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75730B1 -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730B1
KR101175730B1 KR1020060098014A KR20060098014A KR101175730B1 KR 101175730 B1 KR101175730 B1 KR 101175730B1 KR 1020060098014 A KR1020060098014 A KR 1020060098014A KR 20060098014 A KR20060098014 A KR 20060098014A KR 101175730 B1 KR101175730 B1 KR 101175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chine
drum washing
vibration
over
tub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2368A (ko
Inventor
전규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098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730B1/ko
Publication of KR20080032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2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73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6Imbal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Imbalance; Noise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럼세탁기의 과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스켓의 내부에 삽입되는 튜브체; 터브에 고정되는 탄성부재; 상기 튜브와 상기 튜브에 각각 고정되는 피스톤 실린더 조립체; 및 상기 피스톤에 의하여 조작되는 감지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드럼세탁기, 과진동감지

Description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VIBRATION SENSING DEVICE FOR DRUM WASHING MACHIN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의 배치위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창지의 외관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의 출력전압을 나타낸 그래프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과진동 감지장치 110 : 튜브체
120 : 피스톤 실린더 조립체 122 : 실린더
124 : 피스톤 150 : 탄성부재
155 : 감지스위치 160 : 솔레노이드
165 : 영구자석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럼세탁기의 과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세탁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도어(2)가 설치되는 캐비닛(10)과, 개구부 내측에 설치되어 세탁수가 담수되는 터브(22)와, 터브(22)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이 수납되는 드럼(24)과, 터브(22) 배면에 설치되어 드럼(22)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구동장치(26)와, 터브(22)와 캐비닛(10) 사이에 설치되어 급수관이 연결되는 급수장치(30)와, 터브(22)로부터 캐비닛(10)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수장치(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로써, 도어(2)를 개방하여 드럼(24) 내부에 세탁물을 수납한 후에 전원을 인가하면 급수장치(30)에 의해 터브(22) 내측으로 세탁수가 공급되고, 세탁수 공급이 완료되면 구동장치(26)에 전원이 인가되어 드럼(24)이 회전되면서 세탁작동이 이루어진다.
세탁작동이 완료된 후에는 다수 차례의 헹굼작동 및 탈수작동이 이루어진 후에 배수장치(40)를 통해 터브(22) 내측의 세탁수가 캐비닛(10) 외측으로 배출되면서 세탁작동이 완료된다.
여기서, 터브(22)는 캐비닛(10)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단부가 개구되어 캐비닛(10)의 개구부와 터브(22)의 개구부 사이에 탄성재질의 가스켓(5)이 설치되는 바, 이 가스켓(5)에 의해 터브(22)와 캐비닛(10)이 소정량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캐비닛(10)과 터브(22) 사이의 간격을 커버하여 세탁수가 캐비닛(10) 내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드럼세탁기는 세탁물의 중량이 과도하거나 무게가 편중되어 있는 경우 작동시에 과도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과진동을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드럼세탁기의 손상을 초래한다.
그러나 종래의 드럼세탁기는 과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있어서, 소비자가 세탁기의 상태를 보고 과진동이라고 판단하면 작동을 중지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드럼세탁기의 과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스켓의 내부에 삽입되는 튜브체; 터브에 고정되는 탄성부재; 상기 튜브와 상기 튜브에 각각 고정되는 피스톤 실린더 조립체; 및 상기 피스톤에 의하여 조작되는 감지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감지스위치는 상기 피스톤 실린더 조립체의 일측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스켓의 내부에 삽입되는 튜브체; 터브에 고정되는 솔레노이드; 및 일측은 상기 튜브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솔레노이드에 삽입되는 영구자석에 연결되는 피스톤 실린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의 배치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100)는 그 일측이 가스켓(5)에 고정되고, 타측이 터브(22)에 고정된다. 드럼세탁기에 과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터브(22)와 가스켓(5) 사이의 거리가 달라진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가스켓(5)에 고정되는 부분은 가스켓(5)의 역할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튜브체(110)에 고정되어 가스켓(5)에 삽입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창지의 외관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100)는 피스톤(124)과 실린더(122)가 결합되어 피스톤(124)이 실린더(122)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122)는 튜브체(110)에 고정되고, 상기 피스톤(124)은 터브(22)에 고정된다.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피스톤(124)이 탄성부재(150)로 터브(22)에 고정되며, 도 6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피스톤(124)이 터브에 고정된 솔레노이드(160)를 왕복하는 영구자석(165)에 고정된다. 반대로, 튜브체(110)에 피스톤을 연결시키고 터브(22)측에 고정되는 부분에 실린더(122)를 연결시켜도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튜브체(11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가스켓(5)의 내부에 삽입된다. 따 라서, 가스켓(5)의 역할인 완충작용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드럼세탁기의 드럼이 진동하게 되면 상기 피스톤(124)과 실린더(122)에도 진동이 전달되어 피스톤(124)이 실린더(122)에 대하여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피스톤(124)의 진폭을 감지하여 과진동으로 판단하면, 별도의 경보음을 발생하게 하거나 드럼의 회전을 정지 시킴으로써 과진동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실린더 조립체(120)의 일측은 튜브(110)에 연결되고, 타측은 터브(22)에 부착된 탄성부재(150)에 고정된다. 피스톤 실린더 조립체(120)는 내부의 피스톤(124)이 실린더(122)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수평 변위를 피스톤(124)의 이동으로 바꿔주며 수직 방향의 진동은 상기 탄성부재(150)가 흡수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122)의 일측에 감지스위치(155)를 배치하여 피스톤(124)이 소정위치를 벗어나는 경우 피스톤(124)에 의하여 감지스위치(155)가 조작되도록 배치한다. 이 때 감지스위치(155)의 설치 위치는 과진동으로 설정하는 진동의 범위에 따라서 달라지게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124)이 감지스위치(150)의 안쪽에서 진동하게 되는 경우에는 감지스위치(155)가 조작되지 않아서 드럼세탁기가 그대로 동작 하게 되지만, 진동이 커져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124)이 감지스위치(155)의 설치 위치까지 왕복하게 되면, 상기 감지스위치(155)가 조작되어 과진동이 발생했다는 신호가 세탁기를 제어하는 마이콤으로 전송된다. 마이콤은 이 신호를 받아서 경보음을 발생하거나 동작을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터브측에 솔레노이드(160)를 고정하고, 상기 솔레노이드(160)의 안쪽을 왕복하도록 배치된 영구자석(165)을 피스톤(124)에 연결한다. 드럼세탁기가 진동하게 되면 상기 영구자석(165)이 상기 솔레노이드(160)에 대하여 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그 속도에 따라서 유도기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160)에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의 크기를 측정하여 소정크기 이상의 유도기전력이 발생하면 과진동으로 판단하게 된다.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의 출력전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세탁기의 진동이 점차 커짐에 따라서 유도기전력은 그래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지게 된다. 예를 들어 유도기전력의 크기가 점선으로 표시한 한계전압 이상이면 과진동으로 판단하여 마이컴에 과진동을 알려 작동을 정지하거나 알람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는 가스켓의 진동을 감지하여, 과진동으로 판단되면 작동을 정지하거나 경보를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드럼세탁기의 과진동으로 발생하는 기기의 손상이나 소비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가스켓의 내부에 삽입되는 튜브체;
    터브에 고정되는 탄성부재;
    상기 튜브와 상기 튜브에 각각 고정되는 피스톤 실린더 조립체; 및
    상기 피스톤에 의하여 조작되는 감지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스위치는 상기 피스톤 실린더 조립체의 일측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
  3. 가스켓의 내부에 삽입되는 튜브체;
    터브에 고정되는 솔레노이드; 및
    일측은 상기 튜브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솔레노이드에 삽입되는 영구자석에 연결되는 피스톤 실린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
KR1020060098014A 2006-10-09 2006-10-09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175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014A KR101175730B1 (ko) 2006-10-09 2006-10-09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014A KR101175730B1 (ko) 2006-10-09 2006-10-09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2368A KR20080032368A (ko) 2008-04-15
KR101175730B1 true KR101175730B1 (ko) 2012-08-21

