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700B1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commend information on electronic vehicle charging stat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commend information on electronic vehicle charging st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1700B1 KR101211700B1 KR1020110018540A KR20110018540A KR101211700B1 KR 101211700 B1 KR101211700 B1 KR 101211700B1 KR 1020110018540 A KR1020110018540 A KR 1020110018540A KR 20110018540 A KR20110018540 A KR 20110018540A KR 101211700 B1 KR101211700 B1 KR 1012117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ging station
- electric vehicle
- location information
- power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08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nan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전기 자동차에 전력 분산을 고려하여 추천 충전소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전력 관리 서버는 전기 자동차로부터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주행 가능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지역별 예상 전력 수요량을 산정한 후, 이에 기초하여 추천 충전소를 결정한다. 결정된 추천 충전소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은 전기 자동차가 해당 추천 충전소에서 충전하는 경우 할인된 전기 요금을 적용받는다. 이로써, 지역별로 전력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유도할 수 있다.An electric vehicle is provided with a method for guiding the location of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in consideration of power distribution. The power management server receives a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driving distance from the electric vehicle, calculates an estimated power demand for each region based on the received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and then based on the request. Determine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When the electric vehicle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termined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is charged at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the discounted electric charge is appli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nduc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so that power is distributed by reg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력 분산이 고려된 추천 충전소 정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 배터리로 구동되는 전기 자동차에 지역별 전력 분산을 고려하여 추천 충전소를 안내함으로써 지역별 전력 분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in which power distribution is considered, and more particularly, to smoothly perform power distribution by region by guiding a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in consideration of power distribution for each region in a battery powered electric vehicle. A method and apparatus are disclosed.
최근 화석연료를 이용하는 내연기관에 의하여 구동되는 자동차의 배기가스에 의한 대기 오염 및 이산화탄소에 의한 지구 온난화 등의 환경 문제로 인하여 부분적으로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보급되고 있으며, 완전히 전기만으로 구동되는 전기 자동차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due to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air pollution caused by exhaust gas of cars driven by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ing fossil fuels and global warming caused by carbon dioxide, hybrid cars driven by electric power have been widely used. There is also a lot of research into electric vehicles.
전기만으로 구동되는 전기 자동차에 대해서는 이미 오래전에 개발되었으나, 현재 구현가능한 배터리의 무게당 전력 저장 효율이 작아서 아직 실용화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즉, 적절한 거리를 이동할 정도의 전력량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배터리의 무게가 너무 커지고, 배터리의 무게를 작게하는 경우에는 저장되는 전력량이 충분하지 않아서 한번 충전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짧아진다. 현재 알려진 바로는 한번 충전으로 대략 200km 정도를 주행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가 개발된 상태이다. 추후 배터리에 관한 기술이 발전하면 한번 충전으로 이보다 더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가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Electric vehicles driven only by electricity have been developed a long time ago, but the power storage efficiency per weight of a battery that can be implemented at present is not yet in practical use. That is, the weight of the battery is too large to store the amount of power enough to move the appropriate distance, and when the weight of the battery is reduced, the amount of power stored is not enough, the distance that can be moved by one charge is shortened. As far as is known, electric vehicles have been developed that can drive approximately 200 km on a single charge. In the future, battery technology is expected to provide electric vehicles that can travel longer distances with a single charge.
한편, 전기 자동차가 보급되는 경우 화석연료를 이용하는 자동차에 연료를 공급하는 주유소와 같이 전력 충전을 위한 충전소가 지역마다 적절한 위치에 마련되어야 한다. 이 때, 어느 한 지역의 충전소에 충전 수요가 집중되어 해당 지역의 전력 공급 가능범위를 넘어가면 원활한 전력 공급이 어려워지고 전기 자동차의 운행이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전력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전기 자동차를 유도하더라도 일시적으로 특정 지역에서의 전력 수요량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lectric vehicle is spreading, a charging station for power charging should be provided at an appropriate location in each region, such as a gas station supplying fuel to a vehicle using fossil fuel. At this time, when the demand for charging is concentrated in a charging station in one region and the power supply range of the region is exceeded, smooth power supply may be difficult and ope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may become difficult. In addition, even if electric vehicles are induced to achieve power distribution, power demand in a particular region may temporarily increase significantly.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 자동차의 충전이 분산되어 이루어지고 필요한 경우 해당 지역에 전력을 분배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distributing the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and distributing electric power to a corresponding area if necessary.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력 분산을 고려하여 전기 자동차에 추천 충전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충전소에서 전력을 충전하도록 유도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he information on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to the electric vehicle in consideration of the power distribution, and induces the charging of the power in the charging st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지역에서 일시적으로 전력 수요량이 증가하는 경우 해당 지역에 대한 전력 분배를 조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that can adjust the power distribution for a given area when power demand temporarily increases in that particular area.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전력 관리 서버에서 전력 분산이 고려된 추천 충전소 정보를 전기 자동차에 제공하는 방법은, (a) 전기 자동차로부터 해당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주행 가능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수신된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산정된 지역별 예상 전력 수요량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가 충전하도록 추천하는 1개 이상의 충전소를 결정하는 단계; 및, (c) 단계 (b)에서 결정된 추천 충전소의 위치정보를 상기 특정 전기 자동차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method for providing the electric vehicle with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in which power distribution is considered in the power management server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and driving of the vehicle from the electric vehicle; Receiving a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including information on a possible distance; (b) determining one or more charging stations that the electric vehicle recommends to charge based on the estimated region-specific power demand calculated based on the received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And (c)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determined in step (b) to the specific electric vehicle.
