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91623B1 - 세척가능한 점착 매트 - Google Patents

세척가능한 점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623B1
KR101191623B1 KR1020100000178A KR20100000178A KR101191623B1 KR 101191623 B1 KR101191623 B1 KR 101191623B1 KR 1020100000178 A KR1020100000178 A KR 1020100000178A KR 20100000178 A KR20100000178 A KR 20100000178A KR 101191623 B1 KR101191623 B1 KR 101191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mat
vehicle
present
adhesive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1498A (ko
Inventor
배진서
Original Assignee
배진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진서 filed Critical 배진서
Priority to KR1020100000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623B1/ko
Publication of KR20100021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62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28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dhesiv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20/00Type of materials or objects being removed
    • B08B2220/01Adhes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Landscapes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가능한 점착 매트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사용되는 물품 부착용 매트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상기 차량의 대시 보드에 점착되는 하부 점착 패드와, 상기 차량에 사용되는 거치 대상 물품을 고정하기 위한 거치대가 위치하게 되는 상부 점착 패드로 구분되고, 상기 상,하부 점착 패드의 연신율을 낮추는 필름이 상기 상,하부 점착 패드 사이에 더 개재되는 세척 가능한 점착 매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매트는 수시로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매트의 제작시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자기점착성에 의하여 점착력을 갖는 점착 매트를 적용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실리콘 수지 혹은 우레탄 수지의 연신율이 높아 쉽게 늘어지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 점착 부재와 하부 점착 부재로 분리하여 성형하고 그 사이에 연신율이 낮은 PVC 혹은 PET 필름을 삽입하며, 상부 점착 부재와 하부 점착 부재 사이에 점착력의 차이를 부여하기 위하여 상,하부의 경화제 첨가량을 달리하거나 혹은 하부 점착 부재의 저면에 오목 홈이 다수 형성되는 구조적 변화를 가하는 점착 매트를 개시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세척 후 다시 사용할 수 있어 원가가 절감되고 자주 폐기할 필요가 없어 환경오염의 우려가 낮으며, 세척을 위하여 점착 부재를 바닥에서 분리할 때도 바닥 표면에 하부 점착 부재가 달라붙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세척가능한 점착 매트{Washable Antistatic Sticky Mat}
본 발명은 세척가능한 점착 매트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사용되는 물품 부착용 매트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상기 차량의 대시 보드에 점착되는 하부 점착 패드와, 상기 차량에 사용되는 거치 대상 물품을 고정하기 위한 거치대가 위치하게 되는 상부 점착 패드로 구분되고, 상기 상,하부 점착 패드의 연신율을 낮추는 필름이 상기 상,하부 점착 패드 사이에 더 개재되는 세척 가능한 점착 매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매트는 수시로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매트의 제작시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자기점착성에 의하여 점착력을 갖는 점착 매트를 적용하였다.
통상적으로 반도체 공정에서 클린룸 안에 존재하는 먼지(Particle)는 공정상의 치명적 결과를 가져오게 되어 수율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먼지의 유입을 최대한 방지하여 높은 수준의 공기 청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클린룸에 들어갈 때 물로 손을 세척하고, 방진복, 방진화, 방진장갑, 방진마스크를 착용하도록 하고 있으며, 출입 직전에 에어 샤워실에서 강한 바람을 쐬어 옷 표면에 달라붙은 먼지들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에야 비로소 클린룸 내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방진화의 경우에는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해 인체를 지면에 어스시킬 수 있는 구조와 먼지 발생이 없는 재질로 된 신발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에어 샤워실에서 강한 바람을 쐬어 먼지를 제거하는 방식으로는 방진복 표면에 달라붙는 먼지들은 쉽게 제거될 수 있으나, 방진화 바닥에 달라붙은 먼지들을 제거하기는 어려워 바닥에 달라붙은 먼지들이 그대로 방진화 바닥에 잔류 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클린룸에 출입자가 많은 경우에는 방진화 바닥의 먼지를 제거하기가 더욱 곤란하다.
