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97095B1 - 진동 모터 및 이를 가진기로 적용한 전기 집진기 - Google Patents

진동 모터 및 이를 가진기로 적용한 전기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095B1
KR101197095B1 KR1020120014959A KR20120014959A KR101197095B1 KR 101197095 B1 KR101197095 B1 KR 101197095B1 KR 1020120014959 A KR1020120014959 A KR 1020120014959A KR 20120014959 A KR20120014959 A KR 20120014959A KR 101197095 B1 KR101197095 B1 KR 101197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manent magnet
case
vibrating body
yoke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호
김제훈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14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09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02K33/1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alternate energisation and de-energisation of the single coil system is effected or controlled by movement of the arm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7Sta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모터 및 이를 가진기로 적용한 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 모터 내 코일이 권선된 진동체의 내부 및 외부에 영구자석을 배치하여 상기 영구자석의 자속이 직접적으로 공극으로 흐르게 함으로써, 공극에서의 자속밀도를 높이는 구조를 갖는 진동 모터 및 이를 가진기로 적용한 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동 모터 및 이를 가진기로 적용한 전기 집진기{The vibration motor and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that vibration motor as exciter}
본 발명은 진동 모터 및 이를 가진기로 적용한 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 모터 내 코일이 권선된 진동체의 내부 및 외부에 영구자석을 배치하여 상기 영구자석의 자속이 직접적으로 공극으로 흐르게 함으로써, 공극에서의 자속밀도를 높이는 구조를 갖는 진동 모터 및 이를 가진기로 적용한 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진동 모터 또는 선형 진동 모터는 회전형 모터를 축 방향으로 잘라서 펼쳐 놓은 형태로, 회전형 모터가 회전형의 운동력을 발생시키는 것과 달리 상기 진동 모터는 직선방향으로 미는 힘인 추력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진동 모터는 일반 회전형 모터에 비해 직선 구동력을 직접 발생시키는 장점이 있으므로, 직선 구동력이 필요한 시스템에서 회전형 모터에 비해 많이 사용되어 왔다. 18세기 중반에 발명된 진동 모터는 현재는 자기부상열차, 리니어 모터카 등의 수송기관과, 공장자동화(Office Automation, OA), 가정자동화(Home Automation, HA), 공장 자동화(Factory Automation, FA) 기기 등 각종 자동화 시스템 분야의 핵심 구동장치로 응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진동 모터의 진동 특성은 휴대 기기에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휴대폰으로 대표되는 휴대 기기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신호의 착신을 알려주는 착신기능이며 이는 벨소리 또는 진동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진동은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서 또는 벨소리를 인지하기 힘든 곳에서 인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며, 현재 휴대폰의 필수요소로 자리 잡았다.
또한, 상기 진동 모터는 오염된 공기 속에 들어 있는 분진 등을 전기적으로 채집 및 제거하는 전기 집진기의 탈진장치로도 활용되고 있다. 탈진장치의 방식으로는 전동 기계식, 전자추타식 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이 중 상기 진동 모터는 진동에 의해 집진판의 분진을 제거하는 진동식 탈진 장치로 사용된다. 특히, 상기 진동식 탈진 장치는 설치 공간이 협소한 지하철 내에서 사용되는 전기 집진기에 적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상기 진동식 탈진 장치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06519호에 개시되어 있는 선형 진동 모터와 같은 형태의 진동 모터가 사용되었다. 상기 진동 모터는 중량체를 확장 형성하며, 상기 중량체의 결합을 견고히 하여 증가된 중량체를 통해 진동력을 향상시키는 구조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진동 모터는 원통형으로 권선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의 내부에 영구자석이 위치하는 구성을 갖기 때문에, 영구자석의 자속이 공극으로 흐르는 자속밀도가 낮아 형성되는 자기력 또한 낮아 상기 진동 모터에 의해 생성되는 가속도도 작게 된다. 특히 전기 집진기는 여러 개의 집진판으로 구성되어 모든 집진판의 탈진 효과를 위해서는 큰 가속도를 발생시킬 수 있는 진동 모터가 필요하다. 다만, 종래의 진동 모터로는 다수의 집진판에 있어 효과적인 탈진 효과를 제공할 수 없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1-000651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한된 공간 내에서 공극에서의 자속밀도를 높일 수 있는 진동 모터 및 이를 가진기로 적용한 전기 집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전기 집진기에 사용되는 진동 모터보다 큰 가속도를 제공할 수 있는 진동 모터 및 이를 가진기로 적용한 전기 집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진동 모터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중심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제1 영구자석; 상기 제1 영구자석의 외측으로 상기 제1 영구자석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제2 영구자석;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내측에는 상기 제1 영구자석이, 외측에는 상기 제2 영구자석이 위치하는 진동체; 상기 진동체의 외주면에 권선되는 코일; 및 상기 진동체 및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체가 상하 운동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측면을 갖는 다면체 기둥 형태의 제1 요크; 및 상기 제2 영구자석과 상기 케이스를 고정하는 제2 요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영구자석은 상기 제1 요크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요크는 사각 기둥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영구자석은, 대향하는 상기 제1 영구자석과 서로 다른 극을 마주보도록 한다.
