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18522B1 - 등속조인트 하우징용 스냅링 - Google Patents

등속조인트 하우징용 스냅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522B1
KR101218522B1 KR1020100112199A KR20100112199A KR101218522B1 KR 101218522 B1 KR101218522 B1 KR 101218522B1 KR 1020100112199 A KR1020100112199 A KR 1020100112199A KR 20100112199 A KR20100112199 A KR 20100112199A KR 101218522 B1 KR101218522 B1 KR 101218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ap ring
velocity joint
constant velocity
joint housing
ring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0774A (ko
Inventor
박춘진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2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522B1/ko
Publication of KR20120050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52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6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 F16B21/18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with circlips or like resilient retaining devices, i.e. resilient in the plane of the ring or the like; Details
    • F16B21/186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grooves or notches in the pin or shaft with circlips or like resilient retaining devices, i.e. resilient in the plane of the ring or the like; Details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스냅링이 등속조인트 하우징의 스플라인부의 클립홈에 장착되는 경우에 항상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일정한 힘으로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한, 등속조인트 하우징용 스냅링에 관한 것으로서,
스냅링 몸체가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루며, 스냅링 몸체의 양단부의 사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냅링 몸체의 양단부와 중간부는 원형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도록 원중심을 향하여 굴곡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등속조인트 하우징용 스냅링{sanp ring for housing of the constant velocity joint}
이 발명은 등속조인트 하우징용 스냅링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스냅링이 등속조인트 하우징의 스플라인부의 클립홈에 장착되는 경우에 항상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일정한 힘으로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한, 등속조인트 하우징용 스냅링에 관한 것이다.
등속조인트 하우징(1)의 스플라인부(11)가 변속기(2)의 스플라인부(21)에 장착될 때,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등속조인트 하우징(1)의 스플라인부(11)가 변속기(2)의 스플라인부(21)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냅링(3)이 사용된다. 즉,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등속조인트 하우징(1)의 스플라인부(11)의 클립홈에 스냅링(3)을 끼워 놓고, 이를 변속기(2)의 스플라인부(21)에 장착한다. 이때. 스냅링(3)이 가급적 변속기(2)의 스플라인부(21)의 중심에 맞도록 하여 순간적인 힘으로 밀어 넣어야 한다. 도 2 및 도 3은 등속조인트 하우징(1)의 스플라인부(11)가 스냅링(3)을 개재하여 변속기(2)의 스플라인부(21)에 장착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종래의 등속조인트 하우징(1)용 스냅링(3)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루며, 양단부의 사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변속기(2))에 장착되어 있는 등속조인트 하우징(1)을 정비를 위하여 변속기(2)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등속조인트 하우징(1)과 변속기(2)의 사이 홈에 레바를 끼워 넣어 지렛대의 원리로 분리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등속조인트 하우징용 스냅링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냅링(3)이 장착되는 등속조인트 하우징(1)의 스플라인부(11)의 클립홈의 직경보다 스냅링(3)의 내경 치수가 더 커서, 스냅링(3)이 변속기(2)의 스플라인부(21)내로 조립되는 경우에 위치의 구속이 없이 유동을 함으로써 일정한 삽입력을 유지하기가 어려워서 조립하기가 힘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속조인트 하우징(1)을 변속기(2)로부터 탈거하는 경우에도, 결합부위의 안쪽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스냅링(3)이 변속기(2)의 스플라인부(21)에 의해 안내가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분리 작업이 힘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냅링이 등속조인트 하우징의 스플라인부의 클립홈에 장착되는 경우에 항상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일정한 힘으로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한, 등속조인트 하우징용 스냅링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스냅링 몸체가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루며, 스냅링 몸체의 양단부의 사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냅링 몸체의 양단부와 중간부는 원형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도록 원중심을 향하여 굴곡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스냅링 몸체의 양단부와 중간부는 등속조인트 하우징의 스플라인부의 클립홈에 3점 지지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스냅링 몸체의 양단부와 중간부는 직선형태로 굴곡 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스냅링 몸체의 임의의 3점에서 원형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도록 원중심을 향하여 굴곡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개구부의 길이는 등속조인트 하우징의 스플라인부의 원주길이의 1/4 보다 작게 형성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스냅링이 등속조인트 하우징의 스플라인부의 클립홈에 장착되는 경우에 항상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일정한 힘으로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등속조인트 하우징용 스냅링의 장착전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등속조인트 하우징용 스냅링의 장착후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등속조인트 하우징용 스냅링의 장착후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등속조인트 하우징용 스냅링의 장착후 유동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속조인트 하우징용 스냅링의 구성도이다.
도 6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속조인트 하우징용 스냅링의 장착후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5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속조인트 하우징용 스냅링의 구성도이고, 도 6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속조인트 하우징용 스냅링의 장착후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속조인트 하우징용 스냅링의 구성은, 스냅링 몸체(41)가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루며, 스냅링 몸체(41)의 양단부(4a, 4b)의 사이에는 개구부(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냅링 몸체(41)의 양단부(4a, 4b)와 중간부(4c)는 원형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도록 원중심을 향하여 굴곡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스냅링 몸체(41)의 양단부(4a, 4b)와 중간부(4c)는 직선형태로 굴곡 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개구부(42)의 길이는 등속조인트 하우징의 스플라인부(11)의 원주길이의 1/4 보다 작게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속조인트 하우징용 스냅링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등속조인트 하우징의 스플라인부(11)의 클립홈에 스냅링을 끼워 놓고, 이를 변속기(2)의 스플라인부(21)에 장착한다.
이와 같이 스냅링이 등속조인트 하우징의 스플라인부(11)의 클립홈에 장착되는 경우에 스냅링 몸체(41)의 양단부(4a, 4b)와 중간부(4c)는 등속조인트 하우징의 스플라인부(11)의 클립홈에 3점 지지됨으로써 항상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등속조인트 하우징의 스플라인부(11)가 스냅링을 개재하여 변속기(2)의 스플라인부(21)에 장착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아 같이, 스냅링이 스플라인부(11)의 클립홈에 3점 지지되면, 일정한 힘으로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한 개구부(42)의 길이는 등속조인트 하우징의 스플라인부(11)의 원주길이의 1/4 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3개의 지지점이 균형을 이룰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스냅링 몸체(41)의 양단부(4a, 4b)와 중간부(4c)가 원형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도록 원중심을 향하여 굴곡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지만,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만 한정될 필요는 없고, 스냅링 몸체(41)의 임의의 3점에서 원형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도록 원중심을 향하여 굴곡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1 : 등속조인트 하우징 2 :변속기
3 : 스냅링 41 : 스냅링 몸체
42 : 개구부 4c : 중간부

