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79693B1 -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 - Google Patents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693B1
KR101179693B1 KR1020100045466A KR20100045466A KR101179693B1 KR 101179693 B1 KR101179693 B1 KR 101179693B1 KR 1020100045466 A KR1020100045466 A KR 1020100045466A KR 20100045466 A KR20100045466 A KR 20100045466A KR 101179693 B1 KR101179693 B1 KR 101179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biliary
lumen
backflow prevention
diame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5854A (ko
Inventor
강성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00045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693B1/ko
Publication of KR20110125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69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rosthe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관(담도) 내강에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인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의 삽관기에 관한 것으로,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를 인체의 소화관에 시술하는 경우 역류방지단속부가 얇은 유연한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어 압박하여 밀어내 삽입함으로써 역류방지단속부의 내강이 충분히 확보되지 아니하고, 오히려 삽관기로 밀어냄으로써 구겨져 담도스텐트가 막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의 시술을 위한 삽관기에 관한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역류방지단속부를 비록 밀어내 구겨지지 않도록 시술할지라도 인체 내에서의 혈류나 방사형의 수축 압력으로 인하여 시술시 그 내경이 확보될 수 없는데, 별도의 푸싱보조스텐트를 삽관기의 삽입푸싱부재 말단에 마련하여 시술할 때 역류방지단속부의 내경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삽관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인체의 소화관 내강에 삽입되어 내강을 확대시킨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소화관으로 음식물 등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담도스텐트를 삽입시키는 삽관기에 있어서, 외경과 내경이 각각 일정한 크기 이하로 형성되고, 담도스텐트의 직경이 일정한 크기로 축소하면서 삽입되며,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굽혀지면서 인체의 내강에 삽입될 수 있는 원통형상의 긴 관으로 형성된 삽입외관; 상기 삽입외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삽입외관에 직경이 축소되어 삽입된 담도스텐트를 삽입외관의 일단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하여 인체의 담도에 시술하는 삽입푸싱부재; 및 상기 삽입푸싱부재 말단에 연결되어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의 역류방지단속부가 내강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시술하는 푸싱보조스텐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의 삽관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 { An Apparatus for Intruding Anti-regurgitative Madical Biliary Stent into the alimentary canal }
본 발명은 소화관(담도) 내강에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인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의 삽관기에 관한 것으로,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를 인체의 소화관에 시술하는 경우 역류방지단속부가 얇은 유연한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어 압박하여 밀어내 삽입함으로써 역류방지단속부의 내강이 충분히 확보되지 아니하고, 오히려 삽관기로 밀어냄으로써 구겨져 담도스텐트가 막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의 시술을 위한 삽관기에 관한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역류방지단속부를 비록 밀어내 구겨지지 않도록 시술할지라도 인체 내에서의 혈류나 방사형의 수축 압력으로 인하여 시술시 그 내경이 확보될 수 없는데, 별도의 푸싱보조스텐트를 삽관기의 삽입푸싱부재 말단에 마련하여 시술할 때 역류방지단속부의 내경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삽관기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스텐트는 인체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질병에 의해 인체 내에 있는 내강이 좁아져서 그 고유의 기능을 저하시키거나 혈관이 좁아져서 혈액의 순환이 불량한 경우 등의 질환이 발생한 경우에 그 내강 또는 혈관의 내부에 시술하여 내강을 확장시키거나 혈관을 확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의료용 기구이다.
이에 통상적으로 담도 스텐트는 담즙인 쓸개즙이 분비될 수 있도록 형성된 총담관 내지 이자관 등의 소화관에 담도암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소화관을 대체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담도 스텐트의 목적이 주로 수술이 불가능한 간내 담도암에 적용하여 담도의 내강을 확보하는 역할을 하여 간에서 발생한 담즙의 자연스런 십이지장으로의 배액을 유도하는 것인데, 일반 담도 스텐트는 스텐트의 메쉬 사이로 담도암의 조직이 자라 들어와 재폐쇄가 발생하므로, 이러한 재폐쇄를 억제하기 위해 커버부위를 가지는 스텐트(covered stent)로 사용되어 진다.
