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83762B1 - 스티어링 로크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로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762B1
KR101183762B1 KR1020077010167A KR20077010167A KR101183762B1 KR 101183762 B1 KR101183762 B1 KR 101183762B1 KR 1020077010167 A KR1020077010167 A KR 1020077010167A KR 20077010167 A KR20077010167 A KR 20077010167A KR 101183762 B1 KR101183762 B1 KR 101183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section
cam
blocking element
steering lock
drive whe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0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3973A (ko
Inventor
안토니 라발
하랄드 스타르켄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지처하이츠시스테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545762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8376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지처하이츠시스테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발레오 지처하이츠시스테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83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3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76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using electric means, e.g. electric motors or solenoids
    • B60R25/02153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using electric means, e.g. electric motors or solenoids comprising a locking member radially and linearly moved towards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4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externally controlled 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locking during vehicle running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operating on the steering wheel, e.g. bars locked to the steering wheel ri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611For control and machine elements
    • Y10T70/5646Rotary shaft
    • Y10T70/565Locked stationary
    • Y10T70/5655Housing-carried lock
    • Y10T70/5664Latching bol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006Predetermined time interval controlled
    • Y10T70/7028Elec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스티어링 시스템의 스티어링 스핀들(2)을 로크하기 위한 스티어링 로크에 관한 것이며, 이 스티어링 로크는 전기기계적 드라이브(6)에 의해 로킹 위치로부터 언로킹 위치까지 그 종축(3)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며, 레버 형태의 스프링-장전 고정 요소(7)에 의해 상기 언로킹 위치에서 유지 가능한 블로킹 요소(5)를 포함한다. 상기 블로킹 요소(5)의 변위를 발생시키는 전기기계적 드라이브(6)가 워엄 드라이브의 형태로 내장되어 있을 때조차도 고정 요소(7)가 블로킹 요소(5)를 언로킹 위치에 간단한 방법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제 1 제어 윤곽선(12)을 나타내는 워엄 기어(10)가 사용되며, 블로킹 요소를 언로킹 위치로 변위시키기 위한 제 1 캠(11)은 상기 워엄 기어상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 1 제어 윤곽선(12)상에 또는 제 2 제어 윤곽선(62)상에 지지 가능하게 장착된 고정 요소(7)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 2 캠(19)은 워엄 기어(10)상에 배치되며, 그 결과 언로킹 위치로부터 로킹 위치로 블로킹 요소(5)가 변위되기 전에, 정지 위치에 있는 고정 요소(7)는 해제 위치에서 피봇 또는 변위되며, 그 후에 제 1 제어 윤곽선(12)은 블로킹 요소(5)가 로킹 위치로 변위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로크{STEERING LOCK}
본 발명은 자동차 스티어링 시스템의 스티어링 스핀들을 로킹시키기 위한 스티어링 로크(a steering lock)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스티어링 로크는 예를 들면 독일 특허 출원 제 DE 1999 64 173 C2 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스티어링 로크는 블로킹 요소를 포함하며, 이 블로킹 요소는 그 종축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며, 전기기계적 드라이브에 의해 로킹 위치로부터 언로킹 위치까지 작동 가능하며, 고정 요소에 의해 언로킹 위치에 고정 가능하다. 전기기계적 드라이브는 스핀들 드라이브이다. 블로킹 요소가 그 언로킹 위치로부터 그 로킹 위치까지 변위될 때, 블로킹 요소를 해제하기 위한 고정 요소의 작동은 나사산 스핀들의 제어 윤곽선(control contour)상에 지지된 제어 캠에 의해서 이뤄지며, 상기 제어 윤곽선은 블로킹 요소로부터 대면된 나사산 스핀들의 측면상에 위치되어 있다. 제어 윤곽선과 블로킹 요소 사이의 큰 거리로 인해서, 이러한 공지된 스티어링 로크에 있어서는 공간을 소비하는 레버 장치가 요구된다.
