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96984B1 -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및 이에 장착되는 건조 덕트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및 이에 장착되는 건조 덕트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984B1
KR101196984B1 KR1020050076073A KR20050076073A KR101196984B1 KR 101196984 B1 KR101196984 B1 KR 101196984B1 KR 1020050076073 A KR1020050076073 A KR 1020050076073A KR 20050076073 A KR20050076073 A KR 20050076073A KR 101196984 B1 KR101196984 B1 KR 101196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drying
reflector
duct lower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6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1615A (ko
Inventor
김명덕
강동우
신수희
안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50076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984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6/003215 priority patent/WO2007021134A2/en
Priority to RU2008110500/12A priority patent/RU2419697C2/ru
Priority to US12/064,171 priority patent/US8191388B2/en
Priority to JP2008526878A priority patent/JP4880689B2/ja
Priority to EP06783626.2A priority patent/EP1915480B1/en
Priority to CN200680028130XA priority patent/CN101258282B/zh
Priority to AU2006280592A priority patent/AU2006280592B2/en
Priority to TW095130505A priority patent/TWI360597B/zh
Publication of KR20070021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1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6Condition of the drying air, e.g. air humidity or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및 이에 장착되는 건조 덕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고온 상태로 가열하기 위한 건조 덕트 어셈블리가 고내열성 소재로 제작 가능하게 하여, 건조 덕트가 과열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조 덕트 어셈블리 및 상기 건조 덕트 어셈블리가 장착된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 덕트 어셈블리는 덕트 로어; 상기 덕트 로어의 상부면을 덮는 덕트 어퍼; 상기 덕트 로어의 내주면에 안착되는 리플렉터; 상기 덕트 로어의 내측에 구비되어 열을 발생하는 히터; 상기 덕트 로어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팬 어셈블리; 및 상기 덕트 로어의 타측에 연결되는 덕트 커넥터;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및 이에 장착되는 건조 덕트 어셈블리에 의하여, 건조 덕트의 자체 중량이 현저히 감소되고 고온에서도 형상이 변형되거나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건조 덕트, 건조팬, 리플렉터

Description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및 이에 장착되는 건조 덕트 어셈블리{A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drying duct assembly combined t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건조 덕트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3은 상기 건조 덕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건조 덕트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덕트 로어의 외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Ⅰ-Ⅰ'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리플렉터 이격 수단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도 5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9는 보푸라기 유입 방지 수단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리플렉터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11은 도 2의 Ⅱ-Ⅱ'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C 부분의 확대도.
도 13은 리플렉터와 덕트 로어의 체결 방법을 보여주는 또다른 실시예.
도 14는 도 11의 D 부분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드럼 세탁기 11 : 캐비닛 12 : 프런트 커버
13 : 도어 14 : 드럼 15 : 터브
20 : 건조 덕트 어셈블리 21 : 덕트 로어 22 : 덕트 어퍼
23 : 덕트 커넥터 24 : 팬 어셈블리 25 : 히터
26 : 히터 브라켓 27 : 리플렉터 28 : 덕트 실
본 발명은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및 이에 장착되는 건조 덕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고온 상태로 가열하기 위한 건조 덕트 어셈블리가 고내열성 소재로 제작 가능하게 하여, 제조 원가를 낮춤과 동시에 건조 덕트가 과열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조 덕트 어셈블리 및 상기 건조 덕트 어셈블리가 장착된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는 세탁 기능 및 세탁이 종료된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 기능이 부여된 세탁기이다.