즉, 담도 스텐트는 상기 담도암의 종양이 소화관에 침투되거나 확장되어 소화관을 막음으로써 소화 효소가 십이지장으로 배출되는 것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당해 담도에 종양이 발생되어 담도암의 질병을 갖게 되는 경우, 담도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므로 별도의 내강 확장용 스텐트를 삽입해야 하고 이렇게 시술된 내강 확장용 스텐트에는 별도의 역류방지수단이 구비되지 아니한 관계로 십이지장을 통과하는 소화된 음식물의 액체가 역류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렇게 역류된 음식물이 담도에 삽입된 스텐트의 입구에 밀집하거나 막히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고, 이렇게 막힌 담도 스텐트는 제기능을 달성하지 못하고 소화효소의 원활한 분비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0354821호에 게시된 인조혈관 스텐트의 삽입장치에서 볼 수 있듯이, 통상적인 스텐트는 그 말단에 역류방지단속부를 포함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그 말단에 형성된 제2스텐트부재를 압박하여 밀어내어 시술하면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354821 참조.)
이에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상의 스텐트 삽관장치(I)는 충분히 길게 형성된 삽입외관(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중공에 제1삽입푸싱부재(2)가 삽입된다. 이렇게 삽입된 제1삽입푸싱부재의 중공에는 또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2삽입푸싱부재(3)가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스텐트 삽관장치(I)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담도스텐트(S)에서 형상인식 와이어(w)로 직조된 스텐트 말단의 노출된 스텐트를 직경을 축소시켜 제1삽입푸싱부재(2) 내부에 관입시키고 그 다음 커버부재(C)에 의해 덮힌 스텐트 부위는 삽입외관(1)에 직경을 축소시켜 관입시키게 된다.
이렇게 이루어진 상태에서 담도스텐트를 시술하고자 하는 소화관 입구에 당해 삽관장치(I)의 말단을 위치시킨 후 제1삽입푸싱부재(2)를 충분히 밀어넣은 후, 다음 제2삽입푸싱부재(3)를 삽입외관(1)으로부터 완전히 노출되도록 밀어넣게 된다. 이로써 상기 노출된 스텐트 부위는 길이방향으로 밀어지기 때문에 충분히 힘을 받게 되고 밀리면서 소화관인 담도에 시술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삽관장치는 역류방지단속부를 포함하는 담도스텐트를 삽관할 때 그 말단에 형성된 유연하고 부드러운 얇은 필름인 역류방지단속부를 함께 밀어서 구겨지게 삽관하게 된다.
이에 결국 시술한 후에는 역류방지단속부의 제기능을 전혀 수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담도스텐트 말단을 당해 역류방지단속부에 의해 막히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소화효소의 분비를 방해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시술을 위한 삽관기는 별도로 역류방지단속부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시술해야 하므로 종래의 삽관기로는 이를 달성할 수 없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를 시술하는 경우 역류방지단속부가 막히거나 내경이 확보되지 못하여 오히려 담도스텐트로써의 기능인 소화효소 분비 기능을 저하시키고, 역류방지의 제기능을 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역류방지단속부의 내경을 확보하면서 시술할 수 있도록 하는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형상인식 와이어로 직조되고, 일단은 삽입푸싱부재의 말단에 내경이 작아지도록 결합되면서 그물형상의 쐐기형 구조체인 푸싱보조스텐트를 구비하여 담도스텐트의 역류방지단속부 내부에 관입된 상태에서 직경이 축소되면서 상기 삽입외관에 내입되도록 함으로써 스텐트의 시술시 역류방지단속부 내경이 충분히 확장될 수 있도록 하는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될 것이며,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체의 소화관 내강에 삽입되어 내강을 확대시킨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소화관으로 음식물 등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담도스텐트를 삽입시키는 삽관기에 있어서, 외경과 내경이 각각 설정된 크기로 형성되고, 직경이 축소된 담도스텐트가 삽입되며, 설정된 길이로 연장되어 굽혀지면서 인체의 내강에 삽입될 수 있는 원통형상의 긴 관으로 형성된 삽입외관; 상기 삽입외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삽입외관에 