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51851B1 - Isg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Isg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851B1
KR101251851B1 KR20110126694A KR20110126694A KR101251851B1 KR 101251851 B1 KR101251851 B1 KR 101251851B1 KR 20110126694 A KR20110126694 A KR 20110126694A KR 20110126694 A KR20110126694 A KR 20110126694A KR 101251851 B1 KR101251851 B1 KR 101251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le stop
isg
condition
satisfied
vehic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10126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용
정민영
김세준
이준용
김대광
안치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10126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851B1/ko
Priority to JP2012085171A priority patent/JP5993181B2/ja
Priority to US13/477,617 priority patent/US9133777B2/en
Priority to AU2012203033A priority patent/AU2012203033B2/en
Priority to CN201210186748.6A priority patent/CN103133155B/zh
Priority to DE102012104995.5A priority patent/DE102012104995B4/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85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7/00Controlling engines by cutting out individual cylinders; Rendering engines inoperative or idling
    • F02D17/04Controlling engines by cutting out individual cylinders; Rendering engines inoperative or idling rendering engines inoperative or idling, e.g. caused by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2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ehicles;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5/00Electrical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D41/00 - F02D4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14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omprising means for controlling automatic idle-start-stop
    • F02N11/0818Conditions for starting or stopping the engine or for deactivating the idle-start-stop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200/00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 F02N2200/02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N2200/022Engin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200/00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 F02N2200/08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or its components
    • F02N2200/0801Vehicl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200/00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 F02N2200/10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driver demands or status
    • F02N2200/102Brake pedal 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SG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사전에 정해진 아이들스톱조건을 만족하는 지 판단하여 상기 아이들스톱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아이들스톱(Idle Stop)을 수행하고, 상기 아이들스톱의 수행 후 상기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사전에 정해진 엔진의 재시동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엔진의 재시동을 수행하는 ISG(Idle Stop & Go) 작동로직과, 아이들스톱조건 미만족 판정횟수를 누적하고, 상기 아이들스톱의 수행횟수를 누적하며, 상기 아이들스톱의 수행시간이 사전에 정해진 아이들스톱유지시간 보다 작다고 판정된 경우의 아이들스톱유지시간 미도달 판정횟수를 누적하고, 상기 누적된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사전에 정해진 ISG(Idle Stop & Go) 비활성화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ISG 비활성화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ISG 작동로직을 비활성화하는 ISG 비활성화판단로직을 구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은 ISG 작동을 방지하고 아이들스톱 후 곧 바로 재시동이 수행되는 경우 발생하는 출발 헤지테이션(hesitation) 문제를 줄임으로써 운전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고 연비의 절감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ISG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Idle Stop & Go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ISG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ISG 로직의 개선을 통해 운전의 편의성과 연비의 절감을 수행할 수 있는 ISG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ISG(Idle Stop & Go) 시스템은 차량의 정지로 인하여 엔진의 아이들 상태가 설정된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엔진 시동을 오프시키고(Idle Stop), 이후 운전자의 의지 및 차량 자체 조건에 의해 재출발이 요구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엔진 시동을 온 시키는(Go) 엔진 제어시스템이다.
즉 이와 같이 종래 ISG 시스템은 ISG 작동 조건이 만족된 상태에서 주행 후 정차를 하면 사전에 정해진 정차 지연시간 후 엔진의 시동이 오프되며, 이러한 ISG 관련 조건은 주행 패턴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러나, 종래 ISG 시스템은 운전자가 엔진 시동의 오프(idle stop) 없이 주행 중 잠시 정차 하고자 하는 경우, 예를 들면 주차장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또는 북미지역에서 정지신호(Stop Sign)에 의해 정차하는 경우 등에도, 정차 시간이 ISG 로직의 정차 지연시간 조건을 만족하기만 하면 엔진 시동이 오프(idle Stop) 되어 운전의 편의성이 손상되는 문제를 가진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ISG 시스템은 엔진 정지 후 곧 바로 재시동되는 경우 스타터 구동에 의한 출발 헤지테이션(hesitation)이 발생되는 문제를 가지고, 불필요한 엔진 시동의 오프(idle stop)에 의해 재시동을 위한 연료소모량이 증가하는 문제를 가진다.