전술한 단계 (b)는, (b1)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을 전송한 전기 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내에 있는 충전소를 파악하는 단계; (b2) 상기 단계 (b1)에서 파악된 충전소 중에서 전기 자동차가 위치한 지역 내에 있는 충전소를 해당 전기 자동차에 대한 추천 충전소로 예비 선정하는 단계; (b3) 예비 선정된 추천 충전소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해당 지역의 예상 전력 수요량을 산정하는 단계; 및, (b4) 산정된 상기 해당 지역의 예상 전력 수요량이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주행 가능 거리 내의 다른 지역 내에 있는 충전소를 추천 충전소로 확정하고,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예비 선정된 충전소를 추천 충전소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forementioned step (b) may include: (b1) identifying a charging station within a driving distance of the electric vehicle which has transmitted the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b2) pre-selecting a charging station in the region where the electric vehicle is located among the charging stations identified in the step (b1) as a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for the electric vehicle; (b3) calculating an estimated electric power demand of the region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e-selected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And (b4) if the estimated electric power demand in the region exceeds the predetermined standard, the charging station in another region within the range of travel can be determined as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and if not exceeding the predetermined standard, the preselected charging station is recommend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the filling station.
전술한 방법은 단계 (b)에서 산정된 지역별 예상 전력 수요량에 기초하여 지역별 전력 분배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a regional power distribution based on the regional estimated power demand calculated in step (b).
또한, 전술한 방법은, (d) 충전소로부터 특정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e) 상기 충전소가 상기 특정 전기 자동차의 추천 충전소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전력 요금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f) 상기 충전소로 상기 단계 (e)에서 결정된 전력 요금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d) receiving charging information of a specific electric vehicle from a charging station; (e) determining power charge information based on whether the charging station is included in a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of the specific electric vehicle; And (f) transmitting the power rate information determined in step (e) to the charging station.
상기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은 전기 자동차의 진행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라, 전력 분산이 고려된 추천 충전소 정보를 전기 자동차에 설치된 추천 충전소 위치정보 제공장치가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확인된 배터리 잔량이 정해진 기준보다 작을 경우, 주행 가능 거리를 산정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산정된 주행 가능 거리에 대한 정보 및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을 전력 관리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 및, (d) 전력 관리 서버로부터 추천 충전소 위치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추천 충전소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stalled in an electric vehicle considering power distribution, comprising: (a) checking a battery level of the electric vehicle; (b) calculating a driving distance when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identified in step (a)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c) transmitting to the power management server a request for the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which includes the information on the available distance calculated in step (b)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d) receiving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power management server.
위 방법은, 전송받은 추천 충전소 위치 정보를 목록 형태 또는 지도상 위치정보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the received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list or location information on a map.
상기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은 전기 자동차의 진행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로부터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추천 충전소 위치정보를 전기 자동차로 전송하는 통신 처리부; 수신된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지역별 예상 전력 수요량을 산정하기 위한 전력 수요량 예측모듈; 전력 수요량 예측모듈과 협동하여 각 전기 자동차에 대한 추천 충전소를 결정하기 위한 추천 충전소 결정모듈; 및, 전력 요금에 대한 정보와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이 수신된 각 전기 자동차의 위치 정보 및 추천 충전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추천 충전소 정보 제공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for receiving the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electric vehicle, and transmits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to the electric vehicle; A power demand prediction module for calculating an estimated power demand for each region based on the received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A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a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for each electric vehicle in cooperation with the power demand prediction module; And a data management unit configured to store the information on the electric charg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electric vehicle in which the request for the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and the information on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전술한 장치는, 전기 자동차가 충전받은 충전소가 해당 전기 자동차의 추천 충전소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해당 전기 자동차에 대한 전력 요금을 결정하기 위한 전력요금 결정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ower rate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a power rate for the electric vehicle based on whether the charging station charged with the electric vehicle corresponds to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또한, 전술한 장치는, 지역별 예상 전력 수요량에 기초하여 지역별 전력 분배량을 결정하기 위한 전력분배 결정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ower distribution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the power distribution amount for each region based on the estimated power demand for each region.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고 정해진 기준치와 비교하기 위한 배터리 잔량 확인모듈; 배터리 잔량에 기초하여 전기 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를 산정하기 위한 주행가능거리 산정모듈; 전기 자동차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차량위치 확인모듈; 전력 관리 서버로 전기 자동차의 위치 및 주행 가능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을 전송하도록 하고 전력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추천 충전소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전기 자동차의 식별기호 및 추천 충전소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추천 충전소 정보 제공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tery level checking module for checking a battery level of an electric vehicle and comparing it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 driving distance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a driving distance of an electric vehicle based on a battery remaining amount; A vehicle positioning module for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vehicle; A communication module configured to transmit a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location and the distance of the electric vehicle to the power management server and to receive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wer management server; And a data management unit for s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including an identification symbol of the electric vehicle and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상기 통신모듈은 전기 자동차의 통신 처리부를 포함하는 다른 장치와 전력선 통신방식으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전력선 통신모뎀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차량위치 확인모듈은 전기 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차량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으며, 상기 배터리 잔량 확인모듈은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관리부로부터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Preferably, the communication module is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em for exchanging information with another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of an electric vehicle in a power line communication manner, wherein the vehicle positioning module is information about a position of the vehicle from a navigation device of the electric vehicle. The battery level checking module may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the battery level from the battery management unit of the electric vehicle.
