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82046B1 - 오징어젓 또는 오징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징어젓 또는 오징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046B1
KR101182046B1 KR1020100061797A KR20100061797A KR101182046B1 KR 101182046 B1 KR101182046 B1 KR 101182046B1 KR 1020100061797 A KR1020100061797 A KR 1020100061797A KR 20100061797 A KR20100061797 A KR 20100061797A KR 101182046 B1 KR101182046 B1 KR 101182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id
hyperlipidemia
cholesterol
serum
lip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145A (ko
Inventor
조순영
양기철
김옥선
최용석
권준구
이승주
하왕현
최혜진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61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046B1/ko
Publication of KR20120001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0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18Molluscs, e.g. fresh-water molluscs, oysters, clams, squids, octopus, cuttlefish, snails or slu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징어젓 또는 오징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오징어젓 및 오징어는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동물모델에서 간조직 및 분변 중 지질 함량을 감소시키고, 혈청 중의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인지질, 과산화지질 및 Hydroxyl radical 함량을 감소시키며, 혈청 중 SOD 활성을 증진시킴을 확인한 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오징어젓 또는 오징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lted squid or squi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besity or hyperlipidemia and atherosclerotic-vascular diseases}
본 발명은 오징어젓 또는 오징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이기완 외 4, 한국인의 식생활 100년 평가(Ⅰ), 신광출판사, 1998
[문헌 2] 김은경 외 4, 생활주기영양학. 신광출판사, 2005
[문헌 3] 조성희, 지질과 동맥경화증,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3(1), pp.170-179, 1994
[문헌 4] 한국식품공업협회 식품연구소, 영양과 특수질병과의 상관관계 연구, 1988
[문헌 5] Illingworth, D. R. et al,,, Atherosclerosis, 4, p.270, 1984
[문헌 6] Eddy, N. B. et al,,, Synthetic analgesics. II. Dithienylbutenyl- and dithienylbutylamines. J Pharmacol Exp Ther. 107(3), pp.385-393, 1953
[문헌 7] D,Amour, F.E., et al,,, A method for determining loss of pain sensation. J. Pharmacol. Exp. Ther. 72, p.74, 1941
[문헌 8] Imad Damaj, M. et al,,, Tolerance to the antinoceptive effect of epibatine after acute and chronic administration in mice. Euorpian J Pharmacol. 300, pp.51-57, 1996
[문헌 9] 김송전, 김만수. ω-3지방산이 콜레스테롤을 투여한 흰쥐의 혈청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화학회지, 1991
[문헌 10] 백인경 외, 인슐린비의존형당뇨병 환자에서 어유 투여량이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26(6), pp.672-679, 1993
[문헌 11] Schoen FJ et al., Robbins pathologic basis of disease, 5 th ed ., pp.473-484, 1994
[문헌 12] 국승래 외, 가정의학회지, 18(3), pp.317-327, 1997
[문헌 13] Ham IH et al., Kor. J, Herbology, 20, pp.45-52, 2005
[문헌 14] Lee HH et al., Kor. J. Anesthesiol, 40, pp.515-521, 2001
[문헌 15] Choi JY et al., J. Kor. Pharm. Sci., 18, pp.240-241, 1988
[문헌 16] Kim KK et al., J. Kor. Pharm. Sci., 28, pp.15-23, 1998
[문헌 17] Nash VJ et al., Pharmacotherapy, 16, pp.10-15, 1996
[문헌 18] Stellato C. et al., Br. J. Anaesth., 67, pp.751-758, 1991
[문헌 19] Wout G. M. et al., J. Paren. Sci. Technol., 46, pp.192-200, 1992
[문헌 20] Rhee, S.K., et al,,, Lipid Content of Different Sec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ackerel, Pacific Saury and sardine, pp.82-88, 2001
[문헌 21] 김소미 외, 누구나 알아두면 좋을 우리생선 이야기, 효일, 2002
[문헌 22] Oh, S.H., Kim, D.J, .The Change in Content of Constitutive Lipid and Fatty Acid of Pacific Saury during Natural Freezing Dry(Kwa Mae Kee), Korean J. Food & Nutrition, pp.239-252, 1995
[문헌 23] Lowry O. H. et al,,, J. Biol. Chem., 193, p.265, 1951
[문헌 24] 염동민, 김영숙. 고등어 근육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의 항산화 작용, 한국식품영양학회지, 7(2), pp.128-136, 1994
[문헌 25] Sang-Do Ha, Ae-Jung Kim., Technological Trends in Safety of Jeotgal, 46, 2005
[문헌 26] Kusama, H. et al., Pharmacological investigation of bezafibrate a hypolipidemic agent(1). Effects of bezafibrate on normal and experimental hyperlipidemia in rats. Nippon yakurigaku Zasshi. 92, pp.175-180, 1988
[문헌 27] Folch J. et al., G.A.. J. Biol. chem., 226, p.447, 1957
[문헌 28] Mc Growan M.w. et al,, Aperoxid ase-coupled method for the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serum triglycerides, Clin. Chem., 29, p.538, 1983
[문헌 29] Chen PS. et al,, Microdetermination of phosphorus, Anal . Chem , 28, pp.1756-1760, 1956
[문헌 30] Richmond W., Use of cholesterol oxidase for assay of total and free cholesterol in serum by continuous flow analysis, Clin. Chem., 22, p.1579, 1976
