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76615B1 - 해상 부유 구조물을 이용한 lng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해상 부유 구조물을 이용한 lng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615B1
KR100676615B1 KR1020060055931A KR20060055931A KR100676615B1 KR 100676615 B1 KR100676615 B1 KR 100676615B1 KR 1020060055931 A KR1020060055931 A KR 1020060055931A KR 20060055931 A KR20060055931 A KR 20060055931A KR 100676615 B1 KR100676615 B1 KR 100676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ng
natural gas
regasification
liquefied natural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5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배종훈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5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61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17C9/04Recovery of therm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17C7/02Discharging liquefied gases
    • F17C7/04Discharging liquefied gases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2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 F17D1/04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for distribution of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67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 F17C2227/0388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separate
    • F17C2227/0393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separate using a vapori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 부유 구조물을 이용하여 LNG 수송선으로부터 액화천연가스(Liquified Natural GAS; LNG)를 공급받고 그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하여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를 육상으로 공급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LNG 재기화 시스템은, LNG 탱크와 재기화 설비를 갖는 해상 부유 구조물과, 상기 해상 부유 구조물의 재기화 설비를 소요처의 배관에 연결시키는 제 1 배관 연결수단과, LNG 수송선의 화물창으로부터 상기 해상 부유 구조물의 LNG 탱크로 액화천연가스 공급을 위해, 상기 해상 부유 구조물과 상기 LNG 수송선을 분리 가능하게 배관 연결시키는 제 2 배관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해상, 재기화, 액화천연가스, 수송선, LNG, 육상, 연결수단

Description

해상 부유 구조물을 이용한 LNG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LNG REGAS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OFFSHORE FLOATING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부유 구조물을 이용한 LNG 재기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LNG 수송선으로부터 액화천연가스를 공급받아 재기화 처리하는 해상 부유 구조물의 여러 운전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상 부유 구조물을 이용한 LNG 재기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RV 선박 200: LNG 수송선
201: 화물창 101: LNG 탱크
110: 석션드럼 120: 고압펌프
140: 기화기 105: 호스형 커넥터
9': 관절형 커넥터
본 발명은 해상 부유 구조물을 이용하여 LNG 수송선으로부터 액화천연가스(Liquified Natural GAS; LNG)를 공급받고 그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하여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를 육상으로 공급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해상 부유 구조물'은 LNG 수송선으로부터 액화천연가스를 공급받아 재기화시킬 수 있는 구조물로서, 일반적인 의미의 선박, 바지선, 또는 기타 다른 해상 구조물일 수 있다.
근래, 천연가스의 소비량이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또는, 액화된 액화천연가스의 상태로 LNG 캐리어(특히, LNG 수송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액화천연가스는 천연가스를 극저온(대략 -160℃)으로 압축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LNG 수송선은, 액화천연가스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액화천연가스를 하역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액화천연가스의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LNG 탱크(흔히, '화물창'이라 함)를 포함한다. 통상, 이러한 LNG 수송선은 LNG 탱크 내의 액화천연가스를 액화된 상태 그대로 육상에 하역하며, 하역된 LNG는 육상에 설치된 LNG 재기화 설비에 의해 재기화된 후 천연가스의 소비처로 가스배관을 통해 운반된다.
이러한 육상의 LNG 재기화 설비는 천연가스 시장이 잘 형성되어 있어 안정적으로 천연가스의 수요가 있는 곳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경제적으로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천연가스의 수요가 계절적, 단기적 또는 주기적으로 있는 천연가스 소요처의 경우에는, 높은 설치비와 관리비로 인해, 육상에 LNG 재기화 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매우 불리하다.
