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50623B1 - 생리대 겸용 기저귀형 배뇨장치 - Google Patents

생리대 겸용 기저귀형 배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623B1
KR101250623B1 KR1020120092162A KR20120092162A KR101250623B1 KR 101250623 B1 KR101250623 B1 KR 101250623B1 KR 1020120092162 A KR1020120092162 A KR 1020120092162A KR 20120092162 A KR20120092162 A KR 20120092162A KR 101250623 B1 KR101250623 B1 KR 101250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urination
pin
belt
sanitary nap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성욱
은진호
은진성
Original Assignee
은성욱
은진성
은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성욱, 은진성, 은진호 filed Critical 은성욱
Priority to KR1020120092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6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with faecal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2013/150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 A61F2013/1515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for hospitalised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2013/4728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internal collect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2013/49098Othe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of the 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리대 겸용 기저귀형 배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저귀 펄프 생산에 따른 산림 훼손, 환경오염,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 등 사회적 비용발생을 초래하는 폐단을 경감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배뇨장치 착용자 및 간병인의 편익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배뇨장치 착용시 월경에 의해 생리혈이 배출되는 것을 고려하여 생리혈을 함께 회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여성의 음부를 커버하도록 유연성을 가진 음부커버(305)와, 상기 음부커버의 내측에 위치하고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홀이 구비된 베이스플레이트(303)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홀에 설치된 배뇨핀(301) 또는 배혈핀(302)과, 상기 음부커버의 후면에 연결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하단에 배설물 배출용 배뇨구(307)가 형성된 완충관(306)과, 일측 단부가 상기 완충관(306)에 결속되고 타측 단부에 배설물을 회수하는 회수부(216)가 구비된 관 형태의 배뇨관체(210)와, 상기 음부커버를 인체에 고정하는 벨트부재(405)를 포함하는 생리대 겸용 기저귀형 배뇨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생리대 겸용 기저귀형 배뇨장치{DIAPER TYPE URINATION DEVICE WITH HYGIENIC BAND}
본 발명은 여성에게 적합한 생리대 겸용 기저귀형 배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스로 소변을 볼 수 없는 노약자나 환자가 적합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생리대를 겸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소변과 생리혈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한 생리대 겸용 기저귀형 배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류문명은 시간의 흐름과 맥을 같이하여 급속히 발전되어 왔고, 이는 필연적으로 인간생명의 연장을 가져와 갈수록 고령화 사회를 심화시키고 있으며, 고령인구의 증가는 신체의 노쇠, 질병의 발생 및 각종 사고로 인하여 대소변을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는 노약자 및 환자가 증가할 수밖에 없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소변을 스스로 볼 수 없는 노약자와 환자에게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하도록 함으로써 용변을 위생적으로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일회용 기저귀는 수시로 배뇨 여부를 확인하여 갈아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 아니라 기저귀 구매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줄 수밖에 없으며, 또한 기저귀를 제때 갈아주지 않으면 발진 등 피부 부작용이 발생하여 노약자나 환자에게 고통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일회용 기저귀의 사용량 증가에 따라 벌목량이 증가하여 소중한 자원인 산림 훼손을 유발하게 되고, 나아가 기저귀 폐기물에 의해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등의 폐단이 있는 점을 감안하면, 수세기 동안 지속되어온 기저귀 문화를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20-0200577호 등록실용신안공보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11-0022552호 공개특허공보 3.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09-0072069호 공개특허공보
상기의 종래 일회용 기저귀가 갖는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본 발명은 기저귀 펄프 생산에 따른 산림 훼손, 환경오염,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 등 사회적 비용발생을 초래하는 폐단을 경감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배뇨장치 착용자 및 간병인의 편익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배뇨장치 착용시 월경에 의해 생리혈이 배출되는 것을 고려하여 생리혈을 함께 회수할 수 있도록 한 생리대 겸용 기저귀형 배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여성에게 적합한 배뇨장치로서 착탈 가능한 동시에 길이와 굵기를 선택 사용하도록 한 배뇨핀과 배혈핀을 장착한 베이스플레이트와, 음부커버, 완충관 및 배뇨관체를 일체로 구성하여 배뇨관체를 통해 배설물과 생리혈을 회수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배뇨장치는 벨트부재를 통해 인체에 고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뇨시 배설물이 피부에 접촉되지 않고 별도의 위치로 