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369B1 - Multi-functional health equipment installed on door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health equipment installed on do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6369B1 KR101196369B1 KR1020120010565A KR20120010565A KR101196369B1 KR 101196369 B1 KR101196369 B1 KR 101196369B1 KR 1020120010565 A KR1020120010565 A KR 1020120010565A KR 20120010565 A KR20120010565 A KR 20120010565A KR 101196369 B1 KR101196369 B1 KR 1011963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door
- plate
- sides
- coup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489 abdominal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87 abdom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7 mu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A63B21/1618—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on a door or a door fram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5—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by increasing or reducing the number of resistance unit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하부 수평 프레임과 양측의 수직 프레임이 연결되어 사각 형태로 이루어진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고, 1개 이상의 도르래 조립체가 연결된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도어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 몸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제 2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고, 1개 이상의 도르래 조립체가 연결된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도어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부 몸체; 및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에 설치된 도르래 조립체에 의해 안내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연결홀이 형성된 캡이 양단에 결합되어 있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도어에 설치되는 다기능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설치 장소에 있어 넓은 면적을 요구하지 않으며, 운동 방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갖고, 다수의 지점에서 다양한 방향으로의 운동이 가능하며, 가슴, 팔, 다리, 등, 어깨, 복근 등의 트레이닝으로 전신 운동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 스스로 운동 강도를 조절하면서 여러 단계의 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경험할 수 있고, 내구성도 우수한 도어에 설치되는 다기능 운동 기구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ercise device installed in a door and used,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of both sides are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made of a rectangular shap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frame, one or more An upper body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door including a support bracket to which the pulley assembly is connected; A lower body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door including a second fram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frame and having a fixing bracket to which at least one pulley assembly is connected; And a wire guided by the pulley assembly installed i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nd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cap having a connection hole coupled to both ends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install and dismantle, does not require a large area at the installation site, the method of movement is simple, has a variety of functions, it is possible to exercise in various directions from a number of points, You can get the effect of full body exercise by training your arms, legs, back, shoulders, abs, etc., and you can experience the resistance to loads of various levels while adjusting the exercise intensity by yoursel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단하고 도어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운동할 수 있는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orts equipment to be installed and used in the do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orts equipment that can be easily and simply exercise anyone by simply installing the configuration on the door.
일반적으로, 종래의 운동 기구는 근력이나 파워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웨이트 트레이닝(weight-training) 기구를 사용하여 왔고, 이러한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는 아령, 덤벨, 벤치 프레스와 같은 간단한 하중 운동 기구와, 무게추의 하중을 이용한 버터플라이, 레그컬, 레그익스텐션, 하이폴리, 롱풀머신 등 하중 가변방식의 근력 운동 기구가 있다.In general, conventional exercise equipment has been using weight-training equipment to increase strength or power, and such weight training equipment includes simple weight exercise equipment such as dumbbells, dumbbells, bench presses, and weights. There are load-bearing muscle exercise machines such as butterfly, leg curl, leg extension, high poly and long pull machine using load.
그러나, 종래의 운동 기구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고가이며, 각종 프레임과 무게추 등 중량물의 무게로 인하여 이송 및 보관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특히,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운동시에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으로 인하여 아파트 등의 가정집 실내에서는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ports equipment is complicated in structure and expensive, and not only is difficult to transport and store due to the weight of various frames and weights, but also takes up a lot of installation space and vibrates generated during exercise. And due to the noise there wa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use in the interior of the home, such as an apartment.
게다가, 종래의 운동 기구는 가슴, 팔, 다리, 등, 어깨, 복근 등 각 신체 특정 부위의 트레이닝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운동 기구가 별도로 존재하고, 이러한 운동 기구의 운동 방법도 간단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근력 및 파워 보강을 위한 전신 운동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운동 기구를 함께 구입해야 하는 부담이 있고, 운동 기구 사용시 특별한 기술이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exercise equipment has a variety of exercise equipment for training the specific parts of the body, such as the chest, arms, legs, back, shoulders, abs, and the like, and the exercise method of such exercise equipment is not simple, For the whole body exercise for strength and power reinforcement, there is a burden to purchase a variety of exercise equipment, there was a problem that requires special skills when using the exercise equipment.
뿐만 아니라, 종래의 운동 기구는 사용자가 시트에 앉거나 누워 고정된 위치에서만 운동할 수 있으므로, 특별히 정해진 형태의 운동만을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특정 부위의 근력만 강화되기 때문에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exercise equipment can be exercised only in a fixed position of the user sitting or lying on the seat, it can only perform a specific type of exercise, thereby maximizing the exercise effect because only the strength of the specific area is strengthened There was no problem.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설치 장소에 있어 넓은 면적을 요구하지 않으며, 운동 방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갖고, 다수의 지점에서 다양한 방향으로의 운동이 가능하며, 가슴, 팔, 다리, 등, 어깨, 복근 등의 트레이닝으로 전신 운동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 스스로 운동 강도를 조절하면서 여러 단계의 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경험할 수 있고, 내구성도 우수한 도어에 설치되는 다기능 운동 기구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easy to install and dismantle, does not require a large area at the installation site, the method of movement is not only simple, has a variety of functions, and at various points It is possible to exercise in the direction, training the chest, arms, legs, back, shoulders, abs, etc. to obtain the effects of full body exercise, and to adjust the intensity of exercise by yourself, to experience the resistance to the various levels of loa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in a door that is excellent in durability.