상세히, 상기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는 건조 과정에서 드럼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식 드럼 세탁기와, 드럼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아니하고 세탁기 내부에서 순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식 드럼 세탁기로 나뉘어진다. 그리고, 상기 응축식 드럼 세탁기는 터브의 상부 일측에 건조 덕트가 구비되고, 상기 건조 덕트 내부에는 히터가 장착되어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고온으로 가열한다. 그리고, 상기 건조 덕트와 드럼을 감싸는 터브를 연결하는 응축 덕트가 구비되어,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저온 상태로 변화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 덕트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건조 덕트 내부로 유입되어 고온 건조한 상태로 변화되며, 다시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건조 덕트 내부에는 고온의 열을 발생하는 히터 장치가 내장되며, 상기 히터에 전원이 인가되면 대략 700도 정도의 열을 발생하고, 상기 건조 덕트 내부의 공기는 대략 120도 안팎의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종래에는 상기 건조 덕트가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과정을 통하여 제조되었다. 즉,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금속 소재로 제작되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건조 덕트가 다이캐스팅 공법 등에 의하여 제조됨으로써, 제조 비용이 증가하게 될 뿐 아니라 드럼 세탁기의 자체 중량이 증가하게 되어 운반에 어려움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건조 덕트의 전면 및 후면이 지지되는 세탁기의 캐비닛 또한 상기 건조 덕트의 자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도가 요구되어 세탁기 전체의 제조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건조 덕트가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공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경우 덕트의 두께가 두꺼워지므로, 세탁기의 부피가 증가되거나 덕트 내부의 공간이 협소하게 되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중량이 가벼우면서도 고온에서 잘 견딜 수 있는 소재로 제작되는 건조 덕트 및 상기 건조 덕트가 장착되는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조 비용이 감소되고 덕트 내부의 용적률이 증가되는 건조 덕트 및 상기 건조 덕트가 장착되는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 덕트 어셈블리는, 덕트 로어; 상기 덕트 로어의 상부면을 덮는 덕트 어퍼; 상기 덕트 로어의 내주면에 안착되는 리플렉터; 상기 덕트 로어의 내측에 구비되어 열을 발생하는 히터; 상기 덕트 로어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팬 어셈블리; 및 상기 덕트 로어의 타측에 연결되는 덕트 커넥터;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 덕트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 상기 드럼이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와 연결되고, 상기 터브에서 배출되는 습증기의 유동을 위한 응축 덕트; 및 상기 터브의 상부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드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며,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 로어 및 덕트 어퍼와, 상기 덕트 로어와 상기 덕트 어퍼 중 적어도 하나의 내주면에 이격되어 장착되는 리플렉터와, 상기 드럼 내부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흡입하는 팬 어셈블리와, 상기 팬 어셈블리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가 포함되는 건조 덕트 어셈블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세탁기 내부에 장착되는 건조 덕트의 중량이 감소되고 제조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10)는 캐비닛(11)과,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에 장착되는 프런트 커버(12)와, 상기 프런트 커버(12)의 대략 중앙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13)와, 상기 캐비닛(11) 내부에 장착되어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15)와, 상기 터브(15) 내부에 수용되며, 내측에 사탁물이 투입되는 드럼(14)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10)는 상기 프런트 커버(12)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상기 캐비닛(11) 내부로 삽입되며, 세제 및 섬유 유연제 등이 저장되는 세제 박스(18)와, 상기 세제 박스(18)가 수용되며, 유입되는 세탁수의 흐름을 가이 드하는 디스펜서(17)와, 상기 캐비닛(11)의 배면에 장착되어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 밸브(16)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급수 밸브(16)와 상기 디스펜서(17)은 급수 호스에 의하여 연결된다.
또한, 상기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10)는 상기 터브(15)의 상부 일측에 장착되어 건조 과정에서 드럼(14)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고온으로 가열하는 건조 덕트 어셈블리(20)와, 상기 프런트 커버(12)의 전면에 장착되어 세탁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세탁 과정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된 컨트롤 패널(19)이 포함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상기 캐비닛(11) 내부에 장착되며, 일단은 상기 터브(15)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건조 덕트 어셈블리(20)에 연결되는 응축 덕트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 덕트의 상측에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 호스가 연결되어, 냉각수가 상기 응축 덕트 상부로부터 낙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도어(13)를 열어서 세탁물을 상기 드럼(14) 내부로 투입한다. 그리고, 상기 세제 박스(18)를 잡아 당겨 세제 및 섬유 유연제를 투입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19)에 구비된 버튼 등을 눌러서 세탁 조건을 입력하고 작동 버튼을 누른다. 그리고, 상기 작동 버튼이 눌러지면 세탁기(10)에 전원이 인가되어 입력된 세탁 조건에 따라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 과정이 수행된다.