또한, 상기 코일에 공급되는 교류 전류의 주파수를 조정하는 주파수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 집진기는 서로 마주 설치되고, 방전극을 이용하여 서로의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켜 오염 공기의 분진을 전기집진하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집진판; 상기 집진판을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집진판을 진동시켜 전기집진된 분진을 탈진하는 가진기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가진기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중심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제1 영구자석; 상기 제1 영구자석의 외측으로 상기 제1 영구자석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제2 영구자석;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내측에는 상기 제1 영구자석이, 외측에는 상기 제2 영구자석이 위치하는 진동체; 상기 진동체의 외주면에 권선되는 코일; 상기 진동체 및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체가 상하 운동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부재; 및 상기 진동체의 상하 운동에 의한 진동을 상기 집진판에 전달하는 스팅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진기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사면체 기둥 형태의 제1 요크; 상기 제2 영구자석과 상기 케이스를 고정하는 제2 요크; 및 상기 코일에 공급되는 교류 전류의 주파수를 조정하는 주파수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영구자석은 상기 제1 요크의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영구자석은, 대향하는 상기 제1 영구자석과 서로 다른 극을 마주보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진기는, 상기 진동체의 상하 운동에 의한 진동이 상기 집진판의 중앙부에 전달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 모터 및 이를 적용한 전기 집진기는 코일이 권선된 솔레노이드 내부 및 외부에 영구자석을 배치하여 영구자석의 자속을 직접적으로 공극에 흐르게 하여 공극에서의 자속밀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진동 모터는 종래 전기 집진기에 가진기로 사용되는 진동 모터보다 큰 가속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영구자석의 결합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를 가진기로 적용한 전기 집진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진기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영구자석의 결합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진기의 결합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진기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진기가 집진판을 탈진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영구자석의 결합형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100)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측면을 갖는 다면체 기둥 형태의 제1 요크(20); 상기 케이스(10)의 중심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케이스(10)의 하부면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요크(20)의 측면에 고정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제1 영구자석(30); 상기 제1 영구자석(30)의 외측으로 상기 제1 영구자석(30)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10)의 하부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제2 영구자석(40); 상기 제2 영구자석(40)과 상기 케이스(10)를 고정하는 제2 요크(50);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내측에는 상기 제1 영구자석(30)이, 외측에는 상기 제2 영구자석(40)이 위치하는 진동체(60); 상기 진동체(60)의 외주면에 권선되는 코일(70); 및 상기 진동체(60) 및 상기 케이스(10)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체(60)가 상하 운동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부재(80)를 포함한다.
