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56994B1 - 스토퍼부분이 형성된 테스트 소켓 - Google Patents

스토퍼부분이 형성된 테스트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6994B1
KR101256994B1 KR1020110123069A KR20110123069A KR101256994B1 KR 101256994 B1 KR101256994 B1 KR 101256994B1 KR 1020110123069 A KR1020110123069 A KR 1020110123069A KR 20110123069 A KR20110123069 A KR 20110123069A KR 101256994 B1 KR101256994 B1 KR 101256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test socket
conductive
stopper portion
inse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학
Original Assignee
이재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학 filed Critical 이재학
Priority to KR1020110123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994B1/ko
Priority to PCT/KR2012/009984 priority patent/WO2013077671A1/ko
Priority to TW101144089A priority patent/TWI497838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99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41Details
    • G01R1/0466Details concerning contact pieces or mechanical details, e.g. hinges or cams; Shiel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83Sockets for un-leaded IC's having matrix type contact fields, e.g. BGA or PGA devices; Sockets for unpackaged, naked ch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1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conductive elasto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sting or measur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토퍼부분이 형성된 테스트소켓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께방향으로 도전성을 나타내며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 대응되는 위치마다 도전부가 형성되는 도전성 부분과, 상기 도전성 부분의 주위에 위치하며 상기 도전성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분의 상면이 상기 도전성 부분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피검사 디바이스를 테스트 소켓에 안착시키기 위하여 하강이동하는 인서트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분의 상면에는 진입하는 인서트가 소정의 높이에서 하강을 멈출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분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인서트의 하면에 접촉하는 스토퍼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부분이 형성된 테스트 소켓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토퍼부분이 형성된 테스트 소켓{Test socket with stopper member}
본 발명은 스토퍼부분이 형성된 테스트 소켓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검사 디바이스를 안착하는 인서트가 불안정적으로 하강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피검사 디바이스와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가능하게 하는 스토부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테스트 소켓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스트 소켓은, 제조된 피검사 디바이스의 불량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검사과정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즉, 제조된 피검사 디바이스는 불량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소정의 전기적 검사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검사가 요구되는 피검사 디바이스와 검사를 위한 검사장치는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테스트 소켓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그 이유는 검사를 위한 검사장치는 비교적 고가이기 때문에 빈번한 피검사 디바이스와의 접촉으로 인한 마모 또는 손상시 교체가 용이하지 않고 교체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테스트 소켓은 검사장치의 상측에 교체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는 검사장치가 아닌 테스트 소켓과 접촉함으로서 상기 검사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검사장치로부터 나오는 검사신호는 상기 테스트 소켓을 통하여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로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피검사 디바이스는 제조가 된 후에 소정의 트레이에 장착된 상태에서 검사장치가 위치한 곳까지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인서트가 사용된다. 인서트는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를 트레이로부터 상기 검사장치까지 운반한다. 이와 같이 인서트(120)에 의하여 검사장치(140)로 운반된 피검사 디바이스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소켓(110)에 안착되면서 푸셔장치(130)에 의하여 눌려 테스트 소켓(110)에 밀착접촉되게 된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로서, 피검사장치에 안착된 테스트 소켓(110)에는 인서트(120)가 안착되고 상기 인서트(120) 내부에는 피검사 디바이스(100)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100)의 상면에는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100)를 누르는 푸셔장치(130)가 배치되어 있게 된다. 한편, 푸셔장치(130)에는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100)를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131)이 배치되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테스트 소켓(110)의 가장자리에는 테스트 소켓(110)을 위치고정하는 소켓가이드(111)가 배치되는데, 그 소켓가이드(111)는 인서트(120)가 일정 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도 수행한다. 즉, 소켓가이드(111)는 하강하는 인서트와 접촉함으로서, 상기 인서트(120)가 일정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서 인서트 (120)내에 배치된 피검사 디바이스(100)가 균일한 압력으로 테스트 소켓(110)의 도전부들과 접촉가능하게 한다.
