말과 상기 강화재료를 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형필름은 상기 제1 및 제2 고분자 분말의 용융온도에서 변형되지 않고, 복합시트의 제조 후 떼어내는 경우에도 고분자가 늘러붙지 않는 필름인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데, 구체적인 예로 폴리이미드 필름, 테플론 필름 등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고분자 분말(이하, '고분자 분말'이라 함)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고, 열경화성 플라스틱 분말 또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분말인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은 열경화성 플라스틱과는 달리 용융시에도 점착성이 커 함침조를 사용하기 어려운 열가소성 플라스틱에 보다 유익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분말은 입자의 직경이 2 ㎜ 이하에서 0 ㎜ 초과의 범위 내인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1 ㎜ 이하에서 0 ㎜ 초과의 범위 내인 것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이하에서 0 ㎜ 초과의 범위 내인 것인데, 이 범위 내에서 상기 강화재료의 틈과 표면 모두에 균일하게 잘 도포된다.
상기 고분자 분말은 안료, 열안정제, UV안정제 등과 같은 첨가제 및 상용화제 등을 필요에 따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 및 상용화제 등은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 분말 또는 열경화성 플라스틱 분말에 분말 형태로 투입되어 혼합되는 것이 생산비용의 절감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마이드 및 ABS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 분말은 유동흐름지수(MFI)가 1 내지 100 g/10min이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g/10min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g/10min인데, 이 범위 내에서 용융된 고분자 분말이 강화재료에 균일하게 함침된다.
상기 강화재료는 통상 고강도 플라스틱 복합재료 또는 복합시트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유기섬유 또는 무기섬유 등일 수 있고, 바 람직하게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아라미드섬유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다.
상기 섬유는 연속사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직경은 5 내지 40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이다.
또한, 상기 섬유는 300 내지 2400 Tex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2200 Tex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1200 Tex인데, 그 형태로 다발, 얀, 매트, 직물 또는 편물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매트, 직물 또는 편물이다.
상기 강화재료는 상기 복합시트에 대하여 2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b)단계는 상기 강화재료를 제1 고분자 분말에 적층시키기 직전에 고압의 공기를 강화재료에 쐬어주어 상기 강화재료 사이의 틈을 넓혀주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고분자 분말이 상기 강화재료의 틈에 보다 용이하게 많은 양으로 투입될 수 있어, 제2 고분자 분말의 용융시 함침성이 향상된다.
상기 c)단계는 제2 고분자 분말을 상기 강화재료 위에 도포한 다음, 이를 진동시켜 제2 고분자 분말을 상기 강화재료의 틈과 표면에 보다 균일하게 도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은 적층구조를 변형시키지 않는 정도 이하의 미세진동을 의미하는데, 통상적으로 미세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진동장치에 의하는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구체적인 예로 초음파 진동장치, 진동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c)단계는, 도포된 제2 고분자 분말 위에(미세진동 처리를 하는 경우에는 미세진동 처리 후) 이형필름을 적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형필름을 적층시키는 경우 적층물의 가열압착시 압착장치에 고분자가 늘러붙을 염려가 없어, 압착장치의 재질의 선택이 자유로운 효과가 있다.
상기 b)단계 및 c)단계는 상기 d) 단계를 거치기 전에 1회 이상 반복해서 실시될 수 있다.
참고로, 하기 도 2는 b)단계 및 c)단계를 1회 더 반복하여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데, 이를 물품에 적용하는 경우 이형필름은 제거된다.
상기 d)단계의 가열방법은 상기 고분자 분말을 용융시키되, 분해시키지 않는 정도의 온도로 열을 제공하는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데, 구체적인 예로 적외선 가열기(적외선 오븐, 패널, 램프 등), 열풍 가열기, 가열 롤, 가열 플레이트 또는 이중벨트 라미네이터 등에 의할 수 있다.
상기 가열로 상기 적층물에 삽입된 고분자 분말은 용융되어 상기 강화재료에 함침된다.
상기 e)단계의 압착방법은 가열된 적층물을 소정 압력으로 압착할 수 있는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데, 구체적인 예로 프레스 롤, 핫 프레스 등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e)단계의 압착 후 압착된 시트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냉각방법은 통상적으로 복합시트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 한되지 않는다.
상기 냉각된 복합시트는 필요 또는 그 특성에 따라 맨드럴에 권취되거나,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적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시트의 제조장치는 a) 이형필름을 공급하는 장치; b) 상기 이형필름 위에 제1 고분자 분말을 도포하는 장치; c) 도포된 제1 고분자 분말 위에 강화재료를 공급하는 장치; d) 상기 강화재료 위에 제2 고분자 분말을 도포하는 장치; e) 도포된 제1 및 제2 고분자 분말을 용융시키는 가열장치; 및 f) 용융된 고분자 분말과 상기 강화재료를 압착하는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합시트의 제조장치는 상기 c)의 강화재료를 제1 고분자 분말 위에 공급하기 전에 그 틈을 확장시키기 위해 고압의 공기로 처리하는 에어블로우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시트의 제조장치는 상기 d)의 제2 고분자 분말이 강화재료 위에 도포된 후 이를 미세진동시키는 진동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시트의 제조장치는 상기 d)의 도포장치에 의하여 도포된 제2 고분자 분말 위에 이형필름을 공급하는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시트의 제조장치는 상기 f) 압착장치에 의해 압착된 시트를 냉각하는 냉각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구체적인 예로 냉풍장치, 냉각 테이블, 냉각 플레이트 등이 있다.