독일 특허 출원 제 DE 1999 64 173 C2 호에는 전기기계적 드라이브로서 워엄 드라이브가 이용되는 스티어링 로크가 개시되어 있으며, 드라이브의 워엄 휠은, 워엄 휠의 축과 블로킹 요소의 축이 일치하도록 블로킹 요소에 축방향으로 연결된 리프팅 요소를 동축으로 둘러싼다. 언로킹 위치에 블로킹 볼트를 고정하는 것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고 있으며, 그에 따라 워엄 휠이 손상된다면, 안전상 문제가 될 수 있는 상황(블로킹 요소가 여행 동안에 로킹 위치로 변위됨)이 발생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형태의 스티어링 로크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러한 스티어링 로크에 있어서 블로킹 요소는, 블로킹 요소의 변위를 야기시키는 전기기계적 드라이브가 워엄 드라이브인 경우에도 고정 요소에 의해 간단한 방법으로 그 언로킹 위치에 고정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성취된다. 또한, 특히 본 발명의 유리한 상세 구성은 종속항에 개시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은 제 1 제어 윤곽선을 구비하는 구동 휠, 바람직하게 블로킹 요소를 그 언로킹 위치로 변위시키기 위한 제 1 캠이 그 위에 배치되어 있는 워엄 드라이브의 워엄 휠을 이용하는 개념에 의거한 것이다. 고정 요소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 2 캠은 이러한 제 1 제어 윤곽선, 또는 구동 휠상에 유사하게 배치된 별개의 제 2 제어 윤곽선상에 지지 가능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전기기계적 드라이브가 작동된 후이지만 블로킹 요소가 언로킹 위치로부터 로킹 위치까지 변위되기 전에, 그 정지 위치에 있는 고정 요소는 우선 그 해제 위치로 피 봇 또는 변위되며, 계속해서 제 1 제어 윤곽선이 제 1 캠과, 그에 따라 블로킹 요소의 로크된 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요소의 피봇축은 구동 휠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고정 요소는, 블로킹 요소를 언로킹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서, 블로킹 요소의 단차형 돌기 아래로 피봇될 수 있는 기본적으로 L자형 돌기를 블로킹 부분으로서 그 일 단부에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블로킹 요소는 볼트형 하부 부분과, 이 하부 부분에 인접한 기본적으로 활형상 상부 부분을 포함하며, 볼트형 하부 부분에 대향해서 놓여 있는 상부 부분의 아암의 적어도 부분 영역은 제 1 제어 캠으로서 설계되어 있다.
스티어링 로크는 구동 휠의 제 1 제어 윤곽선이 2개의 곡선 섹션을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며, 제 1 곡선 섹션은 구동 휠의 회전축으로부터 일정한 반경방향 거리에 있으며, 제 2 곡선 섹션은 제 1 곡선 섹션으로부터 구동 휠의 회전축을 향해 경사진 프로파일을 갖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 1 곡선 섹션과 구동 휠의 회전축 사이의 반경방향 거리는, 제 1 캠이 이러한 곡선 섹션상에 지지되는 경우, 블로킹 요소가 그 언로킹 위치에 도달되게 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또한, 원주 방향에서 야기되는 이러한 곡선 섹션의 길이는, 로킹 작동 동안에, 제 2 캠이 그 정지 위치로부터 그 해제 위치까지 피봇될 때까지 제 1 캠이 제 1 곡선 섹션상에 지지되게 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블로킹 요소를 변위시키기 위해서 언로킹 작동의 개시시에 이용할 수 있는 가장 큰 가능한 힘을 갖게 하기 위해서, 또한 구동 휠(치형 휠 드라이브)의 에지내로 힘이 유도되는 구동 휠을 이용하는 경우, 제 2 곡선 섹션이 구동 휠의 회전축의 바로 근방으로 연장된다면 유리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상세 및 장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하기의 예시적인 실시예로부터 분명해진다.
도 1은 스티어링 로크(개략적으로 도시됨)가 언로크되고 그리고 고정된 상태에 있는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의 측면도로서, 제 1 및 제 2 캠은 동일한 제어 윤곽선에서 지지 가능한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는, 측면도,
도 2는 도 1에서 Ⅱ로 표시되어 있는, 스티어링 로크의 부분 영역의 확대 측면도,
도 3은 로킹 위상 동안의 도 1에 따른 스티어링 로크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따른 스티어링 로크가 로크된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스티어링 로크(개략적으로 도시됨)가 언로크되고 그리고 고정된 상태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제 1 및 제 2 캠은 상이한 제어 윤곽선에서 지지 가능한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는, 사시도.
