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66660B1 -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6660B1
KR101566660B1 KR1020150064766A KR20150064766A KR101566660B1 KR 101566660 B1 KR101566660 B1 KR 101566660B1 KR 1020150064766 A KR1020150064766 A KR 1020150064766A KR 20150064766 A KR20150064766 A KR 20150064766A KR 101566660 B1 KR101566660 B1 KR 101566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moving
portable terminal
fixing
butt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한
Original Assignee
김세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한 filed Critical 김세한
Priority to KR1020150064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660B1/ko
Priority to CN201610297437.5A priority patent/CN106114393B/zh
Priority to US15/148,093 priority patent/US9586530B2/en
Priority to US15/420,328 priority patent/US9975497B2/en
Priority to US15/969,207 priority patent/US10118565B2/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cord carriers apparatus, e.g. video recorders, tape players or CD p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8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naviga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1Allowing quick release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8Ventil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60R2011/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가 개시된다.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는 차량 내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놓이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일 측을 지지하는 고정 패드를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놓인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타 측을 지지하는 제1위치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타 측과 소정 거리로 이격된 제2위치간에 직선이동가능한 이동패드를 갖는 이동부; 상기 이동패드의 움직임을 상기 제2위치에서 고정시키는 탄성 플레이트;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몸체부에 놓이는 과정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눌러지며, 상기 탄성 플레이트의 상기 이동패드 움직임 고정을 해제하는 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 패드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과정에서 압축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동 패드를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APPARATUS FOR HOLDING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비게이션, PMP, PDA, DMB 플레이어, 전자사전,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하면서 사용함은 물론, 차량 내부에 거치하여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소형화되고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는 기술의 발달과 함께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본래의 기능 이외에 네비게이션, 음악 및 동영상의 재생, 게임, 카메라, 일정관리, 사전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나아가서 다양한 정보검색 및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하는 기능까지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차량 내부에서 거치 장치에 거치하여 사용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26687호에는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가 개시된다. 해당 거치대는 단말기를 거치대 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승하강 홀딩부재를 눌러 단말기를 홀딩한다. 이는 단말기 거치에 운전자의 양 손을 필요로 하므로, 운전 중에는 단말기 거치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단말기를 거치하거나 빼내는 과정에 다수의 동작을 필요로 하므로 과정이 번거롭다.
본 발명은 단순 동작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는 차량 내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놓이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일 측을 지지하는 고정 패드를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놓인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타 측을 지지하는 제1위치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타 측과 소정 거리로 이격된 제2위치간에 직선이동가능한 이동패드를 갖는 이동부; 상기 이동패드의 움직임을 상기 제2위치에서 고정시키는 탄성 플레이트;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몸체부에 놓이는 과정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눌러지며, 상기 탄성 플레이트의 상기 이동패드 움직임 고정을 해제하는 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 패드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과정에서 압축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동 패드를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고정 패드가 결합하며, 상기 스프링이 위치하는 가이드 홈이 상면에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면을 덮으며, 상기 버튼이 삽입되는 버튼 홀이 형성된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 패드가 결합되는 이동 베이스; 일단이 상기 이동 베이스에 결합하며, 상기 스프링에 삽입되는 이동 샤프트; 상기 이동 샤프트의 타단에 고정 결합하며, 고정 돌기가 형성된 고정 클립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 플레이트는 상기 버튼의 하단이 놓이는 누름부와, 상기 이동 패드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돌기가 걸리는 걸림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플레이트는 상기 몸체에 밀착 고정되는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의 일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의 일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몸체와 소정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누름부와 상기 걸림부가 형성된 제3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은 상기 커버의 상부로 소정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한 쌍 제공되고, 상기 이동 패드의 이동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상기 이동 샤프트는 한 쌍 제공되어 상기 스프링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고정 클립은 하나의 상기 이동 샤프트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1결합 영역과, 다른 하나의 상기 이동 샤프트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2결합 영역; 그리고 상기 제1결합 영역과 상기 제2결합 영역을 연결하며 상기 고정 돌기가 형성된 고정 영역을 가지며, 상기 버튼은 상기 이동 샤프트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패드와 상기 제1위치 간에 사이 거리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일 방향 폭에 대응하고, 상기 고정 패드와 상기 제2위치 간의 사이 거리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일 방향 폭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는 고정 패드와의 사이 간격이 휴대용 단말기의 폭보다 큰 위치로 이동 패드가 이동되고, 상기 위치에 상기 이동 패드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덮개 위에 놓이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버튼이 눌러지고, 상기 버튼의 눌림이 상기 이동 패드의 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이동 패드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폭에 대응하는 위치로 직선 이동하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한다.