한편, 입력된 조건에 건조 과정이 포함된 경우 탈수 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건조 덕트 어셈블리(20) 내부에 장착된 히터(후술함)에 전원이 인가되어 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14)은 저속으로 회전하면서 세탁물이 상승 및 낙하과정을 반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건조 덕트 어셈블리(20) 내부에 장착된 건조팬(후술함)이 작동하여 상기 드럼(14)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다. 그러면, 상기 드럼(14) 내부의 공기는 응축 덕트를 따라 상기 건조 덕트 어셈블리(20)로 유입되어 고온 건조한 상태로 변화된다. 그리고, 상기 고온 건조한 공기는 다시 상기 드럼(14) 내부로 유입되어 세탁물에 스며 있는 수분을 흡수하여 고온 다습한 상태로 변화된다. 그리고, 상기 고온 다습한 상태의 습증기는 다시 상기 드럼(14)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응축 덕트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응축 덕트 상측으로부터 냉각수가 낙하하면서 상승하는 고온 다습한 습증기와 열교환하게 된다. 즉, 상기 고온 다습한 습증기는 응축 덕트를 통과하면서 저온상태로 변화되고, 습증기 중에 포함된 수분은 응축되어 상기 터브(15) 내부로 다시 흘러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브(15) 내부로 유입된 응축수는 바닥면에 장착된 배수 펌프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 덕트를 따라 상승하는 습증기는 저온 건조한 상태로 변화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 덕트를 따라 상승하는 공기는 상기 건조 덕트 어셈블리(20) 내부로 유입되어 고온 건조한 상태로 가열되어 드럼(14) 내부로 유입되는 순환 과정을 설정 시간 동안 반복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건조 덕트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건조 덕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조 덕트 어셈블리(20)는 덕트 로어(21)와, 상기 덕트 로어(21)의 상부에 안착되는 덕트 어퍼(22)와, 상기 덕트 로어(21)의 상부 테두리에 안착되어 공기 누설을 방지하는 덕트 실(28)과, 상기 덕트 로어(21)의 일측 단부에 장착되는 팬 어셈블리(24)와, 상기 덕트 로어(21)의 타측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건조 덕트 어셈블리(20)가 상기 터브(15)와 연결되도록 하는 덕트 커넥터(23)와, 상기 건조 덕트 어셈블리(20) 내부에 장착되어 고온의 열을 발생하는 히터(25)와, 상기 덕트 로어(21)의 내측에 장착되며 상기 덕트 로어(21)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장착되는 리플렉터(도 6의 27) 및 상기 히터(25)가 상기 건조 덕트 로어(2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히터 브라켓(26)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팬 어셈블리(24)는 공기가 축방향으로 유입되어 반경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건조팬(241)과, 상기 건조팬(241)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건조팬(241)을 회전시키는 팬 모터(244)와, 상기 건조팬(241)에 의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에어 가이드(242)와, 상기 에어 가이드(242)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와 직경으로 돌출되어 상기 팬 모터(244)를 수용하는 모터 하우징(243)과, 상기 모터 하우징(243)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상기 팬 모터(244)를 지지하는 모터 마운트(245)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덕트 로어(21)의 측면 중앙부에는 과열방지 센서(29)가 장착되어 상기 건조 덕트 어셈블리(20) 내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덕트 로어(21)의 단부, 즉 상기 덕트 커넥터(23)가 장착되는 부위의 일측에 온도 센서 (30)가 장착되어, 상기 터브(15)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적정 온도로 유입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터브(15)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대략 120도 정도를 유지하도록 기능한다. 그리고, 상기 덕트 실(28)에 의하여 상기 덕트 로어(21)와 덕트 어퍼(22)가 접하는 부위를 통하여 고온의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히터(25)는 전류가 흐르는 전선이 연결되는 단자부(251)와, 상기 단자부(25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곳에 장착되어 공기 누설을 방지하는 히터 실(252)과, 상기 단자부(251)로부터 소정 직경과 길이를 가지고 다수 회 절곡 형성되는 발열부(253)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히터 실(252)는 상기 리플렉터(27)와 상기 덕트 로어(21)의 측면에 끼워져 공기 누설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발열부(253) 내부에는 열선이 내장되는 시스 히터이다.
