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58332B1 - 예초부가 형성된 경운날을 가진 배토기 - Google Patents

예초부가 형성된 경운날을 가진 배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332B1
KR101258332B1 KR1020100135536A KR20100135536A KR101258332B1 KR 101258332 B1 KR101258332 B1 KR 101258332B1 KR 1020100135536 A KR1020100135536 A KR 1020100135536A KR 20100135536 A KR20100135536 A KR 20100135536A KR 101258332 B1 KR101258332 B1 KR 101258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lade
tilling
mowing
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3701A (ko
Inventor
김준환
Original Assignee
김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환 filed Critical 김준환
Priority to KR1020100135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332B1/ko
Publication of KR20120073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16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special additiona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10Structur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tools ; Theoretical aspects of the cutting action
    • A01B33/103Structur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tools ; Theoretical aspects of the cutting action the rotating shaft being oriented horizontal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2Combined machines with two or more soil-working tools of different kin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초부가 형성된 경운날을 가진 배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터의 후미부에 기어와 함께 연결체결되어 상기 기어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 외둘레면의 경운날의 내측에 톱니 형상의 예초부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의 상측에는 제초날을 형성하되, 예초부가 형성된 경운날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토양의 배토작업과 제초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회전하는 경운날에 의해 베어지면서 회전축에 감기는 잡초들을 효과적으로 분리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부가 형성된 경운날을 가진 배토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수평으로 형성되는 판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수직형성되어 트랙터의 후미부에 체결되는 트랙터 체결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되, 일측은 트랙터의 구동부와 기어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의 하측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회전축에 연동체인을 통해 기어체결되는 기어부와; 상기 회전축의 외둘레면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형성되되, 회전하는 방향으로 굽어지게 형성되어 있고, 굽어진 내측에는 톱니 형상의 예초부가 형성되는 여러 개의 경운날과; 상기 본체의 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되, 상기 여러 개의 경운날 사이에 위치하는 제초날;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예초부가 형성된 경운날을 가진 배토기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예초부가 형성된 경운날을 가진 배토기{A ridging hiller equipped with knives and grass eliminators}
본 발명은 예초부가 형성된 경운날을 가진 배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터의 후미부에 기어와 함께 연결체결되어 상기 기어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 외둘레면의 경운날의 내측에 톱니 형상의 예초부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의 상측에는 제초날을 형성하되, 예초부가 형성된 경운날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토양의 배토작업과 제초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회전하는 경운날에 의해 베어지면서 회전축에 감기는 잡초들을 효과적으로 분리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부가 형성된 경운날을 가진 배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토라 함은 농토에 파종을 하기 전에 농토를 균일하게 갈아엎으면서 돌을 골라내고 파종이 용이하도록 땅을 고르는 것을 말하는데, 상기와 같은 배토를 실시하게 되면, 파종이 용이할 뿐 아니라 상기 농토에 공기의 유입이 용이하여, 파종되는 작물의 성장을 촉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배토작업을 실시하기 위해 종래에는 쟁기, 곡괭이 등의 농기구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직접 농토를 갈아엎고 돌을 골라내었으나, 기계공업의 발달로 인해 농기구도 기계화됨에 따라 배토작업을 전문으로 하는 배토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배토기는 그 구조에 따라서 크게 로터베이터와 해로우로 나뉘어지는데, 여기서, 상기 로터베이터는 회전하는 수평축의 외둘레면에 다수개의 배토용 경운날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평축이 회전을 하게 되면, 그 외둘레면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된 다수개의 배토용 경운날 또한 함께 회전하면서 농토를 배토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배토기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농토에는 잡초가 자라는 경우가 많은데, 상기와 같이 잡초가 자라는 농토를 배토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잡초를 별도로 제거하지 아니하고 배토기를 이용하여 바로 배토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상기 잡초를 제거하지 아니하고 배토기를 이용하여 바로 배토작업을 하는 경우, 상기 잡초가 적을 때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농토에 잡초가 무성하게 자라는 경우에는 상기 경운날을 통해 토양을 파쇄하더라도 상기 잡초는 용이하게 파쇄되지 아니하여 결국 잡초를 별도로 제거해주어야 하는 큰 번거로움이 있고, 이로 인해 작업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배토기를 구성하는 회전축의 외둘레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경운날의 내측에 톱니 형상의 예초부를 형성하고, 상기와 같은 경운날이 형성된 회전축의 상측에는 제초날을 형성하되, 상기 제초날은 경운날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회전하는 경운날에 의해 베어져 따라올라오는 잡초들이 회전축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여, 농토의 배토는 물론이고, 상기 농토에 무성하게 자라는 잡초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부가 형성된 경운날을 가진 배토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을 제시하고자 하며, 참고로, 본 발명은 출원인이 2003. 