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693B1 - An Apparatus for Intruding Anti-regurgitative Madical Biliary Stent into the alimentary canal - Google Patents
An Apparatus for Intruding Anti-regurgitative Madical Biliary Stent into the alimentary ca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79693B1 KR101179693B1 KR1020100045466A KR20100045466A KR101179693B1 KR 101179693 B1 KR101179693 B1 KR 101179693B1 KR 1020100045466 A KR1020100045466 A KR 1020100045466A KR 20100045466 A KR20100045466 A KR 20100045466A KR 101179693 B1 KR101179693 B1 KR 1011796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nt
- biliary
- lumen
- backflow prevention
- diamet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10000001035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10000000013 bile duc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10000000941 bil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2627 tracheal intub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151 anti-reflux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0968 intestin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10000003445 biliary tract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10000001198 duodenum Anatomy 0.000 description 14
- 102000038379 digestive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0
- 108091007734 digestive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183 duode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01000009036 biliary tract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0790 biliary tract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6010004593 Bile duct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6900 bile duct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6990 cholangio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232 gallbladde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73 artificial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39 di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96 gastr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77 pancreatic duc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819 pancreatic jui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62 prolif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70 sphinct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rosthe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관(담도) 내강에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인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의 삽관기에 관한 것으로,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를 인체의 소화관에 시술하는 경우 역류방지단속부가 얇은 유연한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어 압박하여 밀어내 삽입함으로써 역류방지단속부의 내강이 충분히 확보되지 아니하고, 오히려 삽관기로 밀어냄으로써 구겨져 담도스텐트가 막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의 시술을 위한 삽관기에 관한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역류방지단속부를 비록 밀어내 구겨지지 않도록 시술할지라도 인체 내에서의 혈류나 방사형의 수축 압력으로 인하여 시술시 그 내경이 확보될 수 없는데, 별도의 푸싱보조스텐트를 삽관기의 삽입푸싱부재 말단에 마련하여 시술할 때 역류방지단속부의 내경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삽관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인체의 소화관 내강에 삽입되어 내강을 확대시킨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소화관으로 음식물 등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담도스텐트를 삽입시키는 삽관기에 있어서, 외경과 내경이 각각 일정한 크기 이하로 형성되고, 담도스텐트의 직경이 일정한 크기로 축소하면서 삽입되며,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굽혀지면서 인체의 내강에 삽입될 수 있는 원통형상의 긴 관으로 형성된 삽입외관; 상기 삽입외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삽입외관에 직경이 축소되어 삽입된 담도스텐트를 삽입외관의 일단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하여 인체의 담도에 시술하는 삽입푸싱부재; 및 상기 삽입푸싱부재 말단에 연결되어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의 역류방지단속부가 내강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시술하는 푸싱보조스텐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의 삽관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ubator of a backflow prevention biliary stent which is a device for inserting a backflow preventing biliary stent into a lumen of the digestive tract (biliary duct), and when the backflow preventing biliary stenting is performed to the digestive tract of a human body, a thin flexible film with a backflow prevention intermittent portion Since the lumen of the backflow prevention intermittent part is not secured enough by being pushed and inserted into the insulator, rather than being pushed by an intubator, the biliary stent may be blocked because it may cause a problem. It is about.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operation to prevent the backflow prevention intermittent to be wrinkled, but the internal diameter can not be secured during the procedure due to blood pressure or radial contraction pressure in the human body, a separate pushing auxiliary stent of the intubator Provided at the end of the insertion pushing member to provide an intubator so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backflow prevention intermittent portion can be sufficiently secured during the procedur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lumen of the digestive tract of the human body to maintain the state of expanding the lumen and at the same time inserting a biliary stent to prevent the flow of food back into the digestive tract, the outer diameter and the inner diameter are each less than a certain size Is formed, inserted into the diameter of the biliary stent is reduced to a certain size, the insertion tube formed of a long cylindrical tub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lumen of the human body while being bent to extend to a certain length; An insert-pushing member which is movab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envelope and pushes the inserted biliary stenter with a diameter reduced to the insertion envelope to one end of the insertion envelope to be applied to the biliary tract of the human body; And a pushing auxiliary stent connected to an end of the insertion pushing member to be operated so as to secure a lumen of the backflow prevention intermittent portion of the anti-flow biliary stent for preventing the flow of the reverse flow prevention biliary st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화관(담도) 내강에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인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의 삽관기에 관한 것으로,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를 인체의 소화관에 시술하는 경우 역류방지단속부가 얇은 유연한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어 압박하여 밀어내 삽입함으로써 역류방지단속부의 내강이 충분히 확보되지 아니하고, 오히려 삽관기로 밀어냄으로써 구겨져 담도스텐트가 막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의 시술을 위한 삽관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ubator of a backflow prevention biliary stent which is a device for inserting a backflow preventing biliary stent into a lumen of the digestive tract (biliary duct), and when the backflow preventing biliary stenting is performed to the digestive tract of a human body, a thin flexible film with a backflow prevention intermittent portion Since the lumen of the backflow prevention intermittent part is not secured enough by being pushed and inserted into the insulator, rather than being pushed by an intubator, the biliary stent may be blocked because it may cause a problem. It is about.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역류방지단속부를 비록 밀어내 구겨지지 않도록 시술할지라도 인체 내에서의 혈류나 방사형의 수축 압력으로 인하여 시술시 그 내경이 확보될 수 없는데, 별도의 푸싱보조스텐트를 삽관기의 삽입푸싱부재 말단에 마련하여 시술할 때 역류방지단속부의 내경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삽관기를 제공한다.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operation to prevent the backflow prevention intermittent to be wrinkled, but the internal diameter can not be secured during the procedure due to blood pressure or radial contraction pressure in the human body, a separate pushing auxiliary stent of the intubator Provided at the end of the insertion pushing member to provide an intubator so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backflow prevention intermittent portion can be sufficiently secured during the procedure.
