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52095B1 -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 Google Patents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095B1
KR101252095B1 KR1020110024222A KR20110024222A KR101252095B1 KR 101252095 B1 KR101252095 B1 KR 101252095B1 KR 1020110024222 A KR1020110024222 A KR 1020110024222A KR 20110024222 A KR20110024222 A KR 20110024222A KR 101252095 B1 KR101252095 B1 KR 101252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switch
portable device
button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6237A (ko
Inventor
여영규
Original Assignee
여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87954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5209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여영규 filed Critical 여영규
Priority to KR1020110024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095B1/ko
Priority to US13/575,091 priority patent/US8627953B1/en
Priority to CN201180070935.1A priority patent/CN103609030B/zh
Priority to PCT/KR2011/004668 priority patent/WO2012128424A1/ko
Publication of KR20120106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09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전면부에 휴대용 기기가 안착되는 본체, 본체 전면부의 지정된 위치에 인입 및 돌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1 스위치, 본체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제 1 스위치에 의해 이격 간격이 가변되어 휴대용 기기를 유지하거나 해제하는 제 1 암 및 제 2 암 및 본체 내부에서 제 1 암과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 1 버튼과, 본체 내부에서 제 2 암과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 2 버튼을 포함하여, 제 1 암 및 제 2 암의 이격 간격을 가변시키는 제 2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를 제시한다.

Description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Holder for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거치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화기로 대표될 수 있는 개인용 휴대 기기는 개인마다 보유하고 있을 만큼 필수품으로 자리 잡았다. 한 조사에 따르면 2000년도 국제 휴대전화 보급률은 12% 정도였으나, 2009년에는 67% 가까지 증가하였으며, 최근 보급이 시작된 스마트 폰 또한 이전 10년 간의 보급 성장률을 재현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화기뿐 아니라 차량용 내비게이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휴대용 방송 수신 장치, 디지털 카메라/캠코더 등 다양한 휴대용 기기가 상용되고 있으며, 휴대용 기기를 위한 다양한 액세서리 산업 또한 함께 발전하고 있다. 특히, 휴대용 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홀더는 차량 운전 중, 또는 학업이나 업무 중에 휴대용 기기를 보관하는 등의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휴대용 기기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제공할 지라도 제조자 마다 그 크기가 상이하며, 휴대용 기기에 맞추어 홀더를 구입하여 사용하다가 휴대용 기기를 다른 모델로 교체하게 되면 홀더까지 함께 교체하여야 한다. 따라서, 휴대용 기기 교체시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함은 물론, 사용 가능한 상태의 홀더가 폐기 처분되는 등 자원 낭비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또한, 현재의 홀더는 휴대용 기기를 장착 및 해제할 때 다수의 버튼을 조작하거나 물리적인 힘을 가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으며, 물리적인 힘을 가할 때 휴대용 기기에 충격이 가해지는 등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를 용이하게 장착 및 해제할 수 있는 홀더를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간단한 구성으로 휴대용 기기를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는 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는 전면부에 휴대용 기기가 안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 전면부의 지정된 위치에 인입 및 돌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1 스위치;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1 스위치에 의해 이격 간격이 가변되어 상기 휴대용 기기를 유지하거나 해제하는 제 1 암 및 제 2 암; 및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 1 암과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 1 버튼과,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 2 암과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 2 버튼을 포함하여, 상기 제 1 암 및 제 2 암의 이격 간격을 가변시키는 제 2 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기기를 거치면에 접촉시키는 간단한 동작 만으로도 휴대용 기기를 홀더에 안전하게 장착할 수 있다. 아울러, 홀더 양측의 버튼을 누르는 단순한 조작으로 홀더에 장착된 휴대용 기기를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번거로운 조작이나 강한 물리적 힘을 가할 필요 없이 용이하고 안전하게 휴대용 기기를 거치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더욱이, 휴대용 기기를 홀더에 유지하기 위한 조작, 홀더로부터 해제하기 위한 주요 동작이 스프링의 인장 및 압축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홀더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어 고객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한 홀더의 조립 상태도,
도 6은 브래킷이 결합된 홀더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홀더에 휴대용 기기를 거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브래킷 적용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홀더의 이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홀더(1)는 전면부(12)에 휴대용 기기가 안착되는 본체(30)를 포함한다. 본체(30)는 전면 커버(10) 및 후면 커버(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전면부(12)측에서 바라본 단면이 실질적으로 직사각 형상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체(30) 전면부(12)의 지정된 위치에는 본체(30) 내부로부터 전면부(12) 상으로 돌출되는 제 1 스위치(610)가 마련된다. 제 1 스위치(610)는 예를 들어 푸시(Push) 스위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전면부(12)에 휴대용 기기를 거치할 때의 압력에 의해 본체(30) 내부로 인입되는 상태로 가변된다. 아울러, 제 1 스위치(610)의 인출 동작은 후술할 제 1 및 제 2 버튼(420, 520)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할 것이다.
