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92334B1 - 비접촉전원장치 - Google Patents

비접촉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334B1
KR101192334B1 KR20100036492A KR20100036492A KR101192334B1 KR 101192334 B1 KR101192334 B1 KR 101192334B1 KR 20100036492 A KR20100036492 A KR 20100036492A KR 20100036492 A KR20100036492 A KR 20100036492A KR 101192334 B1 KR101192334 B1 KR 101192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supply line
path
contact
contact pow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100036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6843A (ko
Inventor
이영식
황계호
윤종보
문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에프에이
Priority to KR20100036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334B1/ko
Publication of KR20110116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33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웃하는 경로 연결부들 사이에서의 선로절단거리를 최소화시켜 전력공급을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한 비접촉 전력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반송차가 주행하는 전력공급선을 설치하고, 이 전력공급선의 경로변경부로서의 U자형부를 설정 크기로 마련하여, 전자기 유도작용에 의해 비접촉방식의 전력공급이 가능하도록 된 비접촉 전력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선의 경로변경부는 상기 전력공급선의 U자형부를 절단한 후, 이 상하 양측 절단선으로서의 귀로측전력공급선(2a) 및 주행로측전력공급선(2b)의 절단부가, 주행 단부 도전재료로 이루어진 ㄷ 자 형상의 분류 브라켓의 양단부에 일체로 각각 형성된 통형의 접속부에 접속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경로변경부의 반경을 최소화하여 결합함으로써, 상기 반송차의 픽업부 내에 상기 경로변경부가 포함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반송차의 픽업부로의 전력 공급이 다운되지 않고 항시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접촉전원장치{CONTACTLESS POWER SUPPLY SYSTEM}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이나 유리 등과 같은 물품을 이동시킬 때 사용되는 비접촉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차의 하부에 스프링과 롤러를 장착하여 직선 구간이나 곡선 구간에서 비접촉전원장치의 전기공급선과 E자형 유도코일의 간격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비접촉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나 액정 등의 전자 디바이스 제품은 공기 중의 부유 입자가, 한정된 청정도 레벨(일반적으로는 미국연방규격 209D)로 관리된 환경, 소위 클린룸에서 제조되고 있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미세화가 진행됨에 따라, 보다 높은 청정도가 요구되고 이에 클린룸 안에 궤도를 부설하고 이에 대차를 주행시켜 작업자를 대신하고 있다. 이런 종류의 반송 시스템에서는, 전원장치의 브러시 등에 의한 마모분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비접촉 상태에서 급전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비접촉전원장치는 직선 구간에서의 경로변경부 또는 직선구간에서의 끝단 연결부에서는 전기를 공급해주는 전기공급선의 선로단절거리(D1)가 커져 전압이 다운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비접촉전원장치의 오작동이나 방향의 전환에 있어 오차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모노레일 방식의 반송 설비는 공장 또는 창고 내에 있어서 넓게 이용되고 있어 반송차에 탑재한 주행용의 모터로의 구동 전력은 안내 레일을 따라 부설된 전력공급선을 개재시켜 공급된다.
전력공급선을 이용한 전력공급장치의 하나로서 반송차에 설치한 픽업부를 전력공급선으로부터 비접촉의 상태로 근접시켜 전력공급선에 교류 전류를 흘렸을 때에 픽업부에 발생하는 유도기전력을 전력으로서 취득하는 비접촉 전력공급장치가 알려져 있다. 전력공급선의 양단을 고주파 전원에 접속해 일차측 회로를 구성해, 픽업부를 포함한 수전용 회로(2차측 회로)는 전력공급선에 흐르는 교류 전류의 주파수로 공진하는 공진 회로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비접촉 전력공급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면에서 부호(1)는 고주파 전원이고, 이동체인 반송차(3)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고주파 전원(1)으로부터 전력공급선(2)이 연장 설치되어 있다.
전력공급선(2)은 원형 단면을 가지는 리드선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도에서 반환되는 U자형부(21)를 형성하거나, 경로변경부로서의 U자형부(21)을 형성함으로써 귀로측전력공급선(2a) 및 주행로측전력공급선(2b)을 형성해, 고주파 전원(1)에 접속해 루프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반송차(3)에는 비접촉 전력공급장치(4)가 탑재되고 있어 이 비접촉 전력공급장치(4)는 2개의 픽업 코일(51a, 51b)을 가지는 픽업부(5)와 수전 회로(6)를 갖추어 전력공급선(2)에 근접시킨 픽업부(5)를 개재시켜 기전력을 구하도록 이루고 있고 수전 회로(6)를 개재시켜 반송차(3)의 모터를 포함한 동력 회로(7) 및 제어 회로(8)에 대한 전력공급을 실시한다.