일반적으로 스텐트는 인체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질병에 의해 인체 내에 있는 내강이 좁아져서 그 고유의 기능을 저하시키거나 혈관이 좁아져서 혈액의 순환이 불량한 경우 등의 질환이 발생한 경우에 그 내강 또는 혈관의 내부에 시술하여 내강을 확장시키거나 혈관을 확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의료용 기구이다.
In general, the stent has a narrowing of the lumen in the human body due to various diseases occurring in the human body to decrease its intrinsic function, or when the blood vessel is narrowed and the circulation of the blood is poor, such as when the disease of the lumen or blood vessels It is a medical device used to expand the lumen or expand blood vessels by internal treatment.
이에 통상적으로 담도 스텐트는 담즙인 쓸개즙이 분비될 수 있도록 형성된 총담관 내지 이자관 등의 소화관에 담도암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소화관을 대체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The bile duct stent is typically provided to replace the digestive tract when bile duct cancer occur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such as bile duct or interest tube formed to secrete bile which is bile.
또한, 담도 스텐트의 목적이 주로 수술이 불가능한 간내 담도암에 적용하여 담도의 내강을 확보하는 역할을 하여 간에서 발생한 담즙의 자연스런 십이지장으로의 배액을 유도하는 것인데, 일반 담도 스텐트는 스텐트의 메쉬 사이로 담도암의 조직이 자라 들어와 재폐쇄가 발생하므로, 이러한 재폐쇄를 억제하기 위해 커버부위를 가지는 스텐트(covered stent)로 사용되어 진다.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bile stenting is to secure the lumen of the biliary tract by applying it to intrahepatic biliary tract cancer, which is inoperable, to induce drainage of bile from the liver into the natural duodenum, which is the common biliary stent between the meshes of the stent. As cancer tissue grows and reclosure occurs, it is used as a covered stent to suppress such reclosure.
즉, 담도 스텐트는 상기 담도암의 종양이 소화관에 침투되거나 확장되어 소화관을 막음으로써 소화 효소가 십이지장으로 배출되는 것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biliary stent is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digestive enzymes into the duodenum by preventing tumors of the biliary tract from penetrating or expanding the digestive tract and blocking the digestive tract.
이에 당해 담도에 종양이 발생되어 담도암의 질병을 갖게 되는 경우, 담도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므로 별도의 내강 확장용 스텐트를 삽입해야 하고 이렇게 시술된 내강 확장용 스텐트에는 별도의 역류방지수단이 구비되지 아니한 관계로 십이지장을 통과하는 소화된 음식물의 액체가 역류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Therefore, if a tumor develops in the biliary tract and has a disease of biliary tract cancer, the function of the biliary tract will be lost. Therefore, a separate lumen dilation stent should be inserted. In other words, the problem of reflux of the digested food liquid that passes through the duodenum has arisen.
이렇게 역류된 음식물이 담도에 삽입된 스텐트의 입구에 밀집하거나 막히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고, 이렇게 막힌 담도 스텐트는 제기능을 달성하지 못하고 소화효소의 원활한 분비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The refluxed food may be clogged or clogged at the entrance of the stent inserted into the biliary tract, and this blocked biliary stent may not be able to achieve function and may cause serious problems in the smooth secretion of digestive enzymes.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0354821호에 게시된 인조혈관 스텐트의 삽입장치에서 볼 수 있듯이, 통상적인 스텐트는 그 말단에 역류방지단속부를 포함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그 말단에 형성된 제2스텐트부재를 압박하여 밀어내어 시술하면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354821 참조.)
Accordingly, as can be seen in the insertion device of the artificial blood vessel stent disclosed in the registered patent application No. 10-0354821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since the conventional stent does not include a backflow prevention intermittent at its end, The second stent member formed on the substrate was pressed and pushed out. (See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354821.)
이에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상의 스텐트 삽관장치(I)는 충분히 길게 형성된 삽입외관(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중공에 제1삽입푸싱부재(2)가 삽입된다. 이렇게 삽입된 제1삽입푸싱부재의 중공에는 또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2삽입푸싱부재(3)가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 the first stent intubation device I is inserted into the hollow so that the first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스텐트 삽관장치(I)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담도스텐트(S)에서 형상인식 와이어(w)로 직조된 스텐트 말단의 노출된 스텐트를 직경을 축소시켜 제1삽입푸싱부재(2) 내부에 관입시키고 그 다음 커버부재(C)에 의해 덮힌 스텐트 부위는 삽입외관(1)에 직경을 축소시켜 관입시키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stent intubation device I is configured to reduce the diameter of the exposed stent at the end of the stent woven with the shape recognition wire w in the conventional bile duct stent S as shown in FIG. (2) The stent portion penetrated inside and then covered by the cover member (C) is introduced into the insertion envelope (1) by reducing the diameter.