KR 10-2009-0108422 A 2009. 10. 15, 도면 1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은 ISG 작동을 방지하고 idle stop 후 곧 바로 재시동이 수행되는 경우 발생하는 출발 헤지테이션(hesitation) 문제를 줄일 수 있는 ISG 로직을 개발함으로써 운전의 편의성과 연비의 절감을 구현할 수 있는 ISG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은 ISG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ISG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차량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차량정보 입력부; 및 상기 입력된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사전에 정해진 아이들스톱조건을 만족하는 지 판단하여 상기 아이들스톱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아이들스톱(Idle Stop)을 수행하고, 상기 아이들스톱의 수행 후 상기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사전에 정해진 엔진의 재시동조건을 만족하는 지 판단하여 상기 엔진의 재시동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엔진의 재시동을 수행하는 ISG(Idle Stop & Go) 작동로직을 구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들스톱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의 아이들스톱조건 미만족 판정횟수를 누적하고, 상기 아이들스톱의 수행횟수를 누적하며, 상기 아이들스톱의 수행시간이 사전에 정해진 아이들스톱유지시간 보다 작다고 판정된 경우의 아이들스톱유지시간 미도달 판정횟수를 누적하고, 상기 누적된 작동조건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사전에 정해진 ISG(Idle Stop & Go) 비활성화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ISG 비활성화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ISG 작동로직을 비활성화하는 ISG 비활성화판단로직을 더 구비한다.
상기 ISG 비활성화판단로직에서, 상기 누적된 아이들스톱조건 미만족 판정횟수가 'a'로, 상기 누적된 아이들스톱의 수행횟수가 'b'로, 상기 아이들스톱유지시간 미도달 판정횟수가 'c'로 표현된 경우, 상기 ISG 비활성화조건의 만족 여부는 논리식 "[b > E] and [((a + c) ÷ (a + b)) > F], E는 일정횟수, F는 일정비율"의 연산 결과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ISG 비활성화판단로직은, 상기 논리식의 연산결과가 'True'이고, 상기 차량정보 중 주행거리의 값이 사전에 정해진 임계주행거리의 값보다 크고, 상기 차량정보 중 주행시간의 값이 사전에 정해진 임계주행시간의 값보다 큰 경우, 상기 비활성화된 ISG 작동로직을 다시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이들스톱조건은, 상기 차량정보 중 차속이 '0'이고 상기 차량정보 중 브레이크 신호가 'ON'인 정차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정차조건의 유지시간이 사전에 정해진 정차유지시간에 도달하고 상기 차량정보 중 기어단이 중립(N) 또는 주행(D) 상태를 유지하는 조건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특징은 ISG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ISG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ISG 시스템의 ISG(Idle Stop & Go) 기능이 활성화 된 경우, 외부로부터 입력된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사전에 정해진 아이들스톱조건을 만족하는 지 판정하고, 상기 아이들스톱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의 아이들스톱조건 미만족 판정횟수를 누적하는 단계; 상기 아이들스톱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아이들스톱(Idle Stop)을 수행하고, 상기 아이들스톱의 수행횟수를 누적하는 단계; 상기 아이들스톱의 수행 후 상기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사전에 정해진 엔진의 재시동조건을 만족하는 지 판정하고, 상기 아이들스톱의 수행시간이 사전에 정해진 아이들스톱유지시간 보다 작다고 판정된 경우의 아이들스톱유지시간 미도달 판정횟수를 누적하는 단계; 상기 엔진의 재시동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엔진의 재시동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누적된 아이들스톱조건 미만족 판정횟수, 상기 누적된 아이들스톱의 수행횟수 및 상기 누적된 아이들스톱유지시간 미도달 판정횟수를 이용하여 사전에 정해진 ISG(Idle Stop & Go) 비활성화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ISG 비활성화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ISG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ISG 비활성화조건의 만족 여부는, 상기 누적된 아이들스톱조건 미만족 판정횟수가 'a'로, 상기 누적된 아이들스톱의 수행횟수가 'b'로, 상기 아이들스톱유지시간 미도달 판정횟수가 'c'로 표현된 경우, 논리식 "[b > E] and [((a + c) ÷ (a + b)) > F], E는 일정횟수, F는 