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27292B1 - 필기 도구용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필기 도구 - Google Patents

필기 도구용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필기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292B1
KR101227292B1 KR1020067019572A KR20067019572A KR101227292B1 KR 101227292 B1 KR101227292 B1 KR 101227292B1 KR 1020067019572 A KR1020067019572 A KR 1020067019572A KR 20067019572 A KR20067019572 A KR 20067019572A KR 101227292 B1 KR101227292 B1 KR 101227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writing
instrument
pin
tubular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9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1160A (ko
Inventor
프랑크 롤리옹
유게 안느뀐
앤소니 엠. 울로다르지크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비아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비아이씨 filed Critical 소시에떼 비아이씨
Publication of KR20070021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1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29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2Ball-point pens with retractable ball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tur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행한 제1 및 제2 모서리(11, 12) 사이에서 연장되는 안내부(9)를 포함하는 제1 요소(7)와, 안내부 내로 연장되고 상기 안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되 안내부의 횡방향으로 소정 폭을 갖는 핀(13)을 포함하는 제2 요소(8)와, 상기 핀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16)를 포함하는 필기 도구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잠금 장치는 두 단부 사이에서 제1 모서리 내로 연장되는 오목부와, 오목부의 제1 단부와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부로부터 안내부 내에서 제2 모서리로부터 핀의 폭보다 짧은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는 정점까지 오목부에 대향하여 연장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되, 탄성 부재는 핀이 통과하는 동안 오목부 쪽으로 밀릴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구를 포함하는 필기 도구에 관한 것이다.
필기 도구, 필기 도구용 기구, 안내부, 잠금 장치, 탄성 부재

Description

필기 도구용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필기 도구{MECHANISM FOR WRITING INSTRUMENT AND WRITING INSTRUMEN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특히 필기 도구에 사용하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사실상 평행한 제1 및 제2 모서리 사이에서 연장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제1 요소와, 안내부 내로 연장되고 상기 안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되 안내부의 횡방향을 따라 소정 폭을 갖는 핀을 포함하는 제2 요소와, 상기 핀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많은 필기 도구는 대부분 볼형 끝점(ballpoint)인 기록 끝점을 연장시키고 수축시키기 위한 기구를 포함한다. 이들 기구에서, 캠 채널(channel)이라고도 부르는 안내부는 홈 또는 슬릿 형상으로 제조된다.
안내부는 본체 부품 중 하나의 선회 운동을 필기 도구의 종축을 따르는 볼형 끝점의 병진 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해 프랑스 특허 출원 2 809 67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일 수 있다.
기록 끝점을 연장된 그리고/또는 수축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기구의 제2 요소에서 나온 핀이 결합하는 엘보우 또는 노치(notch)를 형성한다는 것은 공지 기술이다. 그러나, 예컨대 펜이 짧은 거리만큼 떨어지거나 사용자가 기록 끝점을 너무 단단히 누를 경우, 핀은 일반적으로 아주 쉽게 하우징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이들 기구는 또한 핀이 하우징 내에서 핀이 자유롭게 이동하기 때문에 불쾌한 유격감을 줄 수 있다. 이런 유격감을 줄이기 위해, 스프링에 의해 제2 요소 상에 가해지는 압력을 통해 핀을 하우징의 바닥부에 가압된 상태로 유지한다는 것은 공지 기술이다. 그러나, 스프링을 사용할 경우 잠금 위치에 도달하도록 작용되는 힘이 증가된다. 또한, 이 경우, 연장된 위치에 기록 끝점을 고정하기 위해 필요한 힘은 일반적으로 기록 끝점을 수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필요한 힘보다 크다.
다른 유형의 필기 도구에서, 안내부는 일반적으로 종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이에 따라 기구는 푸시버튼에 의해 제어(control)된다.
이런 기구의 경우, 안내부는 채널 내부에서 핀이 버튼 상에 작용되는 두 동작 사이에 포획되는 심장형 채널에서 종료될 수 있다. 그러나, 나선형 안내 기구의 경우에 상술한 단점 외에도, 기구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는 버튼 상에 작용되는 각각의 동작에 대해 항상 얻어질 수 없다.
