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33062B1 - 나노 급 패턴이 형성된 고효율 질화물계 발광다이오드용 기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노 급 패턴이 형성된 고효율 질화물계 발광다이오드용 기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062B1
KR101233062B1 KR1020120040150A KR20120040150A KR101233062B1 KR 101233062 B1 KR101233062 B1 KR 101233062B1 KR 1020120040150 A KR1020120040150 A KR 1020120040150A KR 20120040150 A KR20120040150 A KR 20120040150A KR 101233062 B1 KR101233062 B1 KR 101233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nano
patter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혁진
이헌
최은서
Original Assignee
(주)휴넷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넷플러스 filed Critical (주)휴넷플러스
Priority to KR1020120040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0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062B1/ko
Priority to US14/394,474 priority patent/US20150064821A1/en
Priority to PCT/KR2013/003186 priority patent/WO2013157816A1/ko
Priority to EP13777801.5A priority patent/EP2840618A4/en
Priority to CN201380020419.7A priority patent/CN104221169A/zh
Priority to JP2015506889A priority patent/JP2015515145A/ja
Priority to TW102113589A priority patent/TW201405866A/zh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H20/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 H10H20/013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having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 H10H20/0137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having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the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nitride materi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2Lithographic processes using patterning methods other than those involving the exposure to radiation, e.g. by sta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01L21/0237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01L21/0237Materials
    • H01L21/02373Group 14 semiconducting materials
    • H01L21/02376Carbon, e.g. diamond-like carb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01L21/02428Structure
    • H01L21/0243Surface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436Intermediate layers between substrates and deposited layers
    • H01L21/02439Materials
    • H01L21/02455Group 13/15 materials
    • H01L21/02458Nit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38Group 13/15 materials
    • H01L21/0254Nit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56Special treatments
    • H01L21/02658Pretreat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H20/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 H10H20/013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having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 H10H20/0133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having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with a substrate not being Group III-V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H20/0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 H10H20/013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having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 H10H20/0133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having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with a substrate not being Group III-V materials
    • H10H20/01335Manufacture or treatment of bodies, e.g. forming semiconductor layers having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only Group III-V materials with a substrate not being Group III-V materials the light-emitting regions comprising nitride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15Bodies having stress relaxation structures, e.g. buffer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19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1Bodies
    • H10H20/819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s
    • H10H20/82Roughened surfaces, e.g. at the interface between epitaxia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H20/036Manufacture or treatment of packages
    • H10H20/0364Manufacture or treatment of packages of inter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질화물계 발광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은 바닥부와 볼록부를 포함하고, 볼록부의 하단직경은 발광다이오드의 발광 파장의 0.1 내지 3배인 나노 패턴을 갖는 기판과 여기에 형성되는 GaN층으로 이루어진 버퍼층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질화물계 발광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광추출 향상치가 크게 증대될 수 있고, 나노급 패턴을 경제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나노 급 패턴이 형성된 고효율 질화물계 발광다이오드용 기판의 제조방법 {Method For Fabricating Nano Patterned Substrate For High Efficiency Nitride based Light Emitting Diode}
본 발명은 나노 프린트 또는 나노 임프린트 공정을 이용하여 사파이어 단결정, 쿼츠, 실리콘 등의 기판에 나노 급 패턴을 경제적으로 제조하고, 여기에 갈륨질화물 등을 형성시켜 결정결함을 줄인 질화물 계 발광 다이오드용 기판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발광 다이오드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기존의 형광등, 백열등 등의 조명 장치에 비해서 수명이 길고 전력소모가 적으며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어 미래의 조명용 광원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현재는 다양한 분야에서 광원으로 쓰이고 있다. 특히, 넓은 밴드갭을 가지는 질화물계 발광 다이오드는 녹색에서 청색, 근자외선 영역대의 빛을 발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LCD 및 휴대폰 백라이트, 자동차용 조명, 교통신호등, 일반 조명 등 그 응용 분야가 크게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킬 만큼 질화물계 발광 다이오드는 충분한 성능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발광다이오드의 성능은 크게 주입된 전자가 얼마나 많은 광자를 생성하는 지에 따른 내부 양자효율과 생성된 광자가 얼마나 많이 발광다이오드 소자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지에 따른 광추출효율에 따라 결정된다.
