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28001B1 - 노크식 필기구 - Google Patents

노크식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001B1
KR101228001B1 KR1020087017460A KR20087017460A KR101228001B1 KR 101228001 B1 KR101228001 B1 KR 101228001B1 KR 1020087017460 A KR1020087017460 A KR 1020087017460A KR 20087017460 A KR20087017460 A KR 20087017460A KR 101228001 B1 KR101228001 B1 KR 101228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ck
rotor
contact
knock body
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7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5875A (ko
Inventor
마쓰헤이 도야마
히사토시 시부야
Original Assignee
제브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브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브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5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00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3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flicking or ti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2Ball-point pens with retractable ball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4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with saw-like or analogous cam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로 백 쇼크에 기인하는 필기시 흰줄이 생기는 것이나 써지지 않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충격음을 저감시킨다.
축통(1)측과 노크체(2)측이 지름방향으로 대향하는 면에 어느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을 향해 돌출시키거나 혹은 이들 축통(1)측 및 노크체(2)측의 양쪽으로부터 돌출시켜 서로 슬라이드 접촉되는 압접 수단(5)을 형성함으로써, 해제 조작으로 축통(1)측에 대해 노크체(2)측을 후퇴시켜도 그 압접 수단(5)에 의한 마찰 저항으로 잉크 탱크(3)의 후퇴 속도가 늦어져 백 쇼크가 큰폭으로 감소되고, 그에 따라 필기 선단부(3a)로부터 공기가 들어가 잉크가 잉크 탱크(3)로 역류되는 일이 없어지고, 또한 후퇴하는 잉크 탱크(3)가 정위치로 되돌아왔을 때의 충격음도 저감된다.

Description

노크식 필기구{KNOCK-TYPE WRITING INSTRUEMENT}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노크식 볼펜 등과 같은 노크 조작에 의해 필기 선단부를 출몰시키는 노크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축통에 대해 노크체의 압압 조작에 의해 잉크 탱크를 축방향으로 전진시켜 그 필기 선단부를 축통의 선단 개구로부터 돌출시키고, 해제 조작에 의해 잉크 탱크를 축방향으로 후퇴시켜 그 필기 선단부를 축통의 선단 개구 내에 몰입시키는 노크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노크식 필기구로서, 축통 내에 그 축방향으로 왕복동 자유로운 노크체(조작부)와, 이것과 대향하여 축통의 내면측에 형성되는 중간부재와, 이들 노크체의 캠 경사면이나 중간부재의 캠 경사면에 걸어 맞춤으로써 둘레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자와, 이 회전자를 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와, 회전자와 연동하는 잉크 탱크(리필)를 구비하며, 상기 노크체가 압압 조작됨으로써 회전자의 돌조를 중간부재의 슬라이드 홈을 따라 축방향으로 전진시켜 이 돌조가 슬라이드 홈으로부터 빠지고 나서 노크체의 캠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게 회전시키고, 그 후의 노크 복귀시에 그 회전자의 돌조를 중간부재의 걺 오목부에 걸어 맞추어 걺 상태로 하고, 그 후 다시 압압 조작에 의해 회전자의 돌조를 중간부재의 걺 오목부로 부터 빼내서 걺 상태를 해제하고, 노크체의 캠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게 회전시킴과 함께 중간부재의 슬라이드 홈에 삽입하여 축방향으로 후퇴시키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노크식 필기구에 의하면 해제 조작으로 가압 부재에 의해 잉크 탱크를 강제적으로 후퇴시키기 때문에 이 잉크 탱크가 정위치로 되돌아갔을 때에는 후방으로의 충격(이하 "백 쇼크"라고 한다)이 작용하여, 그것에 의해 필기 선단부로부터 공기가 들어가 잉크가 잉크 탱크로 역류되기 쉽기 때문에 필기시 흰줄이 생기는 일이나 써지지 않는 일이 발생하는 것이 염려되었다.
특히, 잉크 탱크 내에 저점도 유성 잉크 등과 같은 유동 저항이 작은 잉크가 수용되는 경우에는 백 쇼크에 기인하는 필기시 흰줄이 생기는 일이나 써지지 않는 일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후퇴하는 잉크 탱크가 정위치로 되돌아갔을 때에는 충격음도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노크 조작으로 필기 선단부를 확실히 출몰시키기 위해서는 가압력을 강하게 설정하기 때문에 필기 선단부의 몰입시에 큰 충격음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축통 내에서 노크체를 왕복동시키기 위해서 이들 양자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있는데 노크 조작으로 노크체가 왕복동할 때에는 그 둘레방향의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면형상으로 슬라이드 접촉되어 슬라이드 이동음이 발생하고, 이 노크체에 대해서 회전자가 회전했을 때에는 이들 노크체와 회전자와 중간부재와의 사이에서 튕김음이나 충돌음 등이 발생한다.
이들의 소리를 총칭하여 노크음이라고 부르고 있는데, 종래의 노크음은 "틱" "틱"이라는 날카롭고 높은 소리로 울리기 쉽고, 게다가 조작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 노크 감촉도 가벼운 점에서 특별한 의미도 없이 노크 조작을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노크음을 연발시키는 것 같은 행동이 자주 보여져, 이와 같은 행동도 포함하여 경박한 이미지가 있어 노크식 필기구 자체를 싫어하는 사람도 있었다.
이와 같은 소위 노크음은 사용자 자신에게 있어 작동 상태(필기체의 출몰 상태)를 확인하는 의미도 있기 때문에 결코 불쾌한 것은 아니지만, 타인에게 있어서는 불쾌감을 느낄 우려가 있어 특히 회의와 같은 주위의 분위기가 조용한 장소에서는 무의미한 노크 조작에 의한 노크음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1:일본공개특허공보 2004-209881호(제6-7페이지, 도 1-2)
본 발명은 상기 종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과제로 하는 것은 간단한 구조로 백 쇼크에 기인하는 필기시 흰줄이 생기는 것이나 써지지 않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충격음을 저감시키는 노크식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1의 발명에서는 축통측과 노크체측이 지름방향으로 대향하는 면에 어느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을 향해 돌출시키거나 혹은 이들 축통측 및 노크체측의 양쪽으로부터 돌출시켜 서로 슬라이드 접촉하는 압접 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축통측」은 축통 자체뿐만 아니라 이 축통의 내측에 고정 배치되는 이너 부품 등을 포함하고, 상기 「노크체측」은 노크체 자체뿐만 아니라 이 노크체와 함께 왕복동하는 연동 부품 등을 포함한다.