즉, 소켓가이드는 인서트가 과도하게 하강함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 또는 테스트 소켓의 도전부의 파손을 방지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테스크 소켓에 배치된 소켓가이드는 인서트의 가장자리에 접촉됨에 따라서 상기 인서트가 일정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푸셔장치, 인서트 등의 가공편차에 의하여 상기 인서트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하강하는 것이 아니라 다소 경사진 상태로 하강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인서트의 일측만이 상기 소켓가이드에 접촉하고 인서트의 타측은 소켓가이드에 접촉하지 않아 간격(S)이 발생할 염려가 있게 된다.
인서트의 일측만이 소켓가이드와 접촉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 내에 삽입된 피검사 디바이스 역시 경사진 상태로 테스트 소켓의 도전부와 접촉하게 되면 균일한 도전부와의 접촉을 방해하게 한다. 즉, 도 4에서 좌측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사 디바이스의 일측은 과도한 압력으로 상기 테스트 소켓의 도전부와 접촉하게 되고 우측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사 디바이스의 타측은 테스트 소켓의 도전부와 접촉하지 않게 되거나 또는 약한 압력으로 접촉하게 됨으로서 균일한 접촉을 어렵게 할 염려가 있다.
이와 같이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가 균일한 압력으로 테스트 소켓의 도전부들과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기적인 접속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없으며 이에 따라서 정확한 검사를 수행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피검사 디바이스의 과도한 압력으로 인하여 도전부의 일부가 과도하게 압축되면서 쉽게 파손될 염려가 있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1342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검사 디바이스가 수평상태로 테스트 소켓의 도전부와 접촉하게 함으로서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 및 테스트 소켓의 도전부가 균일한 접촉조건을 가지게 하여 신뢰성이 있는 검사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부분이 형성된 테스트 소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토퍼부분이 형성된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 검사장치의 패드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테스트 소켓에 있어서,
두께방향으로 도전성을 나타내며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 대응되는 위치마다 도전부가 형성되는 도전성 부분과, 상기 도전성 부분의 주위에 위치하며 상기 도전성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분의 상면이 상기 도전성 부분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피검사 디바이스를 테스트 소켓에 안착시키기 위하여 하강이동하는 인서트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분의 상면에는 진입하는 인서트가 소정의 높이에서 하강을 멈출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분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인서트의 하면에 접촉하는 스토퍼부분이 형성된다.
상기 테스트 소켓에서,
상기 소정의 높이는, 상기 인서트 내에 삽입된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가 각각의 도전부와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할 수 있는 높이일 수 있다.
상기 테스트 소켓에서,
상기 스토퍼부분은, 상기 지지부분과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소켓에서,
상기 스토퍼부분은, 상기 지지부분에 부착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소켓에서,
상기 스토퍼부분과 상기 지지부분은 서로 이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테스트 소켓에서,
상기 스토퍼부분은, 필름, 금속, 플라스틱, PCB 소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판부재와 결합되되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소켓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실리콘 고무 또는 스프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소켓에서,
상기 스토퍼부분은, 상기 도전성 부분을 감싸도록 상기 도전성 부분의 주위에 연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소켓에서,
상기 스토퍼부분은 상기 도전성 부분을 감싸도록 상기 도전성 부분의 주위에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소켓에서,
상기 도전부는 도전성 입자가 탄성물질 내에 포함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테스트 소켓에서,
상기 도전부는 피검사 기판의 단자와 대응되는 위치마다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에 삽입되는 핀부재 및 상기 핀부재를 탄력지지하는 스프링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테스트 소켓에서,
상기 스토퍼부분의 두께는 0.1 ~ 4mm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 소켓에 의하면, 도전성 부분의 주변에 위치하는 지지부분에 인서트의 하면과 접촉하여 인서트의 하강을 저지하는 스토퍼부분이 배치되어 있어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가 안정적으로 테스트 소켓의 도전부와 접촉할 수 있어 검사의 신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테스트 소켓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도
도 3은 도 2의 Ⅲ-Ⅲ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테스트 소켓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테스트 소켓의 평면도.
