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88091B1 - 적어도 하나의 인쇄패턴을 가진 전자카드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적어도 하나의 인쇄패턴을 가진 전자카드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8091B1
KR101188091B1 KR1020097018095A KR20097018095A KR101188091B1 KR 101188091 B1 KR101188091 B1 KR 101188091B1 KR 1020097018095 A KR1020097018095 A KR 1020097018095A KR 20097018095 A KR20097018095 A KR 20097018095A KR 101188091 B1 KR101188091 B1 KR 101188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card
thick film
patterns
film she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8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8650A (ko
Inventor
프랑소와 드로
Original Assignee
나그라아이디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그라아이디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나그라아이디 에스.에이.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08/051447 external-priority patent/WO2008101807A1/fr
Publication of KR20090108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8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09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8Controll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B42D25/485Controll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by electronic proces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42D25/45Associating two or more 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1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manufactured in a continuous process, e.g. using endless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카드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카드제작방법은,
A)복수의 전자유닛 또는 모듈(28)을 각각 내장한 후막시트(36)의 형태로 복수의 카드 몸체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B)잉크가 상기 제 1 패턴들을 형성하기 위해 제 1 면 위에 제공되는 프린팅 스테이션에서 상기 후막시트의 제 1 면(21) 위에 복수의 제 1 패턴(14)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C)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코팅(38)을 각각의 제 1 인쇄패턴 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한 코팅은 상기 카드 몸체에 접착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 카드제작방법은 또한 상기 제 1 코팅을 형성하는 필름(38)의 내측 표면 위에 복수의 제 2 패턴(40)들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 1 패턴을 인쇄하는 단계는 고선명도의 패턴들을 인쇄하기 위해 오프셋 타입의 스테이션, 특히 암호화 타입의 프린팅 스테이션에서 수행된다. 제 2 패턴들은 개인 정보를 형성한다. 인쇄된 후막시트(36)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간생성물을 구성한다.
Figure R1020097018095
프린팅 스테이션, 인쇄패턴, 후막시트, Offset 프린팅 스테이션, 박막수지층, 프린팅 서포트, 암호화 프린트, 접착경계면

Description

적어도 하나의 인쇄패턴을 가진 전자카드 제작방법{METHOD OF FABRICATING ELECTRONIC CARDS INCLUDING AT LEAST ONE PRINTED PATTERN}
본 발명은 전자카드 즉 적어도 하나의 전자유닛을 포함하며 임의의 형태 또는 윤곽을 가진 카드를 제작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특히 도금(overlay)과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코팅에 의해 보호되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패턴을 가지는 전자카드의 제작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을 실시할 때, 제작된 카드는 카드의 평평한 두 평면들 위에 인쇄패턴을 가지며, 각각의 인쇄패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도금에 의해 보호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두께들과 다양한 치수들을 가진 모든 타입의 전자카드에 적용되는 것임을 유의해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매우 작은 두께를 가진 은행카드와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 가령, 예를 들어 대략 0.8 밀리미터를 가진 전자카드를 제작하기 위하여 특별히 효율적이고 이점들이 있다.
본 발명은 특히 높은 품질의 인쇄패턴을 가진 카드, 가령, 예를 들어, 위조하기 어려운 암호화 인쇄(security impression)가 된 은행카드 또는 신분증에 관한 것이다.
카드 제작방법은 미국특허번호 WO 2004/074000호에 공지되어 있으며, 다수의 카드 층들이 조립되고 난 뒤 레이저 빔에 의해 데이터 기록이 수행된다. 이를 위하여, 레이저로 기록될 수 있는 특별한 층이 카드 내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글자 또는 패턴을 기록하는 방법은 제한적이며 레이저 빔이 원하는 패턴과 일치하는 라인을 따라가야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긴 시간 주기를 필요로 한다. 이 방법은 개별적인 카드 기록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카드의 특정 표면을 완전히 덮거나 또는 다른 색상으로 패턴을 만드는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다. 게다가, 이 기술은 카드 내에 특별한 레이저 민감성 층(laser sensitive layer)의 통합(integration)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 레이저 기록 기술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이며, 이는 제작된 카드들을 형성하는 시트 표면들 또는 경질 층(solid layer) 위에 침적된 잉크로 인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관하여, 카드의 양 측면들 위에 잉크로 패턴들을 인쇄하는 종래의 전자카드 제작방법을 하기에 기술할 것이다. 이 종래의 방법에서 3개의 주요 단계들이 구체화될 수 있다. 우선, 복수의 전자모듈(4)을 구성하는 인레이(inlay, 2)가 형성된다. 전자모듈(4)은 다양한 전자소자(8, 9 및 10)들을 수용하는 기판(6)으로 형성된다. 이 전자모듈은 어떠한 유형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기판 없이 서로 연결된 전자소자들로 형성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에서, 2개의 불투명 중간층(12 및 13)들이 제공되는데, 이 중간층 위에 제 1 및 제 2 패턴(14 및 15)이 각각 인쇄된다. 높은 품질의 프린트를 얻기 위하여, 중간층들의 색상이 하양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중간층들이 제 1 및 제 2 패턴이 인쇄되는 동안에 안정되어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의 당업자는 충분한 두께를 가진, 예를 들어, 통상 100 마이크론보다 큰 PVC 층들을 선택한다. 고선명 프린트(high definition print)를 가진 카드 특히 신분증을 얻기 위하여, 종래 기술의 당업자는, 바람직하게, 120 내지 150 마이크론 사이의 두께를 가진 중간층들을 선택한다. 최종적으로, 2개의 투명 오버레이(overlay, 16 및 17)가 인쇄패턴들 상에 위치되며, 인레이(2), 2개의 중간층(12 및 13) 및 2개의 오버레이(16 및 17)는 (수직방향 화살표들로 표시된) 라미네이팅 스테이션(laminating station) 내에 위치되어 다양한 층들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복수의 인쇄 전자카드를 형성하는 판을 만들게 된다. 개별 카드들은 상기 판에서 최종적으로 절단됨으로써 얻어진다.
투명 오버레이(16 및 17)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50 내지 100 마이크론 사이가 되며 60 내지 80 마이크론 사이가 바람직하다.
통상, ISO 표준에 따라 0.76 내지 0.86 mm 사이의 두께를 가진 은행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외측의 보호층들과 중간층들의 전체 두께는, 예를 들어, 12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가진 중간층들과 6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가진 외부층들이 선택될 때 최대 360 마이크론(0.36 mm)이 됨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ISO 표준 내에 있는 카드를 얻기 위하여, 전자유닛들을 포함하는 인레이는 480 마이크론보다 작은, 달리 말하면 400 내지 48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가져야 한다.
인레이(2)의 높이가 제한되기 때문에, 상기 인레이(2) 내에 통합구성될 수 있는 전자소자의 높이도 또한 제한된다. 전자카드가 전자소자의 높이가 예를 들어 대략 300 마이크론인 적어도 하나의 전자소자를 포함하는 경우, 인레이를 형성하는 재료의 두께는 전자소자의 두께보다 약간 더 얇거나 두껍다. 이러한 상황에서 적절한 평평한 표면을 가지며 열이 가해질 때 균질한 행태를 보이는 인레이를 얻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위에서 기술한 종래의 방법의 라미네이팅(laminating) 단계 동안, 중간층들은 전자소자들 상의 중첩된 영역들 내에서 국소변형을 쉽게 일으키게 될 것이다. 인레이(2)가 종종 표면 파상도(surface waviness)를 가진다는 사실에 따라 라미네이션 동안 이 파상도를 가능한 최대로 감소시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열에너지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열효과 하의 인레이 변형 및 파상도를 위해 상쇄하는 것은 중간층들 내에서 변형을 발생시키며, 라미네이트된 다층(multi-layer)들 내의 이 중간층들의 위치 때문에, 상기 중간층들은 연화되며 변형에 쉽게 노출되거나 또는 약간 펼쳐진다. 이 중간층들이 실질적으로 인레이보다 더 많은 열에너지를 수용하고 상기 인레이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짐에 따라, 상기 중간층들은 일반적으로 가장 현저한 변형을 거치게 된다. 이 중간층(12 및 13)들이 인쇄패턴들을 가지기 때문에, 패턴들은 최종 라미네이팅 단계 동안 쉽게 손상된다.
전자소자들이 위치되는 영역들에서, 전자소자들이 인레이의 표면들에 근접할 때 이 영역들에서 상기 재료의 작은 두께를 고려하면, 인레이의 표면 상태에 영향을 비치는 열이 존재할 때 인레이(2)를 형성하는 재료들의 다른 행태에 의해, 국소변형들이 발생되는 것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층들을 조립하기 위해 열에너지가 공급되는 라미네이팅 단계 동안, 전자소자들이 위치되는 영역들에서의 재료의 행태 및 이 전자소자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생기는 임의의 돌출부분(bump)은 연화된 중간층들에서 국소적인 방식으로 재료의 작은 변위를 발생시키며, 이는 인쇄패턴들이 중간층들 위에 표시되게 한다. 최종적으로, 전자소자들의 더 큰 경화성(hardness)이 언급될 것이며, 중간층들이 전자소자들로부터 짧은 거리에 위치될 때 라미네이션 동안 쉽게 중간층들을 표시한다.
