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040B1 - 식생판넬과 이를 이용한 사면의 식생옹벽 시공 및 보수방법 그리고 성토부의 식생옹벽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식생판넬과 이를 이용한 사면의 식생옹벽 시공 및 보수방법 그리고 성토부의 식생옹벽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1040B1 KR101231040B1 KR1020110142870A KR20110142870A KR101231040B1 KR 101231040 B1 KR101231040 B1 KR 101231040B1 KR 1020110142870 A KR1020110142870 A KR 1020110142870A KR 20110142870 A KR20110142870 A KR 20110142870A KR 101231040 B1 KR101231040 B1 KR 1012310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getation
- panel
- slope
- space
- vertic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046—Improving by compacting by tamping or vibrating, e.g. with auxiliary watering of the soi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7/00—Repair of damaged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식생판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식생판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4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절취사면에 식생옹벽을 시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업상태도.
도 15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성토부 식생옹벽을 시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업상태도.
30: 식생망 40: 고정프레임
50: 고정용볼트 60: 역출방지망
Claims (22)
- 식생이 가능한 식생판넬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생공간이 형성되고 지면에 안착되면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일정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자립하여 세워되는 판넬몸체와,
상기 판넬몸체의 식생공간에 삽입되어 식생기능을 수행하는 녹화토낭과,
상기 식생공간의 전방 입구부에 탈착가능하도록 조립되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식생망과,
상기 식생망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식생공간의 전방 입구부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판넬몸체는
하부에 형성되고 지면 또는 인접한 다른 판넬몸체에 안착되는 하단부와,
상기 하단부로부터 일정 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인접한 다른 판넬몸체의 하단부와 접하는 상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판넬몸체의 중앙부에는 판넬몸체의 고정을 위해 사면에 고정된 보강재의 일단이 결합되는 고정공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판넬몸체의 배면에는 보강프레임의 일단이 걸어지는 연결고리부가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식생공간의 배면에는 성토 및 다짐 시 토사가 식생공간을 외측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출방지망이 결합되고,
상기 판넬몸체의 상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판넬몸체의 상단부와의 연결을 위한 수평이음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이음홈에는 금속재질의 수평연결구가 삽입되며,
상기 판넬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판넬몸체의 하단부 및 상단부와 연결을 위한 수직이음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이음홈에는 금속재질의 수직연결구가 삽입되고,
상기 판넬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수직이음홈은 서로 전후방향으로 인접한 2개가 쌍을 이루어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수직연결구는 상기 2개의 수직이음홈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다수개의 판넬몸체의 기울기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판넬.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망은 PVC코팅 철망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 및 역출방지망은 아연도금되어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판넬.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토낭은 토목섬유재질의 외피 내부에 제지슬러지, 토사 또는 천연보습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충진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생판넬.
- 식생판넬을 이용하여 사면에 식생옹벽을 시공하거나 보수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사면을 정리하는 단계와,
(b) 상기 사면에 사면지지구를 삽입하는 단계와,
(c) 상기 사면과 연결되는 기저면에 기초 콘크리트부를 조성하는 단계와,
(d)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의 상면에,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와 수직한 방향에서 일정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자립가능한 식생판넬을 세우는 단계와,
(f) 상기 식생판넬의 높이 내에서 상기 식생판넬의 배면과 상기 사면 사이를 성토하고 다짐하여 성토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g) 상기 사면지지구의 일단에 보강재를 연결하고 상기 보강재의 일단을 상기 식생판넬의 고정공에 연결하는 단계와,
(h) 상기 식생판넬의 높이에 이르도록 상기 식생판넬의 배면과 상기 사면 사이를 성토하고 다짐하여 성토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식생판넬을 세우는 단계는, 상기 다수개의 좌우방향으로 인접한 식생판넬 사이는 수평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상기 상하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식생판넬 사이에는 수직연결구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세워지고,
상기 식생판넬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상기 수직연결구가 삽입되는 수직이음홈이 서로 전후방향으로 인접하도록 2개가 쌍을 이루어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수직연결구는 상기 2개의 수직이음홈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다수개의 식생판넬의 기울기가 조절되며,
최초 상기 (a) 단계 내지 (h) 단계를 시공하고, 이후 상기 (d) 단계 내지 (h) 단계를 반복시공하여 시공되고,
상기 (c) 단계와 (d) 단계 사이에는 필터매트를 삽입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필터매트는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의 상면 또는 상기 상하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식생판넬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판넬을 이용한 사면의 식생옹벽 시공 및 보수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와 (e) 단계 사이에는,
상기 식생패널의 식생공간에 녹화토낭을 채우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녹화토낭을 채우는 단계는 다시,
상기 식생공간의 저면에 역출방지망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식생공간에 녹화토낭을 채우는 단계,
상기 식생공간 입구 가장자리에 식생망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식생망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식생공간의 입구에 고정프레임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판넬을 이용한 사면의 식생옹벽 시공 및 보수방법.