최근 질화물 계 발광다이오드는 에피성장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내부양자효율이 크게 향상되었으나 광추출효율은 이에 비해서 매우 낮은 상황이다. 발광 다이오드의 활성층(발광층)인 MQW 영역 (multi quantum well region)에서 생성된 광이 방출될 경우, 발광 다이오드 소자와 외부 공기, 외부 봉지재인 에폭시, 사파이어 기판 등과의 경계에서 전반사가 발생한다. 공기(nair=1), epoxy(nepoxy=1.5), sapphire(nsap.=1.77)에 비해서 GaN의 경우 굴절률이 약 2.5정도로 큰 값을 가지기 때문에 MQW에서 생성된 광이 소자외부로 빠져 나갈 수 있는 임계각은 각각 θGAN/air=23° θGAN / epoxy=37° θGAN / sap .=45° 으로 매우 한정된 영역이다. 따라서, 임계각 범위를 벗어나 소자 외부 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은 외부로 진행하지 못하고 소자 내부에서 흡수될 때까지 계속 전반사 되어 광추출효율은 불과 수 %로 매우 낮다. 또한 이는 소자의 발열로 연결되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이러한 질화물 계 발광다이오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소자 표면의 p-GAN 층 또는 투명전극 층에 패턴을 삽입하여 광의 난반사를 통하여 전반사를 효과적으로 줄이려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특히, 일정한 크기의 패턴이 규칙적으로 조밀하게 배열되어 있는 서브 마이크론 (sub-micron) 급의 광결정 패턴을 발광다이오드 제조공정에 도입할 경우 광추출효율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패터닝 후 p-type 전극 형성, 패키징 공정 등의 발광 다이오드의 제작 공정과 생산수율, 경제성 등을 고려했을 때 p-GaN 층 및 투명전극 층의 패터닝 공정은 실제로 상용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PSS (patterned sapphire substrate)에 에피층을 성장시킬 경우, 마찬가지의 광의 난반사효과로 인하여 광추출효율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PSS의 경우 본래, 사파이어 (sapphire) 기판과 GaN 에피층과의 격자 불일치 (lattice mismatch)로 인한 treading dislocation density를 감소시켜 내부양자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된 기술이나 광추출효율 역시 탁월하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의 제작 공정에 바로 적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현재 국내외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업체에서는 이미 PSS를 적용한 제품의 양산 단계에 이르고 있다.
현재 PSS의 경우, 주로 포토 리소그래피 공정과 건식 및 습식 식각 공정을 통하여 제작되고 패턴의 스펙은 대부분 수 마이크로 급 정도에 머물고 있다. 광의 난반사에 의한 발광다이오드의 광추출효율 향상은 패턴의 크기 및 형상, 주기 등에 따라서 그 향상치가 크게 달라진다.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영역 대에서는 나노 급의 광결정 패턴을 적용할 경우 광추출 향상치가 크게 증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발광소자의 효율 향상을 위해서 기존에 상용화된 PSS의 마이크론 급 패턴의 직경 및 주기를 나노 급으로 축소할 필요가 있고, 패턴의 형상도 최적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PSS 제작을 위해 사용되는 패터닝 기술인 포토리소그래피는 공정비용이 고가인데다가 나노 급 패턴을 적용하기에는 제품의 제조 단가가 비싸지고 경제성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현재의 방법으로는 PSS를 통해서 더 이상의 광추출효율 향상은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발광다이오드의 추가적인 효율 향상을 위해 고가의 포토리소그래피를 대신할 나노 급 패턴을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패터닝 기술이 필요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은 기판의 일면(一面) 또는 나노 몰드의 일면(一面)에 내식각성 레지스트 박막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내식각성 레지스트 박막과 마주보도록, 나노 몰드 또는 기판을 위치시키고 가압하여 상기 기판 상에 나노 패턴을 가진 내식각성 레지스트 박막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나노 패턴이 형성된 기판을 식각하는 제3단계, 그리고 상기 식각된 기판을 어닐링 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나노 패턴은 바닥부와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의 하단직경은 발광다이오드의 발광 파장의 0.1 내지 3배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나노 패턴은 바닥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고, 제1볼록부와 상기 제1볼록부에 이웃하는 제2볼록부와의 거리가 발광다이오드의 발광 파장의 0.2 내지 6배인 것일 수 있고, 상기 제1볼록부에 이웃하는 제2볼록부와의 주기가 발광다이오드의 발광 파장의 0.2 내지 6배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나노 패턴은 반구형, 삼각뿔형, 사각뿔형, 육각뿔형, 원뿔형 및 