한편, 본체(30)의 양 측면에는 제 1 암(410) 및 제 2 암(510)이 구성된다. 제 1 암 및 제 2 암(410, 510)은 제 1 스위치(610)의 푸시/풀(push/pull) 동작에 의해 이격 거리가 가변된다. 제 1 스위치(610)가 본체(30) 내부로 인입될 때, 제 1 및 제 암(410, 510)은 본체 내측 방향으로 좁혀져 휴대용 기기가 전면부(12) 상에 제 1 및 제 2 암(410, 51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후술할 제 1 및 제 2 버튼(420, 520)의 가압 동작에 의해 제 1 스위치(610)가 본체(30)로부터 인출되면 제 1 및 제 2 암(410, 510) 간의 간격이 벌어져 휴대용 기기를 해제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제 1 버튼(420) 및 제 2 버튼(520)은 제 2 스위치를 구성한다. 제 1 버튼(420)은 제 1 암(410)과 본체(30) 내부에서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제 1 암(410)이 본체(30)의 내측으로 좁혀질 때 제 1 버튼(420)은 본체(3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암(510)이 본체(30)의 내측으로 좁혀질 때 제 2 버튼(520)은 본체(3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1)에서, 휴대용 기기를 전면부(12)에 밀착하여 제 1 스위치(610)가 본체(30) 내부로 인입되고,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암(410, 510) 간의 간격이 좁혀져 휴대용 기기가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제 1 및 제 2 버튼(420, 520)이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버튼(420, 520)을 본체(30)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면 제 1 및 제 2 암(410, 510)이 본체(30) 외측으로 벌어지고 제 1 스위치(610)가 돌출되어 휴대용 기기를 홀더(1)로부터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홀더(2)는 도 1에 도시한 홀더(1)의 구성에 더하여 브래킷(70)을 더 포함한다.
브래킷(70)은 본체(3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휴대용 기기가 홀더(2)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브래킷(70)은 본체(30)의 후면부에서 노브를 통해 고정된다. 노브는 예를 들어 나사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노브를 해제한 상태에서 브래킷(70)을 좌우 및/또는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더욱이, 브래킷(70)은 중앙부가 개방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휴대용 기기의 외부 접속 케이블을 관통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홀더(2)의 세부 구성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한 홀더의 조립 상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체(30)의 전면 커버(10)는 제 1 스위치(610)가 푸시/풀 가능하도록 하는 스위치 관통홀(110)을 구비하며, 전면 커버(10)의 배면 즉, 후면 커버(20)과 접촉되는 면에는 후면 커버(20)와의 체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 돌기(120)가 지정된 위치에 마련된다.
후면 커버(20)는 후술할 제 1 및 제 2 탈착 제어부(40, 50)가 수납되는 수납부(210)를 구비하며, 특히 수납부(210)는 상부 수납부(212) 및 하부 수납부(214)로 이루어진다. 또한, 후면 커버(20)는 전면 커버(10)에 마련된 체결 돌기(120)와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 홈(220a, 220b, 220c, 220d, 220e)이 형성되고, 내부 장치를 조립한 후 전면 커버(10)와 후면 커버(20)을 결합한 상태에서 체결 홈(220a, 220b, 220c, 220d, 220e) 및 체결 돌기(120)는 스크류(80)에 의해 고정된다. 아울러, 후면 커버(20)의 지정된 위치, 바람직하게는 상부 수납부(212)의 중앙부에는 스위치 조립홈(230)이 구비되어, 이를 통해 후술할 스위칭부(60)가 결합된다. 그리고, 후면 커버(20)의 하단부에는 브래킷(70)을 고정 또는 이동시키기 위한 노브(92)가 결합되는 홀(240)이 구비된다. 노브(92)는 너트(94)와 쌍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노브(92)의 개폐 상태에 따라 브래킷(70)이 이동 가능한 상태, 또는 고정 상태를 이루게 된다.