10. 29.자로 출원하여 2004. 01. 15.자로 등록받은 등록특허를 개량한 발명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은, 수평으로 형성되는 판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수직형성되어 트랙터의 후미부에 체결되는 트랙터 체결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되, 일측은 트랙터의 구동부와 기어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의 하측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회전축에 연동체인을 통해 기어체결되는 기어부와; 상기 회전축의 외둘레면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형성되되, 회전하는 방향으로 굽어지게 형성되어 있고, 굽어진 내측에는 톱니 형상의 예초부가 형성되는 여러 개의 경운날과; 상기 본체의 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되, 상기 여러 개의 경운날 사이에 위치하는 제초날;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예초부가 형성된 경운날을 가진 배토기를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경운날의 상측부는 회전방향의 좌측 혹은 우측으로 일정 각도로 절곡형성되어있되, 회전축의 동일한 외둘레선 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경운날의 상측부는 절곡방향이 좌측과 우측으로 번갈아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전측과 후측에는 경운날에 의해 토립자가 외부로 튀는 것을 차단하는 안전판이 각각 형성되어 있되, 상기 본체의 후측에 형성되는 안전판의 저면에는 또 다른 제초날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후측 하부에는 경운날이 토양을 일정한 깊이로 배토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롤러가 형성된 구성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전측에 형성되는 안전판의 상단은 본체에 체결되고, 그 하단은 지면에 닿는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후측의 힌지부에 전측이 힌지체결되는 안전판의 양측단부에는 수직판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판에는 수직판 체결공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에 수직형성되는 지지판에는 상기 수직판 체결공에 대응되는 안전판 체결공을 형성하되, 상기 안전판 체결공은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안전판의 수직판 체결공의 회전궤적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여러개 형성하여 상기 수직판 체결공과 지지판에 형성된 여러개의 안전판 체결공 중 하나를 수평일치시킨 후, 볼트와 너트로써 체결하여, 안전판을 다양한 각도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트랙터의 후미부에 체결되는 배토기의 회전축에 예초부가 형성된 경운날을 형성하여, 토양의 배토작업은 물론이고, 한번의 작업으로 잡초를 베어 제거하는 제초작업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예초작업과 배토작업을 별도로 할 필요없이 한번에 두개의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배토기의 회전축의 외둘레면에 길이방향의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는 경운날의 사이에 제초날이 각각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경운날에 의해 베어져 따라올라오는 잡초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줌으로써, 안정되고 높은 작업효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회전축에 감기는 잡초로 인한 고장을 사전에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토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토기의 내부구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배토기의 후측 안전판의 사용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토기의 경운날 및 제초날의 배치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배토기의 경운날 및 제초날의 상세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배토기의 사용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배토기의 배토 및 예초과정 상세 도시도
상기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토기(B)는 트랙터(A)의 후미부에 체결되어 배토작업은 물론 제초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토기(A)는 수평으로 형성되는 판상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좌우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지지판(20)과; 상기 본체(10)의 상측으로 수직형성되어 트랙터(A)의 후미부에 체결되는 트랙터 체결부(3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되, 일측은 트랙터(A)의 구동부(A-3)와 기어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회전축(40)에 연동체인(50)으로 기어체결되는 기어부(60)와; 상기 회전축(40)의 외둘레면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형성되되, 회전하는 방향으로 굽어지게 형성되고, 굽어진 내측에는 톱니 형상의 예초부(71)가 형성되는 여러 개의 경운날(70)과;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되, 상기 여러 개의 경운날(70) 사이에 위치하는 제초날(80)(81);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평으로 형성되는 판상의 본체(10)는 트랙터(A)의 후미부에 좌우로 길게 수평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는 트랙터(A)의 후미부에 가까운 전측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그 후측은 둥글게 형성되어 그 하측에 회전축(40)과 그 외둘레면에 형성되는 여러 개의 경운날(7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측에는 트랙터 체결부(30)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트랙터 체결부(30)는 반원형으로 둥글게 절곡된 파이프 형상으로서, 그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체(10)의 상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되, 양측 하단면은 본체(10)의 상측면에 체결되어 있고, 상기 트랙터 체결부(30)의 정중앙에 위치한 최상부와 좌우 하부에는 체결편(3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편(31)은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판재로서, 그 중앙에는 관통체결공(32)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고, 