또, 제2의 발명에서는 상기 제1의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압접 수단으로 축통측과 노크체측을 부분적으로 접촉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3의 발명에서는 상기 제1 또는 제2의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압접 수단의 형성 부분을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는 굴곡 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제4의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제2 또는 제3의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노크체에 대해서 축통측의 중간부재를 따라 축방향으로 왕복동 자유롭고 둘레방향으로 회전 자유로운 회전자를 형성하고, 이들 노크체와 회전자가 지름방향으로 대향하는 면에 어느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을 향해 돌출시키거나 혹은 이들의 양쪽으로부터 돌출시켜 서로 슬라이드 접촉하는 압접 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5의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제2, 제3 또는 제4의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압접 수단의 형성 부분을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는 굴곡 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일부 절결 반단면도이며, (a)가 필기 선단부의 몰입 상태를 나타내고, (b)가 필기 선단부의 돌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a)의 (3)-(3)선에 따른 확대 횡단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a)의 (4)-(4)선에 따른 확대 횡단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반단면도이며, (a)가 필기 선단부의 몰입 상태를 나타내고, (b)가 필기 선단부의 돌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축통 1a: 선단 개구
2: 노크체 3: 잉크 탱크
3a: 필기 선단부 5: 압접 수단
5c: 굴곡 수단 6: 중간부재
7: 회전자 8: 압접 수단
8c: 굴곡 수단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 A는 도 1~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통(1)의 내부에 노크 기구로서 적어도 노크체(2)를 그 축통(1)의 축방향으로 왕복동 자유롭게 장착함과 함께, 잉크 탱크(3)와, 잉크 탱크를 후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등의 가압 부재(4)를 장착하고, 노크체(2)를 압압 조작함으로써, 잉크 탱크(3)를 축방향으로 전진시켜 그 필기 선단부(3a)를 축통(1)의 선단 개구(1a)로부터 돌출시키고, 필기 가능한 상태인 채로 로크함과 함께, 그 후의 해제 조작에 의해 로크 해제하여, 잉 크 탱크(3)를 축방향으로 후퇴시켜 그 필기 선단부(3a)를 축통(1)의 선단 개구(1a) 내에 몰입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축통(1) 또는 그 내측에 고정 배치되는 이너 부품 등으로 이루어지는 축통(1)측과, 노크체(2) 또는 그것과 함께 왕복동하는 연동 부품 등으로 이루어지는 노크체(2)측이 지름방향으로 대향하는 면에는 어느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을 향해 돌출시키거나, 혹은 이들 축통(1)측 및 노크체(2)측의 양쪽으로부터 돌출시켜 서로 맞닿는 압접 수단(5)을 형성하고, 이 압접 수단(5)으로 축통(1)측과 노크체(2)측을 슬라이드 접촉시킴으로써 이들 양자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 저항으로 노크 조작에 저항감을 주고, 또한 축통(1)측에 대한 노크체(2)의 왕복동 속도가 느려지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바람직한 일례에 의하면, 상기 압접 수단(5)으로서 점접촉부(5a)나 면접촉부(5b)를 돌출 형성하고, 이 점접촉부(5a)로 축통(1)측과 노크체(2)측을 부분적으로 점접촉시키거나 또는 면접촉부(5b)로 부분적으로 면접촉시킴으로써 노크 조작에 적당한 저항감을 갖게 한다.
그 외의 예로서, 이들 축통(1)측과 노크체(2)측 사이에 마찰 저항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이동 불가능하게 배치함으로써 축방향으로의 마찰 저항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압접 수단(5)이 형성되는 부분을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는 굴곡 수단(5c)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노크 기구를 구성하는 노크체(2)와, 이 노크체(2)에 대해서 축 통(1)측의 중간부재(6)를 따라 축방향으로 왕복동 자유롭고 둘레방향으로 회전 자유로운 회전자(7)가 지름방향으로 대향하는 면에는 어느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을 향해 돌출시키거나 혹은 이들의 양쪽으로부터 돌출시켜 서로 맞닿는 압접 수단(8)을 형성하고, 이 압접 수단(8)으로 노크체(2)와 회전자(7)를 슬라이드 접촉시킴으로써 이들 양자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 저항으로 노크체(2)에 대한 회전자(7)의 회전력과 축방향으로의 왕복동을 각각 제어하여, 이들 노크체(2)와 회전자(7)와 중간부재(6)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튕김음이나 충돌음 등으로 이루어지는 노크음을 개선함과 함께 노크체(2)에 대한 회전자(7)의 후퇴 속도가 느려지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바람직한 일례에 의하면, 이들 노크체(2)와 회전자(7)를 상기 압접 수단(8)의 점접촉부(8a)로 부분적으로 접촉시키거나 또는 면접촉부(8b)로 부분적으로 면접촉시킴으로써 노크체(2)에 대한 회전자(7)의 회전력과 축방향으로의 왕복동을 각각 제어한다.
또한, 상기 압접 수단(8)이 형성되는 부분을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는 굴곡 수단(8c)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이 실시예 1은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노크 기구로서, 노크체(2)와 대향하여 축통(1)측에 고정 배치되는 중간부재(6)와, 이 중간부재(6)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왕복동 자유롭고 게다가 둘레방향으로 회전 자유로운 회전자(7)를 구비하며, 노크체(2)의 압압 조작에 의해 중간부재(6)를 따라 회전자(7)를 전진시 키고 나서 둘레방향으로 회전시켜 필기 가능한 상태인 채로 걸고, 다시 압압 조작에 의해 걺 상태를 해제하고 나서 중간부재(6)를 따라 회전자(7)를 축방향으로 후퇴시켜 필기 선단부(3a)가 축통(1)의 선단 개구(1a) 내에 몰입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축통(1)에 이너 부품으로서, 클립 고정부(9)를 나사 장착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장착하고, 또한 상기 노크체(2)와 함께 왕복동하는 연동 부품으로서, 그 노크체(2)의 후측에 형성한 지지부(2a)와 축방향으로 끼우는 원통형의 노크 캡(10)을 구비하며, 이 노크 캡(10)의 외주면에 상기 압접 수단(5)을 그 클립 고정부(9)의 내면(9a)을 향해 돌출 형성함으로써 이 압접 수단(5)으로 클립 고정부(9)의 내면(9a)과 부분적으로 접촉시켜 노크체(2)의 압압 조작에 의해 압접 수단(5)이 클립 고정부(9)의 내면(9a)을 적절한 압력으로 슬라이드 접촉되도록 하고 있다.