이들 단점은 필기 도구를 사용하는 전체 편의성에 전체적으로 해로운 영향을 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능하다면 제조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고정적이고 편리하게 잠겨지고 잠금 해제될 수 있는 기구를 제안함으로써 상술한 단점을 줄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상술한 유형의 기구에 있어서, 잠금 장치가 제1 및 제2 단부 사이에서 안내부의 제1 모서리에서 연장되는 오목부와, 오목부의 제1 단부와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부로부터 안내부 내에서 제2 모서리로부터 핀의 폭보다 적은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는 정점까지 오목부에 대향하여 연장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 부재는 핀이 통과하는 동안 오목부 쪽으로 밀리도록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이다.
잠금 기구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제2 요소의 핀을 위치시키는 데 필요한 힘은 탄성 부재의 복원력과 프로파일(profile)에 따른다. 그 결과, 일단 탄성 부재의 기하학적 구조가 결정되면, 잠금력은 잠금 장치가 기록 끝점의 연장되거나 수축된 위치에 대해 사용되는지에 관계없이 현저히 다른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펜의 경우에도 유사하다.
오목부는 핀이 통과하는 동안 탄성 부재의 회수를 허용하고, 결국 이 핀의 폭은 안내부의 폭에 아주 가까워질 수 있게 되어 활동을 제한하고 편의성을 개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다음 배치 구조 중 하나 및/또는 다른 것이 추가로 청구된다.
- 탄성 부재의 기부는 잠금 장치의 영역에서 핀의 활동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제1 모서리의 연장부 내로 연장된다.
- 탄성 부재는 그 이동 방향에 관계없이 핀의 포획을 방지하기 위해 오목부의 제2 단부와 일체 형성된 제2 기부를 갖는다.
- 탄성 부재는 중간 U 형상부를 갖되, U 형상 분기부의 단부들은 각각 제1 및 제2 기부와 일체로 되어 있고 탄성 부재의 정점은 U 형상의 기부에 의해 형성된다.
- 제1 기부는 잠금 해제력이 잠금력과 다를 수 있도록 제2 기부의 길이와 사실상 다른 길이를 갖는다.
- 안내부는 제1 및 제2 모서리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 멈춤부를 갖고, 잠금 장치는 단부 멈춤부와 탄성 부재 사이에서 핀을 고정하기 위해 핀이 상기 단부 멈춤부에 대해 가압될 때 탄성 부재가 핀과 접촉하기에 적절한 단부 멈춤부로부터의 거리에 배치된다.
- 제1 요소와 잠금 장치는 제조 비용을 줄이기 위해 성형에 의해 얻어진 하나의 플라스틱 부품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전방 단부에 개구가 마련된 관형 본체와, 기록 끝점과, 한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까지 통과하는 기록 끝점을 제어하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기구를 포함하되, 기록 끝점은 기록 끝점이 관형 본체의 내측에 배치되는 저장 위치와 기록 끝점이 개구를 통과하는 기록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필기 도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필기 도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다음 배치 구조 중 하나 또는 다른 것이 추가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 본체는 제1 관형부와 제1 관형부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제2 관형부를 포함하되, 기구의 제1 요소는 상기 제1 관형부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기구의 제2 요소는 상기 제2 관형부에 대해 병진식으로 이동 가능하고 기구의 안내부는 본체의 다른 부분에 대한 일 부분의 선회 운동을 기록 끝점의 연장 또는 수축 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나선형으로 되어 있다.
- 나선형 안내부는 개구에 대한 기단 멈춤부와 말단 멈춤부와 기단부에 가깝게 배치된 제1 잠금 기구와 말단부에 가깝게 배치된 제2 잠금 기구를 갖고, 이로써 잠금은 기구의 제1 및 제2 요소의 도움에 의해서만 실행된다.
- 기록 끝점에 연결된 이동 부재는 기구의 제2 요소를 형성하고, 부품의 수를 줄이기 위해 본체의 제1 관형부는 기구의 제1 요소를 형성하고 제2 관형부는 이동 부재와 상호 작용하고 이동 부재의 병진을 안내하기에 적절한 하우징을 갖는다.