이렇게 이루어진 상태에서 담도스텐트를 시술하고자 하는 소화관 입구에 당해 삽관장치(I)의 말단을 위치시킨 후 제1삽입푸싱부재(2)를 충분히 밀어넣은 후, 다음 제2삽입푸싱부재(3)를 삽입외관(1)으로부터 완전히 노출되도록 밀어넣게 된다. 이로써 상기 노출된 스텐트 부위는 길이방향으로 밀어지기 때문에 충분히 힘을 받게 되고 밀리면서 소화관인 담도에 시술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is state, the end of the intubation device I is positioned at the inlet of the digestive tract to which the biliary stenting is to be performed, and the first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삽관장치는 역류방지단속부를 포함하는 담도스텐트를 삽관할 때 그 말단에 형성된 유연하고 부드러운 얇은 필름인 역류방지단속부를 함께 밀어서 구겨지게 삽관하게 된다. However, the intub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pushes the cleft to be crimped together by pushing the backflow prevention intermittent, which is a flexible and soft thin film formed at its end, when the biliary stent including the backflow prevention intermittent is inserted.
이에 결국 시술한 후에는 역류방지단속부의 제기능을 전혀 수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담도스텐트 말단을 당해 역류방지단속부에 의해 막히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소화효소의 분비를 방해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As a result, after performing the procedure, not only the function of the reverse flow prevention section can be performed at all, but rather, the end of the biliary stent is blocked by the reverse flow prevention section, thus preventing the secretion of digestive enzymes. .
이에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시술을 위한 삽관기는 별도로 역류방지단속부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시술해야 하므로 종래의 삽관기로는 이를 달성할 수 없게 되었다.
In this case, the intubation device for the prevention of reflux biliary stent has to be performed separately to sufficiently perform the role of the non-retroversion prevention part, and thus it cannot be achieved by the conventional intubator.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를 시술하는 경우 역류방지단속부가 막히거나 내경이 확보되지 못하여 오히려 담도스텐트로써의 기능인 소화효소 분비 기능을 저하시키고, 역류방지의 제기능을 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역류방지단속부의 내경을 확보하면서 시술할 수 있도록 하는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erforming a reflux prevention biliary stent is a digestive enzyme secretion functioning as a biliary stent, rather than prevented the backflow prevention blockage or internal diameter is not secured It is to provide a backflow prevention biliary stent intubator that can be performed while lowering the function, and can not perform the reverse flow prevention function while ensur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backflow prevention intermittent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형상인식 와이어로 직조되고, 일단은 삽입푸싱부재의 말단에 내경이 작아지도록 결합되면서 그물형상의 쐐기형 구조체인 푸싱보조스텐트를 구비하여 담도스텐트의 역류방지단속부 내부에 관입된 상태에서 직경이 축소되면서 상기 삽입외관에 내입되도록 함으로써 스텐트의 시술시 역류방지단속부 내경이 충분히 확장될 수 있도록 하는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ven with a shape-recognition wire, one end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insertion pushing member to be provided with a pushing auxiliary stent which is a wedge-shaped structure of the wedge-shaped structure inside the backflow prevention intermittent part of the biliary duct It is to provide a backflow prevention biliary stent intubator to allow the inner diameter of the backflow prevention intermittent portion to be sufficiently expand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stent by reducing the diameter in the infiltrated state.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될 것이며,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mplemented by the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체의 소화관 내강에 삽입되어 내강을 확대시킨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소화관으로 음식물 등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담도스텐트를 삽입시키는 삽관기에 있어서, 외경과 내경이 각각 설정된 크기로 형성되고, 직경이 축소된 담도스텐트가 삽입되며, 설정된 길이로 연장되어 굽혀지면서 인체의 내강에 삽입될 수 있는 원통형상의 긴 관으로 형성된 삽입외관; 상기 삽입외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삽입외관에 직경이 축소되어 삽입된 담도스텐트를 삽입외관의 일단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하여 인체의 담도에 시술하는 삽입푸싱부재; 및 상기 삽입푸싱부재 말단에 연결되어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의 역류방지단속부가 내강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시술하는 푸싱보조스텐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tubator for inserting the biliary stent to prevent the flow of food back to the digestive tract while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lumen is enlarged and inserted into the digestive tract lumen of the human body, the outer diameter and the inner diameter are respectively set An insertion tube formed of a cylindrical tube having a size, and having a diameter reduced in diameter, into which the biliary stent is inserted and extending in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being bent into the lumen of the human body; An insert-pushing member which is movab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envelope and pushes the inserted biliary stenter with a diameter reduced to the insertion envelope to one end of the insertion envelope to be applied to the biliary tract of the human body; And a pushing auxiliary stent connected to the end of the insertion pushing member to be operated to secure the lumen of the backflow prevention intermittent portion of the bile duct for preventing backflow.