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73005B1 -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 - Google Patents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005B1
KR101173005B1 KR1020110143781A KR20110143781A KR101173005B1 KR 101173005 B1 KR101173005 B1 KR 101173005B1 KR 1020110143781 A KR1020110143781 A KR 1020110143781A KR 20110143781 A KR20110143781 A KR 20110143781A KR 101173005 B1 KR101173005 B1 KR 101173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cutting
vine
cutter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정규
Original Assignee
허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정규 filed Critical 허정규
Priority to KR1020110143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0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06Haulm-cut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002Carriers for the transport of harvesters or m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운기나 트랙터 등의 각종 농기계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경운기나 트랙터(50)의 각종 농기계의 구동부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절단기(1); 및 상기 절단기(1)의 하단 지지대(20)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며, 절단기가 앞으로 진행함에 따라 각종 농작물의 줄기나 넝쿨을 끌어올리거나 절단하는 절단부(3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고구마, 감자 등과 같은 밭작물의 줄기나 넝쿨을 손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특히 절단기 날의 높낮이와 폭 및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인 농민들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cutting machine of farm produce stem and creeper}
본 발명은 경운기나 트랙터 등의 각종 농기계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구마, 감자 등과 같은 밭작물의 줄기나 넝쿨을 손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특히 절단기 날의 높낮이와 폭 및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인 농민들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등록 제1060319호(출원번호 제2009-0068589호)(명칭: 덩굴제거장치)를 개량 보완한 발명인 것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주지하다시피 수박, 참외 등 수확을 마친 채소밭을 다음 농사를 위하여 일구기 위한 이전의 과정이나 뿌리 생물인 고구마 등을 채취하기 이전의 과정에서는 밭의 전체 면적에 분포된 덩굴의 제거작업을 필요로 한다.
이들 덩굴식물의 줄기는 밭의 두둑과 골에 관계없이 지층 표면을 따라 넓은 영역에 걸쳐 뻗쳐 있을 뿐 아니라 이웃하는 다른 줄기들과 서로 엉킨 상태로 존재한다.
만약 이러한 덩굴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경우기 또는 트랙터를 이용하여 쟁기질 등을 수행할 경우 기계와 함께 덩굴의 엉킴 정도가 더욱 심화하여 작업이 어려울 뿐 아니라 기계에 무리를 줘 고장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덩굴제거를 위한 지금까지의 보편적인 과정은 작업자들이 일부 영역 단위로 분담하여 덩굴을 거둬내는 작업을 반복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밭의 위의 과정을 통해 밭의 군데군데에 쌓인 덩굴 더미는 퇴비로 이용하기 위해 태우고, 이로부터 얻어진 재를 흩뿌리는 등의 과정을 거치거나 덩굴 더미를 수거하여 소나 양 등의 가축사료로 활용되었다.
이상에서 밝힌 덩굴제거과정은 많은 작업자의 노동력을 필요로 할 뿐 아니라 많은 작업시간 및 부수적인 뒤처리 작업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선행기술문헌이 있다. 즉, 선행기술문헌 1은, 공개특허 제2009-0073967호(출원번호 제2008-0076350호)(명칭: 덩굴제거장치)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2는, 특허등록 제1060319호(출원번호 제2009-0068589호)(명칭: 덩굴제거장치)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3은, 실용신안등록 제0448815호(출원번호 제2009-0013730호)(명칭: 경운기 탈부착용 고구마 수확장치)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선행기술문헌 1, 2, 3 은 모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상기 종래의 기술은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농작물 줄기 및 넝쿨을 절단하는데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은 절단기 날의 높낮이와 폭 및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없어 사용의 극대화를 꾀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경운기나 트랙터의 각종 농기계의 구동부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절단기와 상기 절단기의 하단 지지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며, 절단기가 앞으로 진행함에 따라 각종 농작물의 줄기나 넝쿨을 절단하는 절단부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경운기나 트랙터 등의 각종 농기계에 부착되어 사용하는 것으로, 특히 각 농가에 있는 경운기나 트랙터의 동력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새로운 동력원의 추가 구입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고구마, 감자 등과 같은 밭작물의 줄기나 넝쿨을 손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고랑에 있는 줄기나 넝쿨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특히 밭고랑의 형상에 관계없이 줄기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절단기 날의 높낮이와 폭 및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5목적은 절단기 날의 휨 방지를 위한 강력 보강 및 수리비용 절감을 위한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고, 제6목적은 기존에는 할 수 없었던 두둑의 골(밭고랑)에 있는 줄기나 넝쿨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7목적은 두둑 골(밭고랑)의 넝쿨을 제거해 주므로서 수확기로 고구마를 캘 경우 넝쿨이 걸리지 않도록 한 것이고, 제8목적은 절단기 날의 탈착시에는 평평한 밭 등의 제초작업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9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인 