이와 같은 방진화 바닥에 달라붙은 먼지들을 쉽게 제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재질의 바닥판(10)과, 바닥판(10)의 상부에 다수(예컨대, 30매 정도) 적층되고 상면에는 접착면(b)이 구비된 부직포(30)와, 부직포(30)의 최상부에 적층되고 상면에는 비접착면(a)이 구비된 필름(31)을 포함하고, 부직포(30)를 낱개로 쉽게 박리할 수 있도록 모서리에는 손잡이편(42)이 더 설치됨으로써, 접착면(b)의 접착력이 상실된 부직포를 손잡이편(42)을 이용하여 위에서부터 한 장씩 박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클린룸 진입구 설치용 매트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접착력을 상실하여 박리된 부직포(30)는 재사용이 불가능하고, 폐기되어야 하는데, 부직포(30)는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폐기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상기 접착면(b)에는 아크릴 접착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아크릴 접착제는 환경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접착제로 인하여 원가상승의 부담을 갖게 된다.
그리고, 피접착제 표면에 접착제가 달라붙어, 제거시 표면에 이물질이 그대로 남게 되고, 이물질이 끈적거려서 피 접착제 표면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상기와 같은 매트를 차량용 또는 메모부착용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폐기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점착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 후에도 세척이 가능하고 반복 사용할 수 있는 점착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트 제거시 피 접착제 표면에 부직포 혹은 접착제 등 이물질이 남지 않고, 말끔하게 분리될 수 있는 점착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먼지 제거용 클린룸, 차량 거치대 부착용, 및 메모 부착용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산업 혹은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점착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에 사용되는 물품 부착용 매트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상기 차량의 대시 보드에 점착되는 하부 점착 패드와, 상기 차량에 사용되는 거치 대상 물품을 고정하기 위한 거치대가 위치하게 되는 상부 점착 패드로 구분되고, 상기 상,하부 점착 패드의 연신율을 낮추는 필름이 상기 상,하부 점착 패드 사이에 더 개재되는 세척가능한 점착 매트를 개시한다.
상기 매트의 상,하부 점착 패드는, 점착성을 가져 차량의 물품 및 차량의 대시 보드와 부착되는 우레탄 재질이거나, 혹은 우레탄 수지와 실리콘 수지의 복합 소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은 PVC 혹은 PET 중 하나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매트는, 상기 하부 점착 패드의 점착력을 상부 점착 패드의 점착력보다 높게 설정하기 위해, 상기 하부 점착 패드에 경화제를 더 첨가하거나, 혹은 상기 하부 점착 패드의 저면에 반구 형상의 오목 홈을 다수 형성하는 것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매트는, 상기 차량의 유리창을 통해 들어오는 햇빛을 가리기 위해 설치되는 햇빛 가리개의 흡착 고리와 점착력을 통해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단위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차량의 유리창에 탈/부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세척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어 원가절감을 기대할 수 있고, 폐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둘째, 세척을 위하여 점착 부재를 바닥에서 분리할 때도, 바닥 표면에 하부 점착 부재가 달라붙어 완전히 제거되지 않거나 바닥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아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셋째, 실리콘 수지 혹은 우레탄 수지 사이에 PVC 혹은 PET 필름을 삽입함으로써, 연신율이 낮아져서 사용이 용이한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넷째, 먼지 제거용 클린룸, 차량 거치대 부착용, 및 메모 부착용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산업현장, 가정, 기업의 사무공간 등에서 용도 및 활용공간에 대한 제한이 최소화된 상태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접착제 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접착제 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척가능한 점착 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세척가능한 점착 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척가능한 점착 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척가능한 점착 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가능한 점착 매트를 차량의 대시 보드에 사용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가능한 점착 매트를 차량의 유리창에 부착하는 햇빛 가리개에 사용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세척가능한 점착 매트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린룸에 사용되는 세척가능한 점착 매트는, 클린룸 내의 먼지와의 접착력을 위하여 별도의 접착제를 요구하지 않고, 다만 자체적인 점착성을 갖는 점착 매트(100)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점착 매트(100)는 변성우레탄 수지로 성형 되거나 혹은 실리콘 수지로 성형 되며, 점착력의 특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높이기 위하여 우레탄과 실리콘의 복합 소재로 성형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우레탄 혹은 실리콘 수지로 점착 매트(100)를 성형하게 되면, 부직포나 고무에 비하여 쿠션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우레탄과 실리콘의 복합 소재는 통상의 고무보다 마찰 강도나 장력이 우수하다. 