트랙터(A)의 후미부에는 상기 한 쌍의 체결편(31) 사이에 끼워지는 체결돌부(A-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돌부(A-1)의 중앙에는 체결봉 끼움공(A-2)이 수평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편(31) 사이에 체결돌부(A-1)를 끼워 체결봉 끼움공(A-2)과 관통체결공(32)을 일치시킨 후, 이에 체결봉(33)을 관통시켜 끼움체결하게 되면, 상기 트랙터 체결부(30)를 구성하는 체결편(31)은 트랙터(A)의 후미부에 일체형성된 체결돌부(A-1)에 견고하게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체결구조로 트랙터(A)의 후미부에 체결되는 본체(10)의 상부에는 기어부(6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기어부(60)의 일측은 트랙터(A)의 구동부(A-3)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연동체인(50)을 통하여 본체(10)의 하측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회전축(40)의 일측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동체인(50)은 본체(10)의 좌우양측에 형성된 지지판(20) 상에 설치되어, 기어부(60)의 구동력을 회전축(40)에 전달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회전축(40)은 본체(10)의 하측에 형성되되, 본체(10)와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수평형성되고, 그 양측단은 본체(10)의 좌우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지지판(20)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기어부(60)와 연결되는 연동체인(5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어부(60)와 연동체인(50)을 통해 체결되는 회전축(40)의 외둘레면에는 여러 개의 경운날(70)이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운날(70) 사이의 간격은 70 내지 80밀리미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경운날(70)은 회전축(40)의 외둘레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되, 동일한 외둘레면에 3 내지 4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경운날(70)은 회전방향으로 굽어지게 형성되어 있고, 굽어진 내측에는 톱니 형상의 예초부(71)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경운날(70)의 상측부는 회전방향의 좌측 혹은 우측으로 일정 각도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경운날(70)은 기어부(60)와 연동체인(50)으로 연결된 회전축(40)에 의해 빠른 속도로 회전을 하면서 토양의 표층부를 배토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경운날(70)의 상측부는 회전방향에 대해 좌측 혹은 우측으로 예각 절곡되어 있되, 회전축(40)의 동일한 외둘레선 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운날(70)의 각 상측부의 절곡방향은 좌측과 우측으로 번갈아서 절곡형성되어 있어, 단순하게 수직으로 형성된 형태에 비해 토양의 표층부를 효과적으로 갈아엎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는 경운날(70)을 회전축(40)을 통해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경운날(70)은 상측부가 회전방향에 대해 좌측 혹은 우측으로 번갈아서 절곡되어 있어, 회전하면서 토양을 효과적으로 갈아뒤엎게 되고, 아울러 상기 경운날(70)은 회전방향으로 낫처럼 굽어지게 형성되어 있되, 그 내측에는 톱니 형상의 예초부(71)가 형성되어 있어 회전하면서 잡초를 용이하게 베어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운날(70)은 회전축(40)에 의해 회전을 하면서, 토양의 표층부에 뿌리를 내리고 자라는 잡초를 용이하게 베어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토양의 표층부도 함께 배토하여 줌으로써, 제초작업은 물론 배토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평 판상으로 형성되는 본체(10)의 전측에는 경운날(70)의 회전에 의해 배토 및 절단되는 토양 입자와 잡초들이 트랙터(A)쪽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판(90)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안전판(90)은 하단면이 지면에 닿을 정도로 수직형성하되, 가급적 유연한 고무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후측에도 또 다른 안전판(91)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또 다른 안전판(91)은 본체(10)의 후측에 힌지부(11)를 통해 체결되어 상기 힌지부(11)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전판(91)을 원하는 각도로 자유자재로 조절하여 경운날(70)의 회전에 의해 파쇄되는 토양 입자의 난잡한 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의 후측에 힌지체결되는 또 다른 안전판(91)의 양측단부에는 수직판(91a)이 상향으로 일체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판(91a)에는 수직판 체결공(91b)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의 좌우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지지판(20)에는 상기 수직판 체결공(91b)과 대응되는 안전판 체결공(21)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지지판(20)에 형성되는 안전판 체결공(21)은 상기 힌지부(1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수직판(91a)의 회전궤적에 대응되는 라인을 따라 여러 개가 일정 간격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후측에 힌지체결되는 안전판(91)을 일정 각도로 고정체결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수직판(91a)에 형성된 수직판 체결공(91b)과 지지판(20)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여러 개의 안전판 체결공(21) 중 하나를 선택하여 수평일치시킨 다음, 이에 볼트(91c)를 끼워 너트(91d)로 조이게 되면 상기 안전판(91)은 본체(10)의 후측에서 일정 각도로 체결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상황에 따라 안전판(91)의 회전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40)의 후측에는 원통 형상의 지지롤러(100)가 상기 회전축(40)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측단은 본체(10)의 좌우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지지판(2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40)의 후측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롤러(100)는 회전축(40)에 의해 회전하는 경운날(70)의 배토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지지롤러(100) 외면의 최저 높이는 그 앞측에 형성되는 회전축(40)의 외둘레면에 형성되는 경운날(70)의 회전반경의 최저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운날(70)에 의한 토양의 배토깊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지지롤러(100)의 외면의 최저 높이를 조절하면 될 것이다.