잘린구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반복적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질화물계 발광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4단계 이후에 상기 어닐링된 기판에 GaN층으로 이루어진 버퍼층을 더 형성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여 발광 다이오드의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킨 것일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사파이어 기판, 실리콘 기판 및 쿼츠 기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으로, Al2O3, SiC, Si, SiO2, 쿼츠 (Quartz), AlN, GaN, Si3N4 및 Mg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질화물계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용 기판은, 기판, 그리고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바닥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록부는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볼록부의 하단직경은 발광다이오드의 발광 파장의 0.1 내지 3배인 것이고, 제1볼록부와 상기 제1볼록부에 이웃하는 제2볼록부의 형성 주기가 발광다이오드의 발광 파장의 0.2 내지 6배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발광다이오드 용 기판의 패턴의 직경 및 주기를 나노 급으로 축소함을 통해 발광다이오드의 내부양자효율 및 광추출효율을 극대화시키고자 한다. 또한, 경제적인 비광학적 패터닝 기술인 나노 프린트 (또는 임프린트) 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기판에 나노 급 패턴을 제작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나노 프린트 (또는 임프린트) 기술은 고가의 노광 장비과 필요없어 경제적이며 간단한 공정으로 대면적에 패턴을 전사 또는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수율이 높은 이점이 있다. 특히 발광 다이오드를 위한 패터닝은 정확한 alignment가 필요없기 때문에 직접 패턴 전사 방식인 나노 프린트 (또는 임프린트) 공정이 적용되기에 적절하며, sub-micron 급 패턴을 쉽게 형성 가능하다. 따라서 PSS를 제작하기 위한 기존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비하여 나노 프린트 (또는 임프린트) 기술을 PSS 공정에 적용할 경우 제품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동시에 경제성을 갖추게 되며 고효율 PSS 발광 다이오드의 양산화가 가능하다. 또한, 여기에 갈륨질화물과 같은 물질을 형성시키면, 결정 결함이 현저히 적도록 형성되게 할 수 있어서, 발광 소자 내에서 발광되는 빛이 산란되어 내부 전반사되는 확률을 현저히 줄여줄 수 있고, 소자의 발광 성능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top emitting 구조의 발광 다이오드, flip-chip 발광 다이오드, 그리고 수직형 발광다이오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발광 다이오드의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발광 다이오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화물계 발광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은 기판의 일면(一面) 또는 나노 몰드의 일면(一面)에 내식각성 레지스트 박막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내식각성 레지스트 박막과 마주보도록, 나노 몰드 또는 기판을 위치시키고 가압하여 상기 기판 상에 나노 패턴을 가진 내식각성 레지스트 박막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나노 패턴이 형성된 기판을 식각하는 제3단계, 그리고 상기 식각된 기판을 어닐링 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은 LED 기판으로 활용되고 있는 사파이어 기판 외에도 실리콘 기판이나 쿼츠 기판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Al2O3, SiC, Si, SiO2, 쿼츠 (Quartz), AlN, GaN, Si3N4 및 Mg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내식각성 레지스트 박막은 실리콘 산화물 졸층을 포함하는 박막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산화물 졸층은 실리콘 산화물 졸을 제작한 후 이를 기판 또는 나노 몰드 상에 스핀 코팅하여 형성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실리콘 산화물 졸은 TEOS(tetraethyl orthosilicate)를 용매에 녹여서 제조한 것일 수 있으며, 여기에 적용되는 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DMF(dimethylformamide) 등과 같은 유기 용매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기판의 일면(一面)에 내식각성 레지스트 박막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2단계에서 상기 내식각성 레지스트 박막과 마주보도록 나노 몰드를 위치시키고 가압하여 상기 기판 상에 나노 패턴을 가진 내식각성 레지스트 박막을 형성하는 나노 임프린트 방식으로 나노 패턴을 형성할 수 잇다.