[문헌 31] Noma A. et al,,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of very old people in the diagnosis of dementia, Oxford Journals , 15, pp.267-270, 1986
[문헌 32] Friedwald, W.T. et al,,,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ical Chemistry , 18, pp.499-502, 1972
[문헌 33] Yagi K., Lipid peroxides and human diseases, Chemistry and Physics of Lipids , 45, pp.337-342, 1987
[문헌 34] Kobatake Y. et al,,, Influence of fish consumption on serum lipid and lipid peroxide concentrations in middle aged subjects, J Japan Soc Nutr & Food Sci , 40, pp.103-110, 1987
[문헌 35] Mirsa, H.P. and Fridovich, I., The role of superoxide aninon in the autoxidadation of epinephrine and a simple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J. Biol. Chenm., 217, pp.3170-3174, 1972
[문헌 36] Chen PS, Toribara TY, Warnerm H. Microdetermination of phosphorus, Anal . Chem 28, 1756-1760(1956)
[문헌 37] Folch J, Less M, Sloane stanley GH.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1957)
[문헌 38] Friedewald WT, Levy RF, Frederickson DS.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 Chem 18, 499-602(1972)
[문헌 39] Frings CS, Dunn RT. The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erum total lipids based on the sulfophospovanilin reaction. Am J Clin Pathol(1970)
[문헌 40] Jeong, S.H., K.T. Lee., H.S. Ann., J.Y. Lee., J.W. Choi., and D.G. Kim. Hypolipidem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bangpoongtongsunkami bang on diet-induced obesity rats. Kor. J. Pharmacogn. 37(3), p190-195(2006)
[문헌 41] Kim, J.P., I.J. Chon, H.K.Cho, I.H. Ham, and W.K. Whang. The antioxidant and the antidiabetic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biofunctional foods prescriptions. Kor. J. Pharmacogn. 35(1), p98-103(2004)
[문헌 42] Kim, H.S., H.S. Cheong., J.O. Kang., H.S. Kim., S.J. Lee., S.Y. Chung., Effects of the feeding mixed oils with various level of n-3 and n-6 polyunsaturated fatty acid on the fatty acid metabolism of brain, heart and spleen in dietary hyperlipidemic rats. J. Korean Soc. Food Nutr. 22(6), p692-701(1993)
[문헌 43] Kobatake Y, Saito M, Kuroda K, Kobayashi S, Innami S. : Influence of fish consumption on serum lipid and lipid peroxide concentrations in middle aged subjects, J Japan Soc Nutr & Food Sci 40, 103?110(1987)
[문헌 44] Lipid Research Program : The lipid research clinic. Coronary primary pervention trial research. J. Am Med Assoc 251, 365-374(1984)
[문헌 45] Lowry O. H., Rosebrough. N. J., Farr, A. L., Rardall, R. J., : J. Biol. Chem., 193, 265(1951)
Mc Growan M.w., Artiss J.D., Stramdbergh D.R., Aperoxid ase-coupled method for the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serum triglycerides, Clin. Chem., 29, 538(1983)
[문헌 46] Mirsa HP, Fridovich I. The generation of superoxide radical during the autoxidation of hemoglobin. J Biol Chem 247, 69606962(1972)
[문헌 47] Noma A., Matsushita S. Komori T. :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of very old people in the diagnosis of dementia, Oxford Journals 15, 267-270(1986)
[문헌 48] Outani, K. An antitumor substance obtained from the internal shell of squid-Isolation procedures and antitumor activity. Bull.Japan Soc. Sci. Fish. 42, 1976, p449-453
[문헌 49] Richmond W., Use of cholesterol oxidase for assay of total and free cholesterol in serum by continuous flow analysis, Clin. Chem., 22, 1579(1976)
[문헌 50] Stansby, M,E. fish oils in nutriton.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p6-34(1990)
[문헌 51] WHO. 1990 World health statistics. Annual(1991)
[문헌 52] Yagi K. : Lipid peroxides and human diseases, Chemistry and Physics of Lipids 45, 337?342(1987)
질병은 인간생활의 한 부분으로 시대의 변천에 따라 그 양상도 변해왔다. 지난 100년간 우리 사회가 겪어온 경제적인 발전 및 고도의 산업화, 급격한 인구 증가 및 밀집화, 환경과 보건위생의 개선, 그리고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 등은 다른 어느 시기보다도 우리 국민의 질병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우리나라 질병구조는 감염성 질환에서 성인병 시대로 이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질병 이환수준과 사망수준도 달라지고 있다(이기완 외 4, 한국인의 식생활 100년 평가(Ⅰ), 신광출판사, 1998). 한국인의 사인(死因)구조를 보면 1950년대 이전에는 결핵, 기관지염, 위장염, 등이 상위를 차지하였으나 1997년 사인 구성비를 보면 제1순위는 순환기계 질환(고혈압성질환, 뇌혈관 질환, 허혈성 심장질환, 동맥경화 등)으로 전체 사망의 23.4%를 차지하고 있다(김은경 외 4, 생활주기영양학. 신광출판사, 2005). 심장혈관계 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장년층 조기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전 및 여러 환경 요소들에 의하여 발생되는 다요인적 질병으로 지질 영양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조성희, 지질과 동맥경화증,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3(1), pp.170-179, 1994; 한국식품공업협회 식품연구소, 영양과 특수질병과의 상관관계 연구, 1988).