케이스(10)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진동 모터(100)의 전체적인 형상 및 두께를 결정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내부 부품을 보호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0)는 일단이 개방되어 있는 사각 기둥의 형상일 수 있다. 이는 일 실시예로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0)는 일단이 개방되어 있는 삼각 기둥의 형상이거나, 일단이 개방되어 있는 원기둥의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케이스(10)의 형상이 진동 모터(100)가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요크(20)는 상기 케이스(10)의 중심부에 고정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측면을 갖는 다면체 기둥 형태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요크(20)는 사면체 기둥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요크(20)의 형태로는 사면체 기둥 외의 다양한 형태의 기둥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삼각 기둥 형태 또는 오각 기둥 형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진동 모터(100)의 결합 시 상기 제1 요크(20) 및 이에 고정되는 제1 영구자석(30)은 일단이 개방되어 있는 진동체(6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어야 하므로, 상기 제1 요크(20)는 이에 알맞은 크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요크(20)는 제1 및 제2 영구자석(30, 40)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을 최적화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요크(20)는 자석의 누설 자속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성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3개 이상의 제1 영구자석(30)은 상기 케이스(10)의 중심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케이스(10)의 하부면과 수직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영구자석(30)은 상기 제1 요크(20)의 측면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영구자석(30)은 상기 제1 요크(20)의 일 측면 당 1개의 제1 영구자석(30)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자기력을 보다 강하게 하거나, 적용되는 제1 영구자석(3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요크(20)의 일 측면 당 다수 개의 제1 영구자석(30)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구자석(30)은 일정 세기의 자기력을 발생하여, 코일(70)에 흐르는 전류와의 상호작용에 의한 로렌츠 힘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로렌츠 힘에 의해 진동체(60)가 상하로 진동하게 된다. 이때, 모든 제1 영구자석(30)은 모두 같은 극이 케이스(10)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한다. 이와 같이 배치하여 발생하는 로렌츠 힘을 보다 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구자석(30)으로 다양한 형태의 영구자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형의 영구자석이나, 사각형의 영구자석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영구자석(30)은 일정한 세기의 자기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특정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제1 영구자석(30)의 누설 자속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영구자석(30)은 사각형의 영구자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영구자석(30)은 네오디뮴(NdFeB), 사마륨코발트(SmCo), 페라이트(Ferrite) 등의 영구자석이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다 큰 자기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영구자석(30)으로 자석의 세기가 가장 강한 네오디뮴(NdFeB) 재질의 영구자석이 적용될 수 있다.
적어도 3개 이상의 제2 영구자석(40)은 상기 제1 영구자석(30)의 외측으로 상기 제1 영구자석(30)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10)의 하부면과 수직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영구자석(40)은 대향하는 상기 제1 영구자석(30)과 서로 다른 극을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제1 영구자석(30) 및 제2 영구자석(40)의 자속이 직접적으로 제1 및 제2 영구자석(30, 40) 사이의 공극에 흐르게 하여 공극에서의 자속밀도를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영구자석(30, 40) 사이의 간격으로는 상기 제1 및 제2 영구자석(30, 40) 사이에 위치하는 코일(70)이 받는 자기력의 영향을 최대한으로 하는 길이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구자석(40)으로 다양한 형태의 영구자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형의 영구자석이나, 사각형의 영구자석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영구자석(40)은 일정한 세기의 자기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특정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제2 영구자석(40)의 누설 자속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영구자석(40)은 사각형의 영구자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영구자석(40)은 네오디뮴(NdFeB), 사마륨코발트(SmCo), 페라이트(Ferrite) 등의 영구자석이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다 큰 자기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2 영구자석(40)으로 자석의 세기가 가장 강한 네오디뮴(NdFeB) 재질의 영구자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영구자석(40)은 상기 제1 영구자석(30)보다 크기가 큰 영구자석이 적용되어, 코일(70)이 받는 자기력의 영향을 최대한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실시예에서 각 제1 영구자석(30)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2 영구자석(40)의 개수를 모두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1 영구자석(30) 및 제2 영구자석(40) 사이의 공극에 일정한 자기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여 진동 모터(100)의 동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영구자석(30)에 대향하여 1개의 제2 영구자석(40)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발생되는 자기력을 보다 강하게 하거나 적용되는 제2 영구자석(40)의 크기에 따라 각각의 제1 영구자석(30)에 대응하는 제2 영구자석(40)의 개수는 다수 개가 적용될 수 있다.
제2 요크(50)는 상기 제2 영구자석(40)과 상기 케이스(10)를 고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 영구자석(40)과 상기 케이스(10)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영구자석(40)과 상기 케이스(10)를 고정한다.
