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81976B1 - 프리앰블 시퀀스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프리앰블 시퀀스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976B1
KR101181976B1 KR1020100093566A KR20100093566A KR101181976B1 KR 101181976 B1 KR101181976 B1 KR 101181976B1 KR 1020100093566 A KR1020100093566 A KR 1020100093566A KR 20100093566 A KR20100093566 A KR 20100093566A KR 101181976 B1 KR101181976 B1 KR 101181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amble sequence
reference signal
prach
signal
fourier transfor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2120A (ko
Inventor
정진섭
지승환
임용훈
이은진
양승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Priority to KR1020100093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976B1/ko
Priority to JP2013531464A priority patent/JP5569706B2/ja
Priority to US13/876,690 priority patent/US20130215856A1/en
Priority to PCT/KR2011/001137 priority patent/WO2012043944A1/ko
Priority to EP11829451.1A priority patent/EP2624479A4/en
Publication of KR20120032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97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4Pilot insertion in the transmitter chain, e.g. pilot overlapping with data, insertion in time or frequency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34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 H04L27/2636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with FFT or DFT modulators, e.g. standard 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transmitter or DFT sprea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DFT-SOFD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2Symbol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2Symbol synchronisation
    • H04L27/2663Coarse synchronisation, e.g. by corre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55ZCZ [zero correlation zone]
    • H04J13/0059CAZAC [constant-amplitude and zero auto-corre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TE 업링크 시스템의 PRACH 신호 동기 및 프리앰블 시퀀스를 검출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역이산 푸리에 변환을 이용하여 프리앰블 시퀀스를 검출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프리앰블 시퀀스 검출 장치는 소정값을 갖는 제1신호를 입력받아 프리앰블 시퀀스를 생성하고, 생성한 프리앰플 시퀀스를 이산 푸리에 변환, 부반송파 매핑, 역 이산 푸리에 변환을 수행한 후 설정된 비율로 확대하여 양자화하는 기준신호 생성부, 단말로부터 전송된 물리 랜덤 접속 채널(PRACH) 신호를 수신하는 PRACH 수신부, 상기 기준신호 생성부로부터 수신한 기준신호와 상기 PRACH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상관도를 검출하는 상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리앰블 시퀀스 검출 장치{Apparatus for acquired preamble sequence}
본 발명은 LTE 업링크 시스템의 PRACH 신호 동기 및 프리앰블 시퀀스를 검출 함에 있어 하드웨어 자원을 줄이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리앰블 검출을 위한 상관기 구현에 있어 곱셈기 대신 비트쉬프트와 가산기를 이용함으로써 하드웨어 자원을 줄이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기반한 LTE 시스템은 제3세대 이동통신 표준인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를 대신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현재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논의되고 있다. OFDM 방식은 주파수 영역에서 다중의 부반송파(Subcarrier)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부반송파들 간의 직교성(Orthogonality)을 유지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주파수 효율이 높고 선택적 페이딩(Frequency Selective Fading)과 다중경로 페이딩에 강하고 보호구간(CP : Cyclic Prefix)을 이용하여 심볼간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적으로는 등화기 구조가 간단하여 임펄스(Impulse) 잡음에 강한 장점이 있어 고속 데이터 전송시 최적의 전송효율을 얻을 수 있다.
3GPP LTE 상향링크는 OFDM 기술의 PAPR(Peak to Average Power Ratio)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부반송파 매핑(Mapping) 전에 이산 푸리에 변환(DFT : Discrete Fourier Transform)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술을 LTE에서는 SC-FDMA라 한다. LTE 상향링크에서는 PRACH를 이용한 초기 동기 설정과 SRS를 이용한 동기 유지를 위하여 자기상관(Auto-correlation) 및 교차상관(Cross-correlation) 특성이 좋은 Zadoff-Chu CAZAC(이하, 'CAZAC(Constant Amplitude Zero Auto Correlation) 코드'라 칭함)를 사용한다. CAZAC은 RS(Reference Signal) 생성에 사용되는 코드이다.