직경이 축소되어 삽입된 담도스텐트를 삽입외관의 일단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하여 인체의 담도에 시술하는 삽입푸싱부재; 및 상기 삽입푸싱부재 말단에 연결되어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의 역류방지단속부가 내강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시술하는 푸싱보조스텐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푸싱보조스텐트는, 형상인식 와이어로 직조되고, 일단은 삽입푸싱부재의 말단에 내경이 작아지도록 결합되면서 그물형상의 쐐기형 구조체를 이루고, 담도스텐트의 역류방지단속부 내부에 관입된 상태에서 직경이 축소되면서 상기 삽입외관에 내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푸싱부재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절곡가능한 관형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푸싱부재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담도스텐트를 시술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부재인 카테터;를 포함하고, 상기 카테터의 말단에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담도스텐트가 내입 시술될 수 있도록 내강을 확보하는 유도용팁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푸싱보조스텐트는,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의 역류방지단속부에 관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외관 외부로 유출된 후 상기 역류방지단속부의 내경을 확보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및 후술할 구성과 결합, 작동관계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를 시술하는 경우 역류방지단속부가 막히거나 내경이 확보되지 못하여 오히려 담도스텐트로써의 기능인 소화효소 분비 기능을 저하시키고, 역류방지의 제기능을 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역류방지단속부의 내경을 확보하면서 시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형상인식 와이어로 직조되고, 일단은 삽입푸싱부재의 말단에 내경이 작아지도록 결합되는 그물형상의 쐐기형 구조체인 푸싱보조스텐트를 구비하여 담도스텐트의 역류방지단속부 내부에 관입된 상태에서 직경이 축소되면서 상기 삽입외관에 내입되도록 하여 매우 간단한 구조로 담도스텐트를 삽입하는 시술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또한, 인체의 소화관인 담도에 상기 스텐트를 밀어넣어 시술할 때, 푸싱보조스텐트가 역류방지단속부에 관입된 상태에서 시술된 후 역류방지단속부의 외경이 확보되도록 푸싱보조스텐트가 이탈함으로써 스텐트의 시술시 역류방지단속부 내경이 충분히 확장될 수 있도록 하여 역류방지 기능 및 담도의 소화효소 분비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텐트 삽관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에 스텐트를 삽입시키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에 스텐트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에서 담도스텐트를 밀어내어 인체의 소화관에 시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에서 담도스텐트를 밀어낸 후 역류방지단속부의 내경을 확장 유지되도록 시술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의 삽관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삽관하고자 하는 대상인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이하 "담도스텐트"라고 칭하기도 함)는 출원번호 제10-2010-0044845호 "역류방지단속부를 포함한 내강 확장용 담도스텐트"를 참고할 수 있는 것으로써,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먼저 설명하고자 한다.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10)를 살펴보면, 먼저 본 발명의 담도스텐트(1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화관에 담도암이 발생된 경우 담즙 등의 소화액이 분비되지 못하게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텐트(100) 및 커버부재(200)를 포함하고, 십이지장에 음식물이 통과하는 경우 대십이지장유두를 통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역류방지단속부(300)를 포함한다.