혈청 지질의 농도가 정상보다 많은 경우를 고지혈증이라고 말하며(Illingworth, D. R. et al,,, Atherosclerosis, 4, p.270, 1984), 이러한 증상은 소장에서의 중성지방의 합성 증가, 간에서의 중성지방의 합성 증가, HDL-cholesterol의 합성 감소, VDL-cholesterol 합성 및 분비 증가(Eddy, N. B. et al,,, Synthetic analgesics. II. Dithienylbutenyl- and dithienylbutylamines. J Pharmacol Exp Ther. 107(3), pp.385-393, 1953; D,Amour, F.E., et al,,, A method for determining loss of pain sensation. J. Pharmacol. Exp. Ther. 72, p.74, 1941; Imad Damaj, M. et al,,, Tolerance to the antinoceptive effect of epibatine after acute and chronic administration in mice. Euorpian J Pharmacol. 300, pp.51-57, 1996) 또는 지질과산화에 따른 조직의 손상으로 인해 발병된다(김송전, 김만수. ω-3지방산이 콜레스테롤을 투여한 흰쥐의 혈청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화학회지, 1991; 백인경 외, 인슐린비의존형당뇨병 환자에서 어유 투여량이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지, 26(6), pp.672-679, 1993).
고지혈증 (hyperlipidemia)에 있어 증가된 혈청 지질성분의 주요 성분은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인지질 및 유리지방산 등의 지용성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지질 물질 중 어느 것이 주로 증가하느냐에 따라 고콜레스테롤혈증(hypercholesterinemia), 고중성지질혈증 (hypertriglyceridemia) 등으로 불려진다. 혈청 내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의 증가가 고지혈증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으로 취급되고 있는데, 과다한 지방질의 축적으로 혈액순환장애 및 미세순환부전을 일으키고, 이로 인하여 죽상동맥경화증, 허혈성 심질환, 뇌경색, 고혈압, 비만, 당뇨병 등을 초래할 수 있다(Schoen FJ et al., Robbins pathologic basis of disease, 5th ed ., pp.473-484, 1994).
콜레스테롤은 주로 간에서 생성되며, 지단백(lipoprotein)이라는 작고 둥근 입자형태로 혈액 중에 존재하게 되는데, 이 지단백이 콜레스테롤을 우리 몸 곳곳으로 운반한다. 지단백에는 저밀도지단백(low density lipoprotein, LDL) 및 고밀도지단백(high density lipoprotein, HDL) 두 종류가 있으며, 고밀도지단백은 다른 조직에서 간으로 콜레스테롤을 운반하기 때문에 고밀도지단백이 많으면 혈관 등에서 콜레스테롤이 제거되며, 반면 저밀도지단백은 간에서 주로 생성되어 인체의 다른 조직으로 콜레스테롤을 운반하므로 저밀도지단백이 많으면 혈관에 콜레스테롤이 많이 쌓여서 동맥경화가 촉진되며, 혈중 콜레스테롤의 약 70%는 나쁜 콜레스테롤인 저밀도지단백으로 존재한다.
실제적으로 콜레스테롤은 인체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시키는 데 필수적인 구성 성분이며, 세포를 만드는데 꼭 필요한 영양소이고, 부신피질 호르몬, 남성 호르몬, 여성 호르몬 등 여러 가지 호르몬의 재료가 되는 성분이며, 담즙을 만드는 재료가 된다. 또한 콜레스테롤은 생체막의 구성성분인 동시에 호르몬 합성의 출발물질로 쓰이는 등 인체에 반드시 필요한 영양소이다. 그러나 콜레스테롤 과다 섭취 시 혈관 내에 축적되어 심장계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직까지는 저콜레스테롤 식이요법 외에는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없고, 콜레스테롤 저하제 등의 약품 복용이 효과는 있으나, 콜레스테롤 합성효소의 작용억제에 따른 간 기능 장애와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는 등의 이유로 인하여 사용이 극히 제한적이다.
인체 내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로는 키토산(chitosan), 피토스테롤(phytosterol), 이노시톨(inositol), 펙틴(pectin) 등이 있으나, 피토스테롤을 제외한 경우는 그 효과나 대사 기작이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식물성 스테롤인 피토스테롤은 콜레스테롤과의 구조적 유사성으로 인하여, 인체에 해로운 저밀도 지단백-콜레스테롤과의 경쟁을 통하여 인체 내 콜레스테롤 흡수 대사를 저해하는 작용 기작이 이미 밝혀져 있고, 식품첨가물로서 미국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이 되어 있다.