본 발명은 상?하부 수평 프레임과 양측의 수직 프레임이 연결되어 사각 형태로 이루어진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1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되고, 1개 이상의 도르래 조립체가 연결된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도어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 몸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제 2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고, 1개 이상의 도르래 조립체가 연결된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도어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부 몸체; 및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에 설치된 도르래 조립체에 의해 안내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연결홀이 형성된 캡이 양단에 결합되어 있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도어에 설치되는 다기능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of both sides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door including a first frame having a rectangular shape, and a support bracke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frame, the support bracket is connected to one or more pulley assemblies An upper body installed at the; A lower body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door including a second fram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frame and having a fixing bracket to which at least one pulley assembly is connected; And a wire guided by the pulley assembly installed i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nd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cap having a connection hole coupled to both ends thereof.
이때, 상기 상무 몸체는, 상기 수직 프레임을 감싸며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측 개구부에 상기 지지 브라켓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회전볼트가 결합된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lider coupled to the rotating bolt which is installed so as to sl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surrounding the vertical frame, the support bracket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pening.
게다가,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회전볼트의 중앙부에 스토퍼가 결합되고, 상기 회전볼트의 양측부에 제 1 코일스프링과 제 2 코일스프링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slid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is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ating bolt, the first coil spring and the second coil spring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ng bolt.
뿐만 아니라, 상기 스토퍼는, 내부가 중공되고 상기 회전볼트 상에서 회전 가능한 스토퍼 몸체와, 상기 스토퍼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고 돌기가 부착된 돌기부와, 상기 스토퍼 몸체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 브라켓을 지탱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stopper has a stopper body which is hollow inside and is rotatable on the rotating bolt, a protrus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topper body and having protrusions, and extending outward of the stopper body to support the support bracket. There is also a feature in that it includes a support.
여기서, 상기 제 1 코일스프링은, 일단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지지 브라켓을 지탱하고, 타단은 상기 스토퍼의 돌기부에 형성된 스토퍼홀에 삽입 연결되며, 상기 제 2 코일스프링은, 일단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지지 브라켓을 지탱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에 형성된 걸이홈에 걸림 연결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Here, the first coil spring, one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support the support bracket,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topper hole formed in the protrusion of the stopper, the second coil spring, one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Supporting the support bracket, the other end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is connected to the hook groov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er.
나아가,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더의 고정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홀이 상기 수직 프레임의 수직 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Furthermore, the first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adjustment holes for adjusting the fixed height of the slider are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더불어, 상기 제 1 프레임은 도어의 상단에 장착되기 위한 상단 장착판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은 도어의 하단에 장착되기 위한 하단 장착판이 결합되며 , 상기 상단 장착판과 하단 장착판의 각 내측면에 탄성체가 부착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rame is coupled to the top mounting plate for mounting on the top of the door, the fixing bracket is coupled to the bottom mounting plate for mounting on the bottom of the door, on each inner side of the top mounting plate and the bottom mounting plate The elastic body is also attached to it.
상기 제 1 프레임과 및 고정 브라켓은 도어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장착되기 위한 장착판이 결합되고, 상기 장착판의 내측면에 탄성체가 부착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The first frame and the fixing bracket are coupled to a mounting plate for mounting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door,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body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그리고, 상기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2 프레임의 중앙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고, 중간에 길이조절구가 설치된 스트랩을 더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rame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frame is installed between the cen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rap provided with a length adjustment mechanism in the middle.
또한, 상기 지지 브라켓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볼트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지지판의 양측면의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도르래 조립체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1개 이상의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bracket, the support plate is formed of a "c" shape, the connecting portion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connected to the rotating bolt, and is coupled between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pulley assembly i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t is also characterized by including one or more fastening bolts rotatably connected.
아울러, 상기 고정 브라켓은, 내측에 상기 제 2 프레임이 고정되고, 상측판과 하측판으로 이루어지되 ">" 형상으로 구성된 고정판과, 상기 상측판의 상측에 수직 방향으로 입설되고 내측에 탄성체가 부착되어 도어에 밀착되는 밀착판과, 상기 상측판의 일부가 절개되어 양측에 입설된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의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도르래 조립체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1개 이상의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bracket, the second frame is fixed to the inside, consisting of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the fixed plate consisting of a ">" shape, and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late and the elastic body is attached to the inside One or more fastening bolts which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oor, a part of the upper plate is cut off and fastened to both sides, and fastened between the fastening plates so that the pulley assembly is rotat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re is also a feature to include.
한편,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에 설치된 상기 도르래 조립체는, 회전 몸체와, 상기 회전 몸체의 양측에 연결된 측판과, 양측의 상기 측판의 선단 사이에 결합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축설된 도르래와, 상기 회전 몸체와 도르래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가 통과되는 통공을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ulley assembly provided i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the rotating body, the side plat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rotating body, the rotary shaft coupl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side plate of both sides, and the pulleys arranged on the rotary shaft, It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rough hole formed between the rotating body and the pulley and the wire passes.
본 발명에 의하면, 구성이 간단하고 도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설치 장소에 있어 넓은 면적을 요구하지 않으며, 운동 방법이 간단하여 운동 기구의 실시에 특별한 기술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누구나 쉽게 운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figuration is simple and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door, it is easy to install and dismantle, does not require a large area in the installation place, and the exercise method is simple, so that no special technique is requir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exercise equipment You can exercise easily.