상기 차량의 위치에 관한 정보는 전기 자동차의 현재 위치 및 진행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of the vehicl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electric vehicle.
전술한 장치는, 사용자에게 추천 충전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the user with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본 발명에 따라, 전력 분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기 자동차에 추천 충전소의 위치를 안내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guiding a location of a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in an electric vehicle so as to facilitate power distribution and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are provided.
또한, 특정 지역에 일시적으로 전력 수요량이 증가하는 경우 전력 분배를 조장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In addition, methods and apparatus are provided that can facilitate power distribution when power demand is temporarily increased in a particular reg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추천 충전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추천 충전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기 자동차에 설치되는 장치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추천 충전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력 공급자측에 설치되는 전력 관리 서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에 추천 충전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시이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장치에서 추천 충전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장치에서 차량의 진행 방향에 있는 추천 충전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echnical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a method for providing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conceptually illustrates an apparatus installed in an electric vehicle to provid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power management server installed at a power provider in order to provid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quence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to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creen indicating a location of a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in the apparatus shown in FIG. 2.
FIG.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creen indicating a location of a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in a traveling direction of a vehicle in the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2.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추천 충전소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1 schematically shows a technical configuration for providing a method for providing a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력 관리 서버(10), 충전소의 단말(20), 및 전기 자동차(30)는 정보 통신망을 통하여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정보 통신망은 인터넷을 포함하여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한 장치들 사이에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망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다. 전력 관리 서버(10)는 전기 공급자 측에 설치되어 지역별 전력수요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 운영자로 하여금 전력 분산 및 분배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한다. 충전소의 단말(20)은 각 충전소에 설치되며 충전 서비스가 발생하는 경우 그 내역을 전력 관리 서버(10)로 전송하고 그로부터 가격에 대한 정보 등을 수신한다. 전기 자동차(3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추천 충전소의 위치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장치가 설치된다. 이 장치는 전기 자동차에 설치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전력 관리 서버(10)에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추천 충전소를 운전자에게 안내하는 등의 작용을 한다.
The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력 분산을 고려하여 전기 자동차에 추천 충전소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기 자동차에 설치되는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전력 공급자측에 설치되는 전력 관리 서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FIG. 2 schematically shows an apparatus installed in an electric vehicle in order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of a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to the electric vehicle in consideration of power distribution, and FIG. 3 is installed in the power provider side. A power management server is shown schematically.
전기 자동차(30)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모터를 이용하여 구동된다. 배터리의 충전 상태는 배터리 관리부(200)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배터리 관리부(20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배터리의 충전 잔량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여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기 전에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기 자동차(30)는 목적지까지의 이동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장치(300)를 구비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장치(300)는 GPS 센서를 구비하고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며, 저장된 지리적 정보를 기초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검색하여 안내한다.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 관리부(200), 내비게이션 장치(300) 등 전기 자동차(30)에 구비된 장치들 간의 통신은 전력선 통신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전력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통신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별도로 배선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차량 내부의 배선이 간단해진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provided in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천 충전소 정보 제공장치(100)는 제어부(110), 배터리 잔량 확인모듈(126), 주행가능거리 산정모듈(122), 차량위치 확인모듈(124), 데이터 관리부(130),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및 통신 모듈(150)을 포함하며, 전기 자동차(30)에 설치되어 운전자에게 배터리 잔량을 포함하는 차량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추천 충전소의 위치 정보 등을 제공한다. 