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55250B1 -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5250B1
KR101255250B1 KR1020120030030A KR20120030030A KR101255250B1 KR 101255250 B1 KR101255250 B1 KR 101255250B1 KR 1020120030030 A KR1020120030030 A KR 1020120030030A KR 20120030030 A KR20120030030 A KR 20120030030A KR 101255250 B1 KR101255250 B1 KR 101255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region
region
unit cells
partition wall
outer reg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0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250B1/ko
Priority to US13/598,699 priority patent/US9324982B2/en
Priority to CN201210459257.4A priority patent/CN103325977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25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전지, 및 탄성력을 갖는 내측 영역 및 내측 영역의 주변에 내측 영역 보다 경질(hard)인 외측 영역을 포함하며, 복수의 단위 전지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지 모듈{Battery module}
본 발명은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차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이차 전지가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소형 전자 장치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경우 단일 전지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이차 전지가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이 대형 운송 수단에 사용됨에 따라, 고출력, 고용량의 전지에 대한 수요에 발맞추어 다수의 전지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단위로 묶은 전지 모듈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전지 모듈을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여러가지 요소, 예컨대, 전지의 부피 팽창, 발열과 같은 요소로 인하여 전지 모듈의 구조가 변형될 수 있으며, 전지 모듈의 구조 변형은 전지의 안정적 동작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전지 모듈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격벽 및 이를 구비한 전지 모듈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전지; 및 탄성력을 갖는 내측 영역 및 상기 내측 영역의 주변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 영역 보다 경질(hard)인 외측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위 전지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측 영역과 상기 외측 영역은 서로 다른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측 영역은 복수의 홀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 영역은 탄성력을 갖는 소재 상기 홀을 메우면서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측 영역에 형성된 홀은 상기 내측 영역과 상기 외측 영역이 접하는 위치에 상기 내측 영역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격벽은 상기 복수의 단위 전지 중 서로 이웃하는 제1 단위 전지 및 제2 단위 전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내측 영역의 제1 면은 상기 제1 단위 전지와 마주보고, 상기 제1 면과 반대편에 구비된 상기 내측 영역의 제2 면은 상기 제2 단위 전지와 마주보며, 상기 내측 영역은 상기 제1 단위 전지 및 상기 제2 단위 전지의 부피 팽창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측 영역은 실리콘 또는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측 영역은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또는 외측면이 절연 처리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측 영역은, 상기 외측 영역과 인접한 부분으로부터 상기 내측 영역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측 영역 및 상기 외측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단위 전지를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탄성력은 상기 내측 영역에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전지; 상기 복수의 단위 전지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 및 상기 격벽이 배치된 상기 복수의 단위 전지를 둘러싸는 하우징;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탄성력을 갖는 소재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의 가운데에 배치되는 연질의 내측 영역, 및 상기 내측 영역의 주변에 상기 내측영역을 둘러싸는 경질의 외측 영역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측 영역은 복수의 홀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 영역은 상기 제1 소재가 상기 홀을 메우면서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격벽은 상기 격벽이 개재된 이웃하는 상기 단위 전지들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 중 상기 외측 영역에 형성된 돌출부는, 상기 이웃하는 단위 전지들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측 영역은 상기 이웃하는 단위 전지들의 부피 팽창을 흡수하면서 탄성적으로 변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탄성력을 갖는 소재는 실리콘 또는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외측 영역은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또는 외측면이 절연 처리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측 영역은, 상기 외측 영역과 인접한 부분으로부터 상기 내측 영역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측 영역은, 상기 외측 영역과 인접한 제1 내측 영역, 상기 제1 내측 영역의 안쪽에 구비된 제2 내측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내측 영역의 탄성력은 상기 제1 내측 영역의 탄성력 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상기 격벽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냉각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종 재질을 포함하는 격벽을 통해, 단위 전지 사이에서 공기가 드나들 수 있는 경로를 유지시키면서 단위 전지의 스웰링에 따른 부피 팽창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으며, 스웰링이 발생하더라도 단위 전지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므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그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전지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개략적으로 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격벽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Ⅱb-Ⅱb선을 따라 취한 격벽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단위 전지들 사이에 격벽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스웰링 현상이 발생하기 전의 상태이다.