또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배토기(B)를 트랙터(A)의 후미부에 체결하여 잡초가 무성한 농토를 배토하게 되면, 예초부(71)가 형성된 경운날(70)에 의해 잡초가 베어지면서 회전축(40)에 감겨지는 경우가 많음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40)의 외둘레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경운날(70)의 사이에 제초날(80)(81)을 형성하여, 경운날(70)에 의해 베어져 감겨올라오는 잡초들이 제초날(80)(81)에 걸려지거나 절단되어 회전축(40)에 더 이상 감겨지지 아니하고 상기 회전축(40)은 항상 깔끔한 상태로 배토 및 제초작업이 진행가능하게 됨은 물론 절단된 잡초들은 거름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 판상으로 형성되는 본체(10)의 저면에 수직 판상의 제초날(70)을 일체 형성하되, 그 하부는 경운날(4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잡초가 회전축(40)에 계속해서 감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회전축(40)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체(10)의 후측에 힌지체결되는 안전판(91)의 저면에도 또 다른 제초날(81)을 수직으로 형성하여 상기 경운날(70)에 의해 베어지면서 감겨올라오는 잡초를 보다 확실하게 제거해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체적인 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 : 트랙터 A-1 : 체결돌부
A-2 : 체결봉 끼움공 A-3 : 구동부
B : 배토기 10 : 본체
11 : 힌지부 20 : 지지판
21 : 안전판 체결공 30 : 트랙터 체결부
31 : 체결편 32 : 체결공
33 : 체결봉 40 : 회전축
50 : 연동체인 60 : 기어부
70 : 경운날 71 : 예초부
80, 81 : 제초날 90, 91 : 안전판
91a : 수직판 91b : 수직판 체결공
91c : 볼트 91d : 너트
100 : 지지롤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수평으로 형성되는 판상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좌우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지지판(20)과; 상기 본체(10)의 상측으로 수직형성되어 트랙터(A)의 후미부에 체결되는 트랙터 체결부(3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되, 일측은 트랙터(A)의 구동부(A-3)와 기어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회전축(40)에 연동체인(50)을 통해 기어체결되는 기어부(60)와; 상기 회전축(40)의 외둘레면에 일정 간격으로 수직형성되되, 회전하는 방향으로 굽어지게 형성되어 있고, 굽어진 내측에는 톱니 형상의 예초부(71)가 형성되는 여러 개의 경운날(70)과;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되, 상기 여러 개의 경운날(70) 사이에 위치하는 제초날(80)과; 상기 본체(10)의 전측과 후측에는 경운날(70)에 의해 토립자가 외부로 튀는 것을 차단하는 안전판(90)(91)이 각각 형성되어 있되, 상기 본체(10)의 후측에 형성되는 안전판(91)의 저면에는 또 다른 제초날(81)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후측 하부에는 경운날(70)이 토양을 일정한 깊이로 배토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롤러(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부가 형성된 경운날을 가진 배토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전측에 형성되는 안전판(90)의 상단은 본체(10)에 체결되고, 그 하단은 지면에 닿는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부가 형성된 경운날을 가진 배토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후측의 힌지부(11)에 전측이 힌지체결되는 안전판(91)의 양측단부에는 수직판(91a)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판(91a)에는 수직판 체결공(91b)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10)의 좌우 양측에 수직형성되는 지지판(20)에는 상기 수직판 체결공(91b)에 대응되는 안전판 체결공(21)을 형성하되, 상기 안전판 체결공(21)은 힌지부(1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안전판(91)의 수직판 체결공(91b)의 회전궤적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여러개 형성하여 상기 수직판 체결공(91a)과 지지판(20)에 형성된 여러개의 안전판 체결공(21) 중 하나를 수평일치시킨 후, 볼트(91c)와 너트(91d)로써 체결하여, 안전판(91)을 다양한 각도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초부가 형성된 경운날을 가진 배토기.











