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81470B1 - 무선 에너지 전송을 위한 송신단 구조 - Google Patents

무선 에너지 전송을 위한 송신단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470B1
KR101181470B1 KR1020100106362A KR20100106362A KR101181470B1 KR 101181470 B1 KR101181470 B1 KR 101181470B1 KR 1020100106362 A KR1020100106362 A KR 1020100106362A KR 20100106362 A KR20100106362 A KR 20100106362A KR 101181470 B1 KR101181470 B1 KR 101181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mmon contact
power
antenna
cla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4842A (ko
Inventor
박창근
서철헌
최재원
고승기
윤석현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06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470B1/ko
Publication of KR20120044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47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02J50/23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ransmitting antennas, e.g. directional array antennas or Yagi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03F3/245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에너지 전송을 위한 송신단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에너지 전송을 위한 송신단 구조에 사용되는 DC-AC 컨버터를 차동 구조의 E 급 출력단 구조로 형성 하고, E 급 출력단을 구성하고 있는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혹은 컬렉터와 전원 전압은 링 안테나를 통하여 서로 DC 적으로 연결 되도록 함으로서, 기존의 E 급 출력단의 문제점이었던 출력 신호의 비대칭성을 극복하고, 링 안테나를 E 급 출력단에서 사용되는 인덕터로서의 역할로 사용함으로서, 전체 송신단 구조의 간략화와 소형화 및 수동 소자에서 발생하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무선 에너지 전송을 위한 송신단 구조{TRANSMITTER FOR WIRELESS ENERGY TRANSMISSION}
본 발명은 무선 에너지 전송을 위한 송신단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에너지 전송을 위한 송신단 구조에 사용되는 DC-AC 컨버터를 차동 구조의 E 급 출력단 구조로 형성 하고, E 급 출력단을 구성하고 있는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혹은 컬렉터와 전원 전압은 링 안테나를 통하여 서로 DC 적으로 연결 되도록 함으로서, 기존의 E 급 출력단의 문제점이었던 출력 신호의 비대칭성을 극복하고, 링 안테나를 E 급 출력단에서 사용되는 인덕터로서의 역할로 사용함으로서, 전체 송신단 구조의 간략화와 소형화 및 수동 소자에서 발생하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안테나 통합형 송신단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 에너지 전송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보이고 있다. 도 1의 101은 일반적인 전원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 일 예는 일반 가정집의 220V 60Hz의 전원이다. 이러한 AC 전원은 102에 의한 무선 에너지 전송 송신단의 입력이 되고 송신단에서 발생된 전력은 103에 의한 송신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으로 104에 의한 수신 안테나로 전력이 공급 된다. 이렇게 무선으로 전송된 전력은 105에 의한 무선 에너지 전송 수신단은 106에 의한 특정한 전자 기기가 사용 할 수 있는 전력의 형태로 변환 되도록 형성 된다.
도 2는 도 1의 101, 102 및 103을 좀 더 구체적으로 그린 도면이다. 102는 일반적으로 201에 의한 AC-DC 컨버터와 202에 의한 DC-AC 컨버터로 구성된다. 201에 의한 AC-DC 컨버터는 101에 의한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220V 의 AC 전원을 공급 받아 DC 전압을 생성 해 주며, 202에 의한 DC-AC 컨버터는 201에 의해 생성된 DC 전압을 무선 에너지 전송을 위해 적합한 주파수의 AC로 변환 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도 2의 202를 실제 구현하기 위한 풀-브릿지(FULL-BRIDGE) 회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풀-브릿지 회로의 실제 사용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소자의 사용이나, 여러 가지 형태의 변형이 있겠지만, 기본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301, 302, 303 및 304에 의한 NMOS 네 개로 구성된다. 여기서 301 및 304는 같은 시간에 턴-온 되며, 같은 시간에 턴-오프 된다. 마찬가지로 302 및 303은 같은 시간에 턴-온 되며, 같은 시간에 턴-오프 된다. 또한 301 및 304가 턴-온 되어 있을 때는 302 및 303은 턴-오프 되어 있고, 유사한 방법으로 302 및 303이 턴-온 되어 있을 때는 301 및 304가 턴-오프 된다. 이와 같은 동작 방식이 풀-브릿지 회로의 동작이며, 이를 기본 바탕으로 하여 회로의 특성 향상 및 응용 분야에 적합 하도록 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있을 수 있다. 풀-브릿지 회로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동작 하게 될 경우, 신호를 전달 받아야 하는 305의 양단 전압은 301, 302, 303 및 304를 스위칭 하기 위해 인가되는 입력 전압과 동일한 주파수의 AC 신호가 발생 하게 된다. 이때, 도 3의 VDD로 표현된 부분은 도 2에서 201에 의한 AC-DC 컨버터의 출력이 연결 된다.