복원력과 단부 멈춤부에 대한 위치에서의 탄성 부재 때문에 대부분의 공지된 기구와 달리, 이동 부재에 종방향으로 응력을 가하는 스프링이 완전히 필요없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면에서는 동일 인용 부호가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현된 기구를 포함하는 필기 도구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기 도구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필기 도구의 요소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에는 신축 가능한 볼펜형 필기 도구(1)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볼펜은 개구가 마련된 전방 끝점(2)과 볼펜의 전방부를 형성하는 제1 관형부(3)와 후방부를 형성하는 제2 관형부(4)를 포함하는 외부 본체를 갖는다.
볼형 끝점(6)을 갖는 카트리지(cartridge)(5)가 전방 끝점(2)의 개구를 통해 활주하도록 장착된다.
도 2에 보다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5)는 이동 부재(8)에 연결되어 있는 바, 이때 카트리지의 후방 단부는 이동 부재의 보어(bore) 내에 끼워져 있다.
이동 부재(8)는 기록 끝점(6)이 본체 외측으로 연장되는 기록 위치와 기록 끝점(6)이 본체 내측에 배치되는 저장 위치 사이에서 볼펜의 종축(X)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하, 이런 이동의 제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체의 제1 관형부(3)는 그 후방부에 펜이 조립될 때 관형의 제2 관형부(4) 내측으로 진입하는 감소된 직경을 갖는 후방부(7)를 갖는다.
후방부(7)는 기록 끝점(6)을 연장시키거나 수축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만드는 기구의 제1 요소를 형성한다. 제1 요소(7)는 나선형 라인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모서리(11) 및 제2 모서리(12)에 의해 측방 한정된 안내부(9)를 포함한다.
이동 부재(8)는 핀(13)을 포함하는 기구의 제2 요소에 대응한다. 핀(13)은 안내부(9) 내에서 연장되어 안내부(9)를 따라 활주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요소(7)는 관형상이고 안내부(9)는 제1 요소를 관통하는 나선형 슬릿을 형성한다. 그러나, 안내부는 나선형 홈일 수 있다.
이동 부재(8)는 그 직경이 제1 요소(7) 내로 진입하기에 적절한 원통형 외면을 가지며, 핀(13)은 이런 원통형 외면에 대해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이동 부재(8)는 핀이 안내부(9) 내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노치(14)를 그 전방 단부에 갖는다.
도 3에 보다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요소(7)는 제1 및 제2 잠금 장치(15, 16)를 갖는다.
잠금 장치(15)는 제1 단부(17a)와 제2 단부(17b) 사이에서 안내부의 제1 모서리(11) 내로 연장되는 오목부(17)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오목부(17)는 제1 요소(7)의 벽을 가로지르는 장방형 구멍의 형상을 갖지만 특히 안내부(9)가 홈의 형상을 가질 경우 간단한 중공형일 수 있다.
잠금 장치(15)는 오목부(17)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탄성 부재(18)를 추가로 포함한다. 탄성 부재는 제1 단부(17a)와 일체 형성된 제1 기부(19)와, 제2 단부(17b)와 일체 형성된 제2 기부(20)와, U-형상 중간부(22)의 기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정점(21)을 포함하되, 이들 분기부의 단부는 제1 및 제2 기부(19, 20)와 일체로 되어 있다.
정점(21)은 제2 모서리(12)로부터 핀의 폭보다 작은 거리만큼 떨어져서 안내부(9) 내에 놓이며, 그 길이는 모서리(11, 12)에 거의 수직한 축을 따라 측정된다.
따라서, 핀(13)이 안내부(9) 내에서 활주할 때, 핀은 핀의 이동에 저항하는 탄성 부재의 중간부(22)와 접촉하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중간부(22) 상에 핀에 의해 작용되는 압력이 탄성 부재(18)의 탄성 복원력보다 크도록 제2 요소(8)를 구동시키는 제어 부재에 작용되는 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18)는 오목부(17) 내로 밀리게 되며, 이때 오목부의 치수는 정점(21)의 회수를 허용하기에 적절해야 한다. 물론, 탄성 부재는 핀이 통과한 후 원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탄성 부재의 중간부(22)는 이를 넘어서기 위해 특정한 힘을 필요로 하는 안내부(9)를 따르는 잠금 지점을 형성한다. 이 힘은 원칙적으로 탄성 부재(18)의 형상과 핀(13)의 프로파일에 의존하지만, 예컨대 보다 크거나 작은 범위로 압축될 수 있는 스프링과 같은 펜의 다른 부품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기부(19, 20)와 중간부(22)는 오목부 위에 브리지(bridge)를 형성하지만, 중간부(22)만이 예컨대 제1 기부(19)와 같은 단일 기부에 의해 제1 모서리(11)에 연결되고 중간부(22)가 제2 단부(17b)의 영역까지의 범위만큼 연장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브리지 형상의 구조는 탄성 부재(18)를 오목부 내로 누르기 위해 필요한 힘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탄성 부재가 안내부(9)를 방해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잠금 지점의 교차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기부(19, 20)는 핀이 원활하게 활주할 수 있는 연속면을 형성하도록 제1 모서리(11)의 연장부에서 연장된다.