상기 나노 몰드의 일면(一面)에 내식각성 레지스트 박막을 형성하고, 제2단계에서 상기 기판과 마주보도록, 상기 나노 몰드를 위치시킨 후에 가압하여 상기 기판 상에 나노 패턴을 가진 내식각성 레지스트 박막을 형성하는 나노 프린팅 방식으로 나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나노 몰드의 일면에 상기 내식각성 레지스트 박막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큐어링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 패턴의 몰드는 유연 고분자 복제 몰드일 수 있고, PDMS, h-PDMS, PVC 등과 같은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몰드의 나노 패턴은 상기 내식각성 레지스트 박막에 바닥부와 볼록부를 포함하고, 기판에 형성된 볼록부의 하단직경(A)이 발광다이오드의 발광 파장의 0.1 내지 3배인 나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하단직경(A)은 상기 도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볼록부가 바닥부와 접하는 면에서의 볼록부 단면의 직경을 의미한다.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가압은 1 내지 20 atm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가압시의 온도는 70 내지 250 ℃일 수 있다.
상기 제3단계를 거쳐서 기판에 프린팅 또는 임프린팅된 나노 패턴은 바닥부와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의 하단직경은 발광다이오드의 발광 파장의 0.1 내지 3배인 것이다. 즉, 상기 볼록부의 하단직경은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파장을 λ라고 하였을 때, 0.1λ 내지 3λ일 수 있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파장은 발광 다이오드로 제공하고자 하는 빛의 파장에 따라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볼록부의 하단직경이 상기 범위인 경우에는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효율이 상당히 높아질 수 있다.
상기 나노 패턴은 바닥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고, 제1볼록부와 상기 제1볼록부에 이웃하는 제2볼록부와의 거리가 발광다이오드의 발광 파장의 0.2 내지 6배인 것일 수 있고, 제1볼록부와 상기 제1볼록부에 이웃하는 제2볼록부의 형성 주기(B)가 발광다이오드의 발광 파장을 λ라고 하였을 때, 0.2 λ 내지 6 λ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나노 패턴의 주기가 상기의 범위인 경우에는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효율이 상당히 높아질 수 있다.
상기 나노 패턴은 상기 도 2에 예시된 것처럼, 반구형, 삼각뿔형, 사각뿔형, 육각뿔형, 원뿔형 및 잘린구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반복적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이러한 패턴은 상기 나노 프린팅 또는 나노 임프린팅을 이용하기 때문에, 마스터 템플레이트에 따라서 원하는 형상의 패턴을 제작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렇게 나노 패턴이 규칙성을 가진 입체 형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GaN층의 격자 불일치 (lattice mismatch)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한 treading dislocation density를 감소시켜 내부양자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의 형상에 따라서 광추출 효율 향상치가 각각 다소 나타날 수 있으나, 이로 인하여 다이오드 내부의 난반사에 의하여 낮은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3단계에서 식각은 상기 기판을 식각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적용할 수 있고, 건식식각 또는 습식식각의 방법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온식각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식각 후에 내식각성 레지스트 박막의 잔여층이 남아있는 경우에는, 이하 제5단계의 형성 전에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단계에서의 어닐링은 300 내지 1,000 ℃의 온도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어닐링 과정으로 상기 기판에 나노 패턴의 PPS(patterned sapphire substrate)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질화물계 발광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4단계 이후에, 상기 어닐링된 기판에 GaN층으로 이루어진 버퍼층을 더 형성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퍼층은 GaN가 나노 패턴화된 기판 상에 형성되면서 일반적인 경우에 기판 상에 GaN가 형성될 때에 발생하는 격자 불일치 (lattice mismatch)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나노 패턴으로 더욱 정교하게 격자 불일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패턴은 나노 크기로, 발광 다이오드의 파장에 따라서 일정한 크기와 주기로 패턴화시킬 수 있어서, 이로 인화여 광추출 효율을 낮추는 난반사를 최소화시키고 발광 다이오드의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기존에 적용하던 포토리소그래피 방식의 경우에는. 