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3089B1 - 다공관을 구비한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및 이를 구비한 가압부상조 - Google Patents
다공관을 구비한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및 이를 구비한 가압부상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3089B1 KR101163089B1 KR1020110081793A KR20110081793A KR101163089B1 KR 101163089 B1 KR101163089 B1 KR 101163089B1 KR 1020110081793 A KR1020110081793 A KR 1020110081793A KR 20110081793 A KR20110081793 A KR 20110081793A KR 101163089 B1 KR101163089 B1 KR 1011630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
- circulating water
- water
- pressurized
- 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서 순환수 분배관의 배치 형태를 보이기 위하여 A-A 기준으로 바라본 도면,
도 3은 도 1의 B-B 부위의 개념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진동 고무판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마찰판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6은 도 3의 회전판의 사시도,
도 7은 도 3의 회전판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C-C 단면도,
도 9는 도 1의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의 개념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D-D 기준 개념도,
도 11은 도 9의 E-E 기준 개념도,
도 12는 도 9의 다공관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적용된 사각형 가압부상조의 종단면 개념도,
도 14는 도 13에서 순환수 분배관의 배치 형태를 보이기 위한 F-F 기준 평면 개념도,
도 15는 도 14에서 G-G기준으로 바라본 순환수 분배관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미세기포 공급기(247)는 가압튜브(241)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마련된다.
또한 다공관(310)의 타측 단부는 미세기포 공급기(247) 사이에 위치된다.
즉 다공관(310)에 의하여 다공관(310)의 외주면과 미세기포 공급기(247) 사이의 제1유동 영역과, 다공관(310)의 내부로서 정의되는 제2유동 영역으로 구분되며, 가압튜브(241) 내부로 유입된 순환수의 유동은 대부분 제1유동 영역에서 발생한다.
112 : 순환수 유입관 113 : 순환수 분배관
114 : 분사노즐 114a : 진동 고무판
114b : 마찰판 114c : 회전판
115 : 스컴 유출 배관
120 : 주 부상조 121 : 스컴 제거장치
122 : 처리수 배출관 123 : 보조 플록 배출관
140 : 스컴 수집조
210 : 분기관 220 : 가압펌프
230 : 공기 압축기 240 :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241 : 가압튜브 242 : 커버
243 : 커버 244 : 가압튜브용 순환수 유입관
245 : 와류 형성용 노즐 245a : 노즐공
246 : 순환수 유출관 247 : 미세기포 공급기
248 : 압력게이지 249 : 수위 조절관
249b : 차압식 자동조절밸브
250 : 순환수 배출관 260 : 마찰밸브
310 : 다공관 311 : 혼합용 구멍
Claims (4)
- 원수유입관을 통하여 플록이 형성된 원수가 유입되며 순환수 유입관을 통하여 용존공기 순환수가 유입되어 상기 원수의 플록이 부상되도록 유도하는 보조 부상조 및 상기 보조 부상조에서 부상 유도된 상기 플록을 제거하기 위한 스컴 제거장치가 상부에 마련되며 처리수 배출관을 통하여 상기 원수에서 플록이 제거된 처리수를 배출하는 주 부상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압부상조 ;
상기 처리수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처리수 중 일부를 순환수로서 순환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가압 펌프 ;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압축기 ;
상기 가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순환수에 상기 공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혼합시켜 상기 순환수에 공기를 용해시킨 용존공기 순환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양측에 커버가 마련되어 밀폐된 가압튜브와, 상기 공기 압축기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가압튜브의 내부에 미세기포를 공급하도록 상기 가압튜브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마련되는 미세기포 공급기와, 상기 가압튜브의 일측에 마련되어 순환수가 상기 가압튜브 내부로 유입되는 가압튜브용 순환수 유입관과, 상기 가압튜브의 타측에 마련되어 용존공기 순환수가 상기 가압튜브 외부로 유출되는 순환수 유출관과, 상기 가압튜브용 순환수 유입관의 상기 가압튜브 내부 끝단에 마련되되 와류 형성을 위하여 노즐공이 측면을 향하여 형성되는 와류 형성용 노즐과, 상기 가압튜브의 길이방향으로 긴 타원형의 노즐공이 측면에 형성된 와류 형성용 노즐과, 관 형태로서 상기 가압튜브의 중앙을 따라 배치되며 주면에 다수의 혼합용 구멍이 형성되며 일측 단부는 상기 가압튜브 순환수 유입관측에 마련된 상기 커버에 고정되면서 밀폐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미세기포 공급기 사이에 위치되어 개방되는 다공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
상기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로부터 공급되는 용존공기 순환수를 상기 순환수 유입관으로 이송하는 순환수 배출관 ;
상기 순환수 유입관으로 유입된 용존공기 순환수를 상기 보조 부상조에 분배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 부상조 내부에 수평상으로 길게 마련되는 순환수 분배관 ;
상기 순환수 분배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상기 순환수 분배관의 용존공기 순환수가 상기 보조 부상조로 분사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분사노즐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는 상기 다공관에 의하여 상기 다공관의 외주면과 상기 미세기포 공급기 사이의 제1유동 영역과 상기 다공관의 내부로서 정의되는 제2유동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관에 의하여 순환수와 압축공기의 혼합 성능이 개선된 가압부상조.