상기 제1 영구자석(30) 및 제2 영구자석(40)은 상기 케이스(10)의 하부면에 고정될 수도 있으나, 상기 케이스(10)의 하부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요크(50)는 상기 제1 및 제2 영구자석(30, 40)과 상기 케이스(10)의 하부면 사이를 고정하며 제1 요크(20)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요크(50)는 제1 영구자석(30) 및 제2 영구자석 사이 공극에서의 자기력 세기를 최대화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 요크(50)는 상기 제2 영구자석(40)이 상기 제1 영구자석(30)과 서로 대향하도록 하여 제1 및 제2 영구자석(30, 40)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력의 방향을 동일하게 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진동체(60)는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내측에는 상기 제1 영구자석(30)이, 외측에는 사이 제2 영구자석(40)이 위치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모터(100)의 결합 시, 상기 진동체(60)의 개방된 일단의 내부에는 제1 영구자석(30)이, 외부에는 제2 영구자석(40)이 위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 모터(100)의 결합 시, 상기 진동체(60)의 외주면에 권선되는 코일(70)이 제1 및 제2 영구자석(30, 4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진동체(60)는 제1 및 제2 영구자석(30, 40) 사이의 공극에 위치해야 하므로, 상기 진동체(60)는 상기 공극의 모양 및 크기에 대응하는 모양 및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체(60)는 코일(70)에 흐르는 전류 및 제1 및 제2 영구자석(30, 40)에 의한 자기력 간 상호작용이 최대화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극의 모양이 사각 기둥 형태인 경우에는 상기 진동체(60) 또한 사각 기둥 형태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및 제2 영구자석(30, 40)의 배치 형태에 대응된 형태로 상기 진동체(60)를 구성하여 발생되는 로렌츠 힘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코일(70)에는 전원 인가시 교류 전류가 흐르게 되어, 상기 교류 전류와 제1 및 제2 영구자석(30, 40)에 의한 자기력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진동체(60)는 상하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진동 모터(100)의 작동 원리는 도 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코일(70)은 상기 코일(70)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제1 영구자석(30) 및 제2 영구자석(40)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력과 직각방향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류와 자기력이 직각방향을 형성함으로써, 폐자기회로를 구성하게 되어 발생되는 로렌츠 힘이 최대화되도록 한다.
스프링 부재(80)는 상기 진동체(60) 및 상기 케이스(10)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체(60)가 상하 운동하도록 탄성지지한다. 상기 스프링 부재(80)는 진동체(60)가 상하 운동하도록 탄성지지(탄성 복원력의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은 진동체(60)와 연결되고, 타측은 케이스(10)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 부재(80)는 판 스프링 또는 코일(70) 스프링 등이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 부재(80)는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진동체(6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고, 상기 진동체(60) 및 상기 케이스(10)와 연결되어 진동 모터(100)의 전체 형태를 구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 모터(100)는 코일(7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진동하는 방향이 달라진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구자석(30) 및 제2 영구자석(40) 사이에는 자기장이 형성되고, 코일(70)의 전류는 전면(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들어가거나 전면(도면에서 전면방향)으로 나오는 방향으로 흐른다. 좌측 제1 영구자석(30) 및 제2 영구자석(40)을 보면, 자기장은 좌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류는 전면(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들어간다. 이때,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로렌츠 힘은 상부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7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게 되면 진동체(60)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도 바뀌게 된다. 좌측 제1 영구자석(30) 및 제2 영구자석(40)을 보면, 자기장은 좌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류는 전면(도면에서 전면방향)으로 나온다. 이때,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로렌츠 힘은 하부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진동 모터(100)의 진동체(60)는 상기와 같은 원리에 의해 상하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 부재(80)는 진동체(60)와 케이스(10)를 연결함으로써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진동 모터(100)의 반복적인 진동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진동 모터(100)는 코일(70)에 공급되는 교류 전류의 주파수를 조정하는 주파수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모터(100)는 교류 전류에 의해 동작하므로, 별도의 주파수 조절부를 구비하여 상기 진동 모터(100)의 진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모터(100)에 흐르는 전류를 상기 진동 모터(100)의 공진 주파수로 조절하여 강력한 진동 효과를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체(60)는 제1 및 제2 영구자석(30, 40)에 의해 형성된 자기력과 코일(70)에 흐르는 전류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하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진동 모터(100)는 영구자석의 자기력과 코일(70)에 흐르는 전류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로렌츠 힘을 이용한 것으로,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로렌츠 힘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구성물을 다르게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체(60) 및 코일(70)은 고정되고, 영구자석 또는 영구자석 및 요크가 상하운동을 하는 구성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상하운동을 하는 구성물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를 가진기로 적용한 전기 집진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진기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영구자석의 결합형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진기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서로 마주 설치되고, 방전극을 이용하여 서로의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켜 오염 공기의 분진을 전기집진하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집진판(200); 상기 집진판을 고정하는 고정부(300); 및 상기 집진판을 진동시켜 전기집진된 분진을 탈진하는 가진기(400)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기(1000)에 있어서, 상기 가진기(400)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410);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410); 상기 케이스(410)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측면을 갖는 다면체 기둥 형태의 제1 요크(420); 상기 케이스(410)의 중심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케이스(410)의 하부면과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요크(420)의 측면에 고정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제1 영구자석(430); 상기 제1 영구자석(430)의 외측으로 상기 제1 영구자석(430)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410)의 하부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제2 영구자석(440); 상기 제2 영구자석(440)과 상기 케이스(410)를 고정하는 제2 요크(450);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내측에는 상기 제1 영구자석(430)이, 외측에는 상기 제2 영구자석(440)이 위치하는 진동체(460); 상기 진동체(460)의 외주면에 권선되는 코일(470); 상기 진동체(460) 및 상기 케이스(410)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체(460)가 상하 운동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부재(480); 및 상기 진동체(460)의 상하 운동에 의한 진동을 상기 집진판에 전달하는 스팅어(490)를 포함한다.