패턴화할 수 있는 크기가 마이크로 단위로 한계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나노 프린팅 또는 나노 임프린팅방식을 적용하여서 나노 크기의 패턴을 정교하게 기판에 패턴화시킬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기존의 포토리소그래피 방식과 달리 공정을 간소화시켜 발광 다이오드용 기판과 이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과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질화물계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용 기판은 기판, 그리고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바닥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록부는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볼록부의 하단직경은 발광다이오드의 발광 파장의 0.1 내지 3배인 것이고, 제1볼록부와 상기 제1볼록부에 이웃하는 제2볼록부의 형성 주기가 발광다이오드의 발광 파장의 0.2 내지 6배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도3은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의 개념도로, 상기 도3을 참조하면, 상기한 방법으로 나노 패턴이 형성된 발광다이오드용 기판과 그 상부에 형성된 n-GaN층, MQW층, 그리고 p-GaN이 순차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n-GaN층은 하단에 GaN로 이루어진 버퍼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퍼층은 격자 불일치 (lattice mismatch)를 감소시켜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다이오드용 기판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는 규칙적인 나노 패턴 구조와 여기에 형성된 GaN로 이루어진 버퍼층에 의하여 기판의 구경이 넓어지더라도 버퍼층을 포함하는 GaN 막을 형성한 후의 residual stress를 낮추어서 휨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Top emitting 구조의 발광다이오드일 수 있고, Flip-chip 구조의 발광 다이오드에 포함될 수 있으며, 수직형 구조의 발광다이오드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 볼록부의 하단직경
B: 제1볼록부와 제2볼록부의 형성주기

Claims (6)

  1. 기판의 일면(一面) 또는 나노 몰드의 일면(一面)에 내식각성 레지스트 박막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내식각성 레지스트 박막과 마주보도록, 나노 몰드 또는 기판을 위치시키고 가압하여 상기 기판 상에 나노 패턴을 가진 내식각성 레지스트 박막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나노 패턴이 형성된 기판을 식각하는 제3단계, 그리고
    상기 식각된 기판을 어닐링 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 패턴은 바닥부와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의 하단직경은 발광다이오드의 발광 파장의 0.1 내지 3배인 것이고,
    상기 나노 패턴은 바닥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고, 제1볼록부와 상기 제1볼록부에 이웃하는 제2볼록부와의 거리가 발광다이오드의 발광 파장의 0.2 내지 6배인 것이며,
    상기 나노 패턴은 반구형, 삼각뿔형, 사각뿔형, 육각뿔형, 원뿔형 및 잘린구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반복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나노 급 패턴이 형성된 고효율 질화물계 발광다이오드용 기판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물계 발광다이오드용 기판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4단계 이후에 상기 어닐링된 기판에 GaN층으로 이루어진 버퍼층을 더 형성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여 발광 다이오드의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킨 것인 나노 급 패턴이 형성된 고효율 질화물계 발광다이오드용 기판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사파이어 기판, 실리콘 기판 및 쿼츠 기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으로, Al2O3, SiC, Si, SiO2, 쿼츠 (Quartz), AlN, GaN, Si3N4 및 Mg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나노 급 패턴이 형성된 고효율 질화물계 발광다이오드용 기판의 제조방법.