안내부(9)는 그 단부에서 멈춤부들, 즉 기록 끝점(6) 측 상에서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기단 멈춤부(25)와 이에 대향하는 말단 멈춤부로 지칭되는 멈춤부(26)에 의해 폐쇄된다. 핀(13)이 일점 쇄선에 의해 상징적으로 도시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18)의 중간부(22)는 핀이 멈춤부(25)를 누를 때 탄성 부재(18)가 핀(13)과 접촉할 수 있도록 기단 멈춤부(25)로부터 떨어져서 위치된다. 따라서, 제2 요소의 핀(13)이 제1 요소(7)에 의한 유격없이 고정되는 잠금 위치가 얻어진다.
그러나, 이런 고정 작용은 탄성 부재(18) 및 핀(13) 사이의 접촉점과 본체의 제2 관형부(4)의 일부를 구성하는 멈춤부 및 이동 부재(8) 사이의 접촉점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제1 기부(19)는 제1 기부(19)가 보다 큰 탄성을 갖도록 제2 기부(20)보다 긴 거리에 걸쳐 모서리(11)의 연장부에서 연장된다. 이런 구성은 핀(13)을 도 3에 도시된 위치로 가져가는 데 필요한 힘이 이 위치를 떠나는데 필요한 힘보다 작도록 중간부(22)로부터 제1 기부(19)까지의 위치에 걸쳐 변하는 것을 용이하게 만든다. 즉, 기구를 잠금 해제하는 것보다 잠그는 것이 보다 용이하고, 이는 사용 편의성을 감소시키지 않고도 잠금의 신뢰성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잠금 장치 중 하나 또는 다른 것에 대해 반대의 배치를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잠금 장치(16)는 제1 잠금 장치(15)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원단 멈춤부(26)에 대해 유사한 방식으로 놓인다. 이런 제2 잠금 장치에 대하여는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하지만, 제2 잠금 장치가 기록 끝점(6)을 수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반면 제1 잠금 장치(15)는 기록 끝점을 연장된 위치에 고정한다.
제1 및 제2 잠금 장치(15, 16)와 안내부(9)를 포함하는 기구의 제1 요소(7)는 본체의 제1 관형부(3)와 함께 단일 부품으로 형성된다. 이 부품은 적절한 탄성을 갖는 임의의 공지된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최소 비용으로 대량생산을 하기 위해, 기구의 제1 요소와 본체의 제1 관형부를 형성하는 부품은 몰드 내에 플라스틱을 사출함으로써 형성된다.
상술한 기구는 연장/수축이 본체의 제1 관형부를 본체의 하나 이상 다른 부분에 대해 선회시킴으로써 제어되는 필기 도구를 제조하기에 특히 아주 적합하다.
이를 위해, 도시된 실시예에서, 본체의 제2 관형부(4)는 제1 관형부(3)의 후방부(7) 상에 결합되며, 이때 제2 관형부는 후방부에 대해 약 180도의 각방향 범위에 걸쳐 선회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후방부(7) 상에 형성된 주연 리브(rib)(28)는 종축(X)를 따르는 모든 상대적 이동을 방지하도록 제2 관형부(4)의 내면에 형성된 대응하는 홈과 결합한다.
이동 부재(8)는, 예컨대 서로 대향하는 편평면들을 포함하는 비원통형 단면을 갖는 후방 단부(30)를 포함한다. 후방부(4)는 후방 단부가 종축(X)을 따라 후방부(4) 내로 활주할 수 있도록 후방부의 종축을 따라 연장되고 그 단면이 후방 단부(30)의 단면과 뚜렷이 대응하는 하우징(31)을 포함한다.