이에 상기 스텐트(stent, 100)는, 형상인식 직물로 직조 구성된 원통형상의 인조 스텐트로써 우선 소화관 내에 삽입되는 경우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삽입 시술되고, 소화관 내강에 삽입된 후에는 다시 자체적으로 원래의 직경을 가지면서 소화관의 내강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탄성 복원력을 가진다. 이렇게 삽입되어 시술된 스텐트(100)가 내강을 충분히 확보하게 되면 쓸개에 보관된 쓸개즙(담즙)과 이자에 보관된 이자액(췌액)이 총담관(총쓸개즙관) 및 이자관(췌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분비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소화효소의 분비과정은 내강이 충분히 확보되는 담도스텐트(10)를 통해서는 소화액이 분비만을 원활하게 할 뿐 십이지장에 위에서 소화된 음식물 등의 액체가 통과하는 경우에 대십이지장유두가 폐쇄되지 않기 때문에 상측으로 역류되어 유입될 수 있고, 이렇게 유입됨으로써 막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상기 소화관에 담도암 등의 종양이 발생되어 담도스텐트(10)가 시술된 경우 대십이지장유두의 괄약근이 당연히 제거되기 때문에 개폐를 단속할 수 있는 작용 및 기능을 다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형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대십이지장유두의 개폐를 단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별도의 역류방지단속부(300)를 마련하여 그 기능 및 작용을 다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covered portion, 200)는, 외부의 종양이나 이물질이 스텐트 내부에 유입되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재질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부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또한 내강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외주의 방사형 압력(Radial force)으로부터 충실히 견딜 수 있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실리콘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강도, 내열성(열에 강함)이 뛰어난 특수강화 불소수지가 주성분인 튜브형 e-PTFE(e-polytetrafluoroethylene) 소재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기 커버부재(200)는, 통상적으로 상기 스텐트의 외주를 씌움으로써 외부로부터 밀폐되도록 형성되는 유연한 필름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는 반대로 스텐트 내부에 내입되어 삽입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역류방지단속부(30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담도스텐트(10)의 말단에 일체로 동일한 부재로써 연결되어 형성되는데, 십이지장에 소화된 음식물 등의 유체가 통과하는 경우 흐름방향으로 접혀져서 대십이지장유두를 폐쇄함으로써 소화관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연한 필름형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유연한 필름으로 형성됨으로써 유체 상태의 소화된 음식물이 십이지장을 통과하는 경우 흐름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게 되고 이렇게 접혀짐으로써 소화된 음식물이 상측의 소화관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역류방지단속부가 포함된 담도스텐트(10)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소화효소가 분비되는 경우 십이지장 내에 음식물의 통과가 없을 때는 소화효소인 담즙(쓸개즙) 및 이자액(췌액)이 원활하게 분비될 수 있도록 역류방지단속부(300)가 개방된다.
이렇게 내부의 형상인식 와이어로 직조된 원통형의 스텐트(100)에 의해 충분히 확보된 내강을 통해 소화효소가 대십이지장유두 부분까지 용이하게 이동되고, 개방된 역류방지단속부(300)를 통해 십이지장에 소화효소가 분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텐트(100)의 외주를 감싸는 커버부재(200)에 의해 주변의 종양이 증식되어 담도에 침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다음 위(胃)에서 충분히 소화된 음식물 등의 액체가 십이지장을 통과하는 경우 그 흐름에 의해 연한 재질의 박막 필름으로 형성된 역류방지단속부(300)는 흐름 방향에 따라 십이지장의 상측벽에 쏠리면서 압박되게 되고, 이로써 역류방지단속부(300)는 폐쇄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소화관 내에로 음식물의 흐름이 역류되어 내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다시 십이지장 내에 음식물의 흐름이 끊기게 되면 상기 역류방지단속부(300)는 다시 개방되는 상태로 복원된다. 이는 당해 재질이 e-PTPE 로 형성된 확장형 밸브의 기능을 함으로써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20)의 구성 및 작동관계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20)는 인체의 소화관 내강에 삽입되어 내강을 확대시킨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소화관으로 음식물 등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담도스텐트를 삽입시키는 기능을 하는데, 외경과 내경이 각각 일정한 크기 이하로 형성되고, 담도스텐트의 직경이 일정한 크기로 축소하면서 삽입되며,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굽혀지면서 인체의 내강에 삽입될 수 있는 원통형상의 긴 관으로 형성된 삽입외관(21); 상기 삽입외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삽입외관에 직경이 축소되어 삽입된 담도스텐트를 삽입외관의 일단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하여 인체의 담도에 시술하는 삽입푸싱부재(23); 및 상기 삽입푸싱부재 말단에 연결되어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의 역류방지단속부가 내강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시술하는 