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270B1 - 세그먼트간 자기장 간섭을 최소화한 전기자동차용 급전 세그먼트 장치 - Google Patents
세그먼트간 자기장 간섭을 최소화한 전기자동차용 급전 세그먼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73270B1 KR101173270B1 KR20090131259A KR20090131259A KR101173270B1 KR 101173270 B1 KR101173270 B1 KR 101173270B1 KR 20090131259 A KR20090131259 A KR 20090131259A KR 20090131259 A KR20090131259 A KR 20090131259A KR 101173270 B1 KR101173270 B1 KR 1011732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gment
- vehicle
- magnetic field
- road
- power suppl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5—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without mechanical contact between the collector and the power supply li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36—Single contact pieces along the line for power supply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1—Rooms or chambers
- H05K9/0003—Shielded walls, floors, ceilings, e.g. wallpaper, wall panel, electro-conductive plaster, concrete, cement, mort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도로 하부에 도로진행방향을 따라 연이어 배치되어 도로 위를 운행하는 전기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자동차용 급전 세그먼트 장치는, 전류에 의한 자기장 발생으로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는 급전선을 내부에 수용하며, 도로 진행방향을 따라 도로 하부에 연이어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세그먼트 구조물; 상기 세그먼트 구조물 상부 또는 측면의 양단에 설치되어 급전 세그먼트 양단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상쇄시킴으로써 인접한 세그먼트 블록 간의 자기장 간섭을 줄이는 그물 형태의 차폐망; 전류에 의한 자기장 발생으로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세그먼트 구조물 내부에 배치되는 급전선; 상기 급전 세그먼트 위로 통과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감지 센서; 상기 도로에 설치된 다수의 급전 세그먼트 블록의 급전을 제어하는 세그먼트 제어기; 및 상기 차량감지 센서에 의해 차량 감지시 차량으로의 전원공급을 가동하고, 차량 미감지시 차량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급전 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도로 하부에 도로진행방향을 따라 연이어 배치되어 도로 위를 운행하는 전기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자동차용 급전 세그먼트 장치는, 전류에 의한 자기장 발생으로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는 급전선을 내부에 수용하며, 도로 진행방향을 따라 도로 하부에 연이어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세그먼트 구조물; 상기 세그먼트 구조물 상부 또는 측면의 양단에 설치되어 급전 세그먼트 양단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상쇄시킴으로써 인접한 세그먼트 블록 간의 자기장 간섭을 줄이는 평판형태의 차폐판; 전류에 의한 자기장 발생으로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세그먼트 구조물 내부에 배치되는 급전선; 상기 급전 세그먼트 위로 통과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감지 센서; 상기 도로에 설치된 다수의 급전 세그먼트 블록의 급전을 제어하는 세그먼트 제어기; 및 상기 차량감지 센서에 의해 차량 감지시 차량으로의 전원공급을 가동하고, 차량 미감지시 차량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급전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세그먼트간 자기장 간섭을 최소화한 전기자동차용 급전 세그먼트 장치는, 차량으로 전달하는 급전 세그먼트의 아이디, 온오프 상태 정보,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차량 아이디, 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급전제어 정보를 도로상을 운행하는 차량과 송수신하는 정보 송수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0)
- 도로 하부에 도로진행방향을 따라 연이어 배치되어 도로 위를 운행하는 전기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자동차용 급전 세그먼트 장치로서,전류에 의한 자기장 발생으로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는 급전선을 내부에 수용하며, 도로 진행방향을 따라 도로 하부에 연이어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세그먼트 구조물;상기 세그먼트 구조물 상부 또는 측면의 양단에 설치되어 급전 세그먼트 양단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상쇄시킴으로써 인접한 세그먼트 블록 간의 자기장 간섭을 줄이는 루프(loop) 형태의 차폐 케이블;전류에 의한 자기장 발생으로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세그먼트 구조물 내부에 배치되는 급전선;상기 급전 세그먼트 위로 통과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감지 센서;상기 도로에 설치된 다수의 급전 세그먼트 블록의 급전을 제어하는 세그먼트 제어기; 및,상기 차량감지 센서에 의해 차량 감지시 차량으로의 전원공급을 가동하고, 차량 미감지시 차량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급전 스위치를 포함하는 세그먼트간 자기장 간섭을 최소화한 전기자동차용 급전 세그먼트 장치.