상기 픽업부(5)는 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픽업 코어(53)와 상기 픽업 코어(53)에 권선된 2개의 픽업 코일 또는 1개의 픽업코일(코일 위치도 중간에 삽입 가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 각 전력공급선(2a, 2b)은 각각 픽업 코일에 근접하도록 다수의 지지바아(54a, 54b, 54c)에 의해 지지를 받고 있다. 이들의 지지바아(54a, 54b, 54c)는 전력공급선(2)을 부설할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어 있다.
픽업 코어(53)는 직방체 형상의 기부(53e)의 일측면 측에 일정한 간격(a)을 두고 약 평행으로 3개의 각부(53a, 53b, 53c)를 입설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각 각부간에 픽업 코일(51a, 51b)이 권선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비접촉 전력공급장치에 있어서는 수전 효율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각부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해 자기저항을 줄일 필요가 있지만 각부 사이의 간격을 좁게 했을 경우 전력공급선의 외경을 작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도체가 작아지고 전력공급선의 전류나 전압의 손실이 커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 2차측 회로의 픽업 코일(51a, 51b)은 일반적으로 리드선을 조밀하게 권선하고 있기 때문에 내부에 열이 축적되기 쉽고 리드선의 절연막의 내열 능력의 한계를 넘지 않게 공급 전력을 제한하지 않을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 수전 효율을 좋게 하기 위해서 가는 리드선을 감고 있으므로 저항 손실이 크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게다가, 상기 전력공급선(2)을 일자형으로 항시 평행 배열해야만 하는 데, 상기 전력공급선(2)의 경로변경부로서의 U자형부(21)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경로변경부의 끝단에서의 설정크기의 반경부(R1)가 필수적으로 소요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웃하는 경로변경부의 선단과의 선로단절 거리(D1)가 너무 크게 발생함으로써, 이로 인한 전류 손실에 의해 전력상의 효율도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경로변경부를 갖는 전력공급선(2)과 이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이송되는 반송차(3)를 갖는 시스템에 적용 시 하나의 전력 공급 라인으로 경로변경부를 마련하여 설정 전력 공급 라인의 길이를 다양하게 변경 가능 구성함에 있어, 이 경로변경부에서의 전력 효율이 높고, 전력선 배선 또한 보다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는 비접촉 전력공급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비접촉 전력공급장치는, 반송차가 주행하는 전력공급선을 설치하고, 이 전력공급선의 경로변경부로서의 U자형부를 설정 크기로 마련하여, 전자기 유도작용에 의해 비접촉방식의 전력공급이 가능하도록 된 비접촉 전력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선의 경로변경부는 상기 전력공급선의 U자형부를 절단한 후, 이 상하 양측 절단선으로서의 귀로측전력공급선(2a) 및 주행로측전력공급선(2b)의 절단부가, 주행 단부 도전재료로 이루어진 ㄷ 자 형상의 분류 브라켓의 양단부에 일체로 각각 형성된 통형의 접속부에 접속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경로변경부의 반경을 최소화하여 결합함으로써, 상기 반송차의 픽업부 내에 상기 경로변경부가 포함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반송차의 픽업부로의 전력 공급이 다운되지 않고 항시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분류 브라켓은, 상기 ㄷ자 형상의 가교부재와, 상기 통형의 접속부를 갖는 제1 및 제2 접속연결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접속연결부재와 상기 가교부재의 양단에 맞접촉한 후, 체결부재를 매개로 체결하여 고정결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교부재의 중앙 평면부에는 어스가 가능한 부도체 지지구조물에 고정결합하기 위한 고정공이 형성되는 구조로 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당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는 전력공급선이 각각 픽업 코일에 근접하도록 된 다수의 지지바아 중 하나의 사이에서 폐회로를 이루도록 경로변환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되, 이 전력공급선의 중도에 설치한 경로변경부에서의 전력공급선의 선로단절거리를 최소화시키는 구성을 안출함으로써, 반송차와의 예측하지 못한 충돌이나, 반송차에서의 픽업코일에 대하여 항시 자계 및 전계의 영향 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압 다운에 기인한 반송차의 이송 중단과 같은 신뢰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한 비접촉급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비접촉 전력공급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비접촉 전력공급장치의 픽업부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비접촉 