한편, 상기 덕트 로어(21)와 상기 덕트 커넥터(23)는 고온의 공기와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고온에서 형상이 변형되거나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고내열성 수지를 소재로 사출 성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내열성 수지로서 엘지 화학에서 출원번호 10-2003-0075942호로 출원된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중합체(Syndiotactic Polystrenes : 이하 SPS라 함)가 사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SPS는 스티렌계 단량체와 함께 아탁틱 스티렌계 중합체(atactic polystrenes)를 촉매에 균일하게 접촉 분산시켜 중합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상기 SPS는 종래의 스티렌계 중합체가 갖는 낮은 유전율과 뛰어난 열 유동성 등의 장점을 그대로 가지며, 이에 더불어 높은 이체 규칙성으로 인한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덕트 로어(21)의 내측 상부면에는 상기 리플렉터(27)가 상기 덕트 로어(21)의 내주면을 따라 부착된다. 상세히, 상기 리플렉터(27)는 금속 소재의 판재에 알루미늄 코팅 처리된 것으로서, 상기 히터(25)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의 열에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덕트 로어(21)는 고온에 잘 견디는 SPS 소재로 제작되며, 상기 리플렉터(27)가 상부면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히터(25)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의 열에 의한 덕트 로어(21)의 형상 변형의 위험성이 이중으로 차단되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덕트 어퍼(22)도 물론 SPS 소재로 제작되고, 상기 덕트 어퍼(22)의 내주면에 상기 리플렉터(27)와 같은 열차단 부재가 부착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본원 발명의 내용으로부터 자명하다. 그리고, 상기 에어 가이드(242) 또한 SPS 소재로 제작될 수 있겠으나, 상기 에어 가이드(242)는 상기 히터(25)로부터 직접적으로 열을 전달받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일반적인 플라스틱 사출물로 제조되어도 무방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리플렉터(27)는 상기 덕트 로어(21)의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장착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리플렉터(27)와 상기 덕트 로어(21) 사이에 얇은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리플렉터(27)로 전달된 열이 상기 덕트 로어(21)로 직접 전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리플렉터(27)의 일측 단부, 즉 상기 팬 어셈블리(24) 쪽 단부가 위치되는 덕트 로어(21)의 내주면에 소정 높이의 단차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공기층 내부로 보푸라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면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건조 덕트 어셈블리(20)의 기능 및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건조 과정이 시작되면 상기 팬 모터(244)로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건조팬(241)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히터(25)에 전원이 인가되어 고온으로 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팬(241)에 의하여 드럼(14) 내부의 공기가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덕트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히터(25)와 열교환하여 고온으로 가열된다. 그리고, 고온으로 가열된 공기는 상기 덕트 커넥터(23)를 통하여 상기 터브(15)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터브(15)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드럼(14) 내부의 세탁물에 스며 있는 수분을 증발시켜 세탁물이 건조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건조 덕트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덕트 로어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덕트 로어(21)는 횡단면이 대략 "U"자 형태를 이룬다.
상세히, 상기 덕트 로어(21)는 일측 단부에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팬 안착부(21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팬 안착부(211a)의 바닥에는 소정 크기로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2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덕트 로어(21)는 상기 팬 안착부(211a)의 대략 접선 방향으로 길게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 유로는 상기 팬 안착부(211a)의 접선 부분으로부터 폭이 확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팬 안착부(211a)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공기 유로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이 감소되어, 상기 히터(25)와 열교환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덕트 로어(21)의 측면에는 상기 히터 실(252)이 삽입되기 위한 히터 실 안착홈(217)과, 과열 방지 센서(29)가 삽입되기 위한 과열 방지 센서 안착홈(21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덕트 로어(21)의 상측 테두리부에는 상기 덕트 실(28)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덕트 로어(21)의 타측 단부에는 고온의 공기가 터브(15)쪽으로 유출되기 위한 유출구(2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덕트 로어(21)의 타측 단부 측면에는 상기 온도 센서(30)가 장착되기 위한 온도 센서홀(219 : 도 5 참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덕트 로어(21)의 상측 테두리부 측면에는 소정 길이의 가이드 보스(210)가 다수 개 형성되어, 상기 덕트 어퍼(22)가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보스(21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하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체결 보스(210a)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덕트 어퍼(22)가 상기 덕트 로어(21)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 부재가 상기 체결 보스(210a)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덕트 로어(21)의 내주면 바닥에는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히터 브라켓 지지부(213)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히터 브라켓 지지부(213)의 상부에 상기 히터 브라켓(26)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25)는 상기 히터 브라켓(26)에 의하여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히터 브라켓 지지부(213)의 형상에 대해서는 하기 에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덕트 로어(21)의 내주면에는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리플렉터(27)가 상기 덕트 로어(21)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지지 리브(2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팬 안착부(211a)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는 하측으로 소정 높이 단차지는 단차부(215)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 리브(216)와 단차부(215)에 대한 내용은 후술한다.
상기와 같은 형상을 이루는 덕트 로어(21)에 의하여, 상기 유입구(211)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상기 히터(25)에 의하여 고온으로 가열되며, 상기 유출구(212)를 통하여 상기 덕트 커넥터(23)로 흐른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기 터브(15) 내부로 유입된다.