LTE 상향링크 채널에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물리 업링크 분할 채널),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물리 랜덤 억세스 채널),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Channel이 사용된다. PRACH는 초기 동기를 맞추기 위하여 단말이 전송하는 LTE 상향링크 채널이다. PUCCH는 LTE 상향링크 제어 채널로서, CQI 정보 및 ACK/NACK 등을 포함한다. PUSCH는 LTE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이다. SRS는 LTE 상향링크의 RS(Reference Signal) 중 하나로 단말이 주기적으로 전송함으로써, PRACH를 이용하여 상향링크의 초기 동기를 맞춘 단말의 동기를 유지하게 한다. 또한, 상향링크의 채널 품질을 알려주어 기지국 상향링크 스케쥴러의 입력 정보로 이용한다.
도 1은 LTE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랜덤 액세스 과정은 단말이 네트워크와 시간 동기를 맞추거나,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자원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은 하나의 프리앰블을 상향링크 물리채널인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을 통해 전송한다. 상기 프리앰블은 64개의 프리앰블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전송한다.
단말이 전송한 프리앰블을 수신하면 기지국은 하향링크 물리채널로 랜덤 엑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을 전송한다.
단말은 자신이 사용가능한 64개의 프리앰블들(즉, 시퀀스들)을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후, 할당된 시퀀스들 중에서 선택한 하나의 시퀀스를 프리앰블로 랜덤 액세스 과정에 사용한다. 기지국은 가능한 모든 시퀀스들에 관한 정보를 있으며, 모든 시퀀스에 대한 상관관계를 동시에 계산을 해야 한다. 단말이 할당받는 최대 프리앰블 개수는 64개이며, 이 경우 기지국은 단말이 선택하여 전송한 하나의 시퀀스를 검출해야 하므로 64개의 상관기를 동시에 구현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관기는 실수와 실수의 곱으로 나타나게 되며, 이와 같이 실수와 실수의 곱은 하드웨어 기준으로 보면 곱셈기를 사용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는 하드웨어 자원(특히 곱셈기)을 많이 사용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기지국이 복수 개의 프리앰플 시퀀스 중에서 단말에서 사용하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간단한 방법으로 하드웨어 자원을 적게 사용하며 검출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기지국이 복수 개의 프리앰플 시퀀스 중에서 단말에서 사용하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검출하는데 필요한 복수개의 상관기 설계에 있어 하드웨어 자원을 줄이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기준 신호 생성 장치는 소정값을 갖는 제1신호를 입력받아 839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제 2신호를 출력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부,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부로부터 전달받은 제2신호를 이산 푸리에 변환하여 주파수 영역 신호로 변환하는 이산 푸리에 변환부, 상기 이산 푸리에 변환부에서 출력된 주파수 영역 신호를 부반송파 매핑하는 부반송파 매핑부, 상기 부반송파 매핑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역 이산 푸리에 변환하는 역 이산 푸리에 변환부, 상기 역 이산 푸리에 변환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설정된 비율로 확대하는 확대부, 상기 확대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양자화하는 양자화부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프리앰블 시퀀스 검출 장치는 소정값을 갖는 제1신호를 입력받아 프리앰블 시퀀스를 생성하고, 생성한 프리앰플 시퀀스를 이산 푸리에 변환, 부반송파 매핑, 역 이산 푸리에 변환을 수행한 후 설정된 비율로 확대하여 양자화하는 기준신호 생성부, 단말로부터 전송된 물리 랜덤 접속 채널(PRACH) 신호를 수신하는 PRACH 수신부, 상기 기준신호 생성부로부터 수신한 기준신호와 상기 PRACH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상관도를 검출하는 상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앰블 시퀀스 검출 장치는 PRACH을 구성하고 있는 CP와 시퀀스 중에서 시퀀스가 시작되는 지점을 계산하여 단말과 기지국간의 동기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지국은 단말에서 사용하는 프리앰블 시퀀스를 검출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 자원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LTE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6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이용하여 기준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PRACH의 신호의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생성된 기준신호를 양자화하는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단말이 PRACH로 전송한 프리앰블 시퀀스를 검출하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상관부의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쉬프트의 블럭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PRACH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PRACH의 구조는 CP와 시퀀스로 구성된다. 하기 표 1은 PRACH의 랜덤 접속(Random Access) 프리앰블 파라미터를 나타내고 있있으며, 표 2는 ZC 시퀀스의 크기를 정의한 LTE 스펙을 나타내고 있다.