상기 복합시트의 제조장치는 상기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에서 기술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복합시트는 상기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또는 제조장치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복합시트는 제조방법에 따라 함침의 정도, 태양 등이 달라지고 물성의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데, 본 발명의 복합시트는 함침의 정도 및 균일성이 좋아, 충격강도 등 기계적 물성이 뛰어나다.
본 발명의 물품은 상기 복합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품은, 구체적인 예로 제품의 운송 또는 저장을 위한 장치, 프로파일 또는 자동차 부품 등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하기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의 제조장치의 구체적인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데, 이 복합시트의 제조장치는 크게 이형필름 공급장치, 이송장치(13), 고분자 분말 도포장치(12), 강화재료 공급장치, 에어블로우 장치(200), 더 블벨트 프레스(300) 및 절단기(250)로 이루어지고, 상기 더블벨트 프레스(300)는 가열 플레이트(220), 프레스 롤(230) 및 냉각 플레이트(240)로 구성된다.
상기 이형필름(10)으로 폴리이미드 필름을 사용하였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고분자 분말로 산화안정제, 안료 및 분산제 분말이 혼합된 입경 300 ㎛의 폴리프로필렌 분말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강화재료(11)로 직경 17 ㎛의 유리섬유 직물을 사용하였다.
상기 이송장치(13)로 공급되는 이형필름(10a) 위에 상기 고분자 분말 도포장치(12a)로 제1 고분자 분말을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고, 이 도포된 제1 고분자 분말 위에, 상기 에어블로우 장치(200a)로 강풍처리된 강화재료(11a)를 공급하였다.
상기 강화재료(11a) 위에 고분자 분말 도포장치(12b)로 제2 고분자 분말을 도포하고, 그 위에 다시 에어블로우 장치(200b)로 강풍처리된 강화재료(11b)를 공급하였다.
상기 강화재료(11b) 위에 고분자 분말 도포장치(12c)로 제3 고분자 분말을 도포하고, 그 위에 이형필름(10b)을 공급하였다.
상기 이형필름(10b)으로 마감된 적층물을 더블벨트 프레스(300)에 투입하여, 가열 플레이트(220)로 가열하여 고분자 분말을 용융시키고, 프레스롤(230)을 이용하여 압착시킨 다음, 이를 냉각 플레이트(240)로 냉각시켜 복합시트를 연속적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복합시트를 절단기(250)로 절단하여 복합시트(260)를 적재된 상태로 수득하였다. 이때 수득된 복합시트는 강화재료가 60 중량%로 포함되었다.
하기 도 2는 상기 제조된 복합시트(26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데, 이 복합시트(260)는 이형필름층(261a), 제1 고분자층(262a), 제1 고분자가 함침된 강화재료층(263a), 제2 고분자층(262b), 제2 고분자가 함침된 강화재료층(263b), 제3 고분자층(262c) 및 이형필름층(261b)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형필름층(261a,b)은 상기 복합시트(260)가 물품에 적용되는 경우 제거된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의 복합시트는 종래의 복합시트와 비교하여 생산원가가 절감되었고, 충격강도가 우수함을 확인(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결과, Non-Broken으로 나타남)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시트의 제조장치의 구체적인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서 제조된 복합시트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이형필름 11: 강화재료
12: 고분자 분말 도포장치 200: 에어블로우 장치
220: 가열 플레이트 230: 프레스롤
240: 냉각 플레이트 250: 절단기
260: 적재된 복합시트 261: 이형필름층
262: 고분자층 263: 고분자가 함침된 강화재료층
300: 더블벨트 프레스

Claims (20)

  1. a) 이형필름 상부에 제1 고분자 분말을 도포하는 단계;
    b) 도포된 제1 고분자 분말 위에 강화재료를 적층시키는 단계;
    c) 적층된 강화재료 위에 제2 고분자 분말을 도포하는 단계;
    d) 도포된 제1 및 제2 고분자 분말을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단계; 및
    e) 용융된 고분자 분말과 상기 강화재료를 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b)단계는, 상기 강화재료를 제1 고분자 분말에 적층시키기 직전에 고압의 공기를 상기 강화재료에 쐬어주어 강화재료 사이의 틈을 넓혀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분자 분말은, 열경화성 플라스틱 분말 또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마이드 및 ABS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분자 분말은, 유동흐름지수(MFI)가 1 내지 100 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분자 분말은, 입자의 직경이 2 ㎜ 이하에서 0 ㎜ 초과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료는, 유기섬유 또는 무기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료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또는 아라미드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직경이 5 내지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300 내지 2400 Te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의 제조방 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료는, 상기 복합시트에 대하여 2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제2 고분자 분말을 상기 강화재료 위에 도포한 다음, 이를 진동시켜 제2 고분자 분말을 상기 강화재료의 틈과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도포된 제2 고분자 분말 위에 이형필름을 적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14. a) 이형필름을 공급하는 장치; b) 상기 이형필름 위에 제1 고분자 분말을 도포하는 장치; c) 도포된 제1 고분자 분말 위에 강화재료를 공급하는 장치; d) 상기 강화재료 위에 제2 고분자 분말을 도포하는 장치; e) 도포된 제1 및 제2 고분자 분말을 용융시키는 가열장치; 및 f) 용융된 고분자 분말과 상기 강화재료를 압착하는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c)의 강화재료를 제1 고분자 분말 위에 공급하기 직전에 고압의 공기를 상기 강화재료에 쐬어주어 강화재료 사이의 틈을 넓혀주는 에어블로우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의 제조장치.