도 5는 도 4의 Ⅰ-Ⅰ'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리플렉터(27)가 상기 덕트 로어(2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리플렉터 이격 수단으로서, 상기 덕트 로어(21)의 내부 바닥면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지지 리브(216)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지지 리브(216)는 상기 리플렉터(27)의 상부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에 이르는 "U"자형으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다수개의 짧은 리브(216)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리플렉터 이격 수단으로서 리브 형태가 아닌 소정의 직경과 높이로 이루어지는 다수 개의 지지 보스가 덕트 로어(21)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지지 리브(216)와 지지 보스는 상기 덕트 로어(21)의 사출 성형 과정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리플렉터 이격 수단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리플렉터(27)가 상기 덕트 로어(21)로부터 이격되게 장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리플렉터(27)의 상부면이 소정 깊이로 함몰되도록 포밍부(274)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리플렉터(27)는 얇은 금속 판재가 판금 공정에 의하여 제작되며, 제작 과정에서, 상기 리플렉터(27)의 상부면에 힘을 가하여 하측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포밍부(274)의 단부와 상기 덕트 로어(21)는 선접촉하게 되어, 상기 리플렉터(27)로부터 덕트 로어(21) 쪽으로의 열전도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8은 도 5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리플렉터(27)가 상기 덕트 로어(2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장착되므로, 상기 리플렉터(27)와 덕트 로어(21)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로 보푸라기 등의 유입을 차단하는 보푸라기 유입 방지 수단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리플렉터(27)의 일측 단부, 상세히 상기 팬 어셈블리(24)쪽 단부에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덕트 로어(21)에 단차부(215)가 형성되도록 한다.
더욱 상세히, 상기 덕트 로어(21)의 상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깊이 단차지는 단차부(215)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리플렉터(27)의 단부가 상기 단차부(215)에 접하도록 하여, 보푸라기가 상기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리플렉터(27)의 바닥면과 덕트 로어(21)의 바닥면이 동일 평면상에 매끈하게 연결되어, 상기 건조 팬(241)에 의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덕트 내부를 따라 흐르면서 유동저항을 받지 않는 효과도 있다.
도 9는 보푸라기 유입 방지 수단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리플레터(27)와 덕트 로어(21) 사이의 틈새로 보푸라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리플렉터(27)의 단부가 상측으로 휘어지거나 들어올려 져서 상기 덕트 로어(21)의 바닥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도 8에서 제시된 단차부(215)의 상측부에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부(215a)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215a)의 하측에 형성되는 홈에 상기 리플렉터(27)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한다. 그 결과, 상기 리플렉터(27)의 단부는 상기 연장부(215a)에 의하여 상측으로 들어올려지거나 자체적으로 요동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215a)는 상기 건조팬(241)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가 흐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유동 저항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리플렉터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플렉터(27)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 판재가 판금 공정에 의하여 절단 및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외주면은 알루미늄 코팅처리되어 고온에서 형상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최소화하였다. 여기서, 상기 덕트 어퍼(22)도 상기 리플렉터(27)와 동일 소재로 제작되어, 상기 덕트 어퍼(22) 의 내측에 상기 리프렉터(27)와 같은 별도의 열차단 부재가 장착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리플렉터(27)의 바닥면에는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히터 브라켓 지지부(273)가 형성되며, 상기 히터 브라켓 지지부(273)는 바닥면 하측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타격하여 솟아 오르게 형성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히터 브라켓 지지부(273)의 상부면에는 소정 깊이 함몰되는 함몰부(273a)가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273a)의 중앙에는 체결 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체결홀(273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273a)에는 상기 히터 브라켓(26)의 하단부가 안착되어 요동이 방지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면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플렉터(27)의 측면에는 상기 히터 실(252)이 안착되는 히터실 안착홈(271)과, 과열방지 센서(29)가 장착되는 과열방지 센서홀(27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플렉터(27)의 일측 단부는 상기 덕트 로어(21)의 단차부(215)에 접촉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덕트 로어(21)의 단부와 동일하게 유출구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리플렉터(27)의 타측 단부는 상기 덕트 로어(21)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덕트 커넥터(23)와 연결되는 부분까지 이어진다. 따라서, 상기 히터(25)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가 터브(15)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덕트 로어(21)가 형상 변형을 일으키거나 녹아 내리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리플렉터(27)의 측면에 과열방지 센서홀(272)이 상기 히터 실 안착홈(271)처럼 리플렉터(27)의 측면 상단부로부터 소정 깊이 함몰되는 형상이 아닌 폐곡선 형상을 이루는 것은 하기와 같은 이유에서이다.