또한, 상기 사이 간격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폭보다 큰 위치로 상기 이동 패드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압축되고, 상기 이동 패드의 고정이 해제되는 과정에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동 패드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폭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은 상기 덮개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사이 간격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폭보다 큰 위치에서 고정 클립의 고정 돌기가 걸려 상기 이동 패드의 이동을 고정시키고, 상기 버튼과 함께 눌러지면서 상기 고정 돌기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탄성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플레이트는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의 일 측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영역; 상기 제2영역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제1영역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버튼의 하단이 놓이는 누름부와, 상기 사이 간격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폭보다 큰 위치로 상기 이동 패드가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돌기가 걸리는 걸림부를 갖는 제3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는 과정에서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버튼이 눌려지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 동작이 단순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 플레이트와 고정 클립의 조합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가 가능하므로,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고정 클립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탄성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가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이동 패드가 휴대용 단말기의 폭에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이동 패드가 휴대용 단말기의 폭보다 큰 지점에 위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10, 이하, '거치 장치'라고 함)는 차량 내에 장착되며,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한다. 거치 장치(10)는 차량 내에서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거치 장치(10)는 차량 송풍구에 장착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차량 탑승자가 휴대가능한 소형 단말기로, 핸드폰, 스마트폰, 테블릿 PC, 네비게이션, GPS 등을 포함한다.
거치 장치(10)는 몸체부(110), 이동부(130), 탄성 플레이트(150), 버튼(160), 그리고 집게부(17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에는 휴대용 단말기가 놓인다. 이동부(130)는 몸체부(110)에 대해 일 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휴대용 단말기가 놓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한다. 탄성 플레이트(150)는 이동부(130)의 움직임을 고정한다. 버튼(160)은 탄성 플레이트(150)를 눌러 이동부(130)의 움직임 고정을 해제한다. 그리고 집게부(170)는 몸체부(110)를 차량 송풍구에 고정시킨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몸체부(110)는 몸체(111), 고정 패드(121), 그리고 커버(125)를 포함한다.
몸체(111)는 휴대용 단말기가 놓이는 주요 영역으로 제공된다. 몸체(111)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몸체(111)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가이드 홈(112)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112)은 이동부(130)의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가이드 홈(112)은 한 쌍이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112)에는 스프링(141)이 놓인다. 몸체(111)의 일 단(111a)은 꺾이어 상부로 돌출된다.
몸체(111)의 일 단에는 고정 패드(121)가 고정 결합한다. 고정 패드(121)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단을 지지한다. 고정 패드(121)는 탄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고정 패드(121)는 고무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고정 패드(121)는 부딪힘으로 인한 휴대용 단말기의 손상을 예방한다.
커버(125)는 몸체(111)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다. 커버(125)는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며, 양단에는 체결 돌기(126, 127)가 커버(125)의 아래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체결 돌기(126, 127)는 몸체(111)와의 조립 시, 몸체(111)에 형성된 체결 홈(113)에 체결된다. 커버(125)에는 버튼 홀(128)이 형성된다. 버튼 홀(128)은 이동 패드(133)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125)의 일 측에는 도 4와 같이 충격감소패드(124)가 제공된다. 충격감소패드(124)는 이동부(130)의 직선이동과정에서 이동 패드(133)와의 충격을 완화한다.
이동부(130)는 이동 베이스(131), 이동 패드(133), 이동 샤프트(135), 스프링(141), 고정 클립(145)을 포함한다.
이동 베이스(131)는 고정 패드(133)로부터 멀리 떨어진 몸체(111)의 타 측에 위치한다. 이동 베이스(131)는 일 단(131a)이 상부로 돌출된다. 이동 베이스(131)의 일 단(131a)은 몸체(111)의 일 단(111a)과 서로 마주한다.
