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894B1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rque Sensor Failsaf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rque Sensor Failsaf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2894B1 KR101252894B1 KR1020080128361A KR20080128361A KR101252894B1 KR 101252894 B1 KR101252894 B1 KR 101252894B1 KR 1020080128361 A KR1020080128361 A KR 1020080128361A KR 20080128361 A KR20080128361 A KR 20080128361A KR 101252894 B1 KR101252894 B1 KR 1012528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torque sensor
- sub
- motor assist
- stop ti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크 센서에 대한 페일 세이프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ail safe for a torque sensor.
본 발명은 토크 센서에서 출력되는 메인신호 및 서브신호의 신호 값을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 및 메인신호 및 서브신호의 신호 값을 토대로 토크 센서가 고착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근거하여 모터 어시스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센서 페일 세이프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gnal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signal values of a main signal and a sub signal output from a torque sensor;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torque sensor is fixed based on signal values of the main signal and the sub-signal, and to control the motor assist based on the determined result.
본 발명에 의하면, 토크 센서의 고착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모터 어시스트를 제어할 수 있는 토크 센서 페일 세이프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stability by providing a torque sensor fail safe function capable of determining the stuck state of the torque sensor and controlling the motor assis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토크 센서, 고착, 모터 어시스트, 페일 세이프 Torque sensor, fixation, motor assist, fail safe
Description
본 발명은 토크 센서에 대한 페일 세이프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토크 센서의 고착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모터 어시스트를 제어할 수 있는 토크 센서 페일 세이프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토크 센서에 대한 페일 세이프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ail safe for a torque senso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ail safe for a torque sensor that improves stability by providing a torque sensor fail safe function capable of determining a stuck state of the torque sensor and controlling motor assis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will be.
기존의 토크 센서에 대한 페일 세이프(Failsafe)에서는, 토크 센서의 출력 신호가 이상이 발생하면 모터 어시스트(Motor Assist)를 금지하거나 출력을 제한시킴으로써, 토크 센서의 문제 발생을 감지하여 이에 대응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failsafe for the conventional torque sensor, if the output signal of the torque sensor is abnormal, it prevents the motor assist or limits the output, so that the problem of the torque sensor can be detected and stability Can be improved.
하지만, 토크 센서에서 출력되는 메인신호와 서브신호는 정상적인 상태에서 동일한 신호 값을 가지고 움직이고, 토크 센서가 내외부 영향으로 고착된 경우에도 특정 전압(예를 들어, 1.2V)으로 동일하게 출력이 고정이 되는 특징으로 인해, 토크 센서가 고착 상태가 되어도 이를 감지하지 못하고 정상 상태로 판단하여 모터 어시스트를 수행하게 된다. However, the main signal and the sub-signal output from the torque sensor move with the same signal value under normal conditions, and the output is fixed at the same voltage (for example, 1.2V) even when the torque sensor is fixed by internal and external influences. Due to the feature, even if the torque sensor is stuck, it does not detect this and determines that it is in a normal state to perform the motor assist.
이와 같이, 토크 센서의 정상 상태와 고착 상태를 감지하지 못하는 종래의 토크 센서 페일 세이프 기능은, 토크 센서의 고착 상태에서, 운전자가 시동을 걸자마자 핸들 조향 없이도 핸들이 좌/우 끝단으로 빠르게 회전할 수 있고 운전자의 안전에 큰 위협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As such, the conventional torque sensor fail-safe function, which does not detect the steady state and the stuck state of the torque sensor, can quickly rotate the handle to the left / right ends without steering the steering wheel as soon as the driver starts in the fixed state of the torque sensor. Can cause problems that can pose a major threat to the safety of the driver.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토크 센서의 고착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모터 어시스트를 제어할 수 있는 토크 센서 페일 세이프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object to improve the stability by providing a torque sensor fail safe function that can determine the fixed state of the torque sensor and control the motor assis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토크 센서에서 출력되는 메인신호 및 서브신호의 신호 값을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 및 상기 메인신호 및 상기 서브신호의 신호 값을 토대로 상기 토크 센서가 고착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결과에 근거하여 모터 어시스트(Motor Assist)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센서 페일 세이프 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signal values of the main signal and the sub-signal output from the torque sensor;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torque sensor is fixed based on the signal values of the main signal and the sub-signal, and to control a motor assist based on the determined result. Provide a fail safe device.
