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61784B1 -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기능성 pmma복합안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기능성 pmma복합안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784B1
KR101261784B1 KR1020100057212A KR20100057212A KR101261784B1 KR 101261784 B1 KR101261784 B1 KR 101261784B1 KR 1020100057212 A KR1020100057212 A KR 1020100057212A KR 20100057212 A KR20100057212 A KR 20100057212A KR 101261784 B1 KR101261784 B1 KR 101261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organic
sunscreen
pmma
w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7157A (ko
Inventor
김동명
채희원
윤태호
최영민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7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784B1/ko
Publication of KR20110137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78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9Porous; Hol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6Compounds, absorbed onto or entrapped into a solid carrier, e.g. encapsulated perfumes, inclusion compounds, sustained release fo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구형 PMMA에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기능성 PMMA 복합안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기능성 PMMA 복합안료는 다공성 구형 PMMA 60 내지 99.8 중량%; 유기자외선 차단제 0.20 내지 40.0 중량%의 조성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기능성 PMMA 복합안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다공성 구형 PMMA의 기공 내에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담지하여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피부와의 직접 접촉을 최소화하여 피부 트러블과 피부 알러지를 유발하지 않고, 자외선 차단능이 우수하고, 피부 전연성, 가벼운 사용감, 우수한 피지 컨트롤 기능, 빛 산란에 의한 피부 톤 보정 효과 기능, 피부 결점 커버 효과, 피부결이 매끄럽게 정돈되는 소프트 포커스 효과, 다른 안료가 피부에 밀착되기 쉽게 도와 화장막이 얇고 깨끗하게 도포될 수 있게 하는 보조안료 기능, 중공성 구형 파우더 표면에 수 nm로 잔존하는 상기 유기자외선 차단제에 의한 피부 친화적 특성을 가져 파우더에 적용시 가루날림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현저하다.

Description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기능성 PMMA복합안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PMMA Complex Pigment Containing Organic UV Agen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osmetic Compositon For UV screening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기능성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이하 PMMA 라 한다.) 복합안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공성 구형 PMMA의 기공 내에 유기자외선 차단제를 담지한 기능성 PMMA 복합안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외선은 그 파장에 따라, 100~280nm의 파장은 UV-C, 280~320nm의 파장은 UV-B, 320~400nm의 파장은 UV-A로 분류된다. UV-C는 오존층을 통과하면서 지표면에 도달하지 못하고 소실되며, UV-B는 피부의 표피까지 침투되어 홍반과 주근깨, 부종 등을 일으킨다. UV-A는 피부의 진피까지 침투하여 피부암과 주름, 멜라닌 형성을 촉진하는 등 피부 노화 및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태양광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에 대한 노출은 피부에 홍반이나, 부종, 주근깨, 피부암, 피부의 노화를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으로서, 최근에는 자외선에 기인한 여러 가지 피부 질병들 및 피부 노화 현상을 저하 또는 지연시키기 위한 화장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자외선을 차단하는 성분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두 가지로 알려져 있으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을 흡수, 산란, 반사하여 차단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로, 자외선 차단 범위는 넓으나 피부 도포시 눅진한 사용감으로 인해 산뜻하지 못하여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 피부가 하얗게 또는 파랗게 보이는 백탁 현상으로 인해 소비자들로 하여금 제품 사용을 꺼리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태양광선에너지를 분자 내에 잡아둠으로써 자외선을 흡수하여 차단효과를 나타내는 물질로, 백탁 현상이 적고, 발림성이 우수하여 화장료 사용에 좋으나, 민감한 피부 접촉시 자극성 접촉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외선 차단 화장품의 제형은 수상계를 연속상으로 한 오일 분산형 즉, 수중유형(O/W) 제품들이다. 따라서, 이들 제품들은 땀이나 물에 약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들은 수영, 등산, 스키나 해수욕 등과 같이, 땀이나 물에 노출되기 쉬운 환경에서 주로 사용되므로, 종래 제품을 사용할 경우 자외선 차단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게 되고, 이러한 환경에서 여러 차례 도포 시 끈적임이 발생하여 불쾌감이 날 수 있다. 더구나, 종래의 제형들은 UV 차단 효과가 짧아 바른 후 30분 이상이 되면 50% 이하로 효과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공 내 금속산화물을 담지한 중형기공성 무기 복합 분체와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8-0051830호)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공내 금속산화물을 담지한 중형기공성 무기 복합분체와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티타늄 또는 아연 등의 금속원소로 치환된 중형기공성 실리카 분자체의 기공 내에 세륨, 철 등의 금속산화물을 담지한 것으로서, 노란색 또는 적색으로 나타나므로 피부가 어둡게 표현되며 피부 결점 커버 효과가 떨어지고, 피부 톤 보정 효과가 감소하고,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는 상기 무기 복합분체와 단순 혼합된 것으로서, 피부 트러블과 피부 알러지를 유발하고, 피지 컨트롤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남아있다.
