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252B1 - Masonry construction methods and construction stone units - Google Patents
Masonry construction methods and construction stone uni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45252B1 KR101245252B1 KR1020120140582A KR20120140582A KR101245252B1 KR 101245252 B1 KR101245252 B1 KR 101245252B1 KR 1020120140582 A KR1020120140582 A KR 1020120140582A KR 20120140582 A KR20120140582 A KR 20120140582A KR 101245252 B1 KR101245252 B1 KR 1012452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struction
- stone
- natural stone
- natural
- support ro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0832 Ayo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122 Cucurbi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54 Cucurbita mosch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04 Cucurbita pepo subsp pep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36 pumpk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16—Flat foundations made mainly from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절개지 혹은 경계면 등에 설치되는 석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연석에 의한 시공석 유닛을 이용하여 석축을 시공하되, 시공지에 대하여 콘크리트 기초부를 형성하고 상기 기초부에 대하여 시공석 유닛을 순차적으로 쌓아 올리며 지지로드와 걸림수단이 묻히도록 구획수단의 후측으로 채움석을 투입하고, 상기의 구획수단의 전측으로는 급수관을 형성한 상태에서 복토작업을 통해 토사층을 형성하며, 노출되는 자연석의 사이 틈새로는 씨앗을 갖는 식생재를 채워넣어 상기 급수관에 의한 살수 및 토사층으로 인해 씨앗이 발아되며 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모양을 갖는 자연석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쌓아올릴 수 있어 시공기간의 단축으로 인한 경제적 효과를 연출하는 것이고, 자연석에 대한 견고한 시공 지지력으로 인해 시공 하자를 방지할 수 있어 우수한 시공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며, 자연석의 사이 틈새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더욱 친환경적인 외관을 연출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이용하여 구조물 및 건축물의 주변 경관을 미려하게 조성할 수 있는 것이며, 자연석의 틈새를 통해 내부 채움석이나 우수 등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 예방은 물론 석축 주변이 오염되거나 인접지에 위해를 가하지 아니하므로 매우 안전하고도 미려한 외관을 연출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onry installed in various incisions or interfaces, and more particularly, to construct a masonry using a construction stone unit made of natural stone, to form a concrete foundation for the construction site and to construct a construction stone unit for the foundation. Stacked sequentially, the filling stone is introduced into the rear side of the partition means so that the supporting rod and the locking means are buried, and the front side of the partition means forms a soil layer through the cover work in the state of forming a water supply pipe, As the gap between them is filled with vegetation material having seeds, the seeds germinate due to the watering and soil layer by the water pipe, and the plants can grow, so that natural stones having various shapes and shapes can be stacked quickly and efficiently. It is economical effect by shortening of period, and is solid for natural stone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struction defects due to the support of construction, and to provide excellent construction quality.As a result, various kinds of plants can be grown from gaps between natural stones to produce more eco-friendly appearance and various kinds of plants. It can be used to create a beautiful landscape around structures and buildings, and to prevent the discharge of interior filled stones or rainwater through the gaps between natural stones. Since it is not added, it has the effect of producing a very safe and beautiful appearance.
Description
본 발명은 각종 절개지 혹은 경계면 등에 설치되는 석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연석을 이용하여 수직 혹은 경사진 형태의 석축을 시공하되, 상기 자연석은 지지로드 및 구획수단과 걸림수단이 결합된 상태로의 시공석 유닛으로 구비되어 있어 이들 시공석 유닛을 이용하여 미려하고 친환경적인 석축을 시공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자연석의 사이에 토사층을 통해 자생이 가능한 식생재를 투입함에 따라 자연미가 뛰어난 상태의 석축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asonry installed in various incisions or boundaries, and more particularly, to construct a vertical or inclined masonry using natural stone, the natural stone is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rod and the partition means and the locking means are coupled As it is equipped with the construction stone uni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beautiful and eco-friendly stone structures using these construction stone units, and to insert natural vegetation materials that can grow naturally through the soil layer between natural stones. It is to be constructed.
