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37897B1 - 지방 함량이 저감된 라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지방 함량이 저감된 라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897B1
KR101237897B1 KR1020120019786A KR20120019786A KR101237897B1 KR 101237897 B1 KR101237897 B1 KR 101237897B1 KR 1020120019786 A KR1020120019786 A KR 1020120019786A KR 20120019786 A KR20120019786 A KR 20120019786A KR 101237897 B1 KR101237897 B1 KR 101237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en
oil
fried
cotton
minut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원태
조영구
제강모
Original Assignee
허원태
제강모
조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원태, 제강모, 조영구 filed Critical 허원태
Priority to KR1020120019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8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89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23L7/113Parboiled or instant past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면을 유탕처리하지 않고, 끓여진 튀김유를 분사한 후, 바람으로 튀김유를 제거하는 탈유과정을 포함하므로써 지방 함량이 낮은 라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방 함량이 저감된 라면의 제조방법{A Preparation of method Ramen for Reducing fat content}
본 발명은 라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면을 유탕처리하지 않고, 끓여진 튀김유를 분사한 후, 강한 바람으로 튀김유를 제거하는 탈유과정을 포함하므로써 지방 함량이 낮은 라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과 국민소득의 향상과 함께 건강에 대한 의식이 고양되고 있으며, 특히 먹거리에 대한 안전성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는데, 특히 라면의 경우 가격이 저렴하고, 고른 영양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간식 및 주식으로 소비가 많은 대표적 식품이다. 그러나 최근 어린이 및 청소년들이 고열량의 식품을 과다하게 섭취함으로써 비만 및 과체중으로 건강의 위험에서 노출되고 있다. 또한 성인의 경우에도 고혈압 및 심혈관계 환자에게는 라면의 애용을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는 소비량이 많은 라면제품에 있어서 영양 및 성분표시를 의무화하고, 이에 관리를 강화하고 있으며, 일반 학교에서의 판매 및 공급을 제한하고 있다.
유탕라면은 소맥분을 주원료로 하여, 이를 식염, 유화제, 면미소, 계란, 레시틴 등으로 이루어진 첨가제와 함께 혼합 반죽한 후 압연, 절출, 증숙, 납형, 유탕, 냉각의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인스턴트 식품으로서,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조리가 간단하며 먹기가 편하다는 등의 특징으로 인하여 일반 대중에게 알려진 이후 지금까지 대중식으로 널리 선호되고 있는 실정이며, 한국에서 뿐만 아니라 전세계인의 기호식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생산량과 그 수요는 매우 많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유탕라면은 제조공정 중 유탕하는 단계에서, 유탕 온도 130~150℃에서 2~3분간 유탕처리하는데, 그 목적은 라면의 장기 보존을 위해 유탕처리 함으로써 수분을 제거하고, 이 수분이 있었던 곳에 기공이 생김으로써 조리가 빠른 장점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유탕 처리를 하였을 경우, 라면에 18~20% 내외의 지방이 함유케 되어, 라면 한 개당 600~800 칼로리로 고칼로리 식품이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라면을 포함한 인스턴트 식품의 소비가 증가하여, 최근 성인 및 어린이 비만이 증가되고 있고, 비만으로 인한 여러 고지혈관 질환이 급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성인 및 어린이들이 라면을 간식으로 먹을 경우, 고칼로리로 인해 칼로리 조절에 신경을 써야 한다(보통 성인은 1일 2000~2500칼로리를 섭취한다.).