케이스(410)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410)는 가진기(400)의 전체적인 형상 및 두께를 결정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내부 부품을 보호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410)는 일단이 개방되어 있는 사각 기둥의 형상일 수 있다. 이는 일 실시예로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다른 실시예에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410)는 일단이 개방되어 있는 삼각 기둥의 형상이거나, 일단이 개방되어 있는 원기둥의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케이스(410)의 형상이 가진기(400)가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요크(420)는 상기 케이스(410)의 중심부에 고정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측면을 갖는 다면체 기둥 형태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요크(420)는 사면체 기둥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요크(420)의 형태로는 사면체 기둥 외의 다양한 형태의 기둥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삼각 기둥 형태 또는 오각 기둥 형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가진기(400)의 결합 시 상기 제1 요크(420) 및 이에 고정되는 제1 영구자석(430)은 일단이 개방되어 있는 진동체(46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어야 하므로, 상기 제1 요크(420)는 이에 알맞은 크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1 요크(420)는 제1 및 제2 영구자석(430, 440)으로부터 발생하는 자속을 최적화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요크(420)는 자석의 누설 자속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성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3개 이상의 제1 영구자석(430)은 상기 케이스(410)의 중심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케이스(410)의 하부면과 수직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영구자석(430)은 상기 제1 요크(420)의 측면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영구자석(430)은 상기 제1 요크(420)의 일 측면 당 1개의 제1 영구자석(430)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자기력을 보다 강하게 하거나, 적용되는 제1 영구자석(43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요크(420)의 일 측면 당 다수 개의 제1 영구자석(430)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구자석(430)은 일정 세기의 자기력을 발생하여, 코일(470)에 흐르는 전류와의 상호작용에 의한 로렌츠 힘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로렌츠 힘에 의해 진동체(460)가 상하로 진동하게 된다. 이때, 모든 제1 영구자석(430)은 모두 같은 극이 케이스(410)의 내측을 향하도록 배치한다. 이와 같이 배치하여 발생하는 로렌츠 힘을 보다 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구자석(430)으로 다양한 형태의 영구자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형의 영구자석이나, 사각형의 영구자석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영구자석(430)은 일정한 세기의 자기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특정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제1 영구자석(430)의 누설 자속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영구자석(430)은 사각형의 영구자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영구자석(430)은 네오디뮴(NdFeB), 사마륨코발트(SmCo), 페라이트(Ferrite) 등의 영구자석이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다 큰 자기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영구자석(430)으로 자석의 세기가 가장 강한 네오디뮴(NdFeB) 재질의 영구자석이 적용될 수 있다.
적어도 3개 이상의 제2 영구자석(440)은 상기 제1 영구자석(430)의 외측으로 상기 제1 영구자석(430)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410)의 하부면과 수직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영구자석(440)은 대향하는 상기 제1 영구자석(430)과 서로 다른 극을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제1 영구자석(430) 및 제2 영구자석(440)의 자속이 직접적으로 제1 및 제2 영구자석(430, 440) 사이의 공극에 흐르게 하여 공극에서의 자속밀도를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영구자석(430, 440) 사이의 간격으로는 상기 제1 및 제2 영구자석(430, 440) 사이에 위치하는 코일(470)이 받는 자기력의 영향을 최대한으로 하는 길이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구자석(440)으로 다양한 형태의 영구자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형의 영구자석이나, 사각형의 영구자석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영구자석(440)은 일정한 세기의 자기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특정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제2 영구자석(440)의 누설 자속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영구자석(440)은 사각형의 영구자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영구자석(440)은 네오디뮴(NdFeB), 사마륨코발트(SmCo), 페라이트(Ferrite) 등의 영구자석이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다 큰 자기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2 영구자석(440)으로 자석의 세기가 가장 강한 네오디뮴(NdFeB) 재질의 영구자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영구자석(440)은 상기 제1 영구자석(430)보다 크기가 큰 영구자석이 적용되어, 코일(470)이 받는 자기력의 영향을 최대한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실시예에서 각 제1 영구자석(430)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2 영구자석(440)의 개수를 모두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1 영구자석(430) 및 제2 영구자석(440) 사이의 공극에 일정한 자기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여 가진기(400)의 동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영구자석(430)에 대향하여 1개의 제2 영구자석(440)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발생되는 자기력을 보다 강하게 하거나 적용되는 제2 영구자석(440)의 크기에 따라 각각의 제1 영구자석(430)에 대응하는 제2 영구자석(440)의 개수는 다수 개가 적용될 수 있다.