특히, 자연재해 등에 의해 육상의 LNG 재기화 설비가 파괴될 경우, LNG 수송선이 소요처에 LNG를 싣고 도달한다 하더라도, 그 LNG를 재기화할 수 없다는 점에서 기존 LNG 수송선을 이용한 천연가스 운반은 한계성을 안고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LNG 수송선에 LNG 재기화 설비를 마련하여, 해상에서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하고, 그 재기화를 통해 얻어진 천연가스를 육상으로 공급하는 LNG 수송선이 개발된 바 있으며, 이러한 LNG 수송선은 "RV 선박" "또는 LNG 재기화 선박"으로 칭해지고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이 해상에서 LNG를 재기화하여 육상에 공급하는 선행기술로는 한국특허등록번호 0569621(엑손모빌 오일 코포레이션, 수송선 상에서 액화천연가스를 가스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6546739(Exmar Offshor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offshore LNG regasification), US6578366(Moss Maritime AS, Device for evaporation of liquefied natural gas), US6688114(El Paso Corporation LNG CARRIER, US6598408(El Paso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LNG), KR0467963(강도욱, 앨앤지 알브이의 가스화 장치 운전 방법), US6945049(Hamworthy KSE a.s., Regasification system and method), 한국특허등록 0504237(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저 개구부를 막을 수 있는 차폐수단이 구비된 선박), 한국특허등록 0474522(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수 가열 시스템), 한국특허공개번호 2003-0090686(라이프 호에그 운트 코. 에이에스에이, 선박 및 하역 시스템), 미국특허공개US2005-0061002A(Shipboard regasification for LNG carriers with alternate propulsion plants), 한국특허공개번호 2004-0105801(엑셀레이트 에너지 리미티드 파트너쉽, 개량된 LNG 운반선), 한국실용등록 0410836(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선의 액화천연가스 재기화시스템) 등이 있다.
위와 같은 RV 선박은, LNG 탱크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를 위해 기화기 등의 설비를 선박에 구비하며, 또한, 재기화된 천연가스를 육상 소요처로 공급하기 위해, 시스템 내 배관과 육상 소요처의 가스배관을 연결시키는 연결장치, 그리고, 천연가스의 하역이 이루어지는 동안 선박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선박유지장치 등을 구비한다. 위와 같은 RV 선박은 액화천연가스의 수송과 더불어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를 선박 자체에서 담당하므로, 육상에서의 LNG 재기화 설비의 필요성을 없애주며, 이는 천연가스의 수요가 계절적, 단기적, 또는 주기적으로 있는 천연가스 시장에서 경제적으로 매우 유리하였다.
그러나, RV 선박이 해상에서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하여 육상의 소요처로 공급하는 위의 기술은 일반 LNG 수송선의 이용이 전적으로 배재된다는 점에서 그 범용성이 떨어지는 한계를 안고 있다. 예컨대, 육상 재기화 설비가 마련된 소요처에 액화천연가스를 공급하여 왔던 일반 LNG 수송선은 육상 재기화 설비가 없는 소요처에서는 무용지물이 될 수 밖에 없다.
이에 대해, 종래에는 기화설비가 마련된 해상 플랜트 또는 해상의 부유 구조 물을 이용하여, 그 해상 플랜트 또는 해상 부유 구조물이 LNG 수송선으로부터 액화천연가스를 해상에서 직접 받아 그 액천연가스를 재기화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국내 등록특허 제503509호, 미국특허공개 제2001/20073619호, 미국특허공개 제2004/0187385호, 미국특허 제6546739호 등이 있다.