기록 끝점(6)을 연장 위치로부터 수축 위치까지 또는 그 반대로 변경하기 위해, 사용자는 본체의 제1 관형부(3)와 제2 관형부(4) 사이에서 반 정도 회전하는 선회 운동을 생성시킨다. 제2 부재(4)에 의해 회전된 이동 부재(8)는 핀(13)과 안내부(9)의 상호 작용 때문에 전방 또는 후방 이동을 수행한다. 기구가 연장된 위치 또는 수축된 위치에 접근할 때, 사용자는 펜이 기록 또는 저장 위치에 고정되었음을 지시하는 단단한 지점을 통과한다.
일단 이들 위치 중 하나 또는 다른 위치에 도달하면, 기록 끝점은 고정되고 잠금 장치(15 또는 16)의 복원력을 넘어서기에 충분한 제1 및 제2 관형부(3, 4) 사이에서 작용하는 토크(torque)에 의해서만 기록 끝점의 저장 또는 연장 위치를 떠날 수 있다.
이동 요소(8)와 탄성 잠금의 적극적 안내 때문에, 종방향을 따라 카트리지에 응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또한, 기구의 제1 요소(7)는 본체의 제1 관형부(3)와 일체로 된 부분이기 때문에 펜을 구성하는 부품의 수는 감소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들 부분은 최대 다섯 개에 이르지만, 전방 끝점(2)을 제1 관형부(3)와 합체하고 이동 부재(8)를 카트리지(5)와 합체함으로써 단지 세 부품으로 된 펜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실시예는 조립 작업의 수가 제한되는 특히 저렴한 필기 도구를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물론, 제1 및 제2 요소(7, 9)는 본체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관형부(3, 4)와 별개일 수 있으며 슬리브와 같은 추가 부품의 매개를 통해 본체에 연결될 수 있다.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 이동 부재(8)와 안내부(9)가 마련된 후방부(7)를 포함하는 기구가 기록 끝점을 연장시키고 수축시키기 위해서 뿐 아니라 다른 부재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필기 도구 분야에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예컨대, 이런 기구를 이용함으로써 선두부를 전진시키기 위한 지우개, 장치의 이동 또는 심지어 본체의 개구를 차단하기 위한 부재와 기록 끝점의 결합된 이동도 제어 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2)

  1. 사실상 평행한 제1 모서리(11)와 제2 모서리(12) 사이에서 연장되는 안내부(9)를 포함하는 제1 요소(7)와,
    안내부 내로 연장되고 상기 안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되 안내부의 횡방향을 따라 소정 폭을 갖는 핀(13)을 포함하는 제2 요소(8)와,
    상기 핀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잠금 장치(15, 16)를 포함하는 필기 도구용 기구에 있어서,
    잠금 장치는 제1 단부(17a)와 제2 단부(17b) 사이에서 제1 모서리(11) 내에서 연장되는 오목부(17)와, 오목부의 제1 단부와 일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부(19)로부터 안내부 내에서 핀의 폭보다 적은 거리만큼 제2 모서리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정점(21)까지 오목부에 대향하여 연장되는 탄성 부재(18)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 부재는 핀이 통과하는 동안 오목부 쪽으로 밀리도록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도구용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의 기부(19)는 제1 모서리(11)의 연장부 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도구용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18)는 오목부의 제2 단부(17)와 일체 형성된 제2 기부(2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도구용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18)는 중간 U 형상부(22)를 갖되, U 형상 분기부의 단부는 각각 제1 및 제2 기부(19, 20)와 일체로 되어 있고 탄성 부재의 정점(21)은 U 형상의 기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도구용 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제1 기부(19)는 제2 기부(20)의 길이보다 사실상 긴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도구용 기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안내부(9)는 제1 및 제2 모서리(11, 12)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 멈춤부(25; 26)를 갖고, 잠금 장치(15; 16)는 핀(13)이 상기 단부 멈춤부를 누를 때 탄성 부재(18)가 핀(13)과 접촉가능한 단부 멈춤부로부터의 거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도구용 기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요소(7)와 잠금 장치(15; 16)는 성형에 의해 얻어진 하나의 플라스틱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도구용 기구.
