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558B1 - Tractor - Google Patents
Tra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8558B1 KR101258558B1 KR1020110014051A KR20110014051A KR101258558B1 KR 101258558 B1 KR101258558 B1 KR 101258558B1 KR 1020110014051 A KR1020110014051 A KR 1020110014051A KR 20110014051 A KR20110014051 A KR 20110014051A KR 101258558 B1 KR101258558 B1 KR 1012585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dy frame
- front wheel
- tractor
- frame
- ax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60K17/24—Arrangements of mountings for shaf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의 차체 프레임을 전륜의 바퀴 간섭이 없도록 전륜 차축 쪽에는 상향 배치되고 중간부에는 엔진부가 배치되게 그 중간 부분이 움푹 페인 구조로 함으로써, 상기 전륜이 상기 전차축의 간섭 없이 최대한 조향이 가능하게 되고, 운전석이 구비된 운전캡을 엔진부의 상부에 배치가 가능하게 한 트랙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트랙터에 있어서 전륜의 바퀴 간섭이 없도록 전륜 차축 쪽에는 상향 배치되고, 중간부에는 엔진부가 배치되게 그 중간 부분이 움푹 페인 구조로 된 차체 프레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frame is steered without interference of the front axle by interposing the body frame of the tractor so that the middle part is recessed so that the front part of the front wheel axle is disposed upward and the engine part is disposed in the middle par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ctor capable of arranging a driving cap provided with a driver's seat on an upper portion of the engine uni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ctor is provided with a vehicle body frame of which the middle part is recessed so that the middle part is disposed upward on the front wheel axle so that there is no wheel interference of the front wheel, and the engine part is disposed on the middle part.
Description
본 발명은 트랙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륜의 바퀴 간섭이 없도록 전륜 차축 쪽에는 상향 배치되고 중간부에는 엔진부가 배치되게 그 중간 부분이 움푹 페인 구조로 된 차체 프레임을 가지는 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ctor having a vehicle body frame of which the middle portion is recessed so that the middle portion is disposed upward on the front axle side and the engine portion is disposed on the middle portion so that there is no wheel interference of the front wheels.
일반적으로 트랙터는 견인력을 이용해서 농업 또는 건설 분야에서 각종 작업을 하는 작업용 자동차로서, 현재 농업용 트랙터는 전방에 전방 로더를 설치하여 그 로더에 각종 작업용 어태치먼트를 장착하여 운반, 내리기, 싣기 등의 각종 작업을 수행하고, 후방부에는 후방 링크를 통해 로터베이터 등을 장착하여 경운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Generally, a tractor is a work vehicle that uses a pulling force to perform various work in agriculture or construction. Current agricultural tractor is equipped with a front loader at the front and attaches various work attachments to the loader to carry out various operations such as transportation, And a work such as plowing is carried out by attaching a rotor batter or the like to the rear part through a rear link.
상기와 같은 농업용 트랙터는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을 트랜스미션을 통하여 주행에 필요한 바퀴를 구동시키는 주행계 동력과, 트랙터에 장착되는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PTO(Power take off)계 동력으로 구분된다. 상기 주행계 동력은 4륜 구동방식이 일반적이다.The above-mentioned agricultural tractor is divided into a driving system power for driving the wheels required for traveling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a power take off power for driving various types of working machines mounted on the tractor. The traveling system driving force is generally a four-wheel drive system.
종래의 트랙터는 차체 프레임이 평면상의 구조를 가지고 있고 엔진부의 동력을 우선 후륜 차축 쪽으로 상기 엔진부와 동일 선상으로 전달하고 후륜 차축에서 상기 엔진부의 아래로 지나 상기 전륜 차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 엔진부의 설치 위치가 높아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무게 중심이 높아지게 되어 안정성이 떨어지며, 상기 전륜 차축의 높이가 낮아질 수 밖에 없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The conventional tracto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ody frame has a planar structure, and transmits power of the engine unit first to the rear axle in the same line as the engine unit, and then transfers power from the rear axle to the front wheel axle after passing through the engine unit. Therefor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engine unit is increased, and as a result, the center of gravity is increased, thereby lowering stability, and the structure of the front wheel axle is inevitably reduced.
