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0290B1 -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및 가압부상조 - Google Patents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및 가압부상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00290B1 KR101200290B1 KR20120069527A KR20120069527A KR101200290B1 KR 101200290 B1 KR101200290 B1 KR 101200290B1 KR 20120069527 A KR20120069527 A KR 20120069527A KR 20120069527 A KR20120069527 A KR 20120069527A KR 101200290 B1 KR101200290 B1 KR 1012002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
- pressurized
- circulating water
- water
- stopp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3/00—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3/004—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omprising a selector reactor for promoting floc-forming or other bacteria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6—Pressure condi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서 순환수 분배관의 배치 형태를 보이기 위하여 A-A 기준으로 바라본 도면,
도 3은 도 1의 B-B 부위의 개념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진동 고무판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마찰판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6은 도 3의 회전판의 사시도,
도 7은 도 3의 회전판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C-C 단면도,
도 9는 도 1의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의 개념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D-D 기준 개념도,
도 11은 도 9의 E-E 기준 개념도,
도 12는 도 9의 다공관의 사시도,
도 13은 도 9의 F-F 기준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G-G 기준 단면도,
도 15는 도 13에 대응되는 도면으로 수위조절용 부력재 마개가 상승한 상태의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적용된 사각형 가압부상조의 종단면 개념도,
도 17은 도 16에서 순환수 분배관의 배치 형태를 보이기 위한 H-H 기준 평면 개념도,
도 18은 도 17에서 I-I기준으로 바라본 순환수 분배관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110 : 보조 부상조 111 : 원수유입관
112 : 순환수 유입관 113 : 순환수 분배관
114 : 분사노즐 114a : 진동 고무판
114b : 마찰판 114c : 회전판
115 : 스컴 유출 배관
120 : 주 부상조 121 : 스컴 제거장치
122 : 처리수 배출관 123 : 보조 플록 배출관
140 : 스컴 수집조
210 : 분기관 220 : 가압펌프
230 : 공기 압축기 240 :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241 : 가압튜브 242 : 커버
243 : 커버 244 : 가압튜브용 순환수 유입관
245 : 와류 형성용 노즐 245a : 노즐공
246 : 순환수 유출관 247 : 미세기포 공급기
248 : 압력게이지 249 : 수위조절관
250 : 순환수 배출관 260 : 마찰밸브
310 : 다공관 311 : 혼합용 구멍
320 : 수위조절용 부력재 마개 330 : 안내 파이프
332 : 마개 안내판
Claims (6)
- 가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순환수에 공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혼합시켜 상기 순환수에 공기를 용해시킨 용존공기 순환수를 생성하기 위한 가압부상조용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에 있어서 :
양측에 커버가 마련되어 밀폐된 가압튜브와,
상기 공기 압축기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가압튜브의 내부에 미세기포를 공급하도록 상기 가압튜브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마련되는 미세기포 공급기와,
상기 가압튜브의 일측에 마련되어 순환수가 상기 가압튜브 내부로 유입되는 가압튜브용 순환수 유입관과,
상기 가압튜브의 타측에 마련되어 용존공기 순환수가 상기 가압튜브 외부로 유출되는 순환수 유출관과,
상기 가압튜브용 순환수 유입관의 상기 가압튜브 내부 끝단에 마련되되 와류 형성을 위하여 노즐공이 측면을 향하여 형성되는 와류 형성용 노즐과,
상기 가압튜브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마련되어 하단이 상기 가압튜브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단이 상기 가압튜브의 외부에 위치되는 수위조절관과,
부력에 의하여 상승 또는 하강함으로써 상기 수위조절관의 하단을 밀폐 또는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수위조절관의 하단 하부에 위치되는 수위조절용 부력재 마개와,