게다가, 손의 포지션과 다리의 자세를 변경함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갖는 운동이 가능하고,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도르래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고정된 위치가 아닌 다수의 지점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운동이 가능하며, 가슴, 팔, 다리, 등, 어깨, 복근 등의 트레이닝으로 전신 운동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ercise with various functions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hand and the posture of the leg, and the pulley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the movement can be performed in various directions at a number of points instead of a fixed position. In addition, the training of the chest, arms, legs, back, shoulders, abs, etc. can achieve the effect of full-body exercise.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하중을 갖는 와이어 중에 1개를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여러 개의 와이어를 한번에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 스스로 운동 강도를 조절하면서 여러 단계의 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경험할 수 있고, 더불어 보다 강한 근육을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you can select one of the wires with various loads or use multiple wires at once, so you can experience the resistance to multiple levels of load while adjusting your exercise intensity and create stronger muscles. It can be effective.
나아가,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의 프레임의 강철 재질 및 설치 구조로 인해 하중에 대한 지지력과 내구성이 우수하며, 운동시에 소음 및 진동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Furthermore, due to the steel material and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frame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is excellent in bearing capacity and durability for the load, there is no effect of generating noise and vibration at al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몸체의 일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몸체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르래 조립체가 연결된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4(a)는 상부 몸체에 포함된 도르래 조립체의 연결 부분의 사시도, 도 4(b)는 하부 몸체에 포함된 도르래 조립체의 연결 부분의 사시도.
도 5(a)는 상부 몸체의 슬라이더의 고정시 일부 사시도, 도 5(b)는 상부 몸체의 슬라이더의 이동시 일부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j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기구의 사용 상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upper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lower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connected to the pulle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ulley assembly included in the upper body, Figure 4 (b) is included in the lower body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pulley assembly.
Figure 5 (a)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when fixing the slider of the upper body, Figure 5 (b)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when moving the slider of the upper body.
6a to 6j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자는 종래의 운동 기구는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고가이며, 이송 및 보관이 곤란하고,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며, 운동시에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으로 인하여 가정의 실내에서 사용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전신 운동을 위해서는 여러 개의 운동 기구를 함께 구입해야 하고, 그 사용 방법이 간단하지 않으며, 특별히 정해진 기능을 갖는 운동만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을 인지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와 노력을 거듭한 결과,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설치 장소에 있어 넓은 면적을 요구하지 않으며, 운동 방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갖고, 다수의 지점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운동이 가능하며, 가슴, 팔, 다리, 등, 어깨, 복근 등의 트레이닝으로 전신 운동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 스스로 운동 강도를 조절하면서 여러 단계의 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경험할 수 있고, 내구성도 우수한 도어에 설치되는 다기능 운동 기구에 관한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only difficult to use the indoor exercise equipment in the home due to the complicated structure and expensive, difficult to transport and storage, occupy a lot of installation space, vibration and noise generated during the exercise As a result of recognizing the problem that it is necessary to purchase several exercise equipments together for the whole body exercise, the method of use is not simple, and only the exercise with a specific function is possible. It is easy to install and dismantle, does not require a large area in the place of installation, the method of movement is simple, it has various functions, it can be exercised in various directions from many points, chest, arms, legs, etc. You can get the effects of full body workouts by training on your shoulders, abs, etc. May experience resistance to the load of the various steps was durability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 exercise equipment is installed in the door excellen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도어(R)에 설치되는 다기능 운동 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몸체(100), 도어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몸체(200) 및 상기 상부 몸체(100)와 하부 몸체(200)의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300)를 구비하고, 여기에 스트랩(4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다기능 운동 기구에 핸드 그립(G), 발목 밴드(B) 및 웨이트 바(B)를 고리(R)에 의해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installed in the door 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몸체(100)는 도어(R)의 상단에 설치되되, 제 1 프레임(110), 지지 브라켓(130) 및 도르래 조립체(140)를 포함하고, 여기에 슬라이더(120)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First, as shown in FIG. 2, the