또한, 본 발명은, 토크 센서에서 출력되는 메인신호 및 서브신호의 신호 값을 감지하는 신호 감지 단계; 상기 메인신호 및 상기 서브신호의 신호 값을 토대로 상기 토크 센서가 고착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토크 센서 고착 상태 판단 단계; 및 상기 판단된 결과에 근거하여 모터 어시스트(Motor Assist)를 제어하는 모터 어시스트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센서에 대한 페일 세이프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sensing step of detecting the signal value of the main signal and the sub-signal output from the torque sensor; A torque sensor stuck state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torque sensor is stuck based on a signal value of the main signal and the sub-signal; And a motor assist control step of controlling a motor assist based on the determined resul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토크 센서의 고착 상태를 판 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모터 어시스트를 제어할 수 있는 토크 센서 페일 세이프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improving stability by providing a torque sensor fail safe function capable of determining a fixed state of the torque sensor and controlling the motor assis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우선, 기존의 토크 센서에 대한 페일 세이프(Failsafe)에서는, 토크 센서의 출력 신호가 이상이 발생하면 모터 어시스트(Motor Assist)를 금지하거나 출력을 제한시킴으로써, 토크 센서의 문제 발생을 감지하여 이에 대응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지만, 토크 센서에서 출력되는 메인신호와 서브신호는 정상적인 상태에서 동일한 신호 값을 가지고 움직이고, 토크 센서가 내외부 영향으로 고착된 경우에도 특정 전압(예를 들어, 1.2V)으로 동일하게 출력이 고정이 되는 특징으로 인해, 토크 센서가 고착 상태가 되어도 이를 감지하지 못하고 정상 상태로 판단하여 모터 어시스트를 수행하게 된다. First, in the failsafe of the conventional torque sensor, if the output signal of the torque sensor is abnormal, by preventing the motor assist or limiting the output, it detects a problem of the torque sensor and responds to it. Stability could be improved, but the main signal and the sub signal output from the torque sensor move with the same signal value under normal conditions, and the same voltage (for example, 1.2V) even when the torque sensor is fixed by internal and external influences. Due to the feature that the output is fixed, even if the torque sensor is stuck, it does not detect this and determines that it is in a normal state to perform the motor assist.
즉, 종래의 토크 센서 페일 세이프 기능에서, 토크 센서의 정상 상태와 고착 상태를 감지하지 못하는 점은, 토크 센서의 고착 상태에서, 운전자가 시동을 걸자마자 핸들 조향 없이도 핸들이 좌/우 끝단으로 빠르게 회전할 수 있고 운전자의 안전에 큰 위협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In other words, in the conventional torque sensor fail-safe function, the normal state and the fixed state of the torque sensor are not detected. In the fixed state of the torque sensor, as soon as the driver starts the steering wheel, the steering wheel moves quickly to the left / right end without steering steering. This can cause problems that can rotate and pose a significant threat to the driver's safety.
따라서, 본 발명은 토크 센서의 고착 상태를 판단하여 그에 맞는 모터 어시스트를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etermining the stuck state of the torque sensor and controlling the motor assist accordingly.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 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elem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 of this invention, terms, such as 1st, 2nd, A, B, (a), (b), can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 페일 세이프(Failsafe)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torque sensor failsaf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 페일 세이프 장치(100)는, 토크 센서(Torque Sensor)(10)에서 출력되는 메인신호 및 서브신호의 신호 값을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110); 및 신호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메인신호 및 서브신호의 신호 값을 토대로 토크 센서(10)가 고착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이러한 판단된 결과에 근거하여 모터 어시스트(Motor Assist)를 제어하는 제어부(120) 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torque sensor fail safe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ignal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signal values of a main signal and a sub signal output from a