상기와 같은 종래의 트랙터 구조에서는 운전석이 구비된 운전캡을 상기 엔진부의 상부에 배치할 수 없어 트랙터의 차체 크기를 축소하는데 한계가 있고, 상기 전륜 차축이 낮게 배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전륜이 어느 정도까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조향되면 상기 전륜 차축에 간섭을 받아 더 이상 조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conventional tractor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cap provided with the driver's seat cannot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ngine unit, thereby limiting the size of the tractor's body, and the front wheel axle is lowered to some extent. When steering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 longer be steered by interference with the front ax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트랙터의 차체 프레임을 전륜의 바퀴 간섭이 없도록 전륜 차축 쪽에는 상향 배치되고 중간부에는 엔진부가 배치되게 그 중간 부분이 움푹 페인 구조로 함으로써, 상기 전륜이 상기 전차축의 간섭 없이 최대한 조향이 가능하게 되고, 운전석이 구비된 운전캡을 엔진부의 상부에 배치가 가능하게 한 트랙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ractor body frame is arranged upward on the front wheel axle so that there is no wheel interference of the front wheel and the middle part so that the engine part is arranged in the middl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ctor in which the front wheels can be steered as much as possible without interference of the front axle, and a driving cap provided with a driver's seat can be arranged above the engine un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트랙터는 전륜이 선회할 때 바퀴 간섭이 없도록 전륜 차축 쪽은 후륜 차축 쪽보다 상향 배치되고 중간부에는 움푹 페인 부분이 형성되어 상기 움푹 페인 부분에 엔진부가 배치되도록 한 차체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은 후륜 차축 쪽에 굴절 아암을 선회시키는 선회축이 설치되는 선회축 설치공과 상기 선회축을 회전시키는 구동 기구를 수용하는 프레임 박스가 일체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ctor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front wheel axle side is disposed upward than the rear wheel axle so that there is no wheel interference when the front wheel is turned, the middle portion is formed with a depression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engine portion is arranged in the depression portion The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body frame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pivot shaft mounting hole in which a pivot shaft for pivoting the articulated arm is installed on the rear axle side and a frame box for receiving a drive mechanism for rotating the pivot shaf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체 프레임이, 전륜 추진축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 관통부를 구비하여 운행 중에 상기 전륜에 의하여 후방으로 튀게 되는 돌이 상기 차체 프레임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body frame, the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front wheel propulsion shaft is formed, and provided with a through portion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stone that is bounced back by the front wheel during the driving does not flow into the body frame. It is characterized by on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체 프레임의 후륜 차축 쪽은 후방 링크를 구비한 후방 프레임이 직접 상기 차체 프레임에 고정 결합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wheel axle of the body frame has a structure in which a rear frame having a rear link is directly fixed to the body fram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후방 프레임이 후륜 차축의 상부로 돌아서 아래 방향으로 형성된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frame has a shape form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o the top of the rear wheel ax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체 프레임이, 한 쌍의 결합 아암을 구비하여 상기 후륜 차축과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결합 아암은 상기 후륜 차축이 좌우로는 이동이 되지 않도록 상기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하로는 유동이 가능한 구조로 상기 차체 프레임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body frame is coupled to the rear wheel axle having a pair of coupling arms, the pair of coupling arms are fixed to the body frame so that the rear wheel axle does not move from side to side and up and down Furnace i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body frame in a structure capable of flow.