상기 제 1 프레임(110)은 상부 수평 프레임(111), 하부 수평 프레임(112) 및 양측에 형성된 수직 프레임(113)이 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사각 프레임의 형태를 갖는다.The first frame 110 has an upper
이때,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111)에는 상단 장착판(114)이 도어(R) 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시 상단 장착판(114)은 도어의 상단의 일부를 감싸 연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결국, 상기 상단 장착판(114)이 도어의 상단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 1 프레임(110)이 도어(R)에 지지된다. At this time, the upper
또한, 상기 지지 브라켓(130)은 상기 제 1 프레임(110)의 양측에 직접 고정 결합될 수도 있지만, 상기 수직 프레임(113)을 감싸며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슬라이더(120)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120)의 일측 개구부(122)에 연결된 회전볼트(123)에 상기 지지 브라켓(130)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슬라이더(120)는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122)가 형성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더 몸체(121)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 몸체의 양 선단에는 상기 회전볼트(123)가 관통 연결되는 연결홀(121a)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게다가, 상기 슬라이더(120)는 상기 회전볼트(123)의 중앙부에 스토퍼(124)의 스토퍼 몸체(124a)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 몸체(124a)의 하부에는 돌기(124c)가 형성된 돌기부(124b)가 연결되며, 받침부(124e)가 상기 스토퍼 몸체(124a)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측에 결합된 상기 지지 브라켓(130)을 지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더불어, 상기 제 1 프레임(110)의 양측을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113)에 수직 방향을 따라 다수의 조정홀(113a)이 형성되고, 사용자는 운동하기 전에 상기 슬라이더(120)를 상기 수직 프레임(113)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다가, 도어(R)의 높이에 따른 와이어(300)의 적절한 장력이 유지되는 지점에 이르면, 상기 슬라이더(120)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이때, 상기 돌기(124c)가 상기 조정홀(113a)에 삽입되어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또한, 상기 슬라이더(120)는 상기 회전볼트(123)의 양측부에 제 1 코일스프링(125a)과 제 2 코일스프링(125b)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제 1 코일스프링(125a)은 일단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지지 브라켓(130)을 지탱하고, 타단은 상기 스토퍼(124)의 돌기부(124b)에 형성된 스토퍼홀(124d)에 삽입 연결되며, 상기 제 2 코일스프링(125b)은 일단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지지 브라켓(130)을 지탱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120)의 하부에 형성된 걸이홈(126)에 걸림 연결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지지 브라켓(130)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판(131)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131)의 바닥면에 연결부(132)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전볼트(123)와 축설되며, 상기 지지판(131)의 양측면의 사이에 1개 이상의 체결볼트(133)가 체결너트(133a)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되고, 상기 체결볼트(133)에는 도르래 조립체(140)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하부 몸체(200)의 고정 브라켓(220)에도 동일한 구조를 갖는 도르래 조립체(240)가 설치된다. And, the
이와 같이, 도르래 조립체(140,240)가 체결볼트(133, 224)에 체결너트(133a, 224a)에 의해 2좌우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도르래 조립체(140,240)에 의해 안내되는 와이어 양단의 캡(310)에 연결된 핸드 그립(G), 발목 밴드(A) 및 웨이트 바(B)를 다수의 지점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밀거나 당겨 다양한 기능을 갖는 운동이 가능하다.As such, since the pulley assemblies 140 and 240 are connected to the
여기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몸체(100)와 하부 몸체(200)에 설치된 도르래 조립체(140,240)는 체결볼트(133, 224)에 체결너트(133a, 224a)와 결합되어 좌우로 회전되는 회전 몸체(141,241)와, 상기 회전 몸체(141,241)의 양측에 연결된 측판(142,242)과, 양측에 형성된 상기 측판(142,242)의 선단 사이에 결합된 회전축(143,243)과, 상기 회전축(143,243)에 축 결합된 도르래(144,244)와, 상기 회전 몸체(141,241)와 상기 도르래(144,244)의 사이에 형성되어 와이어(300)가 통과되는 통공(145,245)를 구비한다.Here, as shown in Figure 4 (a) and 4 (b), the pulley assembly (140,240) installed in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몸체(200)는 도어(R)의 하단에 설치되되, 제 2 프레임(210), 고정 브라켓(220) 및 도르래 조립체(2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상기 제 2 프레임(210)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프레임(210)의 양측에는 고정 브라켓(220)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200)에는 1개 이상의 도르래 조립체(240)가 연결된다.The
이때, 상기 고정 브라켓(220)에는 하단 장착판(225)이 도어(R) 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시 하단 장착판(225)은 도어(R) 하단의 일부를 감싸 연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결국, 상기 하단 장착판(225)이 도어(R)의 하단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하부 몸체(200)가 도어(R)에 지지된다. 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고정 브라켓(220)은 ">"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측판(221a)과 하측판(221b)으로 구성된 고정판(221)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221)의 내측에 상기 제 2 프레임(210)이 고정 설치된다.In addition, the fixing