그러나, 위 종래의 기술 또한 LNG 수송선이 해상 플랜트 또는 해상 부유 구조물의 기화설비에 연결된 상태에서만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및 재기화된 천연가스의 육상 공급이 가능하며, 이는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운전 중에는 LNG 수송선의 이동이 항상 제한됨으로써, 막대한 시간적인 손해와 이에 따른 막대한 경제적인 손해가 불가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해상에 계류한 채 LNG 수송선으로부터 액화천연가스를 받아 재기화하는 해상 부유 구조물을 이용하되, 그 해상 부유 구조물의 재기화 운전 중에 LNG 수송선과 해상 부유 구조물과의 연결 및 분리가 자유롭도록 한 LNG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LNG 탱크 및 재기화 설비를 갖는 해상 부유 구조물을 이용한 LNG 재기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a) LNG 수송선의 화물창으로부터 상기 해상 부유 구조물의 LNG 탱크로 액화천연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해상 부유 구조물과 상기 LNG 수송선을 배관 연결시키는 단계와, (b) 상기 해상 부유 구조물과 상기 LNG 수송선 간의 선택적인 배관 분리 및 연결을 허 용하면서, 상기 재기화 설비가 상기 LNG 탱크로부터 공급된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해상 부유 구조물의 재기화 설비는 LNG 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액화천연가스를 석션드럼에서 일시 저장하고 그 석션드럼에서 공급된 액화천연가스를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승압시키고 그 승압된 액화천연가스를 기화기에서 재기화시킨 후 가스상태의 천연가스를 육상의 배관으로 송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재기화 설비의 운전 상태 및 운전 정지 상태 모두에서 상기 LNG 수송선의 화물창으로부터 상기 해상 부유 구조물의 LNG 탱크로의 액화천연가스 공급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해상 부유 구조물과 상기 LNG 수송선 또는 육상 안벽 사이에 완충 구조물을 위치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LNG 수송선에 받은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하여, 그 재기화된 천연가스를 육상의 배관에 공급하는 LNG 재기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LNG 탱크와 재기화 설비를 갖는 해상 부유 구조물과, 상기 해상 부유 구조물의 재기화 설비를 소요처의 배관에 연결시키는 제 1 배관 연결수단과, LNG 수송선의 화물창으로부터 상기 해상 부유 구조물의 LNG 탱크로 액화천연가스 공급을 위해, 상기 해상 부유 구조물과 상기 LNG 수송선을 분리 가능하게 배관 연결시키는 제 2 배관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해상 부유 구조물의 재기화 설비는, 저압 펌프에 의해 상기 LNG 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액화천연가스를 석션드럼에서 일시 저장한 후 일정 압력으로 내보내는 석션드럼과, 상기 석션드럼으로부터 공급되는 액화천연가스를 고압으로 승압시키기 위한 고압펌프와, 상기 고압펌프에서 승압된 액화천연가스를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로 기화시키기 위한 기화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배관 연결수단은, 선저 개구부를 갖도록 상기 해상 부유 구조물에 제공되는 터릿과, 상기 터릿에 접속되는 부이와, 상기 부이를 지나며, 상기 육상으로 이루어지는 해저 배관과 상기 재기화 설비의 배관을 연결하는 라이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배관 연결수단은, 상기 재기화 설비의 배관과 상기 소요처 배관을 직접 연결하는 관절형 커넥터 또는 호스형 커넥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배관 연결수단은 상기 LNG 수송선의 화물창으로부터 연장된 배관과 상기 해상 부유 구조물의 LNG 탱크로 이어지는 배관을 서로 연결하는 관절형 커넥터 또는 호스형 커넥터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 부유 구조물 및 그 해상 부유 구조물을 이용한 LNG 재기화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LNG 수송선(200)은 천연가스 산지에서 액화된 액화천연가스를 단열구조의 화물창(201)에 저장한 후 원거리의 소요처로 이동하여 온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해상 부유 구조물(100)은 LNG 수송선(200)으로부터 액화천연가스(LNG)를 받아 재기화시키고, 재기화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NG)를 소요처의 배관으로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 RV 선박이지만, 자체 추진 기능이 없이 견인선에 의해 견인되어 해상 임의의 위치에 계류하는 바지선 또는 기타 다른 해상의 구조물일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의 설명에서, 해상 부유 구조물은 'RV 선박'으로 칭하기로 한다. 