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78912B1 -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912B1
KR101178912B1 KR1020100051728A KR20100051728A KR101178912B1 KR 101178912 B1 KR101178912 B1 KR 101178912B1 KR 1020100051728 A KR1020100051728 A KR 1020100051728A KR 20100051728 A KR20100051728 A KR 20100051728A KR 101178912 B1 KR101178912 B1 KR 101178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power
pixel
power lines
power supply
lin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1973A (ko
Inventor
김형수
안순성
김도익
김금남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1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912B1/ko
Priority to US12/975,285 priority patent/US8575628B2/en
Publication of KR20110131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9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4/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23Compensation for problems related to R-C delay and attenuation in electrodes of matrix panels, e.g. in gate electrodes or on-substrate video signal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전원공급원으로부터 화소 구동전압을 인가 받는 제 1화소 전원선들 및 상기 제 1화소 전원선들 사이에 각각 배열되고, 제 2전원공급원으로부터 화소 구동전압을 인가 받는 제 2화소 전원선들이 구비되며, 화상 표시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화소들은 각각 발광부가 2개로 분리되어 상기 서로 다른 화소 전원선에 연결됨으로써, 화소 전원선의 전압 강하에 의한 화상 표시부 전체의 휘도 불균일 문제를 극복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평판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평판표시장치로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및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이 있다.
상기 평판표시장치 중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으로 형광물질을 발광시키는 자발광소자로서, 구동방식에 따라 수동 매트릭스(Passive Matrix)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와 능동 매트릭스(Active Matrix)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상기 능동 매트릭스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다수의 화소를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하고, 각 화소의 내부에 박막 트랜지스터와 같은 스위치 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화소의 발광을 제어하며, 상기 화소의 선택여부에 관한 스캔 라인(Scan Line), 상기 화소의 발광을 조절하는 데이터 라인(Data Line) 및 상기 화소에 전압(또는 전류)을 공급하는 화소 전원선(VDD)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화소 전원선(VDD)은, 연결된 복수 개의 화소들에 일정한 전압을 공급한다. 상기 화소 전원선을 통해 인가되는 전압 값은, 연결된 각각의 화소들의 관점에서 보면, 일정한 동일한 값이어야 하나, 상기 화소 전원선에 발생하는 전압강하(IR Drop)에 의하여 그 목적을 달성할 수 가 없게 된다. 즉, 외부의 전원공급 소스로부터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상기 전압강하에 의하여 화소들에 공급되는 전압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는 하기된 도면을 통해 보다 명확히 설명된다.
도 1은 기존의 일반적인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성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화상을 표현하는 화상표시부(10), 데이터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구동부(20) 및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주사구동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화상표시부(10)는 발광소자와 화소회로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화소(11), 행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주사선(S1,S2,...Sn-1,Sn), 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데이터선(D1, D2,....Dm-1, Dm) 및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화소 전원선(VDD), 상기 화소 전원선(VDD)에 소정의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공급원(12)를 포함한다.
그리고, 화상표시부(10)는 주사선(S1,S2,...Sn-1,Sn)에서 전달되는 주사신호와 데이터선(D1, D2,....Dm-1, Dm)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가 상기 각 화소에 인가되며, 이에 각 화소에 구비된 화소회로는 데이터신호에 대응되는 전류를 생성하여 발광소자에 전달하여 화상을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각 화소에는 상기 화소 전원선을 통해 일정한 레벨을 갖는 양(positive)의 화소 구동전압이 인가되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소 구동전압을 인가하는 상기 전원공급원(12)에 대해 상대적으로 먼 곳에 위치하는 화소들이 존재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전원공급원(12)에 공통으로 접속되는 각 화소 전원선(VDD)의 길이에 따른 선저항의 불균일로 인하여 각 화소(11)에 공급되는 화소 구동전압의 전압강하(IR Drop)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된다.