도 7은 도 5의 확대단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소켓의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소켓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소켓(10)은, 피검사 디바이스(50)와 검사장치(6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50)의 단자(51)를 상기 검사장치(60)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테스트 소켓(10)은, 검사장치(60)의 상측에 탑재되며 인서트(80)에 의하여 이동하여 온 피검사 디바이스(50)의 단자(51)와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테스트 소켓(10)은, 도전성 부분(20)과, 지지부분(30) 및 스토퍼부분(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전성 부분(20)은 두께방향으로 도전성을 나타내며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50)의 단자(51)와 대응되는 위치마다 도전부(21)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도전부(21)와 도전부(21) 사이에는 절연부(22)가 배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 도전부(21)는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50)의 단자(51)와 대응되는 위치마다 배치되는 전극(211) 및, 상기 전극(211)의 하측에 배치되며 탄성물질 내부에 다수의 도전성 입자가 포함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탄성도전부(212)를 포함한다. 이때, 탄성물질은, 가교 구조를 갖는 고분자 물질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 물질을 얻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는 경화성의 고분자 물질 형성 재료로서는, 여러가지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그 구체예로서는, 폴리부타디엔 고무, 천연 고무, 폴리이소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 등의 공액 디엔계 고무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 스티렌-부타디엔-디엔 블록 공중합체 고무,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 등의 블록 공중합체 고무 및 이들 수소 첨가물, 클로로프렌 고무, 우레탄 고무, 폴리에스테르계 고무, 에피클로로히드린 고무, 실리콘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이상에 있어서, 얻어지는 도전부(21)에 내후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공액 디엔계 고무 이외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성형 가공성 및 전기 특성 측면에서, 실리콘 고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고무로서는, 액상 실리콘 고무를 가교 또는 축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액상 실리콘 고무는, 그의 점도가 변형 속도 10-1초에서 105 푸아즈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축합형의 것, 부가형의 것, 비닐기나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것 등 중의 어느 것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메틸 실리콘 생고무, 메틸비닐실리콘 생고무, 메틸페닐비닐 실리콘 생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도전성 입자로서는, 자성을 나타내는 도전성 입자가 이용된다. 이러한 도전성 입자의 구체예로서는, 철, 코발트, 니켈 등의 자성을 갖는 금속의 입자 또는 이들의 합금의 입자 또는 이들 금속을 함유하는 입자, 또는 이들 입자를 코어 입자로 하여, 상기 코어 입자의 표면에 금, 은, 팔라듐, 로듐 등의 도전성이 양호한 금속의 도금을 실시한 것, 또는 비자성 금속 입자 또는 유리 비드 등의 무기 물질 입자 또는 중합체 입자를 코어 입자로 하여, 상기 코어 입자의 표면에 니켈, 코발트 등의 도전성 자성 금속의 도금을 실시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는, 니켈 입자를 코어 입자로 하여, 그 표면에 도전성이 양호한 금의 도금을 실시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부(22)는 상기 전극(211)과 전극(211)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필름(221)과, 상기 탄성도전부(212)와 탄성도전부(212)를 지지하는 탄성지지부(222)로 이루어진다. 이때, 필름(221)은 얇은 시트형태로 이루어지되 폴리이미드, 폴리프로필렌 등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탄성지지부(222)는 상기 탄성도전부(212)의 탄성물질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되, 구체적으로는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지지부분(30)은, 상기 도전성 부분(20)의 주위에 위치하며 상기 도전성 부분(20)을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부분(30)은 상기 도전성 부분(2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분(30)은, 상기 도전성 부분(2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일체로 연장되는 절연부분(31)과, 상기 절연부분(31)에 결합되되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판(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판(32)의 가장자리 모서리 측에는 소정의 위치결정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테스트 소켓(10)이 필요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지지부분(30)의 상면은 상기 도전성 부분(20)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분(30)의 상면은 상기 도전성 부분(20)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도전성 부분(20)의 상면과의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도록 상기 도전성 부분(20)으로부터 연장된다. 