제 1 탈착 제어부(40)는 본체(30)의 일측면으로부터 인입/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암(410), 본체(30)의 타측면으로부터 인입/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버튼(420), 제 1 암(410)의 인입/인출 동작을 위한 물리적 힘을 제공하는 제 1 암 이동축(430), 제 1 버튼(420)의 인입/인출 동작을 위한 물리적 힘을 제공하는 제 1 버튼 이동축(440) 및 제 1 탄성부재(460)가 결합되는 제 1 탄성축(450)을 포함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 2 탈착 제어부(50) 또한, 본체(30)의 타측면으로부터 인입/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암(520), 본체(30)의 일측면으로부터 인입/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버튼(520), 제 2 암(510)의 인입/인출 동작을 위한 물리적 힘을 제공하는 제 2 암 이동축(530), 제 2 버튼(520)의 인입/인출 동작을 위한 물리적 힘을 제공하는 제 2 버튼 이동축(540) 및 제 1 탄성부재(560)가 결합되는 제 2 탄성축(도시 안됨)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암 이동축(430, 530)은 일측이 암(410, 510)과 수직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형성되고, 버튼 이동축(440, 540)은 암 이동축(430, 530)의 연장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지정된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암 이동축(430, 530)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버튼 이동축(440, 540)의 일측 종단이 버튼(420, 520)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탄성축(450, 550)은 버튼 이동축(440, 540)의 타측 종단으로부터 암 이동축(430, 530) 형성 방향으로 지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탄성부재(460, 560)와 결합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1 탈착 제어부(40)의 제 1 암 이동축(430)은 상부 수납부(212)의 일측(예를 들어 좌측)에 수납되고, 제 1 버튼 이동축(440)은 하부 수납부(213)의 타측(예를 들어 우측)에 수납된다. 이에 따라 제 1 암(410)은 본체(30)의 일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되고 제 1 버튼(420)은 본체의 타측으로 돌출가능하게 된다. 제 2 탈착 제어부(50)의 제 2 암 이동축(530)은 상부 수납부(212)의 타측에 수납되고, 제 2 버튼 이동축(540)은 하부 수납부(214)의 일측에 수납되어, 제 2 암(510)은 본체(30)의 타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되고 제 2 버튼(520)은 본체(30)의 일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된다.
한편, 스위칭부(60)는 가압판(612)을 구비하는 제 1 스위치(610) 및 제 3 탄성부재(620)를 포함한다. 가압판(612)은 지정된 상태에서 배면부를 통해 제 3 탄성부재(620)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며, 제 1 스위치(610)는 가압판(612) 전면부의 지정된 위치, 예를 들어 중앙부에 돌출 형성된다.
스위치 조립홈(230) 내에 제 3 탄성부재(620) 및 가압판(612)을 구비하는 제 1 스위치(610)를 조립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탈착 제어부(40, 50)을 조립한다. 제 3 탄성부재(620)가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스위치(610)는 돌출된 형상을 갖게 되고, 제 1 및 제 2 탈착 제어부(40, 50)의 제 1 및 제 2 암 이동축(430, 530)의 타측은 가압판(612)의 양측에 밀착된다. 이때, 제 1 탄성부재(460) 및 제 2 탄성부재(560)는 압축 상태에 있게 되고, 제 1 암(410) 및 제 2 암(510) 간의 간격이 본체(30)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 제 1 버튼(420) 및 제 2 버튼(520)은 본체(30) 내부로 인입된 상태가 된다. 만약, 제 1 스위치(610)에 물리적 힘을 가하면 가압판(612)이 제 3 탄성부재(620)를 압축시키게 되고, 제 1 및 제 2 탄성부재(460, 560)의 복원력에 의해 제 1 암(410) 및 제 2 암(510)이 본체(30) 내측으로 인입되는 한편, 제 1 버튼(420) 및 제 2 버튼(520)이 본체(30)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암 이동축(430, 530) 종단에 형성된 스위치 결합홈(432, 532)이 제 1 스위치(610)와 결합되어 가압판(612)이 제 3 탄성부재(620)를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브래킷(70)은 노브(92) 및 너트(94)를 통해 후면 커버(20)의 홀(240)에 고정된다. 도 6은 브래킷(70)이 결합된 홀더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홀(240)은 노브(92)의 나사부 직경을 고려하여 폭이 결정되고, 브래킷(70)이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지정된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브래킷(70)은 본체(30) 내부로 인입/인출되는 상하 이동부(710) 및 중앙에 개방부(722)가 형성된 지지부(720)를 구비한다. 