일반적으로 각종 구조물 혹은 건축물 등의 경계면 혹은 절개지 등에는 수직 혹은 경사진 형태의 석축이 시공되는 것이고, 강이나 호수 또는 해안 등의 수변 및 기타 저류지와 절개지 등의 사면에도 다양한 형태의 석축이 시공되는 것이다.In general, vertical or inclined masonry is constructed at the boundary or incision of various structures or buildings, and various types of masonry are also constructed at the waterfront of rivers, lakes, coasts, and other reservoirs and incisions. .
이와 같은 석축은 각종 동식물의 서식처로 다양하고 복잡한 생태계를 이루고 있었지만, 현대화된 삶에 의해 도심지 내에서는 오염물질이 대량으로 배출되었고 그에 따른 각종 공사가 진행됨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 또는 콘크리트 블록에 의한 석축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녹지면적이 점점 감소하여 생태계의 파괴는 극에 달하고 있는 실정이다.Although these masonry forms a diverse and complex ecosystem of habitats for various animals and plants, modern buildings have led to the release of large amounts of pollutants in urban areas, and as a result of various constructions, concrete masonry or concrete blocks are mainly used. Green area is gradually decreasing and the destruction of ecosystem is reaching the extreme.
특히,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양생물에 의한 석축은 인공적인 형태의 외관을 그대로 노출하고 있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므로 근자에 들어서는 자연석을 이용한 석축이 각광받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the stone masonry by the above-mentioned concrete nutrients are exposed to the artificial form as it is, the appearance is not beautiful, so the stone masonry using natural stone in the roots is in the spotlight.
이때, 상기와 같이 자연석을 이용한 석축은 둥글고 비슷한 모양을 갖고 있는 자연석을 채집하여 이를 순차적으로 쌓아 올려 석축을 완성하게 되는 것인데, 자연석은 수직 및 경사진 상태로 그대로 쌓아 올리기가 매우 힘이 들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 및 구조를 갖는 결합수단을 적용하게 되는 것으로서, 대표적으로는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에는 자연석의 일측이 그대로 보여지도록 하는 반면 내부에는 여전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의 자연석이 콘크리트와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t this time, the stone masonry using natural stone as described above is to collect the natural stone having a round and similar shape and pile them up sequentially to complete the stone masonry, since the natural stone is very difficult to stack as it is in a vertical and inclined state. As a coupling means having a shape and a structure is applied, typically, one side of the natural stone is seen as it is on the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the concrete is still poured inside so that the natural stone can be fixedly coupled with the concrete. have.
또한, 근래에는 자연석에 앵커볼트를 고정 형성한 후 상기의 앵커볼트를 와이어 메쉬 또는 종횡의 지지대에 걸어 고정하는 형태로의 석축이 시공되고 있으나, 이 역시 작업시 상당한 주의와 정밀도를 요구하는 것은 물론 자연석의 하중으로 인해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자연석이 불규칙하게 돌출되거나 처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시공 하자에 따른 보수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이 막대한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the anchoring is formed in the form of fixing the anchor bolt to the natural stone and then fastening the anchor bolt to the wire mesh or vertical support, but this also requires considerable attention and precision when working When the time passes due to the load of natural stone, the problem arises that the natural stone protrudes or sags irregularly, and thus the economic loss due to repairs due to construction defects is enormous.