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푸싱보조스텐트는, 형상인식 와이어로 직조되고, 일단은 삽입푸싱부재의 말단에 내경이 작아지도록 결합되면서 그물형상의 쐐기형 구조체를 이루고, 담도스텐트의 역류방지단속부 내부에 관입된 상태에서 직경이 축소되면서 상기 삽입외관에 내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shing auxiliary stent is woven with a shape recognition wire, one end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insertion pushing member to form a small wedge-shaped structure, preventing the backflow of the biliary st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mbedded in the insertion appearance while the diameter is reduced in the state inserted in the intermittent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푸싱부재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절곡가능한 관형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푸싱부재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담도스텐트를 시술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부재인 카테터;를 포함하고, 상기 카테터의 말단에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담도스텐트가 내입 시술될 수 있도록 내강을 확보하는 유도용팁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pushing member is formed of a bendable tubular member having a hollow formed therein, and is inserted to be movable in the insertion pushing member to guide the bile duct stent. And a catheter that is a member, and the tip of the catheter has a streamlined shape, and an induction tip part for securing a lumen so that the biliary stenting can be implan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푸싱보조스텐트는,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의 역류방지단속부에 관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외관 외부로 유출된 후 상기 역류방지단속부의 내경을 확보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shing auxiliary sten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exterior in the state of being intruded into the backflow prevention intermittent portion of the anti-backflow biliary stent is separated from the state to secure the inner diameter of the backflow prevention intermittent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및 후술할 구성과 결합, 작동관계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nd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to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은,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를 시술하는 경우 역류방지단속부가 막히거나 내경이 확보되지 못하여 오히려 담도스텐트로써의 기능인 소화효소 분비 기능을 저하시키고, 역류방지의 제기능을 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역류방지단속부의 내경을 확보하면서 시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hen performing the reflux prevention biliary stent prevents the reverse flow prevention blockage or internal diameter is not secured rather lower the digestive enzyme secretion function as a function of the biliary stenting, prevents the reverse flow prevents the reverse flow prevention func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allowing the procedure to be performed while secur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intermittent portion.
본 발명은 또한, 형상인식 와이어로 직조되고, 일단은 삽입푸싱부재의 말단에 내경이 작아지도록 결합되는 그물형상의 쐐기형 구조체인 푸싱보조스텐트를 구비하여 담도스텐트의 역류방지단속부 내부에 관입된 상태에서 직경이 축소되면서 상기 삽입외관에 내입되도록 하여 매우 간단한 구조로 담도스텐트를 삽입하는 시술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woven with a shape-recognition wire,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backflow prevention intermittent portion of the biliary stent having a pushing auxiliary stent, which is a wedge-shaped structure of a net-shaped structure coupled to the end of the insertion pushing member so as to reduce the inner diameter As the diameter is reduced in the state, i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appearance, and thus, an effect of effectively inserting the bile duct stent into a very simple structure can be effectively achieved.
본 발명은 또한, 인체의 소화관인 담도에 상기 스텐트를 밀어넣어 시술할 때, 푸싱보조스텐트가 역류방지단속부에 관입된 상태에서 시술된 후 역류방지단속부의 외경이 확보되도록 푸싱보조스텐트가 이탈함으로써 스텐트의 시술시 역류방지단속부 내경이 충분히 확장될 수 있도록 하여 역류방지 기능 및 담도의 소화효소 분비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when pushing the stent into the biliary tract, which is the digestive tract of the human body, the pushing auxiliary stent is remov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non-return prevention step is secured after the pushing auxiliary stent is inserted in the non-return prevention step. The internal diameter of the backflow prevention section can be sufficiently expand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stent,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backflow function and the function of digestive enzyme secretion of the biliary tract can be faithfully perform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텐트 삽관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에 스텐트를 삽입시키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에 스텐트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에서 담도스텐트를 밀어내어 인체의 소화관에 시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에서 담도스텐트를 밀어낸 후 역류방지단속부의 내경을 확장 유지되도록 시술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1 shows a stent intub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backflow prevention biliary stent intub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step of inserting the stent to the backflow prevention biliary stent intub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ent is inserted into the backflow prevention biliary stent intub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procedure for pushing the biliary stenting in the digestive tract of the human body in the backflow prevention biliary stenting intub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step of the procedure to maintain the internal diameter of the backflow prevention intermittent after pushing the biliary stenting in the backflow prevention biliary stent intub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의 삽관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intubator of the anti-return bile duct s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wa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본 발명에서 삽관하고자 하는 대상인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이하 "담도스텐트"라고 칭하기도 함)는 출원번호 제10-2010-0044845호 "역류방지단속부를 포함한 내강 확장용 담도스텐트"를 참고할 수 있는 것으로써,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먼저 설명하고자 한다.
As a subject to be intub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backflow preventing biliary stent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biliary stent") may refer to Application No. 10-2010-0044845, "Lumoral expansion biliary stent including a backflow prevention intermittent".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first.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10)를 살펴보면, 먼저 본 발명의 담도스텐트(1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화관에 담도암이 발생된 경우 담즙 등의 소화액이 분비되지 못하게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텐트(100) 및 커버부재(200)를 포함하고, 십이지장에 음식물이 통과하는 경우 대십이지장유두를 통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역류방지단속부(300)를 포함한다.
