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72548B1 - 대퇴골에 유도철선을 삽입하기 위한 휘어진 포지셔닝-삽입 기구 - Google Patents

대퇴골에 유도철선을 삽입하기 위한 휘어진 포지셔닝-삽입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548B1
KR101172548B1 KR1020067002937A KR20067002937A KR101172548B1 KR 101172548 B1 KR101172548 B1 KR 101172548B1 KR 1020067002937 A KR1020067002937 A KR 1020067002937A KR 20067002937 A KR20067002937 A KR 20067002937A KR 101172548 B1 KR101172548 B1 KR 101172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wire
guide
positioning
femur
position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2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9189A (ko
Inventor
토마스 카우프
델로카 알베르토 페르난데스
Original Assignee
신세스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세스 게엠바하 filed Critical 신세스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060079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2Intramedullary devices, e.g. pins or n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6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97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specially adapted for wir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6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6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6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for applying intramedullary nails or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2Intramedullary devices, e.g. pins or nails
    • A61B17/7208Flexible pins, e.g. ENDER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97Guide wires or guide p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큰돌기(41) 및/또는 안쪽 근육(45)에 부착하기 위한 말단부 및 유도철선(50)를 밀어 넣기 위한 근위 단부를 포함하는 휘어진 유도관(2) 및 유도관(2)와 핸들(5) 사이의 연결을 위한 지지 아암(4)을 포함하며 대퇴골(40)에 유도철선(50)를 삽입하기 위한 휘어진 포지셔닝-삽입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유도관(2)의 말단부에 포지셔닝 후크가 배치되며, 이 포지셔닝 후크는 하나 또는 다른 유도철선(50)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교정공(7, 8, 9, 10, 12)를 갖는다. 이런 구조로 인해 기준으로 사용되는 유도철선(50)를 이용해 다른 또는 추가적인 유도철선(50)를 간단하게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대퇴골에 유도철선을 삽입하기 위한 휘어진 포지셔닝-삽입 기구{CURVED POSITIONING AND INSERTION INSTRUMENT FOR INSERTING A GUIDE WIRE INTO THE FEMUR}
본 발명은 골 개구를 정밀하게 형성하기 위해 대퇴골에 유도철선을 삽입하기 위한 휘어진 포지셔닝-삽입 기구에 관한 것이다.
정밀한 골 개구는 시술자가 드릴 또는 커터를 이용해 안내하고자 하는 방향 및 위치에서 정확한 기준점을 필요로 한다. 드릴을 안정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대퇴골의 보어 전단에 삽입(천공 또는 타격 천공)되는 유도철선을 이 목적에 사용하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
미국 특허 US-A-6074392에는 대퇴골에 부착하기 위한 말단부 및 유도철선의 삽입을 위한 근위 단부 및 유도관와 핸들 사이의 연결을 위한 지지 아암을 포함하는 휘어진 유도관을 이용해 대퇴골에 유도철선을 삽입하기 위한 이런 유형의 휘어진 포지셔닝-삽입 기구가 공지되어 있다. 이 구조는 전술한 형태를 갖는, 그 이유는 인체 대퇴골의 해부학적 구조로 인해 휘어진 곡선을 따라 유도철선을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서 해당 부위의 조직이 수술 시 덜 손상되기 때문이다.
미국 특허 US-A-6074392는 휘어진 유도철선을 위한 휘어진 유도관로 구성된 핵심 부재를 포함하는 기구 구도를 설명한다. 이 유도철선은 골 내로 삽입되며 중공의 플렉시블형 드릴을 위한 안내 경로로서 기능한다. 유도철선은 포지셔닝-삽입 기구의 도움으로 장착되며, 휘어진 유도관은 지지 부재를 통해 시술자가 양호하게 잡을 수 있는 그립에 부착된다. 유도관의 정확한 위치 결정은 방사선 빔 또는 직접적인 육안 확인을 통해 실시된다. 위치 결정 후에는 유도철선이 골의 종축을 따라 타격에 의해 삽입되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삽입된다. 그 후에 삽입 기구가 제거되며 플렉시블 드릴 또는 커터가 유도철선을 통해 안내된다. 천공 완료 후에 모든 기구가 제거된다.