KR 10-2008-00518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한 것으로서, 다공성 구형 PMMA의 기공 내에 유기자외선 차단제를 담지한 기능성 PMMA 복합안료를 제조하여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피부와의 직접 접촉을 최소화하여 피부 트러블과 피부 알러지를 유발하지 않고, 자외선 차단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담지체로서 다공성·중공성 (이하 다공성이라고 한다.) PMMA를 이용하여 피부 전연성, 가벼운 사용감, 우수한 피지 컨트롤 기능, 빛 산란에 의한 피부 톤 보정 효과 기능, 피부 결점 커버 효과, 소프트 포커스 효과를 가져오게 하며, 다른 안료가 피부에 밀착되기 쉽게 도와 화장막이 얇고 깨끗하게 도포될 수 있게 하는 보조안료 기능을 가지는 기능성 PMMA 복합안료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공성 구형 PMMA에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기능성 PMMA 복합안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 PMMA 복합안료"는 다공성 구형 PMMA에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조성물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능성 PMMA 복합안료, 오일 성분, 체질안료,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각 조성비는, 기능성 PMMA 복합안료 3.0 ~ 40 중량%; 오일 성분 6.0 ~ 15.0 중량%; 체질안료 40.0 ~ 86.0 중량%; 및 첨가제 0.5 ~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S1) 다공성 구형 PMMA 60 ~ 99.8 중량% 및 유기자외선 차단제 0.2 ~ 40 중량%를 15 ~ 40℃에서 고속혼합기로 혼합하여 상기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복합안료상을 형성하는 복합안료상 형성단계; S2) 상기 복합안료상 형성단계 후, 상기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복합안료상을 15 ~ 40℃에서 0.5 ~ 24시간 숙성하는 숙성단계; 및 S3) 상기 숙성단계 후, 20 ~ 60 메쉬로 여과하여 자외선 차단 복합안료를 형성하는 복합안료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기능성 PMMA 복합안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S1)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기능성 PMMA 복합안료, 첨가제, 일반 체질안료를 평량하여 고속혼합기로 1~3회 처리하여 상기 기능성 PMMA 복합안료 및 그 밖의 체질안료를 분산시켜 분산된 1차 파우더상을 형성하는 단계;
S2) 상기 1차 파우더 상에 오일성분으로 분산시켜 25 ~ 95℃에서 고속혼합기로 교반하여 혼합하여 2차 파우더 상을 형성하는 단계; 및
S3) 상기 2차 파우더 상을 24시간 숙성하고, 25 ~ 35℃에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기능성 PMMA 복합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다공성 구형 PMMA의 기공 내에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담지하여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피부와의 직접 접촉을 최소화하여 피부 트러블과 피부 알러지를 유발하지 않고, 자외선 차단능이 우수하다.
그리고, 다공성 형태의 PMMA는 유기고분자로서 피부 친화적이며 PMMA의 밀착감과 비결정성 구조형태를 갖는 특징으로 인해 투명감, 피부 전연성, 가벼운 사용감, 우수한 피지 컨트롤 기능을 가져온다. 그리고,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다공성 기능성 PMMA는 구형의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빛 산란에 의한 피부 톤 보정 효과 기능, 피부 결점 커버 효과를 가져온다.
더불어, 빛에 대한 난반사 효과를 가짐으로 인해 모공 및 주름의 도드라짐을 방지하는 피부결이 매끄럽게 정돈되는 소프트 포커스 효과, 및 다른 안료가 피부에 밀착되기 쉽게 도와 화장막이 얇고 깨끗하게 도포될 수 있게 하는 보조안료 기능의 효과를 지닌다.