즉, 전원공급원(12)에 인접할수록 화소 전원선(VDD)의 전압강하의 크기가 작은 반면에 전원공급원(1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화소전원선(VDD)의 전압강하의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각 화소(11)의 위치에 따른 화소 전원선(VDD)의 전압강하의 불균일로 인하여 동일한 데이터 신호에 대하여 각 화소(11)의 위치마다 전류량이 달라져 발광휘도가 불균일해지는 단점이 있으며, 이와 같은 문제는 패널이 대형화 되어감에 따라 더 큰 문제로 부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제 1전원공급원으로부터 화소 구동전압을 인가 받는 제 1화소 전원선들 및 상기 제 1화소 전원선들 사이에 각각 배열되고, 제 2전원공급원으로부터 화소 구동전압을 인가 받는 제 2화소 전원선들이 구비되며, 화상 표시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화소들은 각각 발광부가 2개로 분리되어 상기 서로 다른 화소 전원선에 연결됨으로써, 화소 전원선의 전압 강하에 의한 화상 표시부 전체의 휘도 불균일 문제를 극복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이 배열되는 화상 표시부와;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화소 구동전압을 전달하는 제 1화소 전원선들 및 제 2화소 전원선들과; 상기 제 1화소 전원선들 및 2화소 전원선들에 상기 화소 구동 전압을 각각 제공하는 제 1전원공급원 및 제 2전원공급원과; 상기 화상 표시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화소들은 각각 제 1 및 제 2발광소자 및 이와 연결되는 화소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각 화소에 구비된 제 1발광소자는 상기 제 1화소 전원선에 연결되고, 제 2발광소자는 제 2화소 전원선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 1화소 전원선 및 제 2화소 전원선들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인출되어 배열된다.
또한, 상기 제 1화소 전원선들은 화상 표시부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인출되어 배열되고, 상기 제 2화소 전원선들은 상기 화상 표시부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인출되며, 상기 제 1화소 전원선 사이에 각각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화소 전원선은 화상 표시부의 홀수번째 열 방향으로 배열되고, 제 2화소 전원선은 화상 표시부의 짝수번째 열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전원공급원에서 제공하는 화소 구동전압은 동일한 레벨의 양의 전압이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화소 전원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다수 배열되는 제 1 및 제 2보조 화소 전원선들이 추가로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보조 화소 전원선들은 상기 제 1화소 전원선과 메쉬 형태로 연결되도록 구현되고, 상기 제 2보조 화소 전원선들은 상기 제 1보조 화소 전원선들 사이에 각각 배열되어 상기 제 2화소 전원선과 메쉬 형태로 연결되도록 구현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보조 화소 전원선은 비 저항값이 낮은 금속 물질로 구현되고, 상기 제 1, 2화소 전원선과 다른 레이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보조 화소 전원선과 제 1화소 전원선의 교차지점 및 제 2보조 화소 전원선과 제 2화소 전원선의 교차지점에는 콘택홀이 형성되며, 이를 통해 1, 2보조 화소 전원선은 상기 제 1, 2화소 전원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화소 전원선으로부터 각 화소에 이르는 도달 거리를 일정하게 하여 화소 전원선의 전압 강하로 인한 화상 표시부 전체의 휘도 불균일 문제를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기존의 일반적인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성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소의 일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제 1 및 제 2화소 전원선과, 각 화소의 연결관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제 1, 2화소 전원선 및 제 1, 2보조 화소 전원선과, 각 화소의 연결관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는 화상을 표현하는 화상표시부(100), 데이터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구동부(200) 및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주사구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화상표시부(100)는 한 쌍의 발광소자 및 이와 연결되는 화소회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들(110), 행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주사선(S1,S2,...Sn-1,Sn), 열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데이터선(D1, D2,....Dm-1, Dm) 및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화소 구동전압을 전달하는 제 1 및 제 2화소 전원선(VDD1, VDD2), 상기 제 1, 2화소 전원선(VDD1, VDD2)에 상기 화소 구동전압을 제공하는 제 1, 2전원공급원(122, 124)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화소 구동전압을 각 화소에 전달하는 화소 전원선들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인출되어 배열되는 제 1화소 전원선(VDD1)들과 제 2화소 전원선(VDD2)들로 나뉘어 구성되고, 상기 화소들(110)은 한 쌍의 발광 소자를 구비하며, 각각의 발광 소자는 제 1화소 전원선(VDD1) 및 제 2화소 전원선(VDD2)에 각각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화소 전원선(VDD1)들은 화상 표시부(100)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인출되어 배열되고, 상기 제 2화소 전원선(VDD2)들은 이와 반대로 상기 화상 표시부(10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인출되고, 상기 제 1화소 전원선(VDD1) 사이에 각각 배열된다.