더욱이, 상기와 같이 자연석을 이용한 석축의 경우 불규칙한 모양을 갖고 있는 자연석의 사이사이 틈새로 내부의 채움석이 쏟아져 나오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은 물론 석축 내부로 스며든 빗물이 자연석의 사이사이 틈새로 토출되면서 석축에 대한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것은 물론 석축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는 것이며, 보행자 및 인접 구조물에 위해를 가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Moreover, in the case of the stone shaft using natural stone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frequent cases of filling stones inside as gaps between natural stones having irregular shapes, as well as the rainwater that penetrated into the stone shafts is discharged into the gaps between natural stones. As a result, the durability of the masonry is reduced, as well as contaminating the surrounding masonry, and it is acting as a cause of harm to pedestrians and adjacent structures.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자연석에 지지로드와 구획수단 및 걸림수단이 결합된 상태의 시공석 유닛을 구비하여 이를 이용하여 석축을 시공하되, 시공지에 대하여 콘크리트 기초부를 형성하고 상기 기초부에 대하여 시공석 유닛을 순차적으로 쌓아 올리며 지지로드와 걸림수단이 묻히도록 구획수단의 후측으로 채움석을 투입하고, 상기의 구획수단의 전측으로는 급수관을 형성한 상태에서 복토작업을 통해 토사층을 형성하며, 노출되는 자연석의 사이 틈새로는 씨앗을 갖는 식생재를 채워넣어 상기 급수관에 의한 살수 및 토사층으로 인해 씨앗이 발아되며 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provided with a construction stone unit of the support rod and the partition means and the locking means in a natural stone construction using this to build a stone shaft, to form a concrete foundation for the construction site By stacking the construction stone units sequentially with respect to the base portion, the filling stone is introduced into the rear side of the partition means so that the supporting rod and the locking means are buried, and through the cover work in the state where the water supply pipe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partition means. As the soil layer is formed, the gap between the exposed natural stone is filled with vegetation material having seeds so that the seeds germinate due to the water spray and soil layer by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plant can grow.
자연석의 사이마다 성장하는 식물에 의해 친환경적이면서도 미려한 외관을 갖는 석축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자연석에 대한 시공 지지력이 우수하여 시공 하자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고,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성장시킬 수 있어 구조물 및 건축물 주변에 대하여 미려한 조경 효과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한 자연석을 이용한 석축 시공방법 및 석축 시공을 위한 시공석 유닛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Plants growing between natural stones can complete the stonework with eco-friendly and beautiful appearance, as well as excellent construction support for natural stones, so construction defects do not occur, and various kinds of plants can be grow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natural stone and a construction stone unit for construction of a stone construction to produce a beautiful landscaping effect around a building.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공지의 바닥부에 최하단에 위치하게 될 자연석이 올려질 콘크리트 기초부를 형성하고,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의 상부로부터 자연석에 의한 시공석 유닛을 순차적으로 쌓아올리되, 상기의 시공석 유닛은 자연석의 일측으로 지지로드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로드에는 구획수단과 걸림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시공석 유닛을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쌓아올리면서 구획수단의 후측으로 지지로드와 걸림수단이 묻히도록 채움석을 포설하고, 자연석과 구획수단의 사이에는 급수관을 설치한 상태에서 복토작업에 의한 토사층을 형성하며, 전면으로 노출되는 자연석의 사이 틈새에는 씨앗을 갖는 식생재를 채워넣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o form a concrete foundation on which the natural stone to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onstruction site is placed on the bottom, and sequentially pile the construction stone unit by the natural stone from the top of the concrete foundation The construction stone unit has a support rod coupled to one side of the natural stone, and the support rod is provided with a partitioning means and a locking means, and the support rod is stacked on the rear side of the partition means while stacking the construction stone unit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nd a filling stone is installed so that the locking means is buried, and a soil layer is formed by cover work with a water supply pipe installed between the natural stone and the partition means, and the vegetation material having seeds is filled in the gap between the natural stone exposed to the front. This is done by sequentially putting the process.