농민들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경운기나 트랙터의 각종 농기계의 구동부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절단기; 및 상기 절단기의 하단 지지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며, 절단기가 앞으로 진행함에 따라 각종 농작물의 줄기나 넝쿨을 끌어올리거나 절단하는 절단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경운기나 트랙터의 각종 농기계의 구동부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절단기와 상기 절단기의 하단 지지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며, 절단기가 앞으로 진행함에 따라 각종 농작물의 줄기나 넝쿨을 절단하는 절단부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경운기나 트랙터 등의 각종 농기계에 부착되어 사용하는 것으로, 특히 각 농가에 있는 경운기나 트랙터의 동력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새로운 동력원의 추가 구입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구마, 감자 등과 같은 밭작물의 줄기나 넝쿨을 손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고랑에 있는 줄기나 넝쿨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밭고랑의 형상에 관계없이 줄기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절단기 날의 높낮이와 폭 및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절단기 날의 휨 방지를 위한 강력 보강 및 수리비용 절감을 위한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기존에는 할 수 없었던 두둑의 골(밭고랑)에 있는 줄기나 넝쿨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두둑 골(밭고랑)의 넝쿨을 제거해 주므로서 수확기로 고구마를 캘 경우 넝쿨이 걸리지 않도록 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절단기 날의 탈착시에는 평평한 밭 등의 제초작업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인 농민들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의 정면 입체사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의 배면 입체사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의 요부 정면사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의 요부 배면사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절단부의 요부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절단부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7 의 (a)(b)(c)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절단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의 사용상태도.
도 9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절단부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절단기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
본 발명에 적용된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는 도 1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운기나 트랙터(50)의 각종 농기계의 구동부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절단기(1); 및 상기 절단기(1)의 하단 지지대(20)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며, 절단기(1)가 앞으로 진행함에 따라 각종 농작물의 줄기나 넝쿨을 절단하는 절단부(30)가 구비된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를 제공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절단기(1)는 양측에 측판(10)이 각각 구비되되, 경운기나 트랙터(50)의 각종 농기계의 구동부에 연결되는 연결구동부(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동부(11)의 후단에 연결되어 구동하는 기어박스(1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12)에 연결되어 구동하는 구동축(13)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구동축(13)의 일측 측판(10)에 설치되어 구동벨트(도면상 미 도시함)가 회전 작동하는 구동벨트박스(14)가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양 측판(10) 사이에 축설됨과 아울러 구동벨트의 회전에 의해 회전 작동하되, 외부에는 줄기나 넝쿨을 절단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커터날(16)이 설치된 회전축(15)이 구비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절단부(3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도 3,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0)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되는 파이프(2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21)에 고정 설치되어 줄기나 넝쿨을 절단하는 절단고정날(31)과 절단교체날(33)이 구비된다.
특히 상기 절단고정날(31)은 파이프(21)에서 탈착시킬 수 있도록 체결공(32)에 체결구(38)가 끼워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단고정날(31)과 절단교체날(33)이 상호 맞닿는 부위에는 절단교체날(33)을 새것으로 교체하기 위해 각각 체결공(34)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34)에 맞게 양쪽 대향되는 위치에는 각각 체결공(36)이 형성된 연결부재(35)가 설치되되, 이 연결부재(35)의 체결공(36)에는 체결구(37)가 끼워져 절단고정날(31)과 절단교체날(33)을 고정시키게 구성된다.
한편, 도 4,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부(30)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양 측판(10)에 각각 각도조절공(10a)이 형성되고, 상기 양 측판(10)의 내측면에는 힌지축(24)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는 각도조절판(23)이 구비되되, 이 각도조절판(23)은 지지대(20)와 연결 구성되고, 상기 각도조절판(23)에는 각도조절공(10a)에 끼워지게 체결구(25)가 조립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21)에는 정회전시키면 지지대(20)에 닿아 파이프(21)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키고, 역회전시키면 지지대(20)에서 이격되어 파이프(21)를 이동시켜 폭을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구(22)가 설치된다.
또 한편으로 도 7(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교체날(33)의 상면에는 줄기나 넝쿨이 들어 올려지도록 한 들림날이 구비되되, 이 들림날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교체날(33)의 상면에는 잘려서 올라오는 줄기나 넝쿨이 넓게 퍼져서 위로 올라오도록 한 평면날(40)이 구비된다.