전술한 제어부(120)는, 감지된 메인 신호 또는 서브신호의 신호 값이 미리 설정된 고착 판단 전압 미만이 되어 일정 시간 동안 지속이 되거나, 감지된 메인신 호 또는 서브신호의 신호 값이 일정 시간 동안 변화가 발생하지 않거나, 또는 감지된 메인신호 및 서브신호의 신호 값이 상이하면, 토크 센서(10)가 고착 상태인 것으로 판단(간주)할 수 있다. The
전술한 제어부(120)는, 전술한 방식에 따라 토크 센서(10)가 고착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모터 어시스트를 중지시키고, 해당 트러블 코드(Trouble Code)를 저장하고,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11)을 정지시킨다.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 페일 세이프 장치(100)는 토크 센서(10)가 고착 상태인 거로 판단되면 해당 경고등을 점등시켜 운전자에게 이 사실을 알려줄 수 있다. When the torque sensor fail saf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at the
하지만, 본 발명에 따라 토크 센서(10)가 고착 상태인 것으로 판단(간주)하여 모터 어시스트를 중지시켰더라도, 주차 모드 시, 핸들 락(Lock) 상태에서 점화 온(Ignition On)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토크 출력이 변하면 중지되었던 모터 어시스트를 즉시 개시한다. However, even if the motor assist is stopped by determining that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 페일 세이프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rque sensor fail saf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 페일 세이프 제공 방법은, 토크 센서(10)에서 출력되는 메인신호 및 서브신호의 신호 값을 감지하는 신호 감지 단계(S200); 메인신호 및 서브신호의 신호 값을 토대로 토크 센서(10)가 고착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토크 센서 고착 상태 판단 단계(S202); 및 판단된 결과에 근거하여 모터 어시스트(Motor Assist)를 제어하는 모터 어시스트 제어 단 계(S204) 등을 포함한다. 2, the torque sensor fail-saf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sensing step (S200) of detecting signal values of a main signal and a sub-signal output from the
전술한 토크 센서 고착 상태 판단 단계(S202)에서는, 신호 감지 단계(S200)에서 감지된 메인 신호 및 서브신호의 신호 값을 이용하여 토크 센서(10)의 고착 상태를 판단하게 되는데, 감지된 메인 신호 또는 서브신호의 신호 값이 미리 설정된 고착 판단 전압 미만이 되어 일정 시간 동안 지속이 되거나, 감지된 메인신호 또는 서브신호의 신호 값이 일정 시간 동안 변화가 발생하지 않거나, 또는 감지된 메인신호 및 서브신호의 신호 값이 상이하면, 토크 센서(10)가 고착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torque sensor fixation state determination step (S202), the fixation state of the
전술한 모터 어시스트 제어 단계(S204)에서는, 앞선 토크 센서 고착 상태 판단 단계(S202)에서 토크 센서(10)가 고착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모터 어시스트를 중지시키고, 해당 트러블 코드(Trouble Code)를 저장하고,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11)을 정지시킨다. In the above-described motor assist control step (S204),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 페일 세이프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rque sensor fail saf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 페일 세이프 제공 방법은, 토크 센서(10)에서 출력되는 메인신호(TSM:Torque Sensor Main Signal) 및 서브신호(TSS: Torque Sensor Sub Signal)의 신호 값을 감지(S300)하고, 감지된 메인신호(TSM) 또는 서브신호(TSS)가 미리 설정된 고착 판단 전압(Ref_Level) 미만인지를 판단(S302)한다. Referring to FIG. 3, in the torque sensor fail saf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signal (TSM) and a sub signal (TSS) output from the
판단 결과, 감지된 메인신호(TSM) 또는 서브신호(TSS)가 미리 설정된 고착 판단 전압(Ref_Level) 미만이 되지 않으면, 정상 상태로 판단하여 모터 어시스트를 수행이 되도록 제어(S314)한다. 하지만, 판단 결과, 감지된 메인신호(TSM) 또는 서브신호(TSS)가 미리 설정된 고착 판단 전압(Ref_Level) 미만이라고 판단이 되면, 모터 어시스트를 중지시키고(Disable Motor Assist) 중지 시간(Disable Time)을 카운팅하는 것을 수행(S304)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 detected main signal TSM or the sub-signal TSS does not fall below the preset fixation determination voltage Ref_Level, the controller 100 determines to be in a normal state so as to perform motor assist. Howe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cted main signal TSM or the sub-signal TSS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fixation determination voltage Ref_Level, the motor assist is stopped and the disabled time is determined. Counting is performed (S304).
이와 같이, 중지 시간을 카운팅(S304)하던 도중, 모터 어시스트의 동작과 관련된 신호가 들어오게 되면, 중지 시간의 카운팅을 그만두고, 그때까지의 카운팅 된 중지 시간이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인 10분을 넘어섰는지를 판단(S306)한다. As such, when a signal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motor assist is received while counting the stop time (S304), the counting of the stop time is stopped, and the counted stop time until then exceeds a preset predetermined time of 10 minutes. It is determined (S306).