또한, 상기 제 1화소 전원선(VDD1)은 제 1전원공급원(122)으로부터 화소 구동전압을 인가받아 이를 화상 표시부(100)에 구비된 화소들(110)에 전달하며, 상기 제 2화소 전원선(VDD2)은 제 2전원공급원(124)으로부터 화소 구동전압을 인가받아 이를 화상 표시부(100)에 구비된 화소들(110)에 전달한다.
즉, 상기 제 1화소 전원선(VDD1)의 경우 상기 제 1전원공급원(122)에 대해 상대적으로 먼 화상 표시부(100) 하측 영역으로 갈수록 제 1화소 전원선(VDD1)의 전압강하 크기가 증가되며, 이와 반대로 제 2화소 전원선(VDD2)의 경우에는 상기 제 2전원공급원(124)에 대해 상대적으로 먼 화상 표시부(100)의 상측 영역으로 갈수록 제 2화소 전원선(VDD2)의 전압강하 크기가 증가된다.
이는 동일한 방향으로만 화소 구동전압이 상기 화소 전원선을 통해 각 화소에 인가될 경우 화소 전원선의 전압 강하의 차이에 의해 화상 표시부의 휘도 편차가 발생됨을 극복하기 위함이다.
단, 상기 제 1 및 제 2전원공급원(122, 124)에서 제공하는 화소 구동전압은 동일한 레벨의 양의 전압이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2전원공급원(122, 124)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 표시부(100)에 구비되는 각각의 화소(110)는 상기 제 1화소 전원선(VDD1) 및 제 2화소 전원선(VDD2)에 연결되는데, 본 발명의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 화소(110) 내에는 한 쌍의 발광소자 즉, 제 1발광소자 및 제 2발광소자가 구비되며, 이에 상기 제 1발광소자는 제 1화소 전원선(VDD1)과 연결되고, 제 2발광소자는 제 2화소 전원선(VDD2)에 각각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연결을 통해 상기 화상 표시부(100)에 구비되는 특정 화소에 있어서, 제 1발광 소자와 연결된 제 1화소 전원선(VDD1)의 전압 강하 크기가 작다면, 제 2발광소자에 연결된 제 2화소 전원선(VDD2)의 전압 강하 크기는 상대적으로 크게 된다.
결과적으로 이는 상기 화소 전원선으로부터 각 화소에 이르는 도달 거리 즉, 선저항의 크기를 일정하게 하므로, 화소 전원선의 전압 강하로 인한 화상 표시부 전체의 휘도 불균일 문제를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소의 일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단,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소의 구성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화소는 화소회로 및 제 1, 2발광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화소회로는 구동소자로서 상기 제 1발광소자 및 제 1화소 전원선(VDD1) 사이에 연결되는 제 1-1트랜지스터(M1-1), 제 2발광소자 및 제 2화소 전원선(VDD2) 사이에 연결되는 제 1-2트랜지스터(M1-2)와, 스위칭소자로서 상기 제 1-1 및 제 1-2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제 2트랜지스터(M2)와, 상기 제 1-1트랜지스터(M1-1)의 소스와 게이트 전극 사이에 연결되는 제 1캐패시터(C1)과, 상기 제 1-1트랜지스터(M1-1)의 소스와 게이트 전극 사이에 연결되는 제 2캐패시터(C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1트랜지스터(M1-1)는 소스 전극이 제 1화소 전원선(VDD1)에 연결되고 드레인 전극이 제 1발광소자(OLED1)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며 게이트 전극이 제 1 노드(N1)와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제 1-2트랜지스터(M1-2)는 소스 전극이 제 2화소 전원선(VDD2)에 연결되고 드레인 전극이 제 2발광소자(OLED2)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되며 게이트 전극이 제 1 노드(N1)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1 노드(N1)는 제 2 트랜지스터(M2)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제 1-1, 1-2트랜지스터(M1-1, M1-2)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를 각각 제 1, 2발광소자(OLED1, 2)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2발광소자(OLED1, 2)의 캐소드 전극에는 기저전원(VSS)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2 트랜지스터(M2)는 소스 전극이 데이터선(D)에 연결되고 드레인 전극이 제 1 노드(N1)와 연결되며 게이트 전극은 주사선(S)과 연결된다. 그리고,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는 주사신호에 따라 데이터 신호를 제 1 노드(N1)에 전달한다.
