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57116B1 -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 - Google Patents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116B1
KR101257116B1 KR1020077005376A KR20077005376A KR101257116B1 KR 101257116 B1 KR101257116 B1 KR 101257116B1 KR 1020077005376 A KR1020077005376 A KR 1020077005376A KR 20077005376 A KR20077005376 A KR 20077005376A KR 101257116 B1 KR101257116 B1 KR 101257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fixed wing
turbomolecular pump
blade
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5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0952A (ko
Inventor
다케시 아키모토
신지 가와니시
Original Assignee
에드워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드워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드워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0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11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9/00Axial-flow pumps
    • F04D19/02Multi-stage pumps
    • F04D19/04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to the production of a high vacuum, e.g. molecular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9/00Axial-flow pumps
    • F04D19/02Multi-stage pumps
    • F04D19/04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to the production of a high vacuum, e.g. molecular pumps
    • F04D19/042Turbomolecular vacuum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41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542Bladed diff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sitive Displacement Air Blower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고정 날개의 파손의 저감을 도모하는데에 적합한 터보분자 펌프 고정 날개를 제공한다. 고정 날개 집합체(30)를 2개 맞대어 링형상의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B)가 형성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내림부(32)에는 공극부(S)가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Description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FIXED VANE OF TURBO MOLECULAR PUMP}
본 발명은,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그 고정 날개의 파손의 발생을 저감하도록 한 것이다.
진공 펌프는, 일반적으로는, 예를 들면 펌프 케이스의 안쪽에 로터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 로터가 고속 회전함으로써, 이 로터의 외주에 다단으로 절취되어 일체 성형된 회전날개가 고속 회전한다. 펌프 케이스의 내주에는, 고정 날개가 회전날개와 교대로 다단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다단의 교대로 배치된 고정 날개와 회전날개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가스 분자의 배기 동작을 행하고, 이 진공 펌프가 접속된 반도체 장치의 프로세스 챔버 등 안을 진공 상태로 한다. 즉, 고속 회전하고 있는 최상단의 회전날개가, 가스 흡기구로부터 입사한 가스 분자에 하향 방향의 운동량을 부여하고, 이 하향 방향의 운동량을 갖는 가스 분자가, 고정 날개에 안내되고 다음 단의 회전날개로 이송된다. 이상의 가스 분자로의 운동량의 부여와 이송 동작이 반복되어 다단으로 행해짐으로써, 가스 흡기구측의 가스 분자가 로터 하부측의 나사 고정자의 안쪽에 차례차례 이행하여 배기되고, 이것에 의해 반도체 장치의 프로세스 챔버 등의 안이 진공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은 가스 분자의 배기 동작을 행하는 고정 날개와 회전날개와의 간격은, 효율적으로 가스 분자의 배기를 행하기 위해 매우 좁게 설정되어 있다.
이 고정 날개는, 예를 들면, 도 7(a)와 같이, 링형상의 내림(rim)부(32)와 외림부(33)와의 사이에 방사형상으로 복수 배치되고, 일체로 연결한 구조의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B)로서 진공 펌프에 배치된다. 또, 이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B)는, 일반적으로는, 펌프 케이스의 내주에 회전날개와 교대로 스페이서를 통해, 외림부(33)를 끼워가짐으로써 다단으로 위치 결정 고정되고 있다.
이와 같이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B)는 회전날개와 다단 교대로 배치되어 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그 형상은 링형상이고, 또한, 회전날개는 로터의 외주에 다단으로 절취되어 일체 성형되어 있으므로, 이 링형상의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B)의 중앙구멍의 부분을 로터에 씌우도록 하여 진공 펌프에 배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B)는, 진공 펌프에 배치 전 상태에 있어서 분할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이런 종류의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B)는,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내림부(32)와, 외림부(33)와, 이 내림부(32)와 이 외림부(33)와의 사이에 방사형상으로 복수 배치된 고정 날개(31, 31...)를 구비한 반링형상의 고정 날개 집합체(30)를, 동도(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법으로 2개 맞대어 링형상로 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 날개 집합체(30)는 로터를 끼워 넣어 각 고정 날개 집합체(30)가 양측으로부터 끼워지고, 상기 방법으로 링형상로 조합됨으로써, 회전날개와 교대로 진공 펌프 내에 배치된다.