일정비율"의 연산 결과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논리식의 연산결과가 'True'이고, 상기 차량정보 중 주행거리의 값이 사전에 정해진 임계주행거리의 값보다 크고, 상기 차량정보 중 주행시간의 값이 사전에 정해진 임계주행시간의 값보다 큰 경우, 상기 비활성화된 ISG 기능을 다시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아이들스톱조건은, 상기 차량정보 중 차속이 '0'이고 상기 차량정보 중 브레이크 신호가 'ON'인 정차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정차조건의 유지시간이 사전에 정해진 정차유지시간에 도달하고 상기 차량정보 중 기어단이 중립(N) 또는 주행(D) 상태를 유지하는 조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SG(Idle Stop & Go) 시스템은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은 ISG 작동을 방지하고 아이들스톱 후 곧 바로 재시동이 수행되는 경우 발생하는 출발 헤지테이션(hesitation) 문제를 줄임으로써 운전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고 연비의 절감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ISG 시스템에 따른 파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SG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SG 시스템의 제어절차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SG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SG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ISG 시스템(100)은 외부로부터 차량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차량정보 입력부(110)와 차량의 ISG(Idle Stop & Go)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20) 및 엔진(130)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차량정보 입력부(110)는 차량에 장착된 다양한 전기장치로부터 차량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아 제어부(120)로 전달한다.
제어부(120)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요지를 중심으로 ISG 작동로직(122)과 ISG 비활성화판단로직(124)으로 구별할 수 있다. ISG 비활성화판단로직(124)은 차량의 상태에 따라 ISG 작동로직(122)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SG 작동로직(122)은 입력된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사전에 정해진 아이들스톱조건을 만족하는 지 판단하여 아이들스톱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엔진의 시동을 오프(OFF) 하여 아이들스톱(Idle Stop)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들스톱조건은, 차량정보 중 차속이 '0'이고 차량정보 중 브레이크 신호가 'ON'인 정차조건을 만족하고, 이러한 정차조건의 유지시간이 사전에 정해진 정차유지시간에 도달하고 차량정보 중 기어단이 중립(N) 또는 주행(D)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ISG 작동로직(122)은 아이들스톱의 수행 후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사전에 정해진 엔진(130)의 재시동조건을 만족하는 지 판단하여 엔진의 재시동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엔진의 시동을 온(ON) 하여 엔진의 재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엔진의 재시동조건은 엔진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차량정보를 통해 가속페달의 작동, 브레이크 페달의 해제, 클러치 페달의 작동 등과 같은 운전자의 출발 요구가 입력된 경우에 만족될 수 있다.
ISG 비활성화판단로직(124)은 위의 ISG 작동로직(122)의 비활성화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로직이다.
ISG 비활성화판단로직(124)은 먼저 위의 ISG 작동로직(122)에서 아이들스톱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의 아이들스톱조건 미만족 판정횟수(a)를 누적하고, 아이들스톱이 수행된 경우의 아이들스톱의 수행횟수(b)를 누적하며, 아이들스톱의 수행시간이 사전에 정해진 아이들스톱유지시간(B) 보다 작다고 판정된 경우의 아이들스톱유지시간 미도달 판정횟수(c)를 누적한다.
ISG 비활성화판단로직(124)은 이와 같이 누적된 작동조건 데이터들, 즉 누적된 아이들스톱조건 미만족 판정횟수(a), 누적된 아이들스톱의 수행횟수(b) 및 누적된 아이들스톱유지시간 미도달 판정횟수(c)를 이용하여 사전에 정해진 ISG((Idle Stop & Go) 비활성화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ISG 비활성화판단로직(124)에서, ISG 비활성화조건의 만족 여부는 논리식 "[b > E] and [((a + c) ÷ (a + b)) > F], E는 일정횟수, F는 일정비율"의 연산 결과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누적된 아이들스톱조건 미만족 판정횟수는 'a'로, 누적된 아이들스톱의 수행횟수는 'b'로, 아이들스톱유지시간 미도달 판정횟수는 'c'로 표현된다.