프리앰플 포맷 CP길이(Tcp) 시퀀스 길이(Tseq)
0 3186*Ts 24576*Ts
1 21024*Ts 24576*Ts
2 6240*Ts 2*24576*Ts
3 21024*Ts 2*24576*Ts
4 448*Ts 4096*Ts
Ts = 1(15000*2048)sec
Figure 112010062221615-pat00001
기지국은 채널 환경이나 셀 반경 등에 따른 프리앰블 포맷 중 하나의 프리앰블 포맷을 사용하도록 결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셀에 위치하고 있는 단말로 브로드캐스팅한다. 단말은 브로드캐스팅된 프리앰블 포맷을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PRACH을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LTE 시스템은 멀티 패스(고스트)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순환 전치(Cyclic Prefix: CP)가 입력된 보호 구간을 전송 신호에 심볼 단위로 삽입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즉, 전송되는 신호의 심볼 주기를 늘려서 CP가 입력된 보호구간을 삽입하여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멀티 패스를 통과하여 수신된 심볼들의 지연 때문에 발생될 수 있는 심볼 간 간섭을 줄일 수 있으며, 부반송파의 직교성이 유지되어 채널 간 간섭도 줄일 수 있다.
단말은 사용 가능한 프리앰블 시퀀스들 중 하나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여 PRACH로 전송한다. 일예로 단말은 사용 가능한 6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들 중 하나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여 PRACH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6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이용하여 기준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6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이용하여 기준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기준 신호를 생성하는 블록은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부(200), 이산 푸리에 변환(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부(202), 부반송파 매핑부(204), 역 이산 푸리에 변환(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부(206)를 포함한다.
제어정보의 전송을 위해 직교 시퀀스(orthogonal sequence)를 사용할 수 있다. 직교 시퀀스는 상관(correlation) 특성이 우수한 시퀀스를 말한다. 직교 시퀀스의 일례로 CAZAC(Constant Amplitude Zero Auto-Correlation) 시퀀스가 있다.
CAZAC 시퀀스 중 하나인 ZC(Zadoff-Chu) 시퀀스에 대해 살펴보면, 원시 인덱스(root index) M인 원시 ZC 시퀀스의 k번째 요소(element) c(k)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0062221615-pat00002
여기서, N은 ZC 시퀀스의 길이로, 인덱스 M은 N이하의 자연수이고, M과 N은 서로(relatively) 소수(prime)이다. N이 소수라면, ZC 시퀀스의 원시 인덱스(root index)의 개수는 N-1이 된다.
Figure 112010062221615-pat00003
Figure 112010062221615-pat00004
Figure 112010062221615-pat00005
수학식 2는 ZC 시퀀스의 크기가 항상 1임을 의미하고, 수학식 3은 ZC 시퀀스의 자동 상관(auto correlation)은 Dirac-delta 함수로 표시됨을 의미한다. 여기서 자동 상관은 원형 상관(circular correlation)에 기반한다. 수학식 4는 교차 상관(cross correlation)이 언제나 상수임을 의미한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ZC 시퀀스의 원시 인덱스(root index)를 통해 셀을 구분한다고 하자. 단말은 셀 내에서 사용 가능한 원시 인덱스 또는 원시 인덱스의 그룹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기지국은 사용가능한 원시 인덱스 또는 원시 인덱스의 그룹을 단말로 브로드캐스트(broadcast) 해야 한다.