이 고정 날개 집합체(30)를 2개 맞대어 회전날개의 사이에 배치할 때에, 맞대어진 상태로 링형상이 되도록 내림부 단부(32a) 및 외림부 단부(33a)의 위치를 결정을 행할 필요가 있지만, 회전날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로터에 절취되어 일체 성형되어 있음과 동시에, 고정 날개 집합체(30)의 외림부(33)는 스페이서를 통해 위치 결정 단적(段積)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내림부 단부(32a)의 맞댐 상태가 바깥쪽에서 확인할 수 없다.
즉, 반링형상의 고정 날개 집합체(30)를 진공 펌프 내에 위치 결정 배치할 때에, 바깥쪽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외림부 단부(33a)만으로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내림부 단부(32a)에 대하여는, 눈으로 확인하지 않고 위치 결정 배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고정 날개 집합체(30)는, 비용 저감, 작업 효율 등의 관점에서 펀칭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동일 형상의 반링형상의 것이 복수 제조된다(특허 문헌 1).
따라서, 통상이면 이 반링형상의 고정 날개 집합체(30)를 도 7(a)와 같이 2개 맞대면, 맞대어진 각 고정 날개 집합체(30)의 내림부 단부(32a)도 외림부 단부(33a)도 모두 맞댐 라인(L) 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제조된 고정 날개 집합체(30)에는 불균형도 있고, 상기 펀칭 프레스 시에, 내림부 단부(32a)가 맞댐 라인(L)보다 둘레방향에 대해 설계 치수보다 길게 형성되는 일도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제조 불량의 고정 날개 집합체(30)의 하나 또는 두 개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맞대고, 진공 펌프에 위치 결정 배치한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내림부 단부(32a)의 맞댐 상태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내림부 단부(32a)끼리가 충돌하여, 도 9(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겹쳐 버리거나, 휘어 버리거나 할 우려가 있고, 다음과 같은 문제를 일으킨다.
즉, 고정 날개(31)와 회전날개와의 간격은 상기한 바와 같이, 매우 좁게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내림부 단부(32a)에 있어서, 도 9(a),(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겹침이나 휨이 발생해 버리면, 그 간격이 더 좁아지고, 결국 그 겹침이나 휨이 생긴 돌출된 부분이 회전날개에 접촉되고, 고정 날개(31)의 파손에도 이어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고정 날개(31)의 파손의 원인은 미연에 막는 것이 안전성 확보, 위험 회피 등의 관점에서 특히 중요하지만, 특허 문헌 2 기재와 같은 링형상의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B)를 세로로 반나누기한 상태의 고정 날개 집합체(30)를 2개 맞대어 형성된 터보분자 펌프 고정 날개(B), 즉, 반링형상의 고정 날개 집합체(30)의 양단부가, 내림부 단부(32a)와 외림부 단부(33a)가 맞댐 라인(L) 상에 위치하도록 제조된 고정 날개 집합체(30)를 2개 맞대어 형성되는 바와 같은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B)의 구조에서는, 내림부 단부(32a)의 겹침이나 휨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고정 날개(31)의 파손의 미연 방지를 도모할 수 없고, 그 결과, 고정 날개(31)의 파손의 저감을 도모할 수 없다.
[특허 문헌 1: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3-269365호]
[특허 문헌 2: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5-157090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고정 날개의 파손의 저감을 도모하는데 매우 적합한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사형상으로 나열되어 배치된 복수의 고정 날개를 내림부와 외림부에서 일체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구조의 반링형상의 고정 날개 집합체를 2개 맞대어 이루어진 링형상의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로서, 상기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는, 상기 고정 날개 집합체를 2개 맞댄 상태로 상기 내림부에는 공극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고정 날개 집합체는, 예를 들면, 외형 빼기 가공, 슬릿 빼기 가공, 굽힘성형 가공을 거쳐 반링형상의 동일 형상의 것이 복수 제조되는 것이며, 이 고정 날개 집합체를 2개 맞댐으로써, 링형상의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가 구성된다.