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과 모양을 갖는 자연석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쌓아올릴 수 있어 시공기간의 단축으로 인한 경제적 효과를 연출하는 것이고, 자연석에 대한 견고한 시공 지지력으로 인해 시공 하자를 방지할 수 있어 우수한 시공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며, 자연석의 사이 틈새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더욱 친환경적인 외관을 연출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이용하여 구조물 및 건축물의 주변 경관을 미려하게 조성할 수 있는 것이며, 자연석의 틈새를 통해 내부 채움석이나 우수 등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 예방은 물론 석축 주변이 오염되거나 인접지에 위해를 가하지 아니하므로 매우 안전하고도 미려한 외관을 연출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a natural stone having a variety of shapes and shapes quickly and efficiently to produce an economic effect due to the shortening of the construction period,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struction defects due to the solid construction support for the natural stone excellent construction quality By providing various types of plants to grow from gaps between natural stones, they can not only produce more eco-friendly appearance but also create beautiful scenery around structures and buildings using various kinds of plants. It is possible to prevent internal filling stones or rainwater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gap between natural stones, thus preventing safety accidents and contaminating the surroundings of the stonework or causing no damage to adjacent areas, thus creating a very safe and beautiful appearance. Will ha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축 시공 과정을 보인 공정별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석축 시공 과정을 보인 시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석축의 시공 완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형 석축의 시공 완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석축의 정면 전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석축에 대하여 식물이 성장한 상태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석 유닛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석 유닛의 타실시예를 보인 사시도1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the process showing the construction process ston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structio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one constru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struction completeness of the vertical stonework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 is a construction completeness of the inclined mason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elevational view of a stone sh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plants are grown for the mason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struction ston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struction ston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and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축 시공 과정을 보인 공정별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석축 시공 과정을 보인 시공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석축의 시공 완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for each process showing a stone constru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2 is a constructio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one constru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is a construction completeness of the vertical stone shaft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석축 시공방법은, 우선 석축을 시공하고자 하는 시공지의 바닥부에 대하여 콘크리트에 의한 기초부(100)를 형성하는 것인데, 상기의 기초부(100)는 둥글고 넓적한 형태의 자연석이 안정적으로 안치 및 지지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물론 상기와 같은 기초부(100)에 의해 불규칙한 바닥면을 고르게 만들어 일정하고 균일한 높이와 외장을 연출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것이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ton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rst form the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기초부(100)가 완성되면 상기의 콘크리트 기초부(100)의 상부로부터 자연석에 의한 시공석 유닛을 쌓아올리게 되는 것인데, 상기의 시공석 유닛은 비슷한 모양과 크기를 갖는 호박 형태의 자연석으로부터 일측에 지지로드(20)가 결합 및 고정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의 지지로드(20)에는 각기 구획수단(30)과 걸림수단(40)이 이격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은 시공석 유닛의 자연석(10)이 콘크리트 기초부(100)의 상부에 올려진 상태로 하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쌓아올리되, 상기와 같은 구획수단(30)의 후측인 지지로드(20)와 걸림수단(40)이 충분히 묻히도록 채움석(110)을 동시에 포설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ile the
즉, 단일층의 시공석 유닛을 쌓아올린 후 해당 시공석 유닛의 높이만큼의 채움석(110)을 포설하고 다시 상부층에 대하여 시공석 유닛을 쌓아올린 후 다시 채움석(110)을 포설하는 것과 같이 시공석 유닛과 채움석 포설을 순차적으로 병행하면서 목적하는 높이의 석축을 쌓아올리면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after stacking a single-layer construction stone unit, the
이어, 상기와 같은 구획수단(30)의 전측인 자연석(10)과 구획수단(30)의 사이에는 급수관(120)을 삽입하여 종,횡 방향으로 배관한 상태에서 이들 자연석(10)과 구획수단(30)의 비어있는 틈새를 복토작업에 의한 토사층(130)으로 메우면 되는 것이다.Subsequently, the
이때, 상기와 같은 시공석 유닛에 의한 자연석(10)은 지지로드(20)와 구획수단(30) 및 걸림수단(40)이 고중량체인 채움석(110)에 의해 상당한 하중을 받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호 간의 결합 고정이나 단독의 고정수단이 없이도 견고한 고정 설치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은 시공석 유닛에 의한 석축은 수직형으로 세워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고, 절개사면과 같은 지형에서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경사진 형태로의 시공도 가능한 것이다.The stone masonry by such a construction stone unit may be installed vertically upright, and in a terrain such as an inclined slope, construction in an inclined form as shown in FIG. 4 is also possible.