이와 같은 마찰력과 장력을 이용하게 되면, 점착 매트(100)는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도 먼지를 방진화와 대차바퀴로부터 흡착하거나 혹은 점착 매트(100)를 클린룸 바닥에 점착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점착 매트(100)는 반도체 클린룸의 입구에 설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먼지, 머리카락 기타 이물질 등의 오염물질을 바닥이나 천장 기타 표면으로부터 수집하여 청소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점착 매트(100)를 우레탄과 실리콘의 복합 소재로만 성형하는 경우에는 연질의 성질이 있기 때문에, 연신율(延伸率)이 큰 단점이 있다. 연신율이란, 물질에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면, 끊어지지 아니하고 늘어나는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최대로 늘어난 길이와 원래 길이의 차를 원래 길이로 나누어 그 값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연신율이 크면 점착 매트(100)가 쉽게 늘어나 먼지가 쉽게 제거되지 못하고, 이를 발로 밟게 되면 점착 매트(100)가 늘어지게 되고, 점착 매트(100)를 밟고 지나가는 느낌이 좋지 않아 사용시 불편한 단점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점착 매트(100)의 연신율을 낮추기 위하여, 점착 매트(100) 사이에 필름(110)을 개재한다. 따라서, 우레탄과 실리콘 점착 매트에 점착 부재를 상하로 구분하고, 상부 점착 부재(120)와 하부 점착 부재(130) 사이에 필름(110)을 삽입하는 구성을 하게 된다.
당연히 필름(110)의 연신율은 상,하 점착 부재(120, 130)의 연신율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필름은 PVC, PP, PET 혹은 합성수지 필름을 사용한다.
상부 점착 부재(120)와 하부 점착 부재(130)는 점착력에 차이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점착 부재(130)는 클린룸의 바닥에 면접하게 구성되고, 상부 점착 부재(120)는 방진화 혹은 대차바퀴와 면접하게 구성되는데, 방진화 등과의 점착력이 클린룸과의 점착력보다 높게 되면, 점착 매트(100)가 딸려 올라가게 되고, 방진화 등의 먼지가 분리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하부 점착 부재(130)의 점착력이 상부 점착 부재(120)의 점착력보다 높게 구성된다. 예컨대, 하부 점착 부재(130)를 구성하는 우레탄 수지 혹은 실리콘 수지의 분자량은 10,000 이하로 형성하고, 상부 점착 부재(120)를 구성하는 우레탄 수지 혹은 실리콘 수지의 분자량은 10,000 이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부 점착 부재(120)가 하부 점착 부재(130)에 대하여 응집력은 높으나 부착력은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하부 점착 부재(130)에 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경화제의 첨가량을 조절하여 부착력을 높일 수 있다.
점착력의 차등을 두기 위하여 우레탄 수지 혹은 실리콘 수지의 배합비율이나 분자량을 조절하거나 경화제의 양을 조절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상,하부 점착 부재(120, 130)의 재질을 동일하게 구성하고, 다만, 하부 점착 부재(130)의 저면에 다수의 오목홈(132)을 형성하는 구조적 변화를 가할 수도 있다. 이때의, 오목 홈(132)은 반구 형상으로서, 홈이 형성된 부분은 홈이 형성되지 않는 주변보다 변형되는 정도가 강하기 때문에 점착력이 그만큼 높아지게 된다. 또한, 하부 점착 부재(130)는 방진화 등과 접촉하는 부분이 아니고, 클린룸 바닥에 설치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도 사용에는 전혀 지장이 없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세척가능한 점착 매트의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클린룸에는 점착 매트(100)의 하부 점착 부재(130)가 바닥과 면접하도록 고정된다. 이때, 하부 점착 부재(130)의 점착력이 상부 점착 부재(120)의 점착력보다 크기 때문에, 점착 매트(100)를 밟고 지나가는 것만으로는 점착 매트(100)의 위치에는 변함이 없다. 장시간 사용으로 출입자가 많은 경우에는 상부 점착 부재(120)에 먼지 등이 달라붙어 점착력이 저하되고, 이를 교체할 시기가 도래한다.
하부 점착 부재(130)의 점착력보다 큰 정도의 외력이 작용하면, 점착 매트(100)는 쉽게 분리되고, 물로 세척하게 되면, 상부 점착 부재(120)에 부착된 먼지 등이 모두 제거되고 점착 매트(100)의 점착력은 다시 살아난다. 하루 1회 내지 2회 정도 세척하여 사용하면 충분하다. 세척 후에 하부 점착 부재(130)를 바닥에 설치하면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점착 매트(100)는 방진화에 먼지를 제거함으로써 정전기를 없애주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보통 출입자가 복도를 걸을 때, 방진화와 바닥 사이의 마찰로 인해 발생 되는 정전기는 보통 4,000 ~ 13,000V 정도로서, 본 발명의 점착 매트를 사용하게 되면 106 ~ 7Ω/SQ 정도의 정전 분산(Static Dissipative)의 놀라운 효과를 보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린룸에 설치되는 점착 매트(100)는 한 번 사용하고 버려야 하는 1회용 제품이 갖는 경우의 문제, 즉 환경오염과 원가상승의 부담이 적을 뿐만 아니라,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물로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자기점착성에 의하여 점착력을 갖는 점착 패드를 클린룸 입구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점착 패드는 점착성에 의하여 쉽게 늘어지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질의 점착 패드 사이에 경질의 필름을 삽입하는 구성을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척가능한 점착 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점착 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구체적인 설명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가능한 점착 매트는, 별도의 접착제를 요구하지 않고, 다만 자체의 마찰 강도와 자기 점착력에 의하여 점착성을 갖는 매트(200)로서, 차량에 사용되는 물품을 부착시키는 용도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트(200)는 차량에 사용되는 다양한 물품을 부착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바, 차량의 대시 보드에 설치되는 거치대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매트(200)는 차량의 대시 보드(50)에 점착되는 하부 점착 패드(230)와, 상기 차량에 사용되는 거치 대상 물품을 고정하기 위한 거치대가 위치하게 되는 상부 점착 패드(220)로 구분되고, 상기 상,하부 점착 패드(220, 230)의 연신율을 낮추는 필름(210)이 상기 상,하부 점착 패드(220, 230) 사이에 더 개재된다.