Claims (5)

  1. 스냅링 몸체가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루며,
    스냅링 몸체의 양단부의 사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냅링 몸체의 양단부와 중간부는 원형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도록 원중심을 향하여 굴곡되어 있으며,
    상기한 스냅링 몸체의 양단부와 중간부는 등속조인트 하우징의 스플라인부의 클립홈에 3점 지지되며,
    상기한 스냅링 몸체의 양단부와 중간부는 직선형태로 굴곡되며,
    상기한 스냅링 몸체의 임의의 3점에서 원형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도록 원중심을 향하여 굴곡되어 있으며,
    상기한 개구부의 길이는 등속조인트 하우징의 스플라인부의 원주길이의 1/4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속조인트 하우징용 스냅링.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00112199A 2010-11-11 2010-11-11 등속조인트 하우징용 스냅링 Active KR101218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199A KR101218522B1 (ko) 2010-11-11 2010-11-11 등속조인트 하우징용 스냅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199A KR101218522B1 (ko) 2010-11-11 2010-11-11 등속조인트 하우징용 스냅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774A KR20120050774A (ko) 2012-05-21
KR101218522B1 true KR101218522B1 (ko) 2013-01-03

Family

ID=46268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199A Active KR101218522B1 (ko) 2010-11-11 2010-11-11 등속조인트 하우징용 스냅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5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588B1 (ko) * 2012-07-02 2013-10-28 (주) 대승 조립시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스플라인
KR20220084748A (ko) 2020-12-14 2022-06-21 주식회사 동희산업 스냅 링 로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7282A (ja) * 2004-05-24 2005-12-08 Toyota Motor Corp スナップリング
JP2006521507A (ja) * 2003-03-28 2006-09-21 シャフト−フォルム−エンジニアリング・ゲーエムベーハー 軸部材とリング部材との確実な結合構造
KR20060117181A (ko) * 2005-05-13 2006-11-16 츄부베아링구가부시키가이샤 축용 스냅 링
JP2006322518A (ja) * 2005-05-18 2006-11-30 Toyota Motor Corp スナップリングおよびスナップリングの取付構造ならびにトルク伝達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1507A (ja) * 2003-03-28 2006-09-21 シャフト−フォルム−エンジニアリング・ゲーエムベーハー 軸部材とリング部材との確実な結合構造
JP2005337282A (ja) * 2004-05-24 2005-12-08 Toyota Motor Corp スナップリング
KR20060117181A (ko) * 2005-05-13 2006-11-16 츄부베아링구가부시키가이샤 축용 스냅 링
JP2006322518A (ja) * 2005-05-18 2006-11-30 Toyota Motor Corp スナップリングおよびスナップリングの取付構造ならびにトルク伝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774A (ko) 201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50568S1 (en) Optical device reticle
USD721417S1 (en) Flow conditioner
USD641909S1 (en) Fire rated downlight housing
ATE449935T1 (de) Haltevorrichtung
EP2220388A4 (en) CABLE ASSEMBLY
CN106133331B (zh) 吊扇
FR2959928B1 (fr) Systeme de retention d'un organe d'ancrage sur une piece implantable
EP2785162A3 (en) Ventilation member
KR101218522B1 (ko) 등속조인트 하우징용 스냅링
EP2886808A3 (en) Turbocharger assembly
RU2018135184A (ru) Ларингеальная маска
USD677198S1 (en) Suspension module with snap ring
US20130223054A1 (en) Device for mounting led lamp tube
NO20033942D0 (no) Rörkobling
USD920932S1 (en) Switch housing with a permanent magnet cradle
EP2749803B1 (en) Bell and spigot type piping joint
RU175664U1 (ru) Нижняя опора динамического пилона
KR101560093B1 (ko) 연료이송장치
WO2014165931A9 (en) Excavation tooth assembly
JP6283930B2 (ja) 靴べら及び当該靴べらとスタンドのセット
JP6340584B2 (ja) 換気装置
CN210221373U (zh) 一种智能控制检测压力的自动锁紧光轴
USD617471S1 (en) Centrifugally cast ductile iron utility pole having stepped portions
CN108698502A (zh) 用于排气系统的保持装置
CN209067700U (zh) 一种精密耐磨的离合器枢轴套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0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