푸싱보조스텐트(25);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외관(21)은, 도 2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삽입되는 위치의 소화관인 담도의 길이 이상으로 길게 형성되는 절곡될 수 있는 관형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삽입외관(21)은 외경과 내경이 각각 일정한 크기 이하로 형성되고, 담도스텐트의 직경이 일정한 크기로 축소하면서 삽입되며,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굽혀지면서 인체의 내강에 삽입될 수 있는 원통형상의 긴 관으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외관(21)은 인체의 소화관 부위에 삽입되는 부위이므로 그 외경은 소화관의 직경 이하 정도로 형성하며, 내부 중공에는 삽입푸싱부재(23)가 내입되므로 그 내경은 삽입푸싱부재(23)의 외경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푸싱부재(23)는, 도 2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외관(21)의 내부 중공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관입되는 긴 부재인데,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외경이 상기 삽입외관(2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삽입푸싱부재(23)는 상기 삽입외관에 직경이 축소되어 삽입된 담도스텐트(10)를 삽입외관의 일단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하여 인체의 담도에 스텐트를 시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와는 별도로 상기 삽입푸싱부재(23)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의 중공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하기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카테터(27)가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당해 카테터가 용이하게 삽입되고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그 내경을 카테터의 외경보다 크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푸싱보조스텐트(25)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형상인식 와이어로 직조된 그물형상의 쐐기형 구조체를 이루는데, 일단은 삽입푸싱부재(23)의 말단에 내경이 작아지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원형의 개방된 면을 가지며, 담도스텐트의 역류방지단속부(300) 내부에 관입된 상태에서 직경이 축소되면서 상기 삽입외관(21)에 내입된다.
이에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푸싱보조스텐트(25)는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10)의 역류방지단속부(300)에 관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외관(21) 외부로 유출된 후 상기 역류방지단속부(300)의 내경을 확보한 상태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시술됨으로써 역류방지단속부(300)에 의한 스텐트 막힘이 발생되지 않고, 역류방지 단속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푸싱부재(23)는 상기 삽입푸싱부재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절곡가능한 관형 부재로 형성되며, 추가적으로 상기 삽입푸싱부재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담도스텐트를 시술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부재인 카테터(2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카테터(27)는, 통상적으로 상기 삽입외관(21) 및 삽입푸싱부재(23)의 절곡에 따라 함께 절곡될 수 있으나, 길이방향의 수축력에는 강하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라 담도스텐트(10)를 삽입하는 시술을 할 때, 상기 카테터(27)로 삽입될 내강을 확보하여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카테터(27)의 말단에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담도스텐트가 내입 시술될 수 있도록 내강을 확보하는 유도용팁부(27a);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상기 카테터(27)를 담도 등의 소화관에 삽입하는 경우 유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그 내강을 보다 원활히 확보할 수 있고, 주변의 조직에도 손상을 주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20)를 이용하여 담도스텐트(10)를 인체의 소화관(담도 등)에 시술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삽관기(20)를 통해 시술하기 전에 인체의 담도에 삽입될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10)를 삽입외관(21)에 관입시키게 된다. 이에 동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담도스텐트(10)의 스텐트(100) 중 앞부분 말단의 노출스텐트(110)를 직경을 축소시켜 삽입외관(21) 입구에 관입시키게 되고, 지속적으로 밀어내면서 커버된 스텐트(120)도 관경을 축소시키면서 관입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기 담도스텐트(10)를 축소시켜 삽입외관(21)에 관입시키면서, 뒷부분 말단의 역류방지단속부(300)에는 별도의 스텐트(100)가 존재하지 아니하므로 당해 역류방지단속부(300)의 내부에 본 발명의 삽관기(20)의 푸싱보조스텐트(25)를 관입시켜 연결한다. 그대로 관입될 경우 상기 역류방지단속부(300)는 연한 재질의 필름이므로 쉽게 관입될 수 있지만, 최종적으로 시술되면서 인체 내부의 방사방향의 압력으로 인하여 막히게 되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역류방지단속부(300)의 내강에 푸싱보조스텐트(25)를 관입시키면서 상기 커버된 스텐트(120)의 끝단과 부딪히도록 위치시키면서, 축소 내입시키는 것이다.