도시의 편의를 위해, LNG 수송선(200)과 RV 선박(100)이 선수와 선미에서 마주하는 것처럼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도시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RV 선박(100)에서 재기화된 천연가스를 육상으로 공급(즉, 하역)하기 위해, 해저 가스 배관을 이용하는 방식, 또는, 해저 가스 배관 없이 직접 선박의 가스 배관과 육상의 배관(특히, 육상 안벽에 설치된 배관)을 연결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육상의 소요처로부터 이어진 해저 가스 배관(7)을 이용하는 방식, 그 중에서도, 해저의 부이(4)가 RV 선박(100)의 터릿(3)에 접속되고, 그 부이(4)가 라이저(riser; 9)에 의해 RV 선박(100)의 배관 및 해저 터미널(6)에 연결된 STL(Submerged Turret Loading) 방식이 이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위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수단, 즉, 터릿(3), 부이(4), 라이저(9) 등을 포함하는 배관 연결수단에 의해, RV 선박의(100)의 재기화 설비를 소요처의 배관(해저 가스배관, 육상 가스배관을 포함)에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RV 선박(100)은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하는 재기화 설비(10)를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고 액화천연가스 저장을 위한 LNG 탱크(101)를 더 포함한다. 이 LNG 탱크(101)는 LNG 수송선(200)의 화물창(201)으로부터 액화천연가스를 받아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재기화 설비(10)는 LNG 탱크(101) 내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시키는데 이용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LNG 수송선(200)의 화물창(201)과 RV선박(100)의 LNG 탱크(101)의 배관 연결을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이 수단은 화물창(201) 출구 측의 배관(202)과 LNG 탱크(101) 입구 측의 배관(102)을 연결하는 호스형 커넥터(105)를 포함한다. 상기 호스형 커넥터(105)는 액화천연가스의 극저온에 견딤과 동시에 해상에 떠 있는 LNG 수송선(200) 및 RV 선박(100)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를 어느 정도 허용할 수 있도록 유연성(flexibility)을 갖는다. 또한, 상기 호스형 커넥터(105)의 양단에 연결되는 상기 배관(102, 202)들 각각에는 상기 호스형 커넥터(105)의 선택적인 연결, 분리, 그리고, 액화천연가스의 선택적인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밸브들(103, 203)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LNG 수송선(200)의 화물창(201)에는 액화천연가스를 RV 선박(100)의 LNG 탱크(101)로 보내기 위한 제 1 저압펌프(206)가 마련되며, 상기 RV 선박(100)의 LNG 탱크(101)에는 액화천연가스를 RV 선박(100) 선상의 재기화 설비(10)로 보내기 위한 제 2 저압펌프(107)가 마련된다.
상기 재기화 설비(10)는 제 2 저압펌프(107)에 의해 LNG 탱크(101)로부터 끌어올려진 액화천연가스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석션드럼(110)과, 상기 석션드럼(110)으로부터 공급되는 액화천연가스를 고압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고압펌프(120)와, 고압펌프(120; 하나만이 도시됨)들 각각에서 승압되어 공급된 액화천연 가스를 열교환 매체를 이용하여 재기화시키는 복수의 기화기(140)를 포함한다.
상기 기화기(140)의 열교환 매체로는 해수 또는 청수를 이용하거나, 그 해수 또는 청수와 함께 열교환 매체(예컨대, 프로판, 에탄, 암모니아)를 이용할 수 있다(US 6945049호에 개시됨).
이 때, 상기 석션드럼(110)은, 통상 복수개로 이루어진 LNG 탱크 내의 액화천연가스의 제어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내부 압력 및/또는 액화천연가스의 레벨의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에 따라, 본 실시예의 RV 선박(100)은 LNG 수송선(200)과 배관이 연결되거나 분리된 상태에 구애받지 않고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하여 육상의 소요처로 공급할 수 있다. 즉, 상기 RV 선박(100)은 자체의 LNG 탱크(101) 내에 액화천연가스가 채워져 있다면 항시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하여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를 육상의 소요처로 공급할 수 있다. 이는 RV 선박(100)의 재기화 운전 상태와 재기화 운전의 정지 상태 모두에서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운전이 가능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경제적인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및 천연가스의 육상 공급(즉, 하역)이 가능하게 해준다.