하지만 이런 방법의 핵심은 유도철선이 최적으로 위치하지 않을 경우 별도의 교정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이를 방사선 사진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US-A-5951561에 따른 완전히 다른 구조에서도 안내 기구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 안내 기구는 유도철선의 교정 가능성을 갖는다. 하지만 이 구조는 큰 체적의 케이싱으로 구성되는데, 이 케이싱은 구멍이 많을수록 더 많은 디스크를 갖는 회전성의 원통형 부품을 수용하고, 이런 디스크는 복잡한 제조 공정을 통해 서로 정렬되어야 하며 이외에도 대퇴골의 휘어진 곡선을 따라 유도철선을 삽입하는 가능성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런 구조는 전술한 유형의 구조에 대한 개선으로 볼 수 없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목적은 해당 부위에서 조직의 손상을 가능한 한 최소화하면서, 간단한 기구를 이용해 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런 이유에서 전문가라면 이미 전술한 미국 특허 US-A-5951561을 전술한 목적의 해결을 위한 최신 기술로서 간주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1998년에 공개된 미국 특허 US-A-6074392가 1997년 공개된 미국 특허 US-A-5624447의 개선안에 해당하며, 미국 특허 US-A-5951561이 미국 특허 US-A-6074392와 동일한 년도에 공개되었고 유도철선을 위한 다른 방법에 해당한다.
최신 기술과 간접적으로 관련된 기타 특허로는 미국 특허 US-A-4466429, US-A-5135527, US-A-5112336, US-A-4712541, US-B1-6273892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 아암을 통해 휘어진 유도관에 배치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새로운 포지셔닝-삽입 기구를 통해 달성된다. 그 단부에는 경우에 따라 유도공을 포함하는 포지셔닝 후크가 배치되는데, 이 유도공은 가이드튜브에 대해 6도 내지 30도, 바람직하게는 7도 내지 20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도의 각도로 조절된다. 개선된 실시 형태에서는 이 보어 외에도 복수의 교정공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사용 시 T-핸들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차후에 개구 드릴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도철선이 사용된다. 또한 T-핸들 또는 전동식 드릴 또는 임팩트 드라이브 대신 임팩트 헤드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도철선을 타격하여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제적 응용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우선 유도관에 경우에 따라 기준 유도철선이 적재된다. 이런 경우 포지셔닝-삽입 기구의 핸들은 육안 확인 하에 대퇴골의 종축 및 그 골수강의 연장부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정렬된다. 포지셔닝 후크는 대퇴골에 배치되며 이 후크의 코는 안쪽 압박에 의해 근육(중간 볼기근/gluteus medius m.)에 압박되며, 기준 유도철선은 대퇴골의 종축에 대해 평행하게 삽입된다. 기구는 제거된다. 그 다음 포지셔닝-삽입 기구의 유도관에 개구 유도철선이 적재되며 이 사용 방법에 따라 유도공이 기준 유도철선을 통해 포지셔닝 후크에서 이동하며 이로서 대퇴골에서 다시 위치가 조정된다. 포지셔닝 후크에서 유도공이 약 8도의 각도를 가지므로, 개구 유도철선을 올바른 각도로 조절하기 위해 포지셔닝-삽입 기구가 이에 상응하게 정렬된다. 특정한 각도는 평행선에 비해 육안으로 측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런 과정이 실시된다. 하지만 이미 기준 유도철선이 우연하게 일회의 동작으로 올바르게 설정된다면, 이 기준 유도철선을 개구 유도철선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제2의 개구 유도철선을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 기대된다.
유도공이 없는 몇몇 실시 형태에서는 기준 유도철선의 삽입이 필요치 않으며 해부학적 형상에 적응된 그 포지셔닝 후크의 우수한 특성으로 인해 정확한 위치 및 각도로 포지셔닝-삽입 기구를 위치시키는 것이 보장된다. 복수의 사용에서 안쪽 근육으로 가볍게 압박할 때 대퇴골에 부착할 때 후크가 개구 유도철선의 삽입을 위한 최적의 위치에 오도록, 이런 후크의 형상이 선택된다. 연질 조직이 보호되도록 안쪽 근육을 압박하는 형태로 코가 형성된다. 그 두께는 약 0.5-1.0mm, 바람직하게는 약 1-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5mm이다. 유도관의 중심과 포지셔닝 후크의 코 끝 사이의 길이는 연질 조직의 상태에 따라 약 10-30mm, 바람직하게는 약 15-25m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mm이다.