이 노크 캡(10)은 후단면을 폐쇄한 대략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전단측에 후술하는 클립 고정부(9)의 내면(9a)보다 소경인 확경부(10a)를 형성하여, 이 확경부(10a)의 외주면의 일부에 상기 압접 수단(5)으로서 부분적으로 점접촉시키는 점접촉부(5a)를 돌출 설치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압접 수단(5)의 점접촉부(5a)로서 단면 반구형상의 돌기를 둘레방향으로 등간격마다 한 쌍 형성하고 있지만, 그 외의 예로서, 이 점접촉부(5a)를 둘레방향으로 등간격마다 2개 이상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점접촉부(5a)의 선단부 또는 클립 고정부(9)의 내면(9a)의 어느 한쪽이나 혹은 양쪽에 마찰 저항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접착하여, 축방향으로의 마찰 저항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상기 노크 캡(10)의 확경부(10a)에는 각 압접 수단(5)이 형성되는 부분을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는 굴곡 수단(5c)으로서, 그 압접 수단(5)의 형성 부분을 둘러싸도록 예를 들면 대략 ㄷ자형 또는 대략 U자형의 절결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각 압접 수단(5)의 형성 부분이 독립적으로 지름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기 쉬운 구조가 되어, 후술하는 클립 고정부(9)의 내부에 그 노크 캡(10)의 확경부(10a)를 삽입하기 쉽게 하고, 또한, 그 압접 수단(5)을 클립 고정부(9)의 내면(9a)에 적절한 압력으로 슬라이드 접촉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굴곡 수단(5c)의 다른 바람직한 예로서, 도시하지 않지만, 압접 수단(5)의 형성 부분을 둘러싸도록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을 둘레방향으로 한 쌍 형성하거나 또는 지름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을 축방향으로 한 쌍 형성하고, 압접 수단(5)의 형성 부분만이 지름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기 쉬운 구조로 하거나 혹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을 둘레방향으로 적절한 간격마다 복수 형성하거나 하여, 그 압접 수단(5)의 형성 부분을 포함하는 확경부(10a) 전체가 지름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기 쉬운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노크 캡(10)의 확경부(10a)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노크체(2)의 후단 지지부(2a)와 지름방향으로 대향하여 맞닿는 슬라이드부(10b)와, 그 노크체(2) 의 후단 지지부(2a)와 축방향으로 대향하여 맞닿는 압압부(10c)를 형성하고, 이 노크 캡(10)의 압압 조작에 의해 압압부(10c)를 통하여 노크체(2)를 전진시킴과 함께, 그 슬라이드부(10b)를 통하여 노크 캡(10) 전체를 노크체(2)의 후단 지지부(2a)를 따라 축방향으로 왕복동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다.
또, 상기 클립 고정부(9)는 예를 들면 DURACON(POM) 또는 그 외의 연질 합성 수지나 금속 등으로 적어도 내면(9a)이 평활한 원통형상으로 성형되고, 그 후단에는 상기 노크 캡(10)의 확경부(10a)와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걸어 맞춤 단부(9b)를 돌출 형성하여, 이들 확경부(10a)와 걸어 맞춤 단부(9b)를 축방향으로 걸어 맞춤으로써 그 확경부(10a)가 걸어 맞춤 단부(8b)에 맞닿을 때까지 노크 캡(10) 전체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노크체(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후단측 외주면에 상기 노크 캡(10)의 슬라이드부(10b)와 축방향으로 왕복동 자유롭게 끼우는 지지부(2a)를 형성하고, 또 전단측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중간부재(6)의 슬라이드부(6a)와 걸어 맞추는 회전 규제부(2b)를 돌출 형성하여, 중간부재(6)의 슬라이드부(6a)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며 게다가 축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지지됨과 함께 후술하는 중간부재(6)의 스톱퍼(6c)와 축방향으로 걸어 맞춤으로써 그 회전 규제부(2b)가 스톱퍼(6c)에 맞닿을 때까지 노크체(2) 전체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 노크체(2)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회전자(7)의 삽입부(7a)보다 대경의 중심구멍(2c)이 축방향으로 관통되고, 그 노크체(2)의 전단면에는 후술하는 회전자(7)의 캠 경사면(7c)과 대향하는 캠 경사면(2d)을 둘레방향으로 산형상으로 연속 형성 하고 있다.