추천 충전소의 위치 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력 관리 서버(10)로부터 제공받는다.As shown in FIG. 2,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본 실시예에서, 통신 모듈(150)은 전력선 통신모뎀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의 다른 장치들과 추천 충전소 정보 제공장치 사이의 통신은 전력선 통신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다른 장치들과의 통신을 위하여 추천 충전소 정보 제공장치(100)는 전력선 통신모뎀(150)을 구비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장치들간의 통신이 전력선 통신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존에 널리 이용되는 CAN 통신을 포함한 다양한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전력선 통신모뎀(150)은 전력 관리 서버(10)로 전기 자동차(30)의 위치 및 주행 가능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을 전송하도록 하고 전력 관리 서버(10)로부터 추천 충전소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In this embodiment, the
배터리 잔량 확인모듈(126)은 전기 자동차(30)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고 이를 정해진 기준치와 비교한다. 이를 위해 배터리 잔량 확인모듈(126)은 전기 자동차(30)의 배터리 관리부(200)로부터 배터리 잔량에 관한 정보를 전력선 통신모뎀(150)을 통하여 수신한다. 기준치는 전기 자동차(30)의 제조시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설정된 기준치는 예를 들어 데이터 관리부(130)에 저장된다.The battery remaining
주행가능거리 산정모듈(122)은 배터리 잔량 확인모듈(126)에 의해 확인된 배터리 잔량에 기초하여 전기 자동차(30)가 주행할 수 있는 거리를 산정한다. 또는, 주행가능거리 산정모듈(122)은 배터리 잔량에 따른 주행 가능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전기 자동차(30)의 트립 컴퓨터(trip computer)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The driving
차량위치 확인모듈(124)은 전기 자동차(30)의 내비게이션(navigation) 장치(300)로부터 차량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력선 통신모뎀(150)을 통하여 전송받는다. 차량위치 확인은 일정한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배터리 잔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인 경우에만 차량위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 추가로 차량위치 확인모듈(124)은 전기 자동차의 위치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전기 자동차가 이동하고 있는 방향에 대한 정보도 함께 내비게이션 장치(3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배터리 잔량에 따른 주행 가능 거리 및 차량의 위치와 이동 방향에 관한 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력 관리 서버(10)에서 추천 충전소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로 이용된다.The
데이터 관리부(130)는 전기 자동차의 식별기호, 배터리 잔량의 기준치 등의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한다. 전기 자동차의 식별기호는 예를 들어 차량 등록 번호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관리부(130)는 전력 관리 서버(10)로부터 전송받은 추천 충전소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The
제어부(110)는 배터리 잔량 확인모듈(126)에 의해 확인된 배터리 잔량이 정해진 기준치 이하인 경우, 주행가능거리 산정모듈(122)에 의해 산정된 주행 가능 거리, 차량위치 확인모듈(124)에 의해 확인된 차량 위치 정보 및 전기 자동차의 식별기호를 포함하는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을 전력 관리 서버(10)로 전송하도록 한다. 전기 자동차의 통신처리부(400)는 제어부(110)로부터 전력선 통신모뎀(150)을 통하여 전송받은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을 전력 관리 서버(10)로 전송한다. 통신 처리부(400)와 전력 관리 서버(10) 사이이의 통신은 기존의 이동 통신 기술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전력 관리 서버(10)로부터 전송받은 추천 충전소 위치 정보를 데이터 관리부(130)에 저장한다.When the remaining battery level determined by the battery remaining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배터리 잔량, 주행 가능 거리 등의 차량의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전력 관리 서버(10)로부터 전송받은 추천 충전소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출력 장치로서 디스플레이와 운전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방식의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배터리 잔량이 기준치보다 작지 않은 경우에도 운전자가 충전을 원하는 경우에 운전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추천 충전소 정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The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서버(10)가 도시되어 있다. 전력 관리 서버(10)는 전력 수요량 예측모듈(13), 추천 충전소 결정모듈(14), 전력요금 결정모듈(12) 및 데이터 관리부(15)를 포함하며, 전기 자동차로부터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추천 충전소의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각 전기 자동차에 대한 추천 충전소는 전력 분산을 고려하여 결정된다.3 shows a
추천 충전소 결정모듈(14)은 다수의 전기 자동차로부터 전송받은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각 전기 자동차에 대한 추천 충전소를 결정한다. 추천 충전소의 결정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력 수요량 예측모듈(13)과 협동하여 지역별 전력 분산을 고려하여 이루어진다.The recommended charging
전력 수요량 예측모듈(13)은 다수의 전기 자동차로부터 수신된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지역별 예상 전력 수요량을 산정한다. 본 명세서에서 “지역”이라는 용어는 전력공급에 관한 단위지역을 의미한다. 전력 관리 서버(10)가 설치된 전력 관리 센터는 지역별로 전력 분산을 모니터링하고 지역별로 공급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전력 수요가 발생하도록 한다.The power
데이터 관리부(15)는 전력 요금 및 모든 충전소에 대한 정보와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이 수신된 각 전기 자동차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The