회수되므로 착용자의 피부 발진 등에 의한 고통을 덜 수 있고, 간병인은 환자나 노약자가 착용하고 있는 팬츠를 탈의할 필요 없이 회수된 배설물을 일반 변기에 버려서 처리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배뇨장치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일회용 기저귀 사용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벌목에 따른 산림 훼손, 기저귀 폐기에 의한 환경오염 및 기저귀 구매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배뇨장치에 부설된 배혈핀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월경시 배뇨와 함께 생리혈을 함께 회수할 수 있게 되어 별도의 생리대를 착용해야 하는 등의 번거러움이 없으며, 생리대 구입에 따른 비용 지출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생리대 제조에 따른 환경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배뇨핀과 배혈핀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체형에 적합한 크기를 적의 선택할 수 있게 되어 불쾌감이나 고통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배설물이나 생리혈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형 배뇨장치의 배뇨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형 배뇨장치의 배뇨핀 및 배혈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형 배뇨장치의 배뇨관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형 배뇨장치의 배뇨부 및 배뇨관체의 조립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형 배뇨장치의 팬츠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형 배뇨장치의 팬츠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형 배뇨장치의 팬츠 및 벨트부재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형 배뇨장치의 벨트부재 요부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형 배뇨장치의 연결부재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형 배뇨장치의 고정벨트 구성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형 배뇨장치의 배뇨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형 배뇨장치의 배뇨핀 및 배혈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형 배뇨장치의 배뇨관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형 배뇨장치의 배뇨부 및 배뇨관체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뇨장치는 크게 배뇨부(300)와 배뇨관체(210)로 구성된다.
상기 배뇨부(300)는 음부커버(305)의 중앙에 위치하는 베이스플레이트(303)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3)에 고정되는 배뇨핀(301)과 배혈핀(302) 및 상기 음부커버(305)에 연결되는 완충관(306)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관(306)에는 배뇨관체(210)가 연결된다.
상기 배뇨핀(301)과 배혈핀(302)은 각각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로서 튜브와 같은 형태로 제작하며, 배뇨핀(301)과 배혈핀(302)에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체(301a)(302b)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3)는 상기 배뇨핀(301)과 배혈핀(302)의 각 고정체(301a)(302b)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홀(303a) 및 제2홀(303b)을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음부커버(305)의 베이스플레이트 결속부(304)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음부커버(305)와 베이스플레이트(303)를 서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는 경우, 베이스플레이트(303)의 외면과 음부커버(305)의 베이스플레이트 결속부(304) 내면에는 통상의 돌기와 홈과 같은 체결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배뇨핀(301)과 배혈핀(302)이 정위치에 올 수 있도록 방향성이 부가되어야 한다.
상기 배뇨핀(301)과 배혈핀(302)은 각 고정체(301a)(302b)를 타이트하게 관통하고 각 고정체(301a)(302b)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배뇨와 배혈의 목적을 이룰 수 있는 최소한의 길이만 돌출되게 하여 인체의 요도구 및 질내에 각각 삽입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배뇨핀(301)과 배혈핀(302)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여 자신의 체형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배뇨핀(301)과 배혈핀(302)의 길이를 짧게 하여 배뇨 또는 생리시 밀어내는 압력을 적게 받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베이스플레이트(303)가 음부에 접하여 고정되므로 배뇨핀(301)과 배혈핀(302)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주기 때문에 배뇨핀(301)과 배혈핀(302)을 요도구나 질구에 깊이 삽입할 필요 없이 약간의 삽입으로도 배뇨(혈)의 효과를 이룰 수 있어 사용자의 부담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고정체(301a)(302b)의 크기는 동일하게 하되 배뇨핀(301)과 배혈핀(302)의 직경을 여러가지로 제조하여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는 크기를 적절하게 선택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배뇨와 배혈 중 어느 하나의 기능만 사용하는 경우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마개(315)를 이용하여 베이스플레이트(303)의 제1홀(303a) 또는 제2홀(303b)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음부커버(305)는 요도구 주변과 음부 주변을 감싸서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유연성을 가진 실리콘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통풍과 피부보호 및 착용감 향상을 위하여 복수 개의 통풍구(308)가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음부커버(305) 착용시의 불쾌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면과 같이 인체에 무해한 직물 소재의 패드(312)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음부커버(305)를 인체에 고정하기 위해 상부 후면에 접착면(309)이 구비되고 하부 양측에는 한 쌍의 걸고리(310)가 형성되며, 이들을 이용한 고정방식은 후술하는 설명을 통해 구체화될 것이다.