도 1에서, 도면부호(1)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스핀들(2)을 로킹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로크를 가리키고 있다. 스티어링 로크(1)는 하우징(100)(단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음)을 포함하며, 스프링(4)에 의해 그 종축(3)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블로킹 요소(5)(도 2 참조)는 전기기계적 워엄 드라이브(6)에 의해 로킹 위치로부터 언로킹 위치로 작동 가능하며, 레버의 형태인 스프링-작동 고정 요소(7)에 의해 언로킹 위치에 고정 가능하다.
워엄 드라이브(6)는 전동 모터(8)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이 모터의 출력 샤프트에는 스티어링 위치에서 고정된 워엄 휠(10)의 치형부와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워엄(9)이 있다.
블로킹 요소(5)는 볼트형 하부 부분(50)과, 이 볼트형 하부 부분(50)에 인접한 활형상 상부 부분(51)을 포함하며, 볼트형 하부 부분(50)과 대향되어 놓여 있는 상부 부분(51)의 아암(52)의 적어도 부분 영역은 제 1 캠(11)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블로킹 요소(5)는 워엄 휠(10)의 제 1 제어 윤곽선(12)상에서 제 1 캠(11)을 거쳐서 지지되며, 상기 워엄 휠의 회전축(13)은 블로킹 요소(5)의 종축(3)에 대해서 수직으로 배치된다.
도 1에서, 블로킹 요소(5)는 언로킹 위치에 있으며, 그에 따라 제 1 캠(11)은 제 1 제어 윤곽선(12)의 제 1 곡선 섹션(14)상에 지지되며, 상기 곡선 섹션은 워엄 휠(10)의 회전축(13)으로부터 최대 반경방향 거리에 있다. 또한, 블로킹 요소(5)는 이러한 위치에서 고정 요소(7)에 의해 그 정지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요소(7)는 워엄 휠(10)의 회전축(13)에 평행한 피봇축(15)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는 레버로서 설계되어 있다. 이 경우에, 고정 요소(7)의 하부 단부(16)는 L자형 디자인이며, 수평방향 돌출부(17)는 블로킹 요소(5)(도 2 참조)의 단차형 돌기(18) 아래로 피봇되는 블로킹 부분을 형성한다. 고정 요소(7)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이러한 정지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제 2 캠(19)은 고정 요소(7)상에 배치되며, 이 캠은 도 1에 도시된 블로킹 요소(5)의 로킹 위치의 경우에 워엄 휠(10)의 제 1 제어 윤곽선(12)상에 지지되지 않는다.
블로킹 요소(5)가 그 로킹 위치, 즉 스티어링 스핀들(2)의 홈형 리세스(20)내로 변위되게 된다면, 전동 모터(8)가 작동된다. 다음에, 워엄(9)은 워엄 휠(10)을 구동시켜서 도 1에 도시된 그 시작 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과정에서, 우선 블로킹 요소(5)는, 제 1 제어 윤곽선(12)의 제 1 곡선 섹션(14)이 제 2 캠(19)에 도달할 때까지 그 개시 위치에 잔류하며, 고정 요소(7)가 외측으로 피봇되어 고정 요소(7)의 블로킹 부분(17)이 블로킹 요소(5)를 해제한다(도 3 참조).
워엄 휠(10)의 추가 회전시에, 우선 제 2 캠(19)이 제 1 제어 윤곽선(12)의 제 1 곡선 섹션(14)상에 계속 지지되어 있는 반면에, 블로킹 요소(5)의 제 1 캠(11)은 제 1 제어 윤곽선(12)의 제 2 곡선 섹션(21)상에 지지되고, 스티어링 스핀들(2)의 홈형 리세스(20)내로 스프링(4)에 의해 가압되며, 상기 곡선 섹션은 워엄 휠(10)의 회전축(13)의 근방으로 경사져 있다.