위에서 기술된 종래의 제작방법은 전자유닛들 또는 모듈들을 일체구성하는 인레이가 프레스에서 평평한 표면들로 만들어지게 하며, 그에 따라 이 전자유닛들 또는 모듈들은 카드 제작 동안 굽어진다. 종래 기술의 당업자는 이 사실을 전자카드 제작방법, 특히 전자유닛들 또는 모듈들이 다양한 전자소자들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큰 크기 및/또는 전기적 연결을 가질 때 핵심적인 요소로 간주한다. 따라서 인레이(2) 또는 중앙시트가 전체적인 카드제작방법 동안 굽어지거나 또는 휘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종래 기술의 당업자는 위에서 언급한 종래의 방법을 카드의 양 측면들 위에 높은 퀄리티의 프린팅을 얻기 위해 적절한 것으로 간주한다. 불투명 중간층들은 평평한 표면과 균질한 프린팅 서포트를 형성한다. 게다가, 종래 기술의 당업자는 이러한 중간층들이, 특히 이들이 실린더 프린팅 스테이션, 특히 Offset 타입의 프린팅 스테이션을 사용할 때, 고선명도의 인쇄패턴을 수용하도록 사용될 필요가 있다고 간주한다. 프린팅 스테이션이 실린더들의 원통형 표면들 위로 팽팽해지기(taut) 때문에, 종래 기술의 당업자는 한편으로는 전자소자들을 일체구성 하 는 인레이를 제작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어 PVC 시트에 의해 전적으로 형성된 균일한 층 위에 높은 퀄리티의 프린트를 만든다. 다음으로, 이 층들은 조립되어야 하는 평평한 표면들 사이에서 층들이 가압되는 라미네이팅 스테이션에서 조립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당업자는 통상 높은 퀄리티의 프린팅용 서포트, 특히 Offset 프린팅용 서포트로서, 대략 100 내지 15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가진, 균질한 플라스틱 시트들을 사용하려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관찰된다. 당업자는 이 시트들이 실린더 프린팅 스테이션에서 적절하게 행동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따라서 이들은 전자소자들을 일체구성하는 인레이를 형성하는 것과 균질의 가요성 서포트 위에 프린팅하는 것을 분리한다. 다음으로, 이들은 카드들의 양 측면 위에서 가시화되는 인쇄패턴들을 가진 전자카드들을 얻기 위해 일반수준의 기술로 이 층들을 조립한다. 프린팅 서포트로서 사용되는 중간층들은, 바람직하게, 서포트가 프린팅 스테이션에서 안정적이 되는 것을 보장하고 그리고 그 후의 라미네이팅 단계 동안 이 중간층들을 분리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특정 두께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당업자에 의해 사용되는 종래 방법은 인레이(2)의 제한된 두께로 인해 첫 번째 결점을 가지게 되는데, 이 제한된 두께는 일체구성된 전자소자들의 높이를 제한하고 전자소자들이 최종 카드를 형성하도록 사용되는 열간 프레스 내로 통과할 때 인쇄된 중간층들에서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위에서 기술한 종래 방법의 그 외의 다른 결점들은 비제한적인 방식임을 유 의해야 한다. 500 마이크론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진 인레이로 구성된 다층(multi-layer)을 라미네이팅 함으로써, 각각이 100 마이크론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진 2개의 중간층들 및 60 내지 80 마이크론 사이의 두께를 가진 2개의 투명 아웃레이들은 상대적으로 값비싼 라미네이팅 스테이션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게다가, 인레이(2)가 약간의 표면 파상도와 내부 응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이 형성되는 것은 재료가 되며, 다양한 층들을 라미네이팅하는 것은 특히 이 방법에 포함된 파라미터, 즉 라미네이팅 사이클의 길이 및 압력,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카드 제작방법을 잘 제어할 필요가 있다. 높은 퀄리티의 카드를 제작하기 위해 필요한 중요한 노하우를 고려하면, 라미네이팅 단계는 전문가들에 의해 이러한 기술들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국소적인 훼손 없이 고선명도의 인쇄패턴들을 가진 카드를 얻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사실에 덧붙여, 이러한 카드를 제작하는 것은 높은 퀄리티의 카드를 얻고자 할 경우 전문 제조업자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플라스틱 시트 프린팅 스테이션에 인쇄된 중간층들과 전자소자들을 일체구성하는 인레이들의 개별적인 제작으로부터 기대되는, 카드 제작 마무리(finish)에서 융통성은 실제적으로는 사용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분배업자 또는 카드 사용자 외의 지역에서 카드의 최종 조립과 프린팅을 수행하는 것을 고려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가능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인 방법을 통해 매우 높은 퀄리티의 인쇄패턴, 특히 고선명도의 패턴들을 가진 전자카드들을 제공하는 합리적인 해결책을 제공함으로써,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다양한 결점들을 극복하는 전자카드 제작방법을 제안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더 낮은 선명도를 가질 수 있는 개인화된 패턴(personalised pattern) 및 고선명도의 암호화 패턴(security pattern)을 가지는 카드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 방법으로 개인화된 패턴이 용이하게 인쇄될 수 있으며 카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코팅을 추가함으로써 개인화된 패턴의 보호를 보장할 수 있도록 또 다른 위치에서 쉽게 완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각의 카드가 카드 몸체 내에 일체구성 되거나 또는 내장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카드 몸체의 제 1 표면의 측면 위에 적어도 제 1 인쇄패턴을 포함하는 카드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카드제작방법은,
A)복수의 전자유닛들 또는 모듈들을 각각 일체구성 하거나 또는 내장한 후막시트의 형태로 복수의 카드 몸체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B)잉크가 상기 제 1 표면 위에 침적되어 제 1 패턴들을 형성하는 프린팅 스테이션에서 상기 후막시트의 제 1 표면 위에 복수의 제 1 패턴들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C)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코팅을 각각의 제 1 인쇄패턴 위에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한 코팅은 상기 카드 몸체에 접착된다.
이 방법의 주된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 2 패턴들은 또한 프린팅 스테이션에서 후막시트의 제 2 표면 위에 인쇄되며, 이 프린팅 스테이션에서 잉크는 상기 제 2 표면 위에 침적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코팅은 상기 카드 몸체에 접착된 각각의 제 2 인쇄패턴 위에 배치된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패턴들이 인쇄되고 난 뒤 제 1 및 제 2 코팅, 특히 2개의 플라스틱 필름들이 동시에 추가된다. 이 코팅은 또한 잉크 서포트로부터 전달됨으로써 침적된 투명 잉크 또는 래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래커 또는 투명 잉크는 각각의 표면이 인쇄되고 난 뒤 직접 침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한 변형예에 따르면, 각각의 전자유닛들 또는 모듈들을 일체구성 하거나 또는 내장하는 복수의 카드 몸체들을 형성하는 상기 후막시트의 두께는 제작된 카드들의 최종 두께의 2/3보다 더 크거나 또는 거의 동일하다. 특히, 0.76 내지 0.84 mm 사이의 ISO 두께를 가지는 카드를 위해, 상기 인쇄된 후막시트의 두께는 0.60 mm(600 마이크론)보다 더 크거나 또는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2개의 외부 필름들은 각각 2개의 코팅들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막시트의 제 1 표면 위에 상기 복수의 제 1 패턴들을 인쇄하기 위해 사용된 프린팅 스테이션은 프린팅 서포트(printing support)로서 사용되는 몇 개의 실린더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전자유닛들 또는 모듈들을 일체구성 하는 후막시트는 인쇄 단계 동안 상기 실린더들의 표면들에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이에 따라 후막시트들은 프린팅 스테이션에서 만곡되거나 또는 굽어지며, 이는 종래 기술의 당업자들이 통상 피하려고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프린팅 스테이션은 고선명 프린팅 용도의 오프셋 프린팅 스테이션이거나 또는 이와 유사한 프린팅 스테이션이다.
후막시트의 표면들 위에 몇몇 연속적인 프린트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한 것임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우선적으로, 고선명도의 제 1 패턴, 특히 암호화 패턴은 후막시트의 제 1 표면 위에 만들어지는데 이는 중요한 수단을 실시하지 않고서는 복제하기 어렵다는 의미이다. 다음으로, 클라이언트의 스테이션에서 일반적으로 더 낮은 선명도를 가지지만 반드시 그렇지는 않는 제 2 프린트가 제 1 프린트 위에 직접적으로 또는 상기 제 1 프린트 위에 배열된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미세한 중간층 위에 연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제 2 프린트는 개인 정보를 정의할 수 있다.