교정공의 직경은 약 1-5mm, 바람직하게는 약 1.8-3.6m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3mm이다. 유도관을 위한 수용부는 약 3-20mm, 바람직하게는 약 6-1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mm이다.
개구 유도철선이 대퇴골에 삽입된 경우에도, 개구 유도철선은 그 삽입 위치의 정면 레벨에서 기준 유도철선에 대해 약 8도의 최적 각도를 유지한다. 방사선 사진에서는 개방 과정을 완료하기 위해, 개구 유도철선이 정확한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개구 유도철선이 예를 들어 외피질에 너무 인접하게 위치한 경우, 본 발명에서는 포지셔닝-삽입 기구를 이용해 교정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공된다. 이 경우 포지셔닝-삽입 기구는 그 교정공을 통해 기준 또는 개구 유도철선로 이동되며 이미 삽입된 다른 개구 유도철선은 새로운 위치에서 대퇴골로 삽입된다. 올바르게 위치하지 않았던 이전의 개구 유도철선은 이제 제거할 수 있다. 필요 시 유도공 대신 기준 유도철선에서 동일한 하나의 교정공을 이동시킴으로써 단 하나의 기준 유도철선을 이용해 이미 이런 교정 조치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면 및 청구범위의 종속항에 설명된다. 청구항 10은 종래 기술에 비해 개선된 개구 유도철선의 새로운 위치결정 방법을 나타낸다.
도면 부호의 설명은 본 특허의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은 도면을 통해 예제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은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개요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품을 의미하며 서로 상이한 문자가 추가된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또는 유사한 부품을 나타낸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T-핸들, 유도철선 및 개구 드릴을 갖는 포지셔닝-삽입 기구를 도시하며,
도 2는 적재된 유도철선을 포함하는 포지셔닝-삽입 기구를 도시하고,
도 3a는 유도공 및 교정공 그리고 안쪽 근육에서 지지하기 위한 코가 달린 포지셔닝-삽입 기구의 정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3b는 유도공 및 교정공 그리고 안쪽 근육에서 지지하기 위한 코가 달린 포지셔닝-삽입 기구를 도 3a의 A에서 관찰한 도면을 도시하고,
도 4는 유도철선 및 T-핸들을 포함하는, 대퇴골에 위치된 포지셔닝-삽입 기구의 정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는 개구 유도철선이 적재되고 기준 유도철선을 통해 이동된 포지셔닝-삽입 기구를 도시하며,
도 6은 개구 유도철선이 적재되고, 기준 유도철선을 통해 이동되며 대퇴골 상에 새로 위치된, T-핸들을 포함하는 포지셔닝-삽입 기구가 천공 준비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7은 개구 유도철선을 통해 이동된 개구 드릴 및 T-핸들이 천공 준비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8은 유도철선이 삽입된 대퇴골의 방사선 사진을 도시하고,
도 9는 삽입된 기준 유도철선 및 삽입해야 하는 개구 유도철선을 포함하는 대퇴골의 방사선 사진을 도시하며,
도 10은 삽입된 기준 유도철선와 삽입된 개구 유도철선을 포함하는 대퇴골의 방사선 사진을 도시하고,
도 11은 삽입된 개구 유도철선을 포함하며, 기준 유도철선이 없거나 또는 제거된 대퇴골의 방사선 사진을 도시하며,
도 12는 최적으로 위치하지 않은 제1 개구 유도철선 및 교정을 위한 제2 개구 유도철선을 포함하는 대퇴골의 방사선 사진을 도시하고,
도 13은 교정된 개구 유도철선을 포함하는 대퇴골의 방사선 사진을 도시하며,
도 14는 개구 드릴을 포함하는 대퇴골의 방사선 사진을 도시하고,
