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208203B1 -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과 라이닝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과 라이닝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203B1
KR101208203B1 KR1020120000593A KR20120000593A KR101208203B1 KR 101208203 B1 KR101208203 B1 KR 101208203B1 KR 1020120000593 A KR1020120000593 A KR 1020120000593A KR 20120000593 A KR20120000593 A KR 20120000593A KR 101208203 B1 KR101208203 B1 KR 101208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ing
corrugated steel
steel pipe
hook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0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붕
Original Assignee
이용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붕 filed Critical 이용붕
Priority to KR1020120000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8Double-walled pipes;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형강관 내부에 라이닝을 쉽게 설치하여, 외적인 하중 및 충격에 대응하는 구조적 강도를 가지며, 우수 및 오수의 원활한 통수로 인하여 폭우 등 자연재해에 원활하게 대처하고, 조도계수를 개선하여 동일한 수량에 대하여 관경을 적게 적용할 수 있도록하여 원자재의 절감과 시공원가 절감 등의 효과가 있는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과 라이닝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은 파형강관과; 상기 파형강관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라이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 제조방법은 강판을 성형기에서 파형으로 형성하여 파형강판을 만들고, 상기 파형강판의 좌,우 끝단 안쪽 골에 라이닝을 삽입할 수 있는 라이닝 걸이를 용접하여 부착하고, 폴이에틸렌 수지 등으로 제작한 라이닝을 삽입하여 조관 후, 록심 부위에 록심 라이닝을 삽입하여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을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은 폴리에틸렌 수지나 FRP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색인어]
파형강관, 라이닝