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는 차체 프레임을 전륜의 바퀴 간섭이 없도록 전륜 차축 쪽에는 상향 배치되고 중간부에는 엔진부가 배치되게 그 중간 부분이 움푹 페인 구조로 함으로써, 상기 전륜이 상기 전차축의 간섭 없이 최대한 조향이 가능하게 되고, 운전석이 구비된 운전캡을 엔진부의 상부에 배치가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tr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middle part is recessed so that the body frame is disposed upward on the front wheel axle so that there is no wheel interference of the front wheel and the engine part is disposed on the middle part, so that the front wheel is steered as much as possible without interference of the front axle. It becomes possible,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operating cap provided with the driver's sea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ngin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체 프레임에서 차동장치, 전륜 차축 및 후륜 차축을 일측으로 치우치게 배치하고 상기 차동장치 등이 배치되지 않은 위치에 상기 엔진부를 배치하고 상기 엔진부가 배치된 상부에 운전석이 구비된 운전캡을 배치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고, 트랙터의 차체를 축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to bias the differential device, the front wheel axle and the rear wheel axle to one side in the body frame, the engine unit in a position where the differential device is not disposed, and the operation unit is provided with a driver's seat on the engine unit is arranged above By arranging the cap, it is possible to have a more stable structure and to reduce the body of the tracto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체 프레임에 상기 전륜 추진축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정 길이만큼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관통부를 구비함으로써, 트랙터의 운행 중에 전륜에 의하여 후방으로 튀게 되는 돌이 상기 차체 프레임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ront wheel propulsion shaft is formed and extends rear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body frame, so that the stone that is bounced backward by the front wheel while the tractor is running into the body frame. It is effective to prevent inflow.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체 프레임의 후방에 상기 후륜 차축의 상부로 돌아서 아래 방향으로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후방 링크를 구비하는 후방 프레임을 직접 고정 설치함으로써, 트랙터 후방에서 상기 후방 링크에 장착되는 로터베이터 등의 작업 장비를 보다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hape form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o the rear of the rear frame axle to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frame by directly fixing the rear frame having a rear link, a rotorbator etc. mounted on the rear link from the rear of the tractor It is effective to install more firmly working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일실시예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일실시예의 동력 시스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체 프레임을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체 프레임을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tr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anatory view of a power system of an embodiment of a tr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body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rear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body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5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tr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ottom view for explaining the tract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tr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는 그 일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이 있는 운전캡(10)이 차체 프레임(30)의 상부 좌측에 위치하고, 회전 가능한 선회축(41)과 결합되어 선회할 수 있는 굴절 아암(40)이 상기 운전캡(10)이 설치되지 않은 공간에 배치되어 균형을 이루고 있다. 즉, 상기 운전캡(10)은 트랙터의 전륜(21)과 후륜(22) 사이에 위치하면서 좌측에 배치되어 상기 운전캡(10)의 측면에는 일정 공간을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정 공간에 상기 굴절 아암(40)으로 작업하지 않을 경우 상기 굴절 아암(40)이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 1에서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a tr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driving