블로킹 요소(5)가 그 로킹 위치에 도달한 후에, 워엄 휠(10)은 그 개시 위치에 다시 도달할 때까지 계속 회전된다. 그런 연후에, 예를 들면 대응하는 접촉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의 도움으로 전동 모터(8)만이 스위치 오프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제 1 캠(11)은 제 1 제어 윤곽선(12)의 지지 영역(22)상에 지지되며, 상기 영역은 워엄 휠(10)의 회전축(13)의 바로 근방에 위치된다(도 4). 이러한 경우에, 고정 요소(7)는 제 2 캠(19)에 의해 그 피봇-아웃 위치에 유지되지 않고, 오히려 블로킹 요소(5)의 측방향 에지(23)에 의해 유지된다.
다시 스티어링 스핀들(2)이 언로크된다면, 예를 들면 이그니션키(ignition key)(도시되지 않음)의 삽입에 의해 전동 모터(8)가 작동되며, 그 결과 이제 워엄 휠(1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워엄(9)에 의한 힘의 인가 지점과 제 1 캠(11)의 지지 영역(22) 사이의 상대적으로 큰 거리에 의해 캠(11)에 최초에 상대적으로 큰 힘이 가해지게 되며, 그 결과 블로킹 요소(5)상에 그 로크된 위치로 작용할 수 있는 클램핑 힘이 확실하게 극복된다. 따라서, 제 1 캠(11)은 제 2 곡선 섹션(21)을 따라 외측으로 활주되며, 이 과정에서 블로킹 요소(5)가 상방으로 변위된다. 제 1 캠(11)이 제 1 곡선 섹션(14)에 도달한 후에, 워엄 휠(10)은 다시 도 1에 도시된 개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회전된다. 그 후에, 전동 모터(8)는 자동적으로 스위치 오프된다.
물론,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워엄 휠 대신에, 전동 모터에 연결된 다른 기어 메카니즘의 치형 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블로킹 요소를 변위시키기 위해서 제 1 캠상에서 작동하는 스프링 대신에, 블로킹 요소에 연결된 다른 캠 또는 드라이버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캠 또는 드라이버를 통해서 대응적으로 설계된 제어 윤곽선은 블로킹 요소를 그 로킹 위치로 가압한다(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면 독일 특허 출원 공개 제 100 41 018 A1 호 참조).
추가로, 제 2 캠이 또한 이에 할당된 제어 윤곽선과 상호 작용하여, 피봇 운동 대신에 블로킹 요소의 종축에 대해 수직한 변위가 발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캠(11, 19)은 구동 휠(10)의 상이한 제어 윤곽선상에 지지 가능한 방식으로 또한 배열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이러한 형태의 스티어링 로크(1')의 대응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부분과 동일한 기능을 갖고 있는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병기했다. 또한, 보다 명료함을 위해서,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생략했다.
도 5 및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 윤관선(12, 62)은 워엄 휠(10)의 양 측면(60, 61)상에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블로킹 요소(5)의 제 1 캠(11)만이 측면(60)상에 배치된 제어 윤곽선(12)상에 위치되어 있다(도 5 참조). 다음에, 이러한 제 2 윤곽선(12)은 제 1 예시적인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술한 곡선 섹션(14, 21)에 대응하는 2개의 곡선 섹션(14, 21)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 요소(7)의 제 2 캠(19)은 워엄 휠(10)의 대향 측면(61)상에 배열된 제 2 제어 윤곽선(62)상에 지지되어 있다(도 6 참조). 이러한 제어 윤곽선(62)은 또한 기본적으로 2개의 곡선 섹션(63, 64)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제 2 캠(19)은 고정 요소(7)의 정지 위치[블로킹 요소(5)의 언로킹 및 고정된 상태]에서 기본적으로 워엄 휠(10)의 회전축(13)으로부터 일정한 반경방향 거리에서 제 1 곡선 섹션(63)상에 지지되어 있다. 워엄 휠(10)의 회전시에, 포인트(point)의 형태인 제 2 곡선 섹션(64)은 고정 요소(7)가 피봇되게 하며, 그 결과 블로킹 요소(5)의 로킹 작동 동안에 블로킹 부분(17)은 다시 블로킹 요소(5)의 단차형 돌기(18)로부터 피봇되어, 블로킹 요소(5)가 해제된다.