이와 같이 지지부분(30)의 상면이 상기 도전성 부분(20)의 상면보다 낮게 위치하는 경우에는 그 단차에 의해 이루어진 공간을 통하여 피검사 디바이스(50)를 테스트 소켓(10)에 안착시키기 위하여 이동하여 온 인서트(80)가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즉, 인서트(80)는 "L" 형의 단면형태로 이루어진 하단부분이 피검사 디바이스(5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인서트(80)의 하단부분이 통상 피검사 디바이스(50)보다 하측으로 더 내려가 있기 때문에, 지지부분(30)이 도전성 부분(20)보다 높거나 같은 높이를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인서트(80)가 진입할 공간이 없게 되어 피검사 디바이스(50)의 단자(51)가 테스트 소켓(10)의 도전부(21)와 접촉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분(30)을 낮게 하여 단차가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단차로 인하여 상기 인서트(80)가 간섭없이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부분(40)은, 상기 지지부분(3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인서트(80)의 하면에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진입하는 인서트(80)가 소정의 높이에서 하강을 멈출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분(3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토퍼부분(40)의 두께는 인서트(80) 내에 삽입된 피검사 디바이스(50)의 단자(51)가 각각의 도전부(21)와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지게 하는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0.1 ~ 4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부분(40)은 상기 지지부분(30)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분(30)과 동일한 소재일 수 있다. 또한, 스토퍼 부분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부분(20)을 감싸도록 상기 도전성 부분(20)의 주위에 연속되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기타 도면부호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면에서 11, 60, 70, 80 는 각각 소켓가이드, 검사장치, 푸셔장치 및 인서트를 지칭한다.
상기 소켓가이드(11)는 그 상면이 상기 인서트(80)의 하면과 접촉됨으로서 상기 테스트 소켓(10)을 지지하면서 인서트(80)가 일정 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작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테스트 소켓(1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검사장치(60)는, 상기 피검사장치(60)로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검사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패드(미도시)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푸셔장치(70)는 인서트(80)에 의하여 이동되어 온 피검사 디바이스(50)를 테스트 소켓(10)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50)의 단자(51)가 상기 테스트 소켓(10)의 도전부(21)에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인서트(80)는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50)를 운반하는 것으로서, 중앙에 상기 인서트(80)가 삽입될 수 있는 중앙홀이 형성되며 중앙하단에는 상기 인서트(80)가 걸릴 수 있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소켓(10)은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먼저, 인서트(80)에 의하여 이동되어온 피검사 디바이스(50)는 인서트(80)가 테스트 소켓(10)에 안착되고 푸셔장치(70)가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50)를 가압함에 따라서 테스트 소켓(10)의 도전부(21)와 접촉하게 된다. 한편, 이때 인서트(80)는 그 하측 가장자리가 소켓가이드(11)에 의하여 일정이상 하강하는 것이 정지될 수 있어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50)가 과도하게 테스트 소켓(10)의 도전부(21)를 가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사장치(60)로부터 소정의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전기적인 신호는 테스트 소켓(10)을 거쳐서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50)로 전달되어 소정의 전기적인 검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분(30)의 상면에 상기 인서트(80)의 하면과 접촉되는 스토퍼부분(40)이 배치되어 있어 상기 소켓가이드(11)와 함께 인서트(80)의 과도한 하강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지지부분(30)의 상면에 배치되는 스토퍼부분(40)은 도전성 부분(20)의 주변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구적인 공차에 의하여 편심 접촉이 발생할 염려가 있는 경우에도 상기 스토퍼 부분이 최종적인 정지기능을 수행함에 따라서 인서트(80)가 확실하게 원하는 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스토퍼 부분이 탄력성이 있는 실리콘 고무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50)의 단자(51)로 인한 충격력을 상기 스토퍼부분(40)이 흡수함으로서 탄력성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도전부(21)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스토퍼부분(40)은 도전성 부분(20)의 둘레를 따라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검사 디바이스(50)가 경사진 상태로 테스트 소켓(10)의 도전부(21)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균일한 접촉압이 도전부(21)에 가해지도록 함은 물론 거의 모든 피검사 디바이스(50)의 단자(51)가 테스트 소켓(10)의 도전부(21)와 접촉할 수 있어 검사의 신뢰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소켓(10)은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토퍼부분(40)이 도전성 부분(20)을 감싸도록 상기 도전성 부분(20)의 주위에 연속되어 형성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부분(40)이 다수의 부분으로 분리되고 각각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도전성 부분(20)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만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어 있도록 한 쌍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스토퍼 부분이 상기 지지부분(30)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구조 이외에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분(30)에 부착형성되는 구조가 가능하다. 