상기 완충관(306)은 음부커버(305)의 후면 아래에 위치하여 일시적으로 배설물 양이 많아져서 상기 배뇨관체(210)에서 배설물이 넘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배설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하단에는 배설물을 배출하는 배뇨구(307)가 구비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배뇨관체(210)는 상기 완충관(306)의 배뇨구(307)로 배출된 배설물을 회수부(216)로 유도하기 위한 관체이다.
상기 배뇨관체(210)는 비닐과 같이 유연성이 있는 소재의 배뇨관(211)을 포함하고, 상기 배뇨관(211)에는 배설물의 역류를 차단하기 위해 배설물이 흐르는 방향으로만 개방되고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 개폐관(213)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관(213) 내부에는 개폐관(213) 내측면 중 어느 한 지점에서만 연결되어 회동하는 개폐판(212)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배뇨관(211)의 외측에는 회수부(216)와 연결시 연결부분을 감싸서 고정하기 위해 접착면(215)이 구비된 고정밴드(2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형 배뇨장치의 팬츠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형 배뇨장치의 팬츠 저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형 배뇨장치의 팬츠 및 벨트부재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형 배뇨장치의 벨트부재 요부 분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팬츠(401)는 통상의 직물 소재로 제조된 것으로 일측에 복수 개의 포켓(402)이 형성되고, 가랭이 부분에는 절개된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슬릿이 구비되며, 상기 슬릿은 예를 들어 제1슬릿(403)과 제2슬릿(40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기저귀형 배뇨장치를 인체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벨트부재(40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벨트부재(405)는, 인체의 허리에 착용하는 허리벨트(406)와, 양측 단부가 상기 허리벨트(406)에 연결되어 인체의 하복부에 위치하는 하복부 벨트(407)와, 상기 하복부 벨트(407)의 전면에 부착되는 집중판(408)을 포함한다.
상기 허리벨트(406)에는 허리벨트(406)의 길이를 조절하는 동시에 허리에 맞는 위치에서 조일 수 있는 조임쇠(409)가 구비되고, 하복부 벨트(407)의 전면에는 벨크로 테이프와 같은 고정면(410)이 형성되며 이를 통해 상기 집중판(408)의 후면에 형성된 접착면이 하복부 벨트(407)의 전면에 접착된다(도 8 참조). 상기 집중판(408)은 상기 하복부 벨트(407)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하여 하복부 벨트(407)에 부착시 고정면(410)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며, 또한 하복부 벨트(407)의 하단 양측에는 다리를 감쌀 수 있는 다리벨트(411)가 설치된다.
상기 집중판(408)에는 예시한 것과 같이 제1고리(408a), 제2고리(408b), 제3고리(408c) 및 제4고리(408d)와 같은 복수 개의 고리가 형성될 수 있고, 하복부벨트(407) 하단의 다리벨트(411)는 가랭이 사이를 통과하여 다리를 감싼 뒤 집중판의 제4고리(408d)에 결속된다.
상기 집중판(408)을 복부 아래쪽으로 위치하게 하는 이유는 신체가 움직일 때, 특히 허리를 굽힐 때 집중판(408)에서 각 기저귀형 배뇨장치 요소들까지의 거리가 변동되기 때문에 길이 변동성을 차단하여 기저귀형 배뇨장치의 착용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형 배뇨장치의 연결부재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형 배뇨장치의 고정벨트 구성도로서, 상기 연결부재(311)의 일측에는 제1접착면(311a)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접착면(311b)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벨트(313)의 일측에는 제1고리(313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고리(313b)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311)와 고정벨트(313), 그리고 상기 펜츠(401)와 벨트부재(405)를 이용한 배뇨장치의 고정 방식은 다음과 같다.