ISG 비활성화판단로직(124)은 위와 같은 ISG 비활성화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ISG 작동로직(122)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ISG 비활성화판단로직(124)은 사전에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위의 로직에 의해 비활성화된 ISG 작동로직(122)을 다시 활성화할 수 있다. 즉 ISG 비활성화판단로직(124)은 위의 논리식의 연산결과가 'True'로서 ISG 작동로직(122)이 비활성화된 상태이고, 차량정보 중 주행거리의 값이 사전에 정해진 임계주행거리의 값보다 크고, 차량정보 중 주행시간의 값이 사전에 정해진 임계주행시간의 값보다 큰 경우 ISG 비활성화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것, 즉 위의 논리식의 연산결과 'False'로 설정되어 사전의 비활성화되었던 ISG 작동로직(122)을 다시 활성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ISG 시스템(100)은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은 ISG 작동을 방지하고 아이들스톱 후 곧 바로 재시동이 수행되는 경우 발생하는 출발 헤지테이션(hesitation) 문제를 줄임으로써 운전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고 연비의 절감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SG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ISG 시스템(100)의 ISG(Idle Stop & Go) 기능이 활성화 된 경우, ISG 시스템(100)은 차량정보 중 차속이 '0'이고 차량정보 중 브레이크 신호가 'ON'인 정차조건을 만족하는 지 판정한다(S310).
이 정차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ISG 시스템(100)은 정차조건의 유지시간이 사전에 정해진 정차유지시간에 도달하고 상기 차량정보 중 기어단이 중립(N) 또는 주행(D) 상태를 유지하는 아이들스톱조건을 만족하는 지 판단하고(S320), 아이들스톱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아이들스톱조건 미만족 판정횟수를 누적하며(S322), 후술하는 S330단계로 넘어간다. 여기서 아이들스톱조건은 정차조건의 유지시간이 사전에 정해진 정차유지시간에 도달하고 상기 차량정보 중 기어단이 중립(N) 또는 주행(D)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S320단계의 판단결과 아이들스톱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ISG 시스템(100)은 아이들스톱(Idle Stop)을 수행하고, 아이들스톱의 수행횟수를 누적한다(S324).
다음, ISG 시스템(100)은 아이들스톱의 수행 후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사전에 정해진 엔진의 재시동조건을 만족하는 지 판정하고, 상기 아이들스톱의 수행시간이 사전에 정해진 아이들스톱유지시간 보다 작다고 판정된 경우의 아이들스톱유지시간 미도달 판정횟수를 누적한다(S326).
다음, ISG 시스템(100)은 엔진의 재시동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엔진의 재시동을 수행한다(S328).
다음, ISG 시스템(100)은 누적된 아이들스톱조건 미만족 판정횟수, 누적된 아이들스톱의 수행횟수 및 누적된 아이들스톱유지시간 미도달 판정횟수를 이용하여 사전에 정해진 ISG(Idle Stop & Go) 비활성화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여(S330), ISG 비활성화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ISG 기능을 비활성화한다(S335).
다음, ISG 시스템(100)은 ISG 비활성화조건이 만족된 상태이고, 차량정보 중 주행거리의 값이 사전에 정해진 임계주행거리의 값보다 크고, 차량정보 중 주행시간의 값이 사전에 정해진 임계주행시간의 값보다 크다는 ISG 비활성화 해제조건을 만족하는 지 판단한다(S340).
S340단계의 판단 결과 ISG 비활성화 해제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ISG 시스템(100)은 S305단계로 돌아가 비활성화된 ISG 기능을 다시 활성화한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ISG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은 ISG 작동을 방지하고 아이들스톱 후 곧 바로 재시동이 수행되는 경우 발생하는 출발 헤지테이션(hesitation) 문제를 줄임으로써 운전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고 연비의 절감을 구현할 수 있다.