한편, 다공성 구형 파우더 표면에 수 nm로 잔존하는 상기 유기자외선 차단제에 의한 피부 친화적 특성을 가져 파우더에 적용시 가루날림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현저하다.
도 1a는 일반적으로 제조된 구형 PMMA(Poly(methyl methacrylate))의 주사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관찰 사진이며,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PMMA 복합안료의 주사 전자 현미경 관찰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기능성 PMMA 복합안료의 자외선 차단능에 대한 In-vitro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있어서 평균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반복 재현이 가능하도록, 실시예 및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공성 구형 PMMA에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기능성 PMMA 복합안료를 제공한다. 여기서, "기능성 PMMA 복합안료"는 다공성 구형 PMMA에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조성물을 의미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기능성 PMMA 복합안료는 다공성 구형 PMMA 60 내지 99.8 중량%; 유기자외선 차단제 0.20 내지 40.0 중량%의 조성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0.2 중량% 미만인 경우 자외선 차단 효과가 미미하고, 99.8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제형 안정성의 저하됨으로 사용감이 떨어진다는 점에서 수치한정의 의의가 있다. 예를 들어 압축 파우더의 경우, 그 함량이 상기 범위 이상인 경우에는 파우더 접시 내에 파우더 간의 압축강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화장할 때 가루날림이 생길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구형 PMMA는 내부가 비어있는 유기 합성 고분자로 비결정성 구조를 가지며, 높은 투명성을 가지므로 화장품 제형 내에 배합되어 자연스런 화장을 연출하고, 저굴절율과 난반사로 피부 결점을 커버하고, 속이 빈 중공성 분체로 230 ~ 270ml/mg의 매우 우수한 흡유력을 가지고 있어 피지조절의 효과가 우수하다.
그리고, 상기 다공성 구형 PMMA는 열, 화학적 특성이 우수하고, 높은 비표면적, 낮은 밀도, 낮은 독성을 가지므로 다른 안료와의 호환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색층분석에서 효모 및 단백질 저장체, 인공피부, 약물방출시스템에서의 담지체로 사용됨은 물론 화장료에 사용되어 전연성, 피지 컨트롤, 투명성을 통한 피부 톤 보정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유기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실리케이트, 옥틸디메칠 파라-아미노벤조익산, 부틸 메톡시디벤조일 메탄,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옥틸트리아존, 멘틸안트라닐레이트, 3,4-메틸벤질리덴 켐퍼 또는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또는 에칠헥실실리케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둘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민감성 피부에 트러블을 유발하고, 일정시간 이상 자외선이 조사될 경우 분자 사슬 결합이 끊어져 자외선 차단 기능이 떨어지며, 유기물이기 때문에 미생물에 의해 산패되어 사용에 제한되었으나, 본 발명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다공성 구형 PMMA에 담지하여 피부 트러블 방지, 자외선 차단 기능 강화 및 담지체를 이용한 캡슐화에 의한 미생물 산패가 방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실리케이트의 경우 UV-B의 자외선을 차단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무기 자외선 차단제인 이산화티탄 및 산화아연을 도와 자외선 차단을 더욱 높여 주는 증대효과가 나타낸다. 하지만, 상기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와 에칠헥실실리케이트는 피부에 직접 접촉시 피부트러블 및 피부 알러지와 같은 현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그 성분 배합 함량에 제한을 받아 사용함에 있어 제한이 있었고, 상기 분체 표면에 많은 기공이 발달한 다공성 구형 PMMA에 담지함으로써 피부트러블과 피부 알러지와 같은 사용상의 제한을 극복하였다.
상기 기능성 PMMA 복합안료의 제조에 있어서는,
S1) 다공성 구형 PMMA 60 ~ 99.8 중량% 및 유기자외선 차단제 0.2 ~ 40 중량%를 15 ~ 40℃에서 고속혼합기로 혼합하여 상기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복합안료상을 형성하는 복합안료상 형성단계; S2) 상기 복합안료상 형성단계 후, 상기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복합안료상을 15 ~ 40℃에서 0.5 ~ 24시간 숙성하는 숙성단계; 및 S3) 상기 숙성단계 후, 20 ~ 60 메쉬로 여과하여 자외선 차단 복합안료를 형성하는 복합안료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다공성 구형 기능성 PMMA 복합안료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능성 PMMA 복합안료, 오일 성분, 체질안료,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각 조성비는, 기능성 PMMA 복합안료 3.0 ~ 40 중량%; 오일 성분 6.0 ~ 15.0 중량%; 체질안료 40.0 ~ 86.0 중량%; 및 첨가제 0.5 ~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능성 PMMA 복합안료의 조성비가 3중량% 미만인 경우 자외선 차단의 효과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40중량% 초과하는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제형 안정성에 문제점이 있기에 수치한정의 의의가 있다.