또한, 상기와 같이 상하 및 좌우로 연속하여 배열되는 시공석 유닛에 의해 석축의 전면으로 드러난 자연석(10)의 사이 틈새마다 씨앗을 포함하고 있는 식생재(140)를 도 5의 도시와 같이 채워넣게 되는 것인데, 상기의 식생재는 천연의 펄프 혹은 솜 등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씨앗을 갖고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o fill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은 식생재 내에 포함되어 있는 씨앗은 식생재로부터 수분을 공급받아 발아하게 되는 것이고, 이들 씨앗의 뿌리는 토사층(130)을 이용하여 활착되면서 식물이 성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식물이 충분히 성장을 하게 되면 도 6의 도시와 같이 석축 전체가 푸름을 갖는 자연 친화적인 형태로 뒤바뀌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seeds contained in the vegetation as described above is to germinate by receiving moisture from the vegetation, the roots of these seeds will be able to grow as the roots of the soil using the
특히, 상기와 같은 식생재(140)의 씨앗을 건축물이나 구조물 또는 석축의 시공지에 대응하는 가장 적합한 형태의 종류로 선택 적용함에 따라 보다 다채로운 식물이 성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상기 급수관(120)을 통해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함에 따라 상기의 식물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by selectively applying the seeds of the
또한, 상기와 같은 식생재(140)로 인해 자연석(10)의 사이 틈새가 메워진 상태이므로 내부의 토사층(130)이 유실되거나 토출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은 것은 물론 비가 내려 빗물이 석축 내부로 스며드는 상황에서도 상기의 식생재(140) 및 그로부터 성장된 식물에 의해 빗물이 자연석(10)의 사이 틈새로 토출되지 아니하므로 석축 주변이 빗물이나 토사로 인해 오염되거나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gap between the
특히, 상기와 같은 시공석 유닛에 의해 원하는 높이의 석축을 시공한 상태에서 그 상부를 다짐에 의해 그대로 마무리할 수도 있을 것이나, 석축의 붕괴를 방지하고 석축 상부에 보행로 또는 통행로 등을 확보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석축의 상부에 콘크리트에 의한 천단마감층(150)을 추가로 형성함에 따라 석축 상단에 대한 콘크리트 마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상기의 천단마감층(150)에 의해 석축 상부에 대한 마감과 동시에 통행로 또는 보행로 등의 확보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it may be possible to finish the upper part as it is in the state of constructing the stone stack of the desired height by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stone unit, but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stone stack and to secure a walkway or passageway on the upper stone stack. If there is to be a concrete finish for the top of the masonry by forming the
여기서, 상기와 같은 석축을 시공하기 위한 시공석 유닛은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빠르고 효과적인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인데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7의 도시와 같이 자연석(10)의 일측으로부터 금속재 와이어 혹은 봉체로 이루어진 지지로드(20)를 고정 형성하고, 상기 지지로드(20)의 중간부에는 토사층(130)과 채움석(110) 포설부를 구분하기 위한 구획수단(30)을 형성하되, 상기의 구획수단(30)은 사각 형태의 패널을 구비하여 이를 상기 지지로드(20)에 관통 결합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construction stone unit for constructing the stone stack as described above can be made faster and more effective construction through various embodiments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al wire from one side of the
또한, 상기와 같은 지지로드(20)의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수단(40)은 상기와 같은 구획수단(30)과 마찬가지로 사각의 패널을 지지로드(20)의 끝단에 용접 혹은 나사 조립 등에 의한 다양한 방법을 통해 고정 형성하여 된 것으로, 상기의 걸림수단(40)은 채움석(110)과의 간섭으로 인해 자연석(1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locking means 40 formed at the end of the
특히, 상기와 같은 걸림수단(40)은 도 8의 도시와 같이 지지로드(20)의 끝단을 하향 절곡하여 된 절곡걸림부(21)를 형성하고 상기와 같은 절곡걸림부(21)에 대하여 별도의 걸림판(22)을 고정 형성함에 따라 상기의 걸림판(22)이 마치 삽과 같이 체움석(110) 사이로 파고들어가 자리 잡게 되므로 상기의 자연석(10)은 더욱 견고한 지지력을 받아 보다 향상된 설치 고정력을 제공받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locking means 40 as described above forms a bending catching
이때의 걸림판(22)은 절곡걸림부(21)에 대하여 역시 용접이나 볼트 체결 혹은 브라켓을 이용한 결합 고정구조를 통해 상호 고정될 수 있는 것이고, 걸림판(22)의 형상은 횡방향으로의 직사각 형상이 바람직할 것이나, 석축의 규모나 기울기 또는 채움석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모양 및 재질과 두께 등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은 시공석 유닛을 이용하여 시공된 석축은 식물의 성장으로 인해 외관이 매우 미려한 것은 물론 자연석이 갖는 친화적인 느낌으로 인해 매우 고급스러운 것이며, 시공성이 탁월하면서도 견고한 시공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어 시공 품질이 매우 우수한 것이다.