이동 패드(133)는 이동 베이스(131)에 고정 결합한다. 이동 패드(133)는 고정 패드(121)와 조합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한다. 이동 패드(133)는 고정 패드(121)와 동일한 형상 및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이동 패드(133)는 부딪힘으로 인한 휴대용 단말기의 손상을 예방한다.
이동 샤프트(135)는 막대 형상을 가지며, 이동 패드(133)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이동 샤프트(135)는 일단이 이동 베이스(131)에 고정 결합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샤프트(135)는 한 쌍 제공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스프링(141)은 가이드 홈(112) 내에 놓이며, 이동 샤프트(135)에 삽입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스프링(141)은 한 쌍 제공되며, 이동 샤프트(135)들에 각각 삽입된다.
도 5는 고정 클립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고정 클립(145)은 이동 샤프트(135)의 타단에 고정되며, 스프링(141)이 이동 샤프트(135)에서 빠지는 것을 차단한다. 고정 클립(145)에는 고정 돌기(146)가 형성된다. 고정 돌기(146)는 탄성 플레이트(150)의 걸림부(157)에 걸릴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동부(130)의 이동이 고정된다. 고정 클립(145)는 제1결합 영역(145a), 제2결합 영역(145b), 그리고 고정 영역(146c)을 가진다. 제1결합 영역(145a)과 제2결합 영역(145b)은 각각 이동 샤프트(135)의 타단과 결합하는 영역이다. 고정 영역(145c)은 제1결합 영역(145a)과 제2결합 영역(145b)을 연결하는 영역으로, 고정 돌기(146)가 형성된다.
탄성 플레이트(150)는 몸체(111)와 커버(125) 사이에서 몸체(111) 내에 위치한다. 탄성 플레이트(150)는 두께가 얇은 탄성 판으로 제공된다. 탄성 플레이트(15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탄성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탄성 플레이트(150)는 제1영역(151), 제2영역(152), 그리고 제3영역(153)을 가진다. 제1영역(151)은 몸체(111)에 밀착 고정되는 영역으로 일 방향으로 길게 제공된다. 제2영역(152)은 제1영역(151)의 일 측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제3영역(153)은 제2영역(152)의 일 측으로부터 제1영역(151)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3영역(153)은 몸체(111)로부터 소정 거리에 이격하여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에 의해서, 탄성 플레이트(150)는 제3영역(153)이 제1영역(151)에 대해 회동가능하다.
탄성 플레이트(150)에는 눌림부(155)와 걸림부(157), 그리고 삽입공(158)이 형성된다. 실시예에 의하면, 눌림부(155), 걸림부(157) 그리고 삽입공(158)은 제3영역(153)에 형성된다. 눌림부(155)는 버튼(160)의 하단이 놓이는 영역으로, 버튼(160)의 눌림과 함께 아래로 눌려진다. 걸림부(157)는 소정 폭으로 형성된 홀로, 고정 클립(145)의 고정 돌기(146)가 삽입된다. 삽입공(158)은 덮개(125)의 저면에 형성된 체결구(129)가 삽입된다.
버튼(160)은 버튼 홀(128)에 삽입되며, 하단이 탄성 플레이트(150)의 눌림부(155)에 놓이고 상단이 덮개(125)의 상부로 돌출된다. 버튼(160)은 휴대용 단말기가 커버(125)에 놓이는 과정에서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눌러진다.
집게부(170)는 몸체(111)의 하부에서 몸체(111)와 결합한다. 집게부(170)는 집게 클립(171), 홀더(175), 집게 다리(177)를 포함한다.
집게 클립(171)은 탄성 재질로 제공된다. 집게 클립(171)은 금속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집게 클립(171)은 복수의 다리(172)를 갖는다. 실시예에 의하면, 집게 클립(171)은 4개의 다리를 가질 수 있다. 집게 클립(171)의 다리들은 각각 홀더(175)에 삽입되고, 그 끝단이 홀더(175) 아래도 돌출된다.
홀더(175)는 집게 클립(171)의 다리(172)들 사이를 소정 간격으로 유지시킨다.