  8. 개구가 마련된 전방 단부를 갖는 관형 본체(3, 4)와,
    기록 끝점(6)으로서, 기록 끝점이 관형 본체의 내측에 배치되는 저장 위치와 기록 끝점이 개구를 통과하는 기록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기록 끝점(6)과,
    기록 끝점의 한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의 통과를 제어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필기 도구용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도구.
  9. 제8항에 있어서, 본체는 제1 관형부(3)와 제1 관형부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제2 관형부(4)를 포함하되, 필기 도구용 기구의 제1 요소(7)는 상기 제1 관형부(3)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필기 도구용 기구의 제2 요소(8)는 상기 제2 관형부(4)에 대해 병진 이동 가능하고, 기구의 안내부(9)는 나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도구.
  10. 제9항에 있어서, 나선형 안내부(9)는 개구에 대한 기단 멈춤부(25)와, 말단 멈춤부(26)와, 기단부에 가깝게 배치된 제1 잠금 장치(15)와, 말단부에 가깝게 배치된 제2 잠금 장치(1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도구.
  11. 제9항에 있어서, 기록 끝점에 연결된 이동 부재(8)는 필기 도구용 기구의 제2 요소를 형성하고, 본체의 제1 관형부(3)는 필기 도구용 기구의 제1 요소(7)를 형성하고, 제2 관형부(4)는 이동 부재(8)와 상호 작용하고 이동 부재의 병진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하우징(3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도구.
  12. 제10항에 있어서, 기록 끝점에 연결된 이동 부재(8)는 필기 도구용 기구의 제2 요소를 형성하고, 본체의 제1 관형부(3)는 필기 도구용 기구의 제1 요소(7)를 형성하고, 제2 관형부(4)는 이동 부재(8)와 상호 작용하고 이동 부재의 병진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하우징(3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도구.
KR1020067019572A 2004-02-24 2005-02-22 필기 도구용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필기 도구 Expired - Lifetime KR1012272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01842A FR2866599B1 (fr) 2004-02-24 2004-02-24 Mecanisme de verrouillage pour instrument d'ecriture, et instrument d'ecriture comprenant un tel mecanisme
FR04/01,842 2004-02-24
PCT/FR2005/000411 WO2005092637A2 (fr) 2004-02-24 2005-02-22 Mecanisme pour instrument d'ecriture et instrument d'ecriture comprenant un tel mecanis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1160A KR20070021160A (ko) 2007-02-22
KR101227292B1 true KR101227292B1 (ko) 2013-01-29

Family

ID=34834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572A Expired - Lifetime KR101227292B1 (ko) 2004-02-24 2005-02-22 필기 도구용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필기 도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70172301A1 (ko)
EP (1) EP1718479A2 (ko)
JP (1) JP4772773B2 (ko)
KR (1) KR101227292B1 (ko)
CN (1) CN100453340C (ko)
AU (1) AU2005225173B2 (ko)
BR (1) BRPI0507964A (ko)
CA (1) CA2556977C (ko)
FR (1) FR2866599B1 (ko)
RU (1) RU2345901C2 (ko)
WO (1) WO2005092637A2 (ko)
ZA (1) ZA2006072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06756B1 (fr) * 2006-10-06 2010-02-26 Bic Soc Instrument d'ecriture a pointe fixe avec un manchon de protection retractable
FR2931385B1 (fr) * 2008-05-23 2010-06-04 Bic Soc Instrument d'ecriture a cartouche deplacable en translation par la rotation relative de deux organes d'actionnement.