도 15a는 안쪽 근육에 지지하기 위한 코와 교정공을 포함하며 유도공이 없는 포지셔닝-삽입 기구의 포지셔닝 후크의 정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5b는 안쪽 근육에 지지하기 위한 코와 교정공을 포함하며 유도공이 없는 포지셔닝-삽입 기구의 포지셔닝 후크를 도 15a의 A에서 관찰한 도면을 도시하고,
도 16a는 안쪽 근육에 지지하기 위한 코와 교정공을 포함하며 유도공이 없는 포지셔닝-삽입 기구의 포지셔닝 후크의 정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6b는 안쪽 근육에 지지하기 위한 코와 교정공을 포함하며 유도공이 없는 포지셔닝-삽입 기구의 포지셔닝 후크를 도 16a의 A에서 관찰한 도면을 도시하고,
도 17a는 안쪽 근육에 지지하기 위한 코와 교정공을 포함하며 유도공이 없는 포지셔닝-삽입 기구의 포지셔닝 후크의 정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7b는 안쪽 근육에 지지하기 위한 코와 교정공을 포함하며 유도공이 없는 포지셔닝-삽입 기구의 포지셔닝 후크를 도 17a의 A에서 관찰한 도면을 도시하고,
도 18a는 안쪽 근육에 지지하기 위한 코와 교정공을 포함하며 유도공이 없는 포지셔닝-삽입 기구의 포지셔닝 후크의 정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8b는 안쪽 근육에 지지하기 위한 코와 교정공을 포함하며 유도공이 없는 포지셔닝-삽입 기구의 포지셔닝 후크를 도 18a의 A에서 관찰한 도면을 도시하고,
도 19a는 안쪽 근육에 지지하기 위한 코와 (추가) 교정공을 포함하며 유도공이 없는 포지셔닝-삽입 기구의 포지셔닝 후크의 정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9b는 안쪽 근육에 지지하기 위한 코와 (추가) 교정공을 포함하며 유도공이 없는 포지셔닝-삽입 기구의 포지셔닝 후크를 도 15a의 A에서 관찰한 도면을 도시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를 사용할 때 일반적으로 필요한 부품들을 보여준다. 포지셔닝-삽입 기구(1)의 휘어진 유도관(2)의 말단부에 포지셔닝 후크(3)가 배치된다. 유도관(2)의 곡률 반경은 약 300~800mm, 바람직하게는 500~700mm, 더 바람직하게는 약 600mm이다. 포지셔닝 후크는 대퇴골과 넓적다리 안쪽근육의 끝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유도관(2)의 타단부 부근에 달린 아암(4)은 유도관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뻗다가 평행하게 휘어진다. 아암(4)의 단부에 달린 핸들(5)의 종축선은 포지셔닝 후크(3) 부근에서 유도관과 대략 평행하다.
또, 도 1의 유도철선(50)은 유도관(2)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황에 따라 기준 유도철선(50a)이나 개구 유도철선(50b)으로 사용된다. 또, 중공의 개구 드릴(20)은 유도철선(50)을 지나가고 T-핸들(30)로 조작된다. 끝으로, 레버(32)와 드릴척이 달린 T-핸들(30)의 드릴척은 유도철선(50)과 개구 드릴(20) 둘다에 끼워진다. 물론, T-핸들 대신 전동식 드릴링/태핑 드라이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유도관(2)에 유도철선(50)이 삽입되어 있는 포지셔닝-삽입 기구를 보여준다. 유도철선(50)는 포지셔닝-삽입 기구(1)의 일단부에서 삽입될 수 있는데, 삽입된 유도철선(50)은 일시적으로 휘어진다.
도 3a~b는 유도공(6)이 뚫린 포지셔닝-삽입 기구(1)를 도시하는데, 이 유도공은 유도관(2)과 중앙 구멍에 약 8도의 각도로 코(11)에 형성된다. 유도공 외에도 전/후방 교정공(7), 중간 교정공(8), 후/전방 교정공(9) 및 측면 교정공(10)와 같은 교정공이 여러개 존재한다.
도 4는 유도관(2)에 유도철선(50)이 삽입되어 있는 포지셔닝-삽입 기구(1)를 도시하는데, 이 기구는 대퇴골(40)의 큰돌기(41)에 위치한다. 포지셔닝 후크(3)는 특성상 큰돌기(41)의 표면과 안쪽 근육(45)에 미끄럼 없이 제대로 자리잡는다. 포지셔닝-삽입 기구(1)의 핸들(5)은 대퇴골(40)의 종축선과 골수강에 대해 평행하다. 이 위치에서 T-핸들(30)을 사용해 유도철선(50)을 삽입할 수 있다.