전력 관리 서버(10)는 전기 자동차로부터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추천 충전소 위치정보를 전기 자동차로 전송하기 위하여 통신 처리부(16)를 구비한다. 전기 자동차(30)와 전력 관리 서버(10) 사이의 통신은 기존의 이동 통신 기술을 포함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한편, 전력 관리 서버(10)는 각 충전소(20)와의 사이에서도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소는 어떤 전기 자동차가 충전받은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전력 관리 서버(10)로 전송한다. 전송되는 정보에는 해당 전기 자동차의 식별기호와 충전된 전력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전력 관리 서버(10)는 해당 충전소가 해당 전기 자동차의 추천 충전소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검토한 후에, 이에 기초하여 해당 전기 자동차에 대한 전력 요금을 결정한다. 전력요금의 결정은 전력요금 결정모듈(12)에 의하여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전력 관리 서버(10)는 전력 수요량 예측모듈(13)에 의하여 제공된 지역별 예상 전력 수요량에 기초하여 지역별 전력 분배량을 결정하기 위한 전력분배 결정모듈(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 분배 결정모듈은 특정 지역의 예상 전력 수요량이 미리 설정된 전력 분배량을 초과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기존의 전력 분배 설정을 조정하여 원활한 전력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라 전력 분산이 고려된 추천 충전소 정보를 전기 자동차에 제공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4 illustrates a method of providing electric vehicle with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considering power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기 자동차(30)에 설치된 추천 충전소 정보 제공장치(100)는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배터리 잔량이 정해진 기준보다 작을 경우 주행 가능 거리를 산정한다(S101). 산정된 주행 가능 거리에 대한 정보는 전기 자동차의 식별기호 및 차량의 위치 정보 등과 함께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으로서 전력 관리 서버(10)로 전송된다(S102). 요청의 전송은 자동으로 또는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잔량이 기준치보다 작지 않은 경우에도 운전자가 충전을 원하는 경우에는 추천 충전소 정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추천 충전소에서 전력을 충전하는 경우 전력 요금을 할인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전력 관리 서버(10)는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지역별 예상 전력 수요량을 산정한다. 이와 동시에, 전력 관리 서버(10)는 전기 자동차(30)가 충전하도록 추천하는 1개 이상의 충전소를 결정한다(S103). 결정된 추천 충전소의 위치정보는 전력 관리 서버(10)의 데이터 관리부(15)에 저장되고 해당 전기 자동차로 전송된다(S104). 전송받은 추천 충전소 위치정보는 목록 형태 또는 지도상 위치정보 형태로 전기 자동차(30)의 추천 충전소 정보 제공장치(100)에 의해 디스플레이된다. 운전자는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의 차량을 충전할 충전소를 선택할 수 있다. 도 5에는 전기 자동차에 설치된 추천 충전소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장치의 화면상에 지도 형식으로 추천 충전소의 위치가 표시된 상태의 일예가 되시되어 있다. 한편, 목록 또는 지도상에 표시된 복수의 추천 충전소 중에서 어느 하나를 운전자가 선택하면, 해당 충전소의 위치 정보가 전기 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장치(300)로 전송되고, 내비게이션 장치(300)는 전송받은 충전소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차량의 위치로부터 해당 충전소까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The
충전이 필요한 전기 자동차(30)와 전력 관리 서버(10) 사이의 통신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전력 수요 예측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전력 관리 서버(10)는 갱신된 정보를 데이터 관리부(15)에 저장 및 관리한다.Communication between the
전기 자동차가 추천 충전소에서 충전받는 경우, 해당 충전소는 해당 전기 자동차의 식별기호와 전력 충전량에 대한 정보를 전력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S106). 전기 자동차가 충전소에 진입하는 경우 또는 충전이 완료된 경우 자신의 식별기호를 충전소에 전송할 수 있다(S105). 전기 자동차의 식별기호가 차량등록번호인 경우에는 충전소에서 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전력 관리 서버는 해당 충전소가 해당 전기 자동차의 추천 충전소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전력 요금 정보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해당 충전소가 해당 전기 자동차의 추천 충전소에 해당하는 경우 할인된 전력 요금을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 관리 서버는 해당 충전소로 전력 요금 정책에 따라 결정된 전력 요금 정보를 전송한다(S107). 추천 충전소는 지역별 전력 분산을 고려하여 결정되었으므로, 전기 자동차가 추천 충전소에서 충전하는 경우 지역별로 전력 분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추천 충전소에서 충전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전력 요금을 할인하여 적용하는 것이 전력 분산을 유도하기 위한 한 방안이 될 수 있다.When the electric vehicle is charged at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the charging station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identification symbol and the power charging amount of the electric vehicle to the power management server (S106). When the electric vehicle enters the charging station or when charging is completed, it is possible to transmit its identifier to the charging station (S105). If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electric vehicle is a vehicle registration number, the charging station may input it. The power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corresponding charging station is included in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and determines the electric power fee information based on this. For example, if the charging station corresponds to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a discounted electric charge may be applied. To this end, the power management server transmits power charge informatio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wer charge policy to the corresponding charging station (S107). Since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has been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regional power distribution,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charged at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power distribution may be smoothly performed by region. Therefore, applying a discounted power rate to induce charging at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may be one way to induce power distribution.
한편, 전력 요금 할인을 통해 지역별 전력 분산을 유도하더라도, 일시적으로 특정 지역에 충전이 필요한 전기 자동차의 수가 늘어나는 등의 이유로 해당 지역의 전력 수급이 원활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전력 관리 서버는 지역별 전력 분배를 조정하여 사전에 전력 공급에 문제가 없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if electric power distribution is induced by region through a power rate discount,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region may not be smooth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electric vehicles that need to be charged in a particular region temporarily. The power management server can adjust the regional power distribution so that there is no problem with the power supply in advance.