상기 오일 성분은 헥실라울레이트, 사이클로메치콘, 스쿠알란, 디메치콘, 에스터오일 및 실리콘오일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오일 성분의 함량이 6.0중량% 미만인 경우 제형 안정성이 떨어지고, 상기 오일 성분의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도포시 너무 기름지고, 사용 시 끈적이는 등 사용감이 떨어진다.
상기 체질안료 성분은 산화철, 알루미나, 활석, 마이카, 실리카, 이산화티탄, 또는 폴리에틸렌 파우더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질안료 성분의 함량이 40중량% 미만인 경우 유분감 및 피지에 대한 흡유능이 떨어지고, 상기 안료 성분의 함량이 86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감이 떨어진다.
상기 첨가제는, 유화제로서 폴리솔베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디메치콘 또는 솔비탄 올리베이트, 천연방부제로서 카프리릴 글라이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첨가제의 함량이 0.5중량% 미만인 경우 유화 효과 및 방부 효과가 저하되어 제형 안정성이 떨어지고, 상기 첨가제의 함량이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감이 떨어진다는 점에서 수치한정의 의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디프로필렌글리콜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S1)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기능성 PMMA 복합안료, 첨가제, 및 체질안료를 평량하여 고속혼합기로 1~3회 처리하여 상기 기능성 PMMA 복합안료 및 체질안료를 분산시켜 분산된 1차 파우더상을 형성하는 단계; S2) 상기 1차 파우더 상에 오일성분으로 분산시켜 25 ~ 95℃에서 고속혼합기로 교반하여 혼합하여 2차 파우더 상을 형성하는 단계; 및 S3) 상기 2차 파우더 상을 24시간 숙성하고, 25 ~ 35℃에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기능성 PMMA 복합안료 또는 상기 기능성 PMMA 복합안료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때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이 파우더팩트, 투웨이케익, 페이스파우더, 아이섀도우, 블러셔, 액상 파운데이션, 크림 파운데이션, 케익형 파운데이션, 스틱형 파운데이션, 펜슬, 립스틱, 마스카라, 네일에나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다공성 구형 기능성 PMMA 복합안료의 제조
다공성 구형 PMMA 800g 및 유기자외선 차단제로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200g을 30℃에서 고속 혼합기로 혼합하여 복합안료상을 형성하였다.
상기 복합안료상을 형성한 후에, 25℃ 에서 약 12시간 속성을 한 후, 40 메쉬로 여과하여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기능성 PMMA 복합안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기능성 PMMA 복합안료에 대해, 도 1b에 그 주사 전자 현미경을 통한 관찰한 사진을 나타내었고, 이와 비교할 수 있도록 도 1a에는 일반적으로 제조된 구형 PMMA(Poly(methyl methacrylate))의 주사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관찰 사진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상기 제조된 기능성 PMMA 복합안료에 대하여, 자외선 차단능에 대한 대한 In-vitro 테스트를 실시하였고 이를 도 2에 나타내었다.
그 실험방법은 하기와 같다.
1) 임의의 양으로 적량된 기능성 PMMA 복합 안료를 글리세린 대비 10.0% 내지 100.0%로 하여 30 ~ 40℃에 넣어 각각 균일화한 샘플을 준비하였다.
2) In-vitro 테스트는 자외선차단지수측정기(SPF290 분석기)로 하였다.
3) 제품 도포 면적 및 조사부위의 구획은 24㎠ 이상으로 하여 0.5㎠ 이상의 면적을 갖는 6개의 조사부위를 구획하였다.