US8540450B1 (en) * 2009-11-11 2013-09-24 Matthew Conable Pen cap attachment mechanism
FR2995246B1 (fr) * 2012-09-11 2014-09-05 Bic Soc Instrument d'ecriture ergonomique et versatile
DE202012009918U1 (de) 2012-10-17 2012-11-07 Innovation Design Development Ltd. Schreibgerätmechanik
FR3047689B1 (fr) * 2016-02-11 2019-06-28 Societe Bic Instrument d'ecriture a assemblage autobloquant
KR101824367B1 (ko) * 2017-09-06 2018-03-14 어명혁 흔들어서 볼펜심이 출몰되는 필기구
CN109605985B (zh) * 2018-12-26 2020-08-11 温州市简系文具有限公司 一种笔
CN109605986B (zh) * 2018-12-26 2020-06-23 温州市简系文具有限公司 一种自扭转延伸卡扣笔
CN110356143B (zh) * 2019-07-27 2020-08-11 杭州简弈科技有限公司 一种提拉笔
USD1049230S1 (en) * 2021-10-06 2024-10-29 Juanren Wu Painting pen tip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9671A1 (fr) * 2000-05-30 2001-12-07 Jacob Ritter Gmbh Instrument d'ecritur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55239A (en) * 1954-02-03 1956-08-22 Myers Sons Ltd M Writing pens
US2913103A (en) * 1958-10-08 1959-11-17 Eyelet Specialty Co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GB1249429A (en) * 1969-07-31 1971-10-13 K C Pen Co Inc Writing implement
JPH0236421Y2 (ko) * 1985-04-30 1990-10-03
JPS6316189U (ko) * 1986-07-16 1988-02-02
JPS6316189A (ja) * 1986-07-07 1988-01-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回転式圧縮機
SU1546277A1 (ru) * 1987-01-06 1990-02-28 Ленинградское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Союз" Механизм дл выдвигани пишущего узла в авторучках
CN2041256U (zh) * 1988-09-16 1989-07-19 杨德操 卡式笔的伸缩推、锁机构
CN1033908C (zh) * 1991-04-30 1997-01-29 胡俊赶 轴动弹片定位直滑、揿动式复合笔
JP2598183Y2 (ja) * 1992-10-30 1999-08-03 株式会社ヒダン 棒状化粧料容器
JP3759181B2 (ja) * 1994-11-30 2006-03-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棒状化粧料繰出容器
CN2241634Y (zh) * 1995-09-20 1996-12-04 上海欣莅实业公司 圆珠笔旋转结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9671A1 (fr) * 2000-05-30 2001-12-07 Jacob Ritter Gmbh Instrument d'ecri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507964A (pt) 2007-07-17
CN100453340C (zh) 2009-01-21
AU2005225173B2 (en) 2010-09-02
JP2007522974A (ja) 2007-08-16
AU2005225173A1 (en) 2005-10-06
FR2866599B1 (fr) 2006-05-26
RU2345901C2 (ru) 2009-02-10
CN1922038A (zh) 2007-02-28
ZA200607246B (en) 2008-05-28
FR2866599A1 (fr) 2005-08-26
JP4772773B2 (ja) 2011-09-14
WO2005092637A3 (fr) 2006-01-12
WO2005092637A2 (fr) 2005-10-06
CA2556977A1 (fr) 2005-10-06
RU2006133934A (ru) 2008-03-27
KR20070021160A (ko) 2007-02-22
EP1718479A2 (fr) 2006-11-08
CA2556977C (fr) 2012-12-18
US20070172301A1 (en) 200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292B1 (ko) 필기 도구용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필기 도구
KR101455958B1 (ko)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US7891897B2 (en) Travel multiplier mechanisms for writing instruments
JP5979459B2 (ja) 出没式筆記具のプッシュロック装置{pushlocksystemforslidetypewritingtools}
JP4642782B2 (ja) 前進/引込機構
KR101804319B1 (ko)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의 밀폐부재
US8096722B2 (en) Writing instrument with retractable tip
CN110450562B (zh) 按压式笔
US7452147B2 (en) Writing instrument with a lateral button
US8128301B2 (en) Mechanism for a writing implement, a writing implement including mechanism, and a method of manufacture
JP4989381B2 (ja) 筆記具
WO2003070487A1 (en) Retractable writing instrument
KR100934685B1 (ko) 필기 도구, 특히 볼펜
EP3357707A1 (en) Writing instrument having automatic sealing structure
JPH0617589Y2 (ja) 出没式筆記具
JPH01234299A (ja) シャープペンシル体を含むノック式筆記具
KR200331308Y1 (ko) 캡이 내장된 필기구
JP3535796B2 (ja) ノック式二芯筆記具
JP3095985B2 (ja) 2芯筆記具
KR820002568Y1 (ko) 필 기 구
JPH07237393A (ja) サイドスライド式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2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