도 3b는 도 3a의 상태에서 스웰링 현상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의 제조 과정에 따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4a는 내측 영역을 형성하기 전의 상태이고 도 4b는 내측 영역을 형성한 이후의 상태이다.
도 4c는 도 4b의 Ⅳc-Ⅳ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격벽의 제조 과정에 따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5a는 내측 영역을 형성하기 전의 상태이고 도 5b는 내측 영역을 형성한 이후의 상태이다.
도 5c는 도 5b의 Ⅴc-Ⅴ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격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개략적으로 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지 모듈은, 하우징(110), 충방전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단위 전지(120), 단위 전지들(120) 사이에 개재되는 격벽(14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격벽(140)이 배열된 사이사이에 개재된 단위 전지(120)를 둘러싼다. 예컨대, 하우징(110)은 일 열로 배열된 복수의 단위 전지(1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레스트레이너(112)(restrainer) 및, 상기 레스트레이너(112)와 결합하는 엔드 플레이트(114)를 포함할 수 있다.
레스트레이너(112)는 단위 전지(120)의 일 측면과 평행한 제1 면(112a)과, 복수의 단위 전지(12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1 면(112a)에 대하여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2,3 면(112b, 112c)을 포함할 수 있다. 엔드 플레이트(114)는 레스트레이너(112)의 제1 면(112a)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레스트레이너(112)와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엔드 플레이트(114)는 상기 제2,3 면(112b, 112c)과 평행한 연장 면(114b, 114c)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 면(114b, 114c)이 레스트레이너(112)의 제2,3 면(112b, 112c)과 접촉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연장 면(114b, 114c) 및 제2,3 면(112b, 112c)에 형성된 홀(h1, h2)을 관통하는 볼트(116)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단위 전지들(120)은 레스트레이너(112)와 엔드 플레이트(114)에 의하여 4면이 구속될 수 있으며, 단위 전지(120)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레스트레이너(112)의 양 측면, 예컨대, 제2,3 면(112b, 112c)에는 복수의 냉각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냉각홀(113)은 외부의 공기가 드나들 수 있도록 이하에서 후술할 격벽(14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면(112b)에 형성된 냉각홀(113)을 통해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이웃하는 단위 전지들(120) 사이에 형성된 격벽(140)을 통과하여 제3 면(112c)에 형성된 냉각홀(1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이와 같은 공기의 유동을 통해 단위 전지(120)에서 발생하는 열이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다.
단위 전지(120)는 서로 반대의 극성을 갖는 제1 전극(121)과 제2 전극(1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2 전극(121, 122)은 배터리 셀의 내부에 저장된 전력을 외부로 인출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전기적 접속을 형성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위 전지(120)의 내부에는 발전 요소로서, 제1 전극(121)판과 제2 전극(122)판, 제1,2 전극(121, 122)판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 조립체는, 양극판인 제1 전극(121)판과 음극판인 제2 전극(122)판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한 후, 이를 롤 형태로 권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극(121)은 제1 전극(121)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전극(122)은 제2 전극(122)판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2 전극(121, 122)을 통해 충전 및 방전이 수행될 수 있다.
단위 전지(120)는 단위 전지(12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즉 y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전지(120)는 단위 전지(120)는 버스 바(13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서로 이웃하는 단위 전지(120)는 버스 바(130)를 통해 직렬 접속될 수 있다. 혹은, 직렬 접속 및 병렬 접속이 혼합될 수 있다.