도 2의 (a), (b), (c)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RV 선박(100)이 재기화 운전을 하지 않은 상태로 LNG 수송선(200)으로부터 액화천연가스를 공급받는 제 1 상태를 보여준다. 이 때, RV 선 박(100)은 자체의 LNG 탱크(101; 도 1에 도시됨)에 액화천연가스를 채우기만 한다.
도 2의 (b)는 RV 선박(100)이 LNG 수송선(200)으로부터 액화천연가스를 공급받아 자체의 LNG 탱크(101)에 채움과 동시에 자체 LNG 탱크(101)의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하여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를 육상의 소요처로 공급하는 제 2 상태를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도 2의 (c)는, RV 선박(100)이 LNG 수송선(200)으로부터 액화천연가스를 공급받는 작용을 하지 않고서, 다만, LNG 탱크(101)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 하여 육상의 소요처로 천연가스를 공급하는 제 3 상태를 보여준다.
도 2의 (a) 내지 (c)와 같이, 본 시스템의 RV 선박(100)은 LNG 수송선(200)과 연결 및 분리된 상태 모두에서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운전이 가능하고, 또한, 재기화 운전 중 및 재기화 운전이 정지된 상태 모두에서 LNG 수송선(200)으로부터 액화천연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LNG 수송선(200)의 화물창(201)으로부터 RV 선박(100)의 LNG 탱크(201)로 액화천연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RV 선박(100)과 상기 LNG 수송선(200)을 배관 연결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배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RV 선박(100)과 상기 LNG 수송선(200) 간의 선택적인 배관 분리 및 연결을 허용하면서, 상기 RV 선박(100)은 자체 재기화 설비(10)를 이용해 자체 LNG 탱크(101)로부터 공급된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시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를 육상에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을 참조하면, RV 선박(100)의 재기화 설비(10)와 육상의 배관(특히, 육상 안벽에 설치된 배관; 8) 사이에 관절형 커넥터로 이루어진 배관 연결수단(9'; 이하, '관절형 커넥터')이 제공된다. 해저를 거치지 않고 RV 선박(100)의 재기화 설비(10)와 육상의 배관(8)을 바로 연결하는 관절형 커넥터(9')의 이용을 통해, 앞선 실시예의 해저 배관 및 부이의 필요성을 없애줄 수 있다. 이 때, 상기 관절형 커넥터(9')는, RV 선박(100)이 해상 움직임을 어느 정도 허용하도록 관절형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RV 선박(100)과 LNG 수송선(200)을 배관 연결하는 호스형 커넥터(105) 대신에 관절형 커넥터가 대체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RV 선박(100)과 육상 안벽과의 사이 그리고, RV 선박(100)과 LNG 수송선(200)과의 사이에는 완충구조물(5a, 5b)이 위치되며, 이 완충구조물(5a, 5b)에 의해, RV 선박(100)과 LNG 수송선(200) 사이의 부딪힘, 그리고, RV 선박(100)과 안벽 사이의 부딪힘에 의한 충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 또는 수정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 LNG 수송선의 이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그 범용성이 뛰어나다. 예컨대, 육상 재기화 설비가 마련된 소요처에만 액화천연가스를 공급하여 왔던 일반 LNG 수송선이 육상 재기화 설비가 없는 소요처에 천연가스 하역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점에서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일반 LNG 수송선과 RV 선박(또는, 해상 부유 구조물)이 배관 연결된 상태에서 재기화 운전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 배관 연결이 해제된 상태, 즉, LNG 수송선과 RV 선박이 분리된 상태에서도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 운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경제적으로 그리고 시간적으로 매우 유리하다.