4) 샘플 도포량은 2.0 ㎎/㎠ 또는 2.0 ㎕/㎠ 으로 도포한 후, 분석하였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글리세린 함량 대비 복합안료 중량비를 10.0% 내지 100.0%로 증가시켰을 때 자외선 차단능(Sun Protecting Factor; SPF)이 3.0에서 최대 30.0까지 나타남을 관찰할 수 있었고, 이로써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다공성 구형 기능성 PMMA 복합안료가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2]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기능성 PMMA 복합안료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유기 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다공성 복합 안료를 화장료 조성물로서 압축파우더에 하기 표1에 의한 각 성분의 구성으로 실시하였다.
구분 성분(중량%)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파우더상 기능성PMMA
복합안료
3.0 40.0 2.0 45.0 50.0 60.0
체질안료
(탈크=활석)
71.0 32.0 72.0 27.0 20.0 8.0
체질안료
(마이카)
15.0 15.0 15.0 15.0 15.0 15.0
첨가제 5.0 5.0 5.0 5.0 5.0 5.0
바인더상 스쿠알란
(오일성분)
2.0 3.0 2.0 3.0 4.0 5.0
디메치콘
(오일성분)
4.0 5.0 4.0 5.0 6.0 7.0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1) 파우더상을 계량한 후, 고속혼합기에 넣고 3분간 고속혼합을 실시하였다.
2) 바인더상내에 원료를 제조방법 1에 투입하고 2분간 1차 분산시킨 후, 바닥과 외벽에 붙은 파우더 군집체를 긁어준 후 다시 2분간 2차 분산 처리하였다.
3) 상기 제조방법 2)를 헴머타입의 분쇄기에 놓고 2회 분쇄를 실시하였다.
실험예 1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안료를 함량 별 압축파우더를 만들어 전문 패널 요원 30명이 1개월간 사용하게 한 후, 물성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 때, 5점 만점을 기준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좋은 품질이다. 참고로, 실시예 1은 왼쪽 안면에 화장하고 비교예 1은 오른쪽 안면에 화장하였다.
구분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밀착감 3.5 4.4 3.0 4.4 4.0 3.5
피부결 표현 3.4 4.1 3.2 4.2 4.0 4.2
광택감 3.2 3.5 3.0 3.2 3.1 3.2
커버력 3.0 4.1 2.8 4.2 4.3 4.4
퍼짐성 3.2 4.3 3.1 4.3 4.4 4.6
화장지속성 3.5 4.2 2.4 4.3 4.3 4.4
평가기준 (매우 우수 : 5, 우수 : 4, 보통 : 3, 부족 : 2, 아주 부족 : 1 )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 실시예 3은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다공성 구형 기능성 PMMA 복합 안료를 압축파우더에 혼합비율로 조정한 것으로, 복합안료가 3.0 내지 14.0 중량% 이하인 경우, 피부 밀착성이 우수하고, 화장지속성, 전연성 및 빛에 의한 안료 표면의 산란 효과를 증가시켜 피부 결점을 자연스럽게 완화하는 효과, 피부 밀착감, 화장지속력 등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비교예 1 처럼 복합안료가 0.1 내지 2.0 중량% 이하에서는 그 함량이 적어 광학적 특성과 사용감적 특성이 잘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경우, 복합안료가 15.0 중량% 이상 함량이 점점 증가함에 따라 상기 특성들은 우수하게 나타나지만 압축파우더의 가루날림 및 낙하안정성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제형의 불안정됨은 물론 피부에 고른 화장막 형성이 되지 않아 여러 특성들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다음의 성분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 복합안료 총 중량 대비 다공성 구형 PMMA 60 내지 99.8 중량%에 유기 자외선 차단제로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또는 에칠헥실실리케이트 0.20 내지 40.0 중량%가 담지된 기능성 PMMA 복합안료 35-40 중량%;
    (b) 헥실라울레이트, 사이클로메치콘, 스쿠알란 또는 디메치콘, 에스터오일 및 실리콘오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오일 성분 5-10 중량%;
    (c) 산화철, 알루미나, 활석, 마이카, 실리카, 이산화티탄, 폴리에틸렌 파우더 및 산화아연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안료 40-86 중량%; 및
    (d) 첨가제 0.5-5.0 중량%.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유화제로서 폴리솔베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디메치콘 또는 솔비탄 올리베이트, 천연방부제로서 카프리릴 글라이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이 파우더팩트, 투웨이케익, 페이스파우더, 아이섀도우, 블러셔, 액상 파운데이션, 크림 파운데이션, 케익형 파운데이션, 스틱형 파운데이션, 펜슬, 립스틱, 마스카라, 네일에나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00057212A 2010-06-16 2010-06-16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기능성 pmma복합안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1261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212A KR101261784B1 (ko) 2010-06-16 2010-06-16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기능성 pmma복합안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212A KR101261784B1 (ko) 2010-06-16 2010-06-16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기능성 pmma복합안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157A KR20110137157A (ko) 2011-12-22
KR101261784B1 true KR101261784B1 (ko) 2013-05-09

Family