격벽(140)은 단위 전지(120) 사이에 개재되고, 단위 전지(120)의 측면을 지지하면서 공기가 드나들 수 있도록 단위 전지들(12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다. 한편, 스웰링 현상에 의한 단위 전지(120)의 부피 팽창을 흡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며 격벽(140)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격벽(140)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Ⅱb-Ⅱb선을 따라 취한 격벽(140)의 단면도이고, 도 3a는 단위 전지들(120) 사이에 격벽(140)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스웰링 현상이 발생하기 전의 상태이며, 도 3b는 도 3a의 상태에서 스웰링 현상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격벽(140)은 상기 격벽(140)이 개재된 이웃하는 단위 전지들(120)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142p, 144p)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42p, 144p)는 이웃하는 단위 전지들(120) 사이에 공기가 드나들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레스트레이너(112)의 양 측면에 형성된 홀과 함께 공기의 유동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단위 전지(120)에서 발생된 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
격벽(140)은 가운데에 배치되는 내측 영역(142)과, 내측 영역(142)의 주변에서 내측 영역(142)을 둘러싸는 외측 영역(144)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영역(142)은 외측 영역(144) 보다 연질(soft)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이 탄성력을 갖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영역(142)은, 격벽(140)이 개재된 이웃하는 단위 전지들(120)의 스웰링 현상에 따른 부피 팽창을 흡수할 수 있다.
전지 모듈의 사용 중에 전지를 보호하는 보호 회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거나 전지의 예기치 못한 이상 반응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전지 내부에서의 화학 반응에 따라 가스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가스 발생에 의하여 전지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므로 전지의 케이스(123)가 부풀어오르는 스웰링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된 단위 전지(120)는 스웰링 현상에 의하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40)과 마주보는 면이 가운데 영역를 중심으로 부풀어오르게 된다. 격벽(140)의 내측 영역(142)은 연질의 소재를 포함하며 단위 전지(120)의 부피 팽창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내측 영역(142)은 탄성력을 구비하므로, 단위 전지(120)의 부피가 본래의 상태로 줄어들면 격벽(140)의 내측 영역(142)도 다시 본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한편, 격벽(140)의 외측 영역(144)는 연질의 내측 영역과 달리 강성을 가지므로,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위 전지(120)의 스웰링이 발생하더라도, 레스트레이너(112)와 엔드 플레이트(114) 사이에 개재된 단위 전지들(120)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스웰링이 발생하더라도 전지 모듈의 구조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외측 영역(144)은 내측 영역(142) 보다 경질(hard)의 소재, 예컨대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또는 외측면이 절연 처리된 금속재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영역(144)은 경질이므로, 레스트레이너(112) 및 엔드 플레이트(114)에 의해 구속된 단위 전지들(12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다. 따라서, 스웰링 현상에 따른 단위 전지(120)의 부피 팽창에 의하여 내측 영역(142)이 y 방향을 따라 압축 변형되더라도, 외측 영역(144)은 변형되지 않고 단위 전지(12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돌출부(144p)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통해 공기가 드나들면서 단위 전지(120)에서 발생한 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격벽(140)의 제조 과정을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격벽의 제조 과정에 따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c는 도 4b의 Ⅳc-Ⅳ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먼저 외측 영역(444)만이 구비된 성형 전(pre-formed) 격벽(400)을 준비한다. 성형 전 격벽(440)은 내측 영역과 대응되는 부분이 개방된 프레임 형상으로, 안 쪽 모서리 둘레를 따라서 복수개의 홀(H1)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 영역(444)의 일 측면 및 타 측면에는 복수개의 돌출부(444p)가 형성되어 있다. 성형 전 격벽(440)은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또는 외측면이 절연 처리된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성형 전 격벽(440)을 금형(미도시)에 넣고, 금형에 마련된 주입구를 통해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은 수지재를 주입할 수 있다. 주입된 수지재는 적절한 유동성을 갖는다. 따라서, 외측 영역(444)에 구비된 홀(H1)을 메우면서 이동한다.
주입된 수지재가 경화된 후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영역(442)을 형성된 격벽(440)이 완성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외측 영역(444)과 내측 영역(442)이 오버랩되는 부분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재가 외측 영역(444)에 형성된 홀(H1)을 메우면서 경화되므로, 스웰링 현상에 의해 이차 전지가 격벽(440), 특히 격벽(440)의 내측 영역(442)을 가압하더라도 내측 영역(442)과 외측 영역(444)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격벽의 제조 과정에 따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c는 도 5b의 Ⅴc-Ⅴ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먼저 외측 영역(544)만이 구비된 성형 전 격벽(500)을 준비한다. 앞서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한 성형 전 격벽(400)은 내측 영역과 대응되는 부분이 개방된 프레임 형상이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형 전 격벽(500)의 외측 영역(544)은 내측 영역(542)과 대응되는 부분이 닫힌 면(이하, 안쪽 면이라 함)을 갖는다. 다만, 안쪽 면(543)의 두께는 외측 영역(544)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되어, 외측 영역(544)의 안쪽 모서리는 단차진 형상일 수 있다.