그리고, 상기 상측판(221a)의 상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입설된 밀착판(222)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판(222)의 내측에는 탄성체(222a)가 부착되어, 상기 하부 몸체(200)가 도어(R)에 흠을 내지 않고 밀착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late (221a) is formed in the
그리고, 상기 상측판의 양측 일부는 절개되어 입설된 체결판(223)을 이루며, 상기 체결판(223)의 사이에 체결볼트(224)가 결합되고, 상기 체결볼트(224)에 1개 이상의 도르래 조립체(240)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A portion of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is cut to form a
상기 와이어(300)는 상기 상부 몸체(100)와 상기 하부 몸체(200)의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도어 상단 및 하단에 설치된 도르래 조립체(140,240)에 의해 안내된다.The
또한, 상기 와이어(300)는 다양한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준비된 여러 가지 두께를 갖는 와이어들 중에서 1개를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다수의 도르래 조립체(140,240)가 설치된 경우에는 여러 개의 와이어를 설치하여 한번에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 스스로 운동 강도를 조절하면서 여러 단계의 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경험할 수 있고, 더불어 보다 강한 근육을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와이어(300)의 양단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캡(310)이 결합되고, 상기 캡(310)에는 연결홀(311)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홀(311)에 고리(R)를 연결하며, 상기 고리(R)를 통하여 핸드 그립(G), 발목 밴드(B) 및 웨이트 바(B) 등의 각종 부재를 연결하여 다양한 기능을 갖는 운동을 할 수 있다.Here, both ends of the
나아가, 상기 제 1 프레임(110)을 형성하는 하부 수평 프레임(112)의 중앙에는 상부 띠홀(115)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프레임(210)의 중앙에는 하부 띠홀(226)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띠홀(115)과 하부 띠홀(226)에는 스트랩(400)의 양단이 연결되고, 상기 스트랩(400)의 중간에는 스트랩(4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구(410)가 형성되어 있다.Further, an
이때, 상기 스트랩(400)은 길이조절구(410)를 통하여 길이가 조절되어 팽팽하게 조여짐으로써 서로 이격 설치되는 상기 상부 몸체(100)와 상기 하부 몸체(200)의 불안정한 구조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도어에 설치되는 다기능 운동 기구는 상부 수평 프레임(111)에 돌출 형성된 상단 장착판(114)이 도어(R)의 상단에 걸림 연결되도록 장착하여 상부 몸체(100)를 도어(R)에 설치하고, 고정 브라켓(220)에 돌출 형성된 하단 장착판(225)이 도어(R)의 하단에 걸림 연결되도록 장착하여 하부 몸체(200)를 도어(R)에 설치한다.On the other hand, the multi-function exercise device installed in th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so that the upper mounting
그리고,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몸체(100)에 설치된 도르래 조립체(140)를 잡고 지지 브라켓(130)을 위로 올리게 되면(도 5(b)의 ① 방향) 스토퍼(124)의 돌기(124c)가 수직 프레임(113)에 형성된 조정홀(113a)로부터 이탈되면서, 슬라이더(120)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고(도 5(b)의 ② 방향), 도어(R)의 높이에 따른 와이어(300)의 적절한 장력이 유지되는 지점에 이르면 슬라이더(120)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도르래 조립체(140)를 잡고 지지 브라켓(130)을 아래로 내리게 되면, 스토퍼(124)의 돌기(124c)가 조정홀(113a)에 삽입되면서 지지 브라켓(130)이 제 1 프레임(110)에 고정된다.And, as shown in Figure 5 (a) and Figure 5 (b), when holding the
이와 같이, 제 1 프레임(110)의 양측에 설치된 지지 브라켓(130)을 슬라이더(120)를 이용하여 적절한 위치에 고정시킨 후에, 와이어(300) 양단의 캡(310)에 형성된 연결홀(311)에 고리(R)를 연결하고, 상기 고리(R)에 핸드 그립(G), 발목 밴드(A) 및 웨이트 바(B)를 연결하여, 사용자는 손의 포지션과 다리의 자세를 변경함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갖는 운동을 할 수 있고, 가슴, 팔, 다리, 등, 어깨, 복근 등에 대한 근력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전신 운동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such, after fixing the
아울러, 도 6(a) 내지 도 6(j)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에 설치되는 다기능 운동 기구의 수백 개의 다양한 실시예 중 극히 일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6(a)는 좌?우측의 양 핸드 그립(G)을 와이어(300) 상단의 캡(310)에 고리(R)로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양 핸드 그립(G)을 잡고 도어(R)를 등지고 서서 가슴을 수축시키면서 양 핸드 그립(G)을 아래로 밀어 줌으로써, 가슴 부분의 근력 운동이 이루어진다.6 (a) to 6 (j) show only a part of hundreds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installed in th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With the hand grip G connected to the
도 6(b)는 일측의 핸드 그립(G)을 와이어(300) 상단의 캡(310)에 고리(R)로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R) 옆에 한쪽 팔을 옆으로 뻗어 핸드 그립(G)을 잡고 서서 가슴을 수축시키며 팔을 가슴 아래로 내리는 동작을 함으로써, 가슴 부분의 근력 운동이 이루어진다.FIG. 6 (b) shows that the user extends one arm side to the side of the door R in a state in which the hand grip G of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도 6(c)는 웨이트 바(B)의 양단을 와이어(300) 상단의 캡(310)에 고리(R)로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R) 앞에 서서 팔을 구부려 웨이트 바(B)를 잡고 팔꿈치를 고정시킨 상태로 두 팔을 아래로 쭉 펴줌으로써 팔에 대한 삼두 운동이 이루어진다.Figure 6 (c) is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weight bar (B) is connected to the
도 6(d)는 웨이트 바(B)의 양단을 와이어(300) 하단의 캡(310)에 고리(R)로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R) 앞에 서서 팔을 구부려 웨이트 바(B)를 잡고 팔꿈치를 옆구리에 고정시킨 상태로 두 팔을 아래로 쭉 펴줌으로써 팔에 대한 이두 운동이 이루어진다.Figure 6 (d) is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weight bar (B) is connected to the