100: ISG 시스템
110: 차량정보 입력부
120: 제어부
122: ISG 작동로직
124: ISG 비활성화 판단로직
130: 엔진

Claims (8)

  1. 외부로부터 차량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차량정보 입력부; 및
    상기 입력된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사전에 정해진 아이들스톱조건을 만족하는 지 판단하여 상기 아이들스톱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아이들스톱(Idle Stop)을 수행하고, 상기 아이들스톱의 수행 후 상기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사전에 정해진 엔진의 재시동조건을 만족하는 지 판단하여 상기 엔진의 재시동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엔진의 재시동을 수행하는 ISG(Idle Stop & Go) 작동로직을 구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이들스톱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의 아이들스톱조건 미만족 판정횟수를 누적하고, 상기 아이들스톱의 수행횟수를 누적하며, 상기 아이들스톱의 수행시간이 사전에 정해진 아이들스톱유지시간 보다 작다고 판정된 경우의 아이들스톱유지시간 미도달 판정횟수를 누적하고, 상기 누적된 작동조건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사전에 정해진 ISG(Idle Stop & Go) 비활성화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ISG 비활성화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ISG 작동로직을 비활성화하는 ISG 비활성화판단로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Idle Stop & Go)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SG 비활성화판단로직에서, 상기 누적된 아이들스톱조건 미만족 판정횟수가 'a'로, 상기 누적된 아이들스톱의 수행횟수가 'b'로, 상기 아이들스톱유지시간 미도달 판정횟수가 'c'로 표현된 경우, 상기 ISG 비활성화조건의 만족 여부는 논리식 "[b > E] and [((a + c) ÷ (a + b)) > F], E는 일정횟수, F는 일정비율"의 연산 결과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ISG 비활성화판단로직은, 상기 논리식의 연산결과가 'True'이고, 상기 차량정보 중 주행거리의 값이 사전에 정해진 임계주행거리의 값보다 크고, 상기 차량정보 중 주행시간의 값이 사전에 정해진 임계주행시간의 값보다 큰 경우, 상기 비활성화된 ISG 작동로직을 다시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스톱조건은, 상기 차량정보 중 차속이 '0'이고 상기 차량정보 중 브레이크 신호가 'ON'인 정차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정차조건의 유지시간이 사전에 정해진 정차유지시간에 도달하고 상기 차량정보 중 기어단이 중립(N) 또는 주행(D) 상태를 유지하는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 시스템.
  5. ISG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ISG 시스템의 ISG(Idle Stop & Go) 기능이 활성화 된 경우, 외부로부터 입력된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사전에 정해진 아이들스톱조건을 만족하는 지 판정하고, 상기 아이들스톱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의 아이들스톱조건 미만족 판정횟수를 누적하는 단계;
    상기 아이들스톱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아이들스톱(Idle Stop)을 수행하고, 상기 아이들스톱의 수행횟수를 누적하는 단계;
    상기 아이들스톱의 수행 후 상기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사전에 정해진 엔진의 재시동조건을 만족하는 지 판정하고, 상기 아이들스톱의 수행시간이 사전에 정해진 아이들스톱유지시간 보다 작다고 판정된 경우의 아이들스톱유지시간 미도달 판정횟수를 누적하는 단계;
    상기 엔진의 재시동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엔진의 재시동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누적된 아이들스톱조건 미만족 판정횟수, 상기 누적된 아이들스톱의 수행횟수 및 상기 누적된 아이들스톱유지시간 미도달 판정횟수를 이용하여 사전에 정해진 ISG(Idle Stop & Go) 비활성화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ISG 비활성화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ISG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Idle Stop & Go) 시스템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ISG 비활성화조건의 만족 여부는, 상기 누적된 아이들스톱조건 미만족 판정횟수가 'a'로, 상기 누적된 아이들스톱의 수행횟수가 'b'로, 상기 아이들스톱유지시간 미도달 판정횟수가 'c'로 표현된 경우, 논리식 "[b > E] and [((a + c) ÷ (a + b)) > F], E는 일정횟수, F는 일정비율"의 연산 결과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식의 연산결과가 'True'이고, 상기 차량정보 중 주행거리의 값이 사전에 정해진 임계주행거리의 값보다 크고, 상기 차량정보 중 주행시간의 값이 사전에 정해진 임계주행시간의 값보다 큰 경우, 상기 비활성화된 ISG 기능을 다시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스톱조건은, 상기 차량정보 중 차속이 '0'이고 상기 차량정보 중 브레이크 신호가 'ON'인 정차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정차조건의 유지시간이 사전에 정해진 정차유지시간에 도달하고 상기 차량정보 중 기어단이 중립(N) 또는 주행(D) 상태를 유지하는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 시스템이 제어방법.