Looking backflow prevention
이에 상기 스텐트(stent, 100)는, 형상인식 직물로 직조 구성된 원통형상의 인조 스텐트로써 우선 소화관 내에 삽입되는 경우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삽입 시술되고, 소화관 내강에 삽입된 후에는 다시 자체적으로 원래의 직경을 가지면서 소화관의 내강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탄성 복원력을 가진다. 이렇게 삽입되어 시술된 스텐트(100)가 내강을 충분히 확보하게 되면 쓸개에 보관된 쓸개즙(담즙)과 이자에 보관된 이자액(췌액)이 총담관(총쓸개즙관) 및 이자관(췌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분비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그런데, 이와 같은 소화효소의 분비과정은 내강이 충분히 확보되는 담도스텐트(10)를 통해서는 소화액이 분비만을 원활하게 할 뿐 십이지장에 위에서 소화된 음식물 등의 액체가 통과하는 경우에 대십이지장유두가 폐쇄되지 않기 때문에 상측으로 역류되어 유입될 수 있고, 이렇게 유입됨으로써 막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By the way, the secretion process of the digestive enzymes through the biliary stent (10), the lumen is sufficiently secured, the digestive fluids to facilitate the secretion of the duodenal papilla is closed only when the liquid such as digested foods in the stomach. Since it can not flow back to the upper side, it can cause clogging problems by this flow.
상기 소화관에 담도암 등의 종양이 발생되어 담도스텐트(10)가 시술된 경우 대십이지장유두의 괄약근이 당연히 제거되기 때문에 개폐를 단속할 수 있는 작용 및 기능을 다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형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대십이지장유두의 개폐를 단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별도의 역류방지단속부(300)를 마련하여 그 기능 및 작용을 다할 수 있게 된다.
When a tumor such as biliary tract cancer is generated in the digestive tract and the
상기 커버부재(covered portion, 200)는, 외부의 종양이나 이물질이 스텐트 내부에 유입되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재질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부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또한 내강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외주의 방사형 압력(Radial force)으로부터 충실히 견딜 수 있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실리콘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강도, 내열성(열에 강함)이 뛰어난 특수강화 불소수지가 주성분인 튜브형 e-PTFE(e-polytetrafluoroethylene) 소재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The covered
이러한 상기 커버부재(200)는, 통상적으로 상기 스텐트의 외주를 씌움으로써 외부로부터 밀폐되도록 형성되는 유연한 필름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는 반대로 스텐트 내부에 내입되어 삽입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상기 역류방지단속부(30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담도스텐트(10)의 말단에 일체로 동일한 부재로써 연결되어 형성되는데, 십이지장에 소화된 음식물 등의 유체가 통과하는 경우 흐름방향으로 접혀져서 대십이지장유두를 폐쇄함으로써 소화관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연한 필름형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ackflow prevention
이렇게 유연한 필름으로 형성됨으로써 유체 상태의 소화된 음식물이 십이지장을 통과하는 경우 흐름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게 되고 이렇게 접혀짐으로써 소화된 음식물이 상측의 소화관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By forming the flexible film in this way can be folded in the flow direction when the digested food in the fluid state to pass through the duodenum and the folded to prevent the reflux of the digested food to the upper digestive tract.
이하에서는 역류방지단속부가 포함된 담도스텐트(10)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소화효소가 분비되는 경우 십이지장 내에 음식물의 통과가 없을 때는 소화효소인 담즙(쓸개즙) 및 이자액(췌액)이 원활하게 분비될 수 있도록 역류방지단속부(300)가 개방된다. Hereinafter, looking at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이렇게 내부의 형상인식 와이어로 직조된 원통형의 스텐트(100)에 의해 충분히 확보된 내강을 통해 소화효소가 대십이지장유두 부분까지 용이하게 이동되고, 개방된 역류방지단속부(300)를 통해 십이지장에 소화효소가 분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텐트(100)의 외주를 감싸는 커버부재(200)에 의해 주변의 종양이 증식되어 담도에 침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Digestive enzyme is easily moved to the duodenal papilla part through the lumen secured sufficiently by the
다음 위(胃)에서 충분히 소화된 음식물 등의 액체가 십이지장을 통과하는 경우 그 흐름에 의해 연한 재질의 박막 필름으로 형성된 역류방지단속부(300)는 흐름 방향에 따라 십이지장의 상측벽에 쏠리면서 압박되게 되고, 이로써 역류방지단속부(300)는 폐쇄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소화관 내에로 음식물의 흐름이 역류되어 내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Next, if the liquid, such as fully digested food in the stomach passes through the duodenum, the backflow prevention
이에 다시 십이지장 내에 음식물의 흐름이 끊기게 되면 상기 역류방지단속부(300)는 다시 개방되는 상태로 복원된다. 이는 당해 재질이 e-PTPE 로 형성된 확장형 밸브의 기능을 함으로써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flow of food in the duodenum again stops,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20)의 구성 및 작동관계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2 to 6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backflow prevention bile
먼저 본 발명의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20)는 인체의 소화관 내강에 삽입되어 내강을 확대시킨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소화관으로 음식물 등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담도스텐트를 삽입시키는 기능을 하는데, 외경과 내경이 각각 일정한 크기 이하로 형성되고, 담도스텐트의 직경이 일정한 크기로 축소하면서 삽입되며,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굽혀지면서 인체의 내강에 삽입될 수 있는 원통형상의 긴 관으로 형성된 삽입외관(21); 상기 삽입외관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삽입외관에 직경이 축소되어 삽입된 담도스텐트를 삽입외관의 일단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하여 인체의 담도에 시술하는 삽입푸싱부재(23); 및 상기 삽입푸싱부재 말단에 연결되어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의 역류방지단속부가 내강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시술하는 푸싱보조스텐트(25);를 포함한다.