제 1 패턴들을 따르는 프린트들은 시트 내에서 카드 몸체를 절단하는 단계 후에 각각의 카드 몸체 상에서 후막시트 위에 제공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후자의 경우, 스테이션에서 카드 차례대로 제작을 완료하기 위하여 코팅이 개별적인 카드 몸체 각각의 인쇄패턴들에 추가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또는 플레이트 또는 시트(플레이트 내에 일체구성 되거나 혹은 내장된 전자소자들을 가진 시트 또는 이 전자소자들을 가지지 않은 시트)로부터 카드를 제작하는 배치 방법에서, 각각의 카드를 독립적으로 인쇄하고 그리고 난 뒤 특정 두께를 가진 플라스틱 오버레이로 카드의 프린트를 덮기 위해 유리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제 1 인쇄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포함하지 않는 각각의 카드 몸체는 최종 카드의 윤곽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진 초기 윤곽으로 플레이트로부터 절단된다. 다음으로, 적어도 하나의 특정 프린트가 각각의 카드 몸체 위에 인쇄되며 예를 들어 40 내지 8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가진 오버레이가, 박막수지층을 포함하여 또는 이 박막수지층 없이, 상측에 추가되고 그리고 상기 카드 몸체들의 더 큰 형태에 적합하도록 작은 프레스에서 카드 차례대로 조립된다. 최종적으로, 카드의 최종 윤곽은 상기 초기 윤곽의 내부를 절단한다. 이에 따라 균일한 절단면을 가진 깨끗한 카드 에지와 카드 몸체를 가진 라미네이트된 오버레이를 가지면서도, 상기 제작 방법의 독립적인 제 2 단계에서 카드의 개별적인 제작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높은 퀄리티의 카드 제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각각의 카드가 카드 몸체 내에 일체구성 되거나 또는 내장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카드 몸체의 제 1 표면의 측면 위에 적어도 제 1 인쇄패턴을 포함하는 카드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카드제작방법은,
A)복수의 전자유닛들을 각각 일체구성 하거나 또는 내장하는 후막시트의 형태로 복수의 카드 몸체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B)각각의 제 1 패턴이 다른 카드 몸체 위에 있게 되도록 상기 후막시트의 제 1 표면 위에 복수의 제 1 패턴들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C)부분적으로 투명한 필름의 표면 위에 또는 복수의 부분적으로 투명한 필름들 각각 위에 복수의 제 2 패턴들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D)상기 후막시트의 제 1 표면의 측면 위에 상기 필름 또는 상기 복수의 필름들을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 2 패턴은 다른 카드 몸체 위에 위치되며, 또는, 상기 후막시트에서 카드 몸체들을 절단하는 단계 후에, 상기 각각의 복수의 카드 몸체들 위에 상기 복수의 필름들을 배열하고, 이에 따라 필름들 또는 필름의 인쇄표면은 상기 필름의 한 부분의 인쇄표면 또는 후막시트의 측면 위에 위치되거나 혹은 상기 필름들 중 하나의 인쇄표면은 각각의 카드 몸체의 측면 위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패턴들은 상기 필름 또는 상기 필름들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시화되고,
E)상기 필름 또는 상기 복수의 필름들로 상기 후막시트를 조립하는 단계 혹은 상기 필름들 중 하나 또는 상기 필름의 한 부분으로 각각의 카드 몸체를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이점들을 유지하면서도, 상기 방법은 특히 일반적인 기본 프린트를 형성하는 고선명도의 암호화 패턴 예를 들어 은행카드 또는 신분증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개인화된 패턴을 가진 복잡한 프린트가 수행되도록 하게 하는 개선점을 제공하는데, 이 기본 프린트 위에서 또는 위로 제 2 인쇄패턴이 다른 서포트 위에 배열된다. 따라서 상기 개선된 제작방법에 따라 육안으로는 실질적으로 지각할 수 없는 고선명도의 암호화 패턴과 개인화된 패턴이 쉽게 겹치게 할 수 있다.
용어 "개인화된 패턴(personalised pattern)" 또는 "개인 정보(personal data)"는 무슨 용도인지 즉 회사를 위한 용도인지, 개인용인지, 동물 또는 대상물이 뭔지에 기초하여 그 특성이 변경되는 임의의 프린트를 의미한다. 이 개인화된 프린트는 다수의 및/또는 하나의 사진, 로고, 브랜드 등이 될 수 있다.
개별적인 카드들을 절단하는 단계가 D)단계 전에 또는 E)단계 후에 수행될 수 있다. 필름이 조립 프레스에 의해 카드 몸체와 접촉하여 위치되는 경우 D)단계와 E)단계가 거의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카드의 최종 절단 때까지 플레이트로 작업할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의 카드 몸체를 각각의 투명한 오버레이로 조립함으로써 카드들을 차례대로 완료할 수 있다. 심지어, 카드 몸체를 위한, 인쇄패턴을 포함하는 필름의 한 부분에 마주보게 개별적으로 추가된 (이미 절단된) 각각의 카드 몸체 및 동일한 필름 위에 복수의 인쇄패턴들을 가진 스테이션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러면, 예를 들어, 열간 프레스(hot press)가 필름의 상기 부분을 개별적인 카드 몸체로 조립하도록 사용될 수 있으며 오직 필름의 그 부분만이 카드 몸체 내에서 절단된다. 그러므로 작업은 사진 필름과 같은 스트립 형태의 필름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카드의 최종 윤곽은 각각의 카드 몸체 내에서 절단되며, 이는 최종 카드의 윤곽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진다.
바람직한 한 변형예에 따르면, B) 인쇄단계 후에, 상기 제 1 인쇄표면은 D)단계 전에 상기 제 1 인쇄패턴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 필름 또는 래커로 덮힌다.
첫 번째 특정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보호 필름 또는 상기 래커는 후막시트의 제 1 인쇄표면 위에 탈착가능하게 배열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필름(들)은 상기 제 1 인쇄표면 위에 배열된다. 이러한 특징들은 제 2 패턴들을 가진 프린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필름(들)이 후막시트의 제 1 인쇄패턴 위로 추가되는 순간까지 제 1 인쇄패턴들이 보호되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이 후막시트는 인쇄패턴들을 손상시킬 위험성이 전혀 없이 인쇄 후에 저장될 수 있고 및/또는 이송될 수 있다. 이것은 제 1 인쇄패턴들이 고선명도의 암호화 프린트를 형성할 때 특히 중요하다.
또 다른 특정 변형예에 따르면, 후막시트의 제 1 표면을 덮고 있는 보호 필름 또는 래커는 시트에 적절하게 접착되고 이들은 E)단계에서 조립 동안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필름 또는 필름들과 후막시트 사이에 접착경계면을 형성하도록 선택된다. 위에서 기술된 또 다른 특정 변형예에서도 동일한 혜택들이 얻어지지만, 보호 필름 또는 래커는 제작된 카드의 한 부분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하도록 만들어진다.
몇몇 특별한 분야와 몇몇 시장 특히 신분증 시장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방법은 B)단계와 D)단계가 서로 다른 국가들에 위치될 수 있는 서로 다른 생산현장에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후막시트 위의 제 1 인쇄패턴은 인쇄기술의 매우 우수한 제어와 고가의 장치를 필요로 하는 일반적인 암호화 프린트를 정의하는 것이며, 투명 필름 위의 제 2 인쇄패턴은 더 낮은 선명도를 가질 수 있으며 노하우를 덜 필요로 하고 덜 비싼 수단을 사용하는 목적 국가에서 인쇄되는 개인화된 프린트를 정의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개선 방법은 2개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오버레이들이 후막시트로 라미네이트 되게 하고 A)단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 에너지의 양에 대해 에너지의 작은 공급량을 통해 양 측면들 위에 인쇄되게 해 주며, 이로써 후막시트의 변형들을 제한하고 심지어 제 1 인쇄패턴들에서 지각가능한 어떠한 변형들도 방지한다. 하지만, 인쇄된 시트의 안정성이 더 크기 때문에, 변형이 거의 되지 않거나 또는 변형이 없는, 종래 기술과 같이, 특히 열의 공급을 가진 제작을 고려해 볼 수도 있다. 이것은 열간 프레스에서 플레이트의 스택이 배열될 때 중간 플레이트에 열이 도달하게 하도록 제공되어야 한다.
제일 처음 언급했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놀랍게도 종래 기술의 당업자는 매우 높은 퀄리티의 인쇄패턴을 가진 이러한 전자카드 제작방법을 고려하지 않고 있는데, 이 제작방법에서, 제 1 패턴을 위한 프린팅 스테이션은 프린팅 서포트로서 사용되는 몇 개의 실린더들로 구성되며, 복수의 전자유닛들을 일체구성 하는 후막시트는 인쇄 단계 동안 상기 실린더들의 표면 위에 연속적으로 배열되며 따라서 상기 프린팅 스테이션에서 수차례 굽어진다. 놀랍게도, 다양한 테스트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더 유연한 후막시트에 내장된 전자유닛들 또는 모듈들은, 몇몇 경우에서, 상기 전자유닛들 또는 모듈들이 손상되지 않고 이러한 타입의 프린팅 스테이션을 통과할 수 있다. 특정 전자소자들이 상당한 크기를 가질 때, 가능하다면, 이 소자들에게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어느 정도의 가요성과 용량을 제공하도록 주의가 기울여질 것이다. 전자소자들 간의 전기연결과 결합에 관해서 예방조치들이 필요할 수도 있다. 특히 가요성의 서포트와 미끄러지는 전기 접촉이 바람직할 것이다.
바람직하게, 제 1 패턴들용으로 제공된 프린팅 스테이션은 고선명 프린팅을 만들기 위한 오프셋 프린팅 스테이션이거나 또는 이와 유사한 프린팅 스테이션이다.
한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 3 패턴들은 또한 프린팅 스테이션에서 후막시트의 제 2 표면 위에 인쇄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코팅은 상기 후막시트에 의해 형성된 카드 몸체들에 접착되는 각각의 제 3 인쇄패턴 위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제 1 및 제 2 필름들은 다양한 프린팅 단계들이 수행되고 난 뒤 동일한 단계 동안 추가되고 조립된다.