전력공급장치의 픽업부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비접촉 전력공급장치에서의 경로변경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의 경로변경부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비접촉 전력공급장치에서의 경로변경부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비접촉 전력공급장치에서의 경로변경부에서의 연결 구성을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조립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확대 강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비접촉 전력공급장치에서의 경로변경부의 평면 구조도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전력공급선(2)의 직경에 기인한 경로변경부(2c) 등과 같은 부위에서의 꺽임량이 제한되던 단점을 일거에 해소하기 위한 차원에서, 반송차(3)가 주행하는 전력공급선(2)을 설치하고, 이 전력공급선(2)의 경로변경부(2c)로서의 U자형부를 설정 크기 이하로 마련하거나 아예 삭제조치하여, 전자기 유도작용에 의해 비접촉방식의 전력공급이 가능하도록 된 비접촉 전력공급장치의 일환으로서 도출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경로변경부(2c)를 갖는 전력공급선(2)과 이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이송되는 반송차(3)를 갖는 시스템에 적용 시 하나의 전력 공급 라인으로 경로변경부(2c)를 마련하여 설정 전력 공급 라인의 길이를 다양하게 변경 가능 구성함에 있어, 이 경로변경부(2c)에서의 전력 효율이 높고, 전력선 배선 또한 보다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는 비접촉 전력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전력공급선(2)의 경로변경부(2c)는 상기 전력공급선의 U자형부를 절단한 후, 이 상하 양측 절단선으로서의 귀로측전력공급선(2a) 및 주행로측전력공급선(2b)의 절단부가, 주행 단부 도전재료로 이루어진 ㄷ 자 형상의 분류 브라켓(100)의 양단부에 일체로 각각 형성된 통형의 접속부에 접속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경로변경부(2c)의 반경을 최소화하여 결합함으로써, 상기 반송차의 픽업부 내에 상기 경로변경부(2c)가 포함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반송차의 픽업부로의 전력 공급이 다운되지 않고 항시 유지되도록 구성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비접촉 전력공급장치는, 하나의 승하강 이동구간과 상하로 병렬 배열된 직선 주행구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승하강 주행구간에서는 공지의 승하강 구동장치에 의해 반송차가 승하강 이동구간 사이에서 이동되고, 상기 직선 주행구간의 일측에는 다수의 지지바아(54a, 54b, 54c)를 매개로, 고주파 전원에 일단이 연결된 주행로측전력공급선(2a)과 귀로측전력공급선(2b)이 병행 설치된다.
또한, 상기 주행로측 및 귀로측 전력공급선(2a, 2b)은, 경로 변경부에서 상기 직선 주행구간 끝단에서 하향 절곡된 후, 재차 하부 직선주행구간의 끝단에서 전단으로 병행설치 되어 폐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하향 절곡되는 구성 대신에, 상기 직선 주행구간 끝단을 절단하고, 이 절단부에 상기한 분류 브라켓(100)을 접속 고정하여, 상기 경로변경부(2c)에서의 반경(R1)을 삭제조치하여, 전력 공급이 다운되는 현상을 삭제조치하는 쾌거를 달성하게 되었다.
이는, 상기 전력공급선 상에서의 중도 경로변경부(2c)를 이루는 중도 변환형 U자형부 대신에 본원 발명에 따른 분류브라켓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하향 절곡되는 측의 일부의 주행로측 및 귀로측 전력공급선(2a, 2b)은 상기 반송차의 좌우로의 과도 이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분류브라켓에 기인하여 상기 반송차가 치고 나가서 종래의 U자형부를 파손하는 일이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구동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분류 브라켓(100)은, 상기 ㄷ자 형상의 가교부재(110)와, 상기 통형의 접속부를 갖는 제1 및 제2 접속연결부재(120, 130)와, 상기 제1 및 제2 접속연결부재(120, 130)와 상기 가교부재(110)의 양단에 맞접촉한 후, 체결부재(P)를 매개로 체결하여 고정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교부재(110)의 중앙 평면부에는 어스가 가능한 부도체 지지구조물에 고정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공(1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아(54a, 54b, 54c)는 전력공급선(2)을 부설할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되, 상기 귀로측전력공급선(2a) 및 주행로측전력공급선(2b)이 항시 동일한 거리로 이격 배열되도록 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지지바아의 기단이 상호 연결된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비접촉 전력공급장치의 픽업부의 개략 측면도로서, 이동체인 반송차(3)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고주파 전원(1)으로부터 전력공급선(2)이 연장 설치되어 있다.