다음 도 4를 살펴보면, 상기 도 3의 단계에서 지속적으로 상기 푸싱보조스텐트(25)가 연결된 삽입푸싱부재(23)를 삽입외관(21) 내부로 화살표 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에 상기 푸싱보조스텐트(25)의 끝단은 담도스텐트의 커버된 스텐트(120)의 끝단과 맞닿아 길이방향으로 밀게 되면, 하중이 전달되어 길이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이와 같이 일단 삽입외관(21)에 축소 관입된 담도스텐트(10)를 지속적으로 밀어내어 담도스텐트(10)의 노출된 스텐트(110) 부위가 상기 삽입외관(21)의 끝단까지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는 별도로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테터(27)는 상기 삽입외관(21) 및 삽입푸싱부재(23)의 중공에 일체로 길게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준비된 상태에서 담도스텐트(10)를 시술하고자 하는 부위에 그 끝단을 위치시키고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카테터(27)를 밀게 되는데, 이는 유선형 유도용팁(27a)이 삽입될 소화관(담도)의 내강을 유도 인도하기 위해서이다.
이렇게 소화관의 내강이 유도 확보된 후 삽입푸싱부재(23)를 밀어내게 되는데, 이로써 삽입외관(21)에 축소 관입되어 있는 담도스텐트(10)의 노출스텐트(110)부터 소화관에 시술되게 됩니다. 이에 상기 노출스텐트(110)는 강성이 있는 형상인식 와이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강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소화관에 내입될 수 있게 된다.
다음 마지막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푸싱부재(23)를 완전히 밀어내어 담도스텐트(10)를 소화관 내강에 충분히 시술하게 된 후, 삽입외관(21)을 빠져나온 담도스텐트(10) 및 푸싱보조스텐트(25)는 형상인식 금속의 자체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의 직경을 유지하게 되고, 이로써 상기 푸싱보조스텐트(25)의 외주에 감싸여져 있는 역류방지단속부(300)도 역시 그 직경을 충분히 유지하면서 시술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시술이 완료된 후 본 발명의 삽관기(20)를 제거하게 되면 담도스텐트(10)의 역류방지단속부(300)가 그 기능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시술되며, 더 나아가 막히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소화효소 분비에도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앞서 살펴본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주요 설명 *
I : 종래 스텐트삽관장치 1 : 삽입외관
2 : 제1삽입푸싱부재 3 : 제2삽입푸싱부재
S : 종래 담도스텐트 w : 형상인식 와이어
C : 커버부재
20 : 담도스텐트 삽관기 21 : 삽입외관
23 : 삽입푸싱부재 25 : 푸싱보조스텐트
27 : 카테터 27a : 유선형 유도용팁부
10 : 담도스텐트
100 : 스텐트 110 : 노출스텐트
120 : 커버된 스텐트 200 : 커버부재
300 : 역류방지단속부

Claims (5)

  1. 인체의 소화관 내강에 삽입되어 내강을 확대시킨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소화관으로 음식물 등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담도스텐트(10)를 삽입시키는 삽관기에 있어서,
    외경과 내경이 각각 설정된 크기로 형성되고, 직경이 축소된 담도스텐트(10)가 삽입되며, 설정된 길이로 연장되어 굽혀지면서 인체의 내강에 삽입될 수 있는 원통형상의 긴 관으로 형성된 삽입외관(21);
    상기 삽입외관(21)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삽입외관(21)에 직경이 축소되어 삽입된 담도스텐트(10)를 삽입외관(21)의 일단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하여 인체의 담도에 시술하는 삽입푸싱부재(23); 및
    상기 삽입푸싱부재(23) 말단에 연결되어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10)의 역류방지단속부가 내강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시술하는 푸싱보조스텐트(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의 삽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보조스텐트(25)는,
    형상인식 와이어로 직조된 그물형상의 쐐기형 구조체를 이루는데, 일단은 삽입푸싱부재(23)의 말단에 내경이 작아지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원형의 개방된 면을 가지며,