또, 이 고정 날개 집합체의 내림부 단부의 일단이, 맞댐 라인보다 둘레방향에 있어서 짧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고정 날개 집합체를 2개 맞대었을 때에 내림부 단부끼리가 충돌하는 일은 없고, 이 고정 날개 집합체를 2개 맞대어 형성된 링형상의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의 내림부에는, 공극부가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공극부는, 0.3㎜~0.7㎜이어도 된다. 이 공극부는 고정 날개 집합체를 2개 맞대었을 때의 맞댐 부분에 있어서, 내림부 단부끼리가 겹쳐 버리거나, 휨을 일으키거나 하지 않을 정도의 간격일 필요가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공극부는 0.5㎜로 하는 것이 좋다.
또, 이 공극부는, 고정 날개 집합체 내림부 단부의 일단을, 이 고정 날개 집합체를 2개 맞대어 형성되는 맞댐 라인보다 둘레방향에 대하여 짧게 함으로써 형성되고, 이 내림부 단부는, 내림부의 잘라 세움측 단부여도 된다.
내림부의 절취 종단측 단부를 짧게 형성하면, 내림부에 의해 고정 날개를 유지하는 부분이 깎여져 버리게 되고, 고정 날개의 유지 강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하는 것이 좋다.
도 1은 진공 펌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진공 펌프에 있어서의 스페이서 주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고정 날개 집합체를 제조하는 공정의 설명도(공정 1)이다.
도 4는 고정 날개 집합체를 제조하는 공정의 설명도(공정 2)이다.
도 5는 굽힘성형 가공 후의 고정 날개의 상태를 바로 옆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고정 날개 집합체를 제조하는 공정의 설명도(공정도)이다.
도 7은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의 조립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의 도 7의 맞댐부에 있어서의 확대도이다.
도 9는 종래의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의 도 7의 맞댐부에 있어서의 확대도이다.
[도면의 부호의 설명]
1 펌프 케이스 2 가스 흡기구
3 가스 배기구 4 엔드플레이트
5 고정자 칼럼 6-1 지름 방향 전자석
6-2 축방향 전자석 7 로터축
8 구동 모터 9 로터
10 회전날개 12 나사 고정자
13 나사홈 14 챔버
30 고정 날개 집합체 31 고정 날개
32 내림부 32a 내림부 단부
32a-1 잘라 세움측 단부 32a-2 절취 종단측 단부
33 외림부 33a 외림부 단부
60 스페이서 61 단부
100 판재 101 반링형상 판재
101-1 내림부 단부 형성부 102 슬릿
200 펀치 B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
L 맞댐 라인 S 공극부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진공 펌프는, 반도체 제조장치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진공 장치의 일부로서 사용되고, 진공 챔버 내의 압력을 소정의 진공도로 한 것이다. 또, 동도의 진공 펌프는, 터보 분자 펌프와 나사홈 펌프를 복합한 복합형 진공 펌프이며, 파이프형상의 펌프 케이스(1)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로터(9)를 갖고, 이 로터(9)의 대략 상반부가 터보 분자 펌프로서 기능하고, 한편, 이 로터(9)의 대략 하반부가 나사홈 펌프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펌프 케이스(1)는, 그 상면의 개구부를 가스 흡기구(2)로 하고, 또한 하부 일측부에 가스 배기구(3)가 되는 배기 파이프를 돌출시켜 설치한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케이스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이 펌프 케이스(1)의 바닥부는 엔드플레이트(4)에 의해 뚜껑이 덮히고, 그 안바닥면 중앙에는 고정자 칼럼(5)이 세워져 있다.
이 고정자 칼럼(5)의 중심부에는 로터축(7)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로터축(7)은, 고정자 칼럼(5) 내에 설치한 지름 방향 전자석(6-1)과 축방향 전자석(6-2)으로 이루어진 자기 베어링에 의해, 그 축방향 및 지름 방향으로 각각 베어링 지지되어 있다.
고정자 칼럼(5)의 안쪽에는 구동 모터(8)가 배치되어 있고, 이 구동 모터(8)는, 그 고정자(8a)를 고정자 칼럼(5)의 안쪽에, 회전자(8b)를 로터축(7)에 배치한 구조로서, 로터축(7)을 그 축심 둘레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펌프 케이스(1)의 안쪽에 있어서, 로터축(7)의 고정자 칼럼(5)으로부터의 상부 돌출단에는, 고정자 칼럼(5)의 바깥 주위에 덮이는 단면 형상의 로터(9)가 연결되어 있다.