물론, 전력공급선(2)은 원형 단면을 가지는 리드선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도에서 반환되는 U자형부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주행로측 및 귀로측 전력공급선(2a, 2b)은, 상기 2개의 직선 주행구간 중 주행로측 전력공급선(2a)의 끝단에서 하향 절곡된 후, 재차 하부의 귀로측 전력공급선(2b)의 끝단에서 전단으로 병행설치되고, 재차 상기 상부 주행로측 전력공급선(2a)의 전단에서 하부 귀로측 전력공급선(2b)의 전단 방향으로 하향 절곡된 다음, 상기 반송차(3)가 중도 반환형 U자형부가 없는 상태로 전방에서 볼 때에는 상기 전력공급선(2a, 2b)의 절단부의 정면측만 가시화 될 수 있도록 깔금하게 상기 분류 브라켓(100)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분류 브라켓(100)을 통해, 반송차가 주행하는 2단의 전력공급선(2)의 주행로측 및 귀로측 전력공급선(2a, 2b)을 병행 설치하되, 각 전력공급선(2a, 2b)이 각각 픽업 코일(51a, 51b)에 근접하도록 다수의 지지바아(54a, 54b, 54c)에 의해 지지되며, 이들 지지바아(54a, 54b, 54c)가 상기 전력공급선(2a, 2b)을 부설할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어, 전자기 유도작용에 의해 비접촉방식의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귀로측전력공급선(2a) 및 주행로측전력공급선(2b)는 중도반환형 분류브라켓을 매개로, 고주파 전원(1)에 접속해 하나의 루프 형상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반송차(3)에는 비접촉 전력공급장치(4)가 탑재되고 있어 이 비접촉 전력공급장치(4)는 2개의 픽업코일(51a, 51b)을 가지는 픽업부(5)와 수전 회로(6)를 갖추어 전력공급선(2)에 근접시킨 픽업부(5)를 개재시켜 기전력을 구하도록 이루고 있고 수전 회로(6)를 개재시켜 반송차(3)의 모터를 포함한 동력 회로(7) 및 제어 회로(8)에 대한 전력공급을 실시한다.
상기 픽업부(5)는 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픽업 코어(53)와 상기 픽업 코어(53)에 권선된 2개의 픽업 코일을 구비하고 있다. 또, 각 전력공급선(2a, 2b)은 각각 픽업 코일에 근접하도록 일체형 지지바아(54a, 54b, 54c)에 의해 지지를 받고 있다. 이들의 일체형 지지바아(54a, 54b, 54c)는 전력공급선(2)을 부설할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되, 상기 귀로측전력공급선(2a) 및 주행로측전력공급선(2b)이 항시 동일한 거리로 이격 배열되도록 연결부(54d)를 매개로 상기 일체형 브라켓(54)의 기단이 상호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픽업 코어(53)는 직방체 형상의 기부(53e)의 일측면 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약 평행으로 3개의 각부(53a, 53b, 53c)를 입설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각 각부간에 픽업 코일(51a, 51b)이 권선 장착되어 있다. 외측의 2개의 각부 (53a, 53c)의 두께는, 내측의 각부(53b)의 두께의 약 1/2배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또, 내측의 각부(53b)와 외측의 각부(53c)에 둘러싸이는 영역에 주행로측전력공급선(2b)을 개재시키고 있음과 동시에, 내측의 각부(53b)와 외측의 각부(53a)의 사이에 둘러싸이는 영역에 귀로측전력공급선(2a)을 개재시키고 있다.
또한, 각 전력공급선(2a, 2b)의 단면의 직경은 같고, 고주파 전원(1)의 용량에 따라 주귀로측전력공급선(2a) 및 주행로측 전력공급선(2b)의 직경보다 달라질 수 있다.