제일 처음 언급했었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와 같이, 바람직한 한 변형예에서, 상기 후막시트의 두께는 제작된 카드들의 최종 두께의 2/3보다 더 크거나 또는 그에 거의 동일하다. 은행카드의 특정 경우에서, 인쇄된 후막시트의 두께는 0.60 mm보다 더 크거나 또는 그에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후막시트의 제 1 인쇄표면, 각각 제 2 인쇄표면 위에 또는 하나 혹은 이러한 2개의 표면들에 추가된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필름의 인쇄표면 위에 배열되거나 혹은 침적된 박막수지층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박막수지층은 상기 박막수지층이 필름과 후막시트 사이에 접착경계면을 형성하도록 선택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박막수지층은 인쇄패턴 위에 배열된다. 하지만, 한 변형예에서, 우선적으로 서포트의 표면 위에 박막수지층을 침적하고 그리고 난 뒤 상기 수지를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특히 열에너지의 특정 양이 박막수지층에 전달되는 라미네이션에 의해, 조립 단계 동안 약간 펼쳐지는 잉크들을 피하기에 어렵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 후자의 변형예는 중요하다(delicate).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몇 가지 이점들을 가진다. 우선, 투명한 코팅에 의해 보호되는 적어도 하나의 높은 퀄리티의 인쇄패턴을 가진 카드를 제작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보다 더 두꺼운 전자유닛들을 일체구성 하는 인레이(inlay)들을 제조할 수 있다. 서로 다른 2개의 경우들이 구분될 수 있는데,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후막시트는 중요한 이점을 지닌다. 첫 번째 경우에서, 더 큰 두께를 가진 카드 몸체는 종래 기술의 방법에서 통합될 수 있는 전자소자들보다 더 높은 전자소자들을 통합할 수 있다. 두 번째 경우에서, 주어진 전자유닛 또는 모듈을 위해, 전자소자들의 표면들의 상측과 바닥을 덮고 있는 재료의 양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법의 경우에서보다 더 많다. 따라서, 전자소자들의 위와 아래에 후막층을 형성하는 재료의 두께는 더 큰데, 이는 프린팅의 퀄리티를 우수하게 하기 위해 보다 용이하게 완전히 평평한 표면 상태가 얻어지게 할 수 있다. 사실, 인쇄된 시트의 평평도는 인쇄패턴의 완전한 복제를 구현하기 위해 중요하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전자소자들을 덮고 있는 재료의 두께가 너무 작을 때, 전자소자들은 일반적으로 카드 몸체 표면에 어떤 파상도(waviness)를 생성시킨다. 이것은 특히 적어도 2개의 플라스틱 시트들을 가압함으로써 카드 몸체들을 형성하는 시트가 얻어지는 경우이며, 전자소자들은 이 플라스틱 시트들 사이에 배치된다. 이 전자소자들이 연화된 플라스틱층들을 통과할 때, 재료가 변형되어 전자소자들이 상기 플라스틱층 내에 수용되게 하거나 또는 내장되게 하는데, 이는 층들을 형성하는 재료 내에서 내부 인장력 또는 응력을 야기한다. 카드 몸체들을 형성하는 시트들이 프레스로부터 제거될 때, 특히 전자소자들을 덮고 있는 오직 작은 두께만이 존재할 때, 전자소자들이 위치한 영역들에서 약간의 돌출부분(bump)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전자소자들을 덮고 있는 재료의 두께를 증가시키고 후막시트를 위한 더 좋은 표면 상태를 만들어 우수한 프린팅 서포트를 형성하고 훌륭한 평평도 수준을 보여준다. 게다가 이 후막시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아웃레이로 최종 조립 단계 동안 보다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하게 될 것이다. 프린팅 단계들 후의 조립 단계가 오직 상대적으로 얇은 아웃레이들에 대해 카드 몸체들을 형성하는 후막시트를 조립하는 단계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상기 중요한 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의 또 다른 중요한 이점들에 의해 더 추가된다. 이 조립단계는 상대적으로 단시간 동안 즉 제한된 에너지 공급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라미네이션에 의해 수행된다.
아웃레이들은 일반적으로 프레스의 표면에 의해 안정화되며 오직 중앙층만이 후막시트에 의해 형성되고 이 최종 라미네이션 단계에 필요한 작은 에너지 양으로 어떠한 지각가능한 변형도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이 후자의 이점은, 프린팅 서포트들로서 사용되는 2개의 중간시트들의 존재를 고려할 때, 더 많은 에너지의 공급에 필요한, 종래 기술의 방법에 대한 이점으로서 이미 매우 중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전자소자들을 일체구성 하는 시트 위에 직접적으로 인쇄하는 사실은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데, 이는 2개의 개별적으로 인쇄된 중간층들이 제거될 수 있으며 또한 이 인쇄패턴들이 투명한 아웃레이에 의해 보호되는 최종 조립 단계 동안 인쇄패턴들의 퀄리티가 줄어들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중요한 이점은 백-투-백 프린트(back-to-back print)를 가지는 카드 제작에 있다. 제 1 패턴과 제 2 패턴이 후막시트의 양 측면 위에 인쇄되기 때문에, 상기 두 패턴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보장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쉽다. 게다가, 최종 조립 동안, 이 위치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이다. 이것은, 중간시트들이 인레이와 투명 아웃레이 사이에 배열됨에 따라 이 중간시트들이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최종 조립 단계 동안 상기 상대적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최종 조립 동안 정확한 상대적 위치를 필요로 하는, 두 패턴들이 2개의 중간층들 위에 각각 인쇄되는 종래기술에서의 경우는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흥미로운 이점도 유의해야 할 것이다. 플라스틱층들이 올바르게 라미네이트되게 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의 당업자는 매트 표면들을 가진 즉 미세한 볼록판(micro relief)을 가진 층들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술된 종래 기술의 방법에서, 프린팅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매트 플라스틱 시트들 위에 수행된다. 이 표면 상태는 인쇄패턴을 위해 가능한 선명도(definition)를 제한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제 1 패턴이 후막시트 위에 인쇄될 때 후자는 더 매끄한 표면들을 가질 수 있다. 이 후막시트는 오직, 매끈한 표면들을 가진 프레스에서 적어도 최종 단계에서, 제조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로부터 기인된 후막시트는 완벽하게 매끈하고 평평하게 될 수 있는데, 이는 매우 미세하고 매우 작은 문자들 또는 패턴들이 인쇄될 수 있는 즉 매우 높은 선명도의 프린트가 얻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우선적으로, 전자소자들을 일체구성하는 후막층이 제작되기 때문에 개선된 방법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매우 유리하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이 후막층은 평평하고 균일한 표면들을 가질 수 있다. 게다가, 종래 기술의 내부층들에 비해 최소한의 잔여 내부 인장력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후막층은 안정적이다. 따라서 상기 후막층은 카드 제조업자 또는 인쇄 전문업자에 의해 고선명도의 프린팅을 위한 매우 우수한 서포트를 형성한다. 따라서, 전자소자들을 일체구성 하고 특히 양 측면들 상에 매우 높은 퀄리티의 패턴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 패턴을 가진 후막시트가 얻어진다. 최종 카드들을 얻기 위하여, 인쇄된 후막시트로부터 없는 것은 투명한 보호 코팅이다. 투명 필름들은 경제적인 스테이션(station)에서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인쇄될 수 있고 후막시트로 특히 작은 에너지 공급을 통해 쉽게 조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쇄패턴들이 이 최종 조립 동안 손상되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따라서 후막시트를 가진 아웃레이들의 조립과 투명 아웃레이들 위의 프린팅은 덜 복잡하고 덜 값비싼 스테이션을 사용하여 덜 숙련된 인원들로 수행될 수 있다. 이 단계들은 클라이언트에 속하는 스테이션들로 클라이언트에 의해 다른 위치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요약하면, 프린팅 후에 최종 라미네이션 또는 결합 동안, 작은 에너지 공급양이 존재할 때 국소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오직 하나의 중앙의 후막시트 및 시트가 그 사이에 배열된 2개의 상대적으로 얇은 아웃레이들을 가진다는 사실은 최종 결합 또는 상기 라미네이션 동안 손상되지 않는 매우 높은 퀄리티의 프린트를 가진 카드를 제작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는 산업적 효율성 또는 생산량이 증가될 수 있으며 그리고 투명 아웃레이 위에 인쇄하고 중앙의 후막시트에 조립하는 것은 상기 후막시트들이 만들어지는 다른 제조 현장에서 다른 위치에서 수행될 수 있고 시트들의 표면 위에서 높은 퀄리티의 프린팅이 수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발명에 따른 카드 제작 방법에 포함된 중간생성물(intermediate product) 또는 반제품에 관한 것이다. 이 중간생성물은 각각의 복수의 카드 몸체들을 형성하고 복수의 전자유닛들을 일체구성 하거나 내장하는 시트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시트는 제 1 표면 위에 복수의 제 1 인쇄패턴들을 가진다.
유리한 한 변형예에서, 상기 복수의 제 1 패턴은 보호 코팅, 특히 플라스틱 필름, 수지층 또는 래커에 의해 덮혀진다. 래커는 예를 들어 전달 필름의 도움으로 침적된 투명 잉크와 같은 종류가 될 수 있다.
첫 번째 경우에서, 보호 코팅은 후막시트 위에 일시적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이 보호 코팅은 시트에 매우 접착적이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제거될 수 있다.
두 번째 경우에서, 보호 코팅은 상기 시트에 안정적으로 접착되며 따라서 상기 중간생성물로부터 제작된 카드를 위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층을 형성하려는 경향이 있다.
한 특정예에서, 제 1 패턴들은 실질적으로 육안으로 지각할 수 없는 고선명도의 암호화 패턴, 특히 프린트 요소들 또는 문자들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개선된 방법의 실시 동안 얻어지는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이 플레이트는 각각의 복수의 카드 몸체들을 형성하고 복수의 전자유닛들을 일체구성 하거나 또는 내장하는 후막시트 또는 후막층을 포함한다. 이 시트는 제 1 표면 위에서 복수의 제 1 인쇄패턴들을 가진다. 이 플레이트는 상기 후막시트 또는 후막층의 상기 제 1 표면 위에 배열된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필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내측 표면 위에 복수의 제 2 패턴들을 가지고, 각각의 카드 몸체는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과 연결되며, 이들은 카드의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
한 특정 변형예에서, 상기 복수의 제 1 패턴들과 상기 복수의 제 2 패턴들은 접착경계면을 형성하는 얇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층에 의해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바람직한 한 변형예에서, 제 1 패턴들은 고선명도의 암호화 패턴들을 형성하고 제 2 패턴들은 부분적으로는 개인 정보를 형성한다.