Claims (10)

  1. 해상에 떠 있고 LNG 탱크 및 재기화 설비를 갖는 해상 부유 구조물을 이용한 LNG 재기화 방법으로서,
    (a) 상기 LNG 수송선의 화물창과 상기 해상 부유 구조물의 LNG 탱크를 배관 연결하여, 상기 화물창 내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상기 LNG 탱크 내로 공급하는 단계와;
    (b) 상기 화물창과 상기 LNG 탱크 사이의 선택적인 배관 분리 및 연결을 허용하면서, 상기 LNG 탱크 내로 공급된 액화천연가스를 상기 재기화 설비에서 재기화하여 소요처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화물창과 상기 LNG 탱크 사이의 배관이 분리된 상태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재기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상 부유 구조물의 재기화 설비는 LNG 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액화천연가스를 석션드럼에서 일시 저장하고 그 석션드럼에서 공급된 액화천연가스를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승압시키고 그 승압된 액화천연가스를 기화기에서 재기화시킨 후 가스상태의 천연가스를 육상의 배관으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재기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기화 설비의 운전 상태 및 운전 정지 상태 모두에서 상기 LNG 수송선의 화물창으로부터 상기 해상 부유 구조물의 LNG 탱크로의 액 화천연가스 공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재기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상 부유 구조물과 상기 LNG 수송선 또는 육상 안벽 사이에 완충 구조물을 위치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재기화 방법.
  5. LNG 수송선으로부터 받은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하여, 그 재기화된 천연가스를 육상의 배관에 공급하는 LNG 재기화 시스템에 있어서,
    해상에 떠 있으며, LNG 탱크와 재기화 설비를 갖는 해상 부유 구조물과;
    상기 해상 부유 구조물의 재기화 설비를 소요처의 배관에 연결시키는 제 1 배관 연결수단과;
    상기 LNG 수송선의 화물창으로부터 상기 해상 부유 구조물의 LNG 탱크로의 액화천연가스 공급을 위해, 상기 화물창과 LNG 탱크 사이를 분리가능하게 배관 연결하는 제 2 배관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화물창과 상기 LNG 탱크 사이가 배관 연결된 상태와 배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액화천연가스의 재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재기화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해상 부유 구조물의 재기화 설비는,
    저압 펌프에 의해 상기 LNG 탱크로부터 공급받은 액화천연가스를 석션드럼에서 일시 저장한 후 일정 압력으로 내보내는 석션드럼과,
    상기 석션드럼으로부터 공급되는 액화천연가스를 고압으로 승압시키기 위한 고압펌프와,
    상기 고압펌프에서 승압된 액화천연가스를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로 기화시키기 위한 기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재기화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관 연결수단은,
    선저 개구부를 갖도록 상기 해상 부유 구조물에 제공되는 터릿과,
    상기 터릿에 접속되는 부이와,
    상기 부이를 지나며, 상기 육상으로 이루어지는 해저 배관과 상기 재기화 설비의 배관을 연결하는 라이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재기화 시스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관 연결수단은, 상기 재기화 설비의 배관과 상기 소요처 배관을 직접 연결하는 관절형 커넥터 또는 호스형 커넥터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재기화 시스템.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관 연결수단은 상기 LNG 수송선의 화물창으로부터 연장된 배관과 상기 해상 부유 구조물의 LNG 탱크로 이어지는 배관을 서로 연결하는 관절형 커넥터 또는 호스형 커넥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재기화 시스템.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해상 부유 구조물과 상기 LNG 수송선 또는 육상 안벽 사이에 제공되는 완충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 재기화 시스템.