ZC 시퀀스의 길이가 N이라고 할 때, 원시 인덱스는 N보다 작은 서로 소(relative prime)의 개수만큼 있게 된다. N이 소수(prime)일 경우는 원시 인덱스의 수는 N-1이 된다. 이 경우 기지국은 단말로 N-1개의 원시 인덱스 중 어느 하나를 단말로 알려준다.
각 셀들은 셀 반경(cell radius)에 따라서 다양한 개수의 원시 인덱스를 사용할 수 있다. 셀 반경이 커지면 전파 지연(propagation delay) 또는 라운드 트립 지연(round trip delay) 및/또는 지연 확산(delay spread)의 영향으로 순환 쉬프트(cyclic shift)를 통해 직교성을 유지할 수 있는 ZC 시퀀스의 수가 줄어들 수 있다. 즉, 셀 반경이 커지면 ZC 시퀀스의 길이가 일정하더라도 해당하는 원시 인덱스에서 이용가능한 순환 쉬프트의 수가 작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원시 인덱스에서 순환 쉬프트에 의해 만들어진 시퀀스들은 서로 직교성을 가지므로 ZCZ(zero correlation zone) 시퀀스라고도 한다. 셀 마다 단말에 할당되는 최소한의 ZC 시퀀스의 수는 보장되어야 하므로, 셀 반경이 커지면 셀에서 사용하는 원시 인덱스의 수를 늘림으로써 최소 ZC 시퀀스의 수를 확보할 수 있다.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부(200)는 CAZAC 코드를 이용하여 생성한 ZC 시퀀스를 쉬프트시켜 6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생성한다.
DFT부(202)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부(200)에서 생성한 64개의 프리앰블 시퀀스에 대해 이산 푸리에 변환을 수행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DTF부(202)는 ZC 시퀀스의 길이를 N(839,139)이라고 할 때, N-DTF를 수행하여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다. 즉, 소수인 839 또는 139의 길이를 갖는 입력신호가 들어오면 DFT를 수행하고, 소수인 839 또는 139의 길이를 갖는 신호를 출력한다.
부반송파 매핑부(204)는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프리앰블 시퀀스를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매핑한다. IDFT부(206)는 역 이산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여 주파수 대역으로 매핑된 프리앰블 시퀀스 신호를 시간 영역으로 변환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IDTF부는 2n(n;자연수)-IDFT를 수행한다. 일예로 IDTF부는 839 또는 139의 길이를 갖는 입력신호가 들어오면 2n-IDFT를 수행하고, 2n의 길이를 갖는 신호를 출력한다. 물론 IDTF부는 2n(n;자연수)-IDFT가 아닌 24576-IDFT를 수행하고, 24576의 길이를 갖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준신호의 신호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준신호는 최대값과 최소값의 범위 내에서 주기만 차이가 있을 뿐 일반적인 사인(sin)파의 패턴을 나타낸다. 즉, 기준신호는 최대값과 최소값의 범위 내에서 순차 증가하거나 순차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기준신호의 패턴을 이용하여 상관부로 전달되는 신호의 변형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 2에서 생성한 기준신호를 변형하는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준신호를 변형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 4에 의하면, 기준신호를 변형하는 블록은 기준신호 생성부(400), 확대부(402), 양자화부(404)로 구성된다. 기준신호 생성부(40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특정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기준신호를 생성한다. 기준신호 생성부(400)에서 생성된 기준신호는 확대부(402)로 전달된다.
확대부(402)는 기준신호 생성부(400)에서 생성된 기준신호를 설정된 비율로 확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준신호 생성부(400)에서 생성된 기준신호는 순차증가하거나 순차감소하는 패턴을 가지므로 확대된 신호 역시 순차증가하거나 순차감소하는 패턴을 가지게 된다. 확대부(402)에서 확대되는 비율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확대부(402)에서 확대된 기준신호는 양자화부(404)로 전달된다. 양자화부(404)는 전달받은 기준신호를 양자화한다. 즉, 전달받은 기준신호의 값이 일정한 기준에 따라 2m의 값을 갖도록 양자화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준신호 생성부(400)에서 생성한 기준 신호를 설정된 비율로 확대한 후 일정한 기준에 따라 2m의 값을 갖도록 양자화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단말이 PRACH로 전송한 프리앰블 시퀀스를 검출하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기지국에서 단말이 PRACH로 전송한 프리앰블 시퀀스를 검출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5에 의하면 검출 블록도는 PRACH 수신부(500), 기준 신호 생성부(400), 확대부(402), 양자화부(404), 상관부(502), 결정부(504), 프리앰블 시퀀스 및 타임오프셋 검출부(506)를 포함한다.