First, the bile
상기 삽입외관(21)은, 도 2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삽입되는 위치의 소화관인 담도의 길이 이상으로 길게 형성되는 절곡될 수 있는 관형 부재로 이루어진다. The
이에 상기 삽입외관(21)은 외경과 내경이 각각 일정한 크기 이하로 형성되고, 담도스텐트의 직경이 일정한 크기로 축소하면서 삽입되며,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굽혀지면서 인체의 내강에 삽입될 수 있는 원통형상의 긴 관으로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상기 삽입외관(21)은 인체의 소화관 부위에 삽입되는 부위이므로 그 외경은 소화관의 직경 이하 정도로 형성하며, 내부 중공에는 삽입푸싱부재(23)가 내입되므로 그 내경은 삽입푸싱부재(23)의 외경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상기 삽입푸싱부재(23)는, 도 2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외관(21)의 내부 중공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관입되는 긴 부재인데,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외경이 상기 삽입외관(2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삽입푸싱부재(23)는 상기 삽입외관에 직경이 축소되어 삽입된 담도스텐트(10)를 삽입외관의 일단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하여 인체의 담도에 스텐트를 시술할 수 있도록 한다.The
또한, 이와는 별도로 상기 삽입푸싱부재(23)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의 중공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하기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카테터(27)가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당해 카테터가 용이하게 삽입되고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그 내경을 카테터의 외경보다 크게 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hol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상기 푸싱보조스텐트(25)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형상인식 와이어로 직조된 그물형상의 쐐기형 구조체를 이루는데, 일단은 삽입푸싱부재(23)의 말단에 내경이 작아지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원형의 개방된 면을 가지며, 담도스텐트의 역류방지단속부(300) 내부에 관입된 상태에서 직경이 축소되면서 상기 삽입외관(21)에 내입된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pushing
이에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푸싱보조스텐트(25)는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10)의 역류방지단속부(300)에 관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외관(21) 외부로 유출된 후 상기 역류방지단속부(300)의 내경을 확보한 상태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시술됨으로써 역류방지단속부(300)에 의한 스텐트 막힘이 발생되지 않고, 역류방지 단속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4 to 6, the pushin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푸싱부재(23)는 상기 삽입푸싱부재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절곡가능한 관형 부재로 형성되며, 추가적으로 상기 삽입푸싱부재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담도스텐트를 시술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부재인 카테터(27);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러한 상기 카테터(27)는, 통상적으로 상기 삽입외관(21) 및 삽입푸싱부재(23)의 절곡에 따라 함께 절곡될 수 있으나, 길이방향의 수축력에는 강하도록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라 담도스텐트(10)를 삽입하는 시술을 할 때, 상기 카테터(27)로 삽입될 내강을 확보하여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카테터(27)의 말단에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담도스텐트가 내입 시술될 수 있도록 내강을 확보하는 유도용팁부(27a);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3 to 6, the end of the
이는 통상적으로 상기 카테터(27)를 담도 등의 소화관에 삽입하는 경우 유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그 내강을 보다 원활히 확보할 수 있고, 주변의 조직에도 손상을 주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when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20)를 이용하여 담도스텐트(10)를 인체의 소화관(담도 등)에 시술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Hereinafter, the procedure for treating the
먼저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삽관기(20)를 통해 시술하기 전에 인체의 담도에 삽입될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10)를 삽입외관(21)에 관입시키게 된다. 이에 동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담도스텐트(10)의 스텐트(100) 중 앞부분 말단의 노출스텐트(110)를 직경을 축소시켜 삽입외관(21) 입구에 관입시키게 되고, 지속적으로 밀어내면서 커버된 스텐트(120)도 관경을 축소시키면서 관입시키게 된다.First, referring to FIG. 3, before the procedure through the
이렇게 상기 담도스텐트(10)를 축소시켜 삽입외관(21)에 관입시키면서, 뒷부분 말단의 역류방지단속부(300)에는 별도의 스텐트(100)가 존재하지 아니하므로 당해 역류방지단속부(300)의 내부에 본 발명의 삽관기(20)의 푸싱보조스텐트(25)를 관입시켜 연결한다. 그대로 관입될 경우 상기 역류방지단속부(300)는 연한 재질의 필름이므로 쉽게 관입될 수 있지만, 최종적으로 시술되면서 인체 내부의 방사방향의 압력으로 인하여 막히게 되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while reducing the
따라서, 상기 역류방지단속부(300)의 내강에 푸싱보조스텐트(25)를 관입시키면서 상기 커버된 스텐트(120)의 끝단과 부딪히도록 위치시키면서, 축소 내입시키는 것이다.