도 6(e)는 좌?우측의 양 발목 밴드(A)를 와이어(300) 하단의 캡(310)에 고리(R)로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양 발목에 양 발목 밴드(A)를 감고 누은 후에 복근을 수축시키면서 다리를 들어올리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복근 운동이 이루어진다.Figure 6 (e) is a state in which both the ankle band (A) of the left and right connected to the
도 6(f)는 좌?우측의 양 발목 밴드(A)를 와이어(300) 하단의 캡(310)에 고리(R)로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양 발목에 양 발목 밴드(A)를 감고 누은 후에 한쪽 무릎과 반대편 팔꿈치가 닿을 정도로 몸을 비틀어 주면서 양쪽을 번갈아 실시함으로써 복근 운동이 이루어진다.Figure 6 (f) is a state in which both ankle bands (A) of the left and right side connected to the
도 6(g)는 좌?우측의 양 발목 밴드(A)를 와이어(300) 하단의 캡(310)에 고리(R)로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양 발목에 양 발목 밴드(A)를 감고 도어(R)를 등지고 서서 한쪽 발을 앞으로 내밀어 무릎을 구부린 다음에, 다른 쪽 발을 내밀어 무릎을 구부리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다리에 대한 근력 운동이 이루어진다.FIG. 6 (g) shows that both ankle bands (A) are connected to both ankles in a state in which both ankle bands (A) at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connected to the
도 6(h)는 일측의 발목 밴드(A)를 와이어(300) 하단의 캡(310)에 고리(R)로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한쪽 발목에 발목 밴드(A)를 감도 도어(R)에 양팔을 뻗어 문에 기대어 서서 엉덩이가 수축되도록 발을 뒤로 쭉 뻗어주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다리에 대한 근력 운동이 이루어진다.Figure 6 (h) is a state in which an ankle band (A) of one side connected to the
도 6(i)는 좌?우측의 양 핸드 그립(G)을 와이어(300) 상단의 캡(310)에 고리(R)로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R)를 마주보고 서서 한쪽 다리를 앞으로 뻗어 자세를 고정한 후에 양 핸드 그립(G)을 잡고 팔꿈치가 몸통의 뒤로 이동하도록 양 핸드 그립(G)을 잡아 당겨 주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등에 대한 근력 운동이 이루어진다.FIG. 6 (i) shows that the user stands in front of the door R while the left and right hand grips G are connected to the
도 6(j)는 좌?우측의 양 핸드 그립(G)을 와이어(300) 상단의 캡(310)에 고리(R)로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R)를 마주보고 서서 한쪽 다리를 뻗어 자세를 고정하고 핸드 그립(G)을 교차시켜 잡고 팔꿈치가 몸통 뒤로 오도록 핸드 그립(G)을 잡아 당겨 주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등에 대한 근력 운동이 이루어진다.FIG. 6 (j) shows that the user stands in front of the door R while the left and right hand grips G are connected to the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 외에도 본 발명은 좌?우측의 양 핸드 그립(G)을 와이어(300) 하단의 캡(310)에 고리(R)로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R)를 등지고 한쪽 팔을 앞으로 구부리고, 양 핸드 그립(G)을 위로 당겨 주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어깨 운동을 할 수 있고, 일측의 핸드 그립(G)을 와이어(300) 상단 또는 하단의 캡(310)에 고리(R)로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머리를 고정시키고 손으로 핸드 그립(G)을 백스윙 궤도나 다운 스윙의 궤도를 그리도록 움직임으로써 골프운동을 겸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n addi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in which both the left and right hand grips G are connected to the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도어에 설치되는 다기능 운동 기구에 의하면,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설치 장소에 있어 넓은 면적을 요구하지 않으며, 운동 방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갖고, 다수의 지점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운동이 가능하며, 가슴, 팔, 다리, 등, 어깨, 복근 등의 트레이닝으로 전신 운동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 스스로 운동 강도를 조절하면서 여러 단계의 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경험할 수 있고, 내구성도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After all, according to the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installed in th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install and dismantle, does not require a large area in the installation place, the movement method is simple, and has a variety of functions, a number of points You can exercise in a variety of directions, and you can achieve the effects of full body workouts by training your chest, arms, legs, back, shoulders, abs, etc. Experience, and durability is also excellent effect.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ything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onstitution as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chieving the same operational effect is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상부 몸체 110. 제 1 프레임
111. 상부 수평 프레임 112. 하부 수평 프레임
113. 수직 프레임 113a. 조정홀
114. 상단 장착판 114a. 탄성체
115. 상부 띠홀 120. 슬라이더
121. 슬라이더 몸체 121a. 연결홀
122. 개구부 123. 회전볼트
123a. 연결너트 124. 스토퍼
124a. 스토퍼 몸체 124b. 돌기부
124c. 돌기 124d. 스토퍼홀
124e. 받침부 125a. 제 1 코일스프링
125b. 제 2 코일스프링 126. 걸이홈
130. 지지 브라켓 131. 지지판
132. 연결부 133. 체결볼트
133a. 연결너트 140. 도르래 조립체
141. 회전 몸체 142. 측판
143. 회전축 144. 도르래
145. 통공 200. 하부 몸체
210. 제 2 프레임 220. 고정 브라켓
221. 고정판 221a. 상측판
221b. 하측판 222. 밀착판
222a. 탄성체 223. 체결판
224. 체결볼트 224a. 체결너트
225. 하단 장착판 225a. 탄성체
226. 하부 띠홀 240. 도르래 조립체
241. 회전 몸체 242. 측판
243. 회전축 244. 도르래
245. 통공 300. 와이어
310. 캡 311. 연결홀
400. 스트랩 410. 길이조절구
D. 도어 A. 발목 밴드
B. 웨이트 바 G. 핸드 그립
R. 고리100. Upper Body 110. First Frame
111. Upper
113.
114. Top mounting
115.
121.
122.
123a. Connection nut 124. Stopper
124a.
124c.
124e.
125b.
130.
132.
133a.
141.Rotating Body 142.Side Plate
143.