상세히, 상기 과열방지 센서(29)의 외주면에는 실 부재가 둘러지며, 상기 실 부재는 고무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 과열방지 센서(29)의 외주면에 둘러지는 실 부재가 열에 의하여 손상 받는 경우, 상기 과열방지 센서(29)의 감지면을 덮어 열감지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과열 방지 센서(29)에 둘러지는 실 부재가 열로부터 최대한 보호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과열 방지 센서홀(272)은 상기 과열방지 센서(29)의 감지면만 열에 노출되도록 하는 폐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도 2의 Ⅱ-Ⅱ'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조 덕트 어셈블리(20)는 하측의 덕트 로어(21)와, 상기 덕트 로어(21)의 상측에 덮여지는 덕트 어퍼(22)와, 상기 덕트 로어(21)의 내주면에 안착되는 리플렉터(27) 및 상기 리플렉터(27) 상부에 안착되어 히터(미도시)를 지지하는 히터 브라켓(26)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덕트 로어(21)는 대략 중앙부에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히터 브라켓 지지부(2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 브라켓 지지부(213)의 상부면에는 소정 크기와 깊이로 함몰되는 함몰부(213a)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213a)의 중앙에는 하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체결부재(40)가 삽입되는 체결 보스(213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플렉터(27)도 상기 덕트 로어(21)에 형성되는 히터 브라켓 지 지부(213)와 동일한 형상으로 히터 브라켓 지지부(27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 브라켓 지지부(273)의 상부면에는 함몰부(273a)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273a)의 중앙에는 상기 체결 부재(40)가 삽입되기 위한 체결홀(273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273a)에는 상기 히터 브라켓(26)의 하단부가 안착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히터 브라켓(26)의 상측부는 상기 히터(25)의 발열부(253)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 브라켓(26)의 하측부는 상기 함몰부(273a)에 안착되어, 상기 체결 부재(40)가 느슨하게 조여지거나 체결 보스(213b)로부터 탈거되더라도 상기 히터 브라켓(26)이 탈거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즉, 상기 히터 브라켓(26)의 상하 단부가 각각 히터(25)와 히터 브라켓 지지부(273)에 의하여 고정된다.
또한, 상기 체결 부재(40)는 상기 히터 브라켓(26)이 상기 덕트 로어(21) 및 리플렉터(27)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 뿐 아니라, 상기 리플렉터(27)가 상기 덕트 로어(21)에 고정 체결되도록 하는 기능도 수행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덕트 어퍼(22)가 SPS 사출물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덕트 어퍼(22) 내주면에 상기 리플렉터(27)와 같은 부재가 장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제안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13은 리플렉터와 덕트 로어의 체결 방법을 보여주는 또다른 실시예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덕트 로어(21)의 상부면에 소정의 직경과 높이로 돌출되는 고정 돌기(210b)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고정 돌기(210b)는 상기 덕트 로어(21)의 사출 성형 과정에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돌기(210b)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돌기(210b)는 상기 지지 리브(216)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하기에서 설명한다.
더욱 상세히, 상기와 같이 고정 돌기(210b)가 형성된 덕트 로어(21)의 상부면에 상기 리플렉터(27)가 안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리플렉터(27)의 바닥면에는 상기 고정 돌기(210b)가 관통하기 위한 홀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 돌기(210b)가 상기 홀에 관통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리플렉터(27)가 상기 지지 리브(216)에 안착되면, 상기 고정 돌기(210b)가 상기 리플렉터(27)를 관통하여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되는 고정 돌기(210b)의 상부면에 열을 가하여 녹아 내리도록 하여, 상기 리플렉터(27)의 바닥면에 상기 고정 돌기(210b)의 상부면이 고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상기 고정 돌기(210b)가 체결 부재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돌기(210b)의 상부면이 녹으면서 방사상 퍼지게 되어, 상기 리플렉터(27)에 형성된 고정 돌기 관통을 위한 홀이 완전히 밀폐된다. 따라서, 상기 홀을 통하여 보푸라기 등이 리플렉터(27)와 덕트 로어(21) 사이의 공간으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4는 도 11의 D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리플렉터(27)는 상기 덕트 로어(21)의 내주면을 따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리플렉터(27)의 측면부는 상기 덕트 로어(21)의 측면부보다 더 길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덕트 로어(21)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플렉터(27)의 측면 상단부가 상기 덕트 로어(21)의 측면 상단부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덕트 어퍼(22)가 장착될 때 정위치에 장착되도록 가이드된다. 그리고, 상기 리플렉터(27)의 측면 단부가 길게 연장됨으로써, 상기 건조 덕트 어셈블리(20) 내부를 흐르는 고온의 공기에 의하여 상기 덕트 로어(21)의 상부면에 끼워진 덕트 실(28)이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상세히, 상기 덕트 실(28)은 고무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고무 소재는 열에 매우 약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덕트 실(28)이 고온의 공기와 접촉되어 열손상 받지 않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하게 되며, 상기 리플렉터(27)의 측면부 길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목적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및 이에 장착되는 건조 덕트 어셈블리에 의하여, 건조 덕트의 자체 중량이 현저히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건조 덕트 어셈블리가 고내열성 소재의 플라스틱 사출물로 제조되어, 고온에서도 형상이 변형되거나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 덕트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의 자체 중량이 감소됨으로써, 세탁기의 운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조 덕트 어셈블리의 자체 중량이 감소됨으로써, 상기 건조 덕트를 지지하는 캐비닛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어, 고강도 소재가 굳이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즉, 캐비닛을 제작하기 위한 재료에 있어서 선택의 폭이 넓어지는 부가적인 효과도 있다.