- 식생판넬을 이용하여 지반으로부터 성토부 식생옹벽을 시공하거나 보수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기초지반을 정리하는 단계와,
(b) 상기 지초지반의 기저면에 기초 콘크리트부를 조성하는 단계와,
(c)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의 상면에,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와 수직한 방향에서 일정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자립가능한 식생판넬을 세우는 단계와,
(d) 일단은 상기 기초지반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이로부터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식생판넬의 배면과 연결되는 보강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와,
(e) 상기 식생판넬의 높이 내에서 상기 식생판넬의 배면과 사면 사이를 성토하고 다짐하여 성토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식생판넬을 세우는 단계는, 상기 다수개의 좌우방향으로 인접한 식생판넬 사이는 수평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상기 상하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식생판넬 사이에는 수직연결구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어 세워지고,
상기 식생판넬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상기 수직연결구가 삽입되는 수직이음홈이 서로 전후방향으로 인접하도록 2개가 쌍을 이루어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수직연결구는 상기 2개의 수직이음홈 중에서 어느 하나에 삽입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다수개의 식생판넬의 기울기가 조절되며,
최초 상기 (a) 단계 내지 (h) 단계를 시공하고, 이후 상기 (c) 단계 내지 (e) 단계를 반복시공하여 시공되고,
상기 (b) 단계와 (c) 단계 사이에는 필터매트를 삽입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필터매트는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의 상면 또는 상기 상하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식생판넬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판넬을 이용한 성토부의 식생옹벽 시공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와 (d) 단계 사이에는,
상기 식생패널의 식생공간에 녹화토낭을 채우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녹화토낭을 채우는 단계는 다시,
상기 식생공간의 저면에 역출방지망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식생공간에 녹화토낭을 채우는 단계,
상기 식생공간 입구 가장자리에 식생망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식생망을 사이에 두고 상기 식생공간의 입구에 고정프레임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판넬을 이용한 성토부의 식생옹벽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2870A KR101231040B1 (ko) | 2011-12-26 | 2011-12-26 | 식생판넬과 이를 이용한 사면의 식생옹벽 시공 및 보수방법 그리고 성토부의 식생옹벽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2870A KR101231040B1 (ko) | 2011-12-26 | 2011-12-26 | 식생판넬과 이를 이용한 사면의 식생옹벽 시공 및 보수방법 그리고 성토부의 식생옹벽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31040B1 true KR101231040B1 (ko) | 2013-02-07 |
Family
ID=47899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42870A KR101231040B1 (ko) | 2011-12-26 | 2011-12-26 | 식생판넬과 이를 이용한 사면의 식생옹벽 시공 및 보수방법 그리고 성토부의 식생옹벽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1040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99795A (ko) | 2015-02-12 | 2016-08-23 | (주)대한콜크 | 식생판넬과 이를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 |
KR20180091233A (ko) | 2017-02-06 | 2018-08-16 | 공학봉 | 절토부 패널과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
CN108867668A (zh) * | 2018-02-08 | 2018-11-23 | 韦随庆 | 生态挡土板结构 |
KR20190101950A (ko) | 2019-08-27 | 2019-09-02 | 공학봉 |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 |
KR102077247B1 (ko) * | 2019-04-09 | 2020-04-07 | 김제현 | 벽면 녹화 구조물 및 벽면 녹화 구조물 설치 방법 |
KR102338340B1 (ko) * | 2021-05-13 | 2021-12-13 | 주식회사 정성이엔씨 | 개량형 사면 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58873A (ja) * | 1997-11-28 | 1999-06-15 | Ohbayashi Corp | 盛土補強土工法用法枠ブロック |