Description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과 라이닝 및 이의 제조방법{The production technique by which the lining types are corrugated steel pipe & lining and this among these}
본 발명은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과 라이닝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형강관의 내주면에 평활면을 형성하도록 라이닝이 부착된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과 라이닝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형강관(CSP: Corrugated Steel Pipe)은 용융아연도금강판(KSD 3506)에 파형골을 형성하여 내하력을 부여한 연성관으로서, 하중 및 반력이 외주면에 균등하게 분포하므로 내하력이 커서 수로, 통로, 기타 각종 구조물에 사용되며, 경량으로 취급이 용이하며 조립 및 시공이 모두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용융아연 도금강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부식에 강하고 수명이 긴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파형강관은 원주방향으로 파형골들이 반복 형성되어 상, 하수의 흐름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굴곡져 있어, 우수 및 오수의 정상적인 흐름을 방해하는 역기능으로 인하여 관경을 크게 설계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 제20-0261458호(2002.01.09, 발명의 명칭: 이중벽체형 파형강관)을 보면. 파형강관 안쪽 둘레부분의 파형 끝단에 수평부를 만들고, 수평부에 평활관을 접촉시켜 이중벽체형 파형강관을 만들어 관 내부를 굴곡짐이 없이 매끄러운 상태로 하여 유체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이중벽체형 파형강관은 파형강관과 평활관의 접촉력을 높이기 위하여 파형강관 안쪽 둘레부분의 파형 끝단을 수평으로 하여 접촉력은 향상될 수 있으나, 파형강판에 평활판을 접촉 후 권취하는 과정에서 파형강판의 수평부에 접촉된 부분과 접촉되지 않은 부분의 휨 정도가 상이하여 파형강관의 내부가 완전한 진원이 되지 못하고 굴곡형태의 원이 형성되며, 특히 파형강관 조관과정에서 록심부위는 평활판까지 다시 파형으로 굴곡되어 평활상태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유체의 흐름에 지장을 주고, 파형강관의 파형 일부에 수평부를 형성함으로써 전체의 단면적이 감소되어 내하력이 감소되므로 큰 내하력을 필요로 하는 토목현장에서 사용이 부적절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파형강관 내부에 라이닝을 쉽게 설치하고, 록심 부위까지 완전 라이닝하여, 외적인 하중 및 충격에 대응하는 구조적 강도를 가지며, 우수 및 오수의 원활한 통수가 가능한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과 라이닝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은 파형강관과; 상기 파형강관의 내측 록심 부위의 골에 용접으로 부착되는 라이닝 걸이와; 라이닝과; 록심 라이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 제조방법은 강판을 성형기에서 파형으로 형성하여 파형강판을 만들고, 상기 파형강판 좌,우 끝단의 골 안쪽에 라이닝을 삽입할 수 있는 라이닝 걸이를 용접으로 부착하여 폴리에틸렌 수지 등으로 제작한 라이닝을 삽입한 후 조관공정을 거쳐 파형강관을 제작한 다음 록심 부위에 록심 라이닝을 삽입하여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을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과 라이닝 및 이의 제조방법은 파형강관 내부에 라이닝을 쉽게 설치하여, 외적인 하중 및 충격에 대응하는 구조적 강도를 가지며, 우수 및 오수의 원활한 통수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폭우 등과 같은 자연재해에 원활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기존의 파형강관보다 조도계수를 좋게하여 동일한 수량에 대한 설계 시 관경을 적게 적용함으로써 제조원가 및 시공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록심 라이닝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록심 라이닝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삽입 공정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록심 라이닝 삽입 공정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이중파형강관 제조 공정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속채움 라이닝 이중파형강관 제조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을 도시 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A)은 파형강관(101)과; 상기 파형강관(101)의 록심 부위 파형골 안쪽에 용접하여 부착 한 라이닝 걸이(102)와; 라이닝(B)과; 록심 라이닝(C)으로 구성된다.
[도 3]은 라이닝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상기 라이닝의 평면도이며, [도 5]는 상기 라이닝의 배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B)는 라이닝판(201)의; 양쪽 끝단에 록심 라이닝(C)을; 삽입할 수 있는 록심 라이닝 걸이(203)를; 설치하고, 상기 라이닝판(201)의; 배면에는 파형강관에 용접하여 부착한 라이닝 걸이(102)에; 걸 수 있도록 제작한 라이닝 고리(202)로 구성된다.
[도 6]을 록심 라이닝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을 상기 록심 라이닝의 배면도 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록심 라이닝(C)은 록심 라이닝판(301)의; 배면에는 라이닝판(201)의; 좌,우 끝단에 설치된 록심 라이닝 걸이(203)에; 삽입할 수 있는 록심 라이닝 고리(302)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의 제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의 제조과정 중 파형강판에 라이닝을 삽입하는 공정도이고, [도 9]는 파형강관의 록심부에 록심 라이닝을 삽입하는 공정도이며, [도 10]은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의 전체 제조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의 제조방법은 강판을 성형기에서 파형강판으로 제작한 다음 상기 파형강판의 좌,우 끝단의 안쪽 골에 라이닝(B)을 삽이하여 걸 수 있는 라이닝 걸이(102)를 용접하여 부착한 다음, 폴리에틸렌 수지 등으로 제작한 상기 라이닝(B)을 공급하면서 라이닝 압착롤러(401)로 압력을 가하여, 라이닝 고리(202)가 상기 라이닝 걸이(102)에 걸리게 하여 삽입시킨 후, 조관공정을 거쳐 파형강관(101)을 제작한 다음, 록심 부위의 공간에 록심 라이닝(C)을 압입하여, 상기 라이닝(B)의 양쪽 끝단에 설치된 록심 라이닝 걸이(203)에 록심 라이닝 고리(302)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여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A)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제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A)과 라이닝 및 이의 제조방법은 파형강관의 외주면에 파형골을 그대로 유지한 채로 단지 파형강관의 내주면에 라이닝(B)과 록심 라이닝(C)을 삽입하여 내면을 평활하게 함으로써, 파형강관의 파형골이 갖는 특성인 하중 및 반력이 관둘레에 균등하게 분포되므로 내하력이 커서 수로, 통로, 기타 각종 구조물에 사용되며, 경량으로 취급이 용이하여 조립과 시공이 모두 간단하고 경제적인 장점을 그대로 살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형강관의 내주면이 내장된 라이닝(B) 및 록심 라이닝(C)에 의해서 완전한 평활면이 형성됨으로써, 우수 및 오수의 원활한 통수로 폭우 등 자연재해에 원활히 대처 할 수 있으며, 조도계수가 개선되어 동일한 수량에 적은 직경의 관을 사용할 수 있어서 제조원가 및 시공원가를 절감하는 등 매우 유용한 가치가 있다.
A :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
B : 라이닝
C : 록심 라이닝
D : 속채움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
101 : 파형강관 102 : 라이닝 걸이
103 : 록심
201 : 라이닝판 202 : 라이닝 고리
203 : 록심 라이닝 걸이
301 : 록심 라이닝판 302 : 록심 라이닝 고리
401 : 라이닝 압착롤러 402 : 록심 라이닝 압착롤러
501 : 골재 믹서기 502 : 컨베어 벨트
503 : 호퍼 504 : 고정패트
505 : 실린더 506 : 실린더 거치대
507 : 회전판 508 : 회전모터

Claims (6)