도 3에 나타낸 풀-브릿지 회로가 DC-AC 컨버터로서 흔히 사용 되는 이유는 전력을 전달 받아야 하는 305의 양단의 전압 및 전류 파형이 고조파 성분이 적은 깨끗한 정현파 혹은 2차 고조파 성분이 적은 깨끗한 구형파의 구현이 용이 하며, 301, 302, 303 및 304와 같은 트랜지스터 외에는 전력이 손실 되는 저항 성분이 적다는 장점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풀-브릿지 회로의 단점은 301 및 303에 의한 NMOS를 구동하기 위한 추가적인 회로가 필요 하다는 것이다. 302 및 304에 의한 NMOS의 경우는 소스가 접지(GND)에 연결 되어 있기 때문에 게이트로 입력 신호를 인가함에 있어 특별한 어려움이 없는 반면, 301 및 303의 소스는 302 및 304의 드레인과 연결 되어 있어, 풀-브릿지 회로의 동작 시 소스 전압이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일반적으로 NMOS의 입력 신호의 크기는 그 기준이 소스 전압이기 때문에, 301 및 303에 의한 NMOS를 턴-온 혹은 턴-오프 시키기 위해서는 301 및 303의 게이트에 입력 신호를 인가 할 때, 301 및 303의 소스 전압을 감지하여 이를 기준점으로 하여 301 및 303을 턴-온 혹은 턴-오프 시킬 수 있는 입력 신호를 만들어 줄 수 있는 추가적인 구동 회로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도 3의 풀-브릿지 회로가 낮은 주파수 대역의 AC 신호를 만들어 내야 하는 경우는 이러한 추가적인 구동 회로의 구현이 용이하지만, 높은 주파수 대역의 AC 신호를 만들어 내야 하는 경우는 이러한 추가적인 구동 회로의 구현이 어려워진다는 단점이 있다.
도 3에 나타낸 NMOS 네 개를 사용한 풀-브릿지 회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4와 같이 도 3의 301과 303 에 의한 NMOS를 PMOS로 대체 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 경우는 401 및 403에 의한 PMOS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의 과도한 전압 강하에 의한 PMOS의 파괴가 발생 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막기 위해서는 401 및 403에 의한 PMOS의 게이트에 추가적인 회로를 사용 하거나, 게이트-소스 간 전압 강하에 견디는 능력이 뛰어난 고가의 PMOS를 사용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401 및 403에 의한 PMOS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의 전압 강하에 의한 PMOS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너 다이오드와 캐패시터를 주로 사용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PMOS는 NMOS에 비하여 채널 저항 성분이 크기 때문에 NMOS와 동일한 채널 저항 값을 가지게 하기 위해서는 PMOS의 크기가 NMOS에 비하여 약 2.6배 가량 증가 하여야 하며, 이 경우 PMOS의 게이트에서 발생하는 기생 캐패시터 성분이 증가하여 PMOS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NMOS에 비하여 더 큰 구동 전력이 필요 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서 기생 캐패시터 성분이 증가 하게 될 경우,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의 동작이 어려워지는 단점이 동시에 발생한다.