The stone masonry constructed using such a construction stone unit has a very beautiful appearance due to the growth of the plant and is very luxurious due to the friendly feeling of natural stone. It is very excellent.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Examples should be understood.
10 : 자연석
20 : 지지로드 21 : 절곡걸림부
22 : 걸림판
30 : 구획수단
40 : 걸림수단
100 : 콘크리트 기초부
110 : 채움석
120 : 급수관
130 : 토사층
140 : 식생재
150 : 천단마감층10: natural stone
20: support rod 21: bending portion
22: stopping plate
30: compartment means
40: locking means
100: concrete foundation
110: filled stone
120: water supply pipe
130: soil layer
140: vegetation
150: Temple of Heaven Finishing Layer
Claims (7)
상기 시공석 유닛을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쌓아올리면서 구획수단의 후측으로 지지로드와 걸림수단이 묻히도록 채움석을 포설하고, 자연석과 구획수단의 사이에는 급수관을 설치한 상태에서 복토작업에 의한 토사층을 형성하며,
전면으로 노출되는 자연석의 사이 틈새에는 씨앗을 갖는 식생재를 채워넣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을 이용한 석축 시공방법.
Form a concrete foundation on which the natural stone to be placed at the bottom of the construction site is to be placed, and the construction stone unit by the natural stone is sequentially stacked from the top of the concrete foundation, the construction stone unit is supported by one side of the natural stone The rod is coupled and the support rod is provided with partition means and locking means,
A piled stone is installed so that the supporting rod and the locking means are buried in the rear side of the partition means while stacking the construction stone unit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nd the earth and sand layer by the cover work is installed while the water supply pipe is installed between the natural stone and the partition means. Forming,
The ston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natural st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between the natural stone exposed to the front is carried out by sequentially filling the vegetation having a seed.
상부에는 콘크리트에 의한 천단마감층을 더 시공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을 이용한 석축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Masonry construction method using a natural st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top-end finish layer of concrete further.
One side of the natural stone 10 is fixed to the support rod 20, the support rod 20 is formed by combining the partition means 3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natural stone 10, the end of the support rod 20 There is a construction stone unit having a construction means unit is formed by fixing the locking means 40 is stacked to sequentially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construction site for stone construction using natural ston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constructed.
지지로드(20)는, 금속재 강선 또는 강봉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을 이용한 석축 시공을 위한 시공석 유닛.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upport rod 20 is a construction stone unit for masonry construction using natural st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l wire or steel rod.
구획수단(30)은 지지로드(20)를 관통하여 고정되게 한 패널 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을 이용한 석축 시공을 위한 시공석 유닛.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artition means 30 is a construction stone unit for masonry construction using a natural ston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in the panel shape to be fixed through the support rod 20.
결림수단(40)은 지지로드(20)의 끝단에 고정되게 한 패널 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을 이용한 석축 시공을 위한 시공석 유닛.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iffening means 40 is a construction stone unit for masonry construction using a natural ston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in the panel shape to be fixed to the end of the support rod (20).