이러한 판단 결과, 카운팅 된 중지 시간이 10분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트러블 코드(DTC: Diagnostic Trouble Code)를 저장하고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 시스템(11)을 정지(OFF)시키는 것을 수행(S308)한다. 한편, 감지된 메인신호(TSM) 또는 서브신호(TSS)가 미리 설정된 고착 판단 전압(Ref_Level) 이상이 되어 카운팅 된 중지 시간이 10분을 초과하지 못하면, 감지된 메인신호(TSM) 또는 서브신호(TSS)의 변화량이 영(Zero)을 초과하는지를 판단(S310)한다. 즉, 정상적인 토크 센서(10)에서는 출력되는 메인신호(TSM) 또는 서브신호(TSS)의 변화량이 영(Zero)보다 크기 때문에, S310에서는 토크 센서(10)의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다. As a result of this determin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unted down time exceeds 10 minutes, it stores the trouble code (DTC) and turns of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S310에서 메인신호(TSM) 또는 서브신호(TSS)의 변화량이 영(Zero)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토크 센서(10)가 정상 상태라면, 모터 어시스트를 수행이 되도록 제어(S314)한다. 그렇지 않고, S310에서 메인신호(TSM) 또는 서브신호(TSS)의 변화량이 영(Zero)이 되면 토크 센서(10)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중지 시간(Disable Time)을 리셋(Reset, Clear)(S312)시키고, 다시, 모터 어시스트를 중지시키고(Disable Motor Assist) 중지 시간(Disable Time)을 카운팅하는 것을 수행(S304)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nge amount of the main signal TSM or the sub-signal TSS exceeds zero in S310, and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토크 센서(10)의 고착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모터 어시스트를 제어할 수 있는 토크 센서 페일 세이프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stability by providing a torque sensor fail safe function capable of determining the stuck state of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n other word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operat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a part or all of the functions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As shown in FIG.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may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 computer program may be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torage medium of the computer program,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 carrier wave medium, or the like may be included.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 comprising," or "having ", as used herei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 페일 세이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orque sensor fail saf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 페일 세이프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rque sensor fail saf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 페일 세이프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rque sensor fail saf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 토크 센서10: torque sensor
11: 전자 제어 유닛(ECU)11: electronic control unit (ECU)
100: 토크 센서 페일 세이프 장치100: torque sensor fail safe device
110: 신호 감지부110: signal detector
120: 제어부120: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8361A KR101252894B1 (en) | 2008-12-17 | 2008-12-17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rque Sensor Failsaf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8361A KR101252894B1 (en) | 2008-12-17 | 2008-12-17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rque Sensor Failsaf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69825A KR20100069825A (en) | 2010-06-25 |
KR101252894B1 true KR101252894B1 (en) | 2013-04-09 |
Family
ID=42367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28361A Active KR101252894B1 (en) | 2008-12-17 | 2008-12-17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rque Sensor Failsaf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2894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64660A (en) * | 2006-09-08 | 2008-03-21 | Nsk Ltd | Torque sensor adjusting device and method |
KR20080078436A (en) * | 2007-02-23 | 2008-08-27 | 주식회사 만도 | Method and circuit for detecting malfunction of electronically controlled power steering system |
-
2008
- 2008-12-17 KR KR1020080128361A patent/KR10125289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64660A (en) * | 2006-09-08 | 2008-03-21 | Nsk Ltd | Torque sensor adjusting device and method |
KR20080078436A (en) * | 2007-02-23 | 2008-08-27 | 주식회사 만도 | Method and circuit for detecting malfunction of electronically controlled power steering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69825A (en) | 2010-06-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55122B1 (en) |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KR0178294B1 (en) | Electric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 |
US7427914B2 (en) | Operator alerting system using a vehicle fault condition prioritization method | |
KR10131393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rouble of Steering Angle Sensor Initialization | |
US6266591B1 (en) | Controller for an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system and an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system | |
CN103282698B (en) |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 |
US5339243A (en) | Power steering apparatus | |
JP4222284B2 (en) |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and electric steering lock method | |
KR10125289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rque Sensor Failsafe | |
US9829500B2 (en) | Speed monitoring device | |
KR101596025B1 (en) | Error detection method of fail safe software | |
JP2004249913A (en) |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 |
JP4449488B2 (en) | Control device for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 |
JP7143797B2 (en) | Power control device for in-vehicle camera module | |
EP1489509B1 (en) | Control system | |
JP407805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ignition circuit for a restraining means | |
CN117719589A (en) | Method and device for correcting steering torque of vehicle, vehicle and storage medium | |
EP0881977B1 (en) | Controller for an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system and an electric power assisted steering system | |
KR100412705B1 (en) | Crank position sensor monitoring controlling method of vehicle | |
JP2020016511A (en)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rotation detector | |
KR100794936B1 (en) | 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steering using torque sensor and electric stee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
KR20140083352A (en) | Control Method of Motor | |
KR101438873B1 (en) | Safety apparatus for r-mdps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JP2007202250A (en) | Electric vehicle control device | |
CN115257588B (en) | Gear shifting actuator power supply protect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6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12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