상기 팬츠(401)와 상기 벨트부재(405)를 착용한 후 제1슬릿(403) 또는 제2슬릿(404)을 통해 상기 배뇨장치의 배뇨부(300)를 음부에 장착한 다음 하복부벨트(407)에서 노출된 고정면(410)에 연결부재(311)의 제2접착면(311b)을 부착하고 음부커버(305)의 후면 접착면(309)에 연결부재(311)의 제1접착면(311a)을 부착하여 연결부재(311)를 이용하여 벨트부재(405)와 음부커버(305)를 연결, 고정한다.
이때 상기 배뇨부(300)의 배뇨핀(301)은 요도구에 삽입하고, 배혈핀(302)은 질 내에 삽입하며, 이들은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후, 2개의 고정벨트(313)에서 각 제1고리(313a)는 음부커버(305) 하부에 위치한 걸고리(310)에 결속하고 각 제2고리(313b)는 상기 집중판(408)의 고리 중 어느 하나에 각각 결속함으로써 배뇨부(300)가 신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한다. 이때 고정벨트(313)의 착용방법은 음부커버(305)의 각 걸고리(310)에 제1고리(313a)를 접속한 후 고정벨트(313)를 뒤쪽의 둔부로 돌려 다시 앞쪽의 집중판(408) 내의 고리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제3고리(408c)에 결속한다.
상기 배뇨관체(210)의 배뇨관(211)은 상기 완충관(306)의 배뇨구(307)에 연결하고 회수부(216)를 팬츠(401)에 형성된 포켓(402)에 내입한다.
이와 같이 하면 환자나 노약자가 배뇨 또는 배혈시 배설물이 배뇨핀(301) 또는 배혈핀(302)을 통해 완충관(306)으로 배출되어 다시 배뇨구(307), 배뇨관(211)을 경유하여 회수부(216)에 회수될 수 있다. 만약 활동이 거의 불가능하여 주로 침상에서 누워 지내는 노약자나 환자에게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배뇨관체(210)의 회수부(216)를 침상 아래쪽에 놓아두고 사용하여도 좋다.
이상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210: 배뇨관체 211: 배뇨관 212: 개폐관
213: 개폐판 214: 고정밴드 215: 접착면
216: 회수부
300: 배뇨부 301: 배뇨핀 301a: 고정체
302: 배혈핀 302b: 고정체 303: 베이스플레이트
303a: 제1홀 303b: 제2홀 303c: 나사외면
304: 나사내면 305: 음부커버 306: 완충관
307: 배뇨구 308: 통풍구 309: 접착면
310: 걸고리 311: 연결부재 311a: 제1접착면
311b: 제2접착면 312: 패드 313: 고정벨트
313a: 제1고리 313b: 제2고리 305: 마개
401: 팬츠 402: 포켓 405: 벨트부재
406: 허리벨트 407: 하복부벨트 408: 집중판
408a ~ 408d: 제1고리 ~ 제4고리 411: 다리벨트

Claims (7)

  1. 여성의 음부를 커버하도록 유연성을 가진 음부커버(305)와, 상기 음부커버의 내측에 위치하고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홀이 구비된 베이스플레이트(303)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홀에 설치된 배뇨핀(301) 또는 배혈핀(302)과, 상기 음부커버의 후면에 연결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하단에 배설물 배출용 배뇨구(307)가 형성된 완충관(306)과, 일측 단부가 상기 완충관(306)에 결속되고 타측 단부에 배설물을 회수하는 회수부(216)가 구비된 관 형태의 배뇨관체(210)와, 상기 음부커버를 인체에 고정하는 벨트부재(4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겸용 기저귀형 배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3)의 홀은 배뇨핀을 설치하는 제1홀(303a)과 배혈핀을 설치하는 제2홀(303b)로 형성되며 상기 배뇨핀과 배혈핀은 각 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겸용 기저귀형 배뇨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뇨핀 및 배혈핀에는 각각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체(301a)(302b)가 구비되고 상기 각 홀(303a)(303b)에는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겸용 기저귀형 배뇨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홀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하는 마개(3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겸용 기저귀형 배뇨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뇨관체는 관 형태의 배뇨관(211)을 포함하고, 상기 배뇨관에 배설물의 역류를 차단하도록 내부에 개폐판(212)이 구비된 개폐관(213)이 형성되되 상기 개폐판의 어느 한 지점이 상기 개폐관의 내측면에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겸용 기저귀형 배뇨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재(405)는 인체의 허리에 착용하는 허리벨트(406)와, 양측 단부가 상기 허리벨트(406)에 연결되어 인체의 하복부에 위치하고 고정면(410)을 가진 하복부 벨트(407)와, 상기 고정면 중 일부에 부착되고 복수 개의 고리를 가진 집중판(408)과, 한 쌍의 고정벨트(313)를 포함하되, 상기 하복부 벨트의 하단 양측에는 다리를 감싸서 상기 집중판의 고리 중 어느 하나에 결속되는 다리벨트(411)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벨트의 각 일측 단부의 제1고리(313a)가 음부커버 하부의 각 걸고리(310)에 결속되고 각 타측 단부의 제2고리(313b)가 상기 집중판의 고리 중 어느 하나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겸용 기저귀형 배뇨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음부커버와 벨트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11)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의 제1접착면(311a)이 음부커버 후면의 접착면(309)에 부착되고 타단의 제2접착면(311b)이 상기 고정면(41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겸용 기저귀형 배뇨장치.