즉, 종래의 라면제조에 있어서 유탕처리의 경우, 고온의 유탕기에서 2~3분간 유탕처리하므로써 유탕기내의 튀김유지의 산패에 따라 유통기한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라면은 고지방 고칼로리 식품으로 성인 및 어린이가 간식으로 즐겨먹을 경우 비만이 우려되고, 고혈압 및 심혈관계 환자에게는 유의가 필요한 식품으로 분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식품산업의 발달과 소득의 증대로 유탕면의 기피 현상과 수요 감소에 따른 건강 지향적인 웰방라면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이에, 유탕처리를 하지 않음으로써 튀김유가 함유되지 않아 담백한 맛을 나타내는 건조라면(비유탕 라면)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건조라면은 유탕처리를 하지 않아 튀김유지로 인한 풍부한 맛을 유지하기 어렵고, 라면의 수분제거를 위한 열풍 건조에 따른 기공축소로 라면의 조리시간이 매우 긴 단점 등이 있다.
따라서 유탕처리에 의한 라면의 장점인 상온에서의 장기 보존이 가능하고, 라면 특유의 「점탄성」,「찰기」,「매끄러움」을 갖고 있으며, 일반 라면과 같이 튀김유의 깊은 맛을 유지하면서도 지방함량이 높지 않아 건강에도 유해하지 않으며, 조리시간이 빠르고, 조리가 편리한 라면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라면 제조방법에서 유탕처리방법을 독창적이고 획기적인 방법으로 개선함으로써, 점탄성, 찰기, 매끄러움 등의 라면의 고유의 특성과 맛을 유지하면서도 라면의 지방함량을 현저히 줄이는 것이 가능하여 고지방으로 인한 고칼로리 식품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고, 조리시간이 빠르고, 장기간 보존성도 겸비할 뿐만 아니라 라면의 지방총량의 조절이 자유자재로 가능하고, 지방 총량 중에서 불포화지방의 함량을 높여 건강한 기호식품으로 한 단계 발전한 라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면의 제조방법은,
(1) 면을 형성하는 제면 단계;
(2) 제조된 면을 증숙하고, 계량, 절단하는 단계;
(3) 상기 (2) 단계에서 제조된 면에 가열한 튀김유를 분사하는 단계;
(4) 상기 튀김유가 분사된 면에 바람을 불어주어 튀김유를 제거하는 탈유단계; 및
(5) 상기 탈유된 면을 열풍 건조시킨 후 냉각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에서의 제면 단계는 특별한 제한이 없이 통상의 라면 제조방법에서 적용되는 공정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맥분 또는 소맥분과 전분을 배합하여 배합원료를 제조하고, 물에 식염 및 간수 중 1종 이상을 용해한 배합수에 유화제 및 식품첨가제를 첨가하여 혼합수를 만들고, 상기 제조된 배합원료와 상기 혼합수를 혼합하여 생지를 제조하고, 이 생지를 이용하여 면대를 만든 후, 상기 면대를 연속적으로 압연하여 면선으로 절단하거나, 또는 웨이브를 형성하는 과정에 따라 라면용 면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에서의 증숙 공정은 특별한 제한이 없이 통상의 라면 제조방법에서 적용되는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숙기에서 약 100℃의 온도로 5~10분간 증숙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3) 단계의 튀김유를 분사하는 단계에서, 130~160℃의 온도로 가열된 튀김유를 1~3분 동안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튀김유의 온도가 130~160℃를 벗어나면 라면의 풍부한 맛을 유지하기 어려워 바람직하지 않고, 튀김유 분사시간이 1분 미만이면 튀김유가 면에 충분히 적용되지 않아 라면의 맛이 풍부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고, 3분을 초과하면 면의 수분이 많이 증발하여 튀김유가 자리함으로써 지방함량이 높은 라면이 되고, 또한 수분의 부족으로 라면의 찰기와 매끄러움 등의 물성이 좋지 