외측 영역(544)의 안쪽 모서리 둘레를 따라서 복수개의 홀(H1)이 형성되어 있고, 안쪽 면(543)에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홀 홀(H2)이 형성될 수 있다. 외측 영역(544)의 일 측면 및 타 측면에는 복수개의 돌출부(544p)가 형성되어 있다. 성형 전 격벽(500)은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또는 외측면이 절연 처리된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상기의 성형 전 격벽(500)을 금형에 넣고, 금형에 마련된 주입구를 통해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은 수지재를 주입할 수 있다. 주입된 수지재는 적절한 유동성을 가지므로, 주입된 수지재는 외측 영역(544)의 안쪽 모서리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홀(H1) 및 안쪽 면(543)에 형성된 보조 홀(H2)을 메우면서 이동한다.
이 후, 주입된 수지재를 경화한 후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격벽(540)이 완성된다.
도 5c를 참조하면, 외측 영역(544)과 내측 영역(542)이 오버랩되는 부분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지재가 외측 영역(544)의 안쪽 모서리에 형성된 홀(H1) 및 안쪽 면(543)에 형성된 보조 홀(H2)을 메우면서 경화되므로, 격벽(540)의 내측 영역(542)과 격벽(540)의 외측 영역(544)은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스웰링 현상에 의해 이차 전지가 격벽(540), 특히 격벽(540)의 내측 영역(542)을 가압하더라도 내측 영역(542)과 외측 영역(544)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격벽(64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격벽(640)은 상기 격벽(640)이 개재된 이웃하는 단위 전지들(120)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642p, 664p)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642p, 664p)는 이웃하는 단위 전지들(120) 사이에 공기가 드나들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격벽(640)은 가운데에 배치되는 내측 영역(642)과, 내측 영역(642)의 주변에서 내측 영역(642)을 둘러싸는 외측 영역(644)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측 영역(642)은 복수개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내측 영역(642)은 외측 영역(644)과 인접한 제1 내측 영역(642-1), 제1 내측 영역(642-1)의 안쪽에 형성된 제2 내측 영역(642-2)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영역(642)은 외측 영역(644) 보다 연질(soft)의 소재를 포함하되, 내측 영역(642)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증가할 수 있다. 즉, 제1 내측 영역(642-1) 보다 제2 내측 영역(642-2)의 탄성력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2 내측 영역(642-1, 642-2) 모두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이 탄성력을 갖는 소재를 포함하되, 제2 내측 영역(642-2)의 소재의 탄성력이 제2 내측 영역(642-2)의 소재의 탄성력보다 더 우수하다.
스웰링 현상에 따른 단위 전지(120)의 부피 팽창은 단위 전지(120)의 케이스(123) 중 격벽(640)과 마주보는 면 중 가운데 부분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일어난다. 부피 팽창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케이스(123) 면의 가운데 부분과 대응되는 제2 내측 영역(642-2)의 탄성력을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단위 전지들(120)의 스웰링 현상에 따른 부피 팽창을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내측 영역(642-1)과 제2 내측 영역(642-2)이 대략 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내측 영역(642-1, 642-2)은 대략 타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로서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 영역(642)이 2개의 영역, 즉 제1 내측 영역(642-1)과 제2 내측 영역(642-2)을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내측 영역(642)은, 내측 영역(642)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증가한다면 3개 이상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10: 하우징 112: 레스트레이너
113: 냉각홀 114: 엔드 플레이트
116: 볼트 120: 단위 전지
121: 제1 전극 122: 제2 전극
130: 버스 바 140, 440, 540, 640: 격벽
142, 442, 542, 642: 내측 영역 144, 444, 544, 644: 외측 영역
142p, 144p, 442p, 444p, 542p, 544p, 642p, 644p: 돌출부
H1: 홀 H2: 보조 홀
400, 500: 성형 전 격벽

Claims (20)

  1.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전지; 및
    탄성력을 갖는 내측 영역 및 상기 내측 영역의 주변에 형성되며 상기 내측 영역 보다 경질(hard)인 외측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위 전지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영역과 상기 외측 영역은 서로 다른 소재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영역은 복수의 홀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 영역은 탄성력을 갖는 소재가 상기 홀을 메우면서 경화되어 형성된, 전지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영역에 형성된 홀은 상기 내측 영역과 상기 외측 영역이 접하는 위치에 상기 내측 영역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전지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복수의 단위 전지 중 서로 이웃하는 제1 단위 전지 및 제2 단위 전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내측 영역의 제1 면은 상기 제1 단위 전지와 마주보고, 상기 제1 면과 반대편에 구비된 상기 내측 영역의 제2 면은 상기 제2 단위 전지와 마주보며, 상기 내측 영역은 상기 제1 단위 전지 및 상기 제2 단위 전지의 부피 팽창을 흡수하는, 전지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영역은 실리콘 또는 고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영역은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또는 외측면이 절연 처리된 금속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영역은, 상기 외측 영역과 인접한 부분으로부터 상기 내측 영역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증가하는, 전지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영역 및 상기 외측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단위 전지를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전지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은 상기 내측 영역에만 구비된, 전지 모듈.