도 5의 포지셔닝-삽입 기구(1)는 대퇴골(40)의 큰돌기(41)에 삽입되어 있던 기준 유도철선(50a)을 따라 유도공(6)을 통해 움직이기 시작한 상태에 있다. 포지셔닝-삽입 기구(1)나 유도관(2)은 개구 유도철선(50b)과 함께 움직인다.
도 6의 포지셔닝-삽입 기구(1)는 대퇴골(40)의 큰돌기(41)에 이미 삽입된 기준 유도철선(50a)을 따라 유도공(6)을 통해 완전히 밀려진 상태이다. 이미 끼워진 개구 유도철선(50b)을 삽입하기 위해, 포지셔닝-삽입 기구(1)는 약 8도의 각도로 유도공(6)의 정면에 맞춰 올바르게 배치된 상태이다. 이 위치에서 T-핸들(30)을 사용해 유도철선(50b)을 삽입할 수 있다.
도 7의 개구 드릴(20)은 삽입된 유도철선(50b)을 통해 앞으로 밀려져 있다. 이 위치에서 T-핸들(30)을 사용해 드릴(20)을 대퇴골(40)의 큰돌기(41)에 삽입할 수 있다.
도 8은 포지셔닝-삽입 기구(1)의 포지셔닝 후크(3)와 유도철선(50)이 유도관(2)에 끼워진채 대퇴골(40)의 큰돌기(41)에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X선 사진이다. 포지셔닝 후크(3)가 큰돌기(41) 표면에 걸려 제대로 위치잡은 것을 명백히 알 수 있다. 유도철선(50)은 대퇴골(40)의 종축선에 평행하게 골수강에 삽입되었다.
도 9는 포지셔닝-삽입 기구(1)의 포지셔닝 후크(3)가 대퇴골(40)의 큰돌기(41)에 삽입되어있던 기준 유도철선(50a)을 따라 유도공(6)을 통해 밀려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X선 사진이다. 포지셔닝-삽입 기구(1)는 미리 끼워져 있던 개구 유도철선(50b)을 삽입하기 위해 약 8도의 각도로 유도공(6)에 맞춰 제대로 위치해있다.
도 10은 대퇴골(40)의 큰돌기(41)에 삽입된 기준 유도철선(50a)과 개구 유도철선(50b)을 보여주는 X선 사진이다. 기준 유도철선(50a)과 개구 유도철선(50b)이 이루는 각도(42)가 8도 정도임을 알 수 있다.
도 11은 기준 유도철선(50a)을 제거한 뒤에 남아있는 개구 유도철선(50b)을 보여주는 X선 사진이다. 이 실시예의 개구 유도철선(50b)은 외피질에 너무 가까이 있어 개구를 형성하지 못하므로 교정되어야 한다.
도 12는 개구 유도철선(50b)의 교정을 보여주는 X선 사진이다. 두번째 개구 유도철선(50b)을 유도철선(50b)에 평행하게 큰돌기(41)에 삽입한다.
도 13은 첫번째 개구 유도철선(50b)을 제거한 후 교정된 개구 유도철선(50b)을 보여주는 X선 사진이다. 이 유도철선은 개구 드릴(20)을 통해 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최적의 위치에 있다.
도 14는 대퇴골(40)의 큰돌기(41)에 형성된 개구(43)를 보여주는 X선 사진이다.
도 15a~b의 포지셔닝-삽입 기구(1)의 포지셔닝 후크(3)는 유도공은 없지만 전/후방 교정공(7), 안쪽 교정공(8), 후/전방 교정공(9) 및 측면 교정공(10)와 같은 여러 교정공을 갖고, 도 3의 실시예와는 달리 코(11)가 매우 얇다.
도 16a~b의 포지셔닝-삽입 기구(1)의 포지셔닝 후크(3)도 유도공은 없지만 전/후방 교정공(7), 안쪽 교정공(8), 후/전방 교정공(9) 및 측면 교정공(10)와 같은 여러 교정공을 갖고, 도 15의 실시예와는 달리 코(11)가 약간 더 뾰족하면서 더 길다.
도 17a~b의 포지셔닝-삽입 기구(1)의 포지셔닝 후크(3)도 유도공은 없으면서 전/후방 교정공(7), 안쪽 교정공(8), 후/전방 교정공(9) 및 측면 교정공(10)와 같은 여러 교정공을 갖고, 도 15~16의 실시예들과는 달리 단면적이 현저히 작고 교정공들을 따라 외곽선이 형성된다.