집게 다리(177)는 집게 클립(171)의 다리(172)들에 각각 삽입된다. 집게 다리(177)는 집게 클립(171)과 상이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집게 다리(177)는 고무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집게 다리(177)는 부딪힘으로 인한 차량 내부의 손상을 예방한다. 집게 다리(177)들은 차량 송풍구에 끼워지며, 거치 장치(10)를 차량에 고정시킨다.
상술한 거치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가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이동 패드가 휴대용 단말기의 폭에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이동 패드가 휴대용 단말기의 폭보다 큰 지점에 위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이동 패드(133)는 제1위치(P1)와 제2위치(P2) 사이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제1위치(P1)는 이동 패드(133)와 고정 패드(121)와의 사이 간격이 휴대용 단말기(M)의 일 방향 폭에 대응하는 위치이다. 이동 패드(133)는 제1위치(P1)에서 고정 패드(121)와 조합하여 휴대용 단말기(M)를 거치한다. 제2위치(P2)는 이동 패드(133)와 고정 패드(121)와의 사이 간격이 휴대용 단말기(M)의 일 방향 폭보다 큰 위치이다. 사용자는 이동부(130)를 이동시켜 이동 패드(133)를 제2위치(P2)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M)를 몸체부(110)에 올려 놓는다. 제2위치(P2)에서 이동 패드(133)와 고정 패드(121)의 사이 간격이 휴대용 단말기(M)의 폭보다 크므로, 사용자는 이동 패드(133)와 고정 패드(121)와의 간섭 없이 휴대용 단말기(M)를 몸체부(110)에 올려놓을 수 있다.
도 9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이동부(130)를 잡고 이동 패드(133)를 제2위치(P2)로 이동시킬 경우, 이동 샤프트(135)는 이동 베이스(131)에 딸려 몸체부(110) 외부로 이동하고, 일부가 몸체부(110) 내부에 위치한다. 이 과정에서 고정 클립(145)도 이동 샤프트(135)에 딸려 이동되고, 스프링(141)이 압축된다. 고정 클립(145)은 걸림부(157)의 위치까지 이동가능하며, 걸림 돌기(146)가 걸림부(157)에 걸려 이동부(130)의 이동이 제한된다. 사용자가 이동부(130)에서 손을 놓더라도, 걸림 돌기(146)가 걸림부(157)에 걸리므로 이동부(130)는 제1위치(P1)로 돌아가지 않으며, 스프링(141)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가 이동부(130)를 제2위치(P2)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M)를 몸체부(110)에 올려 놓는다. 휴대용 단말기(M)가 커버(125)의 상면에 놓이는 과정에서 버튼(160)은 휴대용 단말기(M)에 의해 눌러지며, 버튼(160)은 하단에 놓인 탄성 플레이트(150)의 눌림부(155)를 누른다. 탄성 플레이트(150)의 눌림부(155)가 아래로 눌러짐으로 인해, 걸림부(157)가 아래로 이동하여 걸림 돌기(146)의 걸림이 해제된다. 걸림 돌기(146)의 걸림 해제로, 스프링(141)의 탄성력이 고정 클립(145)에 전달된다. 스프링(141)의 탄성력은 고정 클립(145)을 고정 패드(121) 측으로 이동시키며, 이 과정에서 이동 샤프트(135), 이동 베이스(131), 이동 패드(133)도 함께 딸려 이동한다. 도 8과 같이, 이동 패드(133)는 제1위치(P2)로 이동하여 휴대용 단말기(M)의 일 측부를 고정한다.