이때, 상기 매트(200)의 상,하부 점착 패드(220, 230)는 자체의 마찰 강도와 자기 점착력에 의하여 점착성을 갖고, 상기 점착력에 의하여 차량의 물품 및 차량의 대시 보드(50)와 부착되는 우레탄 재질이거나, 혹은 우레탄 수지와 실리콘 수지의 복합 소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필름은 PVC 혹은 PET 중 하나를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매트(200)는 상기 하부 점착 패드(230)의 점착력을 상부 점착 패드(220)의 점착력보다 높게 설정하기 위해, 상기 하부 점착 패드(230)의 분자량이 상부 점착 패드(220)의 분자량보다 작게 하거나, 상기 하부 점착 패드(230)에 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경화제를 더 첨가하거나, 혹은 상기 하부 점착 패드(230)의 저면에 반구 형상의 오목 홈(232)을 다수 형성하는 것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를 차량의 대시 보드에 사용하는 일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매트(200)는 하부 점착 패드(230)의 일면을 도시된 차량의 대시 보드(50)에 부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대시 보드(50)에 자기 점착력에 의해 부착된 매트(200)의 상부 점착 패드(220)의 일면으로는 네비게이터, 소형 컴퓨터, 컵 받침대, 휴대폰 거치대, 및 차량 액세서리 등을 장착하기 위한 다양한 거치대가 부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를 차량의 유리창에 부착하는 햇빛 가리개에 사용하는 일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햇빛 가리개(60) 용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매트(200)는 상기 차량의 유리창을 통해 들어오는 햇빛을 가리기 위해 설치되는 햇빛 가리개(60)의 흡착 고리(61)와 점착력을 통해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단위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량의 유리창에 탈/부착되어 사용되어 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트(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비해 비교적 작은 형태로 구성됨을 알 수 있으며, 차량의 물품을 부착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됨에 있어서도 차량의 부착 물품의 크기에 따라 그 매트(200)의 크기가 달리 변형되어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가능한 점착 매트는 차량의 물품을 부착시키는 용도 외에, 메모지 혹은 안내문을 부착시키는 메모 부착용 매트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메모 부착용 매트로 사용되는 경우의 세척가능한 점착 매트를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메모지 혹은 안내문의 부착을 위해 사용되는 메모 부착용의 매트는, 자체의 마찰 강도와 자기 점착력에 의하여 점착성을 갖고, 점착력에 의하여 상기 메모지 혹은 안내문이 탈/부착될 수 우레탄 재질의 점착 매트, 혹은 우레탄 수지와 실리콘 수지의 복합 소재로 성형한 점착 매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이러한 점착 매트(20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특별히 이에 제한을 두지는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메모지(예; 포스트-잇 크기) 혹은 다양한 크기를 갖는 게시 안내문이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바, 그 크기는 사용되는 목적 및 장소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점착 매트(200)는 자기 점착력이 균일한 단일 패드로서 가정 혹은 사무 공간에 배치되는 컴퓨터, 책장, 책상, 게시판, 회의실, 주방, 냉장고, 가구, 주방 싱크대 등을 포함하는 각종 공간영역에 적용되어 부착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점착 매트(200)는 상기 메모지 혹은 안내문이 부착되는 상부 점착 패드(220)와, 컴퓨터, 책장, 책상, 게시판, 회의실, 주방, 냉장고, 가구, 주방 싱크대 등의 각종 부착 공간영역의 일면에 점착되는 하부 점착 패드(230)로 구분되고, 상기 상,하부 점착 패드(220, 230) 사이에는 점착 패드의 연신율을 낮추는 필름(210)을 더 개재할 수 있으며, 이때의 상기 필름(210)은 PVC 혹은 PET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착 매트(2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 점착 패드(230)의 분자량이 상부 점착 패드(220)의 분자량보다 작게 하거나, 상기 하부 점착 패드(230)에 경화제를 더 첨가하거나, 혹은 상기 하부 점착 패드(230)의 저면에 반구 형상의 오목 홈(232)을 다수 형성하는 것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적용하여 상기 하부 점착 패드(230)의 점착력을 상부 점착 패드(220)의 점착력보다 높게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모 부착용의 매트는 도 5 및 도 6의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며, 이러한 메모 부착용의 매트는 포스트-잇과 같이 부착 기능이 없는 일반 종이를 부착시키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즉, 가정에서 주부들이 냉장고 또는 주방 싱크대 등에 메모 내용을 부착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고, 사무 공간에 설치되는 컴퓨터 등에 부착되어 일반 종이를 부착시키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한 장소에 메모 부착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들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점착 매트 110 : 필름
120 : 상부 점착 부재 130 : 하부 점착 부재
132 : 오목 홈
200 : 점착 매트(매트) 210 : 필름
220 : 상부 점착 패드 230 : 하부 점착 패드
232 : 오목 홈