이때 스토퍼부분(40)과 지지부분(30)은 동종소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 서로 이종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부분(40)이 필름(221), 금속, 플라스틱, PCB 소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판부재(41)와, 상기 판부재(41)를 지지하며 상기 판부재(41)와 결합되되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42)는 실리콘 고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프링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도전부(21)는, 상술한 구조 이외에 포고핀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예컨데, 도전부(21)는 피검사 기판의 단자(51)와 대응되는 위치마다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에 삽입되는 핀부재(213) 및 상기 핀부재(213)를 탄력지지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프링부재(미도시)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범위라면 청구범위가 확대해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테스트 소켓 11...소켓가이드
20...도전성 부분 21...도전부
22...절연부 30...지지부분
31...절연부분 32...프레임판
40...스토퍼부분 41...판부재
42...탄성부재 50...피검사 디바이스
51...단자 60...검사장치
70...푸셔장치 80...인서트

Claims (12)

  1.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 검사장치의 패드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테스트 소켓에 있어서,
    두께방향으로 도전성을 나타내며 상기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 대응되는 위치마다 도전부가 형성되는 도전성 부분과, 상기 도전성 부분의 주위에 위치하며 상기 도전성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분의 상면이 상기 도전성 부분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피검사 디바이스를 테스트 소켓에 안착시키기 위하여 하강이동하는 인서트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분의 상면에는 진입하는 인서트가 소정의 높이에서 하강을 멈출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분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인서트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는 스토퍼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부분이 형성된 테스트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높이는, 상기 인서트 내에 삽입된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가 각각의 도전부와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할 수 있는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부분이 형성된 테스트 소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분은, 상기 지지부분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 부분이 형성된 테스트 소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분은, 상기 지지부분에 부착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 부분이 형성된 테스트 소켓.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분과 상기 지지부분은 서로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부분이 형성된 테스트 소켓.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분은, 금속, 플라스틱 및 고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판부재와 결합되되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부분이 형성된 테스트 소켓.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실리콘 고무 또는 스프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부분이 형성된 테스트 소켓.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분은, 상기 도전성 부분을 감싸도록 상기 도전성 부분의 주위에 연속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부분이 형성된 테스트 소켓.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분은 다수개가 상기 도전성 부분의 둘레를 따라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스토퍼부분이 형성된 테스트 소켓.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는 도전성 입자가 탄성물질 내에 포함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부분이 형성된 테스트 소켓.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는 피검사 기판의 단자와 대응되는 위치마다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에 삽입되는 핀부재 및 상기 핀부재를 탄력지지하는 스프링부재로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부분이 형성된 테스트 소켓.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분의 두께는 0.1 ~ 4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부분이 형성된 테스트 소켓.