상기 제 1캐패시터(C1)는 제 1 전극이 제 1 전원공급선(VDD1)에, 제 2 전극이 제 1 노드(N1)에 연결되고, 제 2캐패시터(C2)는 제 1 전극이 제 2 전원공급선(VDD2)에, 제 2 전극이 제 1 노드(N1)에 연결되며, 상기 화소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른 전하를 충전하며, 충전된 전하에 의해 한 프레임의 시간 동안 각각 제 1-1 및 1-2트랜지스터(M1-1, M1-2)의 게이트에 신호를 인가하게 되어 제 1-1 및 1-2트랜지스터(M1-1, M1-2)의 동작을 한 프레임의 시간 동안 유지시킨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화소에는 두개의 발광소자(OLED1, OLED2)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며, 이 때, 상기 제 1, 2발광소자(OLED1, OLED2)는 애노드 전극이 분리되고 캐소드 전극을 동일하게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할 경우 하나의 화소에 구비된 한 쌍의 발광소자가 서로 다른 전원선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전원선의 전압 강하 효과를 상쇄하여 화소 전원선의 전압 강하로 인한 화상 표시부 전체의 휘도 불균일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제 1 및 제 2화소 전원선과, 각 화소의 연결관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주사선 및 데이터선의 배열은 생략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화상 표시부(100)의 상측에 위치한 제 1화소 전원선(VDD1)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인출되어 배열되며, 화상 표시부(100)의 하측에 위치한 제 2화소 전원선(VDD2)은 아래서 위 방향으로 인출되어 상기 제 1화소 전원선(VDD1)의 사이에 각각 배열된다.
즉, 상기 제 1화소 전원선(VDD1)은 화상 표시부(100)의 홀수번째 열 방향으로 배열되고, 제 2화소 전원선(VDD2)은 화상 표시부(100)의 짝수번째 열 방향으로 배열된다.
또한, 상기 화상 표시부(100)에 구비되는 각각의 화소(110)는 상기 제 1화소 전원선(VDD1) 및 제 2화소 전원선(VDD2)에 연결되는데, 상기 각 화소(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발광소자 즉, 제 1, 2발광소자가 구비되며, 이에 상기 제 1발광소자는 제 1화소 전원선(VDD1)과 연결되고, 제 2발광소자는 제 2화소 전원선(VDD2)에 각각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연결은 상기 제 1 및 제 2화소 전원선으로부터 각 화소에 이르는 도달 거리 즉, 선저항의 크기를 일정하게 하므로, 화소 전원선의 전압 강하로 인한 화상 표시부 전체의 휘도 불균일 문제를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2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 1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1 및 제 2화소 전원선(VDD1, VDD2)에 대하여 상기 화소 전원선의 전압 강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1 및 제 2보조 화소 전원선들(VDD1a, VDD2a)이 추가로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이외의 구성요소 및 연결 관계는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제 1보조 화소 전원선들(VDD1a)은 제 2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 1화소 전원선(VDD1)과 메쉬(mesh) 형태로 연결되도록 구현되며, 상기 제 2보조 화소 전원선들(VDD2a)은 상기 제 1보조 화소 전원선들(VDD1a) 사이에 각각 배열되어 상기 제 2화소 전원선(VDD2)과 메쉬 형태로 연결되도록 구현된다.
이 때, 상기 제 1 및 제 2보조 화소 전원선들(VDD1a, VDD2a)은 비 저항값이 낮은 금속 물질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1 및 제 2보조 화소 전원선들(VDD1a, VDD2a)이 각각 제 1 및 제 2화소 전원선(VDD1, VDD2)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 1, 2화소 전원선(VDD1, VDD2)의 선 저항을 낮추는 역할을 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제 1, 2화소 전원선(VDD1, VDD2)에 의한 전압 강하 문제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된다.