  1. 삭제
  2. 합성수지나 F.R.P로 제작하여 파형강관의 내면을 평활하게 하는 라이닝(B) 및 록심 라이닝(C)에 있어서, 라이닝(B)은 라이닝판(201)의 양쪽 끝단에 록심 라이닝(C)을 삽입할 수 있는 록심 라이닝 걸이(203)가 있고, 상기 라이닝판(201) 배면에는 파형강관의 라이닝 걸이(102)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라이닝 고리(202)가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록심라이닝(C)은 록심골의 폭과 일치하는 폭을 갖는 라이닝판(201)의 한쪽 면에 록심 라이닝 고리(302)가 부착되어 상기 록심 라이닝 걸이(203)에 삽입되어 록심 부위까지 평활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B) 및 록심 라이닝(C)
  3. 강판을 성형기에서 파형골을 형성하여 파형강판을 만들고, 상기 파형강판의 좌,우 끝단의 골 안쪽에 라이닝(B)을 삽입할 수 있는 라이닝 걸이(102)를 용접하여 부착하고, 상기 라이닝 걸이(102)에 상기 라이닝(B)을 라이닝 압착롤러(401)로 압입하여 상기 라이닝 걸이(102)에 라이닝 고리(202)를 삽입시키고, 조관공정을 거쳐 파형강관을 제작한 다음, 록심 부위의 록심 라이닝 걸이(203)에 록심 라이닝(C)을 록심 라이닝 압착롤러(402)로 압입하여 록심 라이닝 고리(302)가 상기 록심 라이닝 걸이(203)에 삽입되어 록심 부위까지 내부가 완전 평활한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A)을 제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 제조방법
  4. 청구항 3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A)에 있어서, 라이닝(B,C)과 파형강관(101) 사이의 공간에 골재와 고화재를 혼합한 혼합물이나 합성수지를 채움으로써 하중을 증가하고, 방수 기능을 갖추어 하천공사나 오수관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속채움 라이닝 이중 파형 강관(D).
    여기서 사용하는 골재는 흙, 마사토, 모래, 규사, 재생골재, 고로슬래그와 같이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고화재는 시멘트, 세라믹, 생석회, 합성수지와 같은 다양한 고화재를 사용할 수 있다.
  5.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A)을 회전판(507) 위에 수직으로 거치하고, 실린더(505)와 고정패드(504)를 이용하여 고정한 후, 골재믹서기(501)에서 생산한 혼합골재를 콘베어벨트(502)를 이용하여 호퍼(503)로 운송하여 상기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A)의 라이닝(B,C) 파형강관(101) 사이의 공간에 투입하면서, 회전모터(508)을 이용하여 회전시키면서 진동을 가해서 상기 라이닝(B,C)과 파형강관(101) 사이의 공간에 혼합골재를 밀실하게 채운 후 일정기간 동안 양생하여 속채운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D)를 제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속채움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 제조방법
  6. 삭제
KR1020120000593A 2012-01-02 2012-01-02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과 라이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08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593A KR101208203B1 (ko) 2012-01-02 2012-01-02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과 라이닝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593A KR101208203B1 (ko) 2012-01-02 2012-01-02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과 라이닝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8203B1 true KR101208203B1 (ko) 2012-12-04

Family

ID=47906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0593A KR101208203B1 (ko) 2012-01-02 2012-01-02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과 라이닝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2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098A (ko) 2019-03-20 2020-10-05 서기문 파형강판을 이용한 이중구조를 갖는 강관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700B1 (ko) 2007-06-26 2008-11-13 한태희 관 보수용 나선 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700B1 (ko) 2007-06-26 2008-11-13 한태희 관 보수용 나선 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098A (ko) 2019-03-20 2020-10-05 서기문 파형강판을 이용한 이중구조를 갖는 강관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8285A (en) Manhole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02089482A (zh) 抗震型钢筋混凝土水密性管道及其制造方法
CN102588684A (zh) 一种新型纤维增强塑料混凝土复合管
CN101776187A (zh) 预应力混凝土玻璃钢复合管材结构及其制作工艺
CN207195858U (zh) 纤维增强塑料排水管
KR101208203B1 (ko) 라이닝 이중 파형강관과 라이닝 및 이의 제조방법
CN100520140C (zh) 具有轴向纤维的玻璃钢夹砂管及制造方法
US20120199276A1 (en) Tubular Liner for Underground Pipes and Method of Installing Tubular Liner
CN101097035A (zh) 无机增强玻璃钢顶管及成型工艺
US3562056A (en) Method of producing a sewer pipe
JP2008088715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再構築方法、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製造方法、及び、これらの工法に用いることができる防食部材
KR101459626B1 (ko) 콘크리트 하수관거의 제작장치
CN205908893U (zh) 一种纤维增强塑料混凝土复合管平口内衬结构
CN205424148U (zh) 一种新型环保混凝土排水管
CN101425670B (zh) 变电站装配式电缆沟体及铺装方法
JP4971232B2 (ja) マンホール補修方法
CN113863175B (zh) 一种预制混凝土双层波纹板结构、一种拱涵及一种管涵
CN205938218U (zh) 一种纤维增强塑料混凝土复合管内衬结构
JP2004278203A (ja) 流体輸送施設の修復工法
CN212826059U (zh) 装配式竖向结构波纹盲孔限位连接成孔结构
RU2770507C2 (ru) Труба железобетонная низконапорная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RU2005101518A (ru) Водопропускная труба под дорожной насыпью и способ ее прокладки
RU2426642C2 (ru) Коррозионно-стойкая труб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CN219588298U (zh) 一种地下室外墙蒸汽管道防水封堵构造
CN205446971U (zh) 一种双壁加筋波纹管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8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