KR20080108863A (ko) * | 2007-06-11 | 2008-12-16 | 이정수 | 보강토 옹벽 지지를 위한 띠형 섬유보강재의 형태유지구 및이를 이용한 띠형 섬유보강재의 시공방법 |
KR20100104984A (ko) * | 2009-03-20 | 2010-09-29 | 강릉시 | 벽면녹화용 다공패널 구조체 |
KR101058561B1 (ko) * | 2009-04-03 | 2011-08-25 | (주)만선지오쓰 | 배수기능이 향상된 옹벽 및 옹벽의 시공방법 |
-
2011
- 2011-12-26 KR KR1020110142870A patent/KR10123104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58873A (ja) * | 1997-11-28 | 1999-06-15 | Ohbayashi Corp | 盛土補強土工法用法枠ブロック |
KR20080108863A (ko) * | 2007-06-11 | 2008-12-16 | 이정수 | 보강토 옹벽 지지를 위한 띠형 섬유보강재의 형태유지구 및이를 이용한 띠형 섬유보강재의 시공방법 |
KR20100104984A (ko) * | 2009-03-20 | 2010-09-29 | 강릉시 | 벽면녹화용 다공패널 구조체 |
KR101058561B1 (ko) * | 2009-04-03 | 2011-08-25 | (주)만선지오쓰 | 배수기능이 향상된 옹벽 및 옹벽의 시공방법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99795A (ko) | 2015-02-12 | 2016-08-23 | (주)대한콜크 | 식생판넬과 이를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 |
KR20180091233A (ko) | 2017-02-06 | 2018-08-16 | 공학봉 | 절토부 패널과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
CN108867668A (zh) * | 2018-02-08 | 2018-11-23 | 韦随庆 | 生态挡土板结构 |
CN108867668B (zh) * | 2018-02-08 | 2023-12-22 | 韦随庆 | 生态挡土板结构 |
KR102077247B1 (ko) * | 2019-04-09 | 2020-04-07 | 김제현 | 벽면 녹화 구조물 및 벽면 녹화 구조물 설치 방법 |
KR20190101950A (ko) | 2019-08-27 | 2019-09-02 | 공학봉 |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 |
KR102100590B1 (ko) * | 2019-08-27 | 2020-04-13 | 공학봉 |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 |
KR102338340B1 (ko) * | 2021-05-13 | 2021-12-13 | 주식회사 정성이엔씨 | 개량형 사면 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보강 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31040B1 (ko) | 식생판넬과 이를 이용한 사면의 식생옹벽 시공 및 보수방법 그리고 성토부의 식생옹벽 시공방법 | |
KR101162547B1 (ko) | 녹화용 식생 보강 매트리스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 |
US6675547B1 (en) | Method for forming a head wall from an anchor pile and reinforcing member for said anchor pile structure | |
EP0574233A1 (en) | Method for forming vegetated slopes in strengthened ground and a product obtained by such method | |
KR101162548B1 (ko) |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 |
KR100788934B1 (ko) | 녹화 보강토 옹벽 | |
KR101342130B1 (ko) | 도로 사면의 친환경 녹화 보강 구조물 | |
KR101334975B1 (ko) | 하천 사면 또는 절개지에 형성되는 식생돌망태 시공방법 | |
KR100741528B1 (ko) | 사면녹화안정용 보강토옹벽 | |
CN210216318U (zh) | 生态式河道边坡防护结构 | |
KR100636085B1 (ko) | 조립식 옹벽 구조체 | |
KR20080090718A (ko) | 환경친화적 식생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 | |
PT2206836E (pt) | Estrutura de talude | |
US20200248426A1 (en) | Retaining Wall with Reinforced Soil | |
CN212477800U (zh) | 一种锚固格宾挡土墙 | |
KR200413303Y1 (ko) | 강재 빔을 이용한 산벽 구조체 | |
KR200375686Y1 (ko) | 옹벽의 철판망 개비온 구조 | |
CN110016933B (zh) | 一种装配式刚、柔组合型弹性抗震加筋土挡墙的施工方法 | |
CN114718037A (zh) | 一种改进的蜂巢土工格栅安装方法 | |
KR19990046526A (ko) | 조경법면설치구조물및그것을이용한시공방법 | |
KR101012653B1 (ko) |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JP7109840B1 (ja) | 盛土補強壁及び盛土補強壁の構築方法 | |
CN221399047U (zh) | 一种绿化护坡结构 | |
KR200369435Y1 (ko) | 낙석 방지 및 녹화처리를 위한 격자형 조립식 옹벽 | |
KR102484636B1 (ko) | 옹벽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3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