도 5는 도 2의 202를 실제 구현하기 위한 또 다른 회로의 일종인 E급 출력단의 회로도를 간략화 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501은 E 급 출력단에서 증폭을 위한 NMOS를 나타내고, 503은 E 급 출력단의 동작 위한 핵심 소자인 인덕터를 나타내며, 그 외의 소자들은 504에 의한 정합 회로로 표현 하였다. 505는 E 급 출력단에서 발생 된 AC 전력을 전달 받을 부하(LOAD)를 나타낸다. 도 5를 도 3 혹은 도 4와 비교 해 볼 때, 트랜지스터가 하나만 사용 되므로 회로의 구성이 매우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E 급 출력단을 도 2의 202에 의한 DC-AC 컨버터로 사용 하게 될 경우, 실제 구현된 상황에서, 503에 의한 인덕터의 기생 저항 성분에 의한 전력의 손실이 크다는 단점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505에 의한 부하에 전달되는 신호 파형이 도 3 에 의한 풀-브릿지 회로에 비하여 깨끗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하면, 도 3 및 도 4에서 보인 풀-브릿지 회로는 정상적인 동작을 위하여 추가적인 회로가 필요하거나, 성능이 뛰어난 고가의 PMOS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도 5에서 보인 E 급 출력단의 경우 출력 신호 파형이 깨끗하지 못하며, 사용되는 인덕터의 기생 저항 성분으로 인하여 전력 손실이 풀-브릿지 회로에 비하여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에너지 전송을 위한 송신단 구조에 사용되는 DC-AC 컨버터를 차동 구조의 E 급 출력단 구조로 형성 하고, E 급 출력단을 구성하고 있는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혹은 컬렉터와 전원 전압은 링 안테나를 통하여 서로 DC 적으로 연결 되도록 함으로서, 기존의 E 급 출력단의 문제점이었던 출력 신호의 비대칭성을 극복하고, 링 안테나를 E 급 출력단에서 사용되는 인덕터로서의 역할로 사용함으로서, 전체 송신단 구조의 간략화와 소형화 및 수동 소자에서 발생하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안테나 통합형 송신단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혐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에너지 전송을 위한 송신단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에너지 전송을 위한 송신단 구조에 사용되는 DC-AC 컨버터를 차동 구조의 E 급 출력단 구조로 형성 하고, E 급 출력단을 구성하고 있는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혹은 컬렉터와 전원 전압은 링 안테나를 통하여 서로 DC 적으로 연결 되도록 함으로서, 기존의 E 급 출력단의 문제점이었던 출력 신호의 비대칭성을 극복하고, 링 안테나를 E 급 출력단에서 사용되는 인덕터로서의 역할로 사용함으로서, 전체 송신단 구조의 간략화와 소형화 및 수동 소자에서 발생하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는,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부하로 가지며, 전원 전압을 안테나를 통하여 공급 받는 증폭기로 형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는,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부하로 가지며, 전원 전압을 안테나를 통하여 공급 받는 차동 구조의 증폭기로 형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는, 전원 전압이 가상 접지 지점에 인가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부하로 가지며, 전원 전압을 안테나를 통하여 공급 받는 차동 구조의 증폭기로 형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는,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부하로 가지며, 전원 전압을 안테나를 통하여 공급 받는 E-급 출력단 형태의 증폭기로 형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는, 전원 전압이 인가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부하로 가지며, 전원 전압을 안테나를 통하여 공급 받는 차동 구조 E-급 출력단 형태의 증폭기로 형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는, 전원 전압이 가상 접지 지점에 인가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부하로 가지며, 전원 전압을 안테나를 통하여 공급 받는 차동 구조 E-급 출력단 형태의 증폭기로 형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무선 에너지 전송에 사용되는 송신단을 형성함에 있어, 송신단 구조에 사용되는 DC-AC 컨버터를 차동 구조의 E 급 출력단 구조로 형성 하고, E 급 출력단을 구성하고 있는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혹은 컬렉터와 전원 전압은 링 안테나를 통하여 서로 DC 적으로 연결 되도록 함으로서, 기존의 E 급 출력단의 문제점이었던 출력 신호의 비대칭성을 극복하고, 링 안테나를 E 급 출력단에서 사용되는 인덕터로서의 역할로 사용함으로서, 전체 송신단 구조의 간략화와 소형화 및 수동 소자에서 발생하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 에너지 전송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송신단 