추천 충전소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전력 관리 서버는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을 전송한 전기 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내에 있는 충전소를 파악한다. 파악된 충전소 중에서 전기 자동차가 위치한 지역 내에 있는 충전소를 해당 전기 자동차에 대한 추천 충전소로 예비 선정한다. 다음으로, 예비 선정된 추천 충전소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해당 지역의 예상 전력 수요량을 산정한다. 산정된 상기 해당 지역의 예상 전력 수요량이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주행 가능 거리 내의 다른 지역 내에 있는 충전소를 추천 충전소로 확정한다.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예비 선정된 충전소를 추천 충전소로 확정한다.An example of a method for determining a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is as follows: First, the power management server identifies a charging station within a driving distance of an electric vehicle that has transmitted a charging station location request. From the identified charging stations, preselect a charging station in the area where the electric vehicle is located as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for the electric vehicle. Next, the estimated power demand of the region is calculat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e-selected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If the estimated electric power demand of the corresponding region exceeds the predetermined standard, the charging station in another region within the range of driving can be determined as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If the specified criteria are not exceeded, the preselected charging station is determined as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전기 자동차로부터 전송되는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은 전기 자동차의 진행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전력 관리 서버는 전기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추천 충전소를 결정할 수 있으며, 전기 자동차의 운전자는 목적지로의 운행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충전을 받을 수 있다. 도 6에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고려하여 안내된 추천 충전소들이 전기 자동차에 설치된 추천 충전소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장치에 지도 형식으로 표시된 상태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The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transmitted from the electric vehicle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 vehicle traveling. In this case, the power management server may determine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driver of the electric vehicle may be charged while maintaining the driving to the destination as much as possible. FIG. 6 shows an example of a state where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s guided in consideration of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re displayed in a map format on a device for guiding the positions of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s installed in the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은 명백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어떤 사항도 본 발명의 범위를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보다 좁히려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이와 다른 실시 형태를 갖는 것을 배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Although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Nothing described herein is intended to narrow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e foregoing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exclude those having other embodiments.
10: 전력 관리 서버
12: 전력요금 결정모듈
13: 전력수요량 예측모듈
14: 전력분배 결정모듈
20: 충전소 단말
30: 전기 자동차
100: 충전소 위치정보 제공장치
122: 주행가능거리 산정모듈
124: 차량위치 확인모듈
126: 배터리 잔량 확인모듈
150: 전력선 통신모뎀
200: 배터리 관리부
300: 내비게이션 장치10: power management server
12: power rate determination module
13: Power demand prediction module
14: power distribution determination module
20: charging station terminal
30: electric car
100: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122: driving distance calculation module
124: vehicle positioning module
126: battery level check module
150: power line communication modem
200: battery management unit
300: navigation device
Claims (17)
전력 분산이 고려된 추천 충전소 정보를 전기 자동차에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전력 관리 서버가 전기 자동차로부터 해당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주행 가능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전력 관리 서버가 상기 전기 자동차로부터 수신된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산정된 지역별 예상 전력 수요량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가 충전하도록 추천하는 1개 이상의 충전소를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전력 관리 서버가 상기 단계 (b)에서 산정된 지역별 예상 전력 수요량에 기초하여 지역별 전력 분배량을 결정하는 단계;
(d) 상기 전력 관리 서버가 상기 단계 (b)에서 결정된 추천 충전소의 위치정보를 상기 전기 자동차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전력 관리 서버가 충전소로부터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f) 상기 전력 관리 서버가 상기 충전소가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추천 충전소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전력 요금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g) 상기 전력 관리 서버가 상기 충전소로 상기 단계 (f)에서 결정된 전력 요금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추천 충전소 정보 제공방법.
On the power management server
As a method of providing the electric vehicle with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considering power distribution,
(a) receiving, by the power management server, a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electric vehicle,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the driving distance;
(b) determining, by the power management server, at least one charging station that the electric vehicle recommends to charge based on the estimated region-specific power demand calculated based on the request for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lectric vehicle;
(c) determining, by the power management server, a regional electricity distribution based on the estimated regional power demand calculated in the step (b);
(d) the power management server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determined in step (b) to the electric vehicle;
(e) the power management server receiving charging inform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from a charging station;
(f) the power management server determining power charge information based on whether the charging station is included in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And
(g) the power management server transmitting power rate information determined in step (f) to the charging station;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the electric vehicle comprising a.
(b1) 상기 전력 관리 서버가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을 전송한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 내에 있는 충전소를 파악하는 단계;
(b2) 상기 전력 관리 서버가 상기 단계 (b1)에서 파악된 충전소 중에서 상기 전기 자동차가 위치한 지역 내에 있는 충전소를 해당 전기 자동차에 대한 추천 충전소로 예비 선정하는 단계;
(b3) 상기 전력 관리 서버가 상기 단계(b2)에서 예비 선정된 추천 충전소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해당 지역의 예상 전력 수요량을 산정하는 단계; 및
(b4) 상기 전력 관리 서버가 상기 단계(b3)에서 산정된 상기 해당 지역의 예상 전력 수요량이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주행 가능 거리 내의 다른 지역 내에 있는 충전소를 추천 충전소로 확정하고, 정해진 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예비 선정된 충전소를 추천 충전소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추천 충전소 정보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tep (b) is,
(b1) identifying, by the power management server, a charging station within a driving distance of the electric vehicle which has transmitted a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b2) pre-selecting, by the power management server, a charging station located in the area where the electric vehicle is located among the charging stations identified in the step (b1) as a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for the electric vehicle;
(b3) calculating, by the power management server, an estimated amount of power demand in the regio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pre-selected in the step (b2); And
(b4) If the power management server exceeds the predetermined standard, the estimated power demand of the corresponding area calculated in the step (b3) determines the charging station in another area within the driving distance as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and exceeds the predetermined standard. If not, the step of confirming the preselected charging station as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comprising a.
