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46076B1 - 부유식 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방법 - Google Patents

부유식 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6076B1
KR101246076B1 KR1020100089575A KR20100089575A KR101246076B1 KR 101246076 B1 KR101246076 B1 KR 101246076B1 KR 1020100089575 A KR1020100089575 A KR 1020100089575A KR 20100089575 A KR20100089575 A KR 20100089575A KR 101246076 B1 KR101246076 B1 KR 101246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natural gas
liquefied natural
mooring
carri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7790A (ko
Inventor
송석율
정현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9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076B1/ko
Publication of KR20120027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07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식 계류 장치와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계류 장치에는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이 일측에 계류되고, 액화천연가스를 운반하는 운반선이 상기 부유식 구조물에 대향하는 타측에 계류되는 부유식 잔교; 상기 부유식 잔교에 연결되며, 해저의 가스정으로부터 천연가스를 뽑아 올리는 라이저 파이프에 연결되는 부유체; 및 상기 부유체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라이저 파이프와 상기 부유식 구조물을 연결하는 천연가스 공급 배관이 포함될 수 있다.

Description

부유식 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방법{FLOATING MO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NLOADING LIGUEFIED NATURAL GA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부유식 계류 장치와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또는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의 상태로 LNG 운반선에 저장되어 소비처로 운반될 수 있다. 액화천연가스는 천연가스를 약 -163℃으로 냉각하여 액화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으로서, 기체 상태일 때보다 그 부피가 약 1/600로 줄어들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적합하다.
최근에는 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도착한 후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하여 천연가스 상태로 하역하는 LNG RV(Regasification Vessel)도 사용되고 있다. LNG RV에는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 하기 위한 재기화 설비 등의 장치들이 탑재될 수 있다.
또한,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나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와 같은 부유식 구조물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부유식 구조물에도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는 저장탱크가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천연가스를 액화시키거나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시키는 장치들이 탑재될 수 있다. 상세히, LNG FPSO는, 가스정에서 뽑아 올린 천연가스를 해상에서 직접 액화시켜 저장탱크 내에 저장하고, 필요 시 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LNG 운반선으로 옮겨 싣는 부유식 구조물이다. LNG FSRU는 육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상에서 LNG 운반선으로부터 하역되는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탱크에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시켜 수요처에 공급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다.
이와 같이 LNG와 같은 액체화물을 해상에서 보관하는 LNG FPSO, LNG FSRU 등의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터릿과 같은 일점 계류계에 의해 계류된 채 사용되는 바지선(barge)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이러한 부유식 구조물은 LNG 운반선과 무어링되어 LNG 운반선에 부유식 구조물의 저장 탱크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옮겨 실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부유식 구조물이 LNG 수송선과 안전하게 계류하기 위해서 부유식 구조물은 LNG 수송선보다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LNG 수송선은 계류할 부유식 구조물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특정 부유식 구조물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 LNG 수송선의 크기에 제약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LNG 수송선으로서 모스(moss) 타입의 화물창을 쓰는 수송선과 멤브레인(membrane) 타입의 화물창을 쓰는 수송선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매니폴드(manifold)의 위치 차이를 보상할 수 있을 만큼 부유식 구조물이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크기의 부유식 구조물과 액화천연가스 수송선이 계류하여 안정적으로 액화천연가스를 하역할 수 있는 부유식 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하역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부유식 계류 장치에는,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이 일측에 계류되고, 액화천연가스를 운반하는 운반선이 상기 부유식 구조물에 대향하는 타측에 계류되는 부유식 잔교; 상기 부유식 잔교에 연결되며, 해저의 가스정으로부터 천연가스를 뽑아 올리는 라이저 파이프에 연결되는 부유체; 및 상기 부유체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라이저 파이프와 상기 부유식 구조물을 연결하는 천연가스 공급 배관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계류 장치에는 상기 부유식 잔교 및 상기 부유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제공되며, 상기 부유식 계류 장치를 이동시키는 추력을 발생시키는 스러스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계류 장치에는 상기 부유식 잔교 및 상기 부유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해저에 매설된 앵커에 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계류 장치에서 상기 부유체는 터릿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계류 장치에서 상기 부유식 잔교 및 상기 부유체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계류 장치에는 상기 부유식 잔교의 일측에 제공되며,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이 계류되는 부유식 구조물용 계선주; 및 상기 부유식 잔교의 타측에 제공되며, 액화천연가스를 운반하는 운반선이 계류되는 운반선용 계선주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계류 장치에서 상기 부유식 구조물용 계선주 및 상기 운반선용 계선주는 상기 부유식 잔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계류 장치에는 상기 부유식 잔교에 제공되며, 상기 부유식 구조물과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을 연결하는 액화천연가스 배관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계류 장치의 상기 액화천연가스 배관에는, 상기 부유식 잔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배관; 상기 제 1 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부유식 구조물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제 2 배관; 및 상기 제 1 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제 3 배관이 포함되고, 상기 부유식 구조물은 상기 제 2 배관 중 일부에 연결되고,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은 상기 제 3 배관 중 일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견지에서 본 발명의 부유식 계류 장치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방법은 부유식 계류 장치의 부유식 잔교의 일측에 천연가스 액화 설비가 구비된 부유식 구조물을 계류하는 단계; 상기 부유식 