로터(9)의 상부 외주에는 회전날개(10)가 다단으로 배치 고정되어 있고, 이 회전날개(10)와 교대로 고정 날개(31)가 다단으로 배치 고정되어 있다.
또, 이 각 단의 고정 날개(31)는, 그 극간이 소정의 거리로 설정되어 있고, 펌프 케이스(1)의 파이프 지름 방향에 위치 결정 고정되어 있다.
이 각 단의 고정 날개(31)의 극간 설정과 지름 방향 위치 결정은, 펌프 케이스(1)의 내주측에 다단으로 단적되어 설치된 링형상의 스페이서(60)를 통해 행해지고 있다.
이 스페이서(60)에 있어서는, 펌프 조립공정에서의 스페이서 단적 작업시에 있어서의 스페이서(60)의 옆으로 어긋남 방지나, 상하단의 스페이서(60, 60)를 똑같이 펌프 케이스(1)의 파이프 지름 방향으로 위치 결정 가능하게 하기 위해, 스페이서(60)를 단적 설치한 상태로 상하의 스페이서(60, 60)끼리 끼워 맞춰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스페이서(60)의 내외 양 주면(周面)에 단부(61a, 61b)를 형성함과 동시에, 위쪽의 스페이서 내주면의 단부(61a)와 아래 쪽의 스페이서 외주면의 단부(61b)가 서로 끼워 맞추는 단적 끼워 맞춤 구조가 이 스페이서(60)에 채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진공 펌프의 동작 설명을 하면, 우선, 가스 배기구(3)에 접속되는, 도시하지 않은 보조 펌프를 작동시켜 챔버(14) 내를 어느 정도의 진공 상태로 한 후, 구동 모터(8)를 동작시키면, 로터축(7)과 이것에 연결된 로터(9) 및 회전날개(10)가 고속 회전한다.
그리고, 고속 회전하고 있는 최상단의 회전날개(10)가 가스 흡기구(2)로부터 입사한 가스분자에 하향 방향의 운동량을 부여하고, 이 하향 방향의 운동량을 갖는 가스 분자가 고정 날개(31)에 안내되고, 다음 단의 회전날개(10)측으로 이송된다. 이상의 가스 분자로의 운동량의 부여와 이송 동작이 반복되어 다단으로 행해짐으로써, 가스 흡기구(2) 측의 가스 분자가 로터(9) 하부측의 나사 고정자(12)의 안쪽으로 차례차례 이행하여 배기된다. 즉, 이러한 가스 분자의 배기의 동작을 회전날개(10)와 고정 날개(31)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행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분자 배기 동작에 의해 로터(9) 하부측의 나사 고정자(12)에 도달한 가스 분자는, 회전하는 로터(9)와 나사 고정자(12)의 안쪽에 형성된 나사홈(13)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천이류(遷移流)에서 점성류(粘性流)로 압축되어 가스 배기구(3) 측으로 이송되고, 또한, 이 가스 배기구(3)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보조 펌프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B)는, 2개의 고정 날개 집합체(30)를 맞대어 구성되므로, 이 고정 날개 집합체(30)의 제조 방법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우선 설명한다.
우선, 도 3(공정 1)의 도면 중,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판재(100)로부터 반링형상 판재(101)를 천공하는 가공이 행해진다(외형 빼기 가공). 이 외형 빼기 가공에 대하여는 펀칭 프레스 가공을 적용할 수 있다.
이 외형 빼기 가공시에, 내림부 단부 형성부(101-1)의 일단에 절취부를 넣는 다. 이로 인해, 상기 및 하기 과정을 거쳐 제조된 고정 날개 집합체(30)를 2개 맞댄 상태에 있어서,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림부(32)에 공극부(S)가 형성되게 된다.
그 후, 도 4(공정 2)의 도면 중,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링형상 판재(101)에 슬릿(102)을 형성하는 가공이 행해진다(슬릿 빼기 가공). 이 슬릿 빼기 가공에 대하여도 펀칭 프레스 가공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릿(102)에 대하여는, 반링형상 판재(101)의 둘레방향으로 내외 2개와, 같은 반링형상 판재(101)의 지름 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지만, 이 다수의 지름 방향 슬릿(102-1, 102-1) 간의 판재 부분(103-1)이 최종적으로 도 7(b)에 나타낸 고정 날개(31)가 된다.