부분만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풀-브릿지(FULL-BRIDGE) 회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풀-브릿지 회로로서, PMOS와 NMOS를 사용한 일 예를 간략하게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의한 E-급 출력단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차동 구조로 형성된 E-급 출력단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차동 구조로 형성된 E-급 출력단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차동 구조로 형성된 E-급 출력단이 링 안테나와 연결 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송신단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송신단 구조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도 6은 E 급 출력단을 도 2에 의한 202를 위한 회로로 사용함에 있어, 도 3에 의한 풀-브릿지 회로에 비하여 출력 신호의 파형이 깨끗하지 못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동 구조로 형성한 E 급 출력단의 간략한 회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601은 602에 의한 트랜지스터의 입력부이고, 603은 604에 의한 트랜지스터의 입력부이다. 이때, 601과 603에 입력되는 신호 파형의 위상이 서로 180도 차이가 난다면 도 6에 의한 E 급 출력단은 차동 증폭기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605는 도 6에 의한 E 급 출력단이 AC 전력을 공급해야 하는 부하(LOAD)를 나타낸다. 608은 602에 의한 트랜지스터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덕터를 나타내며, 609는 604에 의한 트랜지스터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덕터를 나타낸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608 및 609에 의한 인덕터는 도 6에 의한 차동 증폭기의 동작 주파수 측면에서 매우 큰 임피던스를 확보하기 위해 높은 인덕턴스 값을 가지도록 설계 된다. 또한, 606은 602에 의한 트랜지스터와 605 사이의 정합을 위해 필요한 정합 회로를 나타내며, 마찬가지로 607은 604에 의한 트랜지스터와 605 사이의 정합을 위해 필요한 정합 회로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에 의한 차동 구조의 E-급 출력단의 변형된 구조를 보이고 있다. 도 7이 도 6과 비교하여 주된 차이점은 도 6의 606과 607에 의한 두 개의 정합 회로를 701에 의한 하나의 정합 회로로 변형 되었고, 701에 의한 정합 회로는 605에 의한 부하와 병렬연결 관계를 가진다. 도 6의 606과 607을 도 7의 701로 변형시키기 위해서는 701에 의한 정합 회로의 내부 구성이 606과 607에 의한 정합 회로의 내부 구성과 달라진다. 도 6을 도 7로 변형시키기 위한 정합 회로의 내부 구성은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속하지 않으며, 그 방법이 하나로 특징지어지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7에 의한 차동 구조의 E-급 출력단이 무선 에너지 전송을 위한 801에 의한 링 안테나와 연결 된 회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결과적으로, 도 7의 605에 의한 부하가 도 8에서는 801에 의한 링 안테나로 구체화 된 것이다. 801에 의한 링 안테나는 일반적으로 금속 재질로 형성이 되며, 모든 금속성 물질은 길이와 단면적에 의하여 일정한 인덕턴스 성분을 가진다. 802는 801에 의한 링 안테나 상의 특정한 지점을 나타내는데, 링 안테나가 E-급 출력단과 연결 되는 두 지점까지의 거리가 동일한 지점이다. 802에 의한 지점은 차동 구조의 증폭기 특성에 의하여, 가상 접지 (Virtual Ground)가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608과 609로 전원 전압(VDD)이 인가되는 803 지점 역시 도 8의 동작 주파수 측면에서는 가상 접지가 형성 된다. 따라서, 동작 주파수 측면에서 해석할 때, 차동 증폭기의 기본적인 특성에 의하여, 801에 의한 링 안테나와 608 및 609에 의한 인덕터는 서로 병렬연결 관계에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608 및 609는 매우 큰 인덕턴스 값을 가지므로, 608 및 609에 의한 높은 인덕턴스와 801에 의한 링 안테나에 의한 인덕턴스로 형성 되는 등가 인덕턴스 값은 801에 의한 링 안테나에 의한 인덕턴스 값과 거의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도 8의 803 지점에서 전원 전압을 공급 하지 않고 링 안테나 상의 802 지점에서 전원 전압을 공급 한다면 도 8의 608과 609는 회로 상에서 제거가 가능하며,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에너지 전송을 위한 송신단 구조의 일 예인 도 9의 회로도로 변형이 가능하다. 도 9에서는 링 안테나상의 802 지점에서 전원 전압을 공급 한다. 이때, 링 안테나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608과 609에 의한 높은 인덕턴스를 가지는 인덕터는 기생 저항 성분도 크기 때문에 전원 전압으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을 때 필연적으로 전력 소모가 발생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송신단 구조의 일 예인 도 9와 같이 회로도를 구성 할 경우 608 및 609에 의한 전력 소모를 원천적으로 제거하여 송신단 구조 전체의 전력 효율 특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608과 609에 의한 높은 인덕턴스를 가지는 인덕터는 그 크기가 낮은 인덕턴스를 가지는 인덕터에 비하여 증가하게 되고, 이는 곧 회로의 생산단가를 상승 시킨다. 