KR1020100135536A 2010-12-27 2010-12-27 예초부가 형성된 경운날을 가진 배토기 KR101258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536A KR101258332B1 (ko) 2010-12-27 2010-12-27 예초부가 형성된 경운날을 가진 배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536A KR101258332B1 (ko) 2010-12-27 2010-12-27 예초부가 형성된 경운날을 가진 배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701A KR20120073701A (ko) 2012-07-05
KR101258332B1 true KR101258332B1 (ko) 2013-04-25

Family

ID=46708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536A KR101258332B1 (ko) 2010-12-27 2010-12-27 예초부가 형성된 경운날을 가진 배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3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3221A (ko) 2015-06-05 2016-12-14 이리중 경운용 블레이드 및 이를 장착한 부분경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82247A (zh) * 2014-12-15 2015-07-22 湖南农夫机电有限公司 旋耕打浆机
CN106576448B (zh) * 2016-12-30 2022-12-30 重庆华世丹机械制造有限公司 多功能微耕机传动机构
CN111480449A (zh) * 2020-05-27 2020-08-04 祝恩玉 一种农用高效铡草机
CN111557166A (zh) * 2020-07-03 2020-08-21 河北三头牛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多用途新型旋耕机
CN112314081B (zh) * 2020-11-06 2021-09-17 颍上县田之都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农田田埂建设机械
CN114451083A (zh) * 2022-01-10 2022-05-10 冯建 一种园艺除草机
CN114885619B (zh) * 2022-03-08 2024-12-06 金湖县兴鹏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防缠绕功能的旋耕灭茬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459B1 (ko) 1994-09-09 2002-01-12 야마오카 타다오 로터리경운장치와경운방법
JP2004267159A (ja) * 2003-03-11 2004-09-30 Kubota Corp ロータリ耕耘機の草巻き付き防止装置
JP2005046004A (ja) * 2003-06-02 2005-02-24 Shinko Engineering Co Ltd 植物残滓の掘り出し装置及びこれに使用する掘り出し用ロータリー刃
KR20100079232A (ko) * 2008-12-31 2010-07-08 (주)위캔글로벌 연료가 절감되는 로터베이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459B1 (ko) 1994-09-09 2002-01-12 야마오카 타다오 로터리경운장치와경운방법
JP2004267159A (ja) * 2003-03-11 2004-09-30 Kubota Corp ロータリ耕耘機の草巻き付き防止装置
JP2005046004A (ja) * 2003-06-02 2005-02-24 Shinko Engineering Co Ltd 植物残滓の掘り出し装置及びこれに使用する掘り出し用ロータリー刃
KR20100079232A (ko) * 2008-12-31 2010-07-08 (주)위캔글로벌 연료가 절감되는 로터베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3221A (ko) 2015-06-05 2016-12-14 이리중 경운용 블레이드 및 이를 장착한 부분경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701A (ko)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332B1 (ko) 예초부가 형성된 경운날을 가진 배토기
DK2753163T3 (en) Tillage Unit
US20080141914A1 (en) Combined Agricultural Machine
US8794345B2 (en) Strip-till no build-up berm builder blade for strip-till farm implement
CN110754146A (zh) 一种耕作机用土壤深松机构
CN112470583B (zh) 一种驱动式甘蔗宿根蔗破垄施肥起垄一体机
KR101741125B1 (ko) 두둑재배 뿌리 작물 수확기
KR200488946Y1 (ko) 농업용 고랑 제초기
KR101776197B1 (ko) 고설재배용 쇄토장치
KR101173005B1 (ko)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
KR102234303B1 (ko) 두둑 성형을 위한 회전날들을 구비하는 논콩 전용 두둑 조성 및 파종 복합기
KR100991512B1 (ko) 농기계용 삽식기
US5351634A (en) Grass planter
RU2384989C1 (ru) Способ подготовки семенного ложа (вариан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CN106900285A (zh) 一种防漏切多用途步行型薯蔓粉碎机
KR200403145Y1 (ko) 농업용 고랑제초기
CN206658534U (zh) 一种防漏切多用途步行型薯蔓粉碎机
CN113099746B (zh) 一种农业犁田机器人
CN215011420U (zh) 一种丘陵山地机械化除灌旋耕工作头
KR100859314B1 (ko) 폭조절 기능을 갖는 제초장치
KR20070027152A (ko) 농업용 고랑제초기
RU2514446C1 (ru)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ее орудие-щелерез
RU2434375C2 (ru) Способ подготовки семенного ложа (варианты)
CN218868620U (zh) 一种草坪切根器
CN209914428U (zh) 一种高效率园林松土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4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