- 삭제
- 삭제
- 도로 하부에 도로진행방향을 따라 연이어 배치되어 도로 위를 운행하는 전기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자동차용 급전 세그먼트 장치로서,전류에 의한 자기장 발생으로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는 급전선을 내부에 수용하며, 도로 진행방향을 따라 도로 하부에 연이어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세그먼트 구조물;상기 세그먼트 구조물 상부 또는 측면의 양단에 설치되어 급전 세그먼트 양단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상쇄시킴으로써 인접한 세그먼트 블록 간의 자기장 간섭을 줄이는 그물 형태의 차폐망;전류에 의한 자기장 발생으로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세그먼트 구조물 내부에 배치되는 급전선;상기 급전 세그먼트 위로 통과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감지 센서;상기 도로에 설치된 다수의 급전 세그먼트 블록의 급전을 제어하는 세그먼트 제어기; 및,상기 차량감지 센서에 의해 차량 감지시 차량으로의 전원공급을 가동하고, 차량 미감지시 차량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급전 스위치를 포함하는 세그먼트간 자기장 간섭을 최소화한 전기자동차용 급전 세그먼트 장치.
- 삭제
- 삭제
- 도로 하부에 도로진행방향을 따라 연이어 배치되어 도로 위를 운행하는 전기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자동차용 급전 세그먼트 장치로서,전류에 의한 자기장 발생으로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는 급전선을 내부에 수용하며, 도로 진행방향을 따라 도로 하부에 연이어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세그먼트 구조물;상기 세그먼트 구조물 상부 또는 측면의 양단에 설치되어 급전 세그먼트 양단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상쇄시킴으로써 인접한 세그먼트 블록 간의 자기장 간섭을 줄이는 평판형태의 차폐판;전류에 의한 자기장 발생으로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세그먼트 구조물 내부에 배치되는 급전선;상기 급전 세그먼트 위로 통과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감지 센서;상기 도로에 설치된 다수의 급전 세그먼트 블록의 급전을 제어하는 세그먼트 제어기; 및,상기 차량감지 센서에 의해 차량 감지시 차량으로의 전원공급을 가동하고, 차량 미감지시 차량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급전 스위치를 포함하는 세그먼트간 자기장 간섭을 최소화한 전기자동차용 급전 세그먼트 장치.
- 삭제
- 삭제
- 청구항 1, 청구항 4 및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차량으로 전달하는 급전 세그먼트의 아이디, 온오프 상태 정보, 차량으로부터 수신하는 차량 아이디, 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급전제어 정보를 도로상을 운행하는 차량과 송수신하는 정보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그먼트간 자기장 간섭을 최소화한 전기자동차용 급전 세그먼트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131259A KR101173270B1 (ko) | 2009-12-24 | 2009-12-24 | 세그먼트간 자기장 간섭을 최소화한 전기자동차용 급전 세그먼트 장치 |
PCT/KR2010/009314 WO2011078619A2 (ko) | 2009-12-24 | 2010-12-24 | 세그먼트간 자기장 간섭을 최소화한 전기자동차용 급전 세그먼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131259A KR101173270B1 (ko) | 2009-12-24 | 2009-12-24 | 세그먼트간 자기장 간섭을 최소화한 전기자동차용 급전 세그먼트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4330A KR20110074330A (ko) | 2011-06-30 |
KR101173270B1 true KR101173270B1 (ko) | 2012-08-13 |
Family
ID=44196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90131259A Active KR101173270B1 (ko) | 2009-12-24 | 2009-12-24 | 세그먼트간 자기장 간섭을 최소화한 전기자동차용 급전 세그먼트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173270B1 (ko) |
WO (1) | WO2011078619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7807B1 (ko) * | 2011-09-28 | 2013-09-12 | 한국과학기술원 | Emf를 최소화하는 집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집전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06136A (ja) * | 2007-10-25 | 2009-05-14 | Toyota Motor Corp | 電動車両および車両用給電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07304A (en) * | 1991-12-03 | 1993-05-04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 Inductive energizatio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s |