Therefore, while infiltrating the pushing
다음 도 4를 살펴보면, 상기 도 3의 단계에서 지속적으로 상기 푸싱보조스텐트(25)가 연결된 삽입푸싱부재(23)를 삽입외관(21) 내부로 화살표 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에 상기 푸싱보조스텐트(25)의 끝단은 담도스텐트의 커버된 스텐트(120)의 끝단과 맞닿아 길이방향으로 밀게 되면, 하중이 전달되어 길이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이와 같이 일단 삽입외관(21)에 축소 관입된 담도스텐트(10)를 지속적으로 밀어내어 담도스텐트(10)의 노출된 스텐트(110) 부위가 상기 삽입외관(21)의 끝단까지 위치하도록 한다. Next, referring to FIG. 4, in the step of FIG. 3, the pushing
이와는 별도로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테터(27)는 상기 삽입외관(21) 및 삽입푸싱부재(23)의 중공에 일체로 길게 삽입되도록 한다.
Separately,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이와 같이 준비된 상태에서 담도스텐트(10)를 시술하고자 하는 부위에 그 끝단을 위치시키고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카테터(27)를 밀게 되는데, 이는 유선형 유도용팁(27a)이 삽입될 소화관(담도)의 내강을 유도 인도하기 위해서이다. In this state, the end of the
이렇게 소화관의 내강이 유도 확보된 후 삽입푸싱부재(23)를 밀어내게 되는데, 이로써 삽입외관(21)에 축소 관입되어 있는 담도스텐트(10)의 노출스텐트(110)부터 소화관에 시술되게 됩니다. 이에 상기 노출스텐트(110)는 강성이 있는 형상인식 와이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강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소화관에 내입될 수 있게 된다.
After the lumen of the digestive tract is secured induction, the pushing
다음 마지막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푸싱부재(23)를 완전히 밀어내어 담도스텐트(10)를 소화관 내강에 충분히 시술하게 된 후, 삽입외관(21)을 빠져나온 담도스텐트(10) 및 푸싱보조스텐트(25)는 형상인식 금속의 자체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의 직경을 유지하게 되고, 이로써 상기 푸싱보조스텐트(25)의 외주에 감싸여져 있는 역류방지단속부(300)도 역시 그 직경을 충분히 유지하면서 시술되게 되는 것이다. Next, as shown in Figure 6, the
이렇게 시술이 완료된 후 본 발명의 삽관기(20)를 제거하게 되면 담도스텐트(10)의 역류방지단속부(300)가 그 기능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시술되며, 더 나아가 막히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소화효소 분비에도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When the
앞서 살펴본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just a preferred embodiment to enable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carry out the backflow prevention bile duct stent intub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is reason it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obvious that those parts easily changea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주요 설명 *
I : 종래 스텐트삽관장치 1 : 삽입외관
2 : 제1삽입푸싱부재 3 : 제2삽입푸싱부재
S : 종래 담도스텐트 w : 형상인식 와이어
C : 커버부재
20 : 담도스텐트 삽관기 21 : 삽입외관
23 : 삽입푸싱부재 25 : 푸싱보조스텐트
27 : 카테터 27a : 유선형 유도용팁부
10 : 담도스텐트
100 : 스텐트 110 : 노출스텐트
120 : 커버된 스텐트 200 : 커버부재
300 : 역류방지단속부Major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I: Conventional Stent Insertion Device 1: Insertion Appearance
2: first insertion pusher 3: second insertion pusher
S: Conventional biliary stent w: Shape recognition wire
C: Cover member
20: biliary stent intubator 21: insertion appearance
23: insert pushing member 25: pushing auxiliary stent
27:
10: biliary stent
100: stent 110: exposure stent
120: covered stent 200: cover member
300: backflow prevention intermittent
Claims (5)
외경과 내경이 각각 설정된 크기로 형성되고, 직경이 축소된 담도스텐트(10)가 삽입되며, 설정된 길이로 연장되어 굽혀지면서 인체의 내강에 삽입될 수 있는 원통형상의 긴 관으로 형성된 삽입외관(21);
상기 삽입외관(21)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삽입외관(21)에 직경이 축소되어 삽입된 담도스텐트(10)를 삽입외관(21)의 일단 외측으로 밀어내도록 하여 인체의 담도에 시술하는 삽입푸싱부재(23); 및
상기 삽입푸싱부재(23) 말단에 연결되어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10)의 역류방지단속부가 내강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시술하는 푸싱보조스텐트(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의 삽관기.In the intubator to insert the biliary stent 10 to prevent the back flow of food into the digestive tract while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lumen is enlarged is inserted into the lumen of the digestive tract of the human body,
The outer diameter and the inner diameter are each formed in a set size, the diameter of the biliary stent 10 is reduced, the insertion is formed of an elongated cylindrical tub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lumen of the human body while being bent to extend the set length (21) ;
The biliary stent 1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insertion tube 21 so as to be movable and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tube 21 is reduced so that the bile duct stent 10 is pushed outwardly to one end of the insertion tube 21. Insertion pushing member 23; And
The pushing auxiliary member 23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anti-reflux bile stenting stent 10, the pushing auxiliary stent 25 to ensure the lumen to secure the lumen; Intubator.