또 다른 변형예에서,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의 제 1 표면의 측면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코팅에 의해 보호되는 적어도 하나의 복수의 제 3 인쇄패턴들을 가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비제한적인 구체예에 의해 추가적으로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백-투-백 인쇄패턴들을 포함하며 종래 기술에 따른 카드제작방법을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제작방법의 제 1 실시예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복수의 전자유닛들을 일체구성하는 후막시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제작방법의 제 2 실시예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후막시트를 인쇄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사용된 오프셋 프린팅 스테이션을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 1 실시예는 우선적으로 후막시트(thick sheet, 20)가 형성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데, 이 후막시트는 복수의 전자유닛(4)들을 일체구성 하거나 또는 내장한다. 상기 후막시트(20)는 각각 전자유닛(4)을 포함하는 복수의 카드 몸체들을 형성한다.
이 후막시트(20)는 특히 서로에 대해 라미네이트 되거나 또는 결합된 몇몇 층들을 사용하여 종래 기술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기술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 변형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중앙층이 개구를 가지며, 이 개구들은 적어도 전자소자(8 및 10)들을 수용한다. 또 다른 변형예에서, 전자유닛(4)은 플라스틱 층들이 우선적으로 충분하게 연화되는(softened) 프레스 내에 일체구성 되고 그 뒤 전자유닛(4)이 이 층들에 침투하여 전자유닛 자체의 하우징을 형성하도록 하는 제어된 방식으로 가압된다(pressed). 또 다른 변형예에서, 액체 수지를 붓거나 또는 주입함으로써 후막시트(20)가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후막층(20)의 평평한 표면(21 및 22)은 불투명하며 특히 하얀 색상을 가진다. 하지만 이 표면들의 어떤 영역들은 그 외의 다른 색상을 가질 수도 있거나 또는 더 낮은 높이에서 임의의 타입의 디스플레이, 로고 또는 홀로그램을 보여주도록 투명할 수 있다. 특히 암호화 목적으로, 상기 투명한 영역들 위에 부분적으로 인쇄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후막층(20)이 형성될 때 표면(21 및 22)이 얻어지는데, 이 표면들은 매우 평평하고 외관상 매끄러운 것이 바람직하다. 후막시트(20)의 두께가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인레이(inlay)의 두께보다 더 두껍기 때문에, 종래 기술의 당업자가 층(20)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기술을 습득하였다면 층(20) 내측에 전자모듈(4)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표면(21 및 22)의 상태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전자소자(8 및 10)의 위와 아래에서 후막층(20)을 형성하는 재료의 두께가 도 1의 인레이(2)의 두께보다 훨씬 더 두꺼운 것을 유의해야 한다. 동일한 기술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서 후막층(20)이 형성되고 난 후에는 종래 기술의 인레이(2)의 표면 파상도(surface waviness)가 다시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제 1 패턴(14)들 및,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변형예에서, 제 2 패턴(15)들은 각각 후막층(20)의 두 표면(21 및 22)들 위에 직접 인쇄된다. 이를 위해 후막시트(20)는 프린팅 스테이션(printing station) 내로 삽입된다. 바람직하게, 프린팅 스테이션은 특히 육안으로는 거의 지각할 수 없는 문자 또는 기호들을 가진 매우 우수한 품질의 패턴들을 형성할 수 있는 고선명도의 프린팅(high definition printing)을 위해 배열된다. 제 1 패턴들과 제 2 패턴들을 후막층(20) 위에 인쇄하기 위한 바람직한 프린팅 스테이션이 도 5와 도 6에 도시되며 밑에서 기술될 것이다.
제 1 패턴들과 제 2 패턴들(14 및 15)이 후막시트(20)의 양 측면 위에 인쇄되고 나면, 이들 인쇄된 패턴들은, 특정 변형예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필름(16 및 17)들에 의해 보호된다. 따라서 이들 필름(16 및 17)들은 후막시트(20)의 양 측면들 중 한 측면에 추가되며 프레스에서(예를 들어 평평한 압력 표면들을 가진 프레스에서 또는 실린더 혹은 벨트에 의한 연속식 프레스에서) 라미네이션(lamination) 또는 결합(bonding)에 의해 후막시트의 한 측면에 조립된다. 이 조립 단계는 열에너지를 거의 필요로 하지 않거나 또는 열에너지가 전혀 필요치 않아서 후막시트(20)의 안정성을 쉽게 보장할 수 있으며 이는 즉 후막시트의 표면(21 및 22)들의 어떠한 변형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인쇄패턴들은 층들의 최종 조립단계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카드들은 도 2에서 수직점선들을 따라 생기는 플레이트로 분리된다.
은행카드를 형성하는 경우에서 즉 0.76 내지 0.84 mm 사이의 ISO 두께를 가진 카드를 형성하는 경우에서, 후막층(20)의 두께는 600 내지 720 마이크론 사이가 되며, 예를 들어 각각의 투명 아웃레이(16, 17)의 두께는 60 내지 80 마이크론 사이가 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후막층(20)의 두께는 제작된 카드의 최종 두께의 2/3보다 더 크거나 또는 이에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주어진 특정예에서, 후막층(20)의 두께는 600 마이크론(0.60 mm)보다 더 크거나 또는 이에 거의 동일하다.
후막층(20)이 열의 공급으로 라미네이팅 공정(laminating process)에서 형성 되어 조밀한 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이 후막층(20)을 형성하는 단계에 필요한 에너지의 양은 후막층(20)의 두께에 비해 작은 두께를 가지는 라미네이팅 아웃레이(16 및 17)에 필요한 작은 에너지양 보다 현저하게 더 크게 된다.
특정 변형예에서, 투명층(16 및 17)의 내측 표면들에 대해 외부에 있는 후막층(20)의 표면(21 및 22)들에 박막수지층(thin resin layer)이 추가된다. 적절하게 선택된 이 수지층은 접착층(adherence layer)을 형성하는데, 이 접착층은 특히 인쇄패턴(14 및 15)들을 형성하는 잉크가 존재할 때 라미네이트층의 접착을 증진시키고 이에 따라 필름(16 및 17)들로 후막층(20)의 조립을 견고하게 한다.
통상, 후막층에 투명층을 조립하는 단계 또는 각각의 인쇄패턴에 코팅을 추가하는 단계는 필름 또는 코팅이 상응하는 카드 몸체에 즉 후막시트에 적절하게 접착되도록 하기 위해 구현된다. 따라서 사용되는 잉크 및/또는 재료의 선택이 상당히 중요하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박막수지층 또는 래커에 의해 형성된 접착경계면(adherence interface)이 존재함에 따라 중앙의 후막시트와 함께 투명한 아웃레이들의 견고하고 내구성 있는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용어 "후막층(thick layer)" 또는 "후막시트(thick sheet)"의 사용은 이 후막층 또는 후막시트가 동일한 재료들 또는 다른 재료들로 형성된 복수의 부계층(sub-layer)들로 구성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따라서 후막층(20)은 다양한 재료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종래 기술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따른 여러 부계층들로도 구성될 수 있다. 중요한 사실은 후막층 또는 후막시트(20)가 후막시트의 표면들 중 적어도 한 표면 위에서 복수의 표면들의 프린팅을 수용할 수 있는 서포트(support)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서 형성된 후막시트의 개선된 변형예를 보여준다. 제 1 단계에서, 인레이(24)는 복수의 전자유닛(28)들이 그 사이에 배열된 2개의 플라스틱층(26 및 27)들과 함께 라미네이팅 스테이션, 특히 코일 또는 안테나(30)에 연결된 집적회로(29)를 가진 통신유닛(communication unit)들 내에 만들어진다. 층(26 및 27)들은 인레이(24) 내에 전자유닛(28)들을 내장하도록 가압되고 연화되며 이에 따라 가능한 최대로 잘 형성된다. 층(26 및 27)들이 코일(30)과 집적회로(29) 영역 내에서 현저하게 변형되어 2개의 층들을 침투하는 2개의 소자들로부터 재료가 변위(displacement)되기 때문에, 몇몇 파상도(waviness)는 이러한 전기소자들이 위치된 영역들 내에서 인레이(24)의 표면들에서 종종 나타난다.
그 외의 다른 변형예들에서, 그 외의 다른 전자유닛들 또는 모듈들은 인레이(24) 내에 일체구성 될 수 있으며 종래 기술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기술들로 형성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소자가 인레이(24)의 적어도 한 표면과 거의 수평으로 배열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매우 높은 퀄리티의 프린팅 서포트를 가지게 하도록 평평하고 균일한 표면들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후막층을 얻기 위하여, 2개의, 바람직하게는 불투명한, 색상이 하얀 층(32 및 33)들이 인레이(24)의 양 측면 위에 배열되며 이 조립체는 다층 구조물(36)을 형성하기 위해 라미네이팅 스테이션 내에 배치된다. 상기 후막층(36)을 형성하는 2 단계에서, 층(32 및 33)의 표면에 어떠한 패턴도 인쇄되지 않기 때문에, 인레이(24) 내에 남아있는 임의의 내부 인장력 또는 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필요시에, 인레이(24)의 표면들에 존재하는 임의의 파상도를 상쇄시키도록 층(32 및 33)들을 다소 변형시키기 위하여 충분한 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다.