PRACH 수신부(500)는 단말이 PRACH로 전송한 신호를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은 사용 가능한 프리앰블 시퀀스들 중 하나의 프리앰블 시퀀스를 선택하여 DFT 수행, 부반송파 매핑, 역 DTF 수행한 후 시간 영역에서 PRACH 수신기의 성능 향상을 돕기 위해 보호 구간 삽입을 위한 CP 추가한 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PRACH 수신부(500)는 PRACH로 수신한 신호를 상관부(5602)로 전달한다.
기준신호 생성부(400)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생성한 프리앰블 시퀀스에 대해 DFT 수행, 부반송파 매핑, 역 DTF 수행한 기준 신호를 생성한다. 기준신호 생성부(400)는 생성한 기준 신호를 확대부(402)로 전달한다.
확대부(402)는 기준신호 생성부(400)에서 생성된 기준신호를 설정된 비율로 확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준신호 생성부(400)에서 생성된 기준신호는 순차증가하거나 순차감소하는 패턴을 가지므로 확대된 신호 역시 순차증가하거나 순차감소하는 패턴을 가지게 된다. 확대부(402)에서 확대되는 비율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확대부(402)에서 확대된 기준신호는 양자화부(404)로 전달된다. 양자화부(404)는 전달받은 기준신호를 양자화한다. 즉, 전달받은 기준신호의 값이 일정한 기준에 따라
Figure 112010062221615-pat00006
값을 갖도록 양자화한다. J는 자연수의 값을 갖는다. 결국 2의 승수의 합으로 양자화를 하는 것이다. J의 값을 크게 가져갈수록 양자화 오류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하드웨어 자원을 보다 더 줄이기 위해서는 J=0으로 할 수 있다.
상관부(502)는 PRACH 수신부(40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와 양자화부(440)로부터 전달받은 기준신호에 상관도를 검출한다.
수학식 5는 상관부(502)가 PRACH 수신부(40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와 양자화부(404)로부터 전달받은 기준신호에 상관도를 검출하는 수식이다.
Figure 112010062221615-pat00007
R(i)= PRACH 수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
Figure 112010062221615-pat00008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상관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상관부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6에 의하면, 상관부는 PARACH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쉬프트하는 복수 개의 쉬프트(600-1 부터 600-N)와 쉬프트(600-1 부터 600-N)의 출력을 합산하기 위한 가산부(60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상관부는 PRACH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와 기준신호 생성부에서 생성한 신호의 상관값을 산출하기 위해 복수 개의 승산부를 구성하는 대신 PRACH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양자화부에서 수신된 신호의 크기에 따라 비트 쉬프트하는 복수 개의 쉬프트를 구성한다. 즉, 양자화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PRACH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비트 쉬프트하도록 한다.비트 쉬프트부는 양자화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Q(i)의 J값을 크게 가져가고(즉 복수개의 2의 승수들의 합) 여러 개의 비트쉬프트로 나누어 구성할 수 있다.
Figure 112010062221615-pat00009
에서 J의 값이 클수록 복수개의 비트 쉬프트가 필요로 하며 양자와 오류를 최소화 할 수 잇고 값의 작을수록 보다 간단히 상관기를 구현 할 수 있다.
도 7 은 J>=1 인 경우 의 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승산기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계산 시간의 증가 및 하드웨어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관부(502)는 수학식 5를 이용하여 검출한 상관도(rF)를 결정부(504)로 전달한다. 결정부(504)는 상관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관도를 이용하여 가장 큰 값을 갖는 상관도를 검출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프리앰블 시퀀스 및 타임오프셋 검출부(506)로 전달한다.