  6. 삭제
KR1020120040150A 2012-04-18 2012-04-18 나노 급 패턴이 형성된 고효율 질화물계 발광다이오드용 기판의 제조방법 Active KR101233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150A KR101233062B1 (ko) 2012-04-18 2012-04-18 나노 급 패턴이 형성된 고효율 질화물계 발광다이오드용 기판의 제조방법
US14/394,474 US20150064821A1 (en) 2012-04-18 2013-04-16 Method for fabricating nano-patterned substrate for high-efficiency nitride-based light-emitting diode
PCT/KR2013/003186 WO2013157816A1 (ko) 2012-04-18 2013-04-16 나노 급 패턴이 형성된 고효율 질화물계 발광다이오드용 기판의 제조방법
EP13777801.5A EP2840618A4 (en) 2012-04-18 2013-04-16 METHOD FOR PRODUCING A NANOSTRUCTURED SUBSTRATE FOR HIGHLY EFFICIENT NITRID BASE LED
CN201380020419.7A CN104221169A (zh) 2012-04-18 2013-04-16 制造供高效率氮化物发光二极体用的纳米图案化基材的方法
JP2015506889A JP2015515145A (ja) 2012-04-18 2013-04-16 ナノレベルのパターンが形成された高効率窒化物系発光ダイオード用基板の製造方法(MethodForFabricatingNanoPatternedSubstrateForHighEfficiencyNitridebasedLightEmittingDiode)
TW102113589A TW201405866A (zh) 2012-04-18 2013-04-17 製造供高效率氮化物系發光二極體用之奈米圖案化基材之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150A KR101233062B1 (ko) 2012-04-18 2012-04-18 나노 급 패턴이 형성된 고효율 질화물계 발광다이오드용 기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3062B1 true KR101233062B1 (ko) 2013-02-19

Family

ID=47899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150A Active KR101233062B1 (ko) 2012-04-18 2012-04-18 나노 급 패턴이 형성된 고효율 질화물계 발광다이오드용 기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064821A1 (ko)
EP (1) EP2840618A4 (ko)
JP (1) JP2015515145A (ko)
KR (1) KR101233062B1 (ko)
CN (1) CN104221169A (ko)
TW (1) TW201405866A (ko)
WO (1) WO201315781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743B1 (ko) 2013-06-20 2014-09-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직형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CN104218132A (zh) * 2013-05-29 2014-12-17 苏州新纳晶光电有限公司 一种氮化镓图形衬底的制备方法
US10446713B2 (en) * 2017-09-28 2019-10-15 Toyoda Gosei Co., Ltd. Method for producing light-emitting device
CN110517949A (zh) * 2019-07-29 2019-11-29 太原理工大学 一种利用SiO2作为衬底制备非极性a面GaN外延层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60141B (en) * 2014-11-21 2016-12-01 Force Prec Instr Co Ltd Micro/nano-molding template and method of forming micro-structure on substrate by use of such micor/nano-molding template
CN108368640A (zh) * 2015-05-21 2018-08-03 Ev 集团 E·索尔纳有限责任公司 用于将过生长层施加至晶种层上的方法
KR102382440B1 (ko) 2015-06-22 2022-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CN114068779B (zh) * 2021-11-16 2024-04-12 黄山博蓝特光电技术有限公司 应用于直下式背光led芯片的复合型衬底及其制备方法
CN114824014A (zh) * 2022-04-29 2022-07-29 厦门三安光电有限公司 一种紫外发光二极管及发光装置
CN115172554B (zh) * 2022-09-02 2022-11-18 元旭半导体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亮度的纳米图形衬底结构的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3659A (ja) 2006-03-31 2007-10-18 Showa Denko Kk GaN系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ランプ
KR20090116212A (ko) * 2008-05-06 2009-11-11 이헌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용 사파이어 기판의 제조방법
KR20100011835A (ko) * 2008-07-25 2010-02-03 이헌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용 기판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2905A (en) * 1995-11-15 1998-06-30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Nanoimprint lithography
JP2003017745A (ja) * 2001-06-29 2003-01-17 Shiro Sakai 窒化ガリウム系発光素子
DE10306779A1 (de) * 2002-12-30 2004-07-2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Verfahren zum Aufrauhen einer Oberfläche eines Körpers und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JP2005064492A (ja) * 2003-07-28 2005-03-10 Kyocera Corp 単結晶サファイア基板とそ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発光素子
JP2005136106A (ja) * 2003-10-29 2005-05-26 Kyocera Corp 単結晶サファイア基板とそ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発光素子
US7648641B2 (en) * 2005-06-17 2010-01-19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topographically patterned substrate