또, 상기 내외 2개의 둘레방향 슬릿(102-2, 102-3) 중, 안쪽의 둘레방향 슬릿(102-2)보다 더 안쪽의 판재 부분(103-2) 및 외측의 둘레방향 슬릿(102-3)보다 더 외측의 판재부분(103-3)은,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날개(31)(판재부분(103-1))를 지지하는 내림부(32) 및 외림부(33)가 된다. 또한, 고정 날개 집합체(30)는 동일 형상의 고정 날개(31)가 반복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도 4에서는 고정 날개 집합체(30)의 약 1/3만을 나타내고, 그 약 2/3은 생략하고 있다.
다음에, 굽힘성형 가공(공정 3)이 행해진다. 이 굽힘성형 가공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지름 방향 슬릿(102-1, 102-1) 간의 판재부분(103-1)을,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의 앙각(θ), 즉 기체 분자의 배기에 최적인 각도로 상향으로 세워 올리도록 굽힘가공한다.
이러한 굽힘성형 가공에 대하여는,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프레스 굽힘가공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동도의 프레스 굽힘가공은, 상하의 펀치(200, 201)의 대향면(200a, 201a)을 고정 날개(31)의 앙각(θ)에 대응하여 경사한 프레스면으로 하고, 이 프레스면에서 세로방향 슬릿(102-1, 102-1)간의 판재부분(103-1)을 도 6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a), (b), (c)의 순서로 양면측에서 프레스하는 방식의 굽힘가공이다.
이상과 같은 외형 빼기 가공(공정 1), 슬릿 빼기 가공(공정 2), 굽힘성형 가공(공정 3)이 완료되면,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고정 날개(31)가 방사형상으로 복수 일체로 배치된 상태로 얻어지고, 이 복수의 고정 날개(31, 31...)의 일체품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고정 날개 집합체(30)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과정을 거쳐 제조된 고정 날개 집합체(30)의 내림부 단부(32a)의 일단이 맞댐 라인(L)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이 고정 날개 집합체(30)를 2개 맞댄 상태에 있어서 내림부(32)에 공극부(S)가 형성되게 되고, 상기한 내림부(32)에 있어서의 겹침이나 휨을 방지할 수 있고,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B)의 파손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제조된 고정 날개 집합체(30)를 진공 펌프에 배치하는 방법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7은 종래와 같이, 고정 날개 집합체(30)를 2개 맞대어 링형상의 터보 분자 펌프 고 정 날개(B)가 형성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A부 및 B부, 즉, 고정 날개 집합체(30)의 맞댐부의 확대도이다.
이 제조된 고정 날개 집합체(30) 중의 2개를 이용하여, 로터(9)에 일체적 또한, 링형상으로 다단으로 다수 형성된 회전날개(10)의 각 단의 사이에, 로터(9)를 끼워 넣도록 하여 각 고정 날개 집합체(30)를 양측으로부터 삽입된 상태로 진공 펌프 내에 배치한다.