고지혈증 치료제는 지나친 혈중 지질, 특히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의 수치를 낮추기 위해 사용된다. 지질 대사에 사용되는 주요 약들은 스타틴, 담즙산 차단제, 피브르산 유도체 등이 있으며, 이 약들은 각각 다른 기전으로 작용한다. 고지혈증 치료제의 선택은 증가된 지단백의 종류에 따라서 이들 약제를 복합적으로 사용하기도 하며, 이들은 매일 경구로 장기간 복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약들은 콜레스테롤과 혈중 지질 농도를 효과적으로 떨어뜨리지만,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는 단점이 있다. 스타틴의 경우 구역, 두통, 복통과 설사나 변비가 나타날 수 있어 근육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고 담즙산 차단제는 비타민 A, D, K의 장 흡수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이들 비타민 보충이 필요하다. 그리고 피브르산 유도체는 신장 질환, 간질환 또는 담낭 질환에는 부적합한 약이다. 따라서 이들 제제를 대신할 의약품 및 천연물이 함유된 기능성 식품 등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국승래 외, 가정의학회지, 18(3), pp.317-327, 1997).
동맥경화는 뇌졸중과 관상동맥질환 같은 혈관질환의 원인이 된다. 특히 관상동맥질환에 의한 협심증 및 급성 심근경색증은 지난 20-30년 동안 급격한 사회적, 경제적 발전과 서구화된 생활방식 등으로 인해 현저히 증가하여 왔다. 동맥경화는 현재 순환기 질환 중 고혈압 다음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며 암과 함께 사망원인으로 큰 비중을 차지함으로서 국민보건 상 가장 중요한 질환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동맥경화의 병인 기전 및 치료에 관한 연구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동맥경화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혈장 지질, 특히 혈장콜레스테롤(cholesterol) 및 중성지질의 상승이 가장 중요한 위험 인자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고지혈증은 동맥경화의 중요한 위험인자로 허혈성심질환과 뇌혈관장애 등 주요한 사망원인이 되는 병태로서 임상상으로도 중요하다. 동맥경화 예방에는 지질 개선과 고지혈증의 개선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실험적 고지혈증의 병태 모델은 크게 외인성 모델과 내인성 모델로 나누어진다. 외인성 고지혈증 병태 모델로는 고콜레스테롤식이 부하에 의한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모델, 즉 비타민D, 콜레스테롤, 올리브유, 옥수수유 등의 투여에 의한 고지혈증 모델이 있고, 내인성 고지혈증 모델로는 과당(fructose)투여 및 WR-1339(Tripton WR-1339) 투여에 의한 모델 등이 있다(Ham IH et al., Kor. J, Herbology, 20, pp.45-52, 2005). 그 중 폴록사머 407(Poloxamer 407)은 마취제의 유화제(Lee HH et al., Kor. J. Anesthesiol, 40, pp.515-521, 2001), 난용성 약물 용해제(Choi JY et al., J. Kor. Pharm. Sci., 18, pp.240-241, 1988), 피부연고제(Kim KK et al., J. Kor. Pharm. Sci., 28, pp.15-23, 1998) 등으로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인체 내 투여 시 지질이 증가하며 특히 중성지질이 증가됨으로써 고지혈증을 유발한다. 폴록사머 주입 후 최소 24시간 동안 지질세포(adipocyte)에서 유리지방산이 생성되며(Nash VJ et al., Pharmacotherapy, 16, pp.10-15, 1996), 지단백 분해효소(lipoprotein lipase, LPL)의 작용을 방해하는 중성지질의 분해속도를 감소시키고(Stellato C. et al., Br. J. Anaesth., 67, pp.751-758, 1991),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이 증가되는데 이는 간에서의 3-히드록시-3-메틸글루타릴 보조효소 A(HMG-CoA; 3-hydroxy-3-methylglutaryl CoA)의 활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Wout G. M. et al., J. Paren. Sci. Technol., 46, pp.192-200, 1992).
혈중 지질과산화는 세포독성을 초래하여 노화현상이나 이에 따른 각종 질환의 병리 현상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해독기구의 작용으로 무독화된다고 한다(Rhee, S.K., et al,,, Lipid Content of Different Sec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ackerel, Pacific Saury and sardine, pp.82-88, 2001; 김소미 외, 누구나 알아두면 좋을 우리생선 이야기, 효일, 2002; Oh, S.H., Kim, D.J, .The Change in Content of Constitutive Lipid and Fatty Acid of Pacific Saury during Natural Freezing Dry(Kwa Mae Kee), Korean J. Food & Nutrition, pp.239-252, 1995).
오징어는 타우린, 베타인, EPA 및 DHA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오징어를 섭취하는 경우 혈중콜레스테롤 저하작용, 혈압 정상화, 심장병 예방, 인슐린 분비 촉진 등과 같은 생리활성 작용이 기대된다(Stansby, 1990; Outani, 1976).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오징어젓 및 오징어의 항비만과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의 조성물에 대해서 연구한 바, 비만 유도성분(beef tallow)를 첨가한 조제 시료를 사육하여 비만 및 식이성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동물모델에서 오징어젓 및 오징어 투여군에서 혈중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으며, 고콜레스테롤 식이 섭취로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동물모델에서 간조직 및 분변 중 지질 함량을 감소시키고, 혈청 중의 중성지방,콜레스테롤, 인지질, 과산화지질 및 Hydroxyl radical 함량을 감소시키며, 혈청 중 SOD 활성을 증진시킴을 확인하여,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징어젓 또는 오징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징어젓 또는 오징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오징어젓 및 오징어는 통상적으로 유통되는 제품형태 또는 이의 건조분말, 바람직하게는 건조분말 형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은 구체적으로는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심부전증, 고혈압성 심장질환, 부정맥, 선천성 심장질환, 심근경색증, 협심증, 뇌졸중 또는 말초혈관질환, 바람직하게는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증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오징어젓 및 오징어 분말을 수득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오징어의 내장 제거 및 절단하는 제 1단계; 상기 오징어를 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5℃에서 1시간 내지 80시간, 바람직하게는 20시간 내지 60시간 염장한 후 세척하는 제 2단계; 상기 세척한 오징어에 설탕과 물엿을 첨가한 후 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5℃에서 1시간 내지 60시간, 바람직하게는 20시간 내지 40시간 당침하는 제 3단계; 상기 당침한 오징어에 조미액을 첨가하여 양념한 후 1℃ 내지 20℃에서 1일 내지 20일간 숙성시킨 후 동결건조 하여 분말화하는 제 4단계의 제조공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오징어젓 및 오징어 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오징어는 동해오징어(Todarodes pacificus)이다.