도 2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의 동력 시스템 및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ure 2 describes the power system and structure of the tr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4륜 구동형 트랙터로서 디젤 엔진 등의 엔진부(110)로부터 발생한 회전 동력이 클러치부(121)를 통하여 상기 엔진부(110)에서 발생한 동력을 변속하는 주변속기(122)로 전달되고, 상기 주변속기(122)의 후방에 부변속기(123)를 구비하여 상기 부변속기(123)의 측면으로 통해 전륜(21) 및 후륜(22)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중간 차동장치(130)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four-wheel-driven tractor, the rotational power generated from the
상기 주변속기(122)에서 전달되는 동력은 PTO와 부변속기(122)로 동력이 분배되고, 상기 부변속기(122)로부터 전달된 동력은 중간 차동장치(130)로 전달된다. Power transmitted from the
상기 중간 차동장치(130)는 유니버셜 조인트(133, 134)에 연결된 전륜 추진축(131) 및 후륜 추진축(132)으로 동력을 분배하고 상기 전륜 추진축 (131)및 상기 후륜 추진축(132)은 각각 전륜 차동장치(51) 및 후륜 차동장치(54)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The intermediate
상기 중간 차동장치(130), 전륜 차동장치(51) 및 후륜 차동장치(54)는 종감속 기어 및 차동 기어로 구성되는데 상기 종감속 기어는 상기 전륜 추진축 및 후방 추진축으로 전달된 동력을 최종 감속(4-8 : 1)시켜 직각에 가까운 각도로 변환하여 각각 전륜 차축(53)과 후륜 차축(55)에 전달하며 상기 차동 기어는 전륜(21) 및 후륜(22)의 양쪽 바퀴의 회전수 변화를 가능하게 하여 요철 도로 및 선회할 때 무리 없이 원활하게 회전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차동장치, 즉 상기 중간 차동장치(130), 전륜 차동장치(51) 및 후륜 차동장치(54)를 구비함으로써 4륜구동(AWD, All Wheel Drive) 방식의 구동이 가능하다.The
상기 중간 차동장치(130)는 상기 전륜(21)이 최대 조향될 때 상기 전륜(21)이 상기 후륜(22)을 밀지 않도록 상기 전륜(21)의 양 바퀴 및 상기 후륜(22)의 양 바퀴 각각의 회전수 차이를 조절하고, 상기 중간 차동장치(130)에서 전륜 차동장치(51) 및 후륜 차동장치(54)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intermediate
본 발명에 따른 차체 프레임의 구조 및 동력 시스템의 배치 구조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6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structure of the vehicle body frame and the arrangement of the pow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as follows.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체 프레임(30)은 상기 전륜 차축(53)과 후륜 차축(55) 사이에 배치되어 전방에는 상기 전륜 차축(53)이, 후방에는 후륜 차축(55)이 결합되고, 전륜 차축(53)이 고정 결합되는 전방 쪽에는 상기 후륜 차축(55)보다 상향 배치되고, 중간부에는 엔진부가(110) 배치되게 그 중간 부분이 움푹 페인 구조로 되어 있다.3 and 6, the
상기 전륜 차축(53)은 상기 전륜(21)이 최대한 조향되었을 때 상기 전륜 차축(53)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상향 배치되어 있다.The
상기 차체 프레임(30)에 후륜 차축(55)이 고정 결합되는 구조는 상기 후륜 차축(54)의 특정 위치에 좌우 한 쌍의 결합 아암(34)을 설치하여 상기 차체 프레임(30)의 양 측면에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좌우 한 쌍의 결합 아암(34)은 상기 후륜 차축(55)이 좌우로는 이동이 되지 않도록 고정되고 상하로는 유동이 가능한 구조로 상기 차체 프레임(30)에 상기 후륜 차축(54)을 결합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결합 구조를 가진 상기 결합 아암(34)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후륜 차축(55)이 상하로 유동이 가능하게 되어 완충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한 쌍의 결합 아암(34)은 정지 작업시 상하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고정수단을 더 구비한다.The
상기 차체 프레임(30)의 전방에는 상기 트랙터가 운행 중에 장해물에 부딪쳤을 때 트랙터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완충 프레임(31)이 설치되어 있다.The front of the
운전자의 조향 핸들(미도시)로부터 조향된 조향력을 유압으로 전달받아 상기 전륜(21)을 조향하는 조향 장치(70)가 상기 전륜 차축(53)의 전면과 상기 완충 프레임(31)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향 장치(70)는 본 발명의 특징부가 아니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
상기 차체 프레임(30)의 후방, 즉 상기 후륜 차축(55)이 설치된 후방에는 후방 링크 결합부(32a)를 구비한 후방 프레임(32)이 상기 차체 프레임(30)에 고정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후방 프레임(32)은 상기 후륜 차축(55)의 간섭을 피하도록 상기 후륜 차축(55)의 상부로 돌아서 아래 방향으로 형성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후방 링크(32)에는 경운 작업을 하는 로터베이터 등의 작업기가 장착된다.At the rear of the