잔교의 타측에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을 계류하는 단계; 상기 부유식 구조물과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부유식 구조물로부터 액화천연가스를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부유식 구조물과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유식 계류 장치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방법에서 상기 부유식 구조물과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을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부유식 구조물에 제공된 로딩 암을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매니폴드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유식 계류 장치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방법에서 상기 부유식 구조물과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을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부유식 잔교에 제공된 액화천연가스 배관과 상기 부유식 구조물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액화천연가스 배관과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유식 계류 장치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방법은 상기 부유식 구조물에서 상기 부유식 계류 장치를 통해 전달받은 천연 가스를 액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하역 방법에 의하면, 부유식 구조물로부터의 액화천연가스 하역 작업에 다양한 크기의 액화천연가스 수송선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유식 구조물에 설치되던 터릿, 펜더 등의 계류 장치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부유식 구조물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계류 장치에 부유식 구조물 및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이 계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계류 장치에 부유식 구조물 및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이 계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부유식 계류 장치를 사용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계류 장치에 부유식 구조물 및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이 계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계류 장치(100)는 부유식 구조물(200) 및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을 해상에서 계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부유식 계류 장치(100)에는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 및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이 계류되는 부유식 잔교(110), 상기 부유식 잔교(110)에 연결되며 해저의 가스정(10)으로부터 천연가스를 뽑아 올리는 라이저 파이프(11)가 연결되는 부유체(130), 상기 라이저 파이프(11)에 연결되며 상기 부유식 잔교(110)에 계류된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에 천연 가스를 공급하는 천연가스 공급 배관(14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부유식 잔교(110)의 일측에는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을 계류하기 위한 부유식 구조물용 계선주(111)가 설치될 수 있고, 타측에는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을 계류하기 위한 운반선용 계선주(11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부유식 구조물용 계선주(111) 및 운반선용 계선주(113)는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 및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이 상기 부유식 잔교(110)의 임의의 위치에 계류될 수 있도록 각각 상기 부유식 잔교(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부유식 잔교(110)는 계류되는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과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의 크기를 고려하여 충분히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부유식 잔교(110)는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의 약 2배 내지 3배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유식 구조물용 계선주(111)에는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이 제 1 계류삭(210)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운반선용 계선주(113)에는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이 상기 제 2 계류삭(310)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부유체(130)는 상기 가스정(10)으로부터 천연가스를 인출하는 상기 라이저 파이프(11)와 상기 천연가스 공급 배관(14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부유체(130)는 상기 부유식 잔교(110)에 고정되게 연결되거나 상기 부유식 잔교(1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유식 잔교(110)의 바닥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러스터(150)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스러스터(150)는 추력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상기 부유식 잔교(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3개의 상기 스러스터(150)가 상기 부유식 잔교(110)의 하단부에 삼각형의 꼭지점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러스터(150)는 상기 부유체(130)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부유식 계류 장치(100)는 상기 스러스터(150)를 사용해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과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이 안정적으로 계류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되거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식 계류 장치(100)는 해저에 매설된 앵커(102)에 계류될 수 있다. 상기 부유식 계류 장치(100)에는 상기 앵커(102)에 연결되는 체인(101)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체인(101)은 윈치 등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부유식 계류 장치(100)는 4점 계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체인(101)은 상기 부유식 계류 장치(10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부유식 계류 장치(100)는 상기 체인(101)을 늘어뜨려 상기 체인(101)에 걸리는 장력을 줄일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상기 스러스터(150)를 사용해 상기 부유식 잔교(110)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체인(101)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조절하여 장력이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부유식 잔교(110)의 전환된 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천연가스 공급 배관(140)은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과 상기 라이저 파이프(11)를 연결하며,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은 상기 천연가스 공급 배관(140)으로부터 천연가스를 공급 받아 액화시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천연가스 공급 배관(140)은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에 제공된 천연가스 액화 설비(미도시)까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은 액화천연가스와 같이 극저온 상태로 적재되는 액체 화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구비할 뿐만 아니라 부가적으로 천연가스 액화 설비 또는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설비를 구비할 수 있으며, 그 예로서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은 천연가스를 액화시켜 저장하기 위한 다수의 저장탱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저장 탱크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상기 부유식 잔교(110)의 타측에 계류된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으로 전달하기 위한 로딩 암(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딩 암(220)은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의 매니폴드(manifold, 미도시)에 연결되며,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의 저장 탱크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과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딩 암(220)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부유식 잔교(110)의 타측에는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이 계류된다. 