또, 이 삽입되어 배치되었을 때의 각 고정 날개 집합체(30)의 맞댐 방법은, 종래와 같이, 도 7(a),(b)와 같은 방법이다. 또한, 이 맞대었을 때에 링형상이 되도록 각 고정 날개 집합체(30)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점에 있어서도 종래와 같고, 바깥쪽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외림부 단부(33a)의 맞댐 상태만으로 행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맞대어진 각 고정 날개 집합체(30)에는, 상기한 외형 빼기 가공 시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림부 단부 형성부(101-1)의 일단에 절취부가 들어가 있으므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고정 날개 집합체(30)의 내림부 단부(32a)의 일단은, 맞댐 라인(L)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짧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7(a)와 같이, 이 고정 날개 집합체(30)가 맞대어졌을 때에, 도 7(a)의 A부 및 B부, 즉, 고정 날개 집합체(30)의 맞댐부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림부(32)에 공극부(S)가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B)의 내림부(32)에는 공극부(S)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고정 날개 집합체(30)의 위치 결정을, 외 림부 단부(33a)의 맞댐 상태만을 눈으로 확인하고, 내림부 단부(32a)의 맞댐 상태를 전혀 눈으로 확인하지 않고 행했다 하더라도, 각 고정 날개 집합체(30)의 내림부 단부(32a)끼리 충돌하지 않고, 내림부 단부(32a)끼리의 겹침이나 휨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이 공극부(S)는 내림부 단부(32a)에 상기와 같은 절취부를 만듦으로써 형성되지만, 이 절취부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림부(32)의 절취 종단측 단부(32a-2)보다 내림부(32)의 잘라 세움측 단부(32a-1)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취 종단측 단부(32a-2)에 절취부를 넣으면, 내림부(32)가 고정 날개(31)를 유지하는 부분이 깎여져 버리고, 고정 날개(31)의 유지 강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 이 공극부(S)는 너무 넓으면 안정성을 해치고,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B)가 회전할 때에 흔들리는 원인도 되므로, 고정 날개 집합체(30)를 2개 맞댄 상태에 있어서 겹침이나 휨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간격이면 되고, 본 출원인은, 이 공극부(S)는 0.3~0.7㎜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것은, 0.5㎜인 것을 실험에 의해 확인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고정 날개 집합체를 2개 맞댄 상태로 내림부에는 공극부가 형성되는 구성을 채용했다. 이 때문에,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를 진공 펌프 내에 배치할 때에 내림부의 겹침이나 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 게 되므로, 고정 날개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고정 날개의 파손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방사형상으로 나열하여 배치된 복수의 고정 날개를 내림(rim)부와 외림부에서 일체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구조의 반링형상의 고정 날개 집합체를 2개 맞대어 이루어진 링형상의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로서,
    상기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는,
    상기 고정 날개 집합체를 2개 맞댄 상태에서 상기 내림부 또는 상기 외림부에는 공극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극부는, 상기 고정 날개 집합체의 내림부 단부 또는 외림부 단부의 적어도 일단(一端)을, 이 고정 날개 집합체를 2개 맞대어 형성되는 맞댐 라인보다 둘레방향에 대하여 짧게 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극부는, 그 둘레 방향의 길이가 0.3㎜~0.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림부 단부 또는 상기 외림부 단부는, 상기 내림부의 잘라 세움측 단부 또는 상기 외림부의 잘라 세움측 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펌프.
KR1020077005376A 2004-09-10 2005-08-26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 Active KR101257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64426A JP4676731B2 (ja) 2004-09-10 2004-09-10 ターボ分子ポンプ固定翼及び真空ポンプ
JPJP-P-2004-00264426 2004-09-10
PCT/JP2005/015518 WO2006027961A1 (ja) 2004-09-10 2005-08-26 ターボ分子ポンプ固定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952A KR20070050952A (ko) 2007-05-16
KR101257116B1 true KR101257116B1 (ko) 2013-04-22

Family

ID=36036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376A Active KR101257116B1 (ko) 2004-09-10 2005-08-26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24153B2 (ko)
EP (1) EP1795756B1 (ko)
JP (1) JP4676731B2 (ko)
KR (1) KR101257116B1 (ko)
WO (1) WO20060279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537A (ko) * 2001-01-22 2002-07-26 원인호 냉열 박하 비누의 제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9245A (ja) * 2006-05-19 2007-11-29 Boc Edwards Kk 真空ポンプ
EP2620649B1 (en) * 2012-01-27 2019-03-13 Edwards Limited Gas transfer vacuum pump
GB2498816A (en) * 2012-01-27 2013-07-31 Edwards Ltd Vacuum pump
KR101233849B1 (ko) * 2012-11-12 2013-02-15 김준규 파이프 내부에 삽입되는 유체 회전 장치의 제조방법 및 설치방법
JP6241222B2 (ja) * 2013-01-22 2017-12-06 株式会社島津製作所 真空ポンプ
JP6236806B2 (ja) * 2013-03-07 2017-11-29 株式会社島津製作所 真空ポンプ
JP6241223B2 (ja) 2013-03-13 2017-12-06 株式会社島津製作所 真空ポンプ
DE102014102681A1 (de) * 2014-02-28 2015-09-03 Pfeiffer Vacuum Gmbh Statorscheibe
JP6660176B2 (ja) * 2015-12-25 2020-03-11 エドワーズ株式会社 真空ポンプ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分割静翼部
JP6735119B2 (ja) * 2016-03-10 2020-08-05 エドワーズ株式会社 真空ポンプ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静翼部
GB2552793A (en) * 2016-08-08 2018-02-14 Edwards Ltd Vacuum pump
JP7049052B2 (ja) * 2016-09-27 2022-04-06 エドワーズ株式会社 真空ポンプ、および真空ポンプに備わる固定円板
GB2590955B (en) * 2020-01-09 2022-06-15 Edwards Ltd Vacuum pump
CN114673671B (zh) * 2020-12-25 2024-04-02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风机和吸尘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9088A (ja) * 1998-06-23 2000-01-11 Seiko Seiki Co Ltd ターボ分子ポンプ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1333A (en) * 1958-05-14 1961-02-14 Gen Electric Adjustable gas impingement turbine nozzles
JPS62173594U (ko) * 1986-03-22 1987-11-04
IT1241177B (it) * 1990-02-16 1993-12-29 Varian Spa Statore per pompa turbomolecolare.