상기 제 3단계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설탕과 물엿의 상대적 배합 중량비(w/w)가 1:1~5, 바람직하게는 1:1~3, 보다 바람직하게는 1:1~2로 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4단계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조미액은 고춧가루 : 마늘 : 생강 : 미원 : 물엿의 상대적 배합 중량비(w/w)가 3~15 : 1~10 : 1 : 1~3 : 1~3, 바람직하게는 7~10 : 2~5 : 1 : 1~2 : 1~2, 보다 바람직하게는 7~9 : 2~4 : 1 : 1~1.5 : 1~1.5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수득되는 품질 향상 및 저장성이 우수한 오징어젓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오징어젓 및 오징어를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오징어젓 및 오징어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분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오징어젓 및 오징어 분말은 1일 0.5 g/kg 내지 5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g/kg 내지 3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징어젓 또는 오징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오징어젓 및 오징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징어젓 및 오징어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징어젓 및 오징어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오징어젓 및 오징어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1 내지 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오징어젓 및 오징어를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오징어젓 및 오징어는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동물모델에서 간조직 및 분변 중 지질 함량을 감소시키고, 혈청 중의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인지질, 과산화지질 및 Hydroxyl radical 함량을 감소시키며, 혈청 중 SOD 활성을 증진시킴을 확인하여,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참고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참고예,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참고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오징어젓 및 오징어 동결건조물의 제조
오징어는 동해연안에서 어획된 것으로 강릉시 주문진 수협으로부터 2009년 10월 냉동된 상태로 제공받았다. 시료의 평균 무게와 평균 길이는 체장 25.2± 0.7 cm, 체중 359.5± 41.3g이였다. 오징어젓은 오징어의 내장제거 및 절단 후 10℃에서 48시간 염장(10%)후 세척. 설탕과 물엿의 비율을 1:1로 10℃에서 24시간 당침 후 고춧가루, 마늘, 생강, 미원, 물엿의 비율을 8:3:1:1.2:1.5로 양념하여 6℃에서 10일간 숙성시켜 오징어젓을 제조하여 동결 건조 후 분말화하여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시료를 진공 동결 건조한 결과 동결 전과 비교하여 동결 후 오징어(이하, “SS”라 함)의 수율은 23.5%, 오징어젓(이하, “SS-D”라 함)의 수율은 47% 이였다(표 1 참조).
Figure 112010041851420-pat00001
참고예 1. 실험준비
1-1. 실험동물, 사육환경, 실험군의 구성
본 시험에 사용한 SPF 25 ± 3g의 ICR계 웅성 생쥐 및 140 ± 10 g의 Sprague Dawley(SD)계 흰쥐[(주) 효창사이언스(대구)] 로부터 4주령의 수컷을 구입한 후 1주일 간 검역과 순화사육을 거쳐 건강한 동물만을 실험에 이용하였다. 본시험의 사육환경은 온도 22±3℃, 상대습도 50±10%, 조명시간 12시간(07:00?19:00)로 설정된 경성대학교 약학대학 실험동물 사육실(TECNIPLAST, Italy)에서 실시되었다. 사료는 실험동물용 고형사료(중앙실험동물, 서울)를 음수는 상수도를 자유 섭취시켰다. 실험 시간 전 24시간 동안 물만 주고 절식하였다. 이때 효소 활성의 일중 변동을 고려하여 실험동물을 일정시간(오전 10:00-12:00) 내에서 처치하였다.
1-2. 검액의 제조
각각의 오징어 및 오징어젓은 생리식염수로 희석한 4% tween 80을 사용하여 각분획을 100, 200 mg/kg 용량으로 4주간 각각의 실험군에 경구용 needle zonde을 사용하여 투여하였다.
1-3. 통계학적 분석
세 번의 실험결과에 대한 평균± 표준편차의 값으로 나타내었으며, 분산의 동질성을 검정하기 위해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여 유의차가 5% 미만 (p<0.05)일 때,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데이터의 위첨자 알파벳이 서로 다른 것끼리는 통계적 유의차가 있음을 의미함).
실험예 1. Cholesterol 및 고지혈증 실험
1-1. Cholesterol 및 고지혈증의 유발
실험동물의 식이성 cholesterol 고지혈증의 유발은 sodium cholate 및 cholesterol을 첨가한 조제 시료로 6주간 사육하여 유발시켰다(표 2 참조).