  15. 삭제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시트의 제조장치는, 상기 c) 강화재료 공급장치 및 d) 고분자 분말 도포장치가 1회 이상 반복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의 제조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시트의 제조장치는, d)의 제2 고분자 분말이 강화재료 위에 도포된 후 이를 진동시키는 진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의 제조장치.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d)의 도포장치는, 도포된 제2 고분자 분말 위에 이형필름을 적층시키는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시트의 제조장치.
  19. 제 1항 내지 제10항, 제12항 및 제 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복합시트.
  20. 제 19항의 복합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물품.
KR1020090039751A 2009-05-07 2009-05-07 경제성 및 기계적 물성이 뛰어난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시트 Expired - Fee Related KR101263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751A KR101263976B1 (ko) 2009-05-07 2009-05-07 경제성 및 기계적 물성이 뛰어난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751A KR101263976B1 (ko) 2009-05-07 2009-05-07 경제성 및 기계적 물성이 뛰어난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888A KR20100120888A (ko) 2010-11-17
KR101263976B1 true KR101263976B1 (ko) 2013-05-14

Family

ID=43406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751A Expired - Fee Related KR101263976B1 (ko) 2009-05-07 2009-05-07 경제성 및 기계적 물성이 뛰어난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9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0143A (ko) 2021-11-29 2023-06-07 한국자동차연구원 형태안정성이 향상된 다층구조의 고강성 복합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79362B2 (en) 2011-01-14 2015-07-14 Lg Hausys, Lt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high-strength composite sheet having superior embedd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strength composite sheet using the same
KR101607362B1 (ko) 2012-12-21 2016-03-30 (주)엘지하우시스 복합재료 제조 장치와,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복합재료, 복합재료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641B1 (ko) 2002-04-10 2005-01-03 가람테크(주) 섬유분섬을 이용한 복합재료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641B1 (ko) 2002-04-10 2005-01-03 가람테크(주) 섬유분섬을 이용한 복합재료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0143A (ko) 2021-11-29 2023-06-07 한국자동차연구원 형태안정성이 향상된 다층구조의 고강성 복합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888A (ko)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6402B2 (ja) 複合積層構造物に熱可塑性樹脂および/または架橋性樹脂を送達する方法
CA2775053C (en) Thermoplastic composit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7501362B2 (en) Nonwoven composite element
JP5294609B2 (ja) ガスバリア性の炭素繊維強化プリプレグ及び炭素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5311444B2 (ja) 樹脂プリプレグの製造方法、樹脂プリプレグ用繊維シート、樹脂プリプレグ及びその複合材料
CN104903104B (zh) 连续碳纤维增强热塑性预浸料的制造方法
US20100218890A1 (en) Methods for preparing nanoparticle-containing thermoplastic composite laminates
US20150165731A1 (en) Composite structure with reinforced thermoplastic adhesive laminate and method of manufacture
JP5767415B1 (ja) 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加飾成形品
KR101417245B1 (ko) 함침성이 우수한 고강도 복합시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강도 복합시트 제조 방법
JP2014125532A5 (ko)
CN106279969B (zh) 热塑性树脂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JP7425731B2 (ja) 炭素繊維シート材、プリプレグ、成形体、炭素繊維シート材の製造方法、プリプレグ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体の製造方法
US20170159212A1 (en)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263976B1 (ko) 경제성 및 기계적 물성이 뛰어난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시트
KR101961103B1 (ko) 탄소섬유 원단과 금속 그물 구조물을 밀착가공한 탄소섬유 원단 프리프레그 및 그 제조방법
JP7425732B2 (ja) 炭素繊維シート材、プリプレグ、成形体、炭素繊維シート材の製造方法、プリプレグ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体の製造方法
JP2022516512A (ja) 複合材料の機械的成形
CN113646161A (zh) 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US20200094517A1 (en) Fiber composites with reduced surface roughnes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WO2016020252A1 (de) Sandwich-bauteile aus poly(meth)acrylat-basierten schaumkörpern und reversibel vernetzbaren composites
JP6368748B2 (ja) 繊維強化樹脂を成形する成形加工方法
WO2009127864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elf-reinforced plastics
Alok et al. Processing of Continuous Fibre-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s
KR101744204B1 (ko) 이종 양면 프리프레그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2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5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5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