또, 각 픽업 코일(51a, 51b)은 각 각부 사이 기부(53e)에 권선하는 구성이었지만, 내측의 2개의 각부(53b, 53c)에 권선하는 구성도 좋다. 더욱이, 각 전력공급선(2a, 2b, 2c)의 단면은 편평한 형상이라도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비접촉 전력공급장치에서는, 반송차(3)를 갖는 시스템에 적용 시 하나의 전력 공급 라인으로 여러 폐루프를 형성하더라도 보다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게 구성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경로변경부(2c), 특히 중도 경로 반환부를 갖는 비접촉 전력공급장치에서도, 귀로측전력공급선(2a) 및 주행로측전력공급선(2b)이 본원 발명에 따른 분류 브라켓(100)을 매개로, 고주파 전원(1)에 접속해 하나의 루프 형상을 이루게 됨으로써, 그 효율이 높고, 전력선 배선 또한 보다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음과 함께, 전력 손실이 감소하여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시스템의 무게 및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단가를 저감시키는 등의 매우 뛰어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고주파 전원 2 : 전력공급선
2a : 귀로측전력공급선 2b : 주행로측전력공급선
2c : 경로변경부의 귀로측전력공급선 3 : 반송차
4 : 비접촉 전력공급장치 5 : 픽업부
21 : U자형부
51a, 51b : 픽업 코일 53 : 픽업 코어
53a, 53b, 53c : 각부 53e : 기부
6 : 수전 회로 7 : 동력 회로
8 : 제어 회로

Claims (3)

  1. 반송차에 전력을 공급하여 주행하도록 전력공급선을 연장 설치하고, 이 전력공급선의 경로변경부로서의 U자형부를 설정 크기로 마련하여, 전자기 유도작용에 의해 비접촉방식의 전력공급이 가능하도록 된 비접촉 전력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선의 경로변경부는 상기 전력공급선의 U자형부를 절단한 후, 이 상하 양측 절단선으로서의 귀로측전력공급선(2a) 및 주행로측전력공급선(2b)의 절단부가, 도전재료로 이루어진 ㄷ 자 형상의 분류 브라켓의 양단부에 일체로 각각 형성된 통형의 접속부에 접속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경로변경부의 반경을 최소화하여 결합함으로써, 상기 반송차의 픽업부 내에 상기 경로변경부가 포함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반송차의 픽업부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지 않고 항시 유지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분류 브라켓은, ㄷ자 형상의 가교부재와, 상기 통형의 접속부를 갖는 제1 및 제2 접속연결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접속연결부재와 상기 가교부재의 양단에 맞접촉한 후, 체결부재를 매개로 체결하여 고정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전력공급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부재의 중앙 평면부에는 어스가 가능한 부도체 지지구조물에 고정결합하기 위한 고정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전력공급장치.
KR20100036492A 2010-04-20 2010-04-20 비접촉전원장치 Active KR101192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6492A KR101192334B1 (ko) 2010-04-20 2010-04-20 비접촉전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36492A KR101192334B1 (ko) 2010-04-20 2010-04-20 비접촉전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843A KR20110116843A (ko) 2011-10-26
KR101192334B1 true KR101192334B1 (ko) 2012-10-17

Family

ID=45031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36492A Active KR101192334B1 (ko) 2010-04-20 2010-04-20 비접촉전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3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9909A (ja) 1998-09-09 2000-05-30 Yazaki Corp バッテリ接続プレ―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9909A (ja) 1998-09-09 2000-05-30 Yazaki Corp バッテリ接続プレ―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843A (ko)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76518B (zh) 移动车非接触供电系统及其磁场降低方法
US12280676B2 (en) Automatic transportation system
TW201210922A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II)
JPH08501436A (ja) 1次誘導線路
KR100670409B1 (ko) 비접촉 급전장치
JP7313417B2 (ja) 自動移送設備
TWI851926B (zh) 非接觸供電系統及搬運系統
JP2012055103A (ja) 走行車システム
JP2001016702A (ja) 非接触給電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ピックアップ部
KR101192334B1 (ko) 비접촉전원장치
KR100895449B1 (ko) 비접촉전원장치
JP3522413B2 (ja) 地上移動体の非接触給電装置
KR101332792B1 (ko) 급전선로를 세그먼트화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장치, 그 구동방법 및 급집전장치
JP2002064025A (ja) 非接触給電用給電線及び搬送システム
JP2011254669A (ja) 搬送車システム
JPH08308150A (ja) 非接触電力分配システム
KR101141718B1 (ko) 비접촉 전력공급장치의 거리 인디케이터
JP3909550B2 (ja) 非接触給電設備
KR100895444B1 (ko) 비접촉 전력공급장치
CN113302815B (zh) 非接触电力供给系统
JP4697181B2 (ja) 通信装置
KR100592433B1 (ko) 비접촉 급전장치
JP2002165302A (ja) 有軌道台車システム
JPH08205309A (ja) 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2005306241A (ja) 非接触給電装置における給電ループ連接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0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0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