Claims (12)

  1. 덕트 로어;
    상기 덕트 로어의 상부면을 덮는 덕트 어퍼;
    상기 덕트 로어의 내주면에 안착되는 리플렉터;
    상기 덕트 로어의 내측에 구비되어 열을 발생하는 히터;
    상기 덕트 로어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팬 어셈블리; 및
    상기 덕트 로어의 타측에 연결되는 덕트 커넥터;가 포함되는 건조 덕트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로어와 상기 덕트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가 플라스틱 사출물인 건조 덕트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로어와 상기 덕트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가 에스피에스(신디오탁틱 스티렌계 중합체, Syndiotactic Polystrenes) 소재로 형성되는 건조 덕트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어퍼는 에스피에스(신디오탁틱 스티렌계 중합체, Syndiotactic polystyrenes) 소재로 형성되고, 내주면을 따라 리플렉터가 안착되는 건조 덕트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어퍼와 상기 리플렉터는 적어도 하나가 금속 판재에 알루미늄 코팅 처리된 건조 덕트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로어는 상기 팬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부분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덕트 커넥터가 연결되는 부분까지 상기 리플렉터에 의하여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덕트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로어의 상측 단부에 형성되며, 하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덕트 어퍼를 체결하는 체결 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 보스가 포함되는 건조 덕트 어셈블리.
  8.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
    상기 드럼이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와 연결되고, 상기 터브에서 배출되는 습증기의 유동을 위한 응축 덕트; 및
    상기 터브의 상부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드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며,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 로어 및 덕트 어퍼와, 상기 덕트 로어와 상기 덕트 어퍼 중 적어도 하나의 내주면에 이격되어 장착되는 리플렉터와, 상기 드럼 내부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흡입하는 팬 어셈블리와, 상기 팬 어셈블리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가 포함되는 건조 덕트 어셈블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팬 어셈블리는 건조 팬과, 상기 건조 팬을 구동하는 팬 모터와, 상기 팬 모터가 수용되는 모터 하우징과, 상기 팬 모터가 상기 모터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하는 모터 마운트가 포함되는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로어와 상기 덕트 어퍼는 적어도 하나가 에스피에스(신디오탁틱 스티렌계 중합체, Syndiotactic PolyStyrenes) 사출물인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는 금속 판재의 표면에 알루미늄 코팅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로어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어 열풍이 터브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며, 에스피에스(신디오탁틱 스티렌계 중합체, Syndiotactic PolyStyrenes) 사출물로 이루어지는 덕트 커넥터가 더 포함되는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KR1020050076073A 2005-08-19 2005-08-19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및 이에 장착되는 건조 덕트어셈블리 KR101196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073A KR101196984B1 (ko) 2005-08-19 2005-08-19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및 이에 장착되는 건조 덕트어셈블리
RU2008110500/12A RU2419697C2 (ru) 2005-08-19 2006-08-17 Узел сушильного короба и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с таким узлом
US12/064,171 US8191388B2 (en) 2005-08-19 2006-08-17 Drying duct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JP2008526878A JP4880689B2 (ja) 2005-08-19 2006-08-17 洗濯機及びこれに装着される乾燥ダクトアセンブリ
PCT/KR2006/003215 WO2007021134A2 (en) 2005-08-19 2006-08-17 Drying duct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EP06783626.2A EP1915480B1 (en) 2005-08-19 2006-08-17 Drying duct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CN200680028130XA CN101258282B (zh) 2005-08-19 2006-08-17 烘干管组件以及具有该烘干管组件的洗衣机
AU2006280592A AU2006280592B2 (en) 2005-08-19 2006-08-17 Drying duct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TW095130505A TWI360597B (en) 2005-08-19 2006-08-18 Drying duct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073A KR101196984B1 (ko) 2005-08-19 2005-08-19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및 이에 장착되는 건조 덕트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1615A KR20070021615A (ko) 2007-02-23
KR101196984B1 true KR101196984B1 (ko) 2012-11-05

Family

ID=3989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073A KR101196984B1 (ko) 2005-08-19 2005-08-19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및 이에 장착되는 건조 덕트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96984B1 (ko)