걸림수단(40)은 지지로드(20)의 끝단을 하향 절곡하여 된 절곡걸림부(21)와 상기 절곡걸림부(21)에 고정 형성된 걸림판(22)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을 이용한 석축 시공을 위한 시공석 유닛.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ocking means 40 is made of a natural sto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by a bending catching portion 21 formed by bending the end of the support rod 20 and a locking plate 22 fixed to the bending catching portion 21. Construction stone unit for building a stone build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0582A KR101245252B1 (en) | 2012-12-05 | 2012-12-05 | Masonry construction methods and construction stone uni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0582A KR101245252B1 (en) | 2012-12-05 | 2012-12-05 | Masonry construction methods and construction stone unit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45252B1 true KR101245252B1 (en) | 2013-03-19 |
Family
ID=48182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40582A Active KR101245252B1 (en) | 2012-12-05 | 2012-12-05 | Masonry construction methods and construction stone unit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525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358274A (en) * | 2014-11-11 | 2015-02-18 | 中煤建筑安装工程集团有限公司 | Construction method of gabion box case barricade |
KR101605024B1 (en) * | 2015-07-24 | 2016-03-21 | (주)리버앤텍 | Construction stone assembly for civl engineering with anti-scouring fun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i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08850B1 (en) | 2001-05-29 | 2003-12-06 | (주)대성 월-스톤 | The Landscape Block With Receiving Rainwater And Construction Method Within Retaining Wall |
JP2004132011A (en) | 2002-10-09 | 2004-04-30 | Seinan Kogyo Kk | Planting block,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planting block and greening method making use of the planting block |
KR100531213B1 (en) | 2003-09-04 | 2005-11-29 | (주) 녹지원 | Method of reinforceing stone wall construction having a possible planting trees |
KR101044221B1 (en) | 2009-04-03 | 2011-06-24 | 한수그린텍 주식회사 | Underground watering system |
-
2012
- 2012-12-05 KR KR1020120140582A patent/KR10124525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08850B1 (en) | 2001-05-29 | 2003-12-06 | (주)대성 월-스톤 | The Landscape Block With Receiving Rainwater And Construction Method Within Retaining Wall |
JP2004132011A (en) | 2002-10-09 | 2004-04-30 | Seinan Kogyo Kk | Planting block,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planting block and greening method making use of the planting block |
KR100531213B1 (en) | 2003-09-04 | 2005-11-29 | (주) 녹지원 | Method of reinforceing stone wall construction having a possible planting trees |
KR101044221B1 (en) | 2009-04-03 | 2011-06-24 | 한수그린텍 주식회사 | Underground watering system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358274A (en) * | 2014-11-11 | 2015-02-18 | 中煤建筑安装工程集团有限公司 | Construction method of gabion box case barricade |
KR101605024B1 (en) * | 2015-07-24 | 2016-03-21 | (주)리버앤텍 | Construction stone assembly for civl engineering with anti-scouring fun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i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17790B1 (en) | Grid-shaped hollow block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dike and construction method of dike using them | |
KR101275615B1 (en) | The Landscape Garden with a Famous Mountain Using Falls, Rock, Tree, Plants and Method Constructing the Garden therewith | |
KR101662690B1 (en) | River Bank Protection Structure made of Polyurethane having Fish Habitat and Porous Plant Hole without Foot Protection Work,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1245252B1 (en) | Masonry construction methods and construction stone units | |
KR101334975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gabion formed on river slopes | |
KR101678127B1 (en) | Block for engineering works | |
KR101250304B1 (en) | Body-supporting vegetational gabion | |
KR100886746B1 (en) | Eco-friendly vegetation wire mesh basket revetment method | |
CN108887070B (en) | Roof greening construction method | |
KR101311313B1 (en) | A vegitation-oriented gabion mat assembly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
KR20130034989A (en) | A soundproof gabion for self-standing | |
JP5270748B2 (en) | Planting base structure | |
KR101167981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protecting device of shade tree by the road side | |
KR101860018B1 (en) | Vegetation with sleeper | |
KR200413303Y1 (en) | Mountain wall structure using steel beam | |
KR100758231B1 (en) | Environmentally friendly sloped block structure for landscaping | |
JP4364063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earth retaining bag and retaining wall | |
KR20120034970A (en) | Gabion blo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gabion block | |
KR101238787B1 (en) | Plant growing gabion and constructional method thereof | |
KR100654629B1 (en) | Plant Vegetation Retaining Wall using Shoring Root Double Wall Structure | |
KR20050043552A (en) | Wall structure with gabion | |
JP2001226992A (en) | Earth retaining block | |
KR19990046526A (en) | A structure for establing a slope and execution method using it | |
KR102404601B1 (en) |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artificial rock | |
US20120260567A1 (en) | Modular planter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2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3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