145.Through hole 200.Bottom body
210.
221. Retaining
221b. Lower Plate 222.Contact Plate
222a.
224. Fastening
225.
226.
241. Rotating
245.Through Hole 300.Wire
310.Cap 311.Connection hole
400.
D. Door A. Ankle Band
B. Weight bar G. Hand grip
R. rings
Claims (11)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제 2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고, 1개 이상의 도르래 조립체가 연결된 고정 브라켓을 포함하는 도어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부 몸체; 및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에 설치된 도르래 조립체에 의해 안내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연결홀이 형성된 캡이 양단에 결합되어 있는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몸체는, 상기 수직 프레임을 감싸며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측 개구부에 상기 지지 브라켓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회전볼트가 결합된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회전볼트의 중앙부에 스토퍼가 결합되고, 상기 회전볼트의 양측부에 제 1 코일스프링과 제 2 코일스프링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는, 내부가 중공되고 상기 회전볼트 상에서 회전 가능한 스토퍼 몸체와, 상기 스토퍼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고 돌기가 부착된 돌기부와, 상기 스토퍼 몸체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 브라켓을 지탱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코일스프링은, 일단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지지 브라켓을 지탱하고, 타단은 상기 스토퍼의 돌기부에 형성된 스토퍼홀에 삽입 연결되며, 상기 제 2 코일스프링은, 일단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지지 브라켓을 지탱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에 형성된 걸이홈에 걸림 연결되며,
상기 제 1 프레임은 도어의 상단에 장착되기 위한 상단 장착판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은 도어의 하단에 장착되기 위한 하단 장착판이 결합되며, 상기 상단 장착판과 하단 장착판의 각 내측면에 탄성체가 부착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볼트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지지판의 양측면의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도르래 조립체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1개 이상의 체결볼트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도르래 조립체에 의해 안내되는 와이어 양단의 캡에 연결된 핸드 그립, 발목 밴드 및 웨이트 바를 다수의 지점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밀거나 당겨 다양한 기능을 갖는 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도어에 설치되는 다기능 운동 기구.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frames and the vertical frames on both sid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stalled on a top of a door including a first frame having a rectangular shape, and a support bracke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frame and connected to at least one pulley assembly. Upper body;
A lower body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door including a second fram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frame and having a fixing bracket to which at least one pulley assembly is connected; And
A wire guided by a pulley assembly installed o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nd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cap having a connection hole formed at both ends thereof;
The upper body further includes a slider that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vertical frame and sli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rotating bolt coupled to one side opening so that the support bracket is rotatable.
The slider, the stopper is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ating bolt, the first coil spring and the second coil spring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ng bolt,
The stopper includes a stopper body which is hollow inside and is rotatable on the rotating bolt, a protrus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topper body, and having a protrusion attached thereto, and a support portion extending outward of the stopper body to support the support bracket. Including,
The first coil spring, one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support the support bracket,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topper hole formed in the protrusion of the stopper, the second coil spring, one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support the Supporting the bracket,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hook groov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er,
The first frame is coupled to the top mounting plate for mounting on the top of the door, the fixing bracket is coupled to the bottom mounting plate for mounting on the bottom of the door, the elastic body is formed on each inner side of the top mounting plate and the bottom mounting plate Attached,
The support bracket may be coupled between a support plate having a “c” shape, a connection portion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connected to the rotating bolt,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pulley assembly being rotatable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By including one or more fastening bolts to be fastened by the fastening nut, the hand grip, ankle band and weight bar connected to the caps of the wires guided by the pulley assembly to push or pull in various directions at a number of points Multifunctional exercise equipment is installed in the door made to have a movement.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더의 고정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홀이 상기 수직 프레임의 수직 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에 설치되는 다기능 운동 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frame is a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installed in the doo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adjustment holes for adjusting the fixed height of the slider is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상기 제 1 프레임 및 상기 제 2 프레임의 중앙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고, 중간에 길이조절구가 설치된 스트랩을 더 포함하는 도어에 설치되는 다기능 운동 기구.
The method of claim 1,
Multifunction exercise equipment is installed in the door further comprises a strap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center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the length adjustment mechanism is installed in the middle.