ID=45503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212A Active KR101261784B1 (ko) 2010-06-16 2010-06-16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기능성 pmma복합안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7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8375A1 (ko) * 2015-03-13 2016-09-22 (주)아모레퍼시픽 다공성 고분자에 무기분체가 함침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0507170B2 (en) 2015-11-03 2019-12-17 Cosmax, Inc. Open porous organic-inorganic composite powder,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me
KR20240171918A (ko) 2023-05-31 2024-12-09 제너럴바이오(주)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3176B1 (fr) * 2012-07-13 2014-06-27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des particules composites filtrantes de taille moyenne superieure a 0,1 micron et des particules de filtre inorganique et une phase aqueuse
KR102370803B1 (ko) * 2016-09-30 2022-03-07 (주)아모레퍼시픽 색소를 포함하는 캡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70804B1 (ko) * 2016-09-30 2022-03-07 (주)아모레퍼시픽 색소를 포함하는 캡슐을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999973B1 (ko) * 2017-08-29 2019-07-15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공성 분체를 포함하는 스틱제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096404A1 (ko) * 2018-11-08 2020-05-14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자외선 차단 패치 및 이의 적용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1653A (ko) 2007-04-09 2008-10-14 (주)아모레퍼시픽 기공 내 금속산화물을 담지한 복합 분체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1653A (ko) 2007-04-09 2008-10-14 (주)아모레퍼시픽 기공 내 금속산화물을 담지한 복합 분체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① 대한화장품학회지 30(3) 361-367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8375A1 (ko) * 2015-03-13 2016-09-22 (주)아모레퍼시픽 다공성 고분자에 무기분체가 함침된 복합분체,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0278903B2 (en) 2015-03-13 2019-05-07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e powder having inorganic powder impregnated with porous polyme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US10507170B2 (en) 2015-11-03 2019-12-17 Cosmax, Inc. Open porous organic-inorganic composite powder,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me
KR20240171918A (ko) 2023-05-31 2024-12-09 제너럴바이오(주)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157A (ko) 201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1784B1 (ko)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기능성 pmma복합안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75623B1 (ko) 유기자외선 차단제가 담지된 중공성 구형 실리카 복합안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A1339920C (en) Photochromic color rendering regulatory ingredient and cosmetics
KR100968715B1 (ko)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지 않은 자외선 차단용화장료 조성물
KR20160123249A (ko) 썬스크린 조성물
KR101455833B1 (ko)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JPS60231607A (ja) 日焼け止め化粧料
KR101142233B1 (ko) 자외선 차단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4376926A (zh) 一种基于六方氮化硼粉体的防晒控油粉饼及其制备方法
KR102249023B1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투명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92297B1 (ko)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
KR101634595B1 (ko) 피그먼트가 내상에 미립 분산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04379114B (zh) 包含非干涉型散射粒子及气凝胶粒子的化妆品组合物以及化妆提亮方法
KR102130989B1 (ko) 마크로 유화 입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42917B1 (ko)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
KR100845731B1 (ko) 미백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CN101998848B (zh) 粉末相防晒化妆品组合物
KR20120033593A (ko) 자외선 차단용 복합분산액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89534B1 (ko) 내수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4163B1 (ko) 자외선 차단기능의 화장료 조성물을 지닌 탄력망 화장품
KR101886564B1 (ko) 이중 쉘-코어 복합 입자, 그의 제조방법 및 이중 쉘-코어 복합 입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1979692B1 (ko)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117411B1 (ko)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6390A (ko) 자외선차단제를 포함하는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KR20160135537A (ko) 자외선 차단기능의 화장료 조성물을 지닌 탄력망 화장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10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4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