여기에서,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은 항구와 상기 부유식 계류 장치(100)를 왕복하는 셔틀(shuttle)일 수 있다.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은 매니폴드가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의 로딩 암(22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부유식 잔교(110)에 계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유식 계류 장치(100)에 의하면,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과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은 해상에서 안전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안전하게 액화천연가스가 전달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부유식 계류 장치(100)가 상기 앵커(102)에 의해 계류된 상태에서,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과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이 각각 상기 부유식 계류 장치(100)에 계류되므로,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과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은 상기 부유식 계류 장치(100)를 매개로 안전하게 해상에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과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이 서로 직접 계류되지 않고, 각각 상기 부유식 계류 장치(100)에 계류되고, 상기 부유식 잔교(110)는 충분히 긴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의 상대적 크기에 관계없이 해상에서 안전하게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과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의 매니폴드가 상기 로딩 암(22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부유식 잔교(110)에 계류할 수 있으므로, 멤브레인 타입 운반선과 모스 타입 운반선 등과 같이 매니폴드의 위치가 서로 다른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이라도 모두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로부터 액화천연가스를 하역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에 터릿 및 해상에서의 선박 대 선박 계류를 위해 별도의 장비를 탑재하거나 부유식 구조물(200) 설계 단계부터 선박과의 계류를 위해 고려되어야 할 조건들이 생략될 수 있기 때문에, 설계 및 제작을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화천연가스의 저장 용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102)에 의해 계류된 상기 부유식 계류 장치(100)에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 및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이 계류된 상태에서 액화천연가스의 전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액화천연가스 전달에 있어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계류 장치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액화천연가스 배관이 더 제공되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계류 장치에 부유식 구조물 및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이 계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부유식 잔교(110)에는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 및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과 동시에 연결 가능한 액화천연가스 배관(170)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액화천연가스 배관(170)은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에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액화천연가스 배관(170)에는 상기 부유식 잔교(11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제 1 배관(171), 상기 제 1 배관(171)에서 분기되어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 2 배관(172), 상기 제 1 배관(171)에서 분기되어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 3 배관(173)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3 배관(172, 173)에는 유동을 단속할 수 있는 밸브(미도시됨)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배관(171)에도 소정 간격으로 밸브(미도시됨)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의 상기 로딩 암(220)은 상기 제 2 배관(172)에 연결되고,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의 매니폴드는 상기 제 3 배관(173)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액화천연가스 배관(170)을 통해 액화천연가스를 전달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액화천연가스 배관(170)과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 및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의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 및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에 연결된 상기 제 2, 3 배관(172, 173)의 밸브만 개방하고 상기 로딩 암(220)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으로 액화천연가스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에 로딩 암(220)을 설치하지 않고, 매니폴드를 설치하여 매니폴드와 상기 제 2 배관(172)를 연결하여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으로 액화천연가스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고가의 상기 로딩 암(220)을 설치하지 않아도 액화천연가스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유식 계류 장치(100)에 의하면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을 상기 부유식 계류 장치(100)의 임의의 위치에 계류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액화천연가스를 하역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의 크기가 크거나, 매니폴드의 설치 위치 때문에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의 로딩 암(220)과 매니폴드의 직접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로딩 암(220)과 매니폴드를 각각 상기 제 2 배관(172) 및 상기 제 3 배관(173)에 연결하여 액화천연가스를 안정적으로 하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계류 장치(100)를 이용하여 부유식 구조물(200)로부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으로 액화천연가스를 하역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부유식 계류 장치를 사용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부유식 계류 장치(100)의 일측에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이 계류된다(S300). 상세히,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은 상기 제 1 계류삭(210)을 이용해 상기 부유식 구조물용 계선주(111)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부유식 잔교(110) 일측에 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에 제공된 천연가스 액화 설비와 상기 천연가스 공급 배관(140)이 연결될 수 있다(S302).