Figure 112010041851420-pat00002
1-2. 혈청 및 효소원의 조제
시료의 투입이 끝난 실험동물을 CO2로 가볍게 마취시켜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였고, 채취한 혈액은 30분간 방치한 후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여 지질, 과산화지질(lipid peroxide), 히드록시 라디칼(hydroxyl radical) 함량 및 수퍼옥시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 활성 측정에 사용하였다.
1-3. 체중 및 지방 조직의 무게 측정
체중 변화는 실험 개시일로부터 1주일마다 측정하였으며, 지방 조직의 무게는 복강 및 고환주위의 지방을 채취하여 산출하였다.
1-4. 간조직 분변중 지질 함량측정
간조직은 중량을 측정한 뒤 -70oC에 냉동 보관하였으며, 분변은 마지막 4일 동안의 것을 수거하였다.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측정은 문헌 (Folch et al., 1957)등의 방법에 따라 추출 하였다.
즉 변은 동결건조 후 분쇄하여 분말화 시켰으며, 간조직은 세절한 다음에 호모게나제(teflon homogenizer)로 마쇄하였다. 시료에 10배량의 용매(chloroform:methanol=2:1)를 첨가하여 지질을 반복 추출한 후에 여과액을 수기에 넣고 감압농축하여 지질을 얻었다. 이에 메탄올을 가하여 잘 용해시킨 후 효소법을 이용한 kit(아산제약)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1-5.총지질( Total lipid ) 함량 측정
Sulfo-phospho-vanillin reaction의 원리를 이용한 Fringe 와 Dunn(Fringe & Dunn, 1970)의 방법에 의하여 지질을 진한 황산과 함께 가열 한 후에 바닐린(vanillin) 인산을 가하여 나타나는 핑크색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 검량선에 준해 혈중 함량은 ㎎/㎗로 표시하였다.
1-6. 총 콜레스테롤( Total cholesterol ) 함량 측정
Richmond(Richmond W et al., 1976) 등의 효소법에 의하여 조제된 kit(AM 202-K, Asan)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빙냉상에서 효소시약(cholesterol esterase 20.5 U/ℓ, cholesterol oxidase 10.7 U/ℓ, sodium hydroxide 1.81 g/ℓ함유)을 효소시약 용해액(potassium phosphate monobasic 13.6g/ℓ, phenol 1.88 g/ℓ 함유)에 용해한 용액에 시료 20㎕에 조제한 효소시액 3.0㎖을 첨가한 후 37℃ 에서 5 분간 배양하여 시약 blank를 대조로 파장 50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 검량선에 준해 혈중 함량은 ㎎/㎗로 표시하였다.
1-7. 트리글리세리드 ( Triglyceride ) 함량 측정
McGowan(McGrowan M.w et al., 1983) 등의 방법에 준하여 조제된 kit(AM 157S-K, Asan)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빙냉상에서 효소시약(lipoprotein lipase 10800U, glycerol kinase 5.4U, peroxidase 135000U, L-α-glycero phosphooxidase 160U 함유)을 효소시약 용해액[N,N-bis(2-hydroxyethyl) -2-aminomethane sulfonic acid 0.427 g/㎗ 함유]에 용해한 용액에 시료 20㎕에 조제한 효소시액 3.0 ㎖을 첨가한 후 37℃에서 10 분간 배양하여 시약 blank를 대조로 파장 55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 검량선에 준해 혈중 함량은 ㎎/㎗로 표시하였다.
1-8. 인지질( Phospholipid ) 함량 측정
Chen(Chen PS et al., 1956)등의 효소법에 의하여 조제된 kit(Iatron Chem. Co.)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빙냉상에서 효소시약 (phospholipase 3.9U, choline oxidase 5.6U, peroxidase 3.6U, 4- aminoantipyrine 0.3252㎎ 함유)을 효소시약 용해액[tris(hydroxymethyl)-aminomethane 6.057㎎ 함유]에 용해한 용액에 시료 20 ㎕에 조제한 효소시액 3.0㎖을 첨가한 후 37℃에서 20분간 배양하여 파장 50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 검량선에 준해 그 함량을 ㎎/㎗로 표시하였다.
1-9. High density lipoprotein - cholesterol ( HDL -C) 함량 측정
Noma(Noma A et al., 1986)등의 효소법에 의하여 조제된 kit(AM 203-K, Asan)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혈청 20㎕에 침강시약(dextran sulfate 0.1%, magnesium chloride 0.1M 함유) 0.2㎖를 가하고 잘 혼합한 후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하고 3000rpm에서 10 분간 원심분리하였다. 그 상징액을 0.1㎖ 취하여 효소시액 3.0㎖와 잘 혼합하여 37℃에서 5분간 배양하여 시약 blank를 대조로 파장 50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 검량선에 준해 그 함량을 ㎎/㎗로 표시하였다.
1-10. LDL - cholesterol 함량 측정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LDL-C) 함량은 Fridewald 등의 방법에 따라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하였다.