브래킷(70)이 본체(30) 내부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하 이동부(710)에는 노브(92)의 나사부 직경을 고려하여 형성되는 이동 홀(712)이 마련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홀더에 휴대용 기기를 거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7과 같이 휴대용 기기(3)를 거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스위치(610)는 전면부(12)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가지며, 가압판(612)의 양측에 제 1 및 제 2 암 이동축(430, 530)의 타측이 밀착되어 제 1 및 제 2 탄성부재(460, 560)이 압축된 상태를 갖는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암(410, 510)은 본체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제 1 및 제 2 버튼(420, 520)은 본체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휴대용 기기(3)를 홀더(1 또는 2)에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홀더(1, 2)의 전면부 측에서 휴대용 기기(3)를 전면부(12)에 밀착시킨다. 그러면, 제 1 스위치(610)가 가압되고, 상술한 가압판(612)이 제 3 탄성부재(620)를 압축시킨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탄성부재(460, 560)가 복원되어 제 1 및 제 2 암 이동축(430, 530)이 본체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제 1 및 제 2 암(410, 510)의 간격이 좁혀져 휴대용 기기(3)가 홀더(1, 2) 상에 고정된다. 이와 함께, 제 1 및 제 2 버튼 이동축(440, 540)의 이동에 의해 제 1 및 제 2 버튼(420, 520)이 본체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휴대용 기기(3)를 홀더(1, 2)로부터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제 1 및 제 2 버튼(420, 520)을 본체 내측으로 가압하면, 제 1 및 제 2 탄성부재(460, 560)가 압축되면서 제 1 및 제 2 암 이동축(430, 530) 간의 간격, 결과적으로 제 1 및 제 2 암(410, 510) 간의 간격이 벌어지고, 제 3 탄성부재(620)의 복원력에 의해 제 1 스위치(610)가 돌출된다.
한편, 도 7 및 도 8에서 휴대용 기기(3)를 거치하기 전 브래킷(70)을 본체로부터 하측으로 이동시켜 휴대용 기기(3) 거치를 위한 공간을 충분히 마련해 둘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암(410, 510)에 의해 휴대용 기기(3)를 고정시킨 후 브래킷(70)을 다시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노브(92)를 죄어 휴대용 기기(3)의 고정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브래킷(70)의 개방부(722)를 통해 휴대용 기기(3)와 외부 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을 관통시킬 수 있어, 외부 접속 케이블에 물리적 스트레스 없이 휴대용 기기(3)와 외부 장치를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브래킷 적용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홀더의 이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9는 휴대용 기기(3)에 외부 접속 케이블(4)을 연결하는 경우 브래킷(70)의 적용에 따른 이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휴대용 기기(3)가 전자 장치인 경우 커넥터(310)를 통해 외부 접속 케이블(4)을 연결할 수 있으며, 외부 접속 케이블(4)이 충전기인 경우 이를 통해 휴대용 기기(3)를 충전시킬 수 있다. 그런데, 휴대용 기기(3)는 제조사 및 모델에 따라 커넥터(310)의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홀더(1, 2)는 노브(92)를 해제하면 브래킷(70)이 좌우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브래킷(70)의 위치를 조절함에 의해 커넥터(310)를 완전히 개방시켜 외부 접속 케이블(4)이 브래킷(70)에 간섭을 받지 않고 커넥터(3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은 휴대용 기기(3)의 고정 높이 조절에 따른 이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휴대용 기기(3)는 측면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의 조작 버튼(32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조작 버튼(320)은 커넥터(310)와 마찬가지로 제조사 및 모델마다 그 배치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브래킷(70)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하기 때문에, 홀더(1, 2)에 휴대용 기기(3)를 장착할 때, 측면 조작 버튼(320)의 위치를 고려하여 조작 버튼(320)이 노출되도록 브래킷(70)의 상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의 (a)에는 브래킷(70)의 상하 위치가 적절하지 않아 조작버튼(320)이 암(410, 510)에 의해 간섭을 받는 상태를 나타내었다. 이 경우 노브(92)를 해제하고 브래킷(70)을 하측으로 연장시킨 후 휴대용 기기(3)를 장착한다. 그러면, 도 10의 (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조작 버튼(320)이 완전히 노출될 수 있어 암(410, 520)에 의해 조작 버튼(320)이 눌리거나 가려지는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 1 및 제 2 암(410, 510)에 의해 다양한 폭을 갖는 휴대용 기기(3)를 거치할 수 있음은 물론, 브래킷(70)에 의해 휴대용 기기(3)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더욱이, 브래킷(70)은 좌우 및/또는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므로, 휴대용 기기(3)의 길이, 커넥터(310)와 측면 조작 버튼(320)의 위치에 상관 없이 다양한 모델의 휴대용 기기를 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기기의 모델을 변경한 경우 변경한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 비용과 자원 절약 측면에서 매우 탁월한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후면 커버(20)는 그 배면부에 결합부(2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결합부(250)를 통해 흡착식 거치대(미도시)와 본 발명의 홀더(1, 2)를 결합할 수 있으며, 따라서 흡착식 거치대를 차량의 대시 보드나 전면 유리창에 고정시키고, 홀더(1, 2)에 휴대용 기기(3)를 장착시키면, 운전 중에도 휴대용 기기(3)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전면 커버