이후,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은 상기 천연가스 공급 배관(140)을 통해 상기 가스정(10)에서 생산되는 천연가스를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천연가스를 액화시켜 액화천연가스를 생성한 후 이를 저장탱크에 저장할 수 있다(S304).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의 천연 가스의 액화 작업 중 또는 액화 작업의 일시 정지 중 또는 액화 작업이 종료된 후, 상기 부유식 계류 장치(100)의 타측에는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이 계류될 수 있다(S306). 상세히,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은 상기 제 2 계류삭(310)을 이용해 상기 운반선용 계선주(113)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부유식 잔교(110) 타측에 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과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은 상기 로딩 암(2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S308). 또는, 도 2에서 설명된 상기 액화천연가스 배관(170)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은 상기 로딩 암(220)을 구동하여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으로 전달한다(S310).
액화천연가스의 전달이 완료되면, 상기 부유식 구조물(200)과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의 연결을 해제하며,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과 상기 부유식 계류 장치(100)의 계류 상태를 해제한다(S312).
계류 해제된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300)은 다른 장소, 예컨대 항구로 이동한 후 제공받은 액화천연가스를 하역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 가스정 100 : 부유식 계류 장치
101 : 체인 102 : 앵커
110 : 부유식 잔교 130 : 부유체
111 : 부유식 구조물용 계선주 113 : 운반선용 계선주
140 : 천연가스 공급 배관 150 : 스러스터
170 : 액화천연가스 배관 200 : 부유식 구조물
210 : 제 1 계류삭 220 : 로딩 암
300 :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310 : 제 2 계류삭

Claims (13)

  1.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이 일측에 계류되고, 액화천연가스를 운반하는 운반선이 상기 부유식 구조물에 대향하는 타측에 계류되는 부유식 잔교;
    상기 부유식 잔교에 연결되며, 해저의 가스정으로부터 천연가스를 뽑아 올리는 라이저 파이프에 연결되는 부유체;
    상기 부유체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라이저 파이프와 상기 부유식 구조물을 연결하는 천연가스 공급 배관; 및
    상기 부유식 잔교에 제공되며, 상기 부유식 구조물과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을 연결하는 액화천연가스 배관이 포함되는 부유식 계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잔교 및 상기 부유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제공되며, 상기 부유식 계류 장치를 이동시키는 추력을 발생시키는 스러스터가 더 포함되는 부유식 계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잔교 및 상기 부유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해저에 매설된 앵커에 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계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는 터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계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잔교 및 상기 부유체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계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잔교의 일측에 제공되며,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이 계류되는 부유식 구조물용 계선주; 및
    상기 부유식 잔교의 타측에 제공되며, 액화천연가스를 운반하는 운반선이 계류되는 운반선용 계선주가 더 포함되는 부유식 계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식 구조물용 계선주 및 상기 운반선용 계선주는 상기 부유식 잔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계류 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천연가스 배관에는,
    상기 부유식 잔교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배관;
    상기 제 1 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부유식 구조물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제 2 배관; 및
    상기 제 1 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제 3 배관이 포함되고,
    상기 부유식 구조물은 상기 제 2 배관 중 일부에 연결되고,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은 상기 제 3 배관 중 일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계류 장치.