SE469862B (sv) * | 1992-02-06 | 1993-09-27 | Ericsson Telefon Ab L M | Elektrisk kabel |
JPH07202470A (ja) * | 1993-12-28 | 1995-08-04 | Unyusho Senpaku Gijutsu Kenkyusho | 磁界遮へい装置と電気鉄道車輌 |
JPH08237890A (ja) * | 1995-02-28 | 1996-09-13 | Fuji Electric Co Ltd | 自動車への非接触式電力供給装置 |
KR20050116771A (ko) * | 2004-06-08 | 2005-12-13 | 진옥상 | 전자파 노이즈 제거방법 및 그 장치 |
-
2009
- 2009-12-24 KR KR20090131259A patent/KR101173270B1/ko active Active
-
2010
- 2010-12-24 WO PCT/KR2010/009314 patent/WO2011078619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06136A (ja) * | 2007-10-25 | 2009-05-14 | Toyota Motor Corp | 電動車両および車両用給電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1078619A3 (ko) | 2011-10-27 |
KR20110074330A (ko) | 2011-06-30 |
WO2011078619A2 (ko) | 2011-06-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533074B1 (en) | Interference filter for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 |
CA2786334C (en) | Electric heating device for vehicles having a high voltage electric system | |
CN104255087A (zh) | 线束 | |
KR101087768B1 (ko) | 자기유도 전력전달용 급전장치와 집전장치의 전자기 차폐장치 | |
US20170127482A1 (en) | Transverse flux induction heating device | |
WO2013061610A1 (ja) | 給電装置、受電装置、及び非接触充電装置 | |
CN103369938A (zh) | 梳状结构屏蔽层以及其无线充电传输器 | |
KR101173270B1 (ko) | 세그먼트간 자기장 간섭을 최소화한 전기자동차용 급전 세그먼트 장치 | |
KR101124575B1 (ko) |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자기장 차폐장치 | |
US11515085B2 (en) | System for an inductive energy transmission from a primary-conductor system to a vehicle having a secondary winding | |
ZA200508934B (en) | Transport system | |
KR20170143167A (ko) | 효율적인 전기자동차용 비접촉 전력전송장치 | |
KR20110041173A (ko) | 온라인 전기자동차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선택적으로 상쇄시키는 차폐시스템 및 그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전자파 상쇄방법 | |
KR102249729B1 (ko) | 전기차량 및 산업용 장비의 주행 중 무선충전 급전 및 집전 시스템 | |
CN108574327B (zh) | 线圈单元、无线供电装置、无线受电装置及无线电力传输系统 | |
CN1167561C (zh) | 无接触供电设备的保护装置 | |
CN101401485A (zh) | 电磁屏蔽的感应加热设备 | |
WO2011078616A3 (ko) | 온라인 전기자동차용 듀얼레일 급전 시스템의 전자기장 차폐장치 및 방법 | |
RU2307438C1 (ru) |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в трехфазной системе на расстояние | |
KR101332792B1 (ko) | 급전선로를 세그먼트화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장치, 그 구동방법 및 급집전장치 | |
US20220021245A1 (en) | Wireless charging power supply system and pick-up system during running of electric vehicles and industrial equipment | |
KR101393799B1 (ko) | 면상발열체 및 면상발열체 제조방법 | |
KR101527566B1 (ko) | 철도레일 유기전류 차단 장치 | |
CN206076768U (zh) | 一种轨道车辆及其交流电气柜 | |
CN110556959B (zh) | 巨型水轮发电机强电磁环境下电磁屏蔽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8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8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0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