KR20110126694A 2011-11-30 2011-11-30 Isg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Active KR101251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26694A KR101251851B1 (ko) 2011-11-30 2011-11-30 Isg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2085171A JP5993181B2 (ja) 2011-11-30 2012-04-04 アイドルストップアンドゴー(isg)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13/477,617 US9133777B2 (en) 2011-11-30 2012-05-22 IS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U2012203033A AU2012203033B2 (en) 2011-11-30 2012-05-23 IS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210186748.6A CN103133155B (zh) 2011-11-30 2012-06-07 怠速停止和起动系统及其控制方法
DE102012104995.5A DE102012104995B4 (de) 2011-11-30 2012-06-11 Start-Stopp-(ISG)System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sselb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26694A KR101251851B1 (ko) 2011-11-30 2011-11-30 Isg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1851B1 true KR101251851B1 (ko) 2013-04-10

Family

ID=48431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126694A Active KR101251851B1 (ko) 2011-11-30 2011-11-30 Isg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33777B2 (ko)
JP (1) JP5993181B2 (ko)
KR (1) KR101251851B1 (ko)
CN (1) CN103133155B (ko)
AU (1) AU2012203033B2 (ko)
DE (1) DE102012104995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287B1 (ko) * 2013-07-22 2017-01-19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작업 차량
JP6232245B2 (ja) * 2013-10-11 2017-11-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CN104712448A (zh) * 2013-12-17 2015-06-17 上海海拉电子有限公司 一种怠速起停控制系统及控制方法
US9353718B2 (en) * 2014-03-28 2016-05-31 Cummins Inc. Driveability of a vehicle equipped with start/stop logic
KR101583996B1 (ko) 2014-10-07 2016-01-21 주식회사 만도 마일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배터리 운영방법
KR101683991B1 (ko) * 2014-10-28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풀리 구조 및 제어 방법
US10240571B2 (en) * 2015-06-29 2019-03-26 Cummins, Inc. Managing automatic stop/start frequency
CN106499525A (zh) * 2016-09-20 2017-03-15 中国第汽车股份有限公司 缸内直喷汽油机怠速自动停机需求判定方法
EP3726048B1 (en) * 2019-04-15 2025-02-19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An auto-stop start system for a vehicle
CN111963350A (zh) * 2019-05-20 2020-11-20 泰奈基株式会社 区间反复行驶车辆的怠速启停控制方法及怠速启停控制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447B1 (ko) 2003-12-18 200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제어모드 결정방법
JP2006138283A (ja) 2004-11-15 2006-06-01 Mitsubishi Electric Corp 内燃機関の自動停止制御装置
JP2010248918A (ja) 2009-04-10 2010-11-04 Fujitsu Ten Ltd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7483A (ja) 1993-03-06 1994-09-13 Suzuki Motor Corp エンジンの自動始動停止装置
JP3758419B2 (ja) 1999-06-11 2006-03-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アイドルストップ車両
JP3880752B2 (ja) * 1999-08-06 2007-02-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自動始動停止制御装置
EP1302359B1 (de) 2001-10-13 2006-06-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zur Steuerung der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es mit Stop/Start-Funktion
JP2004116389A (ja) 2002-09-26 2004-04-15 Nissan Motor Co Ltd アイドルストップ装置付き車両
JP2004225576A (ja) * 2003-01-21 2004-08-12 Suzuki Motor Corp エンジンの自動停止始動制御装置
JP4721665B2 (ja) * 2003-07-11 2011-07-13 富士通テン株式会社 遠隔始動装置
KR100588544B1 (ko) 2003-12-19 2006-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아이들 스톱&스타트 시스템 장착 차량의 퍼지 제어방법
JP2007218107A (ja) * 2006-02-14 2007-08-3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アイドリングストップ制御装置