단, 상기 제 1, 2보조 화소 전원선(VDD1a, VDD2a)은 상기 제 1, 2화소 전원선(VDD1, VDD2)과 다른 레이어에 형성되므로, 상기 제 1보조 화소 전원선(VDD1a)과 제 1화소 전원선(VDD1)의 교차지점 및 제 2보조 화소 전원선(VDD2a)과 제 2화소 전원선(VDD2)의 교차지점에는 콘택홀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1, 2보조 화소 전원선(VDD1a, VDD2a)은 상기 제 1, 2화소 전원선(VDD1, VDD2)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제 1, 2화소 전원선 및 제 1, 2보조 화소 전원선과, 각 화소의 연결관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주사선 및 데이터선의 배열은 생략되어 있으며, 이는 일 예로 도 4의 실시예에 제 1, 2보조 화소 전원선(VDD1a, VDD2a)이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화상 표시부(100)의 상측에 위치한 제 1화소 전원선(VDD1)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인출되어 배열되며, 화상 표시부(100)의 하측에 위치한 제 2화소 전원선(VDD2)은 아래서 위 방향으로 인출되어 상기 제 1화소 전원선(VDD1)의 사이에 각각 배열된다.
즉, 상기 제 1화소 전원선(VDD1)은 화상 표시부(100)의 홀수번째 열 방향으로 배열되고, 제 2화소 전원선(VDD2)은 화상 표시부(100)의 짝수번째 열 방향으로 배열된다.
또한, 제 1보조 화소 전원선들(VDD1a)은 행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 1화소 전원선(VDD1)과 메쉬(mesh) 형태로 연결되도록 구현되며, 상기 제 2보조 화소 전원선들(VDD2a)은 상기 제 1보조 화소 전원선들(VDD1a) 사이에 각각 배열되어 상기 제 2화소 전원선(VDD2)과 메쉬 형태로 연결되도록 구현된다.
즉, 상기 제 1보조 화소 전원선들(VDD1a)은 화상 표시부의 홀수번째 행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 1화소 전원선(VDD1)과 메쉬(mesh) 형태로 연결되며, 상기 제 2보조 화소 전원선들(VDD2a)은 화상 표시부의 짝수번째 행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 2화소 전원선(VDD2)과 메쉬(mesh) 형태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2보조 화소 전원선들(VDD1a, VDD2a)은 상기 제 1, 2화소 전원선(VDD1, VDD2)과 다른 레이어에 형성되므로, 상기 제 1보조 화소 전원선(VDD1a)과 제 1화소 전원선(VDD1)의 교차지점 및 제 2보조 화소 전원선(VDD2a)과 제 2화소 전원선(VDD2)의 교차지점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홀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1, 2보조 화소 전원선들(VDD1a, VDD2a)은 상기 제 1, 2화소 전원선(VDD1, VDD2)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4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화상 표시부(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화소들(110)에 대하여 각 화소(110)은 한 쌍의 발광소자 즉, 제 1, 2발광소자가 구비되며, 이에 상기 제 1발광소자는 제 1화소 전원선(VDD1)과 연결되고, 제 2발광소자는 제 2화소 전원선(VDD2)에 각각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100: 화상 표시부 110: 화소
122: 제 1전원공급부 124: 제 2전원공급부

Claims (9)

  1. 복수의 화소들이 배열되는 화상 표시부와;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에 화소 구동전압을 전달하는 제 1화소 전원선들 및 제 2화소 전원선들과;
    상기 제 1화소 전원선들 및 2화소 전원선들에 상기 화소 구동 전압을 각각 제공하는 제 1전원공급원 및 제 2전원공급원과;
    상기 화상 표시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화소들은 각각 제 1 및 제 2발광소자 및 이와 연결되는 화소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각 화소에 구비된 제 1발광소자는 상기 제 1화소 전원선에 연결되고, 제 2발광소자는 제 2화소 전원선에 연결되고,
    상기 제 1화소 전원선 및 제 2화소 전원선들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인출되어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화소 전원선들은 화상 표시부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인출되어 배열되고, 상기 제 2화소 전원선들은 상기 화상 표시부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인출되며, 상기 제 1화소 전원선 사이에 각각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화소 전원선은 화상 표시부의 홀수번째 열 방향으로 배열되고, 제 2화소 전원선은 화상 표시부의 짝수번째 열 방향으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전원공급원에서 제공하는 화소 구동전압은 동일한 레벨의 양의 전압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화소 전원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다수 배열되는 제 1 및 제 2보조 화소 전원선들이 추가로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보조 화소 전원선들은 상기 제 1화소 전원선과 메쉬 형태로 연결되도록 구현되고, 상기 제 2보조 화소 전원선들은 상기 제 1보조 화소 전원선들 사이에 각각 배열되어 상기 제 2화소 전원선과 메쉬 형태로 연결되도록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보조 화소 전원선은 비 저항값이 낮은 금속 물질로 구현되고, 상기 제 1, 2화소 전원선과 다른 레이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보조 화소 전원선과 제 1화소 전원선의 교차지점 및 제 2보조 화소 전원선과 제 2화소 전원선의 교차지점에는 콘택홀이 형성되며, 이를 통해 1, 2보조 화소 전원선은 상기 제 1, 2화소 전원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0100051728A 2010-06-01 2010-06-01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Active KR101178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728A KR101178912B1 (ko) 2010-06-01 2010-06-01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US12/975,285 US8575628B2 (en) 2010-06-01 2010-12-21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728A KR101178912B1 (ko) 2010-06-01 2010-06-01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973A KR20110131973A (ko) 2011-12-07
KR101178912B1 true KR101178912B1 (ko) 2012-09-03

Family

ID=45021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728A Active KR101178912B1 (ko) 2010-06-01 2010-06-01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75628B2 (ko)
KR (1) KR1011789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53576B2 (en) 2015-04-29 2018-04-2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US10997919B2 (en) 2018-12-21 2021-05-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2183A (ko) 2012-09-28 2014-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WO2014071343A1 (en) * 2012-11-05 2014-05-08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Brightness compensation in a display