상기 후방 링크 결합부(32a)를 구비하는 후방 프레임(32)이 상기 차체 프레임(30)에 직접 고정 설치되어 있어 상기 후방 링크 결합부(32a)에 장착되는 로터베이터 등의 작업 장비가 상기 후륜 차축(55)에 간섭받지 않고 보다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The
상기 중간 차동장치(130), 전륜 차동장치(51) 및 후륜 차동장치(54), 즉 차동장치는 상기 전륜 추진축(131) 및 후륜 추진축(132)과 함께 상기 차체 프레임(30)의 중심부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배치하고, 상기 차동장치, 전륜 추진축(131) 및 후륜 추진축(132)이 배치되지 않은 다른 일측에는 상기 엔진부(110)를 배치한다.The intermediate
상기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상기 엔진부(110)의 설치 위치를 낮출 수 있어 그 무게 중심이 낮아지고, 또한 상기 전륜 차축(53)을 상기 후륜 차축(55)보다 높게 배치할 수 있게 된다.By arranging as described abov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또한, 상기 엔진부(110)가 배치된 상부에는 운전석이 구비된 운전캡(10)을 배치하여 상기 운전캡(10)이 차체 프레임(30)의 일측에 치우치도록 배치되게 한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전륜 차축(53)의 설치 높이는 상기 후륜 차축(55)보다 높이 배치하고 상기 중간 차동장치(130)에서 상기 전륜 차동장치(51)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륜 추진축(131)은 상향 경사지게 설치한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또한, 상기 차체 프레임(30)에서 상기 전륜 추진축(131)이 지나가는 부분[도 6에서 상기 차체 프레임(30)의 우측 상단 부분]에 상기 전륜 추진축(131)이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공(33a)이 형성되고 일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 관통부(33)가 구비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through
상기 관통부(33)에서 상기 일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 부분은 휀다(fender)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트랙터가 운행 중에 전륜(21)에 의하여 후방으로 튀게 되는 돌이 상기 차체 프레임(30)의 내부로 유입되어 엔진부 등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A portion extending from the penetrating
또한, 상기 차체 프레임(30)에는 상기 굴절 아암(40)을 선회시키는 선회축(41)을 설치하기 위하여 그 상부 일측에 선회축 설치공(61)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선회축(41)을 회전시키는 구동 기구(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는 폭과 높이를 가진 프레임 박스(60)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In addition, a pivot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아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10: 운전캡 21: 전륜
21a: 전륜 프레임 22: 후륜
22a: 후륜 프레임 30: 차체 프레임
31: 완충 프레임 32: 후방 프레임
32a: 후방 링크 결합부 33: 관통부
33a: 관통공 34: 결합 아암
40: 굴절 아암 41: 선회축
51: 전륜 차동장치 53: 전륜 차축
54: 후륜 차동장치 55: 후륜 차축
60: 프레임 박스 61: 선회축 설치공
70: 조향 장치 110: 엔진부
121: 클러치부 122:주변속기
123: 부변속기 130: 중간 차동장치
131: 전륜 추진축 132: 후륜 추진축
133, 134: 유니버셜 조인트 10: driving cap 21: front wheel
21a: front wheel frame 22: rear wheel
22a: rear frame 30: body frame
31: buffer frame 32: rear frame
32a: rear link engaging portion 33: through portion
33a: through hole 34: engagement arm
40: refraction arm 41: pivot shaft
51: front wheel differential 53: front wheel axle
54: rear wheel differential 55: rear wheel axle
60: frame box 61: pivot installation worker
70: steering device 110: engine unit
121: clutch portion 122: main transmission
123: sub-transmission 130: intermediate differential
131: front wheel propelling shaft 132: rear wheel propelling shaft
133, 134: universal joint
Claims (5)
전륜이 선회할 때 바퀴 간섭이 없도록 전륜 차축 쪽은 후륜 차축 쪽보다 상향 배치되고 중간부에는 움푹 페인 부분이 형성되어 상기 움푹 페인 부분에 엔진부가 배치되도록 한 차체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차체 프레임은 후륜 차축 쪽에 굴절 아암을 선회시키는 선회축이 설치되는 선회축 설치공과 상기 선회축을 회전시키는 구동 기구를 수용하는 프레임 박스가 일체로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In the tractor,
The front wheel axle side is disposed upward than the rear wheel axle side so that there is no wheel interference when the front wheel is turning, and has a vehicle body frame in which an engine part is arranged in the middle part by forming a depression part in the middle part,
The vehicle body frame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pivot shaft mounting hole in which a pivot shaft for pivoting the articulated arm is installed on the rear axle side and a frame box for receiving a drive mechanism for rotating the pivot shaft.
The tractor characterized by.