Claims (4)

  1. 차량에 사용되는 물품 부착용 매트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상기 차량의 대시 보드에 점착되는 하부 점착 패드와, 상기 차량에 사용되는 거치 대상 물품을 고정하기 위한 거치대가 위치하게 되는 상부 점착 패드로 구분되고, 상기 상,하부 점착 패드의 연신율을 낮추는 필름이 상기 상,하부 점착 패드 사이에 더 개재되며, 상기 필름은 PVC 혹은 PET 중 하나이고, 상기 매트는, 상기 하부 점착 패드의 점착력을 상부 점착 패드의 점착력보다 높게 설정하기 위해, 상기 하부 점착 패드에 경화제를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가능한 점착 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의 상,하부 점착 패드는, 점착성을 가져 차량의 물품 및 차량의 대시 보드와 부착되는 우레탄 재질이거나, 혹은 우레탄 수지와 실리콘 수지의 복합 소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가능한 점착 매트.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상기 차량의 유리창을 통해 들어오는 햇빛을 가리기 위해 설치되는 햇빛 가리개의 흡착 고리와 점착력을 통해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단위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차량의 유리창에 탈/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가능한 점착 매트.
KR1020100000178A 2010-01-04 2010-01-04 세척가능한 점착 매트 Expired - Fee Related KR101191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178A KR101191623B1 (ko) 2010-01-04 2010-01-04 세척가능한 점착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178A KR101191623B1 (ko) 2010-01-04 2010-01-04 세척가능한 점착 매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134A Division KR100997736B1 (ko) 2007-12-12 2008-02-29 세척가능한 점착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498A KR20100021498A (ko) 2010-02-24
KR101191623B1 true KR101191623B1 (ko) 2012-10-17