상기 전력 관리 서버가 상기 전기 자동차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은 상기 전기 자동차의 진행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추천 충전소 정보 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received by the power management server from the electric vehicle includes information on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electric vehicl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an electric vehicle.
(a) 상기 추천 충전소 위치정보 제공장치가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추천 충전소 위치정보 제공장치가 상기 단계 (a)에서 확인된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잔량이 정해진 기준보다 작을 경우, 주행 가능 거리를 산정하는 단계;
(c) 상기 추천 충전소 위치정보 제공장치가 상기 단계 (b)에서 산정된 주행 가능 거리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전기 자동차의 현재 위치 및 진행 방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을 전력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추천 충전소 위치정보 제공장치가 상기 전력 관리 서버로부터 추천 충전소 위치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및
(e) 상기 추천 충전소 위치정보 제공장치가 상기 전력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추천 충전소 위치 정보를 목록 형태 또는 지도상 위치정보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추천 충전소 정보 제공 방법.
As a method for providing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stalled in an electric vehicle considering the power distribution,
(a) checking, by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the battery level of the electric vehicle;
(b) calculating, by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 driving distance when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of the electric vehicle identified in step (a)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standard;
(c) the charging station location, wherein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cludes information on the available distance calculated in the step (b)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current position and driving direction of the electric vehicle; Sending a request for information to a power management server;
(d) receiving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power management server by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e) displaying, by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wer management server in the form of a list or location information on a map;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the electric vehicle comprising a.
전기 자동차로부터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추천 충전소 위치정보를 상기 전기 자동차로 전송하는 통신 처리부;
상기 전기 자동차로부터 수신된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에 기초하여 지역별 예상 전력 수요량을 산정하기 위한 전력 수요량 예측모듈;
상기 전력 수요량 예측모듈에 의해 산정된 지역별 예상 전력 수요량에 기초하여 지역별 전력 분배량을 결정하기 위한 전력분배 결정모듈;
상기 전력 수요량 예측모듈과 협동하여 각 전기 자동차에 대한 추천 충전소를 결정하기 위한 추천 충전소 결정모듈;
상기 전기 자동차가 충전받은 충전소가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추천 충전소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에 대한 전력 요금을 결정하기 위한 전력요금 결정모듈; 및
상기 추전 충전소에서 충전시 충전 전력량에 따른 전력 요금에 대한 정보와 충전소 위치정보를 요청한 각 전기 자동차의 위치 정보 및 추천 충전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관리부
를 포함하는 전력 관리 서버.
A power management server for providing the method of claim 1,
A communication processor configured to receive a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electric vehicle, and transmit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to the electric vehicle;
A power demand prediction module for calculating an estimated power demand for each region based on a request for location information of a charging station received from the electric vehicle;
A power distribution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a power distribution amount for each region based on the estimated power demand amount for each region calculated by the power demand prediction module;
A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a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for each electric vehicle in cooperation with the power demand prediction module;
A power rate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a power rate for the electric vehicle based on whether the charging station charged with the electric vehicle corresponds to a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And
Data management unit for stor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power charge according to the amount of charging power when charging at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electric vehicle requesting the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Power management server comprising a.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관리부로부터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고 정해진 기준치와 비교하기 위한 배터리 잔량 확인모듈;
상기 배터리 잔량 확인모듈에 의해 확인된 배터리 잔량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 가능 거리를 산정하기 위한 주행가능거리 산정모듈;
상기 전기 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상기 전기 자동차의 현재 위치 및 진행 방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차량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전기 자동차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차량위치 확인모듈;
전력 관리 서버로 상기 전기 자동차의 위치 및 주행 가능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충전소 위치정보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전력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추천 충전소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전기 자동차의 식별기호 및 추천 충전소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관리부; 및
사용자에게 추천 충전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전기 자동차의 통신 처리부를 포함하는 다른 장치와 전력선 통신방식으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전력선 통신모뎀인
전기 자동차의 추천 충전소 위치정보 제공장치.
A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stalled in an electric vehicle to provide a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battery remaining amount checking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about a remaining battery amount from a battery managing unit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o check the remaining battery level of the electric vehicle and compare it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 driving distance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a driving distance of the electric vehicle based on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confirmed by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checking module;
A vehicle positioning module configured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vehicle by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of the vehicl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electric vehicle from the navigation device of the electric vehicle;
A communication module configured to transmit a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location and driving distance of the electric vehicle to a power management server and to receiv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ower management server;
A data manager for s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including an identification code of the electric vehicle and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A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the user with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is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em for exchanging information with another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of the electric vehicle in a power line communication method.