CN (1) CN10125828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205A1 (ko) * 2021-12-30 2023-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 겸용 세탁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092B1 (ko) * 2008-10-01 2015-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EP2597185B1 (en) * 2011-11-23 2014-09-1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Washing and drying machine with an improved insulating element between tub and hot air duct
EP2604749B1 (en) * 2011-12-16 2014-10-0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Household laundry washing and drying machine
JP2013252237A (ja) * 2012-06-06 2013-12-19 Panasonic Corp 衣類処理装置
CN105088715A (zh) * 2014-04-15 2015-11-25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干衣机及用于干衣机的加热器
CN105088692A (zh) * 2014-04-22 2015-11-25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用于洗衣机的加热装置和洗衣机
KR20170095656A (ko) * 2016-02-15 2017-08-2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방열구조를 갖는 세탁기
CN109537257A (zh) * 2019-01-03 2019-03-29 曾庆兰 一种家电系统的风导系统
CN109680451A (zh) * 2019-01-09 2019-04-26 Tcl家用电器(合肥)有限公司 洗衣机烘干通道结构及洗衣机
DE102019204424A1 (de) * 2019-03-29 2020-10-01 Polytec Plastics Germany Gmbh & Co. Kg Wäschetrockner-Heizvorrichtung
CN110067119B (zh) * 2019-04-01 2022-04-15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烘干装置及其装配方法、具有该烘干装置的衣物处理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038B1 (ko) 2002-01-11 2004-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건조덕트
KR100857780B1 (ko) 2001-12-14 2008-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건조덕트와 건조히터 결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5820B1 (ja) * 2003-08-20 2005-03-02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EP1538255B1 (de) * 2003-12-02 2006-03-08 DBK David + Baader GmbH Abdeckung für einen Wäschetrockner und Verfahren zu dessen Zusammenbau
US20050138973A1 (en) * 2003-12-18 2005-06-30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with drying fun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780B1 (ko) 2001-12-14 2008-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건조덕트와 건조히터 결합구조
KR100437038B1 (ko) 2002-01-11 2004-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건조덕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205A1 (ko) * 2021-12-30 2023-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 겸용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58282A (zh) 2008-09-03
CN101258282B (zh) 2011-09-28
KR20070021615A (ko) 200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0689B2 (ja) 洗濯機及びこれに装着される乾燥ダクトアセンブリ
KR101196984B1 (ko)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및 이에 장착되는 건조 덕트어셈블리
RU2471025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с парогенератором (варианты)
AU2015309202B2 (en) Laundry dryer
US20070186593A1 (en) Steam generator and laundry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829833B1 (ko) 세탁기
KR101537641B1 (ko) 드럼세탁기 및 그 건조유닛
KR101537092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00037450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207626B1 (ko)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및 이에 장착되는 건조 덕트어셈블리
KR101229200B1 (ko)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및 이에 장착되는 건조 덕트어셈블리
KR101207601B1 (ko)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및 이에 장착되는 건조 덕트어셈블리
KR101207747B1 (ko)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및 이에 장착되는 건조 덕트어셈블리
KR20060061061A (ko) 의류건조기
RU2419697C2 (ru) Узел сушильного короба и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с таким узлом
KR101706939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장치
KR101684966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장치
US20050229646A1 (en) Washing machine
KR101074704B1 (ko) 드럼 세탁기의 온도 휴즈 설치장치
EP3162948B1 (en) Household appliance adapted to perform at least a drying cycle, such as a washing/drying machine or a drying machine
ITPN20000026A1 (it) Macchina lavasciuga di biancheria a caricamento dall&#39;alto con cesto rotante ad asse sensibilmente orizzontale
KR100601435B1 (ko) 드럼 세탁기 건조 덕트의 온도 휴즈 설치구조
KR101706940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8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8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0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0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