제2 요크(450)는 상기 제2 영구자석(440)과 상기 케이스(410)를 고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 영구자석(440)과 상기 케이스(410)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영구자석(440)과 상기 케이스(410)를 고정한다.
상기 제1 영구자석(430) 및 제2 영구자석(440)은 상기 케이스(410)의 하부면에 고정될 수도 있으나, 상기 케이스(410)의 하부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요크(450)는 상기 제1 및 제2 영구자석(430, 440)과 상기 케이스(410)의 하부면 사이를 고정하며 제1 요크(420)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요크(450)는 제1 영구자석(430) 및 제2 영구자석(440) 사이 공극에서의 자기력 세기를 최대화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 요크(450)는 상기 제2 영구자석(440)이 상기 제1 영구자석(430)과 서로 대향하도록 하여 제1 및 제2 영구자석(430, 440)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력의 방향을 동일하게 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진동체(460)는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내측에는 상기 제1 영구자석(430)이, 외측에는 상기 제2 영구자석(440)이 위치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진기(400)의 결합 시, 상기 진동체(460)의 개방된 일단의 내부에는 제1 영구자석(430)이, 외부에는 제2 영구자석(440)이 위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진기(400)의 결합 시, 상기 진동체(460)의 외주면에 권선되는 코일(470)이 제1 및 제2 영구자석(430, 44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진동체(460)는 제1 및 제2 영구자석(430, 440) 사이의 공극에 위치해야 하므로, 상기 진동체(460)는 상기 공극의 모양 및 크기에 대응하는 모양 및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체(460)는 코일(470)에 흐르는 전류 및 제1 및 제2 영구자석(430, 440)에 의한 자기력 간 상호작용이 최대화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극의 모양이 사각 기둥 형태인 경우에는 상기 진동체(460) 또한 사각 기둥 형태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및 제2 영구자석(430, 440)의 배치 형태에 대응된 형태로 상기 진동체(460)를 구성하여 발생되는 로렌츠 힘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코일(470)에는 전원 인가시 교류 전류가 흐르게 되어, 상기 교류 전류와 제1 및 제2 영구자석(430, 440)에 의한 자기력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진동체(460)는 상하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가진기(400)의 작동 원리는 도 9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코일(470)은 상기 코일(470)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제1 영구자석(430) 및 제2 영구자석(440)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력과 직각방향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류와 자기력이 직각방향을 형성함으로써, 폐자기회로를 구성하게 되어 발생되는 로렌츠 힘이 최대화되도록 한다.
스프링 부재(480)는 상기 진동체(460) 및 상기 케이스(410)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체(460)가 상하 운동하도록 탄성지지한다. 상기 스프링 부재(480)는 진동체(460)가 상하 운동하도록 탄성지지(탄성 복원력의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은 진동체(460)와 연결되고, 타측은 케이스(410)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 부재(480)는 판 스프링 또는 코일(470) 스프링 등이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 부재(480)는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진동체(46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고, 상기 진동체(460) 및 상기 케이스(410)와 연결되어 가진기(400)의 전체 형태를 구성한다.