Recommended charg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of an electric vehic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8540A KR101211700B1 (en) | 2011-03-02 | 2011-03-02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commend information on electronic vehicle charging st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8540A KR101211700B1 (en) | 2011-03-02 | 2011-03-02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commend information on electronic vehicle charging st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9977A KR20120099977A (en) | 2012-09-12 |
KR101211700B1 true KR101211700B1 (en) | 2012-12-12 |
Family
ID=47109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8540A KR101211700B1 (en) | 2011-03-02 | 2011-03-02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commend information on electronic vehicle charging st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1170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09568A (en) | 2013-03-05 | 2014-09-16 | 주식회사 케이티 | Method of Reservation service for Elctric Vehicles charging |
WO2016047944A1 (en) * | 2014-09-26 | 2016-03-31 | 주식회사 스타코프 | Vending machine for electricity, and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vending machine for electricity |
KR101875637B1 (en) * | 2016-04-19 | 2018-07-06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Charging station guide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
KR102051347B1 (en) * | 2018-07-25 | 2020-01-08 |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Efficient Recommendation and Classification Method And Device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Based on Operating Index |
KR102210084B1 (en) * | 2020-04-10 | 2021-02-01 | 송병륜 | Movable Charging station COnnected New Regeneration Energy and charging station management system |
KR20220027590A (en) * | 2020-08-27 | 2022-03-08 | (주)이카플러그 | A Processing System for a Home Charging Payment of a Electric Vehicle and a Method for Utilizing a Charging Data with the Same |
US11892310B2 (en) | 2021-03-16 | 2024-02-06 | Volta Charging, Llc | User interface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mobile application |
WO2022197502A1 (en) * | 2021-03-16 | 2022-09-22 | Volta Charging, Llc | User interface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mobile application |
CN112925985B (en) * | 2021-04-01 | 2024-10-22 | 上海优咔网络科技有限公司 | Intelligent recommendation method for energy acquisition |
CN113928172B (en) * | 2021-10-22 | 2023-12-15 | 上海融和智电新能源有限公司 | Intelligent power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power transmission vehicle |
WO2024111739A1 (en) * | 2022-11-25 | 2024-05-30 | (주)펌프킨 |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using power distribution from integrated charger |
KR102754992B1 (en) * | 2023-07-06 | 2025-01-21 |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driver's main charging section and charging contribution |
KR102711961B1 (en) * | 2023-10-06 | 2024-10-02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manag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method for predicting greenhouse gas emissions using the same |
CN117973817B (en) * | 2024-04-01 | 2024-06-28 | 交通运输部规划研究院 | Public charging infrastructure layout method for trunk highway network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09707A (en) | 1999-01-07 | 2000-07-28 | Mitsubishi Electric Corp | Electric vehicle charging planning device |
JP2007148590A (en) * | 2005-11-24 | 2007-06-14 |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 Charging stan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system, method and program |
JP2010107203A (en) | 2008-10-28 | 2010-05-13 | Aisin Aw Co Ltd | Traveling guidance system, method of guiding traveling, and computer program |
-
2011
- 2011-03-02 KR KR1020110018540A patent/KR10121170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09707A (en) | 1999-01-07 | 2000-07-28 | Mitsubishi Electric Corp | Electric vehicle charging planning device |
JP2007148590A (en) * | 2005-11-24 | 2007-06-14 |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 Charging stand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system, method and program |
JP2010107203A (en) | 2008-10-28 | 2010-05-13 | Aisin Aw Co Ltd | Traveling guidance system, method of guiding traveling, and computer progra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99977A (en) | 2012-09-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170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commend information on electronic vehicle charging station | |
CN113135100B (en) | Vehicle charging remind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vehicle | |
US11338693B2 (en) |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operated vehicle | |
US20170043671A1 (en) | Control system for electric vehicle service network | |
US9170118B2 (en) | Navigation system for electric vehicle | |
CN104182492B (en) | Information provider unit | |
US9744873B2 (en) |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charging a battery of a vehicle | |
US20180202825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harging equipment information to vehicle | |
EP2689982B1 (en) | Method of operating hybrid vehicles | |
US20150298565A1 (en) | Charging support system and charging support method for electric vehicle | |
KR101063656B1 (en) |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electric vehicles | |
JP5569064B2 (en) | Vehicle route guidance device | |
KR101870285B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charging of electric vehicle | |
WO2013098989A1 (en) | Center-side system and vehicle-side system | |
JP6428190B2 (en) | Shared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and shared vehicle management method | |
JP2015161604A (en) | Navigation device and navigation program | |
JP2013186772A (en) | Charging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for in-vehicle power storage device | |
JP2013192412A (en) | Travel condition presentation system | |
CN112217888A (en) | Energy supply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vehicle | |
JP2014085272A (en) | Charger management system and program for managing charger | |
KR20150008517A (en) |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power of electric vehicle | |
CN116343518A (en) | Guidance system for an electric motor vehicle | |
JP2012210046A (en) | Quick charge system for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US20240217369A1 (en) | Strategic opportunity charging for on-route electric vehicles | |
US20250050777A1 (en) | Strategic Opportunity Charging for On-Route Electric Vehic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