상술한 과정으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M)를 거치 장치(1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운전자는 차량의 정차 또는 운행 중에 휴대용 단말기(M)를 거치하는 데, 본 발명의 거치 장치(10)를 이용할 경우, 한 손만을 사용하여 휴대용 단말기(M)를 거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한 손으로 이동부(130)를 잡고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이동 과정에서 걸림 돌기(146)가 걸림부(157)에 걸려 이동부(130)가 제2위치(P2)에서 자동 고정된다. 이처럼 이동부(130)를 고정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별도 동작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한 손으로도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M)를 덮개(1125) 위에 올려 놓는 것만으로, 휴대용 단말기(M)에 의해 버튼(160)이 눌러져 이동부(130)가 제1위치(P1)로 이동 될 수 있다. 이동부(130)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작, 예컨대 사용자가 손으로 해제 버튼을 누르는 등의 동작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한 손으로도 충분히 휴대용 단말기(M)를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130)는 이동 과정에서 휴대용 단말기(M)를 거치하므로, 휴대용 단말기(M)가 거치되는 제1위치(P1)는 휴대용 단말기(M)의 사이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거치 장치(10)는 다양한 사이즈의 휴대용 단말기(M)를 거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110: 몸체부
111: 몸체
121: 고정 패드
125: 커버
130: 이동부
131: 이동 베이스
133: 이동 패드
135: 이동 샤프트
141: 스프링
145: 고정 클립
150: 탄성 플레이트
160: 버튼
170: 집게부
171: 집게 클립
175: 홀더
177: 집게 다리

Claims (10)

  1. 차량 내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놓이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일 측을 지지하는 고정 패드를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놓인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타 측을 지지하는 제1위치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타 측과 소정 거리로 이격된 제2위치간에 직선이동가능한 이동패드를 갖는 이동부;
    상기 이동패드의 움직임을 상기 제2위치에서 고정시키는 탄성 플레이트;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몸체부에 놓이는 과정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눌러지며, 상기 탄성 플레이트의 상기 이동패드 움직임 고정을 해제하는 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 패드가 결합되는 이동 베이스;
    상기 이동 패드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과정에서 압축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동 패드를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프링;
    일단이 상기 이동 베이스에 결합하며, 상기 스프링에 삽입되는 이동 샤프트; 및
    상기 이동 샤프트의 타단에 고정 결합하며, 고정 돌기가 형성된 고정 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플레이트는 상기 버튼의 하부에 위치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에 인접 위치하며 상기 이동 패드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돌기가 걸리는 홀 형상의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 클립은 상기 이동 샤프트의 이동을 따라 상기 고정 패드와 상기 버튼 사이 구간에서 이동하며,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간의 사이 거리는 상기 고정 클립의 이동 범위에 대응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고정 패드가 결합하며, 상기 스프링이 위치하는 가이드 홈이 길이방향으로 상면에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면을 덮으며, 상기 버튼이 삽입되는 버튼 홀이 형성된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플레이트는
    상기 몸체에 밀착 고정되는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의 일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의 일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몸체와 소정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누름부와 상기 걸림부를 갖는 제3영역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고정패드보다 상기 제1위치에 인접 위치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고정 패드와 상기 버튼의 사이 영역에서 상기 버튼에 인접위치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한 쌍 제공되고, 상기 이동 패드의 이동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상기 이동 샤프트는 한 쌍 제공되어 상기 스프링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고정 클립은 하나의 상기 이동 샤프트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1결합 영역과, 다른 하나의 상기 이동 샤프트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2결합 영역; 그리고 상기 제1결합 영역과 상기 제2결합 영역을 연결하며 상기 고정 돌기가 형성된 고정 영역을 가지며,