스팅어(490)는 상기 진동체(460)의 상하 운동에 의한 진동을 상기 집진판에 전달한다. 상기 스팅어(490)는 상기 진동체(460)의 진동 에너지를 집진판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 부재(480) 또는 상기 진동체(460)와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집진판을 연결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진기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진기(400)는 코일(47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진동하는 방향이 달라진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구자석(430) 및 제2 영구자석(440) 사이에는 자기장이 형성되고, 코일(470)의 전류는 전면(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들어가거나 전면(도면에서 전면방향)으로 나오는 방향으로 흐른다. 좌측 제1 영구자석(430) 및 제2 영구자석(440)을 보면, 자기장은 좌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류는 전면(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들어간다. 이때,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로렌츠 힘은 상부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47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바뀌게 되면 진동체(460)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도 바뀌게 된다. 좌측 제1 영구자석(430) 및 제2 영구자석(440)을 보면, 자기장은 좌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류는 전면(도면에서 전면방향)으로 나온다. 이때,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로렌츠 힘은 하부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가진기(400)의 진동체(460)는 상기와 같은 원리에 의해 상하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 부재(480)는 진동체(460)와 케이스(410)를 연결함으로써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가진기(400)의 반복적인 진동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가진기(400)는 코일(470)에 공급되는 교류 전류의 주파수를 조정하는 주파수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진기(400)는 교류 전류에 의해 동작하므로, 별도의 주파수 조절부를 구비하여 상기 가진기(400)의 진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진기(400)에 흐르는 전류를 상기 가진기(400)의 공진 주파수로 조절하여 강력한 진동 효과를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체(460)는 제1 및 제2 영구자석(430, 440)에 의해 형성된 자기력과 코일(470)에 흐르는 전류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하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가진기(400)는 영구자석의 자기력과 코일(470)에 흐르는 전류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로렌츠 힘을 이용한 것으로,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로렌츠 힘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구성물을 다르게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진동체(460) 및 코일(470)은 고정되고, 영구자석 또는 영구자석 및 요크가 상하운동을 하는 구성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상하운동을 하는 구성물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진기가 집진판을 탈진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진기(400)가 집진판을 탈진하는 방법으로 여러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진기(400)는 상기 집진판의 중앙부로 진동이 전달되도록 상기 집진판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도 10a의 경우처럼 양 쪽 모두에 가진기(400)가 위치할 수도 있으나, 일 측면에만 가진기(400)가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진기(400)는 상기 집진판의 하단부로 진동이 전달되도록 상기 집진판의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도 10b의 경우처럼 다수의 가진기(400)가 위치할 수도 있으나, 일 측면에만 가진기(400)가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판의 좌측 하단부 및 우측 하단부에 가해지는 진동의 방향이 상이하도록 가진기(400)를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한 개의 가진기(400)만을 이용하여 진동 에너지가 상기 집진판의 중앙부에 전달되어 탈진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가진기(400)의 개수 및 위치는 집진판의 탈진을 위하여 적정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케이스 20: 제1 요크
30: 제1 영구자석 40: 제2 영구자석
50: 제2 요크 60: 진동체
70: 코일 80: 스프링 부재
100: 진동 모터 200: 집진판
300: 고정부 400: 가진기
410: 케이스 420: 제1 요크
430: 제1 영구자석 440: 제2 영구자석
450: 제2 요크 460: 진동체
470: 코일 480: 스프링 부재
490: 스팅어 1000: 전기 집진기

Claims (7)

  1.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중심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제1 영구자석;
    상기 제1 영구자석의 외측으로 상기 제1 영구자석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제2 영구자석;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내측에는 상기 제1 영구자석이, 외측에는 상기 제2 영구자석이 위치하는 진동체;
    상기 진동체의 외주면에 권선되는 코일; 및
    상기 진동체 및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체가 상하 운동하도록 탄성지지하는 판 스프링;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측면을 갖는 다면체 기둥 형태의 제1 요크;
    상기 제2 영구자석과 상기 케이스를 고정하는 제2 요크;및
    상기 코일에 공급되는 교류 전류의 주파수를 조정하는 주파수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구자석은 상기 제1 요크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2 영구자석은 대향하는 상기 제1 영구자석과 서로 다른 극을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서로 마주 설치되고, 방전극을 이용하여 서로의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켜 오염 공기의 분진을 전기집진하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집진판;
    상기 집진판을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집진판을 진동시켜 전기집진된 분진을 탈진하는 가진기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가진기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중심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제1 영구자석;
    상기 제1 영구자석의 외측으로 상기 제1 영구자석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제2 영구자석;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내측에는 상기 제1 영구자석이, 외측에는 상기 제2 영구자석이 위치하는 진동체;
    상기 진동체의 외주면에 권선되는 코일;
    상기 진동체 및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진동체가 상하 운동하도록 탄성지지하는 판 스프링;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사면체 기둥 형태의 제1 요크;
    상기 제2 영구자석과 상기 케이스를 고정하는 제2 요크;
    상기 코일에 공급되는 교류 전류의 주파수를 조정하는 주파수 조절부;및
    상기 진동체의 상하 운동에 의한 진동을 상기 집진판에 전달하는 스팅어를 포함하고,
    상기 가진기는 상기 진동체의 상하 운동에 의한 진동이 상기 집진판의 중앙부에 전달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1 영구자석은 상기 제1 요크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2 영구자석은 대향하는 상기 제1 영구자석과 서로 다른 극을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기.