20 : 후면 커버
30 : 본체
40, 50 : 탈착 제어부
60 : 스위칭부
70 : 브래킷
80 : 스크류
92 : 노브
94 : 너트
110 : 스위치 관통홀
120 : 체결돌기
210 : 수납부
220a, 220b, 220c, 220d, 220e : 체결홈
230 : 스위치 조립홈
240 : 홀
250 : 체결부
410, 510 : 암
420, 520 : 버튼
430, 530 : 암 이동축
432, 532 : 스위치 결합홈
440, 540 : 버튼 이동축
450, 550 : 탄성축
460, 560, 620 : 탄성부재
610 : 제 1 스위치
612 : 가압판
710 : 상하 이동부
712 : 이동 홀
720 : 지지부
722 : 개방부

Claims (23)

  1. 전면부에 휴대용 기기가 안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 전면부의 지정된 위치에 인입 및 돌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1 스위치;
    상기 제 1 스위치에 의해 이격 간격이 가변되어 상기 휴대용 기기를 유지하거나 해제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형성된 제 1 암 및 상기 본체의 타 측면에 형성된 제 2 암; 및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 1 암과 물리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의 타 측면에 형성되는 제 1 버튼과,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 2 암과 물리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제 2 버튼을 포함하여, 상기 제 1 암 및 제 2 암의 이격 간격을 가변시키는 제 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 1 스위치가 인입 및 돌출 가능하도록 하는 스위치 관통홀을 구비하는 전면 커버; 및
    상기 스위치 관통홀의 대응 위치에 스위치 조립홈을 구비하며, 상기 전면 커버와 체결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커버는, 중앙부에 상기 스위치 조립홈을 구비하는 상부 수납부 및 상기 상부 수납부의 하측에 인접되어 형성되는 하부 수납부를 포함하는 수납부; 및
    하단부에 브래킷을 고정 또는 이동시키기 위한 노브가 결합되는 홀;을 포함하며,
    일측이 상기 제 1 암으로부터 수직 연장되고 상기 상부 수납부의 일측에 수납되며, 상기 제 1 스위치와 결합되도록 타측 종단에 제 1 스위치 결합홈이 구비되는 제 1 암 이동축;
    상기 제 1 암 이동축의 연장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지정된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 1 암 이동축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부 수납부의 타측에 수납되는 제 1 버튼 이동축;
    상기 제 1 버튼 이동축과 상기 제 1 암 이동축이 연결되는 측과 대향하는, 상기 제 1 버튼 이동축의 일측 종단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버튼; 및
    상기 제 1 버튼 이동축의 타측 종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암 이동축 형성 방향으로 지정된 길이로 형성되고, 제 1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제 1 탄성축;을 포함하는 제 1 탈착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는 푸시 스위치로 구성되는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의 푸시 동작에 의해 상기 제 1 암 및 제 2 암이 각각 상기 본체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튼 및 상기 제 2 버튼은 각각 푸시 스위치로 구성되는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튼 및 상기 제 2 버튼을 조작함에 의해 상기 제 1 암 및 제 2 암이 상기 본체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상기 휴대용 기기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본체의 후면부에서 노브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노브의 고정 상태에 따라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노브의 고정 상태에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탈착 제어부와 선대칭 구조를 갖는 제 2 탈착 제어부 더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탈착 제어부는, 타측이 상기 제 2 암으로부터 수직 연장되고 상기 상부 수납부의 타측에 수납되며, 상기 제 1 스위치와 결합되도록 일측 종단에 제 2 스위치 결합홈이 구비되는 제 2 암 이동축;
    상기 제 2 암 이동축의 연장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지정된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 2 암 이동축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부 수납부의 일측에 수납되는 제 2 버튼 이동축;
    상기 제 2 버튼 이동축과 상기 제 2 암 이동축이 연결되는 측과 대향하는, 상기 제 2 버튼 이동축의 타측 종단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버튼; 및