상기 중간부재(6)는 상기 축통(1)의 내면측에서, 노크체(2)의 회전 규제부(2b) 및 후술하는 회전자(7)의 걸어 맞춤부(7b)를 축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드부(6a)가 둘레방향에 복수 형성되고, 이들 슬라이드부(6a)의 전단면에는 후술하는 회전자(7)의 캠 경사면(7c)과 대향하는 캠 경사면(6b)을 둘레방향으로 산형상으로 연속 형성함과 함께, 그 슬라이드부(6a)의 후단에는 상기 노크체(2)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톱퍼(6c)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서, 이 스톱퍼(6c)로부터 상기 노크 캡(10)의 확경부(10a) 또는 슬라이드부(10b)에 걸쳐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11)를 장착하여, 그 노크 캡(10)을 상시 후방으로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자(7)는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후단측에 상기 노크체(2)의 중심구멍(2c)과 대향하는 삽입부(7a)를 형성하여, 이 삽입부(7a)를 노크체(2)의 중심구멍(2c) 내에 삽입함으로써 축방향으로 왕복동 자유롭고 축방향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고, 이 삽입부(7a)의 외주면에 상기 압접 수단(8)으로서 점접촉부(8a)를 그 노크체(2)의 중심구멍(2c)을 향해 돌출 형성함으로써 이 압접 수단(8)의 점접촉부(8a)로 노크체(2)의 중심구멍(2c)과 부분적으로 접촉시켜 노크체(2)에 대한 회전자(7)의 회전력과 축방향으로의 왕복동이 각각 제어되도록 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압접 수단(8)의 점접촉부(8a)로서,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 원호형상의 돌기를 둘레방향으로 등간격 마다 한 쌍 형성하고 있지만, 그 외의 예로서, 점접촉부(8a)를 둘레방향으로 등간격마다 2개 이상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점접촉부(8a)의 선단부 또는 노크체(2)의 중심구멍(2c)의 어느 한쪽이나 혹은 양쪽에 마찰 저항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축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접착하여, 축방향 및 둘레방향으로의 마찰 저항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또, 상기 회전자(7)의 삽입부(7a)의 외주면에는 각 압접 수단(8)이 형성되는 부분을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는 굴곡 수단(8c)으로서, 그 삽입부(7a)의 중심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을 오목하게 설치하여 지름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킬 수 있는 구조로 함으로써 상기 노크체(2)의 중심구멍(2c) 내에 회전자(7)의 삽입부(7a)를 삽입하기 쉽게 하고, 또한 압접 수단(8)을 그 중심구멍(2c)의 내주면에 적절한 압력으로 슬라이드 접촉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압접 수단(8)의 다른 바람직한 예로서,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회전자(7)의 삽입부(7a)의 외주면 또는 상기 노크체(2)의 중심구멍(2c)의 내주면의 어느 한쪽이나 혹은 양쪽에 탄성 변형할 수 있는 재료로 환형상으로 성형된 환형상 탄성체를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삽입 장착하여, 지름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기 쉬운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자(7)의 전단측에는 그 외주면에 상기 중간부재(6)의 슬라이드부(6a)와 축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부(7b)를 둘레방향으로 복수 형성하고, 이들 걸어 맞춤부(7b)의 후단면에는 상기 노크체(2)의 캠 경사 면(2d) 및 중간부재(6)의 캠 경사면(6b)과 슬라이드 접촉하는 캠 경사면(7c)이 형성되고, 전단면에는 후술하는 잉크 탱크(3)의 후단측을 착탈(장착 및 분리) 자유롭게 지지하는 삽입 장착부(7d)가 오목하게 설치된다.
한편, 도시한 예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 A가 그 노크체(2)의 압압 조작에 의해 잉크 탱크(3)로서 리필의 필기 선단부(3a)를 축통(1)의 선단 개구(1a)로부터 출몰시키는 노크식 볼펜이며, 이 축통(1)의 전단 외주에 파지부(그립)(1g)를 삽입 장착하고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축통(1)의 외주면과 상기 노크 캡(10)의 후단측 외주면(10d)을 덮도록 장식용 커버(1b, 10e)를 각각 장착하고 있지만, 이들 장식용 커버(1b, 10e)를 장착하지 않고, 축통(1)의 외주면이나 노크 캡(10)의 후단측 외주면(10d)을 노출시킬 수도 있다.
다음에 이러한 노크식 필기구 A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도 1(a)에 나타내는 축통(1)의 선단 개구(1a)로부터 잉크 탱크(3)의 필기 선단부(3a)가 몰입되어 있을 때에 노크 캡(10)을 통하여 노크체(2)가 압압 조작되면, 노크체(2)의 캠 경사면(2d)이 회전자(7)의 캠 경사면(7c)에 맞닿아, 직접적으로 회전자(7)를 밀어 전진시킨다.
이 때, 노크체(2)측인 노크 캡(10)의 압접 수단(5)이 축통(1)측인 클립 고정부(9)의 내면(9a)을 따라 부분적으로 접촉(점접촉)된 채로 슬라이드 이동하기 때문에 클립 고정부(9)에 대한 노크 캡(10)의 왕복동, 즉 노크 조작에 적당한 저항감을 갖게 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축통(1)측의 클립 고정부(9)에 대해서 노크체(2)측의 노크 캡(10)을 왕복동시켜도 양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슬라이드 이동음이 경감됨과 함께 노크 조작의 감촉이 부드러운 중후한 노크 감촉으로 변화되어 노크 슬라이드 이동음과 노크 감촉을 개선할 수 있다.
또, 상기 노크체(2)의 캠 경사면(2d)에 의한 미는 운동으로, 회전자(7)의 걸어 맞춤부(7b)가 중간부재(6)의 슬라이드부(6a)를 따라 전진되어 그대로 슬라이드부(6a)로부터 그 회전자(7)의 걸어 맞춤부(7b)가 빠진다.
이 빠진 순간에 회전자(7) 전체가 개방되어 프리 상태가 되고, 그 이후의 동작으로 이들 노크체(2)와 회전자(7)와 중간부재(6)와의 사이에 노크음이 발생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프리 상태가 된 회전자(7)의 캠 경사면(7c)이 노크체(2)의 캠 경사면(2d)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중간부재(6)의 슬라이드부(6a)로부터 회전자(7)의 걸어 맞춤부(7b)가 빠지고 나서 캠 경사면(2d)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그 경사면 종단 오목부(2d')에 들어가 회전이 멈출 때까지의 동안에 노크음이 발생한다.
이 경우의 노크음은 회전자(7)의 캠 경사면(7c)이 중간부재(6)의 슬라이드부(6a)의 선단부를 튕기는 것 및/또는 캠 경사면(2d)의 경사면 종단 오목부(2d')에닿는 것에 의해, '틱'하고 튕김음이 발생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 후, 노크체(2)의 1회의 압압 조작이 종료되면, 노크체(2)와 회전자(7)는 가압 부재(4)의 가압력에 의해 후방으로 되돌려지기 때문에 회전자(7)의 캠 경사면(7c)이 중간부재(6)의 캠 경사면(6b)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다시 회전되어 맞닿아 걸어진다.
그것에 의해,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 탱크(3)의 필기 선단부(3a)가 축통(1)의 선단 개구(1a)로부터 돌출된 채로 유지된다.
이 회전자(7)의 캠 경사면(7c)이 중간부재(6)의 캠 경사면(6b)에 맞닿아 걸어질 때에도 노크음이 발생한다.