  6. 삭제
  7. 삭제
KR1020120014959A 2012-02-14 2012-02-14 진동 모터 및 이를 가진기로 적용한 전기 집진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197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959A KR101197095B1 (ko) 2012-02-14 2012-02-14 진동 모터 및 이를 가진기로 적용한 전기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959A KR101197095B1 (ko) 2012-02-14 2012-02-14 진동 모터 및 이를 가진기로 적용한 전기 집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7095B1 true KR101197095B1 (ko) 2012-11-07

Family

ID=47563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959A Expired - Fee Related KR101197095B1 (ko) 2012-02-14 2012-02-14 진동 모터 및 이를 가진기로 적용한 전기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09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08597A (zh) * 2016-07-21 2016-12-07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线性振动电机
CN106208600A (zh) * 2016-07-21 2016-12-07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线性振动电机
WO2018038408A1 (ko) * 2016-08-25 2018-03-01 주식회사 파트론 진동 발생 장치
WO2021000122A1 (zh) * 2019-06-29 2021-01-07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电磁激励器
WO2024234786A1 (zh) * 2023-05-12 2024-11-21 桂林飞宇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用电磁驱动直线往复运动的装置及美容仪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5071B2 (ja) 1996-10-11 2006-03-15 Tdk株式会社 面移動アクチュエー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5071B2 (ja) 1996-10-11 2006-03-15 Tdk株式会社 面移動アクチュエータ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08597A (zh) * 2016-07-21 2016-12-07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线性振动电机
CN106208600A (zh) * 2016-07-21 2016-12-07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线性振动电机
CN106208597B (zh) * 2016-07-21 2018-09-21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线性振动电机
CN106208600B (zh) * 2016-07-21 2018-09-21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线性振动电机
WO2018038408A1 (ko) * 2016-08-25 2018-03-01 주식회사 파트론 진동 발생 장치
KR101914530B1 (ko) * 2016-08-25 2018-11-02 (주)파트론 진동 발생 장치
WO2021000122A1 (zh) * 2019-06-29 2021-01-07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电磁激励器
WO2024234786A1 (zh) * 2023-05-12 2024-11-21 桂林飞宇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用电磁驱动直线往复运动的装置及美容仪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69755B1 (en) Generator for converting mechanical vibration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KR101061576B1 (ko) 마그넷 케이싱을 구비한 선형 진동모터
US12176782B2 (en) Vibration apparatus with moving magnet group and magnet group inside coil
KR101197095B1 (ko) 진동 모터 및 이를 가진기로 적용한 전기 집진기
CN110445345B (zh) 振动电机
CN105207440A (zh) 磁平衡导向线性振动马达
CN112054645B (zh) 振动驱动器及电子设备
JP2019201486A (ja) リニア振動モータ及び電子機器
CN106357080A (zh) 线性振动马达
US10868464B2 (en) Linear vibration motor
CN105703593A (zh) 线性振动马达
CN105281527B (zh) 线性振动马达
CN119401776A (zh) 振动驱动器及电子设备
CN106655695B (zh) 一种线性振动马达
JP5500659B2 (ja) 振動装置、ベル鳴動装置および共振装置
KR20170023384A (ko) 광대역 전자기유도 방식 진동 에너지 하비스트 장치
JP2002192073A (ja) 振動発生器
JP2012151985A (ja) 振動発電機
KR20160020593A (ko) 감각신호출력장치
KR101674967B1 (ko) 진동 액추에이터
US11658554B2 (en) Vibrating with stop magnets, mandrel and guiding member
KR101632937B1 (ko) 진동발생장치
KR20200110715A (ko) 이중 영구자석을 활용한 수직 진동자
KR101085461B1 (ko) 이종 탄성부재를 이용한 소형 액츄에이터 장치
KR101736172B1 (ko) 감각신호출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7103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1030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