후막층(36)을 형성하는 이 변형예는 다양한 이점들을 가진다. 인레이(24)는 이 단계에서 적절하게 평평한 표면들을 가질 필요없이 낮은 비용으로 만들 수 있다. 다음으로, 인레이(24)는 서로 다른 재료들로 비균일한 표면들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인레이의 표면과 거의 수평인 적어도 하나의 전기소자를 가질 수도 있다. 특히, 인레이(24)는 고대비도(high contrast)의 퀄리티 프린팅에 적합하지 않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다. 한 변형예에서, 인레이(24)는 전자유닛(28)을 코팅하거나 또는 내장하기 위해 그리고 이에 따라 내부 인장력 또는 응력이 거의 없이 혹은 전혀 없이 조밀한 층을 형성하기 위해 점성의 액체 상태에 초기에 추가된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2개의 층(32 및 33)들을 추가하고 라미네이팅 스테이션에서 이 2개의 층들을 인레이(24)에 조립하는 단계는 평평하고 매끈한 표면들을 가진 후막층(36)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후막시트(36)의 각각의 측면 위에, 프린팅 스테이션에서 균질한 행태로 균일한 프린팅 표면을 형성하고, 도 4에 도식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라미네이션 또는 결합에 의해 조립된다. 예로서, 인레이(24)의 두께는 400 내지 500 마이크론 사이가 되며 코팅층(32 및 33)들의 두께는 80 내지 100 마이크론 사이가 된다. 바람직하게, 이 두께들은 600 내지 72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가진 후막시트(36)를 얻기 위하여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본 방법에서와 같이, 도 4에 대해 기술된 개선된 방법에서, 복수의 제 1 패턴(14)들이 고선명도의 프린팅을 얻기 위해 스테이션에서 후막시트(36)의 표면(21) 위에 인쇄된다. 다음으로, 복수의 제 2 패턴(40)들이 예를 들어 80 내지 100 마이크론 사이의 두께를 가진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필름(38) 위에 인쇄된다. 도 4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제 3 패턴(15)들은 후막시트(36)의 표면(22) 위에 인쇄되고 제 4 패턴(41)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제 2 아웃레이(39) 위에 인쇄된다. 한 특정예에서, 오직 제 3 패턴(15)들만이 후막시트(36)의 표면(22)의 측면 위에 제공되는 반면, 또 다른 변형예에서는, 필름(39) 위에 인쇄된 오직 제 4 패턴(41)들만이 상기 표면(22)의 측면 위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필름(39)의 두께는 필름(38)의 두께에 거의 동일하다.
위에서 언급한 패턴들의 세트가 인쇄되고 난 뒤, 필름(38 및 39)은 복수의 패턴(40)들과 함께 후막시트(36)에 조립되며, 필요시에, 상응하는 필름의 내측 표면 즉 필름(38) 및 각각 필름(39)의 인쇄된 표면들 상에 배열된 복수의 패턴(41)들은 후막시트(36)의 측면 위에 위치되며 이에 따라 아웃레이(38 및 39)는 인쇄패턴용 보호 코팅을 형성한다. 이 최종 조립은 작은 에너지 공급으로 또는 어떠한 열도 없이 라미네이팅 또는 결합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인쇄패턴들은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며 그에 따라 더 좋은 가시적 외관과 2개의 패턴들을 위한 더 우수한 판독 대비도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제 1 패턴(14)들과, 적절한 곳에서, 제 3 패턴(15)들이 후막시트(36)의 표면들 위에 인쇄되고 난 뒤, 인쇄표면들은 적어도 일시적으 로 인쇄패턴들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 필름, 수지층 또는 래커로 덮여진다. 이는 패턴들이 시트(36) 위에 인쇄되고 난 뒤 가능한 최대한 빨리 구현된다.
제 1 변형예에서, 보호 필름 또는 래커가 탈착가능한 방식으로 배열되며 도 4에 도시된 최종 조립 단계에 앞서 제거된다. 따라서 이것들은 시트(36)가 적절한 스테이션에서 인쇄되는 순간과 적어도 첫 번째가 복수의 인쇄패턴들을 가지는 아웃레이(38 및 39)로 조립하는 단계 사이에서 일시적인 보호 기능을 가진다.
제 2 변형예에서, 후막시트(36)의 표면에 추가된 보호 필름 또는 래커는 후막시트에 안정적으로 조립되어 유지되고 이에 따라 최종 카드층들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보호 필름 또는 래커를 형성하는 재료가 후막시트(36)와 필름(38 및 39)들 사이의 접착경계면을 형성하도록 선택될 것이다. 각각의 변형예들에서, 위에서 기술된 기본적인 방법으로서, 아웃레이들의 접착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후막시트(36)와 아웃레이(38 및 39)들 사이에 박막수지층을 침적시킬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후막시트 또는 아웃레이 둘 중 하나에 잘 접착되지 않는 인쇄패턴들을 형성하는 잉크가 존재할 때, 최종 카드들에서 제 1 및 제 2 중첩패턴들 사이의 접착경계면은, 몇몇의 경우에서, 아웃레이들이 중앙의 후막층에 접착되는 것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아웃레이(38 및 39)들은 후막시트(36)에 추가되거나 또는 각각이 한 표면 상에 인쇄된 패턴을 가진 복수의 고유 필름들은 후막시트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카드 몸체들에 각각 추가되는 것을 유의해야 될 것이다. 두 경우 모두, 이 작업은 제조된 플레이트에서 카드의 최종 절단 작업 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한 변형예에서, 카드 몸체들이 후막시트에서 분리되어야 하고 각각이 한 표면 위에 인쇄된 패턴을 가진 복수의 아웃레이들이 카드 몸체들에 각각 추가되어 얻어지고 그에 따라 카드 방법에 의해 카드에서 카드 몸체에 조립되는 것이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 최종 카드 윤곽은 깨끗한 절단면을 얻기 위해 재차 절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 최종 윤곽은 절단된 카드 몸체의 초기 윤곽 내부에 수행된다.
따라서 후막시트(36)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제작에 있어서 개발된 중간생성물 또는 반제품을 형성한다. 후막시트(36)의 제작과정은 특정 카드 절차에 특징적인 노하우를 필요로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두께가 카드의 최종 두께의 2/3보다 더 크거나 또는 그에 동일한 후막시트를 형성하는 것은 적절한 방법을 통해 훌륭한 프린팅 서포트를 형성하는 완전히 평평하고 바람직하게 매끄러운 표면들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특히, 적어도 하나의 패턴이 고선명도의 프린팅을 수행하기 위해 프린팅 스테이션에서 후막시트(36)의 제 1 표면 위에 인쇄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후막시트(36)를 프린팅 스테이션 내에 직접적으로 삽입하는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르면, 후막시트(36)가 Offset 타입의 프린팅 스테이션 또는 실린더 위에 프린팅이 수행되는 유사한 스테이션 내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방법에서, 필름의 내측 표면 위에 제 2 인쇄패턴을 가진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필름(38)이 제 1 패턴들이 인쇄된 후막시트(36)의 제 1 표면에 추가된다. 후막시트는 그에 따른 플레이트에서 카드들을 절단하기 전에 필름(38)으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정교한 변형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패턴들은 후막시트(36)의 제 2 표면 위에 인쇄되고 제 4 패턴들은 제 3 패턴들을 덮고 있는 제 2 필름의 내측 표면 위에 인쇄된다. 하지만, 다양한 변형예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일의 인쇄패턴을 지닌 뒷면을 가진 카드들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카드의 뒷면 위에 제공된 패턴이 일반적인 특징을 가지고 카드가 제작된 플레이트의 배치(batch)에 공통적이 된다면, 프린팅은 후막시트(36)의 제 2 표면(15) 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 특정 변형예에서, 제 2 표면(22) 위에 프린팅되는 것은 특정 색상으로 오직 균일한 배경(uniform background)을 형성할 수 있다. 오직 제 3 패턴들이 카드의 뒷면 위에 제공되며 이들은 후막시트의 제 2 표면 위에 인쇄되는 경우, 아웃레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트랜스퍼 필름(transfer film)을 이용하여 침적된 오직 투명 잉크 또는 래커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투명 잉크의 래커는 제 3 인쇄패턴용 보호 코팅을 형성한다. 라미네이팅 공정(laminating process) 내에 후막시트를 상기 후막시트의 제 1 표면에 추가된 투명 필름으로, 특히 결합에 의해, 조립하는 최종 통로(final passage)가 이전에 후막시트의 뒷면에 추가된 투명 보호 잉크 또는 래커의 표면 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최종 조립 단계는 아웃레이를 추가하지 않고도 매끈하고 색상이 밝은 표면이 카드의 뒷면 위에 얻어질 수 있도록 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최종 조립을 위해 열이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에 대칭적인 다층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개선된 제작 방법을 위해 얻어진 플레이트는 본 발명의 주제를 이루는데, 플 레이트 내로 절단되는 카드와 똑같다.