    상기 버튼은 상기 이동 샤프트들 사이에 위치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패드와 상기 제1위치 간에 사이 거리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일 방향 폭에 대응하고, 상기 고정 패드와 상기 제2위치 간의 사이 거리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일 방향 폭보다 큰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7. 몸체에 고정된 고정 패드와의 사이 간격이 휴대용 단말기의 폭보다 큰 위치로 이동 패드가 이동되고, 상기 위치에 상기 이동 패드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커버 위에 놓이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버튼이 눌러지고, 상기 버튼의 눌림이 상기 이동 패드의 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이동 패드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폭에 대응하는 위치로 직선 이동하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하되,
    상기 버튼은 상기 커버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사이 간격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폭보다 큰 위치로 상기 이동 패드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압축되고, 상기 이동 패드의 고정이 해제되는 과정에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이동 패드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폭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에 삽입되고, 일단에 상기 이동 패드가 제공되고, 타단에 고정 클립이 제공되는 이동 샤프트; 및
    상기 사이 간격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폭보다 큰 위치에서 상기 고정 클립의 고정 돌기가 걸려 상기 이동 패드의 이동을 고정시키고, 상기 버튼과 함께 눌러지면서 상기 고정 돌기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판 형상의 탄성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탄성 플레이트는
    상기 몸체에 밀착 고정되는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커버에 점차 근접하도록 상향 경사지는 제2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의 일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몸체와 소정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버튼의 하부에 위치하는 누름부와, 상기 제2영역과 상기 누름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 패드가 상기 사이 간격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폭보다 큰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돌기가 걸리는 홀 형상의 걸림부를 갖는 제3영역을 가지며,
    상기 고정 클립은 상기 이동 샤프트의 이동을 따라 상기 고정 패드와 상기 버튼 사이 구간을 이동하며,
    상기 이동 패드의 이동 범위는 상기 고정 클립의 이동 범위에 대응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64766A 2015-05-08 2015-05-08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Active KR101566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766A KR101566660B1 (ko) 2015-05-08 2015-05-08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CN201610297437.5A CN106114393B (zh) 2015-05-08 2016-05-06 便携式终端设备搁置装置
US15/148,093 US9586530B2 (en) 2015-05-08 2016-05-06 Holder for holding portable device
US15/420,328 US9975497B2 (en) 2015-05-08 2017-01-31 Holder for holding portable device
US15/969,207 US10118565B2 (en) 2015-05-08 2018-05-02 Apparatus for holding port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766A KR101566660B1 (ko) 2015-05-08 2015-05-08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6660B1 true KR101566660B1 (ko) 2015-11-05

Family

ID=54600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766A Active KR101566660B1 (ko) 2015-05-08 2015-05-08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86530B2 (ko)
KR (1) KR101566660B1 (ko)
CN (1) CN106114393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2216A1 (zh) * 2016-05-25 2017-11-30 深圳市和臻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支架
CN107584319A (zh) * 2016-07-08 2018-01-16 发那科株式会社 工件搬运托盘及在工件搬运托盘上夹紧及松开工件的方法
KR20180024163A (ko) * 2016-08-29 2018-03-08 김세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KR101933613B1 (ko) * 2017-10-16 2019-04-10 주식회사 볼텀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US11225203B2 (en) 2015-12-30 2022-01-18 Bang Won SONG Holder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31661S1 (en) 2017-06-09 2018-10-23 Kenu, Inc. Dashboard vent mount for an electronic device
USD831660S1 (en) 2017-06-09 2018-10-23 Kenu, Inc. Dashboard vent mount for an electronic device
US9080714B2 (en) 2012-11-20 2015-07-14 Kenu, Inc. Adjustable portable device holder
US9821724B2 (en) * 2015-02-10 2017-11-21 Ping Zhang Mounting apparatu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565839B1 (ko) * 2015-04-03 2015-11-05 톤 레이아웃 엘엘씨 Cd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USD789920S1 (en) * 2016-02-01 2017-06-20 Ping Zhang Vent mount