상기 차체 프레임은,
전륜 추진축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 관통부를 구비하여 운행 중에 상기 전륜에 의하여 후방으로 튀게 되는 돌이 상기 차체 프레임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fram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front wheel propulsion shaft is formed and a through part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s provided to prevent a stone that bounces backward by the front wheel while driving is not introduced into the vehicle body frame.
The tractor characterized by.
상기 차체 프레임의 후륜 차축 쪽은 후방 링크를 구비한 후방 프레임이 직접 상기 차체 프레임에 고정 결합된 구조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rear axle side of the body frame has a structure in which a rear frame having a rear link is directly fixed to the body frame
The tractor characterized by.
상기 후방 프레임은 후륜 차축의 상부로 돌아서 아래 방향으로 형성된 형상으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The method of claim 3,
The rear frame has a shape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by turning to the top of the rear wheel axle
The tractor characterized by.
상기 차체 프레임은,
한 쌍의 결합 아암을 구비하여 상기 후륜 차축과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결합 아암은 상기 후륜 차축이 좌우로는 이동이 되지 않도록 상기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하로는 유동이 가능한 구조로 상기 차체 프레임에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frame,
The pair of coupling arms are coupled to the rear wheel axle, wherein the pair of coupling arms are fixed to the vehicle frame so that the rear wheel axles do not move from side to side and are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Bound to
The tractor characterized b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4051A KR101258558B1 (en) | 2011-02-17 | 2011-02-17 | Tra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4051A KR101258558B1 (en) | 2011-02-17 | 2011-02-17 | Tractor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98567A Division KR101029376B1 (en) | 2010-10-11 | 2010-10-11 | trac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7337A KR20120037337A (en) | 2012-04-19 |
KR101258558B1 true KR101258558B1 (en) | 2013-05-02 |
Family
ID=46138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4051A Expired - Fee Related KR101258558B1 (en) | 2011-02-17 | 2011-02-17 | Tra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855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1963B1 (en) * | 2022-10-18 | 2023-05-12 | 현대농기계(주) | Four-wheel drive passenger management syste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28235B1 (en) | 1996-06-19 | 1999-11-01 | 세구치 류이치 | Operating machine |
KR100828055B1 (en) | 2005-09-29 | 2008-05-09 |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Automatic two-wheeled vehicle |
-
2011
- 2011-02-17 KR KR1020110014051A patent/KR10125855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28235B1 (en) | 1996-06-19 | 1999-11-01 | 세구치 류이치 | Operating machine |
KR100828055B1 (en) | 2005-09-29 | 2008-05-09 |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Automatic two-wheeled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7337A (en) | 2012-04-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3538750A (en) | Tractor steering device | |
KR101029376B1 (en) | tractor | |
KR101258558B1 (en) | Tractor | |
JP5593449B2 (en) | Tractor | |
KR101195206B1 (en) | Tractor | |
JP3566229B2 (en) | Semi-crawler type traveling device | |
JP5289901B2 (en) | Walking type mobile farm machine | |
JP2008161061A (en) | Cultivator | |
JP4299510B2 (en) | Power extraction mechanism for passenger work vehicles | |
JP5205219B2 (en) | Walking type mobile farm machine | |
JP4520338B2 (en) | Work vehicle capable of running on track | |
JP4083133B2 (en) | Steering structure of a four-wheel drive work vehicle | |
JP5336783B2 (en) | 4 crawler type work vehicle | |
JP2006007990A (en) | Self-traveling type working machine and power transmission unit used therefor | |
CN206394439U (en) | Tractor | |
JPH06125603A (en) | Walk-behind mobile agricultural machine | |
JP3945667B2 (en) | Passenger-type management work vehicle | |
US20210221347A1 (en) | Traveling vehicle | |
JP2017063657A (en) | Work vehicle connection device for work vehicle | |
JP3980790B2 (en) | Rice transplanter | |
JP5043596B2 (en) | Rice transplanter | |
KR20220040326A (en) | Steering device of passenger management | |
JP3104155U (en) | Management work machine | |
JP2015116170A (en) | Semi crawler type tractor | |
JPH06125607A (en) | Walk-behind mobile agricultural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1904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423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