후막시트의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 위에, 필름 또는 래커에 의해 보호받을 수도 있고 혹은 보호받을 수 없는, 복수의 제 1 패턴들을 가지며 전자유닛들을 일체구성하는 후막시트(36) 형태로 중간생성물 또는 반제품의 제작은 특별히 신분증, 운전면허증 또는 개인 정보를 담고 있는 그 외의 다른 공문서들을 제작하기에 중요한 이점을 가진다. 개인 정보는 일반적으로 신분증, 운전면허증 또는 공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는 그 외의 다른 서류들을 가지고 있는 주정부에 의해 보호된다. 비밀보호 및 개인 정보의 보호 목적으로, 몇몇 주정부는 해외에 위치한 카드 제조사에게 그 정보들을 보내기를 원치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전자유닛들을 일체구성하며, 암호화 목적으로, 복제하기에 어려운 고선명도의 패턴들을 가진 카드의 제작이 항시 해당 국가에서 수행될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에 충분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사실,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독특한 단계들로 카드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첫째, 전자유닛들을 포함하고 매우 높은 퀄리티의 평평한 표면들을 가진 후막시트가 제조되며 본 발명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복수의 암호화 타입의 패턴들이 상기 후막시트의 한 표면 위에 인쇄된다. 이러한 암호화 패턴들을 인쇄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고가의 수단 및 특별한 노하우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특별한 노하우와 복잡하고 고가의 제조 수단을 필요로 하는 작업들은 이러한 중간생성물을 만들 수 있는 소수 제조사들 중 하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두 번째로, 변수 및/또는 개인 정보는 클라이언트, 특히 주정부 경계 내의 지정 주에 의해 인쇄될 수 있다. 개인화된 패턴(personalised pattern)들은 일반적으로 고선명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덜 복잡하고 덜 비싼 종래의 프린팅 스테이션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후막시트로 라미네이트된 투명 플라스틱 필름 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두 번째 단계에서, 클라이언트는 플레이트들 내에서 카드들을 제작하는 것을 지속할 수 있거나 또는 카드 스테이션에 의해 한 카드 내에서 카드들을 완료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클라이언트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간생성물에서 인쇄된 그리고 사전절단된 카드 몸체들을 받을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투명 필름은 카드들의 배치를 절단하기에 앞서 후막시트에 조립되고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후막시트에서 복수의 카드 몸체들을 절단하고 난 뒤 카드로 이 작업을 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상기 후자의 변형예는 덜 유리하며 특히 카드의 에지에 있어서 최종 카드의 퀄리티에 있어서 문제점이 증가된다. 이것이 바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바람직한 해결사항이 플레이트에서 카드들을 절단하기에 앞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하고 인쇄된 필름으로 인쇄된 후막시트를 조립하는 단계를 구성하고 있는 이유이다.
전자유닛들의 프로그래밍은 서로 다른 시간에서 그리고 다양한 방법들로 수행될 수 있다. 전자유닛들의 제조 동안 어떤 데이터들이 삽입될 수도 있고, 그 외의 다른 데이터는 후막시트의 제조 이후에 프로그램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가 인쇄된 후막시트들을 받아들이고 나면 클라이언트에 의해 특히 주정부에 의해 신분증, 운전면허증 또는 심지어 은행카드의 경우에 관련된 또 다른 데이터가 삽입될 수 있다. 투명 필름 위에 인쇄된 패턴은 인쇄패턴을 발생시키도록 판독되는 전자유 닛 내에 배열된 메모리의 내용에 좌우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전자모듈은 고유 숫자 또는 개인 코드를 가질 수 있으며 투명 필름 위에 인쇄된 각각의 개인화된 패턴은 그에 상응하는 전자유닛의 고유 숫자 또는 개인 코드에 대해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변수 아이템을 가진다. 투명 필름은 개인화된 제 1 패턴들이 상응하는 전자유닛들에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후막시트에 추가된다. 종래 기술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컴퓨터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단계들의 관리와 다양한 데이터의 진입이 이루어진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필름(38 및 39)들은 후막시트(36)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에너지의 양에 대해 작은 에너지 공급으로 후막시트(36)와 함께 라미네이트될 수 있다.
최종 조립은 어떠한 큰 노하우도 필요로 하지 않고도 상대적으로 간단한 프레스 하에서 구현될 수 있다. 아웃레이(38 및 39)들은 후막시트(36)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아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이 단계 동안 변형되지 않는다. 아웃레이(38 및 39)들은 일반적으로 프레스의 표면들에 의해 안정화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아웃레이들과 후막시트의 재료들에 접착 특성들을 위해 선택된, 박막수지층, 래커 또는 심지어 투명 잉크의 형태로 접착경계면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고선명도의 인쇄패턴들을 가진 매우 높은 퀄리티의 최종 카드들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복제하기에 어렵고 안정적인 공인된 이름(official title)을 허용하게 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해 보면, 밑에서 후막시트(20, 36)들의 표면들 중 적어도 한 표면 위에 패턴들을 인쇄하기 위한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제공된, Offset 타입의 고선명도 프린팅 스테이션이 기술될 것이다. 이것은 이 분야에서 종래 기술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프린팅 스테이션의 상세한 설명이 아니다. 대신 이것은 이 프린팅 스테이션에서 후막시트(20, 36)들의 경로(path)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 스테이션은 각각의 유닛(52)들을 위한 시트(20, 36)들 위에 다른 기초 색상을 인쇄하기 위해 배열된 복수의 프린팅유닛(52)들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각각의 유닛은 도식적으로 도시된 복수의 잉크 롤러(54)들을 포함한다. 후막시트용 서포트로서 사용된 실린더(56)는 각각의 프린팅유닛(52)에 연결된다. 시트(20, 36)들은 이 각각의 실린더(56) 위에서 일련으로 펼쳐지며, 시트를 잉크 롤러(58)의 단부와 일치되도록 구동된다(drive). 2개의 인접한 실린더(56) 사이에서, 다양한 프린팅유닛들 사이로 시트들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장치(60)가 존재한다. 그립 수단(62 및 64)은 각각 실린더(56)들 위헤 그리고 회전장치(60)들 위에 배열된다. 이 그립 수단들은 후막시트(20, 36)들을 끌어당기기 위해 사용되며 이 후막시트들을 실린더(56)와 함께 회전하도록 만들어 각각 전달장치(60)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후막시트(20, 36)들은 상기 Offset 프린팅 스테이션에서 수차례 굽어지는 것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프린팅 실린더(56) 위에서, 시트들은 볼록하게 굽어지는 반면, 이 시트들은 전달 영역(66)에서는 오목하게 굽어진다. 따라서 후막시트(20, 36)들이 잠시 굽어지는 프린팅 스테이션에서 기계적 응력을 받게 되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 스테이션들은 간단하고 균질한 시트들을 인쇄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이러한 프린팅 스테이션들을 사용하는 것은 종래 기술의 당업자들의 편견을 없애도록 작용하며 다양한 전자유닛들을 일체구성하는 후막시트 상으로 직접 깨끗하고 고선명도의 프린팅, 특히 암호화 패턴들을 인쇄하게 할 수 있다.

Claims (36)

  1. 각각의 카드가 카드 몸체 내에 일체구성 되거나 또는 내장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카드 몸체의 제 1 표면의 측면 위에 적어도 제 1 인쇄패턴을 포함하는 카드제작방법에 있어서,
    이 카드제작방법은
    A)복수의 전자유닛들 또는 모듈들을 각각 일체구성 하거나 또는 내장한 후막시트(thick sheet)의 형태로 복수의 카드 몸체들을 형성하는 단계,
    B)잉크가 상기 제 1 표면 위에 침적되어 제 1 패턴들을 형성하는 프린팅 스테이션에서 상기 후막시트의 제 1 표면 위에 복수의 제 1 패턴들을 인쇄하여, 각각의 제 1 패턴이 상기 후막 시트의 다른 카드 몸체상에 존재하도록 하는 단계, 및
    C)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코팅을 각각의 제 1 인쇄패턴 위에 배치시키고, 상기 부분적으로 투명한 코팅과 해당카드 몸체가 조립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제작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잉크가 제 2 표면 위에 침적되는 프린팅 스테이션에서 상기 후막시트의 제 2 표면 위에 복수의 제 2 패턴들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카드 몸체에 접착하는 각각의 제 2 인쇄패턴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코팅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제작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각각의 전자유닛들이 일체구성 되거나 또는 내장된 복수의 카드 몸체들을 형성하는 후막시트는 제작된 카드들의 최종 두께의 2/3보다 더 크거나 또는 이와 거의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데, 두 코팅들은 각각 2개의 아웃레이(outlay)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제작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들은 0.76 내지 0.84 mm 사이의 ISO 두께를 가지며, 상기 인쇄된 후막시트의 두께는 0.60 mm보다 더 크거나 또는 이와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제작방법.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들은 작은 열에너지 공급량으로 또는 열에너지 공급량이 전혀 없이도 상기 후막시트로 라미네이트되는(laminat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제작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 스테이션은 프린팅 서포트(printing support)로서 사용되는 몇 개의 실린더들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전자유닛들을 일체구성 하거나 또는 내장하는 상기 후막시트는 인쇄 단계 동안 상기 실린더들의 표면들에 연속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프린팅 스테이션에서 수차례 굽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제작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 스테이션은 Offset 프린팅 스테이션이거나 또는 이와 유사한 고선명 프린팅 용도의 프린팅 스테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제작방법.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은 특히 육안으로는 실질적으로 지각할 수 없는 인쇄패턴을 포함할 수 있는 암호화 프린트(security pri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제작방법.