Family

ID=39533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014A Expired - Fee Related KR101175730B1 (ko) 2006-10-09 2006-10-09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7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494B1 (ko) * 2009-01-05 2016-01-18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안전장치 및 이러한 안전장치의 제어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4893A (ja) 2000-02-14 2001-08-21 Sharp Corp ドラム式洗濯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4893A (ja) 2000-02-14 2001-08-21 Sharp Corp ドラム式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2368A (ko) 2008-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5980A (ko) 세탁기의 진동 감지 장치 및 방법
US20070017037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detecting vibration
KR101605761B1 (ko) 세탁기의 수위/진동감지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CN108368662A (zh) 洗衣机
JP2014131592A (ja) 洗濯機
JP7542440B2 (ja) 洗濯機
RU2413043C2 (ru) Стиральная или стиральная/сушильная машина с заградите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KR101175730B1 (ko) 드럼세탁기 과진동 감지장치
JP2012170678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730963B1 (ko) 전자기 베어링을 구비하는 드럼 세탁기
KR101220214B1 (ko)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75626A (ko) 세탁기의 진동 저감 장치 및 방법
KR101326300B1 (ko)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
KR100934016B1 (ko) 세탁기의 누수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57036B1 (ko) 진동감지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진동감지방법
KR101369316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JP4816718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223443B1 (ko) 세탁기와 세탁기용 동흡진기
JP2015077253A (ja) 洗濯機の蓋開閉検知装置
KR20040069133A (ko) 드럼세탁기의 댐퍼 어셈블리
KR101221461B1 (ko) 치우침 감지장치를 갖는 세탁기
KR101202752B1 (ko) 드럼세탁기의 거품배출장치
KR100652480B1 (ko) 드럼 세탁기의 세탁수 회전방지장치
WO2016107696A1 (en) A washing machine
KR20040073772A (ko) 드럼 세탁기의 편심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008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81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