이 경우의 노크음은 회전자(7)의 캠 경사면(7c)이 중간부재(6)의 캠 경사면(6b)의 경사면 종단 오목부(도시하지 않음)에 닿음으로써, '틱'하고 충돌음이 발생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 A에서는 회전자(7)의 압접 수단(8)이, 노크체(2)의 중심구멍(2c)을 따라 접촉된 채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이 압접 수단(8)에 의한 적당한 마찰 저항으로 회전자(7)의 회전력과 축방향으로의 왕복동이 각각 제어된다.
그것에 의해, 노크 조작으로 노크체(2)에 대해서 회전자(7)를 회전 및 왕복동시켜도 회전자(7)의 캠 경사면(7c)이 중간부재(6)의 슬라이드부(6a)의 선단부를 튕기는 것 및/또는 캠 경사면(2d)의 경사면 종단 오목부(2d')에 닿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튕김음과, 회전자(7)의 캠 경사면(7c)이 중간부재(6)의 캠 경사면(6b)의 경사면 종단 오목부(도시하지 않음)에 닿음으로써 발생하는 충돌음이 저감됨과 함께 이들 튕김음이나 충돌음 등으로 이루어지는 노크음이 날카롭고 높은 소리로부터 부드러운 중후한 소리로 바뀌어, 회전자(7)의 회전에 기인하는 노크음이 저감된다.
그리고, 그 후의 잉크 탱크(3)를 후퇴시키기 위한 노크 조작에서는 노크 체(2)의 캠 경사면(2d)의 전진에 의해 회전자(7)의 캠 경사면(7c)이 중간부재(6)의 캠 경사면(6b)의 경사면 종단 오목부로부터 빠져, 노크체(2)의 캠 경사면(2d)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회전될 때에도 프리 상태의 회전자(7)로부터 노크음(튕김음)이 발생함과 함께 이것에 이어서 회전자(7)의 걸어 맞춤부(7b)가 중간부재(6)의 슬라이드부(6a)에 들어갈 때에도 노크음(충돌음)이 발생한다.
그러나, 이들 노크음(튕김음, 충돌음)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회전자(7)의 압접 수단(8)이 노크체(2)의 중심구멍(2c)을 따라 접촉된 채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이 압접 수단(8)에 의한 적당한 마찰 저항으로 노크체(2)에 대한 회전자(7)의 회전력과 축방향으로의 왕복동이 각각 제어되기 때문에 상기 노크음(튕김음, 충돌음)이 저감됨과 함께 날카롭고 높은 소리로부터 부드러운 중후한 소리로 바뀌어, 회전자(7)의 회전에 기인하는 노크음이 저감된다.
또한, 이 잉크 탱크(3)의 후퇴시에도 노크체(2)측인 노크 캡(10)의 압접 수단(5)이 축통(1)측인 클립 고정부(9)의 내면(9a)을 따라 부분적으로 점접촉된 채로 슬라이드 이동하기 때문에 그 압접 수단(5)에 의한 마찰 저항으로 잉크 탱크(3)의 후퇴 속도가 느려져 잉크 탱크(3)에 대한 백 쇼크(후방으로의 충격)가 큰폭으로 감소된다.
그것에 의해, 필기 선단부(3a)로부터 공기가 들어가 잉크가 잉크 탱크(3)로 역류되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백 쇼크에 기인하는 필기시 흰줄이 생기는 것이나 써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회전자(7)의 압접 수단(8)의 마찰 저항으로 노크체(2)에 대한 회전 자(7)의 후퇴 속도가 더욱 느려지기 때문에 잉크 탱크(3)의 백 쇼크가 더욱 경감되어 백 쇼크에 기인하는 필기시 흰줄이 생기는 것이나 써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b)에 나타내는 잉크 탱크(3)의 필기 선단부(3a)가 축통(1)의 선단 개구(1a)로부터 돌출된 채로 유지되는 필기 가능한 상태에서 도시한 예와 같이 중간부재(6)와 노크 캡(10) 사이에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11)를 장착하여 그 노크 캡(10)을 상시 후방으로 가압하면, 그 확경부(10a)가 클립 고정부(9)의 걸어 맞춤 단부(9b)에 맞닿을 때까지 후퇴하여 후단측 외주면(10d)을 후방으로 돌출시킨 채로 유지한다.
그것에 의해, 노크체(2)가 전진한 상태에서도 노크 캡(10)이 축방향으로 덜컹거리는 일이 없다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2
이 실시예 2는 도 5~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노크 캡(10)의 확경부(10)의 외주면에 상기 압접 수단(5)으로서 부분적으로 면접촉시키는 면접촉부(5b)를 클립 고정부(9)의 내면(9a)을 향해 돌출 형성함과 함께, 상기 회전자(7)의 삽입부(7a)의 외주면에 상기 압접 수단(8)으로서 면접촉부(8b)를 노크체(2)의 중심구멍(2c)을 향해 돌출 형성한 구성이, 상기 도 1~도 4에 나타낸 실시예 1과는 다르며, 그 외의 구성은 도 1~도 4에 나타낸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이다.
도시한 예의 경우에는 상기 압접 수단(5)의 면접촉부(5b)로서, 축방향으로 단면 사다리꼴 형상이며 표면 형상이 둘레방향으로 약간 긴 대략 직사각형의 돌기 를 둘레방향으로 등간격마다 한 쌍 형성하고 있다.
그 외의 예로서, 이 면접촉부(5b)의 표면 형상을 대략 원형이나 타원형 등 직사각형 이외의 형상으로 하거나 그 면접촉부(5b)를 둘레방향으로 등간격마다 3개 이상 형성하거나 또는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도록 형성하거나, 그 선단면 또는 클립 고정부(9)의 내면(9a)의 어느 한쪽이나 혹은 양쪽에 마찰 저항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접착하여, 축방향으로의 마찰 저항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이 면접촉부(5b)가 형성되는 부분을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는 굴곡 수단(5c)으로서, 그 면접촉부(5b)의 형성 부분을 둘레방향으로 사이에 끼우도록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을 한 쌍 형성하고 있다.