  9. 각각의 카드가 카드 몸체 내에 일체구성 되거나 또는 내장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유닛을 포함하며 카드 몸체의 제 1 표면의 측면 위에 적어도 제 1 인쇄패턴을 포함하는 카드제작방법에 있어서,
    이 카드제작방법은
    A)복수의 전자유닛들을 각각 일체구성 하거나 또는 내장하는 후막시트의 형태로 복수의 카드 몸체들을 형성하는 단계,
    B)잉크가 상기 제 1 표면 위에 침적되어 각각의 제 1 패턴이 다른 카드 몸체 위에 형성되는 프린팅 스테이션에서 상기 후막시트의 제 1 표면 위에 복수의 제 1 패턴들을 인쇄하는 단계,
    C)하나이상의 부분적으로 투명한 필름의 표면 위에 또는 복수의 부분적으로 투명한 필름들 각각 위에 복수의 제 2 패턴들을 인쇄하는 단계,
    D)상기 후막시트의 제 1 표면의 측면 위에 상기 필름 또는 상기 복수의 필름들을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 2 패턴은 다른 카드 몸체 위에 위치되며, 또는, 인쇄된 후막시트에서 카드 몸체들을 절단하는 이전 단계 후에, 상기 각각의 복수의 카드 몸체들 위에 상기 복수의 필름들을 배열하고, 이에 따라 필름 또는 필름들의 인쇄표면이 후막시트의 측면 위에 위치되거나 각각의 필름의 인쇄 표면은 각각의 카드 몸체의 측면 위에 위치되어, 상기 제 1 패턴들이 상기 필름 또는 필름들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시화되는 단계, 및
    E)상기 필름 또는 상기 복수의 필름들로 상기 후막시트를 조립하는 단계 혹은 상기 필름들 중 하나와 각각의 카드 몸체를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제작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B) 인쇄단계 후에,
    이 카드제작방법은 D)단계 전에 상기 제 1 인쇄패턴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 필름 또는 래커로 상기 제 1 인쇄표면을 덮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제작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 또는 상기 래커는 상기 후막시트의 제 1 인쇄표면 위에 탈착가능하게 배열되고 D)단계 전에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제작방법.
  12. 제 9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박막수지층(thin resin layer)이 상기 후막시트의 제 1 인쇄표면 위에 또는 상기 필름들 혹은 상기 필름의 인쇄표면 위에 침적되며, 상기 박막수지층은 상기 필름 또는 필름들과 후막시트 사이에서 접착경계면(adherence interface)을 형성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제작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 또는 상기 래커는 카드들의 층을 형성하며 상기 필름 또는 상기 필름들과 상기 후막시트 사이에서 접착경계면을 형성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제작방법.
  14.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B)단계와 D)단계는 다른 생산현장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제작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은 기본적인 암호화 프린트를 형성하며 상기 제 2 패턴은 개인용 프린트(personal print)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제작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프린트는 상기 암호화 프린트보다 더 낮은 선명도를 가진 프린트를 필요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제작방법.
  17.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적인 암호화 프린트는 육안으로는 실질적으로 지각할 수 없는 인쇄소자(print element)들을 포함할 수 있는 고선명도의 프린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제작방법.
  18.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또는 상기 필름들은 작은 열에너지 공급량으로 또는 열에너지 공급량이 전혀 없이도 각각의 카드 몸체들 또는 상기 후막시트로 라미네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제작방법.
  19.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 스테이션은 프린팅 서포트로서 사용되는 몇 개의 실린더들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전자유닛들을 일체구성 하거나 또는 내장하는 상기 후막시트는 인쇄 단계 동안 상기 실린더들의 표면들에 연속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프린팅 스테이션에서 수차례 굽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제작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 스테이션은 Offset 프린팅 스테이션이거나 또는 이와 유사한 고선명 프린팅 용도의 프린팅 스테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제작방법.
  21. 제 9항에 있어서,
    카드제작방법은 프린팅 스테이션에서 상기 후막시트의 제 2 표면 위에 복수의 제 3 패턴들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카드 몸체에 접착하는 각각의 제 3 인쇄패턴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코팅을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각각의 제 3 패턴은 다른 카드 몸체 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제작방법.
  22. 제 9항에 있어서,
    카드제작방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필름 위에 복수의 제 3 패턴들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의 인쇄면이 상기 후막시트의 측면 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막시트의 제 2 표면에 상기 필름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각각의 제 3 패턴은 다른 카드 몸체 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제작방법.
  23. 제 9항에 있어서,
    카드제작방법은 프린팅 스테이션에서 상기 후막시트의 제 2 표면 위에 복수의 제 3 패턴들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필름 위에 복수의 제 4 패턴들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리고 제 2 필름의 인쇄표면이 상기 후막시트의 측면 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막시트의 제 2 표면에 상기 필름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각각의 제 3 패턴 또는 각각의 제 4 패턴은 다른 카드 몸체 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제작방법.
  24. 제 21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전자유닛들을 일체구성 하거나 또는 내장하는 복수의 카드 몸체들을 형성하는 상기 후막시트는 제작된 카드들의 최종 두께의 2/3보다 더 크거나 또는 이와 거의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제작방법.
  25. 제 21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들은 0.76 내지 0.84 mm 사이의 ISO 두께를 가지고 두 개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아웃레이들을 포함하며, 인쇄된 상기 후막시트의 두께는 0.60 mm보다 더 크거나 또는 이와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제작방법.
  26. 전자카드제작에 관련된 중간생성물(intermediate product)에 있어서,
    상기 중간생성물은 복수의 전자유닛들을 일체구성 하거나 또는 내장하는 시트에 의해 형성되며 각각의 복수의 카드 몸체들을 형성하고, 상기 시트는 제 1 표면의 측면 위에서 잉크로 인쇄되며, 각각 다른 카드 몸체와 연결되는 복수의 제 1 패턴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생성물.
  27. 제 26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 1 패턴들은 보호 코팅으로, 특히 플라스틱 필름, 수지층 또는 래커에 의해 덮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생성물.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코팅은 상기 시트의 상기 제 1 표면 위에 탈착가능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생성물.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코팅은 상기 시트에 안정적으로 접착되며 상기 중간생성물로부터 제작된 카드들의 층을 형성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생성물.
  30. 제 26항 내지 제 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들은 암호화 패턴(security pattern)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생성물.
  31. 제 26항 내지 제 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시트의 제 2 표면의 측면 위에 각각 다른 카드 몸체와 연결된 복수의 제 2 인쇄표면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생성물.
  32. 복수의 카드들을 형성하며 복수의 전자유닛들을 일체구성 하거나 또는 내장하는 후막시트 또는 후막층을 포함하는 플레이트(plate)에 있어서,
    상기 후막시트 또는 후막층은 각각 복수의 카드 몸체를 형성하고 제 1 표면 위에서 잉크로 인쇄된 복수의 제 1 패턴들을 가지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후막시트 또는 후막층의 제 1 표면 위에 배열된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필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후막시트 또는 후막층의 내측 표면 위에 인쇄된 복수의 제 2 패턴들을 가지며, 각각의 카드 몸체는 거의 동일한 카드 높이에 위치된 제 1 패턴과 제 2 패턴과 연결되는 플레이트.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패턴들과 상기 복수의 제 2 패턴들은 접착경계면을 형성하는 얇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층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34. 제 32항 또는 제 33항에 있어서,
    제 1 패턴들은 고선명도의 암호화 패턴들을 형성하며 제 2 패턴들은 적어도 부분적인 개인 정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35. 제 32항 또는 제 33항에 있어서,
    제 1 패턴들은 Offset 타입의 프린팅 스테이션 또는 이와 유사한 프린팅 스테이션에서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36. 제 32항 또는 제 33항에 있어서,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의 제 2 표면의 측면 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코팅에 의해 보호된 적어도 하나의 복수의 제 3 인쇄패턴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
KR1020097018095A 2007-02-09 2008-02-06 적어도 하나의 인쇄패턴을 가진 전자카드 제작방법 Active KR1011880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102087.9 2007-02-09
PCT/EP2008/051447 WO2008101807A1 (fr) 2007-02-09 2008-02-06 Procede de fabrication de cartes electroniques comprenant au moins un motif impri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650A KR20090108650A (ko) 2009-10-15
KR101188091B1 true KR101188091B1 (ko) 2012-10-05

Family

ID=41552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8095A Active KR101188091B1 (ko) 2007-02-09 2008-02-06 적어도 하나의 인쇄패턴을 가진 전자카드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09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6500A1 (en) 2001-12-24 2003-07-10 Digimarc Id Systems, Llc Covert variable information on id document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040256469A1 (en) * 1999-09-07 2004-12-23 American Express Travel Related Services Company, Inc. A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unch-out rfid transa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6469A1 (en) * 1999-09-07 2004-12-23 American Express Travel Related Services Company, Inc. A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unch-out rfid transaction device
WO2003056500A1 (en) 2001-12-24 2003-07-10 Digimarc Id Systems, Llc Covert variable information on id documents and methods of mak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8650A (ko) 200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4216B2 (en) Method of fabricating electronic cards including at least one printed pattern
CA2518887C (en) Identity card and travel document
EP3582973B1 (en) Edge-to-edge metal card and production method
CA3127909C (en) Recovered plastic cards
US20090315321A1 (en) Data storage card having a lenticular image feature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6477682B2 (ja) カード、カードの製造方法
CN1488121A (zh) 创立抗篡改信息物品的方法
CN102405478B (zh) 包含有用于便携式数据存储介质和终饰层的窗口的终饰层的制造方法
KR101188091B1 (ko) 적어도 하나의 인쇄패턴을 가진 전자카드 제작방법
CN110198845B (zh) 具有至少一个衍射元件的聚合物层压板及其制造方法
KR101224308B1 (ko) 글리터시트를 이용한 카드 제조방법
US11267277B2 (en) Security element comprising a printed image with a three-dimensional effect
EP3747664A1 (en) A datapage preform with embedded features for a datapage of a security document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HK1141606B (en) Method for producing electronic cards including at least one printed pattern
KR200425179Y1 (ko) 홀로그램이 나타나는 놀이용 카드
KR100624702B1 (ko) 긁힘 및 위조 방지 카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제조된 카드
JP2001266339A (ja) 磁気カー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3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3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9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