상기 고정 브라켓은, 내측에 상기 제 2 프레임이 고정되고, 상측판과 하측판으로 이루어지되 ">" 형상으로 구성된 고정판과,
상기 상측판의 상측에 수직 방향으로 입설되고 내측에 탄성체가 부착되어 도어에 밀착되는 밀착판과,
상기 상측판의 일부가 절개되어 양측에 입설된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의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도르래 조립체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1개 이상의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도어에 설치되는 다기능 운동 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bracket, the second frame is fixed to the inside, consisting of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the fixed plate consisting of a ">" shape,
A close contact plate plac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late and attached to the door with an elastic body attached thereto;
A part of the upper plate is cut and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fastening plate;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is installed in the door including one or more fastening bolts fastened between the fastening plate and the pulley assembly is rotatably conn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에 설치된 상기 도르래 조립체는, 회전 몸체와,
상기 회전 몸체의 양측에 연결된 측판과,
양측의 상기 측판의 선단 사이에 결합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축설된 도르래와,
상기 회전 몸체와 도르래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가 통과되는 통공을 포함하는 도어에 설치되는 다기능 운동 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pulley assembly installed o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the rotating body,
Side plate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rotating body;
A rotation shaft coupled between the ends of the side plates on both sides,
A pulley arranged on the rotating shaft,
The multifunctional exercise device is installed between the rotating body and the pulley and installed in the door includ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wire pass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0565A KR101196369B1 (en) | 2012-02-02 | 2012-02-02 | Multi-functional health equipment installed on do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0565A KR101196369B1 (en) | 2012-02-02 | 2012-02-02 | Multi-functional health equipment installed on do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96369B1 true KR101196369B1 (en) | 2012-11-01 |
Family
ID=47563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0565A Expired - Fee Related KR101196369B1 (en) | 2012-02-02 | 2012-02-02 | Multi-functional health equipment installed on do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96369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722025A (en) * | 2015-03-15 | 2015-06-24 | 伍以炳 | Multifunctional fitness device built on door frame and allowing whole assembly and disassembly |
KR20160047349A (en) * | 2014-10-22 | 2016-05-02 | 홍성균 | Resistance Exercise Equipment |
KR101619439B1 (en) * | 2014-09-12 | 2016-05-10 | 홍석표 | Exercising apparatus for strengthening muscle |
GB2571065A (en) * | 2018-01-05 | 2019-08-21 | Sportiactiv Ltd | Exercise Device |
KR20210034233A (en) | 2019-09-20 | 2021-03-30 | 조연수 | Interior equipment for door installation |
WO2021075637A1 (en) * | 2019-10-15 | 2021-04-22 | 해피시니어케어 주식회사 | Full body workout equipment using elastic bands |
GB2598479A (en) * | 2020-08-27 | 2022-03-02 | Obsidian Int Ltd | Exercise apparatus |
KR102679225B1 (en) * | 2023-07-07 | 2024-06-27 | 주식회사 더스프링코리아 | Detachable Exercise Apparatus Utilizing Spring Fitness Equipmen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173759A1 (en) | 2009-05-21 | 2010-07-08 | Nabile Lalaoua | Door Mounted Gym |
-
2012
- 2012-02-02 KR KR1020120010565A patent/KR10119636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173759A1 (en) | 2009-05-21 | 2010-07-08 | Nabile Lalaoua | Door Mounted Gym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9439B1 (en) * | 2014-09-12 | 2016-05-10 | 홍석표 | Exercising apparatus for strengthening muscle |
KR20160047349A (en) * | 2014-10-22 | 2016-05-02 | 홍성균 | Resistance Exercise Equipment |
KR101643265B1 (en) * | 2014-10-22 | 2016-07-29 | 홍성균 | Resistance Exercise Equipment |
CN104722025A (en) * | 2015-03-15 | 2015-06-24 | 伍以炳 | Multifunctional fitness device built on door frame and allowing whole assembly and disassembly |
GB2571065A (en) * | 2018-01-05 | 2019-08-21 | Sportiactiv Ltd | Exercise Device |
GB2571065B (en) * | 2018-01-05 | 2022-04-13 | Sportiactiv Ltd | Exercise Device |
KR20210034233A (en) | 2019-09-20 | 2021-03-30 | 조연수 | Interior equipment for door installation |
WO2021075637A1 (en) * | 2019-10-15 | 2021-04-22 | 해피시니어케어 주식회사 | Full body workout equipment using elastic bands |
GB2598479A (en) * | 2020-08-27 | 2022-03-02 | Obsidian Int Ltd | Exercise apparatus |
KR102679225B1 (en) * | 2023-07-07 | 2024-06-27 | 주식회사 더스프링코리아 | Detachable Exercise Apparatus Utilizing Spring Fitness Equipm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96369B1 (en) | Multi-functional health equipment installed on door | |
US5468205A (en) | Portable door mounted exercise apparatus | |
KR101394117B1 (en) | Cable crossover training machine | |
US8708866B2 (en) | Abs-cycle | |
US9511258B2 (en) | Weighted push-up exercise machine | |
US20140005015A1 (en) | Portable gym using gravitational forces | |
CN209809406U (en) | A four limbs strength training chair for gymnasium | |
US9533189B2 (en) | Push-up exercise apparatus | |
CA2830035A1 (en) | Door mounted exercise assembly | |
US20140194261A1 (en) | Full body exercise machine | |
KR102476500B1 (en) | Reformer exercise equipment | |
KR101600627B1 (en) | Stretching and muscle strengthening implement using elastic band | |
CN201437027U (en) | Fitness equipment for training bench press | |
KR101619439B1 (en) | Exercising apparatus for strengthening muscle | |
CN109011330B (en) | Rope-driven foldable multifunctional body-building device | |
CN212282736U (en) | Climbing type leg bending and stretching trainer | |
KR102330728B1 (en) | Combined outdoor fitness equipment | |
KR101197930B1 (en) | Arm-curl fitness apparatus for developing diverse muscles by driven scapular movement | |
CN110237497A (en) | A kind of multifunctional fitness equipment | |
CN108905046A (en) | A kind of Multifunctional household gymnatic exerciser material | |
KR20190002555U (en) | Multi Functional Sports Equipment | |
KR20210034233A (en) | Interior equipment for door installation | |
KR101334951B1 (en) | sport machine for turning shoulder | |
WO2010120378A2 (en) | Portable gym using gravitational forces | |
KR100858363B1 (en) | Weight loss bench pres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2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0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