그 외의 예로서, 면접촉부(5b)의 형성 부분을 둘러싸도록 예를 들면 대략 ㄷ자형 또는 대략 U자형의 절결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압접 수단(8)의 면접촉부(8b)로서, 축방향으로 단면 사다리꼴 형상이며 표면 형상이 둘레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의 돌기를 둘레방향으로 등간격마다 한 쌍 형성하고 있다.
그 외의 예로서, 이 면접촉부(8b)의 표면 형상을 대략 타원형 등 직사각형 이외의 형상으로 하거나, 그 면접촉부(8b)를 둘레방향으로 등간격마다 3개 이상 형성하거나 또는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하도록 형성하거나, 그 선단면 또는 노크체(2)의 중심구멍(2c)의 어느 한쪽이나 혹은 양쪽에 마찰 저항이 높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접착하 여, 축방향으로의 마찰 저항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도 5~도 6에 나타내는 실시예 2는 상기 도 1~도 4에 나타낸 실시예 1의 압접 수단(5)의 점접촉부(5a)나 압접 수단(8)의 점접촉부(8a)에 비해 축방향이나 둘레방향으로의 마찰 저항이 증대되기 때문에 노크체(2)에 대한 회전자(7)의 회전력과 축방향으로의 왕복동이 더욱 제어되어 튕김음이나 충돌음 등으로 이루어지는 노크음을 큰폭으로 저감화시킬 수 있음과 함께, 잉크 탱크(3)의 후퇴 속도가 더욱 느려져 백 쇼크를 보다 큰폭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 이에 기인하는 필기시 흰줄이 생기는 것이나 써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필기 선단부로부터 공기가 들어가기 더 어려워져 잉크의 잉크 탱크(3)로의 역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후퇴하는 잉크 탱크가 정위치로 되돌아갔을 때의 충격음도 보다 저감되기 때문에 충격음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들 면접촉부(5b)나 면접촉부(8b)의 면적은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축방향 및 둘레방향으로의 마찰 저항을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어, 원하는 노크 슬라이드 이동음이나 튕김음이나 충돌음 등으로 이루어지는 노크음과 노크 조작의 감촉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또, 압접 수단(5)의 형성 부분을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는 굴곡 수단(5c)으로서, 그 압접 수단(5)의 면접촉부(5b)를 지름방향으로 사이에 끼워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을 한 쌍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도 1~도 4에 나타낸 실시예 1의 대략 ㄷ자형 또는 대략 U자형의 절결에 비해 성형이 용이하고 게다가 충격에 대해서 파손되기 어렵고, 장기에 걸쳐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필기 가능 상태에서 다시 노크체(2)를 압압 조작함으로써, 잉크 탱크(3)를 축방향으로 후퇴시켜 그 필기 선단부(3a)가 축통(1)의 선단 개구(1a) 내에 몰입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축통(1)의 외면에 형성한 사이드 노크 부재를 압압하는 등의 해제 조작을 함으로써 잉크 탱크(3)를 후퇴시켜 필기 선단부(3a)를 몰입시키는 것이면, 도시한 예 이외의 구조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노크체(2)와 함께 왕복동하는 노크 캡(10)의 외주면에 압접 수단(5)을 축통(1)측인 클립 고정부(9)의 내면(9a)을 향해 돌출 형성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하지 않지만 노크체(2)나 그것과 함께 왕복동하는 노크 캡(10) 이외의 연동 부품에 압접 수단(5)을 축통(1)측을 향해 돌출 형성하거나, 축통(1) 또는 그 내측에 고정 배치되는 예를 들면 클립 고정부(9) 등의 이너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축통(1)측에 압접 수단(5)을 노크체(2) 또는 그것과 함께 왕복동하는 예를 들면 노크 캡(10) 등의 연동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노크체(2)측을 향해 돌출 형성하여 서로 슬라이드 접촉시키거나, 혹은 이들 축통(1)측 및 노크체(2)측의 양쪽으로부터 돌출 형성하여 서로 슬라이드 접촉시켜도 된다.
이것과 마찬가지로, 회전자(7)의 외주면에 압접 수단(8)을, 노크체(2)의 중심구멍(2c)을 향해 돌출 형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하지 않지만 노크체(2)의 중심구멍(2c)측에 압접 수단(8)을 회전자(7)의 외주면을 향해 돌출 형성하거나, 이들 회전자(7)측 및 노크체(2)측의 양쪽으로부터 돌출 형성하여 서로 슬라 이드 접촉시켜도 된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본 발명의 노크식 필기구 A가 잉크 탱크(3)로서 리필을 장착한 노크식 볼펜인 경우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리필 이외에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0-16678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잉크 탱크(3) 내의 잉크를 모세관력(잉크 흡인력)에 의해 필기 선단부에 공급되는 잉크 유도 구조를 구비한 것이나 사인펜 등, 백 쇼크에 기인하여 필기시 흰줄이 생기는 것이나 써지지 않을 우려가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제1의 발명에 의하면, 축통측과 노크체측이 지름방향으로 대향하는 면에 어느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을 향해 돌출시키거나 혹은 이들 축통측 및 노크체측의 양쪽으로부터 돌출시켜 서로 슬라이드 접촉하는 압접 수단을 형성함으로써, 해제 조작으로 축통측에 대해 노크체측을 후퇴시켜도 그 압접 수단에 의한 마찰 저항으로 잉크 탱크의 후퇴 속도가 느려져 백 쇼크가 큰폭으로 감소되고, 그에 따라 필기 선단부로부터 공기가 들어가 잉크가 잉크 탱크로 역류되는 일도 없어지고, 또한 후퇴하는 잉크 탱크가 정위치로 되돌아갔을 때의 충격음도 저감된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로 백 쇼크에 기인하는 필기시 흰줄이 생기는 것이나 써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백 쇼크로 필기 선단부로부터 공기가 들어가 잉크가 잉크 탱크로 역류될 우려가 있는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예를 들면 저점도 유성 잉크 등과 같은 유동 저항이 작은 잉크여도 필기시에 양호한 잉크의 토출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구조가 간소하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필기 선단부의 몰입시에 큰 충격음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일 없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제2의 발명에 의하면, 압접 수단으로 축통측과 노크체측을 부분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노크 조작에 적당한 저항감을 갖게 하여 축통측에 대해 노크체측을 왕복동시켜도 양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슬라이드 이동음이 경감되고, 또한 노크 조작의 감촉이 부드러운 중후한 노크 감촉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로 노크 슬라이드 이동음과 노크 조작의 감촉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고급감이 있는 노크식 필기구를 저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압접 수단으로 축통측과 노크체측을 부분적으로 면접촉시킨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점접촉시키는 것에 비해 축방향으로의 마찰 저항이 증대되기 때문에 잉크 탱크의 후퇴 속도가 더욱 느려져 백 쇼크를 보다 큰폭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기인하는 필기시 흰줄이 생기는 것이나 써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게다가 필기 선단부로부터 공기가 들어가기가 더 어려워져 잉크의 잉크 탱크로의 역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후퇴하는 잉크 탱크가 정위치로 되돌아갔을 때의 충격음도 보다 저감되기 때문에 충격음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압접 수단의 면접촉부는 그 접촉 면적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축방향으로의 마찰 저항을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어, 원하는 노크 슬라이드 이동음과 노크 조작의 감촉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제3의 발명에 의하면, 압접 수단의 형성 부분을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는 굴곡 수단을 형성함으로써 굴곡 수단의 탄성 변형으로 압접 수단이 축통측 또는 노크체측에 대해서 적절한 압력으로 슬라이드 접촉된다.