Figure 112010041851420-pat00003
1-11. 혈중 Lipid peroxide 함량 측정
문헌(Yagi K. 1987)등의 방법에 따라 혈청 20㎕에 1/12N H2SO4 4.0㎖를 가하여 혼합하고 10% phosphotungstic acid 0.5㎖를 가하여 실온에서 5분간 방치한 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인 혈청단백질만 취해서 다시 1/12N H2SO4 2.0㎖와 10% phosphotungstic acid 0.3㎖를 가하여 원심분리하였다. 침전물만을 취하여 증류수 4.0㎖와 0.67% thiobarbituric acid와 acetic acid를 1:1로 혼합한 용액을 1.0㎖를 가하고 95℃에서 60분간 반응시켜 실온에서 냉각 후 n-BuOH을 5.0㎖를 첨가하여 3000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생성된 홍색의 n-BuOH을 취해 spectrofluorometer를 사용하여(Ex : 515nm, Em : 553nm)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 용액으로 tetraethoxypropane 0.5 nmole을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 흡광도를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혈청 lipid peroxide 함량을 산출하였다
Figure 112010041851420-pat00004
1-12. 혈중 Hydroxyl radical 함량 측정
Kobatake(Kobatake Y et al., 1987) 등의 방법에 따라 혈청 34.8㎕에 0.54M NaCl, 0.1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7.4), 10mM NaN3, 7mM deoxyribose, 5mM ferrous ammonium sulfate 및 증류수로서 333.3㎕가 되도록 첨가하여 vortex에서 잘 혼합하여 37℃ 에서 15 분간 정치하였다. 혈청 67㎕를 취하고 여기에 8.1% sodium dodecyl sulfate 75㎕, 20% acetic acid 500㎕ 및 재증류수 25㎕를 넣어 혼합하였다. 여기에 다시 1.2% thiobarbituric acid 333㎕를 가하여 수욕조 (100℃)에서 30 분간 가열한 후 실온에서 냉각한 다음 700×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파장 532㎚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표준 검량선에 의하여 hydroxyl radical(nmole/mg protein)의 함량을 정량하였다.
1-13. 혈중 Superoxide dismutase ( SOD ) 활성 측정
Mirsa와 Fridovich(Mirsa HP, Fridovich I, 1972)의 방법에 따라 정량하였다. 혈청을 일정량 반응액[1 mmol /L adrenalin(pH 2), 50 mmol/L glycin(pH 10.2)]에 첨가하고 30oC에서 3분간 반응시킨 후 480nm에서 생성되는 adrenochrome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효소의 활성도는 superoxide dismutase의 U/g protein으로 표시하였다. SOD의 1 Unit는 50% 억제되는 adrenochrome의 생성율로서 산출하였다.
1-14. 단백질 정량 및 통계처리
단백질의 함량은 Lowry(Lowry O. H., 1951)등의 방법에 준하여 bovine serum albumin(Sigma, Fr. V)을 표준 품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평균치±표준편차로 표시하였고,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그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2. 실험 결과
2-1. 체중변화
체중은 실험 개시일로부터 1주일마다 측정하였으며, 지방조직의 무게는 실험 마지막 날 복강 및 고환주위의 지방을 채취한 후, 측정하여 표 3 ; 표 4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6주간의 고콜레스테롤 식이 섭취로 고지혈증이 유발된 실험동물의 6주째의 체중은 331.4±2.8g으로 일반 식이를 한 정상군(6주째, 283.6±1.7g)에 비하여 17%정도의 무게가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지혈증 실험동물에 오징어 및 오징어젓을 투여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체중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지혈증 실험동물에 오징어젓을 투여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오징어젓 투여군에서 복강 및 고환주의 지방조직 모두에서 무게 감소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표 3 ; 표 4 참조).
Figure 112010041851420-pat00005
Figure 112010041851420-pat00006
2-2. 혈청 Phospholipid 함량
실험결과,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콜레스테롤 식이 섭취로 고지혈증이 유발된 실험동물에 오징어 및 오징어젓을 투여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 모두 혈청 중 총지질, 인지질 및 중성지질의 양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5 참조).
Figure 112010041851420-pat00007
2-3. 혈청 cholesterol 함량 변화 및 동맥경화지수
고콜레스테롤 식이 섭취로 고지혈증이 유발된 실험동물에 오징어 및 오징어젓을 투여한 결과 대조군의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함량(139.7±10.3㎎/㎗)과 비교하여, 오징어 및 오징어젓 투여군에서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이 각각 118.7±8.43㎎/㎗ 및 98.2± 4.13㎎/㎗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투여량이 높을수록 총콜레스테롤 함량이 현저히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6 참조).
대조군과 비교하여 혈청 중 HDL 콜레스테롤의 함량은 증가하였고, VLDL 콜레스테롤의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LDL 콜레스테롤의 함량은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맥경화지수(AI)(LDL-C/HDL-C)는 대조군(2.86±0.81㎎/㎗)과 비교하여, 오징어 및 오징어젓 투여군이 각각 2.09±0.62 ㎎/㎗ 및 1.45±0.37 ㎎/㎗로 현저히 감소하여 동맥경화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12010041851420-pat00008
2-4. 간장 조직중의 지질 및 cholesterol 함량 변화
식이성 고지혈증을 유도한 흰쥐에 오징어 및 오징어젓을 경구 투여했을 때의 간장 조직중의 지질 및 콜레스테롤 함량의 변화에 대한 영향을 실험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식이성 고지혈증을 유도하여 오징어 및 오징어젓을 경구 투여한 흰쥐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볼 때 간장 조직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모든 실험군에서 함량이 낮았지만 중성지질의 함량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오징어 투여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에 오징어젓 투여군은 크게 감소하였다. 이는 오징어젓 투여가 간장 조직의 지질 대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고지혈증 등의 질환에도 효과가 있음을 간접적으로 증명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표 7 참조).