부호의 설명
1, 1' : 스티어링 로크 2 : 스티어링 스핀들
3 : 종축 4 : 스프링
5 : 블로킹 요소 6 : 드라이브, 워엄 드라이브
7 : 고정 요소 8 : 전동 모터
9 : 워엄 10 : 구동 휠, 치형 휠, 워엄 휠
11 : (제 1) 캠 12 : (제 1) 제어 윤곽선
13 : 회전축 14 : (제 1) 곡선 섹션
15 : 피봇축 16 : 하부 단부
17 : 돌출부, 블로킹 부분 18 : 돌기
19 : (제 2) 캠 20 : 홈형 리세스
21 : (제 2) 곡선 섹션 22 : 지지 영역
23 : 에지 50 : 하부 부분
51 : 상부 부분 52 : 아암
60, 61 : 측면 62 : (제 2) 제어 윤곽선
63 : (제 1) 곡선 섹션 64 : (제 2) 곡선 섹션
100 : 하우징

Claims (12)

  1. 자동차 스티어링 시스템의 스티어링 스핀들(2)을 로킹시키기 위한 스티어링 로크(a steering lock)(1)에 있어서,
    a) 상기 스티어링 로크(1)는, 그 종축(3)의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으며, 전기기계적 드라이브(6)에 의해 로킹 위치로부터 언로킹 위치로 작동 가능하며, 언로킹 위치에 있어서 고정 요소(7)에 의해 고정 가능한 블로킹 요소(5)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요소(7)는 레버의 형태이며, 정지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변위될 수 있거나, 하우징상에 고정된 피봇축(15)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며,
    b) 상기 블로킹 요소(5)의 변위를 위해서, 상기 블로킹 요소는 상기 전기기계적 드라이브(6)의 구동 휠(10)의 제 1 제어 윤곽선(12)(first control contour)상에서 적어도 제 1 캠(11)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구동 휠(10)의 회전축(13)은 상기 블로킹 요소(5)의 종축(3)에 대해서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c) 상기 고정 요소(7)는 상기 구동 휠(10)에 연결된 제어 윤곽선(12, 62)상에 지지 가능한 방식으로 유사하게 배치된 제 2 캠(19)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 요소(7)에 할당된 상기 제어 윤곽선(12, 62)은, 상기 전기기계적 드라이브(6)가 언로킹 위치로부터 로킹 위치로 블로킹 요소(5)를 변위시키도록 작동된 후에, 상기 고정 요소(7)가 우선 정지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피봇되거나 또는 변위되고, 그리고 이어서 블로킹 요소(5)가 가능한 로크된 위치로 이동되게 하는 방식으로 선택된 프로파일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로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7)의 피봇축(15)은 상기 구동 휠(10)의 회전축(13)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로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7)의 제 2 캠(19)은 상기 구동 휠(10)의 제 1 제어 윤곽선(12)상에 지지 가능한 방식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어 윤곽선은 상기 블로킹 요소(5)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로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7)의 제 2 캠(19)은 상기 제 1 제어 윤곽선(12)과 별개로 배열된 제 2 제어 윤곽선(62)상에 지지 가능한 방식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로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윤곽선(12) 및 상기 제 2 제어 윤곽선(62)은 상기 구동 휠(10)의 대향 측면(60, 61)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로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휠(10)의 제 1 제어 윤곽선(12)은 2개의 곡선 섹션(14, 21)을 구비하며, 제 1 곡선 섹션(14)은 상기 구동 휠(10)의 회전축(13)으로부터 일정한 반경방향 거리에 있으며, 제 2 곡선 섹션(21)은 상기 제 1 곡선 섹션(14)으로부터 상기 구동 휠(10)의 회전축(13)을 향해 경사진 프로파일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 1 곡선 섹션(14)의 반경방향 거리는, 상기 제 1 캠(11)이 상기 제 1 곡선 섹션(14)상에 지지되는 경우, 상기 블로킹 요소(5)가 언로킹 위치에 도달되게 하는 방식으로 선택되며,
    상기 제 1 곡선 섹션(14)의 길이는, 로킹 작동 동안에, 상기 제 2 캠(19)이 상기 고정 요소(7)를 정지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까지 피봇시킬 때까지 상기 제 1 캠(11)이 상기 제 1 곡선 섹션(14)상에 지지되게 하는 방식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로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곡선 섹션(21)은 상기 구동 휠(19)의 회전축(13)의 바로 근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로크.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휠(10)의 제 1 제어 윤곽선(12)은 2개의 곡선 섹션(14, 21)을 구비하며, 제 1 곡선 섹션(14)은 상기 구동 휠(10)의 회전축(13)으로부터 일정한 반경방향 거리에 있으며, 제 2 곡선 섹션(21)은 상기 제 1 곡선 섹션(14)으로부터 상기 구동 휠(10)의 회전축(13)을 향해 경사진 프로파일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 1 곡선 섹션(14)의 반경방향 거리는, 상기 제 1 캠(11)이 상기 제 1 곡선 섹션(14)상에 지지되는 경우, 상기 블로킹 요소(5)가 언로킹 위치에 도달되게 하는 방식으로 선택되며,