DE102006009654A1 (de) * 2006-03-02 2007-11-08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An- und Abschalten eines Fahrzeugmotors in Abhängigkeit von der Verkehrssituation
JP2008309068A (ja) 2007-06-14 2008-12-25 Toyota Motor Corp 車両制御装置
KR20090108422A (ko) 2008-04-11 2009-10-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sg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JP2010024887A (ja) 2008-07-16 2010-02-04 Toyota Motor Corp エンジンの制御装置
DE102009010925B4 (de) 2009-02-27 2019-08-0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EP2228367A1 (en) 2009-03-13 2010-09-15 Almirall, S.A. Addition salts of amines containing hydroxyl and/or carboxylic groups with amino nicotinic acid derivatives as DHODH inhibitors
JP5381461B2 (ja) 2009-07-29 2014-01-08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アイドル停止方法及びアイドル停止装置
JP2011039621A (ja) * 2009-08-07 2011-02-24 Aisin Aw Co Ltd 車両操作診断装置、車両操作診断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144430B1 (ko) * 2009-12-04 2012-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아이들 스탑 앤 고 적용 차량의 제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402901B2 (ja) * 2010-09-30 2014-01-29 株式会社デンソー エンジン制御装置
CN103415686B (zh) * 2011-03-10 2015-11-25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控制装置
US9151263B2 (en) * 2012-01-23 2015-10-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opportunistically automatically stopping an engine of a vehicle
JP5744936B2 (ja) * 2013-02-28 2015-07-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停止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447B1 (ko) 2003-12-18 200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제어모드 결정방법
JP2006138283A (ja) 2004-11-15 2006-06-01 Mitsubishi Electric Corp 内燃機関の自動停止制御装置
JP2010248918A (ja) 2009-04-10 2010-11-04 Fujitsu Ten Ltd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2104995A1 (de) 2013-06-06
AU2012203033A1 (en) 2013-06-13
AU2012203033B2 (en) 2017-02-02
JP5993181B2 (ja) 2016-09-14
US9133777B2 (en) 2015-09-15
CN103133155A (zh) 2013-06-05
DE102012104995B4 (de) 2021-09-23
JP2013113295A (ja) 2013-06-10
CN103133155B (zh) 2016-09-21
US20130138323A1 (en) 201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851B1 (ko) Isg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US8690731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top-start system for a vehicle engine
JP5915360B2 (ja) 車両の制御装置
US10583836B2 (en)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US8702563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top-start system for a vehicle engine
JP5857672B2 (ja) 車両のエンジン自動停止制御装置
CN102030003B (zh) 自动重新起动汽车中的内燃机的方法和装置
CN106014656A (zh) 发动机自动控制装置
JP2006321268A (ja) エコラン制御方法及びエコラン制御装置
JPWO2013088476A1 (ja) アイドリングストップ制御装置、車両、および、車両制御方法
KR101316311B1 (ko) Isg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N104837703A (zh) 用于对机动车辆发动机的停机和重新起动进行管理的方法和设备以及包括这种设备的机动车辆
CN106585632B (zh) 优化用于驾驶操作的自动发动机启/停机构
JP2008014193A (ja) 内燃機関の駆動システム
JP2014214661A (ja) 車両用制御装置
KR101273181B1 (ko) Isg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JP5579103B2 (ja) アイドルストップ車の制御装置
JP2011027072A (ja) アイドル停止方法及びアイドル停止装置
KR101874314B1 (ko) 교통 상황에 따른 아이들 스톱 앤드 고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829350B1 (ko) 차량 제어 방법
KR20140064110A (ko) 차량의 엔진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6104977A (ja) エコラン制御装置、エコラン制御方法
JP2005023836A (ja) 車両のアイドルストップ制御装置
JP2014047666A (ja) アイドリングストップ制御システム
KR20150071440A (ko) Isg의 아이들 스톱 구간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4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