그리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교체날(33)의 상면에는 잘려서 올라오는 줄기나 넝쿨이 넓게 퍼지고 양쪽으로 분리되도록 한 굴곡날(41)이 구비된다.
또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교체날(33)의 상면에는 잘려서 올라오는 줄기나 넝쿨이 양쪽 길이 방향으로 넓게 퍼져서 올라오도록 한 날개날(42)이 구비된다.
도면상 미 설명부호 2 는 절단기(1)의 후방 양쪽에 설치되어 절단기의 이동을 서포트해주는 바퀴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파이프(20)에 고정 설치되어 줄기나 넝쿨을 절단하는 절단고정날(31)과 절단교체날(33)은 유압 또는 유압모터 또는 전기모터에 의해 좌우로 이송되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38)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절단고정날(31)을 한 쌍의 두개로 구비한 상태에서 이 사이에 절단교체날(33)을 끼워 고정하되, 장공(31a)에 큰 힘이나 충격이 있을 경우 부러짐으로 절단교체날의 휨을 방지하는 안전핀(31b)이 끼워지고, 상기 절단고정날(31)과 절단교체날(33)에는 돌이나 나무뿌리에 걸렸을 경우 뒤로 제껴 졌다가 다시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한 스프링(31c)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절단교체날(33)의 저면에는 절단교체날의 마모를 방지함과 아울러 땅으로 파고들어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닥쇠(39)가 착탈식으로 부착된다.
더하여 상기 절단기(1)의 후단에는 농작물의 종류와 밭의 토질에 따라 작업방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바퀴(2) 대신에 스키판(3)을 핸들(5)이 구비된 기둥(4)에 부착시켜 구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고구마, 감자 등과 같은 밭작물의 줄기나 넝쿨을 손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특히 절단기 날의 높낮이와 폭 및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를 사용하기 위해 먼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50)의 후면에 절단기(1)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이때 절단기(1)의 연결구동부(11)를 트랙터(50)의 구동부에 연결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트랙터(50)의 구동부 구동에 의해 연결구동부(11)가 회전하면 이와 연결된 기어박스(12)가 구동하고, 이 기어박스(12)의 구동은 일측 구동축(13)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구동축(13)은 일측 구동벨트박스(14)의 구동벨트를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벨트는 양 측판(10) 사이에 축설된 회전축(15)를 회전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 회전축(15)의 회전에 의해서는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구비된 커터날(16)이 회전하면서 끌어 올려진 줄기나 넝쿨을 절단하거나 또는 지면상의 잡풀 등을 컷팅시켜 주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트랙터(50)가 앞으로 전진하게 되면 절단부(30)도 앞으로 전진하면서 땅속의 농작물 줄기 및 넝쿨을 끌어 올리거나 절단시키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절단부(30)의 하단에 구비된 절단교체날(33)은 땅속에 박힌 채로 앞으로 전진하게 되는데, 이때 절단교체날(33)이 땅속에 있는 줄기 및 넝쿨을 끌어 올리거나 절단시키면서 앞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절단교체날(33)은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마모가 되는데, 이를 위해 새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공(34)(36)에서 체결구(37)와 너트를 풀어 연결부재(35)를 절단고정날(31)과 절단교체날(33)에서 분리하면 쉽게 절단교체날(33)을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절단고정날(31)도 장시간 사용에 따라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음은 물론으로 이때는 체결공(32)에서 체결구(38)를 분리하면 손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절단고정날(31)과 절단교체날(33)을 새것으로 교체하는 과정은 상기 분리 과정의 역순으로 하게 되면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절단부(30)를 현장 상황에 맞게 각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복수개의 절단부(30)의 간격을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절단부(30)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도 4,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22)의 끝단이 지지대(20)에 맞닿게 되면 파이프(21)를 좌우로 이동시킬 없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구(22)를 풀게 되면 고정구(22)의 끝단이 지지대(20)에서 이격되어 파이프(21)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복수개의 절단부(30)의 간격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절단부(30)를 도면에서 3개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일 뿐 본 발명에서는 절단부(30)를 2개 또는 3개 이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절단부(30)를 임의 각도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각도조절판(23)을 힌지축(24)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절단부(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도 5 의 실선과 같은 상태에서 절단부(30)를 가상선과 같이 상부 또는 하부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먼저 2개의 체결구(25)를 풀어 각도조절공(10a)을 따라서 각도조절판(23)을 움직일 수 있도록 느슨하게 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각도조절판(23)을 위치시킨 후 다시 체결구(25)를 긴밀히 조이게 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절단부(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7(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교체날(33)의 상단에 평면날(40) 또는 굴곡날(41) 또는 날개날(42)을 달아서 줄기나 넝쿨이 넓게 퍼져서 올라오도록 할 수 있다.