    상기 제 1 곡선 섹션(14)의 길이는, 로킹 작동 동안에, 상기 제 2 캠(19)이 상기 고정 요소(7)를 정지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까지 피봇시킬 때까지 상기 제 1 캠(11)이 상기 제 1 곡선 섹션(14)상에 지지되게 하는 방식으로 선택되며,
    상기 구동 휠(10)의 제 2 제어 윤곽선(62)은 제 2 곡선 섹션(64)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곡선 섹션(64)은, 상기 제 2 캠(19)이 이러한 제 2 곡선 섹션(64)상에 지지될 때, 상기 고정 요소(7)가 정지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피봇되게 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로크.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7)는, 그 일 단부에, 기본적으로 L자형 돌출부(limb)로 형성된 블로킹 부분(17)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블로킹 부분(17)은 상기 블로킹 요소(5)를 언로킹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블로킹 요소(5)의 단차형 돌기(18) 아래로 피봇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로크.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요소(5)는 볼트형 하부 부분(50)과, 상기 하부 부분(50)과 인접한 기본적으로 활형상 상부 부분(51)을 구비하며, 상기 볼트형 하부 부분(50)에 대향해서 놓여 있는 상부 부분(51)의 아암(52)의 적어도 부분 영역은 제 1 아암(11)으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로크.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휠(10)이 전기기계적 드라이브(6)의 치형 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로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 휠(10)이 워엄 휠 드라이브의 워엄 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로크.
KR1020077010167A 2004-11-05 2005-11-02 스티어링 로크 Expired - Fee Related KR1011837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53438.1 2004-11-05
DE102004053438A DE102004053438A1 (de) 2004-11-05 2004-11-05 Lenkschloß
PCT/EP2005/055704 WO2006048423A1 (de) 2004-11-05 2005-11-02 Lenkschlo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3973A KR20070083973A (ko) 2007-08-24
KR101183762B1 true KR101183762B1 (ko) 2012-09-17

Family

ID=35457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167A Expired - Fee Related KR101183762B1 (ko) 2004-11-05 2005-11-02 스티어링 로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856858B2 (ko)
EP (1) EP1807289B2 (ko)
JP (1) JP4824029B2 (ko)
KR (1) KR101183762B1 (ko)
CN (1) CN101065275B (ko)
AT (1) ATE406293T1 (ko)
BR (1) BRPI0517771A (ko)
DE (2) DE102004053438A1 (ko)
ES (1) ES2313431T3 (ko)
MX (1) MX2007005388A (ko)
WO (1) WO20060484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4912B2 (ja) * 2005-11-30 2011-02-02 株式会社アルファ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DE102006054118A1 (de) * 2006-11-15 2008-05-2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ines Sperrgliedes
DE102006057356B4 (de) * 2006-12-04 2020-07-16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ines Sperrgliedes
DE102006058759A1 (de) * 2006-12-12 2008-06-19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ines Sperrgliedes
DE102007041620A1 (de) * 2007-09-03 2009-03-05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ines Sperrgliedes
US7596976B2 (en) 2007-11-30 2009-10-06 Alpha Corporation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DE602007008270D1 (de) 2007-12-21 2010-09-16 Valeo Sicherheitssysteme Gmbh Lenkradschloss für Lenksäule
DE102008013487A1 (de) 2008-03-10 2009-09-1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fahren sowie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ines Sperrgliedes
EP2284051B1 (en) * 2008-06-06 2013-04-17 Honda Motor Co., Ltd. Steering lock device