따라서, 축통측과 노크체측과의 압접력을 미묘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당해 개소에서의 충격 흡수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굴곡 수단으로서 압접 수단을 둘러싸도록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을 한 쌍 형성한 경우에는 압접 수단을 둘러싸도록 대략 ㄷ자형 또는 대략 U자형의 절결을 형성한 경우에 비해 성형이 용이하고 게다가 충격에 대해서 파손되기 어려워 장기간에 걸쳐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다.
제4의 발명에 의하면, 노크체에 대해서 축통측의 중간부재를 따라 축방향으로 왕복동 자유로운 회전자를 형성하고, 이들 노크체와 회전자가 지름방향으로 대향하는 면에 어느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을 향해 돌출시키거나 혹은 이들의 양쪽으로부터 돌출시켜 서로 슬라이드 접촉하는 압접 수단을 형성함으로써, 그 압접 수단의 마찰 저항으로 노크체에 대한 회전자의 회전력과 축방향으로의 왕복동이 각각 제어되고, 노크 조작으로 노크체에 대해 회전자를 회전 및 왕복동시켜도 노크체와 회전자와 중간부재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튕김음이나 충돌음 등으로 이루어지는 노크음이 저감되어, 이들 노크음이 날카롭고 높은 소리로부터 부드러운 중후한 소리로 바뀜과 함께 상기 압접 수단의 마찰 저항으로 노크체에 대한 회전자의 후퇴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잉크 탱크의 백 쇼크가 더욱 경감된다.
따라서, 회전자의 회전에 기인하는 노크음을 저감화시킬 수 있음과 함께 백 쇼크에 기인하는 필기시 흰줄이 생기는 것이나 써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회의와 같이 조용한 분위기에서 사용해도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일 없이 안심하고 노크 조작할 수 있다.
특히, 압접 수단으로 노크체와 회전자를 부분적으로 면접촉시킨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점접촉시키는 것에 비해 둘레방향이나 축방향으로의 마찰 저항이 증대되기 때문에 노크체에 대한 회전자의 회전력과 축방향으로의 왕복동이 더욱 제어되어 튕김음이나 충돌음 등으로 이루어지는 노크음을 큰폭으로 저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잉크 탱크의 백 쇼크가 더욱 경감되어 회전자의 회전에 기인하는 백 쇼크에 기인하는 필기시 흰줄이 생기는 것이나 써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큰폭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압접 수단의 면접촉부는 그 접촉 면적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둘레방향이나 축방향으로의 마찰 저항을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어, 원하는 노크음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제5의 발명에 의하면, 압접 수단의 형성 부분을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는 굴곡 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이 굴곡 수단의 탄성 변형으로 압접 수단이 노크체 또는 회전자에 대해서 적절한 압력으로 슬라이드 접촉된다.
따라서, 노크체와 회전자의 압접력을 미묘하게 조정할 수 있음과 함께 당해 개소에서의 충격 흡수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축통에 대해 노크체의 압압 조작에 의해 잉크 탱크를 축방향으로 전진시켜 그 필기 선단부를 축통의 선단 개구로부터 돌출시키고, 해제 조작에 의해 잉크 탱크를 축방향으로 후퇴시키는 노크식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축통측과 노크체측이 지름방향으로 대향하는 면에 어느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을 향해 돌출시키거나 또는 이들 축통측 및 노크체측의 양쪽으로부터 돌출시켜 서로 슬라이드 접촉하는 제1 압접 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압접 수단의 형성 부분을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는 제1 굴곡 수단을 형성한,
    노크식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접 수단으로 축통측과 노크체측을 부분적으로 접촉시킨, 노크식 필기구.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크체에 대해서 축통측의 중간부재를 따라 축방향으로 왕복동 자유롭고 둘레방향으로 회전 자유로운 회전자를 형성하고, 이들 노크체와 회전자가 지름방향으로 대향하는 면에 어느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을 향해 돌출시키거나 또는 이들노크체와 회전자의 양쪽으로부터 돌출시켜 서로 슬라이드 접촉하는 제2 압접 수단을 형성한, 노크식 필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접 수단의 형성 부분을 지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는 제2 굴곡 수단을 형성한, 노크식 필기구.