KR1020120092162A 2012-08-23 2012-08-23 생리대 겸용 기저귀형 배뇨장치 KR101250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162A KR101250623B1 (ko) 2012-08-23 2012-08-23 생리대 겸용 기저귀형 배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162A KR101250623B1 (ko) 2012-08-23 2012-08-23 생리대 겸용 기저귀형 배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0623B1 true KR101250623B1 (ko) 2013-04-03

Family

ID=48442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162A KR101250623B1 (ko) 2012-08-23 2012-08-23 생리대 겸용 기저귀형 배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6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0689A1 (ko) * 2019-07-29 2021-02-04 케어포유 주식회사 남성용 소변받이 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7Y1 (ko) 2000-03-13 2000-10-16 이종만 여성용 소변보조기구
US6592560B2 (en) 2000-01-25 2003-07-15 Matthew G. LaPointe Urine retention and collection devices for incontinent women
JP2011000200A (ja) 2009-06-16 2011-01-06 Toshiko Ota 女性立位用排尿具、ならびにその女性立位用排尿具の使用方法、およびその使用方法に用いる吸水性パッ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2560B2 (en) 2000-01-25 2003-07-15 Matthew G. LaPointe Urine retention and collection devices for incontinent women
KR200200577Y1 (ko) 2000-03-13 2000-10-16 이종만 여성용 소변보조기구
JP2011000200A (ja) 2009-06-16 2011-01-06 Toshiko Ota 女性立位用排尿具、ならびにその女性立位用排尿具の使用方法、およびその使用方法に用いる吸水性パッ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0689A1 (ko) * 2019-07-29 2021-02-04 케어포유 주식회사 남성용 소변받이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5459160U (zh) 生理固定装置及其与集袋组合
US20170165100A1 (en) Urinary Absorbent and Retention Pouch for Male Incontinence
RU150112U1 (ru) Универс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отведения и сбора мочи для лиц женского пола
CN203138793U (zh) 男性接尿裤
JP5016259B2 (ja) 吸収体製品
KR101417822B1 (ko) 밀착력 강화용 생리대
JP6493905B2 (ja) 排尿用具
KR101250623B1 (ko) 생리대 겸용 기저귀형 배뇨장치
JP4099325B2 (ja) 男性用吸収性物品
ES1256156U (es) Complemento de compresa higiénica femenina
CN214594184U (zh) 一种医用女性集尿内裤
KR102529843B1 (ko) 소변 흡수 패드
JP3205471U (ja) 下着構造
JP4769902B1 (ja) 尿取りパッド
KR101250591B1 (ko) 기저귀형 배뇨장치
KR101841470B1 (ko) 남성용 요실금 재활 보조기
KR20110010221U (ko) 남성 소변전용 기저귀
KR20210144144A (ko) 여성용 위생 팬티
US20190167491A1 (en) Wearable Absorbent Undergarment and Related Methods
JP3459190B2 (ja) 使い捨ておむつ用品
CN220140834U (zh) 一种老年人护理内裤
CN215224959U (zh) 一种外阴癌术后方便裤
KR20230172770A (ko) 여성용 요실금 팬티
CN207202138U (zh) 便于卧床患者护理的病裤
JP3215964U (ja) 排尿器付パン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