JP5385724B2 (ja) * 2008-08-29 2014-01-08 株式会社アルファ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8424348B2 (en) * 2010-01-27 2013-04-23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Steering lock
US20140069224A1 (en) 2012-09-07 2014-03-13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Steering lock
DE102010038160A1 (de) * 2010-10-13 2012-04-19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Verlagerung eines Sperrelementes
EP2476592B1 (fr) * 2011-01-13 2020-04-08 U-Shin Deutschland Zugangssysteme GmbH Antivol de direction pour véhicule automobile
EP2479073B1 (fr) * 2011-01-21 2014-01-15 VALEO Sicherheitssysteme GmbH Antivol de direction pour véhicule automobile
JP5935115B2 (ja) * 2011-11-28 2016-06-15 株式会社ユーシン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EP2716508B1 (en) * 2012-10-04 2015-12-09 U-Shin Deutschland Zugangssysteme GmbH Electrical steering column lock for an automative vehicle
EP3663489A1 (en) * 2012-12-19 2020-06-10 Lock II, L.L.C. A self-powered lock and a method of powering a lock
WO2014186475A1 (en) * 2013-05-15 2014-11-20 Calin Roatis Lock
WO2015049951A1 (ja) * 2013-10-04 2015-04-09 株式会社 アルファ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ES2566776B1 (es) * 2014-09-15 2017-01-24 Ojmar, S.A. Cerradura electrónica
EP3002161A1 (en) * 2014-10-01 2016-04-06 U-Shine France An antitheft device for a steering column of a vehicle
DE102015007784B4 (de) * 2015-06-19 2020-02-13 Thyssenkrupp Ag Lenksäule mit elektro-mechanischer Fixiervorrichtung
DE102016008561A1 (de) * 2016-07-14 2018-01-18 Thyssenkrupp Ag Lenksäule mit elektro-mechanischer Fixiervorrichtung
US12359465B2 (en) 2021-02-16 2025-07-15 Triteq Lock And Security, Llc Lock
WO2024241291A1 (en) * 2023-05-24 2024-11-28 Minda Corporation Limited A steering lock of a 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98960A1 (de) 2003-05-06 2004-11-1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perren der lenkspindel eines kraft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55605B (it) * 1982-02-12 1987-01-28 Champion Spark Plug Italiana Antifurto bloccasterzo per autoveicoli
JP2530045Y2 (ja) * 1990-11-09 1997-03-2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H06158924A (ja) * 1992-11-25 1994-06-07 Tokai Rika Co Ltd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CN2157274Y (zh) * 1993-05-27 1994-02-23 郑宝源 一种汽车门锁中央控制装置
FR2706391B1 (fr) * 1993-06-09 1995-07-28 Valeo Securite Habitacle Antivol de direction pour véhicule automobile.
JP3592941B2 (ja) * 1998-11-24 2004-11-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DE19964173C2 (de) * 1999-02-15 2001-12-13 Valeo Deutschland Gmbh & Co Vorrichtung zur elektrischen Verriegelung der Lenkspindel einer Lenkeinrichtung
DE19929435C2 (de) 1999-06-26 2002-05-23 Huf Huelsbeck & Fuerst Gmbh Vorrichtung zur Positionserkennung eines beweglichen Glieds in einem bei Fahrzeugen anwendbaren Verschluss
US6324878B1 (en) 1999-08-26 2001-12-04 Methode Electronics, Inc. Steering lock device with safety system
FR2807373B1 (fr) 2000-04-10 2002-06-21 Valeo Securite Habitacle Antivol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s moyens perfectionnes de retenue du pene
DE10022831B4 (de) * 2000-05-10 2011-09-22 Marquardt Gmbh Verriegelungs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IT1320542B1 (it) 2000-07-18 2003-12-10 Trw Italia Spa Bloccasterzo elettrico per veicoli.