TWI478128B (zh) 2013-05-23 2015-03-21 Au Optronics Corp 發光二極體顯示面板
KR102136584B1 (ko) 2013-12-27 2020-08-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242214B1 (ko) 2014-03-05 2021-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217385B1 (ko) 2014-07-18 2021-0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소자 표시장치
KR102337353B1 (ko) * 2014-08-20 2021-1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CN104505027B (zh) 2015-01-08 2017-01-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源电路、阵列基板及显示装置
KR102382026B1 (ko) 2015-01-19 2022-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6448562A (zh) * 2016-10-21 2017-02-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设备
KR102552300B1 (ko) * 2018-02-08 2023-07-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0229043A2 (de) * 2019-05-14 2020-11-19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pixel, displayanordnung und verfahren
CN115720671A (zh) 2021-06-24 2023-02-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8513A (ja) * 1999-12-28 2001-07-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
KR100679097B1 (ko) 2000-02-03 2007-02-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엘렉트로 루미네센스 셀 구동회로와 이를 이용한 엘렉트로 루미네센스 패널
JP2003533722A (ja) * 2000-05-16 2003-11-1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のエネルギー回復部を有する駆動回路
JP2003108068A (ja) 2001-09-28 2003-04-11 Toshiba Corp 表示装置
KR100646935B1 (ko) 2004-06-24 200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장치
KR100604061B1 (ko) 2004-12-09 2006-07-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화소회로 및 발광 표시장치
KR100588019B1 (ko) * 2004-12-31 2006-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너지 회수장치 및 방법
EP1720148A3 (en) * 2005-05-02 2007-09-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gray scale driving method with subframes thereof
KR101295877B1 (ko) * 2007-01-26 2013-08-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080087355A (ko) * 2007-03-26 2008-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픽셀 및 상기 발광 픽셀의 구동 장치
JP2009109521A (ja) 2007-10-26 2009-05-21 Sony Corp 表示装置、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5235516B2 (ja) * 2008-06-13 2013-07-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駆動方法
JP5246795B2 (ja) * 2009-08-19 2013-07-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センサ装置、センサ素子の駆動方法、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53576B2 (en) 2015-04-29 2018-04-2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US10997919B2 (en) 2018-12-21 2021-05-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568814B2 (en) 2018-12-21 2023-01-3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973A (ko) 2011-12-07
US8575628B2 (en) 2013-11-05
US20110291115A1 (en)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912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113451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489272B1 (ko) 유기 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구동방법
USRE48044E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mitting display
US899470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327357B2 (en) Pixel circuit and light emitting display comprising the same
KR101073174B1 (ko) 화소 및 이를 구비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210029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CN108039148A (zh) 一种显示面板和电子设备
KR20060065083A (ko)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082933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40141192A (ko) 표시장치
US20150200241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20020830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780845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30090088A (ko)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135925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84015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640052B1 (ko)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240658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13345375A (zh) 像素驱动电路及驱动方法、显示装置
KR20070043101A (ko) 유기 전계 발광 패널, 이를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090041925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19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08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8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8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