않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튀김유로는, 포화지방을 현저히 줄이기 위하여, 일반 라면에 주로 사용하는 포화지방이 함유된 팜유가 아닌 팜올레인유, 채종유, 현미유 및 올리브유 등을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라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4) 단계의 탈유단계에서, 상기 튀김유가 분사된 면에 블로워 등을 이용하여 강한 바람을 불어주어 튀김유를 제거하므로써 면에 부착된 튀김유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탈유단계에서, 튀김유가 분사된 면에는 튀김유가 14~16중량% 정도 함유되게 되는데, 탈유단계에 의해 튀김유의 일부가 제거됨으로써 탈유처리된 면에는 튀김유가 10~12중량% 포함되게 된다. 이는 일반 유탕라면의 경우 20~23중량% 정도의 튀김유를 함유하는 것에 비하면 매우 적은 함량이며, 또한 라면 고유의 맛을 유지할 수 있는 함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5) 단계에서의 열풍 건조는 60~80℃의 열풍으로 20~30분 동안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열풍 온도 및 열풍 건조 시간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면의 수분을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거나 또는 지나치게 제거하게 되어 라면의 품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5) 단계에서의 냉각은 특별히 한정이 없고, 예를 들면 상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10~20분간 냉각하므로써 면의 최종 온도가 25~30℃가 되도록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유탕처리 대신 튀김유 분사 공정을 적용함으로써 지방함량이 낮은 라면의 제조가 가능하며, 또한 튀김유에 있어서 종래와 같은 포화지방산이 함유된 팜유를 사용하지 않고 불포화 지방산으로 구성된 팜올레인유, 채종유, 현미유, 올리브유 등을 사용함으로써 맛과 영양에서 매우 우수한 라면 제조가 가능하여 웰빙 라면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리가 간편하고 상온에서도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고, 점탄성, 찰기, 매끄러움 등이 뛰어나 라면 고유의 부드럽고 쫄깃한 식감과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간수 2.5g 및 식염 8.0g을 물 360㎖에 녹여 혼합수를 제조하였고, 상기 혼합수와 소맥분(중력분) 0.7kg 및 가공 변성전분 0.3kg을 혼합하여, 상압하에서 믹서로 15분간 혼합하여, 라면생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라면생지를 라면의 통상적인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진공 압출방식으로 감압(진공)하에서 압출하여 면대(麵帶) 를 만든 후, 이를 다시 연속 압연하여 최종 1.2mm 두께의 면대를 만들어, #22 절출칼(각형)을 통해서 면선(麵線)을 선절하고, 라면 웨이브박스를 거쳐 라면 웨이브를 형성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라면 웨이브를 증숙기로 5.5분간 증숙(100℃)한 후, 침지액을 분사시키는 마사징 공정과 웨이브상태를 늘려주는 연신공정을 거쳐 필요한 정량(定量)으로 절단하였다. 중량에 맞추어 절단된 라면 웨이브를 원형 몰드에 낙하하여 투입하고, 이렇게 몰드에 담겨진 면에 연속 공정으로 150℃로 가열한 튀김유(팜올레인유:채종유의 중량 혼합비=1:1)를 2분간 분사하여, 면에 튀김유를 약 16중량% 함유시킨 후, 블로워로 강한 바람을 불어주어 면에 붙은 튀김유를 제거하는 탈유과정을 거쳐 면에 튀김유가 약 12중량% 포함되게 한 다음, 다시 80℃의 열풍으로 20분간 건조하고, 냉각 콘베이어를 거치면서 냉각한 후 자동포장기와 연결하여 스프와 고명(건조야채)을 함께 봉지 또는 용기에 담아 포장하였다.