상기 가압튜브에 마련되어 상기 수위조절용 부력재 마개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마개 안내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마개 안내부재는, 상기 가압튜브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가압튜브의 내측에 위치한 주면에 제1연통구가 형성된 안내 파이프와, 상기 안내 파이프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1결합 플랜지와, 상기 안내 파이프의 하부 내측에 마련되되 중앙에 마개 가이드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마개 가이드구멍의 주변에 다수의 제2연통구가 형성된 마개 안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수위조절용 부력재 마개는, 상기 마개 가이드구멍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마개 안내부와, 상기 마개 안내부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마개 가이드구멍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마개 본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수위조절관은 상기 제1결합플랜지와 볼트 결합되는 제2결합플랜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
상기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는, 관 형태로서 상기 가압튜브의 중앙을 따라 배치되며 주면에 다수의 혼합용 구멍이 형성되며 일측 단부는 상기 가압튜브 순환수 유입관측에 마련된 상기 커버에 고정되면서 밀폐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미세기포 공급기 사이에 위치되어 개방되는 다공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는 상기 다공관에 의하여 상기 다공관의 외주면과 상기 미세기포 공급기 사이의 제1유동 영역과 상기 다공관의 내부로서 정의되는 제2유동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 원수유입관을 통하여 플록이 형성된 원수가 유입되며 순환수 유입관을 통하여 용존공기 순환수가 유입되어 상기 원수의 플록이 부상되도록 유도하는 보조 부상조 및 상기 보조 부상조에서 부상 유도된 상기 플록을 제거하기 위한 스컴 제거장치가 상부에 마련되며 처리수 배출관을 통하여 상기 원수에서 플록이 제거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주 부상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압부상조 ;
상기 처리수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처리수 중 일부를 순환수로서 순환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가압 펌프 ;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압축기 ;
상기 가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순환수에 상기 공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혼합시켜 상기 순환수에 공기를 용해시킨 용존공기 순환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양측에 커버가 마련되어 밀폐된 가압튜브와, 상기 공기 압축기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가압튜브의 내부에 미세기포를 공급하도록 상기 가압튜브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마련되는 미세기포 공급기와, 상기 가압튜브의 일측에 마련되어 순환수가 상기 가압튜브 내부로 유입되는 가압튜브용 순환수 유입관과, 상기 가압튜브의 타측에 마련되어 용존공기 순환수가 상기 가압튜브 외부로 유출되는 순환수 유출관과, 상기 가압튜브용 순환수 유입관의 상기 가압튜브 내부 끝단에 마련되되 와류 형성을 위하여 노즐공이 측면을 향하여 형성되는 와류 형성용 노즐과, 상기 가압튜브의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마련되어 하단이 상기 가압튜브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단이 상기 가압튜브의 외부에 위치되는 수위조절관과, 부력에 의하여 상승 또는 하강함으로써 상기 수위조절관의 하단을 밀폐 또는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수위조절관의 하단 하부에 위치되는 수위조절용 부력재 마개와, 상기 가압튜브에 마련되어 상기 수위조절용 부력재 마개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마개 안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
상기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로부터 공급되는 용존공기 순환수를 상기 순환수 유입관으로 이송하는 순환수 배출관 ;
상기 순환수 유입관으로 유입된 용존공기 순환수를 상기 보조 부상조에 분배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 부상조 내부에 수평상으로 길게 마련되는 순환수 분배관 ;
상기 순환수 분배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상기 순환수 분배관의 용존공기 순환수가 상기 보조 부상조로 분사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분사노즐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마개 안내부재는, 상기 가압튜브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가압튜브의 내측에 위치한 주면에 제1연통구가 형성된 안내 파이프와, 상기 안내 파이프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1결합 플랜지와, 상기 안내 파이프의 하부 내측에 마련되되 중앙에 마개 가이드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마개 가이드구멍의 주변에 다수의 제2연통구가 형성된 마개 안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수위조절용 부력재 마개는, 상기 마개 가이드구멍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마개 안내부와, 상기 마개 안내부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마개 가이드구멍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마개 본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수위조절관은 상기 제1결합플랜지와 볼트 결합되는 제2결합플랜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부상조.