  11.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전지;
    상기 복수의 단위 전지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 및
    상기 격벽이 배치된 상기 복수의 단위 전지를 둘러싸는 하우징;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탄성력을 갖는 소재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의 가운데에 배치되는 연질의 내측 영역, 및 상기 내측 영역의 주변에 상기 내측영역을 둘러싸는 경질의 외측 영역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영역은 복수의 홀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 영역은 상기 제1 소재가 상기 홀을 메우면서 경화되어 형성된, 전지 모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격벽이 개재된 이웃하는 상기 단위 전지들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중 상기 외측 영역에 형성된 돌출부는, 상기 이웃하는 단위 전지들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전지 모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영역은 상기 이웃하는 단위 전지들의 부피 팽창을 흡수하면서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전지 모듈.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을 갖는 소재는 실리콘 또는 고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영역은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또는 외측면이 절연 처리된 금속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영역은, 상기 외측 영역과 인접한 부분으로부터 상기 내측 영역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증가하는, 전지 모듈.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영역은, 상기 외측 영역과 인접한 제1 내측 영역, 상기 제1 내측 영역의 안쪽에 구비된 제2 내측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내측 영역의 탄성력은 상기 제1 내측 영역의 탄성력 보다 큰, 전지 모듈.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상기 격벽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냉각홀이 형성된, 전지 모듈.
KR1020120030030A 2012-03-23 2012-03-23 전지 모듈 Active KR101255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030A KR101255250B1 (ko) 2012-03-23 2012-03-23 전지 모듈
US13/598,699 US9324982B2 (en) 2012-03-23 2012-08-30 Battery module
CN201210459257.4A CN103325977B (zh) 2012-03-23 2012-11-15 电池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030A KR101255250B1 (ko) 2012-03-23 2012-03-23 전지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5250B1 true KR101255250B1 (ko) 2013-04-16

Family

ID=48443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030A Active KR101255250B1 (ko) 2012-03-23 2012-03-23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24982B2 (ko)
KR (1) KR101255250B1 (ko)
CN (1) CN103325977B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50187A (ja) * 2013-09-03 2015-03-16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Samsung SDI Co.,Ltd. バッテリパック
EP2843728A3 (en) * 2013-08-27 2015-04-15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EP3082176A1 (en) 2015-04-15 2016-10-19 SK Innovation Co., Ltd. Secondary battery pack with variable compression
KR20160123814A (ko) * 2015-04-17 2016-10-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101826861B1 (ko) * 2013-05-31 2018-0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827493B1 (ko) * 2014-10-07 2018-0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 및 작동 수명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KR101863431B1 (ko) * 2015-03-11 2018-05-31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조전지용 스페이서 및 조전지