  10. 부유식 계류 장치의 부유식 잔교의 일측에 천연가스 액화 설비가 구비된 부유식 구조물을 계류하는 단계;
    상기 부유식 잔교의 타측에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을 계류하는 단계;
    상기 부유식 잔교에 제공된 액화천연가스 배관과 상기 부유식 구조물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액화천연가스 배관과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부유식 구조물로부터 액화천연가스를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부유식 구조물과 상기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유식 계류 장치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00089575A 2010-09-13 2010-09-13 부유식 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방법 Active KR101246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575A KR101246076B1 (ko) 2010-09-13 2010-09-13 부유식 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575A KR101246076B1 (ko) 2010-09-13 2010-09-13 부유식 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790A KR20120027790A (ko) 2012-03-22
KR101246076B1 true KR101246076B1 (ko) 2013-03-21

Family

ID=46132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575A Active KR101246076B1 (ko) 2010-09-13 2010-09-13 부유식 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0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3647B2 (en) 2013-04-12 2018-02-27 Excelerate Liquefaction Solu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floating dockside liquefaction of natural ga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214B1 (ko) * 2013-10-25 2015-05-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하역 위치의 제어가 용이한 부유식 해상구조물
CN106741645A (zh) * 2016-12-19 2017-05-31 中远船务工程集团有限公司 液化天然气运输/加注船靠泊的浮式天然气液化/气化装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1625A (en) 1992-08-24 1996-03-26 Belinsky; Sidney I. Floating terminal
US20050039665A1 (en) * 2001-12-12 2005-02-24 Single Buoy Moorings Inc Weathervaning ling offloading system
US6915753B1 (en) * 2003-03-13 2005-07-12 Bluewater Energy Services Bv Mooring apparatus
US7673577B2 (en) * 2005-03-22 2010-03-09 Single Buoy Moorings Inc. Enhanced side-by-side mooring constru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1625A (en) 1992-08-24 1996-03-26 Belinsky; Sidney I. Floating terminal
US20050039665A1 (en) * 2001-12-12 2005-02-24 Single Buoy Moorings Inc Weathervaning ling offloading system
US6915753B1 (en) * 2003-03-13 2005-07-12 Bluewater Energy Services Bv Mooring apparatus
US7673577B2 (en) * 2005-03-22 2010-03-09 Single Buoy Moorings Inc. Enhanced side-by-side mooring constru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3647B2 (en) 2013-04-12 2018-02-27 Excelerate Liquefaction Solu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floating dockside liquefaction of natural g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790A (ko)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6170B2 (en) Floating LNG regasification facility with LNG storage vessel
AU2006291337B2 (en) A system using a catenary flexible conduit for transferring a cryogenic fluid
US10359229B2 (en)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commissioning system and method
JP5360598B2 (ja) 流体の輸送及び移送
AU2008101305A4 (en) Process, vessel and system for transferring fluids between floating vessels using flexible conduit and releasable mooring system
RU2570854C2 (ru) Носовая станция загрузки с двойной палубой для криогенной текучей среды
JP2005512883A (ja) 単一点係留の再ガス化塔
JP2010509136A5 (ko)
MX2009002474A (es) Transportar y conducir gas natural licuado.
KR100676615B1 (ko) 해상 부유 구조물을 이용한 lng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246076B1 (ko) 부유식 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방법
KR100730701B1 (ko) 부유식 액화 가스 저장선과 액화 천연가스 운반선 사이의 액화 천연가스 이송 수단
KR101483463B1 (ko) 선박의 연안 액화공정 시험 방법
WO2018043587A1 (ja) ガス移送施設、発電施設
AU2021211356B2 (en) Support vessel for assisting in loading fluid hydrocarbon cargo onto a carrier vessel, and related system and method
JP2009191860A (ja) 離島への低温液化ガス配送方法及び装置
KR20200002415A (ko) 파일 고정형 부유식 해상구조물용 액체화물 하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3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