삭제
삭제
삭제
[비교예 1]
간수 2.5g, 식염 8.0g을 물 360㎖에 녹여 혼합수를 제조하였고, 상기 혼합수와 소맥분(중력분) 0.7kg, 가공 변성전분 0.3kg을 혼합하여, 상압하에서 믹서로 15분간 혼합하여, 라면생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라면 생지를 라면의 통상적인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진공 압출방식으로 감압(진공)하에서 압출하여 면대를 만든 후, 이를 다시 연속 압연하여 최종 1.2mm 두께의 면대를 만들어, #22 절출칼(각형)을 통해서 면선을 선절하고, 라면 웨이브박스를 거쳐 라면 웨이브를 형성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라면 웨이브를 증숙기로 5.5분간 증숙(100℃)한 후, 침지액을 분사시키는 마사징 공정과 웨이브상태를 늘려주는 연신공정을 거쳐 필요한 정량(定量)으로 절단하였다. 상기 공정에서 절단된 라면 웨이브를 원형 몰드에 낙하하여 투입하고, 150℃의 연속식 유탕기에서 약 3분간 팜유를 사용하여 유탕처리하였다. 그리고 냉각 콘베이어를 거치면서 냉각한 후 자동포장기와 연결하여 스프와 고명(건조야채)을 함께 봉지 또는 용기에 담아 포장하였다.
상기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라면을 비교평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평가방법은 먼저 시료 라면을 채취하고, 동일한 냄비에 끓는 물 400㏄를 붓고서, 여기에 시료들을 넣고 4분 동안 끓인 후, 복원된 라면을 5단계 평가법으로 실시하였다.
라면맛 풀림 지방총량 포화지방
실시예 1 5 4 5 4
비교예 1 3 4 2 -
삭제
상기 실험항목의 판정기준은 하기와 같다.
(1) 라면맛
맛의 판정기준은 충분히 훈련된 10명의 시식자가 각각 5(양호), 4(약간 양호), 3(보통), 2(약간 불량), 1(불량)의 5단계로 평가하여 그 평균점으로 아래와 같이 판정하였다.
양 호 : 4.6-5.0점
약간 양호 : 3.6-4.5점
보 통 : 2.6-3.5점
약간 불량 : 1.6-2.5점
불 량 : 1.0-1.5점
(2) 풀림
풀림의 판정기준은 라면을 끓였을 시, 면선의 풀림상태를 말하며, 하기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5 : 젓가락을 1-2회 저으면 면선이 충분히 풀린다.
4 : 젓가락을 1-2회 저으면 면선이 거의 풀린다.
3 : 젓가락을 3회 이상 저으면 면선이 풀린다.
2 : 젓가락을 3회 이상 저어도 면선이 완전히 풀리지 않는다.
1 : 젓가락을 3회 이상 저어도 면선이 뭉쳐 전혀 풀리지 않는다.
(3) 지방총량 및 포화지방량의 판정기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지방총량과 포화지방량을 식품공전에 의한 지방총량 및 포화지방량 분석방법에 따라 분석하고,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수치를 일반 유탕라면인 비교예 2의 수치와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아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5 : 일반 유탕라면에 비해 81-100% 차이.
4 : 일반 유탕라면에 비해 61-80% 차이.
3 : 일반 유탕라면에 비해 41-60% 차이.
2 : 일반 유탕라면에 비해 21-40% 차이.
1 : 일반 유탕라면에 비해 0-20% 차이.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라면맛은 유탕라면인 비교예 1과 동일한 수치를 가지므로써 풍부한 라면의 맛을 유지하면서도, 비교예 1과 비교시 포화지방의 함량은 매우 낮음을 알 수 있고, 젓가락을 3회 이상 저었을 경우에, 라면 면선이 풀려 점탄성 및 찰기가 우수한 면임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1) 면을 형성하는 제면 단계;
    (2) 제조된 면을 증숙하고, 계량, 절단하는 단계;
    (3) 상기 (2) 단계에서 제조된 면에 130~160℃의 온도로 가열된 튀김유를 1~3분 동안 분사하는 단계;
    (4) 상기 튀김유가 분사된 면에 바람을 불어주어 튀김유를 제거하는 탈유단계; 및
    (5) 상기 탈유된 면을 60~80℃의 열풍으로 20~30분 동안 열풍 건조시킨 후 냉각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에서 사용되는 튀김유는 팜올레인유, 채종유, 현미유 및 올리브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에 의해 탈유된 면의 튀김유 함량은 10~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의 제조방법.