KR20210007373A (ko) * 2019-07-11 2021-0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US20210057689A1 (en) * 2018-12-05 2021-02-25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22092654A1 (ko) * 2020-10-29 2022-05-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3043113A1 (ko) *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US12176505B2 (en) 2017-12-26 2024-12-24 Sk On Co., Ltd.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25004461A1 (ja) * 2023-06-26 2025-01-02 ビークルエナジージャパン株式会社 電池用スペーサ、及び組電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36902B2 (ja) * 2013-06-14 2017-11-29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KR101520391B1 (ko) * 2014-02-11 2015-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JP6028231B2 (ja) * 2014-04-11 2016-11-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組電池
US9640788B2 (en) * 2014-08-22 2017-05-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cell separator having contoured profile
US10164296B2 (en) 2015-03-12 2018-12-2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module separator plates
JP6357439B2 (ja) * 2015-03-31 2018-07-11 太陽誘電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KR101806995B1 (ko) * 2015-05-18 2017-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US9929441B2 (en) * 2015-10-02 2018-03-27 Bosch Battery Systems, Llc Elastic bellows and battery cell assemblies including same
DE102016201604A1 (de) 2016-02-03 2017-08-03 Robert Bosch Gmbh Batteriemodul mit einer Mehrzahl an Batteriezelle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Batterie
FR3048129B1 (fr) * 2016-02-18 2020-04-17 Saft Systeme de compensation du gonflement d'elements electrochimiques
CN107346805B (zh) * 2016-05-06 2024-03-12 安徽巨大电池技术有限公司 电池组
CN109891620B (zh) * 2016-11-08 2022-01-11 三星Sdi株式会社 电池组
JP6853947B2 (ja) * 2016-11-15 2021-04-07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KR20180056219A (ko) * 2016-11-18 2018-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어셈블리
DE102017210744A1 (de) * 2017-06-27 2018-12-2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lektrochemische Batteriezelle für ein Batteriemodu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atteriezelle sowie Batteriemodul
DE102017008102A1 (de) 2017-08-29 2019-02-28 Carl Freudenberg Kg Energiespeichersystem
CN111033797B (zh) * 2018-01-17 2022-11-01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蓄电装置
CN108305967B (zh) * 2018-01-18 2021-06-29 安徽正合雅聚新材料科技有限公司 软包电池模组的制作方法、软包电池模组及动力电池系统
JP2019128979A (ja) * 2018-01-19 2019-08-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DE102018212729A1 (de) * 2018-07-31 2020-02-0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reidimensionalen Schwellkompensationselements eines Batteriemoduls sowie Batteriemodul mit einem solchen
JP7181740B2 (ja) * 2018-09-12 2022-12-01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WO2020203573A1 (ja) * 2019-03-29 2020-10-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池パック
CN110071243A (zh) * 2019-04-28 2019-07-30 深圳市富程威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模组
US11450908B2 (en) * 2019-05-30 2022-09-20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having path through which coolant introduced therein flows when thermal runaway occurs, and battery pack and ESS comprising the same
US20220255182A1 (en) * 2019-06-28 2022-08-11 Sanyo Electric Co., Ltd. Power supply device, electric vehicle provided with this power supply device, and electricity storage device
JP7600109B2 (ja) * 2019-06-28 2024-12-1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とこの電源装置を備える電動車両及び蓄電装置
CN113906624A (zh) * 2019-06-28 2022-01-07 三洋电机株式会社 电源装置和具有该电源装置的电动车辆以及蓄电装置
DE102019211093A1 (de) * 2019-07-25 2021-01-28 Audi Ag Batterie für eine zumindest teilweise elektrisch betriebene/angetriebene Funktionsvorrichtung sowie Funktionsvorrichtung
CN113875076B (zh) * 2019-07-31 2024-06-1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缓冲构件以及蓄电模块
CN112310556B (zh) * 2019-09-29 2022-01-18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的隔离构件及其组装方法、电池模组、电池包、车辆及电池膨胀监测方法
DE102019130916A1 (de) * 2019-11-15 2021-05-20 Audi Ag Batterie, Kraftfahrzeug mit einer solchen Batterie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olchen Batterie
CN113193297A (zh) * 2020-01-14 2021-07-30 欣旺达电动汽车电池有限公司 电池包及电动汽车
CN115023851A (zh) * 2020-01-30 2022-09-06 松下控股株式会社 非水电解质二次电池和二次电池模块
CN115039276A (zh) * 2020-01-31 2022-09-09 松下控股株式会社 非水电解质二次电池和二次电池模块