JP4908381B2 (ja) * 2006-12-22 2012-04-04 昭和電工株式会社 Iii族窒化物半導体層の製造方法、及びiii族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並びにランプ
US20090015142A1 (en) * 2007-07-13 2009-01-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 extraction film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s
JP2009054882A (ja) * 2007-08-28 2009-03-12 Univ Of Tokushima 発光装置の製造方法
JP2010103424A (ja) * 2008-10-27 2010-05-06 Showa Denko Kk 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DE102009018286A1 (de) * 2009-04-21 2010-10-28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rahlungsemittierenden Halbleiterchips
JP5240171B2 (ja) * 2009-11-20 2013-07-1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窒化ガリウム系半導体、半導体光素子、半導体レーザ、発光ダイオード
KR100974288B1 (ko) * 2010-01-13 2010-08-05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임프린트를 이용한 금속 산화박막 패턴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led 소자의 제조방법
WO2012176728A1 (ja) * 2011-06-23 2012-12-27 旭化成株式会社 微細パタン形成用積層体及び微細パタン形成用積層体の製造方法
EP2866091A1 (en) * 2011-08-31 2015-04-29 Asahi Kasei E-materials Corporation Nano-imprint mold
JP2013077599A (ja) * 2011-09-29 2013-04-25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スタンパ、インプリント装置及び処理製品並びに処理製品製造装置及び処理製品製造方法
WO2013137176A1 (ja) * 2012-03-12 2013-09-19 旭化成株式会社 モールド、レジスト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凹凸構造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3659A (ja) 2006-03-31 2007-10-18 Showa Denko Kk GaN系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ランプ
KR20090116212A (ko) * 2008-05-06 2009-11-11 이헌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용 사파이어 기판의 제조방법
KR20100011835A (ko) * 2008-07-25 2010-02-03 이헌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용 기판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18132A (zh) * 2013-05-29 2014-12-17 苏州新纳晶光电有限公司 一种氮化镓图形衬底的制备方法
KR101436743B1 (ko) 2013-06-20 2014-09-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직형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US10446713B2 (en) * 2017-09-28 2019-10-15 Toyoda Gosei Co., Ltd. Method for producing light-emitting device
CN110517949A (zh) * 2019-07-29 2019-11-29 太原理工大学 一种利用SiO2作为衬底制备非极性a面GaN外延层的方法
CN110517949B (zh) * 2019-07-29 2021-05-11 太原理工大学 一种利用SiO2作为衬底制备非极性a面GaN外延层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40618A4 (en) 2015-05-06
EP2840618A1 (en) 2015-02-25
US20150064821A1 (en) 2015-03-05
WO2013157816A1 (ko) 2013-10-24
JP2015515145A (ja) 2015-05-21
CN104221169A (zh) 2014-12-17
TW201405866A (zh) 201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062B1 (ko) 나노 급 패턴이 형성된 고효율 질화물계 발광다이오드용 기판의 제조방법
KR101233063B1 (ko) 나노 급 패턴이 형성된 고효율 질화물계 발광다이오드용 기판의 제조방법
CN1983657B (zh) 制造具有纳米结构的衬底的方法、发光器件及其制造方法
EP2940741B1 (en) Reversely-installed photonic crystal led chi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TWI659546B (zh) 發光裝置及製造發光裝置之方法
KR101913903B1 (ko) 광학용 기판의 제조방법
CN103151436A (zh) 一种孔状GaN基光子晶体LED的制备方法
CN103038038B (zh) 制造纳米压印模具的方法、利用由此制造的纳米压印模具制造发光二极管的方法以及由此制造的发光二极管
US895744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nano-imprint moul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emitting diode using the nano imprint mould manufactured thereby, and light-emitting diode manufactured thereby
KR100957570B1 (ko) 고효율 발광 다이오드용 기판의 제조방법
KR101535852B1 (ko) 나노구조체 전사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제조방법과 그 발광다이오드
Lee et al. Improving the light-emitting efficiency of GaN LEDs using nanoimprint lithography
CN104716242A (zh) 磊晶基板、其制造方法及发光二极管
CN112993098B (zh) 一种图形化衬底、发光二极管及其制作方法
KR101221075B1 (ko) 나노 임프린트를 이용한 질화갈륨계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과 이를 통해 제조된 발광 다이오드 소자
KR20130120110A (ko) 발광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CN103904175B (zh) 具有波导结构光子晶体发光二极管的制作方法
CN105845789A (zh) 一种提高背光源亮度的衬底制作方法
KR20140039414A (ko) 나노 임프린트 몰드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광다이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