즉, 끝은 뾰족하고 상면은 평평한 평면날(40)은 잘려서 올라오는 줄기나 넝쿨이 넓게 퍼져서 위로 올라오도록 한 것이고, 끝이 뾰족하고 양면이 하향 절곡된 굴곡날(41)은 잘려서 올라오는 줄기나 넝쿨이 넓게 퍼지고 양쪽으로 분리되도록 한 것이며, 선단이 곡선지고 양면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날개날(42)은 잘려서 올라오는 줄기나 넝쿨이 양쪽 길이 방향으로 넓게 퍼져서 올라오도록 한 것으로, 상기 평면날(40)과 굴곡날(41) 그리고 날개날(42) 모두 땅속의 줄기나 넝쿨이 상부로 올라오는 과정에서 넓게 퍼져서 올라오도록 해서 나중에 작업자가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한편 본 발명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부(38)에 의해 파이프(21)에 고정 설치되어 줄기나 넝쿨을 절단하는 절단고정날(31)과 절단교체날(33)을 유압 또는 유압모터 또는 전기모터에 의해 좌우로 이송하면서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절단교체날(33)이 안전핀(31b)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상기 안전핀(31b)은 장공(31a)에 끼워져 큰 힘이나 충격이 있을 경우 부러짐으로 절단교체날(33)의 휨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단고정날(31)과 절단교체날(33)에는 돌이나 나무뿌리에 걸렸을 경우 뒤로 제껴 졌다가 다시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한 스프링(31c)이 구비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절단교체날(33)의 저면에는 절단교체날의 마모를 방지함과 아울러 땅으로 파고들어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닥쇠(39)가 착탈식으로 부착된다.
또 한편으로 본 발명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단기(1)의 후단에는 농작물의 종류와 밭의 토질에 따라 작업방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스키판(3)이 구비되되, 이 스키판(3)은 핸들(5)의 정역 회전에 따라 기둥(4)을 중심으로 상하로 승하강 작동하게 된다.
본 발명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절단기 10: 측판
20: 지지대 30: 절단부
40: 평면날 50: 트랙터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경운기나 트랙터의 각종 농기계의 구동부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절단기; 상기 절단기는 양측에 측판이 각각 구비되되, 경운기나 트랙터의 각종 농기계의 구동부에 연결되는 연결구동부; 상기 연결구동부의 후단에 연결되어 구동하는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에 연결되어 구동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일측 측판에 설치되어 구동벨트가 회전 작동하는 구동벨트박스; 상기 양 측판 사이에 축설됨과 아울러 구동벨트의 회전에 의해 회전 작동하되, 외부에는 줄기나 넝쿨을 절단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커터날이 설치된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절단기의 하단 지지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며, 절단기가 앞으로 진행함에 따라 각종 농작물의 줄기나 넝쿨을 끌어올리거나 절단하는 절단부;가 구비된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30)는,
    지지대(20)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되는 파이프(21); 및
    상기 파이프에 고정 설치되어 줄기나 넝쿨을 절단하는 절단고정날(31)과 절단교체날(33);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
  4. 삭제
  5.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절단고정날(31)과 절단교체날(33)이 상호 맞닿는 부위에는 절단교체날을 새것으로 교체하기 위해 각각 체결공(34)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34)에 맞게 양쪽 대향되는 위치에는 각각 체결공(36)이 형성된 연결부재(35)가 설치되되, 이 연결부재의 체결공(36)에는 체결구(37)가 끼워져 절단고정날과 절단교체날을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
  6.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30)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양 측판(10)에 각각 각도조절공(10a)이 형성되고, 상기 양 측판의 내측면에는 힌지축(24)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는 각도조절판(23)이 구비되되, 이 각도조절판(23)은 지지대(20)와 연결 구성되고, 상기 각도조절판(23)에는 각도조절공(10a)에 끼워지게 체결구(25)가 조립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
  7.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21)에는 정회전시키면 지지대(20)에 닿아 파이프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키고, 역회전시키면 지지대(20)에서 이격되어 파이프를 이동시켜 폭을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구(22)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
  8.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절단교체날(33)의 상면에는 줄기나 넝쿨이 들어 올려지도록 한 들림날이 구비되되, 이 들림날은 줄기나 넝쿨이 넓게 퍼져서 위로 올라오도록 한 평면날(40) 또는 줄기나 넝쿨이 넓게 퍼지고 양쪽으로 분리되도록 한 굴곡날(41) 또는 줄기나 넝쿨이 양쪽 길이 방향으로 넓게 퍼져서 올라오도록 한 날개날(42)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