프리앰블 시퀀스 및 타임오프셋 검출부(506)는 전달받은 상관도를 대응되는 기준신호를 확인함으로써, 단말에서 사용한 프리앰블 시퀀스를 알 수 있게 된다. 즉, PRACH 수신부(500)에서 수신한 신호에 사용된 프리앰블 시퀀스와 동일한 프리앰블 시퀀스를 사용한 기준신호와 PRACH 수신부(500)에서 수신한 신호의 상관도가 가장 큰 값을 가지게 된다. 상술한 과정들을 수행함으로써 기지국은 단말이 사용한 프리앰블 시퀀스와 PRACH로 신호를 전송한 시간 정보와 관련된 타임 오프셋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200: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부 202:DFT부
204: 부반송파 매핑부 206: IDFT부
400: 기준신호 생성부 402: 확대부
404: 양자화부 500: PRACH 수신부
502: 상관부 504: 결정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소정값을 갖는 제1신호를 입력받아 프리앰블 시퀀스를 생성하고, 생성한 프리앰플 시퀀스를 이산 푸리에 변환, 부반송파 매핑, 역 이산 푸리에 변환을 수행한 후 설정된 비율로 확대하여 양자화하는 기준신호 생성부;
    단말로부터 전송된 물리 랜덤 접속 채널(PRACH) 신호를 수신하는 PRACH 수신부;
    상기 기준신호 생성부로부터 수신한 기준신호와 상기 PRACH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상관도를 검출하는 상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검출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 생성부는,
    소정값을 갖는 제1신호를 입력받아 839 또는 139의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제 2신호를 출력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부;
    상기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부로부터 전달받은 제2신호를 이산 푸리에 변환하여 주파수 영역 신호로 변환하는 이산 푸리에 변환부;
    상기 이산 푸리에 변환부에서 출력된 주파수 영역 신호를 부반송파 매핑하는 부반송파 매핑부;
    상기 부반송파 매핑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역 이산 푸리에 변환하는 역 이산 푸리에 변환부;
    상기 역 이산 푸리에 변환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설정된 비율로 확대하는 확대부;
    상기 확대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양자화하는 양자화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검출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부는 하기 수학식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검출 장치.
    Figure 112010062221615-pat00010

    R(i)= PRACH 수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
    Figure 112010062221615-pat00011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관도 중 최대값을 갖는 상관도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검출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관도를 이용하여 상기 PRACH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포함된 프리앰블 시퀀스를 검출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및 타임오프셋 검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앰블 시퀀스 검출 장치.
KR1020100093566A 2010-09-28 2010-09-28 프리앰블 시퀀스 검출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181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566A KR101181976B1 (ko) 2010-09-28 2010-09-28 프리앰블 시퀀스 검출 장치
JP2013531464A JP5569706B2 (ja) 2010-09-28 2011-02-22 プリアンブルシーケンス検出装置
US13/876,690 US20130215856A1 (en) 2010-09-28 2011-02-22 Preamble sequence detection apparatus
PCT/KR2011/001137 WO2012043944A1 (ko) 2010-09-28 2011-02-22 프리앰블 시퀀스 검출 장치
EP11829451.1A EP2624479A4 (en) 2010-09-28 2011-02-22 DEVICE FOR DETECTING PREAMBLE SEQUEN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566A KR101181976B1 (ko) 2010-09-28 2010-09-28 프리앰블 시퀀스 검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120A KR20120032120A (ko) 2012-04-05
KR101181976B1 true KR101181976B1 (ko) 2012-09-11

Family

ID=45893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566A Expired - Fee Related KR101181976B1 (ko) 2010-09-28 2010-09-28 프리앰블 시퀀스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215856A1 (ko)
EP (1) EP2624479A4 (ko)
JP (1) JP5569706B2 (ko)
KR (1) KR101181976B1 (ko)
WO (1) WO20120439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00943A1 (en) * 2011-10-19 2013-04-25 Mediatek Singapore Pte. Ltd.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reamble in a received wireless signal
CN103841072B (zh) * 2012-11-23 2017-09-22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用于检测prach所接收数据中的前导码的方法和设备
GB2538316B (en) * 2015-05-15 2021-01-06 Viavi Solutions Uk Ltd PRACH signal generation
EP3119049B1 (en) * 2015-07-15 2019-12-04 Tata Consultancy Services Limited Detecting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eambles in a long term evolution communication system
KR102537783B1 (ko) * 2016-01-22 2023-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GB2562099A (en) * 2017-05-05 2018-11-07 Tcl Communication Lt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andom-access