- 삭제
- 가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순환수에 공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혼합시켜 상기 순환수에 공기를 용해시킨 용존공기 순환수를 생성하기 위한 가압부상조용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에 있어서,
양측에 커버가 마련되어 밀폐된 가압튜브와,
상기 공기 압축기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가압튜브의 내부에 미세기포를 공급하도록 상기 가압튜브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마련되는 미세기포 공급기와,
상기 가압튜브의 일측에 마련되어 순환수가 상기 가압튜브 내부로 유입되는 가압튜브용 순환수 유입관과,
상기 가압튜브의 타측에 마련되어 용존공기 순환수가 상기 가압튜브 외부로 유출되는 순환수 유출관과,
상기 가압튜브용 순환수 유입관의 상기 가압튜브 내부 끝단에 마련되되 와류 형성을 위하여 노즐공이 측면을 향하여 형성되는 와류 형성용 노즐과,
관 형태로서 상기 가압튜브의 중앙을 따라 배치되며 주면에 다수의 혼합용 구멍이 형성되며 일측 단부는 상기 가압튜브 순환수 유입관측에 마련된 상기 커버에 고정되면서 밀폐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미세기포 공급기 사이에 위치되어 개방되는 다공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는 상기 다공관에 의하여 상기 다공관의 외주면과 상기 미세기포 공급기 사이의 제1유동 영역과 상기 다공관의 내부로서 정의되는 제2유동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관을 구비한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1793A KR101163089B1 (ko) | 2011-08-17 | 2011-08-17 | 다공관을 구비한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및 이를 구비한 가압부상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1793A KR101163089B1 (ko) | 2011-08-17 | 2011-08-17 | 다공관을 구비한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및 이를 구비한 가압부상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63089B1 true KR101163089B1 (ko) | 2012-07-05 |
Family
ID=46716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1793A Active KR101163089B1 (ko) | 2011-08-17 | 2011-08-17 | 다공관을 구비한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및 이를 구비한 가압부상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3089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2386B1 (ko) * | 2015-02-24 | 2015-05-26 | 효림산업주식회사 | 고효율 포화기를 구비한 용존공기부상분리장치 |
KR101597311B1 (ko) | 2015-09-07 | 2016-03-07 | 제이케이이앤씨 주식회사 | 가압부상설비용 용존공기 순환수 발생장치 |
KR101660394B1 (ko) | 2015-04-30 | 2016-09-27 |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 디개싱 장치 |
KR101789994B1 (ko) * | 2017-03-06 | 2017-10-25 |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 수처리를 위한 급속 공기용해 및 미세기포 발생장치 |
KR101841958B1 (ko) * | 2017-03-13 | 2018-03-26 |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 수처리를 위한 경사형 급속 공기용해 및 미세기포 발생장치 |
KR20180051931A (ko) * | 2016-11-09 | 2018-05-17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축산 폐수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KR102694024B1 (ko) * | 2023-09-05 | 2024-08-09 | 주식회사 디에스엔지니어스 |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1311Y1 (ko) * | 1999-09-07 | 2000-03-15 | 김지 | 기포 발생기를 이용한 회전와류식 수처리장치 |
KR100989779B1 (ko) | 2009-11-27 | 2010-10-26 | 주식회사 엔텍 | 고농도 포화수 제조기를 구비한 마이크로버블 부상장치 |
-
2011