    상기 제 2 버튼 이동축의 일측 종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암 이동축 형성 방향으로 지정된 길이로 형성되고, 제 2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제 2 탄성축;
    을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조립홈 내에 수납되는 제 3 탄성부재; 및
    상기 제 3 탄성부재 상에 형성되는 가압판을 구비하는 상기 제 1 스위치;
    를 포함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탄성부재가 인장되어 상기 제 1 스위치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판의 양측에 상기 제 1 암 이동축의 종단 및 상기 제 2 암 이동축의 종단이 밀착되고, 상기 제 1 탄성부재 및 상기 제 2 탄성부재가 압축 상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튼 및 제 2 버튼은 상기 본체 외측으로 돌출 상태를 갖는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에 의해 상기 제 3 탄성부재가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1 스위치 결함홈 및 상기 제 2 스위치 결합홈이 결항되고, 상기 제 1 탄성부재 및 상기 제 2 탄성부재가 인장 상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튼 및 제 2 버튼은 상기 본체 내측으로 인입 상태를 갖는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상기 홀을 통해 너트와 결합되는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노브가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21. 제 1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노브가 관통되는 이동홀을 구비하며, 상기 노브를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상하 이동부; 및
    상기 본체의 전면부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중앙에 개방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면부에 구비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KR1020110024222A 2011-03-18 2011-03-18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Active KR101252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222A KR101252095B1 (ko) 2011-03-18 2011-03-18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US13/575,091 US8627953B1 (en) 2011-03-18 2011-06-27 Holder for portable device
CN201180070935.1A CN103609030B (zh) 2011-03-18 2011-06-27 便携式设备用的支架
PCT/KR2011/004668 WO2012128424A1 (ko) 2011-03-18 2011-06-27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222A KR101252095B1 (ko) 2011-03-18 2011-03-18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237A KR20120106237A (ko) 2012-09-26
KR101252095B1 true KR101252095B1 (ko) 2013-04-12

Family

ID=46879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222A Active KR101252095B1 (ko) 2011-03-18 2011-03-18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27953B1 (ko)
KR (1) KR101252095B1 (ko)
CN (1) CN103609030B (ko)
WO (1) WO20121284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14189A1 (en) * 2004-08-17 2015-01-15 Alexx, Inc. Case assemblies and locators
US9198814B2 (en) * 2011-11-27 2015-12-01 Stryker Corporation Wheeled patient support with foot rests
KR101420766B1 (ko) * 2012-12-12 2014-07-17 송순영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CN203082495U (zh) * 2013-01-18 2013-07-24 福建联迪商用设备有限公司 移动式刷卡装置装配夹
US9062818B2 (en) * 2013-07-23 2015-06-23 Eagle Fan Clamping apparatus
KR101542196B1 (ko) 2014-02-07 2015-08-05 여영규 휴대용 기기의 크래들
KR101521797B1 (ko) * 2014-03-31 2015-05-20 주식회사 용산 전자기기 거치 가능한 글러브박스
FR3022481B1 (fr) * 2014-06-18 2016-07-22 Fazup Dispositif modulable de positionnement de deux composants l'un par rapport a l'autre
US9819211B2 (en) * 2014-06-26 2017-11-14 Nissan North America, Inc. Wireless charging assembly for a vehicle
EP3274258B1 (en) * 2015-03-24 2020-05-27 B/E Aerospace, Inc. Seat back personal electronic device holder
EP3304244B1 (en) 2015-05-27 2020-10-14 Heartware, Inc. Electronic device holder
CN205480104U (zh) * 2016-04-06 2016-08-17 深圳市道通智能航空技术有限公司 一种夹持装置及无人机云台
USD817317S1 (en) 2016-10-04 2018-05-08 Spigen Korea Co., Ltd. Car mount for electronic device
CN206226532U (zh) * 2016-11-30 2017-06-06 深圳市安耐佳电子有限公司 铰接联动的全自动旋转夹紧式支架