EP4109643A4 (en) * 2020-02-21 2024-03-27 GS Yuasa International Ltd. ENERGY STORAGE DEVICE
KR20210109315A (ko) * 2020-02-27 2021-09-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그것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시스템
DE102020105893A1 (de) * 2020-03-05 2021-09-09 Audi Aktiengesellschaft Batterieanordnung sowie Kraftfahrzeug mit einer Batterieanordnung
KR20220023191A (ko) * 2020-08-20 2022-03-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단열 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N114221074A (zh) * 2020-09-07 2022-03-22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托盘、电池包及电动汽车
KR20220160094A (ko) * 2020-10-19 2022-12-05 지앙수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전지, 전기 기기, 전지 제조 방법 및 기기
CN113540637B (zh) * 2021-03-18 2025-06-17 欣旺达动力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包壳体和电池包
KR20220160717A (ko) * 2021-05-28 2022-12-06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JP7573500B2 (ja) * 2021-08-13 2024-10-25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延焼防止部材、セルユニットおよびバッテリー
EP4195381A1 (en) * 2021-12-13 2023-06-14 Samsung SDI Co., Ltd. Spacer for spacing battery cells from each other in a battery cells stack
DE102021132874A1 (de) 2021-12-14 2023-06-15 Audi Aktiengesellschaft Zelltrennelement, Batteriezellenanordnung und Kraftfahrzeug
FR3136115A1 (fr) 2022-05-24 2023-12-01 Saft Dispositif de protection contre la propagation d’un emballement thermique dans une batterie
DE102022124042A1 (de) 2022-09-20 2024-03-2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r Energiespeicher mit Druckbehälter
DE102022213649A1 (de) * 2022-12-14 2024-06-20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Energiespeichereinheit für einen elektrischen Verbraucher
GB2630342A (en) * 2023-05-24 2024-11-27 Jaguar Land Rover Ltd Spacer for a battery cell stack
GB2630343A (en) * 2023-05-24 2024-11-27 Jaguar Land Rover Ltd Battery cell stack
EP4471919A1 (fr) * 2023-05-31 2024-12-04 Automotive Cells Company SE Batterie
DE102023115159A1 (de) * 2023-06-09 2024-12-12 Carcoustics Techconsult Gmbh Kompressionspad zur beabstandeten Anordnung von Batteriezell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7795A (ja) * 2002-04-24 2003-11-07 Kawasaki Heavy Ind Ltd 圧力吸収構造を備えた電池
JP2005197179A (ja) * 2004-01-09 2005-07-21 Toyota Motor Corp 単電池および組電池
JP2007165698A (ja) * 2005-12-15 2007-06-28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力貯蔵デバイス
JP2008124033A (ja) * 2006-03-28 2008-05-29 Takehiro:Kk 電池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14760A4 (en) * 1994-06-17 1998-02-11 Araco Kk LAMINATE AND MANUFACTURING METHOD
US5639571A (en) * 1996-06-24 1997-06-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Battery pack
JPH11126585A (ja) 1997-10-23 1999-05-11 Hitachi Ltd 組電池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装置
US6376126B1 (en) * 1999-10-13 2002-04-2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Composite battery container with integral flexible ribs
JP2001153046A (ja) * 1999-12-01 2001-06-05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圧縮機用ピストン製造方法及びピストン製造装置
US6489054B2 (en) * 2001-04-19 2002-12-03 Zinc Matrix Power, Inc. Battery case with edge seal
JP4214450B2 (ja) * 2002-06-03 2009-01-28 日本電気株式会社 モジュール
KR100684802B1 (ko) 2005-07-29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181849B1 (ko) 2005-09-05 2012-09-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격벽
KR100805152B1 (ko) 2006-04-10 2008-0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WO2008007767A1 (en) * 2006-07-13 2008-01-17 Gs Yuasa Corporation Assembled battery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flat cells
KR100839374B1 (ko) * 2007-04-27 2008-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JP4508221B2 (ja) * 2007-08-27 2010-07-21 豊田合成株式会社 組電池装置
JP5305780B2 (ja) 2008-08-19 2013-10-02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用の組電池
CN201523044U (zh) * 2009-10-13 2010-07-07 深圳市博德能科技有限公司 动力锂离子电池
JP2011096465A (ja) 2009-10-28 2011-05-12 Tokyo R & D Co Ltd 冷却板及びバッテリーシステム