FR2683277B1 (fr) * 1991-11-04 1995-01-13 Cit Alcatel Entretoise a epaisseur ajustable.
DE19937393A1 (de) 1999-08-07 2001-02-08 Leybold Vakuum Gmbh Statorring für eine Turbomolekularvakuumpumpe
DE10046766A1 (de) * 2000-09-21 2002-04-11 Leybold Vakuum Gmbh Compound-Reibungsvakuumpumpe
EP1249613B1 (en) * 2001-03-15 2004-01-28 VARIAN S.p.A. Turbine pump with a stator stage integrated with a spacer ring
JP2003269365A (ja) * 2002-03-13 2003-09-25 Boc Edwards Technologies Ltd 真空ポン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9088A (ja) * 1998-06-23 2000-01-11 Seiko Seiki Co Ltd ターボ分子ポン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537A (ko) * 2001-01-22 2002-07-26 원인호 냉열 박하 비누의 제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24153B2 (en) 2010-11-02
JP2006077713A (ja) 2006-03-23
US20080118351A1 (en) 2008-05-22
EP1795756B1 (en) 2012-01-25
EP1795756A4 (en) 2009-04-15
KR20070050952A (ko) 2007-05-16
WO2006027961A1 (ja) 2006-03-16
EP1795756A1 (en) 2007-06-13
JP4676731B2 (ja)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7116B1 (ko) 터보 분자 펌프 고정 날개
EP2623791B1 (en) Exhaust pump
KR20120115204A (ko) 나사 홈 배기부의 통형 고정 부재와 이것을 사용한 진공 펌프
WO2006137333A1 (ja) ターボ分子ポンプ、およびターボ分子ポンプの組み立て方法
KR102106658B1 (ko) 로터, 및, 이 로터를 구비한 진공 펌프
CN109844321B (zh) 真空泵、以及真空泵中具备的螺旋状板、间隔件及旋转圆筒体
CN107208650B (zh) 适配器及真空泵
JP2003269365A (ja) 真空ポンプ
JP4517724B2 (ja) ターボ分子ポンプ
CN104047871A (zh) 真空泵
JP6236806B2 (ja) 真空ポンプ
EP2653728B1 (en) Fixed blade assembly usable in exhaust pump, and exhaust pump provided with same
JP2006090231A (ja) ターボ分子ポンプ固定翼の製造方法および真空ポンプ
CN107178508B (zh) 真空泵及被使用于该真空泵的静翼部
JP2003269364A (ja) 真空ポンプ
KR100399325B1 (ko) 터보 압축기의 트러스트 베어링
KR100283899B1 (ko) 터보 압축기의 축 베어링 조립구조 및 그 방법
KR100405984B1 (ko) 터보 압축기의 디퓨저 장착구조
JP2017137840A (ja) 真空ポンプ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ロータ及びステータ
KR20020034389A (ko) 쉬라우드가 일체로 형성된 볼류트 케이싱을 갖는 터보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810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6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4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