- 2011-08-17 KR KR1020110081793A patent/KR10116308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1311Y1 (ko) * | 1999-09-07 | 2000-03-15 | 김지 | 기포 발생기를 이용한 회전와류식 수처리장치 |
KR100989779B1 (ko) | 2009-11-27 | 2010-10-26 | 주식회사 엔텍 | 고농도 포화수 제조기를 구비한 마이크로버블 부상장치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2386B1 (ko) * | 2015-02-24 | 2015-05-26 | 효림산업주식회사 | 고효율 포화기를 구비한 용존공기부상분리장치 |
KR101660394B1 (ko) | 2015-04-30 | 2016-09-27 |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 디개싱 장치 |
KR101597311B1 (ko) | 2015-09-07 | 2016-03-07 | 제이케이이앤씨 주식회사 | 가압부상설비용 용존공기 순환수 발생장치 |
KR20180051931A (ko) * | 2016-11-09 | 2018-05-17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축산 폐수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KR101961671B1 (ko) * | 2016-11-09 | 2019-07-17 | 대한민국 | 축산 폐수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KR101789994B1 (ko) * | 2017-03-06 | 2017-10-25 |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 수처리를 위한 급속 공기용해 및 미세기포 발생장치 |
KR101841958B1 (ko) * | 2017-03-13 | 2018-03-26 |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 수처리를 위한 경사형 급속 공기용해 및 미세기포 발생장치 |
KR102694024B1 (ko) * | 2023-09-05 | 2024-08-09 | 주식회사 디에스엔지니어스 |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27673B1 (ko) | 용존공기 분사식 가압부상조 | |
KR101163089B1 (ko) | 다공관을 구비한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및 이를 구비한 가압부상조 | |
KR100989779B1 (ko) | 고농도 포화수 제조기를 구비한 마이크로버블 부상장치 | |
KR100931987B1 (ko) | 미세기포를 이용한 상수, 중수, 하수 및 오폐수를 정화하는 수처리 장치 | |
KR101281514B1 (ko) | 마이크로버블 유닛과 경사판 구조를 갖는 가압 부상식 오염수 처리방법 | |
KR100919367B1 (ko) | 고효율 기체용해탱크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 | |
CN103298750A (zh) | 含油废水处理系统 | |
KR101336169B1 (ko) | 침전과 부상을 연계한 고도정수처리장치 | |
KR101602289B1 (ko) |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 | |
KR101130816B1 (ko) | 초미세 기포 회전분사식 가압부상조 | |
KR101200290B1 (ko) |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및 가압부상조 | |
KR101140769B1 (ko) | 가압부상조 | |
KR101723161B1 (ko) | 처리수의 자체순환구조를 갖는 고액분리 부상장치 | |
KR101522386B1 (ko) | 고효율 포화기를 구비한 용존공기부상분리장치 | |
JP6345545B2 (ja) | 曝気撹拌装置 | |
KR100398490B1 (ko) | 가압 부상조 | |
JP4711074B2 (ja) | 凝集反応装置 | |
RU87159U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напорной флотацией | |
KR101999620B1 (ko) | 부상슬러지 및 침전슬러지의 동시처리장치 | |
KR102088777B1 (ko) |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 |
JP4930340B2 (ja) | 加圧浮上装置 | |
KR101743061B1 (ko) | 초미세기포(나노버블)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저수조 | |
KR101163971B1 (ko) | 수질 개선용 미세기포 발생장치 | |
RU2114063C1 (ru) | Установка для флотационной очистки воды | |
KR20100133872A (ko) | 용존공기 분사식 가압부상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8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7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