US8465866B2 (en) * 2010-04-21 2013-06-18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including a pressure control unit
US9142809B2 (en) * 2011-01-04 2015-09-22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7795A (ja) * 2002-04-24 2003-11-07 Kawasaki Heavy Ind Ltd 圧力吸収構造を備えた電池
JP2005197179A (ja) * 2004-01-09 2005-07-21 Toyota Motor Corp 単電池および組電池
JP2007165698A (ja) * 2005-12-15 2007-06-28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力貯蔵デバイス
JP2008124033A (ja) * 2006-03-28 2008-05-29 Takehiro:Kk 電池モジュール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861B1 (ko) * 2013-05-31 2018-0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EP2843728A3 (en) * 2013-08-27 2015-04-15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JP2019165015A (ja) * 2013-09-03 2019-09-26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Samsung SDI Co., Ltd. バッテリパック
JP2015050187A (ja) * 2013-09-03 2015-03-16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Samsung SDI Co.,Ltd. バッテリパック
KR101827493B1 (ko) * 2014-10-07 2018-0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 및 작동 수명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US10522804B2 (en) 2014-10-07 2019-12-31 Lg Chem, Ltd.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safety and operational lifespan
KR101863431B1 (ko) * 2015-03-11 2018-05-31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조전지용 스페이서 및 조전지
US10396321B2 (en) 2015-03-11 2019-08-2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Battery pack spacer
US10199676B2 (en) 2015-04-15 2019-02-05 Sk Innovation Co., Ltd. Secondary battery pack comprising movable wall and elastic member
EP3082176A1 (en) 2015-04-15 2016-10-19 SK Innovation Co., Ltd. Secondary battery pack with variable compression
KR20160123091A (ko) 2015-04-15 2016-10-2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 팩
KR102308635B1 (ko) * 2015-04-17 2021-10-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160123814A (ko) * 2015-04-17 2016-10-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US12176505B2 (en) 2017-12-26 2024-12-24 Sk On Co., Ltd.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210057689A1 (en) * 2018-12-05 2021-02-25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749852B2 (en) * 2018-12-05 2023-09-05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10007373A (ko) * 2019-07-11 2021-0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KR102783791B1 (ko) * 2019-07-11 2025-03-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WO2022092654A1 (ko) * 2020-10-29 2022-05-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3043113A1 (ko) *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5004461A1 (ja) * 2023-06-26 2025-01-02 ビークルエナジージャパン株式会社 電池用スペーサ、及び組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25977A (zh) 2013-09-25
CN103325977B (zh) 2017-12-22
US20130252063A1 (en) 2013-09-26
US9324982B2 (en) 201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5250B1 (ko) 전지 모듈
US11652246B2 (en)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3931019B (zh) 改善安全性的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US20180183119A1 (en) Secondary Battery Module
US9178191B2 (en) Battery module
CN108140763B (zh) 电池模块、包括电池模块的电池组和包括电池组的汽车
US8999557B2 (en) Battery pack with elastic frame
KR101058102B1 (ko) 배터리 팩
CN111081927A (zh) 电池模块
US10516142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US9246144B2 (en)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555835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
US20120129038A1 (en) Battery module
KR20200044578A (ko) 배터리의 대형 모듈
KR20200044580A (ko) 배터리의 대형 모듈
CN103247766A (zh) 电池组
KR20170021130A (ko) 홀더를 갖는 전지 모듈
KR20200044582A (ko) 배터리의 대형 모듈
KR20130046999A (ko) 배터리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N211350713U (zh) 电池模块和电池包
KR102082868B1 (ko) 전지 팩
US20230395919A1 (en) Multi-battery pack having compact structure
KR102411029B1 (ko) 배터리 모듈
KR20190005405A (ko) 배터리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4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