    담도스텐트(10)의 역류방지단속부 내부에 관입된 상태에서 직경이 축소되면서 상기 삽입외관(21)에 내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의 삽관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푸싱부재(23)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절곡가능한 관형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푸싱부재(23)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담도스텐트(10)를 시술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부재인 카테터(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27)의 말단에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담도스텐트(10)가 내입 시술될 수 있도록 내강을 확보하는 유도용팁부(27a);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보조스텐트(25)는,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10)의 역류방지단속부에 관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외관(21) 외부로 유출된 후 상기 역류방지단속부의 내경을 확보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
KR1020100045466A 2010-05-14 2010-05-14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179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466A KR101179693B1 (ko) 2010-05-14 2010-05-14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466A KR101179693B1 (ko) 2010-05-14 2010-05-14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854A KR20110125854A (ko) 2011-11-22
KR101179693B1 true KR101179693B1 (ko) 2012-09-04

Family

ID=45395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466A Expired - Fee Related KR101179693B1 (ko) 2010-05-14 2010-05-14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6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557330B (zh) * 2024-07-23 2025-02-28 诺宜思医疗科技(北京)有限公司 胆道可吸收支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626B1 (ko) 2001-07-31 2009-11-02 윌슨-쿡 메디컬 인크. 슬리브 밸브를 갖는 인공 삽입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626B1 (ko) 2001-07-31 2009-11-02 윌슨-쿡 메디컬 인크. 슬리브 밸브를 갖는 인공 삽입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854A (ko) 201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7610B2 (en) Aortic implant
KR100924626B1 (ko) 슬리브 밸브를 갖는 인공 삽입물
JP6235345B2 (ja) ストーマ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医療装置
US8226706B2 (en) Stent graft with integral side arm
EP2491892B1 (en) Stent graft with valve arrangement and introducer assembly therefor
US8167930B2 (en) Stent graft for treatment of emergency rupture of a vessel
EP1389073B1 (en) Draining bodily fluids with a stent
DE10327231B3 (de) Saugstent
US20060253190A1 (en) Removeable stents
JP2019522556A (ja) 吻合ドレイナージステント
CN201200504Y (zh) 带瓣膜防返流胆管金属支架
WO2011148626A1 (en) Catheter apparatus
US20220071759A1 (en) Stent designs to cover catheter access site
KR100942036B1 (ko) 스텐트
CN104095696A (zh) 用于食管破裂及吻合口漏封堵的食管内支架
KR101179692B1 (ko) 역류방지단속부를 포함한 내강 확장용 담도스텐트
KR101179693B1 (ko)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
CN204734578U (zh) 抗返流胆道支架
KR102625992B1 (ko) 위장관 스텐트
CN114080202A (zh) 用于管理物质通过体腔的支架和方法
Fujisawa et al. Development of Biliary Self-Expandable
US20190262158A1 (en) Gastric bypass device
Ayoub et al. The mesh wallstent in the treatment of detrusor external sphincter dyssynergia in men with spinal cord injury: a 12-year follow-up.
Ochiai et al. Toshio Fujisawa, Hiroyuki Isayama, Shigeto Ishii, Mako Ushio, Sho Takahashi, Wataru Yamagata, Yusuke Takasaki, Akinori Suzuki, Koichi Ito
KR20100065493A (ko) 담도용 스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8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8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