도 18a~b의 포지셔닝 후크(3)도 유도공은 갖지 않고 전/후방 교정공(7), 안쪽 교정공(8), 후/전방 교정공(9) 및 측면 교정공(10)와 같은 여러 교정공을 가지며, 도 17의 실시예와 달리 코가 약간 더 뾰족하면서 더 길고, 또한 도 15~16의 실시예와 비교해 단면적이 크게 작으며 교정공들을 따라 외곽선이 형성된다.
도 19a~b의 포지셔닝 후크(3)도 유도공은 없으면서 전/후방 교정공(7), 안쪽 교정공(8), 후/전방 교정공(9) 및 측면 교정공(10)와 같은 교정공 외에 추가로 4개의 교정공을 더 구비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18)

  1. 유도철선(50)을 대퇴골(40)에 삽입하기 위한 휘어진 포지셔닝-삽입 기구에 있어서:
    큰돌기(41)나 안쪽 근육(45)에 부착하기 위한 말단부와, 유도철선(50)을 삽입하기 위한 근위 단부를 갖는 휘어진 유도관(2);
    유도관(2)과 핸들(5)을 연결해주는 지지 아암(4); 및
    유도관(2)의 말단부에 배치되고, 유도철선(50)을 끼우는 교정공(7,8,9,10,12)이 형성되어 있는 포지셔닝 후크(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지셔닝-삽입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포지셔닝 후크(3)에 적어도 4개의 교정공들이 형성되어있고, 이 교정공들이 유도관(2)에 동심원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후크(3)에 8개의 교정공(7,8,9,10,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후크(3)가 유도철선(50)을 끼우기 위한 유도공(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포지셔닝 후크(3)의 형상이 코 형태이며, 포지셔닝 후크가 큰돌기(41)에 위치했을 때 대퇴골(40)에 개구 유도철선(50b)를 삽입하기 위한 최적의 위치에 오도록 포지셔닝 후크의 형상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유도관(2)과 유도공(6)에 기준 유도철선(50a)은 물론 개구 유도철선(50b)도 끼울 수 있도록 유도관과 유도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제2의 개구 유도철선(50b1)이 개구 유도철선(50b)과 떨어져 대퇴골(40)에 삽입되도록 포지셔닝 후크(3)에 전/후방 교정공(7), 안쪽 교정공(8), 후/전방 교정공(9) 및 측부 교정공(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핸들(5)이 삽입 위치에서 대퇴골 축선에 평행하게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포지셔닝 후크(3)가 유도관(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유도공(6)이 말단부 부근에서 유도관(2)의 축선에 대해 6도 내지 30도의 각도(42)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교정공(7)이 유도관(2)의 축선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포지셔닝 후크(3)가 큰돌기(41)에 닿았을 때 미끄러지지 않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포지셔닝 후크(3)가 둥글고 좁은 코(11)를 가지며, 이 코는 연질 조직을 보호하면서 근육 조직에 대해 포지셔닝 후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구로 구성된 세트에 있어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복수의 포지셔닝 후크(3)가 제공되며, 대퇴골 특성 및 연질 조직의 특성에 맞는 후크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
  18.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도관이 300 내지 800mm의 곡률반경으로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KR1020067002937A 2003-08-13 2004-03-08 대퇴골에 유도철선을 삽입하기 위한 휘어진 포지셔닝-삽입 기구 KR101172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1395/03 2003-08-13
CH13952003 2003-08-13
CH00026/04 2003-12-23
CH262004 2003-12-23
PCT/IB2004/000624 WO2005016155A1 (de) 2003-08-13 2004-03-08 Gebogenes positionier- und einführwerkzeug für das anbringen eines führungsdrahtes in den fem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189A KR20060079189A (ko) 2006-07-05
KR101172548B1 true KR101172548B1 (ko) 2012-08-08

Family

ID=34195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2937A KR101172548B1 (ko) 2003-08-13 2004-03-08 대퇴골에 유도철선을 삽입하기 위한 휘어진 포지셔닝-삽입 기구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007501B2 (ko)
EP (1) EP1656071B1 (ko)
JP (1) JP4559424B2 (ko)
KR (1) KR101172548B1 (ko)
AT (1) ATE393600T1 (ko)
AU (1) AU2004264721B2 (ko)