히지만, 본 발명에 의한 송신단 구조의 일 예인 도 9와 같이 회로도를 구성할 경우 608 및 609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송신단 구조를 형성함에 있어 생산 단가의 절감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도 9의 일 예는 DC-AC 컨버터로서, 차동 구조로 형성된 E-급 출력단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시의 하나로 제시된 것이며, 증폭단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에 전원 전압을 인가하는 지점을 안테나 상에 형성 하는 것을 경우를 포함 한다. 이의 일 예를 도 10에서 보였다. 도 9는 차동 구조로 형성된 E-급 출력단을 증폭단으로 사용하는 일 예인 반면, 도 10은 차동 구조가 아닌 E-급 출력단을 증폭단으로 사용하는일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에서는 801에 의한 안테나의 한 쪽 끝은 1002에 의한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 되고, 또 다른 한쪽 끝인 1004 지점으로는 전원 전압(VDD)이 공급 된다. 1001은 1002에 의한 트랜지스터의 입력부이고, 1003은 증폭단의 정합 회로를 나타낸다.
101 : 무선 에너지 전송 시스템에서의 전원 공급 장치
102 : 무선 에너지 전송 송신단
103 : 무선 에너지 전송 시스템에서 송신 안테나
104 : 무선 에너지 전송 시스템에서 수신 안테나
105 : 무선 에너지 전송 수신단
106 : 무선 에너지 전송 시스템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 받는 일반적인 전자 기기
201 : 무선 에너지 전송 시스템에서의 송신단에 사용되는 AC-DC 컨버터
202 : 무선 에너지 전송 시스템에서의 송신단에 사용되는 DC-AC 컨버터
301, 302, 303, 304, 402, 404 : 트랜지스터의 일종인 NMOS
401, 403 : 트랜지스터의 일종인 PMOS
501, 1002 : E-급 출력단을 형성 하고 있는 NMOS
502, 1001 : E-급 출력단을 형성 하고 있는 NMOS 입력 부
503 : E-급 출력단에 전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인덕터
504 : E-급 출력단을 형성 하고 있는 정합 회로부
505 : E-급 출력단으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 부하
601, 603 : 차동 구조로 형성된 E-급 출력단을 형성하는 NMOS의 입력 부
602, 604 : 차동 구조로 형성된 E-급 출력단을 형성하는 NMOS
606, 607, 701 : 차동 구조로 형성된 E-급 출력단의 정합 회로 부
608, 609 : 차동 구조로 형성된 E-급 출력단에 전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인덕터
605 : 차동 구조로 형성된 E-급 출력단으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 부하
801 : 링 안테나
802 : 링 안테나상에 형성 되는 가상 접지
803 : 차동 구조로 형성된 E-급 출력단에서 형성 되는 가상 접지 중 전원 전압이 인가 되는 부분

Claims (11)

  1. 제1단자는 제1공통 접점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접지 접점에 연결되며 제3단자로는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제1NMOS 트랜지스터 및 제1단자는 제2공통 접점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상기 접지 접점에 연결되며 제3단자로는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제2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원 증폭부; 및
    제1단은 상기 제1공통 접점에 연결되고 제2단은 상기 제2공통 접점에 연결된 도전체로 이루어져 직류 전원을 상기 전원 증폭부에 제공하는 전원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직류 전원은 상기 제1공통 접점과의 거리와 상기 제2공통 접점과의 거리가 동일해지는 상기 전원 입력부 상의 지점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교류 변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NMOS 트랜지스터의 제3단자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압과 상기 제2NMOS 트랜지스터의 제3단자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압의 위상 차이는 180도(1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교류 변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입력부는 상기 제1단 및 상기 제2단을 루프(loop) 형태로 연결하는 선형의 도전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교류 변환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통 접점과 상기 제2공통 접점 사이에 연결되어 임피던스를 매칭시키는 정합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교류 변환장치.