  9.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에 고정 설치되어 줄기나 넝쿨을 절단하는 절단고정날(31)과 절단교체날(33)은 유압 또는 유압모터 또는 전기모터에 의해 좌우로 이송되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38);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
  10.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절단고정날(31)을 한 쌍의 두개로 구비한 상태에서 이 사이에 절단교체날(33)을 끼워 고정하되, 장공(31a)에 큰 힘이나 충격이 있을 경우 부러짐으로 절단교체날의 휨을 방지하는 안전핀(31b)이 끼워지고, 상기 절단고정날(31)과 절단교체날(33)에는 돌이나 나무뿌리에 걸렸을 경우 뒤로 제껴 졌다가 다시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한 스프링(31c)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
  11.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절단교체날(33)의 저면에는 절단교체날의 마모를 방지함과 아울러 땅으로 파고들어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닥쇠(39)가 착탈식으로 더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
  12. 삭제
KR1020110143781A 2011-12-27 2011-12-27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 KR101173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781A KR101173005B1 (ko) 2011-12-27 2011-12-27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781A KR101173005B1 (ko) 2011-12-27 2011-12-27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3005B1 true KR101173005B1 (ko) 2012-08-09

Family

ID=46880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781A KR101173005B1 (ko) 2011-12-27 2011-12-27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00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529B1 (ko) 2018-04-04 2018-08-06 주식회사 대신에이씨엠 농작물 줄기 절단장치
KR20230093600A (ko) 2021-12-20 2023-06-27 (주)효성산업 부추줄기 및 꽃대 절단 제거장치
KR20240021523A (ko) 2022-08-10 2024-02-19 주식회사 불스 농산물 절단기 무게 경감 장치
KR20240067452A (ko) 2022-11-09 2024-05-17 김재동 밭작물용 줄기 절단 파쇄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996Y1 (ko) 2004-04-02 2004-06-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마늘 수확기
KR100818251B1 (ko) 2007-08-21 2008-04-03 엠테크영농조합법인 농작물용 줄기 제거 장치
KR101060319B1 (ko) 2009-07-27 2011-08-29 허정규 덩굴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996Y1 (ko) 2004-04-02 2004-06-23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마늘 수확기
KR100818251B1 (ko) 2007-08-21 2008-04-03 엠테크영농조합법인 농작물용 줄기 제거 장치
KR101060319B1 (ko) 2009-07-27 2011-08-29 허정규 덩굴제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529B1 (ko) 2018-04-04 2018-08-06 주식회사 대신에이씨엠 농작물 줄기 절단장치
KR20230093600A (ko) 2021-12-20 2023-06-27 (주)효성산업 부추줄기 및 꽃대 절단 제거장치
KR20240021523A (ko) 2022-08-10 2024-02-19 주식회사 불스 농산물 절단기 무게 경감 장치
KR20240067452A (ko) 2022-11-09 2024-05-17 김재동 밭작물용 줄기 절단 파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332B1 (ko) 예초부가 형성된 경운날을 가진 배토기
KR101173005B1 (ko) 농작물 줄기 및 넝쿨 절단기
US6926091B2 (en) Counter-rotating twin shaft system for gardening machines
KR101892193B1 (ko) 다조식 제초기
US20140196430A1 (en) Implement for extraction and decimation of plant stalks
KR100601585B1 (ko) 양파 수확기
CN211210395U (zh) 一种果园浅层除草装置
RU2384989C1 (ru) Способ подготовки семенного ложа (вариан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KR101535279B1 (ko) 농업용 커터 블레이드
KR200403145Y1 (ko) 농업용 고랑제초기
KR100966623B1 (ko) 쟁기
JP3168458U (ja) 条間除草機
KR20070027152A (ko) 농업용 고랑제초기
CN113068464A (zh) 一种自驱式星形指状除草装置
KR20090073967A (ko) 덩굴제거장치
KR20210083069A (ko) 고랑 제초기
RU2647321C1 (ru) Орудие для окучивания и формирования борозд и гряд
RU2318301C1 (ru) Ручной культиватор
JP6161973B2 (ja) 農作業機
KR101514277B1 (ko) 농업용 커터 블레이드
JP2006197870A (ja) 除草装置
KR20250042976A (ko) 농업용 고랑 제초기
EP4302583A1 (en) Agricultural equipment
CN200966213Y (zh) 多功能锄草装置
CN201185551Y (zh) 旋耕机耕刀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8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8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