BR (1) BRPI0413472A (ko)
CA (1) CA2535454C (ko)
DE (1) DE502004007010D1 (ko)
ES (1) ES2305743T3 (ko)
NZ (1) NZ545595A (ko)
PL (1) PL1656071T3 (ko)
WO (1) WO20050161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48039B1 (en) 2005-11-08 2012-08-22 Synthes GmbH Intramedullary, longitudinal implant
US8961522B2 (en) 2007-01-25 2015-02-24 Biomet C.V. Flexible shaft reduction tool
US8398719B2 (en) 2009-09-01 2013-03-19 Concept, Design And Development, Llc Neck sparing total hip implant methods
US8470049B2 (en) 2009-09-01 2013-06-25 Concept, Design And Development, Llc Neck sparing total hip implant system
US8911445B2 (en) * 2011-01-28 2014-12-16 DePuy Sysnthes Products, LLC Reamer guide systems and methods of use
CA2824962C (en) * 2011-01-28 2018-12-11 DePuy Synthes Products, LLC Reamer guide systems
DE102011108673A1 (de) * 2011-07-22 2013-01-24 Karl Storz Gmbh & Co. Kg Vorrichtung zum Anzielen und Einbringen von mehreren Bohrkanälen in einen Knochen
EP2617370B1 (en) * 2012-01-19 2017-12-20 Stryker European Holdings I, LLC Sleeve in particular for suprapatellar surgery
CA2901009A1 (en) * 2013-02-28 2014-09-04 Robert GORSLINE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aming bone elements
FR3016792A1 (fr) * 2014-01-30 2015-07-31 Caroline Persat Instrumentation medicale pour l'implantation de broches
WO2016039775A1 (en) * 2014-09-12 2016-03-17 Innovision, Inc. Bone drill guid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A3013887C (en) 2016-02-19 2024-06-11 Sunnybrook Research Institute Positioning and alignment instrument for introducing surgical devices into bone
US10966773B2 (en) * 2017-07-31 2021-04-06 DePuy Synthes Products, Inc. Correction guide for femoral nec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7753A (en) 1991-02-18 1993-05-04 Kannivelu Badrinath Bone fracture repair apparatus and method
US6074392A (en) 1998-09-01 2000-06-13 Durham; Alfred A. Method and devices for use in bone fixation procedures
US6309396B1 (en) 1998-02-19 2001-10-30 G. David Ritland Tool for inserting an intramedullary guide wir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60077B (de) 1965-04-01 1968-02-01 Ortopedia Gmbh Instrument zur Durchfuehrung von Nagelungen bei Knochenbruechen
DE2914455A1 (de) 1979-04-10 1980-10-23 Maschf Augsburg Nuernberg Ag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aushoehlung in einem knochen
US4383527A (en) * 1981-02-20 1983-05-17 Howmedica, Inc. Device for guiding the insertion of surgical wires into bone tissue
DE8214493U1 (de) 1982-05-18 1982-09-09 Howmedica International, Inc. Zweigniederlassung Kiel, 2301 Schönkirchen Knochennagel zur Versorgung von Frakturen im proximalen Oberschenkelbereich
AT393617B (de) 1989-10-25 1991-11-25 Ender Hans Georg Instrumentarium zur reposition und fixation von per- und subtrochanteren frakturen
US5112336A (en) 1991-05-14 1992-05-12 Intermedics Orthopedics, Inc. Drill guide and template for prosthetic devices
FR2692467B1 (fr) * 1992-06-23 1994-12-16 Laboureau Jacques Instrumentation ancillaire pour la reconstruction du ligament croisé postérieur du genou.