DE10133408A1 (de) * 2000-07-19 2002-05-02 Marquardt Gmbh Verriegelungs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041018A1 (de) 2000-08-22 2002-03-07 Valeo Deutschland Gmbh & Co Vorrichtung zur Verriegelung der Lenkspindel eines Kraftfahrzeuges
DE10061960C2 (de) 2000-12-13 2003-04-03 Huf Huelsbeck & Fuerst Gmbh Vorrichtung zur Blockierung der Lenksäule eines Kraftfahrzeuges
US6571587B2 (en) 2001-01-09 2003-06-03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Steering column lock apparatus and method
DE10103182B4 (de) 2001-01-24 2012-09-27 Valeo Sicherheitssysteme Gmbh Verriegelungsvorrichtung
JP3808789B2 (ja) 2002-03-22 2006-08-1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0494504B1 (ko) * 2002-05-27 2005-06-10 주식회사 신창전기 시동키의 길이 축소를 위한 자동차용 시동키 뭉치
JP3990224B2 (ja) * 2002-08-09 2007-10-10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DE10247802B3 (de) 2002-10-14 2004-02-05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perren der Lenkspindel eines Kraftfahrzeugs
JP2004182177A (ja) * 2002-12-05 2004-07-02 Yuhshin Co Ltd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CZ292528B6 (cs) * 2002-12-31 2003-10-15 Aleš Ing. Mánek Zařízení proti neúmyslné blokaci volantu automobilu
JP2004231123A (ja) * 2003-01-31 2004-08-19 Tokai Rika Co Ltd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DE10320138B3 (de) * 2003-05-06 2005-01-13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perren der Lenkspindel eines Kraftfahrzeugs
DE10320155B3 (de) * 2003-05-06 2005-02-1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perren der Lenkspindel eines Kraftfahrzeugs
CN2639469Y (zh) * 2003-06-10 2004-09-08 罗锦发 汽车电动门锁装置
JP4248948B2 (ja) * 2003-06-13 2009-04-02 株式会社アルファ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EP1637415B2 (fr) 2004-09-15 2019-01-09 U-Shin Deutschland Zugangssysteme GmbH Dispositif éléctrique pour le blocage/deblocage d'une colonne de dire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98960A1 (de) 2003-05-06 2004-11-1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perren der lenkspindel eines kraftfahrze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406293T1 (de) 2008-09-15
BRPI0517771A (pt) 2008-10-21
MX2007005388A (es) 2007-12-07
DE102004053438A1 (de) 2006-05-11
EP1807289B1 (de) 2008-08-27
CN101065275B (zh) 2010-08-25
EP1807289A1 (de) 2007-07-18
EP1807289B2 (de) 2014-02-12
KR20070083973A (ko) 2007-08-24
US7856858B2 (en) 2010-12-28
WO2006048423A1 (de) 2006-05-11
DE502005005219D1 (de) 2008-10-09
ES2313431T3 (es) 2009-03-01
JP4824029B2 (ja) 2011-11-24
US20090007612A1 (en) 2009-01-08
CN101065275A (zh) 2007-10-31
JP2008518840A (ja) 200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762B1 (ko) 스티어링 로크
JP4822546B2 (ja) ハンドルロック装置
JP4979986B2 (ja) 自動車のブレーキペダル装置
EP1953050B1 (en) Electric steering lock
JP5121000B2 (ja) プッシュリリース機能を有するステアリングコラムロック装置
JP4698019B2 (ja) ロック装置
JP2002283962A (ja) 施錠装置
JP2010529329A (ja) 自動車の開閉部の施錠を行うための電気錠
JP4248948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4490734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H0650415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4584719B2 (ja) 自動車用盗難防止装置
JP2005014755A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04268754A (ja) ステアバイワイヤ式操舵装置
US6419328B1 (en) Side brake device activating despite failure to apply
EP3511597B1 (en)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gearshift
JP3657137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KR100337222B1 (ko) 차량용 조향 핸들 록킹장치
JP5669029B2 (ja) ロストモーションを伴って舌片を操作するためのアクチュエータを備える、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用の盗難防止装置
KR100774760B1 (ko) 차량용 후드 릴리이스 핸들
JP4680056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システム
JP4221642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0140740Y1 (ko) 자동차용시이트트랙해제제어장치
KR970007732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Tilt)장치
KR20080051696A (ko) 차량의 스티어링 로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11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9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9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