KR1020110123069A 2011-11-23 2011-11-23 스토퍼부분이 형성된 테스트 소켓 Active KR101256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069A KR101256994B1 (ko) 2011-11-23 2011-11-23 스토퍼부분이 형성된 테스트 소켓
PCT/KR2012/009984 WO2013077671A1 (ko) 2011-11-23 2012-11-23 스토퍼부분이 형성된 테스트 소켓
TW101144089A TWI497838B (zh) 2011-11-23 2012-11-23 具有阻擋構件的測試插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069A KR101256994B1 (ko) 2011-11-23 2011-11-23 스토퍼부분이 형성된 테스트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6994B1 true KR101256994B1 (ko) 2013-04-26

Family

ID=48443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069A Active KR101256994B1 (ko) 2011-11-23 2011-11-23 스토퍼부분이 형성된 테스트 소켓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56994B1 (ko)
TW (1) TWI497838B (ko)
WO (1) WO201307767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961A (ko) * 2014-11-21 2016-05-31 박종복 외부 환경으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한 커버를 구비한 센서검사장치
KR102342480B1 (ko) * 2020-08-21 2021-12-23 (주)티에스이 테스트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장치
KR20220006841A (ko) * 2020-07-09 2022-01-1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테스트용 소켓과 이를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74411B (zh) * 2018-10-15 2019-10-11 致茂電子股份有限公司 具定位功能之電子元件移載裝置、具備該裝置之檢測設備及其移載方法
KR102626152B1 (ko) * 2021-07-01 2024-01-17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전기접속용 커넥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412B1 (ko) 2000-10-18 2005-05-03 (주)테크윙 테스트 핸들러의 테스트 트레이 인서트
KR20050087400A (ko) * 2004-02-26 2005-08-31 주식회사 디와이엘텍 반도체 패키지 검사용 소켓
KR20060013429A (ko) * 2003-06-12 2006-02-09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이방 도전성 커넥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및 회로 장치의검사 장치
KR100843273B1 (ko) 2007-02-05 200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소켓 및 이를구비하는 테스트 장치, 반도체 패키지를 테스트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412B1 (ko) 2000-10-18 2005-05-03 (주)테크윙 테스트 핸들러의 테스트 트레이 인서트
KR20060013429A (ko) * 2003-06-12 2006-02-09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이방 도전성 커넥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및 회로 장치의검사 장치
KR20050087400A (ko) * 2004-02-26 2005-08-31 주식회사 디와이엘텍 반도체 패키지 검사용 소켓
KR100843273B1 (ko) 2007-02-05 200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소켓 및 이를구비하는 테스트 장치, 반도체 패키지를 테스트하는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961A (ko) * 2014-11-21 2016-05-31 박종복 외부 환경으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한 커버를 구비한 센서검사장치
KR101659769B1 (ko) * 2014-11-21 2016-09-26 박종복 외부 환경으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한 커버를 구비한 센서검사장치
KR20220006841A (ko) * 2020-07-09 2022-01-1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테스트용 소켓과 이를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 장치
KR102800188B1 (ko) * 2020-07-09 2025-04-2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테스트용 소켓과 이를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 장치
KR102342480B1 (ko) * 2020-08-21 2021-12-23 (주)티에스이 테스트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97838B (zh) 2015-08-21
WO2013077671A1 (ko) 2013-05-30
TW201332228A (zh) 201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166B1 (ko) 관통공이 형성된 도전성 입자를 가지는 검사용 소켓 및 그 제조방법
KR101864859B1 (ko) 검사용 소켓장치
KR101019721B1 (ko) 기둥형 입자를 가지는 테스트 소켓
US20150377923A1 (en) Test socket with high density conduction section
KR101471116B1 (ko) 고밀도 도전부를 가지는 테스트용 소켓
KR101366171B1 (ko) 고밀도 도전부를 가지는 테스트용 소켓
KR101004296B1 (ko) 전도성 와이어를 가진 테스트 소켓
KR101256994B1 (ko) 스토퍼부분이 형성된 테스트 소켓
KR101566995B1 (ko) 반도체 패키지 및 기판 검사용 소켓, 이에 사용되는 플렉시블 콘택트핀, 및 이 플렉시블 콘택트핀의 제조 방법
KR101348204B1 (ko) 테스트 소켓 및 소켓본체
KR101419364B1 (ko) 핸들러용 인서트
KR200445395Y1 (ko) 도전성 콘택터
CN108780116B (zh) 测试插座以及导电颗粒
KR101032647B1 (ko) 핸들러용 인서트
KR101246301B1 (ko) 미세선형체가 마련된 테스트용 소켓
CN114078610B (zh) 导电性颗粒及包括其的测试插座
KR101901982B1 (ko) 검사용 소켓 및 도전성 입자
KR101672935B1 (ko) 테스트 소켓
KR101270036B1 (ko) 칩 검사용 프로브 장치
JP2016038207A (ja) ポゴピン用プローブ部材
KR101483757B1 (ko) 전기접속용 커넥터
US20070001701A1 (en) Circuit board inspection device
KR101928466B1 (ko) 검사용 소켓
KR102469858B1 (ko) 이방 도전성 시트
KR20090008697U (ko) 매개기판을 가진 테스트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4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