  5. 제1단자는 제1공통 접점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접지 접점에 연결되며 제3단자로는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제1NMOS 트랜지스터 및 제1단자는 제2공통 접점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상기 접지 접점에 연결되며 제3단자로는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제2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원 증폭부; 및
    제1단은 상기 제1공통 접점에 연결되고 제2단은 상기 제2공통 접점에 연결된 도전체로 이루어져 직류 전원을 상기 전원 증폭부에 제공하며, 상기 전원 증폭부에 의해 출력된 교류 전원을 무선 신호로 전환하여 전자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직류 전원은 상기 제1공통 접점과의 거리와 상기 제2공통 접점과의 거리가 동일해지는 상기 안테나 상의 지점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에너지 송신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NMOS 트랜지스터의 제3단자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압과 상기 제2NMOS 트랜지스터의 제3단자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압의 위상 차이는 180도(1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에너지 송신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제1단 및 상기 제2단을 루프(loop) 형태로 연결하는 선형의 도전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에너지 송신장치.
  8.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통 접점과 상기 제2공통 접점 사이에 연결되어 임피던스를 매칭시키는 정합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에너지 송신장치.
  9. 제1단자는 공통 접점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접지 접점에 연결되며 제3단자로는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는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원 증폭부; 및
    제1단은 상기 공통 접점에 연결되어 있고 제2단으로는 직류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전원 증폭부에 제공하며, 상기 전원 증폭부에 의해 출력된 교류 전원을 무선 신호로 전환하여 전자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에너지 송신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제1단 및 상기 제2단을 루프(loop) 형태로 연결하는 선형의 도전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에너지 송신장치.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접점과 상기 접지 접점 사이에 연결되어 임피던스를 매칭시키는 정합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에너지 송신장치.
KR1020100106362A 2010-10-28 2010-10-28 무선 에너지 전송을 위한 송신단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1181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362A KR101181470B1 (ko) 2010-10-28 2010-10-28 무선 에너지 전송을 위한 송신단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362A KR101181470B1 (ko) 2010-10-28 2010-10-28 무선 에너지 전송을 위한 송신단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842A KR20120044842A (ko) 2012-05-08
KR101181470B1 true KR101181470B1 (ko) 2012-09-10

Family

ID=46264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362A Expired - Fee Related KR101181470B1 (ko) 2010-10-28 2010-10-28 무선 에너지 전송을 위한 송신단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4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26315B2 (en) 2014-12-10 2019-06-18 Lg Innotek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842A (ko) 201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6506B2 (ja) ゲート駆動回路
US10476308B2 (en) Magnetic resonanc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apable of adjusting resonance frequency
US9438230B2 (en) Gate drive circuit
TWI596893B (zh) 高效率電壓模式d類拓樸結構
JPWO2013065254A1 (ja) ゲート駆動回路
JP2008104295A (ja) 非接触電源装置
ATE319204T1 (de) Hochfrequenzanregungsanordnung
US9871416B2 (en) Resonant type high frequency power supply device
WO2015015708A1 (ja) 高周波受信回路及び絶縁型信号伝送装置
CN103262389A (zh) 电力接收装置及使用其的非接触式电力传送系统
US9882435B2 (en) Resonant type high frequency power supply device and switching circuit for resonant type high frequency power supply device
KR101181470B1 (ko) 무선 에너지 전송을 위한 송신단 구조
CN107147365A (zh) 一种Class‑E功率放大器
US8305139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high power and/or high frequency devices
JP6545104B2 (ja) 共振型電力伝送装置
JP6091643B2 (ja) 共振型高周波電源装置及び共振型高周波電源装置用スイッチング回路
US9882509B2 (en) Resonant type high frequency power supply device and switching circuit for resonant type high frequency power supply device
US20160241159A1 (en) Resonant type high frequency power supply device
WO2016065223A1 (en) Method of driving fets in saturating self-oscillating push-pull isolated dc-dc converter
KR101363818B1 (ko) 고조파 감쇄를 위한 전력 증폭기
CN204425276U (zh) 振荡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9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