US10533699B2 (en) * 2016-12-15 2020-01-14 Shenzhen Annaijia Electronics Co., Ltd. Full-automatic horizontal clamping holder
CN107176108B (zh) * 2017-06-13 2018-05-29 孙博文 一种智能手机用固定装置
CN207648424U (zh) 2017-07-17 2018-07-24 手持产品公司 设备保持机构
KR200488939Y1 (ko) * 2017-09-11 2019-04-08 주식회사 엔알 스마트 장치 거치대
US10663104B2 (en) * 2017-09-25 2020-05-26 Shenzhen Annaijia Electronics Co., Ltd. Full-automatic horizontal clamping holder
USD860915S1 (en) * 2018-01-11 2019-09-24 Li Ding Tang Bike mounted holder for a mobile device
US10908270B2 (en) * 2018-01-18 2021-02-02 Fujifilm Sonosite, Inc. Portable ultrasound imaging system with active cooling
USD861541S1 (en) * 2018-01-28 2019-10-01 Shenzhen Grandshine Technology Co., Ltd. Rechargeable bicycle phone mount
KR102084679B1 (ko) * 2018-06-01 2020-03-04 조규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2113731B1 (ko) * 2018-08-20 2020-06-02 김통일 휴대용 보조배터리
US11015626B2 (en) * 2018-10-08 2021-05-25 Se-Kure Controls, Inc. Support assembly for displaying a portable article
CN209046705U (zh) * 2018-12-14 2019-06-28 深圳市安耐佳电子有限公司 电子产品用自动锁夹支架
US12269394B2 (en) 2019-10-31 2025-04-08 Safran Seats Usa Llc Adjustable device holder
USD928041S1 (en) * 2020-03-20 2021-08-17 Jones International Trading Limited Cell phone mount for a bike
USD950475S1 (en) 2020-03-30 2022-05-03 Marklyn Group, Inc. Adjustable vehicular holder for an electronic or air freshener device
US12047525B2 (en) 2020-10-20 2024-07-23 Nite Ize, Inc. Squeeze device holder
USD975705S1 (en) 2020-10-20 2023-01-17 Nite Ize, Inc. Device mount
USD989754S1 (en) * 2020-10-20 2023-06-20 Nite Ize, Inc. Mobile device mount
US11516328B2 (en) 2020-10-20 2022-11-29 Nite Iz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n adjustable, quck release, positive pressure, electronic device holder
US11675254B2 (en) * 2021-01-14 2023-06-13 Shenzhen Youzhisheng Technology Co., Ltd. Quick-assembly component and photographing apparatus
US11820296B2 (en) * 2021-07-16 2023-11-21 Havis, Inc. Push-button actuated rear latch hook mechanism
USD1009132S1 (en) * 2021-08-05 2023-12-26 Shenzhen Yuansu Chuangda Technology Co., Ltd Selfie stick stabilizer
USD991924S1 (en) * 2021-09-29 2023-07-11 Dongguan Chuang Long Electronics Limited Mobile phone stand
US12012782B2 (en) * 2022-06-15 2024-06-18 ONQ Solutions, Inc. Apparatuses with ratcheting buttons for securing electronic devices
US20240407115A1 (en) * 2023-05-31 2024-12-05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Adapter for a Handle Attachment for a Mobile Comput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817A (ko) * 2003-02-19 2004-08-26 텔레피아반도체통신 주식회사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
KR100796468B1 (ko) * 2006-11-13 2008-01-21 (주)대우루컴즈 네비게이션용 거치대
KR100870641B1 (ko) * 2006-11-01 2008-11-26 승리통신(주) 핸즈프리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9685A (en) * 1993-05-11 1994-04-05 Chin C H Tension and freely adjustable protective case for remote control unit
SE504871C2 (sv) * 1996-05-13 1997-05-20 Ohlson Kurt L Korthållararrangemang
DE19700562A1 (de) * 1997-01-10 1998-07-16 Consel Kofferloesungen Gmbh Computerkoffer
US6648139B2 (en) * 2002-03-18 2003-11-18 Herbert Fisher, Jr. Carrying case with internal sliding-member spring clip to grasp and hold divers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US7337899B2 (en) * 2003-03-25 2008-03-04 Creative Action Llc Pillbox
US7191924B2 (en) * 2004-01-28 2007-03-20 Kilmer George M Bicycle cell phone holder
KR200370879Y1 (ko) * 2004-10-05 2004-12-17 팅크웨어(주) 개인휴대단말기용 거치대 및 거치대의 힌지 구조