상기 푸싱보조스텐트(25)는,
형상인식 와이어로 직조된 그물형상의 쐐기형 구조체를 이루는데, 일단은 삽입푸싱부재(23)의 말단에 내경이 작아지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원형의 개방된 면을 가지며,
담도스텐트(10)의 역류방지단속부 내부에 관입된 상태에서 직경이 축소되면서 상기 삽입외관(21)에 내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의 삽관기.The method of claim 1,
The pushing auxiliary stent 25,
It forms a wedge-shaped structure of a net woven with a shape recognition wire, one end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insertion pushing member 23 so that the inner diameter is small, the other end has a circular open surface,
Intubator of the biliary stenting for preventing backf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is reduced in the state inserted in the backflow prevention intermittent portion of the biliary duct 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envelope (21).
상기 삽입푸싱부재(23)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절곡가능한 관형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푸싱부재(23)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담도스텐트(10)를 시술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부재인 카테터(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The method of claim 2,
The insertion pushing member 23 is formed of a bendable tubular member having a hollow formed therein,
And a catheter (27) which is a guide member inserted to be movable in the insertion pushing member (23) to perform the procedure of the biliary stenting (10).
상기 카테터(27)의 말단에는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담도스텐트(10)가 내입 시술될 수 있도록 내강을 확보하는 유도용팁부(27a);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atheter 27, the end of the catheter is made of a streamlined biliary stent 10, the guide tip portion (27a) for securing the lumen so that the procedure can be inserted into the intestinal preventive biliary stent further comprises a.
상기 푸싱보조스텐트(25)는,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10)의 역류방지단속부에 관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외관(21) 외부로 유출된 후 상기 역류방지단속부의 내경을 확보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담도스텐트 삽관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pushing auxiliary stent 25,
Backflow prevention biliary stent intub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low to the backflow prevention intermittent portion of the anti-return prevention biliary stent 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envelope 21 and then separated in a state of secur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backflow prevention intermittent portion. group.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5466A KR101179693B1 (en) | 2010-05-14 | 2010-05-14 | An Apparatus for Intruding Anti-regurgitative Madical Biliary Stent into the alimentary ca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5466A KR101179693B1 (en) | 2010-05-14 | 2010-05-14 | An Apparatus for Intruding Anti-regurgitative Madical Biliary Stent into the alimentary ca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5854A KR20110125854A (en) | 2011-11-22 |
KR101179693B1 true KR101179693B1 (en) | 2012-09-04 |
Family
ID=45395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5466A KR101179693B1 (en) | 2010-05-14 | 2010-05-14 | An Apparatus for Intruding Anti-regurgitative Madical Biliary Stent into the alimentary ca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7969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557330B (en) * | 2024-07-23 | 2025-02-28 | 诺宜思医疗科技(北京)有限公司 | Biliary absorbable sten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4626B1 (en) | 2001-07-31 | 2009-11-02 | 윌슨-쿡 메디컬 인크. | Prosthesis with sleeve valve |
-
2010
- 2010-05-14 KR KR1020100045466A patent/KR10117969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4626B1 (en) | 2001-07-31 | 2009-11-02 | 윌슨-쿡 메디컬 인크. | Prosthesis with sleeve valv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5854A (en) | 2011-11-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357610B2 (en) | Aortic implant | |
JP6863833B2 (en) | Medical device for use with a stoma | |
KR100924626B1 (en) | Prosthesis with sleeve valve | |
US8226706B2 (en) | Stent graft with integral side arm | |
EP2491892B1 (en) | Stent graft with valve arrangement and introducer assembly therefor | |
US8167930B2 (en) | Stent graft for treatment of emergency rupture of a vessel | |
EP1389073B1 (en) | Draining bodily fluids with a stent | |
US20060253190A1 (en) | Removeable stents | |
KR20120008492A (en) | Modular camouflage prosthesis | |
JP2019522556A (en) | Anastomosis drainage stent | |
WO2004110311A1 (en) | Suction stent | |
CN201200504Y (en) | Anti-reflux bile duct metal stent with valve | |
US20220071759A1 (en) | Stent designs to cover catheter access site | |
EP2575632A1 (en) | Catheter apparatus | |
KR100942036B1 (en) | Stent | |
KR101179692B1 (en) | A Madical Klaskin Stent for enlargement of inner hole which prevents the regurgitation | |
CN104095696A (en) | Intraesophageal stent used for esophageal rupture and stomal leak plugging | |
KR101179693B1 (en) | An Apparatus for Intruding Anti-regurgitative Madical Biliary Stent into the alimentary canal | |
CN204734578U (en) | Anti biliary tract support that backflows | |
WO2016094727A2 (en) | Fistula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 |
KR102625992B1 (en) | Gastrointestinal Stent | |
CN114080202A (en) | Stent and method for managing passage of material through a body lumen | |
CN208492392U (en) | A kind of biliary tract rack of the built-in anti-valve that backflows | |
Fujisawa et al. | Development of Biliary Self-Expandable | |
US20190262158A1 (en) | Gastric bypass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8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8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