CN205389309U (zh) * 2016-03-07 2016-07-20 深圳市道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固定装置及无人机遥控器
US10172246B2 (en) * 2016-11-10 2019-01-01 Padcaster Llc Universal mount for a mobile hand-holdable electronic device
USD820247S1 (en) * 2016-11-18 2018-06-12 Spigen Korea Co., Ltd. Magnetic mount for an electronic device
USD820823S1 (en) * 2016-11-18 2018-06-19 Spigen Korea Co., Ltd. Magnetic mount for electronic device
USD816076S1 (en) * 2016-11-18 2018-04-24 Spigen Korea Co., Ltd. Magnetic mount for electronic device
USD820248S1 (en) * 2016-11-18 2018-06-12 Spigen Korea Co., Ltd. Magnetic mount for an electronic device
CN106828337B (zh) * 2017-02-10 2019-09-10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车载支架
EP3593027B1 (en) * 2017-03-09 2022-04-20 Ergotron, Inc. Flexible retention system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D831666S1 (en) 2017-09-11 2018-10-23 Kenu, Inc. Portable device holder
USD831665S1 (en) 2017-09-11 2018-10-23 Kenu, Inc. Portable device holder
USD868054S1 (en) * 2017-11-09 2019-11-26 Soo Jong Kim Holder for smart phone or the like
USD849012S1 (en) 2017-11-10 2019-05-21 Kenu, Inc. Dashboard vent mount for an electronic device
USD848443S1 (en) 2017-11-10 2019-05-14 Kenu, Inc. Portable device holder
TWI749101B (zh) * 2017-11-14 2021-12-11 佳能企業股份有限公司 夾具
CN109803040B (zh) * 2017-11-17 2021-03-26 佳能企业股份有限公司 夹具
USD843307S1 (en) 2017-12-20 2019-03-19 Spigen Korea Co., Ltd. Car mount for electronic devices
USD843308S1 (en) 2017-12-20 2019-03-19 Spigen Korea Co., Ltd. Car mount for electronic devices
USD858509S1 (en) 2018-02-26 2019-09-03 Kenu, Inc. Dashboard vent mount for an electronic device
USD859395S1 (en) 2018-02-26 2019-09-10 Kenu, Inc. Portable device holder
CN208264134U (zh) * 2018-05-14 2018-12-21 深圳市蓝禾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支架
US11369197B2 (en) * 2018-07-26 2022-06-28 Matthew John Vallo Cantilevered and extendable support systems for supporting storage compartments
CN108819838A (zh) * 2018-08-24 2018-11-16 商洛市虎之翼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应急后备箱照明装置
CN209046705U (zh) * 2018-12-14 2019-06-28 深圳市安耐佳电子有限公司 电子产品用自动锁夹支架
US10598199B1 (en) * 2019-01-22 2020-03-24 Eagle Fan Clamping apparatus
JP7024124B2 (ja) * 2019-01-31 2022-02-22 広東高普達集団股▲ふん▼有限公司 クランプホルダ
USD860190S1 (en) * 2019-01-31 2019-09-17 Gopod Group Ltd. Car mount bracket
USD893471S1 (en) * 2019-04-01 2020-08-18 Guangdong Gopod Group Holding Co., Ltd. Car phone mount holder
CN110509863A (zh) * 2019-10-15 2019-11-29 深圳市车安达机电有限公司 一种电动手机支架
USD998604S1 (en) * 2020-06-01 2023-09-12 Chien-Ting Lin Mobile phone clamp
AU2020394625B1 (en) * 2020-06-27 2021-12-23 Lorenzo Maggiore Cell phone mount for bug killing guns
USD989063S1 (en) * 2020-11-12 2023-06-13 Entreprises Nolk Inc. Magnetic phone mount
USD966254S1 (en) * 2020-12-02 2022-10-11 Ugreen Group Limited Vehicle mount for electronic device
CN115264248A (zh) * 2021-04-30 2022-11-01 深圳拉米酷科技有限公司 用于夹持平板式目标对象的装置
CN215421060U (zh) * 2021-05-18 2022-01-04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车用支架
USD1040150S1 (en) * 2021-07-06 2024-08-27 Jinlong Zhou Holder
USD1009133S1 (en) * 2021-08-05 2023-12-26 Shenzhen Yuansu Chuangda Technology Co., Ltd Selfie stick stabilizer
CN114151696B (zh) * 2021-11-29 2023-08-15 挪度医疗器械(苏州)有限公司 一种设备挂墙式支架
US12163618B2 (en) * 2022-02-22 2024-12-10 Chien-Ting Lin Tablet holder
US12012782B2 (en) * 2022-06-15 2024-06-18 ONQ Solutions, Inc. Apparatuses with ratcheting buttons for securing electronic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0962B1 (en) * 1995-08-29 2001-11-20 Kenneth D. Eisenbraun Electrically operated object cradle
DE29618476U1 (de) * 1996-10-23 1996-12-19 Tsay, Wen-Feng, Taipeh/T'ai-pei Klemmvorrichtung für Mobiltelefone
US5836563A (en) * 1997-09-12 1998-11-17 Hsin-Yung; Tao Mobile phone holder
US6360083B1 (en) * 1999-06-25 2002-03-19 Eagle Fan Clamping/holding device
US6366672B1 (en) * 1999-11-10 2002-04-02 Wen-Feng Tsay Mobile phone holder