Figure 112010041851420-pat00009
2-5. 혈청과산화 지질( Lipid peroxide ) 함량
6주간의 고콜레스테롤 식이 섭취로 고지혈증이 유발된 실험동물의 혈청 중 지질과산화물은 47.7±2.43nmole/ml으로, 일반 식이를 한 정상군(25.9±1.765nmole/ml)에 비하여 약 1.8배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8 참조). 또한, 고지혈증 실험동물에 오징어 및 오징어젓 투여군에서 각각 41.6±1.92nmole/ml 및 35.2±1.77nmole/ml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12010041851420-pat00010
2-6. 혈중 hydroxyl radical 생성 및 superoxide dismutase ( SOD ) 활성
실험결과, 하기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6주간의 고콜레스테롤 식이 섭취로 고지혈증이 유발된 실험동물의 혈청 중 Hydroxyl radical은 5.13±0.77nmole/mg으로, 일반 식이를 한 정상군(2.58±0.39nmole/mg)에 비하여 약 1.9배 증가하였으며, 고지혈증 실험동물에 오징어 및 오징어젓을 투여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대체로 혈청 중 Hydroxyl radical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오징어젓을 투여군에서 현저한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Superoxide dismutase(SOD) 활성은 오징어 및 오징어젓 투여군 모두에서 현저하게 증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9 참조).
Figure 112010041851420-pat00011
하기에 본 발명의 알칼리수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오징어젓(SS-D)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오징어젓(SS-D)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오징어(SS)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오징어젓(SS-D) 10 mL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오징어(SS) 20 mL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오징어(SS) 1000 mL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오징어젓(SS-D) 1000 mL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6)

  1. 오징어의 내장 제거 및 절단하는 제 1단계; 상기 오징어를 1℃ 내지 50℃ 에서 1시간 내지 80시간 염장한 후 세척하는 제 2단계; 상기 세척한 오징어에 설탕과 물엿을 첨가한 후 1℃ 내지 50℃에서 1시간 내지 60시간 당침하는 제 3단계; 상기 당침한 오징어에 조미액을 첨가하여 양념한 후 1℃ 내지 20℃에서 1일 내지 20일간 숙성시킨 후 동결건조 하여 분말화하는 제 4단계의 제조공정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징어젓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및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오징어의 내장 제거 및 절단하는 제 1단계; 상기 오징어를 1℃ 내지 50℃ 에서 1시간 내지 80시간 염장한 후 세척하는 제 2단계; 상기 세척한 오징어에 설탕과 물엿을 첨가한 후 1℃ 내지 50℃에서 1시간 내지 60시간 당침하는 제 3단계; 상기 당침한 오징어에 조미액을 첨가하여 양념한 후 1℃ 내지 20℃에서 1일 내지 20일간 숙성시킨 후 동결건조 하여 분말화하는 제 4단계의 제조공정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징어젓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삭제
KR1020100061797A 2010-06-29 2010-06-29 오징어젓 또는 오징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82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797A KR101182046B1 (ko) 2010-06-29 2010-06-29 오징어젓 또는 오징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797A KR101182046B1 (ko) 2010-06-29 2010-06-29 오징어젓 또는 오징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145A KR20120001145A (ko) 2012-01-04
KR101182046B1 true KR101182046B1 (ko) 2012-09-11

Family

ID=45608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797A KR101182046B1 (ko) 2010-06-29 2010-06-29 오징어젓 또는 오징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0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118A (ko) * 2019-09-05 2021-03-15 장영진 어류 가공물 및/또는 콩 가공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145A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3163B1 (ko) 오징어젓 분말, 오징어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24685B1 (ko) 새우젓 분말, 새우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003304A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84059B1 (ko) 항산화 및 항동맥경화 활성을 갖는 다시마 분말 또는알긴산이 제거된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101820096B1 (ko)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206543B1 (ko) 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79889B1 (ko) 우렁쉥이의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00088794A (ko) 새송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 2형 당뇨병에 의한 지질대사 장애 및 당뇨합병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89865B1 (ko) 명란젓 또는 명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82046B1 (ko) 오징어젓 또는 오징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73493B1 (ko) 톳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10125958A (ko) 유효성분으로 백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용 조성물
KR20120016960A (ko) 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24730B1 (ko) 창란젓 분말, 창란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27586B1 (ko) 명란젓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00026600A (ko) 흑마늘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 장애 및 당뇨 합병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01151A (ko) 알칼리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03752B1 (ko) 홍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79887B1 (ko) 해삼의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17734B1 (ko) 오징어 분획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00056140A (ko) 오징어 분획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60008570A (ko) 콜레스테롤 저하 또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녹차씨유를포함하는 조성물
KR101021718B1 (ko) 꽁치 분획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00137931A (ko) 항비만 및 항혈전 효과를 갖는 오징어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01152A (ko) 해양심층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9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9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