US5489284A (en) * 1994-07-15 1996-02-06 Smith & Nephew Richards Inc. Cannulated modular intramedullary nail
US5624447A (en) 1995-03-20 1997-04-29 Othy, Inc. Surgical tool guide and entry hole positioner
DE19719052C1 (de) * 1997-05-06 1998-08-06 Thomas Dr Gausepohl Markraumpfriem zur Vorbereitung einer Oberschenkelnagelung
US6280472B1 (en) * 1997-07-23 2001-08-28 Arthrotek,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ibial fixation of soft tissue
US5951561A (en) 1998-06-30 1999-09-14 Smith & Nephew, Inc. Minimally invasive intramedullary nail insertion instruments and method
US6200321B1 (en) * 1998-09-10 2001-03-13 Hand Innovations, Inc. Fracture fixation system
JP2001245894A (ja) * 2000-03-03 2001-09-11 Masashi Sakamoto 肘頭骨折手術器械
US7258692B2 (en) * 2000-03-07 2007-08-21 Zimm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femoral fractures
SE517570C2 (sv) * 2000-08-09 2002-06-18 Lars Johan Henrik Hansson Anordning vid fixeringsorgan för fixering av benfragment vid benbrott
US6419678B1 (en) * 2000-11-28 2002-07-16 Wilson T. Asfora Curved drill guide system
AU2002305696C1 (en) * 2001-06-27 2008-12-11 Biomet C.V. Minimally invasive orthopaedic apparatus and methods
CH696424A5 (de) * 2002-10-15 2007-06-15 Alexander Von Weymarn Schaerli Führungseinrichtung insbesondere zum Positionieren von Kathetern in einem Körpergang.
US7601155B2 (en) * 2003-05-20 2009-10-13 Petersen Thomas D Instruments and method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for total hips
DE20309481U1 (de) * 2003-06-20 2003-09-04 stryker Trauma GmbH, 24232 Schönkirchen Vorrichtung zum lagerichtigen Einbringen eines Führungsdrahtes für ein Bohrwerkzeug in einen Knoch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7753A (en) 1991-02-18 1993-05-04 Kannivelu Badrinath Bone fracture repair apparatus and method
US6309396B1 (en) 1998-02-19 2001-10-30 G. David Ritland Tool for inserting an intramedullary guide wire
US6074392A (en) 1998-09-01 2000-06-13 Durham; Alfred A. Method and devices for use in bone fixation proced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16155A1 (de) 2005-02-24
BRPI0413472A (pt) 2006-10-17
EP1656071A1 (de) 2006-05-17
AU2004264721B2 (en) 2009-01-22
ATE393600T1 (de) 2008-05-15
CA2535454C (en) 2012-09-25
AU2004264721A1 (en) 2005-02-24
PL1656071T3 (pl) 2008-10-31
KR20060079189A (ko) 2006-07-05
JP4559424B2 (ja) 2010-10-06
US20070012816A1 (en) 2007-01-18
JP2007501670A (ja) 2007-02-01
NZ545595A (en) 2009-07-31
EP1656071B1 (de) 2008-04-30
CA2535454A1 (en) 2005-02-24
ES2305743T3 (es) 2008-11-01
DE502004007010D1 (de) 2008-06-12
US8007501B2 (en) 201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2548B1 (ko) 대퇴골에 유도철선을 삽입하기 위한 휘어진 포지셔닝-삽입 기구
US6074392A (en) Method and devices for use in bone fixation procedures
US8277451B2 (en) Two members cerclage tool
US4803976A (en) Sighting instrument
US5913860A (en) Surgical nail inserter
JP2010510041A (ja) 湾曲した整形外科用の道具
US5851209A (en) Bone cerclage tool
US8500745B2 (en) Aiming device for inserting stable-angle, long screws in the articular region of a bone
US20080039857A1 (en) Distal targeting device
US5989260A (en) Intramedullary nail guide rod with measure scale marked thereon
KR20160111045A (ko) 조직 수복용 시스템
DE69819890D1 (de) In der form einstellbarer chirurgischer gerätegriff
CN108697472B (zh) 用于将外科手术装置引入骨中的定位和对准器械
JP4605793B2 (ja) 髄内釘の姿勢矯正装置
JP3781185B2 (ja) 固定くぎの植え込みシステム
ZA200601343B (en) Curved positioning and insertion instrument for inserting a guide wire into the femur
KR100393256B1 (ko) 골절치료용 골절고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골절고정방법
JP4217658B2 (ja) 骨折治療用装置
KR200192901Y1 (ko) 척추수술용 위치안내기구
JP4233462B2 (ja) ガイドピンの位置決め器具
KR102759409B1 (ko) 골절부위 뼈 고정용 네일 가이드 마그네틱 타겟 장치
US200801618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argeting blind holes in intramedullary rods
KR200248091Y1 (ko) 요추 유합술용 가이드 핀
JP2005334139A (ja) 動物の骨折治療方法
KR20200048270A (ko) 골절 수술용 강선 삽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1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3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8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8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709