Family

ID=42091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178A Expired - Fee Related KR101191623B1 (ko) 2010-01-04 2010-01-04 세척가능한 점착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6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212Y1 (ko) * 2013-04-08 2013-08-01 강세원 물품 거치용 점착시트
KR20160002837U (ko) 2015-02-06 2016-08-17 김호진 물품 고정 및 거치용 점착성 시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845Y1 (ko) * 2000-05-10 2000-10-16 홍대식 청정실용 신발 바닥 먼지제거 메트
KR200304944Y1 (ko) * 2002-10-28 2003-02-19 함명수 다용도 흡수 시트
KR200399699Y1 (ko) * 2005-06-07 2005-10-27 이용길 음이온 광촉매 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845Y1 (ko) * 2000-05-10 2000-10-16 홍대식 청정실용 신발 바닥 먼지제거 메트
KR200304944Y1 (ko) * 2002-10-28 2003-02-19 함명수 다용도 흡수 시트
KR200399699Y1 (ko) * 2005-06-07 2005-10-27 이용길 음이온 광촉매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498A (ko) 201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8123551A (ru) Стирающий материал
KR101191623B1 (ko) 세척가능한 점착 매트
KR100997737B1 (ko) 세척가능한 점착 매트
KR100997736B1 (ko) 세척가능한 점착 매트
US20130266753A1 (en) Rubber pad capable of repeated washing and peeling
CN214215021U (zh) 一种一次性静电粘尘擦拭布
JP5133630B2 (ja) 粘着性マット
JP3127282U (ja) 転倒防止用シート
JP5839680B2 (ja) ゴミ取りシート
CN211522082U (zh) 多功能双面固定贴
KR200321016Y1 (ko) 크린룸 진입구 설치용 접착쿠션매트
CN211155039U (zh) 一种置物防滑垫
JPH08196504A (ja) クリーナ用ゴミ吸着体
JP6125570B2 (ja) 交換部材の固定手段
KR20120128861A (ko) 차량용 매트
KR20150004639U (ko) 클리너가 내장된 휴대형 거울
US20240349982A1 (en) Adhesive wiping cloth
JP3209164U (ja) 携帯端末の安定保持シート
JP2006334024A (ja) 吸振用下敷き材
KR200478270Y1 (ko) 책상용 항균 매트
KR20220012572A (ko) 제전 기능을 구비한 클린룸용 점착 매트
CN219306631U (zh) 一种无纺布清洁贴
KR20210107264A (ko) 제전 기능을 구비한 클린룸용 점착 매트
CN214771422U (zh) 一种具有清洁吸污效果的摩擦布
CN222314445U (zh) 一种耐撕裂的无纺纸墙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1-apl-PJ020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1125

Effective date: 20120831

PJ1301 Trial decision

Decision date: 20120831

Appeal event data comment text: Appeal Kind Category :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Ground Text : 2010 0000178

Appeal request date: 20101125

Appellate body name: Patent Examination Board

Decision authority category: Office appeal board

Decision identifier: 2010101009035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5-crt-PJ1301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S090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S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0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1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3101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1011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