- 삭제
- 제 4 항에 있어서 :
상기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는, 관 형태로서 상기 가압튜브의 중앙을 따라 배치되며 주면에 다수의 혼합용 구멍이 형성되며 일측 단부는 상기 가압튜브 순환수 유입관측에 마련된 상기 커버에 고정되면서 밀폐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미세기포 공급기 사이에 위치되어 개방되는 다공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는 상기 다공관에 의하여 상기 다공관의 외주면과 상기 미세기포 공급기 사이의 제1유동 영역과 상기 다공관의 내부로서 정의되는 제2유동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부상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069527A KR101200290B1 (ko) | 2012-06-28 | 2012-06-28 |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및 가압부상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069527A KR101200290B1 (ko) | 2012-06-28 | 2012-06-28 |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및 가압부상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00290B1 true KR101200290B1 (ko) | 2012-11-12 |
Family
ID=47564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20069527A Active KR101200290B1 (ko) | 2012-06-28 | 2012-06-28 |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및 가압부상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00290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671317A (zh) * | 2015-02-13 | 2015-06-03 | 浙江高和羊毛科技有限公司 | 一种污水气浮分离装置 |
KR101660394B1 (ko) | 2015-04-30 | 2016-09-27 |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 디개싱 장치 |
KR20210000257U (ko) | 2019-07-23 | 2021-02-02 | 한빛이앤씨(주) | 수처리장치의 기포발생기 |
KR102465402B1 (ko) * | 2022-03-15 | 2022-11-11 | (주)미시간기술 | 용해 효율이 향상된 수처리수단의 용해수 처리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4496B1 (ko) | 2000-04-12 | 2002-07-24 | (주)엔바이로시스템 | 오·폐수의 미세기포 생성 및 투입장치 |
KR101048623B1 (ko) | 2008-12-05 | 2011-07-14 | 한국수자원공사 | 침지형 분리막과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융합형 정수처리장치 |
KR101130816B1 (ko) | 2009-11-02 | 2012-04-12 |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 초미세 기포 회전분사식 가압부상조 |
-
2012
- 2012-06-28 KR KR20120069527A patent/KR10120029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4496B1 (ko) | 2000-04-12 | 2002-07-24 | (주)엔바이로시스템 | 오·폐수의 미세기포 생성 및 투입장치 |
KR101048623B1 (ko) | 2008-12-05 | 2011-07-14 | 한국수자원공사 | 침지형 분리막과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융합형 정수처리장치 |
KR101130816B1 (ko) | 2009-11-02 | 2012-04-12 |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 초미세 기포 회전분사식 가압부상조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671317A (zh) * | 2015-02-13 | 2015-06-03 | 浙江高和羊毛科技有限公司 | 一种污水气浮分离装置 |
KR101660394B1 (ko) | 2015-04-30 | 2016-09-27 |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 디개싱 장치 |
KR20210000257U (ko) | 2019-07-23 | 2021-02-02 | 한빛이앤씨(주) | 수처리장치의 기포발생기 |
KR102465402B1 (ko) * | 2022-03-15 | 2022-11-11 | (주)미시간기술 | 용해 효율이 향상된 수처리수단의 용해수 처리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27673B1 (ko) | 용존공기 분사식 가압부상조 | |
KR101163089B1 (ko) | 다공관을 구비한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및 이를 구비한 가압부상조 | |
US4255262A (en) | Hydraulic powered mixing apparatus | |
KR100989779B1 (ko) | 고농도 포화수 제조기를 구비한 마이크로버블 부상장치 | |
KR101779748B1 (ko) | 수처리 시스템 | |
KR101491001B1 (ko) | 다단 부상분리장치 | |
KR101877935B1 (ko) | 압력조절식 미세기포 가압부상분리 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가압부상분리 방법 및 이들을 이용하는 수처리 시스템 | |
KR101281514B1 (ko) | 마이크로버블 유닛과 경사판 구조를 갖는 가압 부상식 오염수 처리방법 | |
KR101835271B1 (ko) | 오존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 |
KR101271212B1 (ko) | 호소 내 조류제거 및 수질정화 장치 | |
KR101602289B1 (ko) |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 | |
KR102093758B1 (ko) | 와류식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활용한 장방형 고효율 가압고액분리 수처리장치 | |
KR101336169B1 (ko) | 침전과 부상을 연계한 고도정수처리장치 | |
KR101200290B1 (ko) |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및 가압부상조 | |
KR101130816B1 (ko) | 초미세 기포 회전분사식 가압부상조 | |
KR101140769B1 (ko) | 가압부상조 | |
KR101723161B1 (ko) | 처리수의 자체순환구조를 갖는 고액분리 부상장치 | |
KR101522386B1 (ko) | 고효율 포화기를 구비한 용존공기부상분리장치 | |
KR102143790B1 (ko) | 고효율 미세기포 발생장치, 이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 및 그 작동방법 | |
KR101026768B1 (ko) | 케비테이션 고액분리 부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처리 장치 | |
JP6345545B2 (ja) | 曝気撹拌装置 | |
KR101999620B1 (ko) | 부상슬러지 및 침전슬러지의 동시처리장치 | |
KR101774488B1 (ko) | 침강 및 부유하는 슬러지 제거설비 및 이의 운전방법 | |
KR101348591B1 (ko) | 마이크로 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 |
JP4930340B2 (ja) | 加圧浮上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7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