KR1020087017460A 2006-01-19 2006-10-18 노크식 필기구 Active KR1012280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10897 2006-01-19
JPJP-P-2006-00010897 2006-01-19
PCT/JP2006/320701 WO2007083424A1 (ja) 2006-01-19 2006-10-18 ノック式筆記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875A KR20080085875A (ko) 2008-09-24
KR101228001B1 true KR101228001B1 (ko) 2013-02-01

Family

ID=38287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7460A Active KR101228001B1 (ko) 2006-01-19 2006-10-18 노크식 필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72072B2 (ko)
EP (1) EP1982843B1 (ko)
JP (1) JP4805952B2 (ko)
KR (1) KR101228001B1 (ko)
CN (1) CN101360617B (ko)
WO (1) WO200708342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839B1 (ko) 2017-09-06 2018-02-09 어명혁 승강 회전되는 유희구를 구비한 필기구
KR101824367B1 (ko) 2017-09-06 2018-03-14 어명혁 흔들어서 볼펜심이 출몰되는 필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7796B2 (ja) * 2009-08-28 2013-01-23 三菱鉛筆株式会社 衝撃緩和機能付きノック式筆記具
CN103273765B (zh) * 2013-05-29 2015-08-26 车宁宁 一种旁揿圆珠笔
JP6300623B2 (ja) * 2014-04-28 2018-03-28 三菱鉛筆株式会社 ノック式筆記具
JP6301181B2 (ja) * 2014-04-28 2018-03-28 三菱鉛筆株式会社 ノック式筆記具
JP6356532B2 (ja) * 2014-08-20 2018-07-11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
US10753387B2 (en) * 2014-10-20 2020-08-25 Kongsberg Automotive Ab Ball pin connector
KR102447929B1 (ko) * 2015-12-09 2022-09-27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노크식 필기구
JP6684582B2 (ja) * 2015-12-09 2020-04-22 三菱鉛筆株式会社 ノック式筆記具
CN108016630B (zh) * 2016-10-31 2020-02-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无人机起降平台
CN108016605B (zh) * 2016-10-31 2020-03-2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无人机起降装置及电动汽车
JP6559821B2 (ja) * 2018-02-28 2019-08-14 三菱鉛筆株式会社 ノック式筆記具
JP7634415B2 (ja) * 2021-04-19 2025-02-21 三菱鉛筆株式会社 ノック式筆記具
CN117183612A (zh) * 2023-10-08 2023-12-08 宁波华丰文具有限公司 无声按动笔
JP2025072924A (ja) * 2023-10-25 2025-05-12 三菱鉛筆株式会社 ノック式筆記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4794A (ja) * 1995-10-12 1997-06-24 Kotobuki:Kk ダブルチャ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2004017358A (ja) 2002-06-13 2004-01-22 Suemine Takahashi 筆記用ペン、又は化粧用ペン
JP2005199512A (ja) 2004-01-14 2005-07-28 Mitsubishi Pencil Co Ltd 筆記具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8373A (en) * 1956-06-20 1960-03-15 David J Esterow Ball-point fountain pens
JP2551810B2 (ja) * 1988-05-06 1996-11-06 アンコス株式会社 ノック式筆記具の衝撃減衰機構
US4991988A (en) * 1989-04-18 1991-02-12 Bic Corporation Component writing instrument having retractable cartridge
JP2567098Y2 (ja) * 1991-05-20 1998-03-30 株式会社壽 筆記具
TW396962U (en) * 1997-01-31 2000-07-01 Pentel Kk Mechanical pencil
US6039484A (en) * 1998-06-22 2000-03-21 Kotobuki & Co., Ltd. Writing instrument
TW422182U (en) * 1999-07-14 2001-02-11 Lin Jia Shiung Improved pressing device for pen instrument
JP3404358B2 (ja) * 2000-04-17 2003-05-06 ゼブラ株式会社 ボールペン用チップ
JP2002241665A (ja) * 2001-02-19 2002-08-28 Zebra Pen Corp 筆記具用干渉調水性インキ
WO2003101757A2 (en) * 2002-05-30 2003-12-11 Luc Marcel Lafond Writing instrument with silent clicker mechanism
JP4153314B2 (ja) 2003-01-07 2008-09-24 ゼブラ株式会社 リフィール進退ユニット
JP4339076B2 (ja) * 2003-10-30 2009-10-07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出没式筆記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4794A (ja) * 1995-10-12 1997-06-24 Kotobuki:Kk ダブルチャ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2004017358A (ja) 2002-06-13 2004-01-22 Suemine Takahashi 筆記用ペン、又は化粧用ペン
JP2005199512A (ja) 2004-01-14 2005-07-28 Mitsubishi Pencil Co Ltd 筆記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839B1 (ko) 2017-09-06 2018-02-09 어명혁 승강 회전되는 유희구를 구비한 필기구
KR101824367B1 (ko) 2017-09-06 2018-03-14 어명혁 흔들어서 볼펜심이 출몰되는 필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05952B2 (ja) 2011-11-02
EP1982843A4 (en) 2012-05-16
WO2007083424A1 (ja) 2007-07-26
JPWO2007083424A1 (ja) 2009-06-11
EP1982843A1 (en) 2008-10-22
CN101360617B (zh) 2012-04-04
CN101360617A (zh) 2009-02-04
EP1982843B1 (en) 2013-06-26
US20100183356A1 (en) 2010-07-22
US7972072B2 (en) 2011-07-05
KR20080085875A (ko) 2008-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8001B1 (ko) 노크식 필기구
JP2008162105A (ja) 出没式筆記具
JP2006306082A (ja) 多芯筆記具
JP2019116061A (ja) 熱変色性筆記具
JP4613750B2 (ja) 複式筆記具
JP5070942B2 (ja) 複式筆記具
JP2003312189A (ja) 入力ペン内蔵筆記具
JP2001191684A (ja) ノック式筆記具
JP3700684B2 (ja) 多芯筆記具
JP4469051B2 (ja) 筆記具のキャップ構造
JPH1044685A (ja) 多芯筆記具
JP4444692B2 (ja) クリップ部材を有するノック式筆記具
JP7394643B2 (ja) 筆記具
CN222682101U (zh) 按动声音可控的按压式笔
JP2013132837A (ja) 出没式筆記具
JPH1016479A (ja) 繰り出し式筆記具
JP2010099915A (ja) ノック式筆記具
JPH09183297A (ja) 多芯筆記具
JP2011011375A (ja) 筆記体と摺動部材との連結構造
JP3870524B2 (ja) サイドノック式筆記具
JP2002154297A (ja) シャープペンシル体を含むスライド式の複合筆記具
JP2018108662A (ja) 熱変色性筆記具
JP4611541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体を含むスライド式の複合筆記具
JP2524895Y2 (ja) ノック式筆記具
JP2008100409A (ja) ノック式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8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