US7464813B2 (en) * 2005-01-28 2008-12-16 Carnevali Jeffrey D Dry box with magnification window and punch-out
KR200407607Y1 (ko) * 2005-09-30 2006-02-03 (주) 피엔텔레컴 휴대용 단말기 착용 및 거치 장치
KR100678215B1 (ko) * 2006-04-07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슬라이딩 거치 장치
US7950637B2 (en) * 2007-07-13 2011-05-31 Eagle Fan Adjustable holding apparatus
CN101362449B (zh) * 2008-07-17 2010-06-02 旭丽电子(广州)有限公司 一种车用固定装置
US20110132950A1 (en) * 2009-12-03 2011-06-09 Karen Culver Seat Belt Attachment
US9045096B2 (en) * 2010-05-14 2015-06-02 Zodiac Seats Us Llc Coupling assembly
TW201206367A (en) * 2010-08-12 2012-02-16 Fang-Yuan Cai Accommodation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4817A (ko) * 2003-02-19 2004-08-26 텔레피아반도체통신 주식회사 차량용 핸즈프리 거치대
KR100870641B1 (ko) * 2006-11-01 2008-11-26 승리통신(주) 핸즈프리 거치대
KR100796468B1 (ko) * 2006-11-13 2008-01-21 (주)대우루컴즈 네비게이션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09030B (zh) 2015-05-06
US8627953B1 (en) 2014-01-14
WO2012128424A1 (ko) 2012-09-27
KR20120106237A (ko) 2012-09-26
US20140009900A1 (en) 2014-01-09
CN103609030A (zh) 201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095B1 (ko) 휴대용 기기를 위한 홀더
KR101500380B1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US10491727B1 (en) Mobile phone holder with wirelessly activated robotic arms and charger
KR101601112B1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566660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US20100086840A1 (en) Battery latching mechanism
CN205389309U (zh) 一种移动终端固定装置及无人机遥控器
KR101426915B1 (ko)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KR20120129450A (ko) 흡착 거치대
JP2007312352A (ja) バッテリカバーロック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移動通信端末機
KR101435678B1 (ko) 배터리 충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JP2013254878A (ja) 電子機器
KR101721751B1 (ko)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
KR200488939Y1 (ko) 스마트 장치 거치대
JP5016617B2 (ja) 電子機器
KR102084679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2084680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CN115046092A (zh) 一种电子装置
KR200474320Y1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CN211280844U (zh) 一种可无线充电的汽车用储物盒
KR101447088B1 (ko) 차량용 cd투입구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CN202674730U (zh) 一种电子设备输出终端支撑装置
KR100540398B1 (ko) 휴대폰 거치대
CN222783678U (zh) 空气处理设备
KR200347601Y1 (ko) 배터리 결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12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6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12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8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301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12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08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PJ0206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Patent event code: PJ02062R01D

Patent event date: 2014082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61E01I

Patent event date: 20130402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Decision date: 20150528

Request date: 20140829

Appeal identifier: 2014100002163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40829

Effective date: 20150528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2D

Patent event date: 20150528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 date: 20140829

Decision date: 20150528

Appeal identifier: 201410000216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