US20040179678A1 (en) * 2003-03-14 2004-09-16 Hsiu-Chu Hsu Li Cradle for supporting various portable phones
US7272984B2 (en) * 2004-04-27 2007-09-25 Eagle Fan Electronic appliance holding device
US20060061993A1 (en) * 2004-09-23 2006-03-23 Eagle Fan Dual-purpose clamping socket
US7418097B2 (en) * 2004-12-15 2008-08-26 Ta Shuo Cha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clamp
US20060278788A1 (en) * 2005-05-27 2006-12-14 Eagle Fan Fixing seat
US20070262223A1 (en) * 2006-05-15 2007-11-15 Leland Wang Clamping device
GB2440339A (en) * 2006-07-21 2008-01-30 Artform Internat Ltd Means for securing an electrical device
KR101346017B1 (ko) * 2011-02-08 2013-12-31 주식회사 남성 차량의 미디어 기기용 거치대
US20120267406A1 (en) * 2011-04-25 2012-10-25 Eagle Fan Suction disc support set with auxiliary tool for emergency escape
US20120267061A1 (en) * 2011-04-25 2012-10-25 Eagle Fan Shading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Holder
KR101308506B1 (ko) * 2012-02-15 2013-09-17 여영규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위한 홀더
GB201205807D0 (en) * 2012-03-30 2012-05-16 Tomtom Int Bv Mobile device docking station
CN202669667U (zh) * 2012-04-16 2013-01-16 沈旭茂 一种车用手机导航架
KR101326687B1 (ko) 2012-11-06 2013-11-20 주식회사 신성엠테크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USD690707S1 (en) 2012-11-20 2013-10-01 Kenu, LLC Dashboard vent mount for an electronic device
US9080714B2 (en) 2012-11-20 2015-07-14 Kenu, Inc. Adjustable portable device holder
KR20140005297U (ko) * 2013-04-02 2014-10-13 송해성 휴대폰 홀더
DE102013111478A1 (de) * 2013-10-17 2015-04-23 Andreas Filosi Halterung für ein mobiles Telekommunikationsendgerät
CN204161242U (zh) * 2014-11-03 2015-02-18 陈工 车载平板电子设备支架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5203B2 (en) 2015-12-30 2022-01-18 Bang Won SONG Holder for vehicle
WO2017202216A1 (zh) * 2016-05-25 2017-11-30 深圳市和臻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支架
CN107584319A (zh) * 2016-07-08 2018-01-16 发那科株式会社 工件搬运托盘及在工件搬运托盘上夹紧及松开工件的方法
US10730154B2 (en) 2016-07-08 2020-08-04 Fanuc Corporation Workpiece conveyance pallet and production line
KR20180024163A (ko) * 2016-08-29 2018-03-08 김세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KR101934023B1 (ko) 2016-08-29 2019-01-16 김세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KR101933613B1 (ko) * 2017-10-16 2019-04-10 주식회사 볼텀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86530B2 (en) 2017-03-07
US20160325693A1 (en) 2016-11-10
CN106114393A (zh) 2016-11-16
CN106114393B (zh) 201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6660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US9975497B2 (en) Holder for holding portable device
US9651069B2 (en) Mounting system for portable device
US8048552B1 (en) Battery module mount
US7583514B2 (en) SIM card holder
US20130314854A1 (en) Surface contact card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CN204333451U (zh) 智能卡卡托固定装置及电子设备
US8068335B2 (en) Fixing device
KR101721751B1 (ko) 단말기 거치대, 단말기 케이스 및 단말기 조립체
US9201473B2 (en) Push button assembly, chassis, and operating method of chassis
US20100084310A1 (en) Chip card holder
KR101650766B1 (ko) 마운팅 부재
KR20190000709U (ko) 스마트 장치 거치대
US7376230B2 (en) Mobile phone and battery-release device
US20090269944A1 (en) Chip card holder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20060019530A1 (en)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101934023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 장치
US8077451B2 (en) Surface contact card retention assembly
KR102356557B1 (ko)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
KR200474320Y1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KR101756172B1 (ko) 마운팅 부재
US20100053916A1 (en) Card holding mechanism
KR0117617Y1 (ko) 휴대폰의 차량용 거치대
US20100014260A1 (en) Electronic device with chip card
TWI345439B (en) Chip card lock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0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