  5. 삭제
KR1020120019786A 2012-02-27 2012-02-27 지방 함량이 저감된 라면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237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786A KR101237897B1 (ko) 2012-02-27 2012-02-27 지방 함량이 저감된 라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786A KR101237897B1 (ko) 2012-02-27 2012-02-27 지방 함량이 저감된 라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7897B1 true KR101237897B1 (ko) 2013-03-04

Family

ID=48180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786A Expired - Fee Related KR101237897B1 (ko) 2012-02-27 2012-02-27 지방 함량이 저감된 라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8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4032A1 (en) * 2019-01-11 2020-07-16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Process for an instant oil fried noodle
RU2805676C2 (ru) * 2019-01-11 2023-10-23 Сосьете Де Продюи Нестле С.А.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жареной в масле лапши быстро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2854A (ja) * 1989-08-11 1991-03-28 House Food Ind Co Ltd 即席乾燥麺の製造方法
JPH0851946A (ja) * 1994-06-17 1996-02-27 Campbell Soup Co 油で揚げていない風味の良いラーメン麺類
KR20110084450A (ko) * 2008-11-12 2011-07-22 니신 쇼쿠힌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고온 열풍 건조 즉석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2854A (ja) * 1989-08-11 1991-03-28 House Food Ind Co Ltd 即席乾燥麺の製造方法
JPH0851946A (ja) * 1994-06-17 1996-02-27 Campbell Soup Co 油で揚げていない風味の良いラーメン麺類
KR20110084450A (ko) * 2008-11-12 2011-07-22 니신 쇼쿠힌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고온 열풍 건조 즉석면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4032A1 (en) * 2019-01-11 2020-07-16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Process for an instant oil fried noodle
CN113271792A (zh) * 2019-01-11 2021-08-17 雀巢产品有限公司 用于油炸方便面的方法
RU2805676C2 (ru) * 2019-01-11 2023-10-23 Сосьете Де Продюи Нестле С.А.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жареной в масле лапши быстро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71714B (zh) 一种抗硬化云片糕及其制作方法
KR101506939B1 (ko) 콩단백을 주원료로 한 돈까스 타입의 두류 가공식품 제조방법
CN105249218A (zh) 营养筋道方便面面饼及其制备方法
KR20160103375A (ko) 발아 현미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아 현미 누룽지
KR101070790B1 (ko) 흡유 저감화 배터믹스 조성물
CN104757059A (zh) 一种佛手酥的加工方法
WO2018098997A1 (zh) 用马铃薯制作的豆腐、豆腐干及其加工制作方法
CN112450424A (zh) 一种薯类方便火锅及其加工工艺
KR101237897B1 (ko) 지방 함량이 저감된 라면의 제조방법
CN103976273B (zh) 一种咸鸭蛋清增强非油炸方便型热干面及其生产方法
KR100994441B1 (ko) 굴비어묵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굴비어묵
KR101542229B1 (ko) 조직감을 개선한 유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유과
KR101894985B1 (ko) 홍미를 주성분으로 하는 쌀국수 및 그 제조방법
KR101702715B1 (ko) 고구마 국수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고구마 국수
CN111096420A (zh) 一种鸡胸肉干丝的制作方法
CN105962069B (zh) 一种洋芋面条的制作方法
CN110393263A (zh) 一种真空冷冻干燥面条的制备方法
KR20150031620A (ko) 빈대떡 프리믹스 가루의 제조방법
KR102814041B1 (ko) 파스닙 라면 및 그 제조방법
JPH09220063A (ja) 澱粉系食品の表層改質添加剤
CN107279726A (zh) 一种营养安全辣条的制作方法
JP2013212081A (ja) 乾燥麺の製造方法及び乾燥麺
KR100670742B1 (ko) 콩빈대떡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93329B1 (ko) 다즙성이 우수한 만두의 제조 방법
EA019051B1 (ru) Пищевой продукт из соевых бобов и содержащие его компози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