WO2018222662A1 (en) * 2017-05-30 2018-12-06 Intel IP Corporation Co-existence betwe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devices and new radio (nr) devices in unlicensed spectru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32513A1 (en) 2007-03-20 2008-09-25 Fujitsu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eamble detection and integer carrier frequency offset estimation
US20090073944A1 (en) 2007-09-17 2009-03-19 Jing Jiang Restricted Cyclic Shift Configuration for Random Access Preambles in Wireless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928B1 (ko) * 1999-02-23 2001-11-15 서평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채널 동기 방법
KR100498919B1 (ko) * 2000-11-21 2005-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프리엠블 시퀀스 생성장치 및 방법
JP4286547B2 (ja) * 2003-01-31 2009-07-01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Ofdm通信装置
JP5023881B2 (ja) * 2006-10-03 2012-09-12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信号転送方法、および受信装置
KR101055060B1 (ko) * 2006-12-22 2011-08-05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방법, 기지국 및 유저 단말기
MX2009011674A (es) * 2007-04-30 2010-01-29 Nokia Siemens Networks Oy Cambio ciclico coordinado y salto de secuencia para secuencias de expansion zadoff-chu, zadoff-chu modificado y en relacion con el bloque.
US8594250B2 (en) * 2008-07-25 2013-11-26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computing constant amplitude zero auto-correlation sequen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32513A1 (en) 2007-03-20 2008-09-25 Fujitsu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eamble detection and integer carrier frequency offset estimation
US20090073944A1 (en) 2007-09-17 2009-03-19 Jing Jiang Restricted Cyclic Shift Configuration for Random Access Preambles in Wireless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24479A4 (en) 2016-06-01
WO2012043944A1 (ko) 2012-04-05
KR20120032120A (ko) 2012-04-05
JP5569706B2 (ja) 2014-08-13
US20130215856A1 (en) 2013-08-22
JP2013542663A (ja) 2013-11-21
EP2624479A1 (en)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906B1 (ko) 기준 신호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앰블 시퀀스 검출 장치
US10779330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andom access
KR100865251B1 (ko) 파일럿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JP4978384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および送信信号生成方法
US8289946B2 (en) Reference signal gen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U2630372C1 (ru) Способ назначения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с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назначения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сти
US84281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signing a sequence for code modulation of data and channel estimation
TWI383627B (zh) 用於處理無線通訊之主要與次要同步信號之方法以及裝置
JP4623675B2 (ja) 高速セルサーチを行なう方法及び装置
JP5675916B2 (ja) ランダムアクセスプリアンブルを選択及び送信/受信する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ue及びbs
KR101181976B1 (ko) 프리앰블 시퀀스 검출 장치
US201302590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rimary and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20080080461A1 (en) RACH transmitter and receiver and method thereof
KR20070106913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코드 시퀀스 생성 방법 및 송신 장치
JP5253415B2 (ja) 系列送信方法、系列送信装置、系列受信方法及び系列受信装置
CN102316067B (zh) 通信系统中的同步方法和系统
JP5521013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同期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2124699B (zh) 无线通信系统的测距请求/检测方法和设备、基站和终端设备
JP2012191656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同期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5710710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同期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HK1145737A (en) Reference signal gen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9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9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