KR1020060055931A 2006-06-21 2006-06-21 해상 부유 구조물을 이용한 lng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Active KR100676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931A KR100676615B1 (ko) 2006-06-21 2006-06-21 해상 부유 구조물을 이용한 lng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931A KR100676615B1 (ko) 2006-06-21 2006-06-21 해상 부유 구조물을 이용한 lng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6615B1 true KR100676615B1 (ko) 2007-01-30

Family

ID=38015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931A Active KR100676615B1 (ko) 2006-06-21 2006-06-21 해상 부유 구조물을 이용한 lng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661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233B1 (ko) 2008-02-11 2011-12-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탄화수소 액화가스의 재기화 장치 및 방법
KR101239335B1 (ko) 2010-11-09 2013-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재기화 설비의 테스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선박
KR101240739B1 (ko) 2010-10-12 2013-03-07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자연기화가스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45643B1 (ko) * 2011-05-04 2013-03-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고압가스 분사엔진용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및 공급 방법
KR101479486B1 (ko) * 2013-06-29 2015-01-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재기화 실시간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CN105109629A (zh) * 2009-04-17 2015-12-02 埃克赛勒瑞特能源有限合伙公司 Lng的码头船对船传输
KR20160054745A (ko) * 2014-11-07 2016-05-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자원생산 부분처리 해상구조물
US9919774B2 (en) 2010-05-20 2018-03-20 Excelerate Energy Limited Partnership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LNG cargo tanks
CN111237643A (zh) * 2020-03-09 2020-06-05 中国石油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近海固定式液化天然气平台的预处理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4299A (ko) * 2001-12-12 2004-07-16 엑손모빌 업스트림 리서치 캄파니 단일 지점 계류용 재가스화 해양 설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4299A (ko) * 2001-12-12 2004-07-16 엑손모빌 업스트림 리서치 캄파니 단일 지점 계류용 재가스화 해양 설비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233B1 (ko) 2008-02-11 2011-12-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탄화수소 액화가스의 재기화 장치 및 방법
CN105109629A (zh) * 2009-04-17 2015-12-02 埃克赛勒瑞特能源有限合伙公司 Lng的码头船对船传输
US9919774B2 (en) 2010-05-20 2018-03-20 Excelerate Energy Limited Partnership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LNG cargo tanks
KR101240739B1 (ko) 2010-10-12 2013-03-07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자연기화가스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39335B1 (ko) 2010-11-09 2013-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재기화 설비의 테스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선박
KR101245643B1 (ko) * 2011-05-04 2013-03-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고압가스 분사엔진용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및 공급 방법
KR101479486B1 (ko) * 2013-06-29 2015-01-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재기화 실시간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160054745A (ko) * 2014-11-07 2016-05-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자원생산 부분처리 해상구조물
CN111237643A (zh) * 2020-03-09 2020-06-05 中国石油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近海固定式液化天然气平台的预处理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9229B2 (en)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commissioning system and method
KR100676615B1 (ko) 해상 부유 구조물을 이용한 lng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722792B1 (ko) 부두에서 선박과 선박의 lng 이송
US7318319B2 (en) Apparatus for cryogenic fluids having floating liquefaction unit and floating regasification unit connected by shuttle vessel, and cryogenic fluid methods
US8959931B2 (en) Transporting and managing liquefied natural gas
US8448673B2 (en) Transporting and transferring fluid
US20080295526A1 (en) Floating lng regasification facility with lng storage vessel
KR101388871B1 (ko) 가스 및 전기 생산설비가 구비된 부유식 엘엔지 급유시설
KR100779780B1 (ko) 누출 lng를 수용하는 안전용기를 구비한 lng 선박
KR100779779B1 (ko) Lng 재기화 선박용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의취급방법
KR101246076B1 (ko) 부유식 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의 하역 방법
KR100701398B1 (ko) Lng 재기화 선박의 터릿에 설치되는 선체 변형 방지용 스프레이 장치 및 상기 스프레이 장치를 이용한 선체 변형 방지 방법
KR102130715B1 (ko) 선박의 연안 가스 테스트 방법
KR102262123B1 (ko) 액체화물 수송 시스템
KR100678842B1 (ko) 터릿에 설치되는 소방장치를 구비한 lng 선박 및 상기 소방장치를 이용한 화재 진화 방법
KR20080013223A (ko) Lng 재기화 선박의 해상 lng 재기화 및 lng송출방법
KR100804907B1 (ko) Lng 재기화 선박의 라이저 장치 및 그것의 설치방법
KR100747408B1 (ko) 연질관을 구비한 lng 선박
Denney CNG solution for offshore gas transpor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2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8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30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